KR20160094837A - 계전 유닛,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계전 유닛,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837A
KR20160094837A KR1020150147925A KR20150147925A KR20160094837A KR 20160094837 A KR20160094837 A KR 20160094837A KR 1020150147925 A KR1020150147925 A KR 1020150147925A KR 20150147925 A KR20150147925 A KR 20150147925A KR 20160094837 A KR20160094837 A KR 20160094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etection
normally closed
stat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925B1 (ko
Inventor
데츠야 후쿠모토
도시유키 히구치
고헤이 무라카미
게이시 야야마
사토시 후지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8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making use of an electromagnetic wav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07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etecting means
    • H02H1/003Fault detection by injection of an auxiliary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01H2047/003Detecting welded contacts and applying weld break pulses to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52Controlling, signalling or testing correct functioning of a switch

Landscapes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 Relay Circuit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계전 유닛에 있어서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의 모니터의 신뢰성을 높인다.
비통전 상태 시에, 노멀리 클로즈 접점(b1·b2)에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된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여, 이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는, 진단 신호를 재송신하고, 또한 재송신된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재검출을 행하고, 이 재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정상이라고 판정한다.

Description

계전 유닛,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RELAY UNIT, CONTROL METHOD OF RELAY UNIT}
본 발명은 계전 유닛에 관한 것이다.
부하에의 통전 및 비통전을 전환하는 계전 유닛(릴레이 유닛이라고도 불림)에는 노멀리 오픈 접점(a 접점) 및 노멀리 클로즈 접점(b 접점)을 갖는 기계식의 개폐 소자가 마련된다.
유럽 특허 EP1202313A1(2000년 10월 23일 공개) 일본 실용 신안 공보 실개(평)5-55435(1993년 7월 23일 공개)
이러한 계전 유닛에서는, 비통전 시에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송신한 신호의 상태에 따라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모니터(진단)할 수 있지만, 모니터 시에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발생한 일시적인 원인이나 회복 가능한 원인에 의해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것이 문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계전 유닛에 있어서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의 모니터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계전 유닛은, 1개 이상의 노멀리 오픈 접점과, 1개 이상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노멀리 오픈 접점이 개방 상태이고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비통전 상태로 되고, 노멀리 오픈 접점이 폐쇄 상태이고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되는 전환 회로와, 상기 전환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통전 상태 시에,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된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여, 이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는, 진단 신호를 재송신하고, 또한 재송신된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재검출을 행하고, 이 재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정상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재검출을 행함으로써, 앞선 검출 시에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발생한 일시적인 원인(예를 들어, 흔들림)이나 회복 가능한 원인(예를 들어, 이물 혼입)에 의해 이상으로 되는 케이스를 저감시킬 수 있어, 노멀리 클로즈 접점의 모니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의 (a) 내지 (c)는 실시 형태 1의 계전 유닛의 구성(부하에 비통전)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의 (a) 내지 (c)는 실시 형태 1의 계전 유닛의 구성(부하에 통전)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의 (a) 내지 (c)는 실시 형태 1의 계전 유닛의 구성(모니터 기간)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실시 형태 1의 계전 유닛에 있어서의 b 접점의 모니터(진단)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의 (a) 내지 (c)는 계전 유닛(단극 릴레이 구성)이 ON 고장인 경우의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b 접점의 모니터 공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b 접점의 모니터 공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의 (a) 내지 (c)는 실시 형태 2의 계전 유닛의 구성(부하에 비통전)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의 (a) 내지 (c)는 실시 형태 2의 계전 유닛의 구성(부하에 통전)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의 (a) 내지 (d)는 실시 형태 2의 계전 유닛의 구성(모니터 기간)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실시 형태 2의 계전 유닛에 있어서의 b 접점의 모니터(진단)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의 (a) 내지 (c)는 계전 유닛(2극 릴레이 구성)이 ON 고장인 경우의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의 (a) 내지 (d)는 계전 유닛(2극 릴레이 구성)이 ON 고장이고, 노이즈가 혼입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의 (a) 내지 (c)는 실시 형태 1의 계전 유닛의 다른 구성(모니터 기간)을 도시하는 블록도.
〔실시 형태 1〕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계전 유닛(10)은, 제어부(2)와, 전환 회로(3)와, 전원 회로(9)와, 제1 입력 회로(14) 및 제2 입력 회로(15)와, 부하 연동/리셋 회로(17)와, 보조 출력 회로(18)와, 표시등 회로(19)를 구비한다. 제1 입력 회로(14)는 외부의 제1 입력 스위치(12)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고, 제2 입력 회로(15)는 외부의 제2 입력 스위치(13)로부터 입력을 접수하고, 부하 연동/리셋 회로(17)는 외부의 리셋 스위치(16)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외부 전원(24)(직류 전원)은, 제어부(2)에 접속하는 전원 회로(9)를 포함하는, 계전 유닛(10)의 각 부에 급전을 행한다.
도 1의 (b) 및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는 도 1의 (b)·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로서 기능하는 1개 또는 2개의 마이크로컴퓨터(마이컴)로 구성된다.
전환 회로(3)는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5)와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6)와, 2개의 절연 콘덴서 C1·C2를 구비한다.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5)는 a1 접점 및 b1 접점(노멀리 오픈 접점 및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는 기계식의 스위치 SW1과, 릴레이 코일(7)을 구비하는 단극 릴레이형이며, 릴레이 코일(7)의 여자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켜, 이 전자력에 의해 스위치 SW1을 전환한다. 즉, a1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b1 접점이 폐쇄 상태로 되고, a1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b1 접점이 개방 상태로 된다.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6)는 a2 접점 및 b2 접점(노멀리 오픈 접점 및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는 기계식의 스위치 SW2와, 릴레이 코일(8)을 구비하는 단극 릴레이형이며, 릴레이 코일(8)의 여자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켜, 이 전자력에 의해 스위치 SW2를 전환한다. 즉, a2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b2 접점이 폐쇄 상태로 되고, a2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b2 접점이 개방 상태로 된다.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5)의 b1 접점은 절연 콘덴서 C1을 개재하여 제어부(2)와 접속되고,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6)의 b2 접점은 절연 콘덴서 C2를 개재하여 제어부(2)에 접속된다. 또한, a1 접점 및 a2 접점의 사이에는 부하(21)와 부하 전원(23)이 직렬로 접속된다.
제어부(2)는 전환 회로(3)의 릴레이 코일(7) 및 릴레이 코일(8) 각각의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a1 접점 및 a2 접점이 개방 상태이고 b1 접점 및 b2 접점이 폐쇄 상태로 되는 부하(21)에의 비통전 상태(도 1)와, a1 접점 및 a2 접점이 폐쇄 상태이고 b1 접점 및 b2 접점이 개방 상태로 되는 부하(21)의 통전 상태(도 2)를 전환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21)에의 비통전 상태에서는, b1 접점 및 b2 접점이 접속되고, 제어부(2)의 단자 X로부터, 절연 콘덴서 C1, b1 접점, b2 접점 및 절연 콘덴서 C2를 거쳐 단자 Y에 이르는 채널이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21)에의 통전 상태에서는, a1 접점 및 a2 접점 및 부하(21) 및 부하 전원(23)(교류 전원)이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제1 및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5·6)를 직렬로 배치하고 있는 것은, 한쪽 유접점 릴레이 회로에 ON 고장(a 접점이 상시 폐쇄 상태로 되는 고장)이 발생해도 부하(21)를 비통전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용장 목적)이다.
계전 유닛(10)의 동작의 흐름을 이하에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외부 전원(24)이 OFF, 제1 입력 스위치(12) 및 제2 입력 스위치(13)가 모두 OFF, 리셋 스위치(16)가 OFF, 부하(21)가 비통전 상태(도 1)이며, 부하 연동/리셋 회로(17)가 ON(부하는 비통전)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 전원(24)(외부 전원)이 ON되면 제어부(2)가 기동한다. 계속해서, 안전 상태가 확보되어 제1 입력 스위치(12) 및 제2 입력 스위치(13)가 모두 ON되면, 제1 입력 회로(14) 및 제2 입력 회로(15)가 ON된다. 계속해서, 수동의 리셋 스위치(16)를 눌렀다 떼면 부하 연동/리셋 회로(17)가 OFF→ON→OFF로 된다. 이에 의해, 제어부(2)는 제1 입력 스위치(12) 및 제2 입력 스위치(13)가 모두 ON임과 함께, 부하 연동/리셋 회로(17)가 OFF인 것, 즉 부하(21)에의 통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인식한다.
도 3과 같이, 제어부(2)는 단자 X로부터 b1 접점 및 b2 접점에의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을 단자 Y에서 검출함으로써 b1 접점 및 b2 접점의 모니터(진단)를 행하여, b1 접점 및 b2 접점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릴레이 코일(7) 및 릴레이 코일(8)의 전류를 제어하여, a1 접점 및 a2 접점을 폐쇄 상태, b1 접점 및 b2 접점을 개방 상태로 한다(도 2). 이에 의해, 부하 전원(23)에 의한 부하(21)에의 통전(전원 공급)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제1 입력 스위치(12) 및 제2 입력 스위치(13) 중 적어도 1개가 OFF 되면(안전이 확보되지 않게 됨), 제어부(2)는 릴레이 코일(7) 및 릴레이 코일(8)의 전류를 제어하여 a1 접점 및 a2 접점을 개방 상태, b1 접점 및 b2 접점을 폐쇄 상태로 하고, 부하(21)에의 통전을 정지한다(도 1). 또한, 보조 출력 회로(18)는 제어부(2)로부터의 입력을 받아, 부하(21)에의 통전 또는 비통전의 정보를 외부의 시퀀서 등에 통지한다.
도 4에 b1 접점 및 b2 접점의 모니터(진단)의 처리 공정을 도시한다.
제어부(2)는 부하(21)에의 통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인식하면, b1 접점 및 b2 접점의 모니터(진단)를 개시한다(스텝 S1).
이 상태에서는, 상기한 대로, 단자 X로부터, 절연 콘덴서 C1, b1 접점, b2 접점 및 절연 콘덴서 C2를 거쳐 단자 Y에 이르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제어부(2)는 단자 X로부터 b1 접점 및 b2 접점에 펄스 신호인 진단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2).
이어서, 제어부(2)는 단자 Y에서 검출한 신호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즉 진단 신호의 제어부(2)에의 귀환 상황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예") 아닌지("아니오")를 판정한다(스텝 S3). 상기 소정 조건이란, 예를 들어 주기에 대해서는 주기의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상한 역치 이하임과 함께,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상한 역치 이하인 것이며, 이것을 만족함으로써, 진단 신호가 정상으로 귀환했다고 간주된다. 또한, 주기의 하한 역치 및 그의 상한 역치와,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하한 역치 및 그의 상한 역치는, 펄스 신호인 진단 신호의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스텝 S3에서 "예"인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되어 정상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3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되어, b1 접점을 일단 개방 상태로 한 후에 폐쇄 상태로 하고, 그 후에, b2 접점을 일단 개방 상태로 한 후에 폐쇄 상태로 한다. b1 접점의 개폐 후에 b1 접점의 개폐를 행하는 것은, b1 접점 및 b2 접점을 동시에 개방 상태로 되는(즉, a1 접점 및 a2 접점이 동시에 폐쇄 상태로 되어 부하(21)가 통전 상태로 됨)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어서, 제어부(2)는 단자 X로부터 b1 접점 및 b2 접점에 복수의 진단 신호를 재송신하고(스텝 S6), 스텝 S3과 마찬가지로, 단자 Y에서 검출한 신호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예") 아닌지("아니오")를 재판정한다(리트라이, 스텝 S7). 스텝 S7에서 "예"인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되어 정상 처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 b1 접점이나 b2 접점에 이물이 끼인 상태에서 모니터가 행하여지면, 접촉 저항이 높아져 진단 신호가 b1 접점이나 b2 접점을 정상적으로 통과할 수 없게 되어 스텝 S3에서 "아니오"라고 판정되지만, 스텝 S5와 같이 강제적인 개폐 동작을 행함으로써, b1 접점이나 b2 접점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거나, 접촉점을 바꾸어 접촉 저항을 정상으로 되돌리거나 할 수 있으면, 스텝 S7에서 "예"라고 판정된다.
또한, 유접점 릴레이 회로에 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진 상태에서 진단을 행하면, b1 접점이나 b2 접점이 순간적으로 개리되어 진단 신호가 정상적으로 통과할 수 없게 되어 스텝 S3에서 "아니오"라고 판정되지만, 리트라이(스텝 S6·S7)의 시점에서 개리가 해소되는 경우(예를 들어, 진동의 다음 주기까지의 개리되지 않는 타이밍에 리트라이할 수 있거나, 우발적인 1회의 충격으로, 리트라이 시에 흔들림이 가라앉은 경우)는 스텝 S7에서 "예"라고 판정된다.
스텝 S7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8로 진행되어, b1 접점의 개폐 동작 및 b2 접점의 개폐 동작이 소정 횟수에 도달했는지("예") 아닌지("아니오")를 판정한다. 스텝 S8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5로 되돌아가고, 스텝 S8에서 "예"인 경우,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5)가 ON 고장나 있는 경우에는 스텝 S9로 진행되어 이상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부(2)는 b1 접점 및 b2 접점을 폐쇄 상태로 하여 부하(21)에의 비통전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이상이 외부에 통지되도록 표시등 회로(19)나 보조 출력 회로(18)를 제어한다.
지금까지와 같이, 계전 유닛의 b1 접점 및 b2 접점의 모니터를 1회만 행하는 경우에는, 모니터의 신뢰성은 유접점 릴레이 회로의 신뢰성에 의거한다. 즉, 모니터 시에 b1 접점이나 b2 접점에 발생한 일시적인 원인(예를 들어, 흔들림)이나 회복 가능한 원인(예를 들어, 이물 혼입)에 의한 모니터의 이상 판정은, b1 접점 및 b2 접점의 접촉 신뢰성이나 내진동성·충격성이 높은 유접점 릴레이 회로를 사용한 경우는 적고, b1 접점의 접촉 신뢰성이나 내진동성·충격성이 높지 않은 유접점 릴레이 회로를 사용한 경우는 많아진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계전 유닛(10)에서는, 모니터의 리트라이를 행하기 위하여, b1 접점 및 b2 접점의 접촉 신뢰성이나 내진동성·충격성이 높지 않은 제1 및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소위 범용 릴레이)(5·6)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일시적인 원인이나 회복 가능한 원인에 의한 모니터의 이상 판정은 적어진다. 이에 의해, 모니터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나아가서는 계전 유닛(10)의 신뢰성도 높일 수 있다.
도 6에 b1 접점 및 b2 접점의 모니터(진단)의 다른 처리 공정을 도시한다. 즉, 도 4와 마찬가지로, 스텝 S1에서 b1 접점 및 b2 접점의 모니터(진단)를 개시하고, 단자 X로부터 b1 접점 및 b2 접점에 진단 신호(펄스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2).
이어서, 제어부(2)는 단자 Y에서 검출한 신호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예") 아닌지("아니오")를 판정한다(스텝 S3). 스텝 S3에서 "예"인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되어 정상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3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되어, b1 접점의 개폐 후에 b2 접점을 개폐하는 동작을 소정 횟수 행한다.
이어서, 제어부(2)는 단자 X로부터 b1 접점 및 b2 접점에 진단 신호를 재송신하고(스텝 S6), 스텝 S3과 마찬가지로, 단자 Y에서 검출한 신호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예") 아닌지("아니오")를 재판정한다(리트라이, 스텝 S7). 스텝 S7에서 "예"인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되어 정상 처리가 행하여지고,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8로 진행되어 이상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7에 b1 접점 및 b2 접점의 모니터(진단)의 다른 처리 공정을 도시한다. 즉, 도 4와 마찬가지로, 스텝 S1에서 b1 접점 및 b2 접점의 모니터(진단)를 개시하고, 단자 X로부터 b1 접점 및 b2 접점에 진단 신호(펄스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2).
이어서, 제어부(2)는 단자 Y에서 검출한 신호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예") 아닌지("아니오")를 판정한다(스텝 S3). 스텝 S3에서 "예"인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되어 정상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3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되어, 전회의 검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로 되면 스텝 S6으로 진행된다.
스텝 S6에서는, 제어부(2)가, 단자 X로부터 b1 접점 및 b2 접점에 진단 신호를 재송신하고, 스텝 S3과 마찬가지로, 단자 Y에서 검출한 신호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예") 아닌지("아니오")를 재판정한다(리트라이, 스텝 S7). 스텝 S7에서 "예"인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되어 정상 처리가 행하여지고,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8로 진행되어 리트라이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했는지("예") 아닌지("아니오")를 판정한다. 스텝 S8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5로 되돌아가고, 스텝 S8에서 "예"인 경우에는 스텝 S9로 진행되어 이상 처리가 행하여진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소정 조건으로서, 주기 및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주기 내의 ON(High) 기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듀티비에 대하여, 듀티비의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상한 역치 이하인 것을 소정 조건으로 해도 된다.
도 14에 실시 형태 1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노드 N과 제어부(2)의 단자 Z를 절연 소자를 개재하여 접속하고, 비통전 시(모니터 시)에 b1 접점, 노드 N 및 b2 접점이 직렬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는, 비통전 시(모니터 시)에, 단자 X, 절연 콘덴서 C1, b1 접점, 노드 N 및 절연 소자를 경유하여 단자 Z에 이르는 경로와, 단자 Y, 절연 콘덴서 C2, b2 접점, 노드 N 및 절연 소자를 경유하여 단자 Z에 이르는 경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b1 접점과 b2 접점을 개별적으로(순차) 모니터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2에 관한 계전 유닛(10)은, 제어부(2)와, 전환 회로(3)와, 전원 회로(9)와, 제1 입력 회로(14) 및 제2 입력 회로(15)와, 부하 연동/리셋 회로(17)와, 보조 출력 회로(18)와, 표시등 회로(19)를 구비한다. 제1 입력 회로(14)는 외부의 제1 입력 스위치(12)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고, 제2 입력 회로(15)는 외부의 제2 입력 스위치(13)로부터 입력을 접수하고, 부하 연동/리셋 회로(17)는 외부의 리셋 스위치(16)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외부 전원(24)(직류 전원)은, 제어부(2)에 접속하는 전원 회로(9)를 포함하는, 계전 유닛(10)의 각 부에 급전을 행한다.
제어부(2)는 도 8의 (b)·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로서 기능하는 1개 또는 2개의 마이크로컴퓨터(마이컴)로 구성된다.
전환 회로(3)는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5)와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6)와, 4개의 절연 콘덴서 C1 내지 C4를 구비한다.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5)는 a1 접점 및 b1 접점을 포함하는 기계식의 스위치 SW1과, a3 접점 및 b3 접점을 포함하는 기계식의 스위치 SW3과, 릴레이 코일(7)을 구비하는 2극 릴레이형이며, 릴레이 코일(7)의 여자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켜, 이 전자력에 의해 스위치 SW1·SW3을 전환한다. 즉, a1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b1 접점이 폐쇄 상태로 되고, a1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b1 접점이 개방 상태로 되고, a3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b3 접점이 폐쇄 상태로 되고, a3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b3 접점이 개방 상태로 된다.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6)는 a2 접점 및 b2 접점을 포함하는 기계식의 스위치 SW2와, a4 접점 및 b4 접점을 포함하는 기계식의 스위치 SW4와, 릴레이 코일(8)을 구비하는 2극 릴레이형이며, 릴레이 코일(8)의 여자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켜, 이 전자력에 의해 기계식 스위치 SW2·SW4를 전환한다. 즉, a2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b2 접점이 폐쇄 상태로 되고, a2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b2 접점이 개방 상태로 되고, a4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b4 접점이 폐쇄 상태로 되고, a4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b4 접점이 개방 상태로 된다.
또한, b1 접점은 절연 콘덴서 C1을 개재하여 제어부(2)와 접속되고, b2 접점은 절연 콘덴서 C2를 개재하여 제어부(2)와 접속되고, b3 접점은 절연 콘덴서 C3을 개재하여 제어부(2)와 접속되고, b4 접점은 절연 콘덴서 C4를 개재하여 제어부(2)와 접속된다.
또한, a1 접점 및 a2 접점의 사이에는 부하(21)와 부하 전원(23)(교류 전원)이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a3 접점 및 a4 접점 사이에는 부하(22)와 부하 전원(23)이 직렬로 접속된다.
제어부(2)는 전환 회로(3)의 릴레이 코일(7) 및 릴레이 코일(8) 각각의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a1 접점, a2 접점, a3 접점 및 a4 접점(이하, a1 내지 a4 접점이라고 약기)이 개방 상태이고 b1 접점, b2 접점, b3 접점 및 b4 접점(이하 b1 내지 b4 접점이라고 약기)이 폐쇄 상태로 되는 부하(21) 및 부하(22)에의 비통전 상태(도 8)와, a1 내지 a4 접점이 폐쇄 상태이고 b1 내지 b4 접점이 개방 상태로 되는 부하(21) 및 부하(22)의 통전 상태(도 9)를 전환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21) 및 부하(22)에의 비통전 상태에서는, b1 접점 및 b2 접점이 접속되고, 제어부(2)의 단자 X1로부터, 절연 콘덴서 C1, b1 접점, b2 접점 및 절연 콘덴서 C2를 거쳐 단자 Y1에 이르는 채널(1)이 형성되고, 또한, b3 접점 및 b4 접점이 접속되고, 제어부(2)의 단자 X2로부터, 절연 콘덴서 C3, b3 접점, b4 접점 및 절연 콘덴서 C4를 거쳐 단자 Y2에 이르는 채널(2)이 형성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21) 및 부하(22)에의 통전 상태에서는, a1 접점 및 a2 접점 및 부하(21) 및 부하 전원(23)이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a3 접점 및 a4 접점 및 부하(22) 및 부하 전원(23)이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제1 및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5·6)를 직렬로 배치하고 있는 것은, 한쪽 유접점 릴레이 회로에 ON 고장(a 접점이 상시 폐쇄 상태로 되는 고장)이 발생해도 부하(21) 및 부하(22)를 비통전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용장 목적)이다.
계전 유닛(10)의 동작의 흐름을 이하에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외부 전원(24)이 OFF, 제1 입력 스위치(12) 및 제2 입력 스위치(13)가 모두 OFF, 리셋 스위치(16)가 OFF, 부하(21) 및 부하(22)가 비통전 상태(도 8)이며, 부하 연동/리셋 회로(17)가 ON(양쪽 부하는 비통전)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 전원(24)(외부 전원)이 ON되면 제어부(2)가 기동한다. 계속해서, 안전 상태가 확보되어 제1 입력 스위치(12) 및 제2 입력 스위치(13)가 모두 ON되면, 제1 입력 회로(14) 및 제2 입력 회로(15)가 ON된다. 계속해서, 수동의 리셋 스위치(16)를 눌렀다 떼면 부하 연동/리셋 회로(17)가 OFF→ON→OFF로 된다. 이에 의해, 제어부(2)는 제1 입력 스위치(12) 및 제2 입력 스위치(13)가 모두 ON임과 함께, 부하 연동/리셋 회로(17)가 OFF인 것, 즉 부하(21) 및 부하(22)에의 통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제어부(2)는 도 10과 같이, 단자 X1로부터 b1 접점 및 b2 접점에의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을 단자 Y1에서 검출함으로써 b1 접점 및 b2 접점의 모니터(진단)를 행함과 함께, 단자 X2로부터 b3 접점 및 b4 접점에의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을 단자 Y2에서 검출함으로써 b3 접점 및 b4 접점의 모니터(진단)를 행한다. b1 내지 b4 접점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릴레이 코일(7) 및 릴레이 코일(8)의 전류를 제어하여, a1 내지 a4 접점을 폐쇄 상태, b1 내지 b4 접점을 개방 상태로 한다(도 9). 이에 의해, 부하 전원(23)에 의한 부하(21) 및 부하(22)에의 통전(전원 공급)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제1 입력 스위치(12) 및 제2 입력 스위치(13) 중 적어도 1개가 OFF되면(안전이 확보되지 않게 됨), 제어부(2)는 릴레이 코일(7) 및 릴레이 코일(8)의 전류를 제어하여 a1 내지 a4 접점을 개방 상태, b1 내지 b4 접점을 폐쇄 상태로 하고, 부하(21) 및 부하(22)에의 통전을 정지한다(도 8). 또한, 보조 출력 회로(18)는 제어부(2)로부터의 입력을 받아, 부하(21) 및 부하(22)에의 통전 또는 비통전의 정보를 외부의 시퀀서 등에 통지한다.
도 11에 b1 내지 b4 접점의 모니터(진단)의 처리 공정을 도시한다.
제어부(2)는 부하(21) 및 부하(22)에의 통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인식하면, b1 내지 b4 접점의 모니터(진단)를 개시한다(스텝 S1).
이 상태에서는, 상기한 대로, 단자 X1로부터, 절연 콘덴서 C1, b1 접점, b2 접점 및 절연 콘덴서 C2를 거쳐 단자 Y1에 이르는 채널 1과, 단자 X2로부터, 절연 콘덴서 C3, b3 접점, b4 접점 및 절연 콘덴서 C4를 거쳐 단자 Y2에 이르는 채널 2가 형성되어 있고, 제어부(2)는 단자 X1로부터 채널 1(b1 접점 및 b2 접점을 포함함)에 펄스 신호인 진단 신호 1을 송신함과 함께, 단자 X2로부터 채널 2(b3 접점 및 b4 접점을 포함함)에 펄스 신호인 진단 신호 2를 송신한다(스텝 S2).
이어서, 제어부(2)는 단자 Y1 및 단자 Y2 양쪽에서 검출한 신호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즉 단자 X1로부터의 진단 신호 1의 제어부(2)(단자 Y1)에의 귀환 상황이 소정 조건 1을 만족하고, 또한 단자 X2로부터의 진단 신호 2의 제어부(2)(단자 Y2)에의 귀환 상황이 소정 조건 2를 만족시키는지("예") 아닌지("아니오")를 판정한다(스텝 S3).
소정 조건 1이란, 예를 들어 주기에 대해서는 주기의 제1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임과 함께,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1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인 것을 말이며, 이것을 만족함으로써, 진단 신호 1이 정상으로 귀환했다고 간주된다. 소정 조건 2란, 예를 들어 주기에 대해서는 주기의 제2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임과 함께,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2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인 것을 말하며, 이것을 만족함으로써, 진단 신호 2가 정상으로 귀환했다고 간주된다. 또한, 주기의 제1 하한 역치 및 그의 제1 상한 역치와,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1 하한 역치 및 그의 제1 상한 역치는 제1 진단 신호의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주기의 제2 하한 역치 및 그의 제2 상한 역치와,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2 하한 역치 및 그의 제2 상한 역치는 제2 진단 신호의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스텝 S3에서 "예"인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되어 정상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3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되어, 제어부(2)는 단자 Y1에서 검출한 신호가 소정 조건 1을 만족하거나, 혹은 단자 Y2에서 검출한 신호가 소정 조건 2를 만족하는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예"), 어느 쪽에도 해당하지 않는지("아니오")를 판정한다.
스텝 S5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적어도 한쪽 유접점 릴레이 회로가 ON 고장나 있거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각 채널의 적어도 1개의 b 접점이 개리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로 인해, 일정 시간 내에 단자 X1로부터 채널 1에 진단 신호 1을 재송신함과 함께, 단자 X2로부터 채널 2에 진단 신호 2를 재송신한다(스텝 S6).
이어서, 제어부(2)는 단자 Y1에서 검출한 신호가 소정 조건 1을 만족함과 함께 단자 Y2에서 검출한 신호가 소정 조건 2를 만족하는지("예") 아닌지("아니오")를 판정한다(리트라이, 스텝 S7). 여기서, "예"인 경우에는 진동이나 충격이 원인이었다고 판단할 수 있어, 스텝 S4로 진행되어 정상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7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적어도 한쪽 유접점 릴레이 회로가 ON 고장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b1 및 b3 접점을 개방 상태(a1 및 a3이 폐쇄 상태)로 하거나, b2 및 b4 접점을 개방 상태(a2 및 a4가 폐쇄 상태)로 하거나 하면, 제1 및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5·6)가 모두 ON되어 부하(21) 및 부하(22)의 통전 상태(바람직하지 않은 상태)로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즉시 이상 처리(스텝 S8)로 이행한다. 즉, 제어부(2)는 b1 내지 b4 접점을 폐쇄 상태로 하고 부하(21·22)에의 비통전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이상이 외부에 통지되도록 표시등 회로(19)나 보조 출력 회로(18)를 제어한다.
한편, 스텝 S5에서 "예"인 경우에는, 한쪽 채널의 적어도 1개의 b 접점이 ON 고장나 있거나, 접촉 불량으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스텝 S9로 진행되어, b1 접점 및 b3 접점을 일단 개방 상태로 한 후에 폐쇄 상태로 하고, 그 후에, b2 접점 및 b4 접점을 일단 개방 상태로 한 후에 폐쇄 상태로 한다. b1 접점 및 b3 접점의 개폐 후에 b2 접점 및 b4 접점의 개폐를 행하는 것은, b1 접점 및 b2 접점을 동시에 개방 상태로 하거나(즉, a1 접점 및 a2 접점이 동시에 폐쇄 상태로 되어 부하(21)가 통전 상태로 됨), b3 접점 및 b4 접점을 동시에 개방 상태로 하거나(즉, a3 접점 및 a4 접점이 동시에 폐쇄 상태로 되어 부하(22)가 통전 상태로 됨)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어서, 제어부(2)는 단자 X1로부터 채널(1)에 진단 신호 1을 재송신함과 함께, 단자 X2로부터 채널 2에 진단 신호 2를 재송신한다(스텝 S10).
이어서, 제어부(2)는 단자 Y1에서 검출한 신호가 소정 조건 1을 만족함과 함께 단자 Y2에서 검출한 신호가 소정 조건 2를 만족하는지("예") 아닌지("아니오")를 판정한다(리트라이, 스텝 S11).
스텝 S11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12로 진행되어, b1 내지 b4 접점 각각의 개폐 동작이 소정 횟수에 도달했는지("예") 아닌지("아니오")를 판정한다. 스텝 S12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9로 되돌아가고, 스텝 S12에서 "예"인 경우,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5)가 ON 고장나 있는 경우에는 스텝 S8로 진행되어 이상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스텝 S5 내지 S8의 흐름을 설정함으로써, 제1 및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5·6) 각각을 2극 릴레이 구조로 하는(채널을 2계통 설치함) 경우에도 b1 내지 b4 접점의 모니터의 리트라이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채널(1)에의 진단 신호 1(MS1) 및 채널 2에의 진단 신호 2(MS2)에 대해서는, 도 10의 (d)와 같이, 양자간에서, 주기, 듀티비 및 일정 기간 내의 펄스수의 적어도 1개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제1 소정 조건과 제2 소정 조건을 서로 상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기의 제1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로 규정되는 범위와, 주기의 제2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로 규정되는 범위가 서로 겹치지 않고,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1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로 규정되는 범위와,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2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로 규정되는 범위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도 13과 같은 경우, 즉, 진단 신호 1(MS1) 및 진단 신호 2(MS2)는 불귀환이면서, 또한 진단 신호 1(MS1)과 유사한 노이즈 NS가 단자 Y1·Y2 각각에서 오수신되었다고 해도, 제어부(2)는 어느 한 쪽 유접점 릴레이 회로에서 ON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c)와 같이 제어부(2)를 2개의 마이컴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한쪽 마이컴이 릴레이 코일(7)을 제어함과 함께, 다른 쪽 마이컴이 릴레이 코일(8)을 제어하여, 2개의 마이컴 각각이, 진단 신호 1의 귀환 상황을 단자 Y1에서 검출함으로써 b1 접점 및 b2 접점의 모니터(진단)를 행함과 함께, 진단 신호 2의 귀환 상황을 단자 Y2에서 검출함으로써 b3 접점 및 b4 접점의 모니터(진단)를 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를 이러한 용장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령 한쪽 마이컴이 고장나도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2에 대해서〕
상기한 설명에서는 제어부(2)에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1 또는 2개의 마이컴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에 3개 이상의 마이컴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종 기능을 갖는 회로를 조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부(2)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계전 유닛은, 1개 이상의 노멀리 오픈 접점 및 1개 이상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노멀리 오픈 접점이 개방 상태이고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비통전 상태로 되고, 노멀리 오픈 접점이 폐쇄 상태이고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되는 전환 회로와, 상기 전환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통전 상태 시에,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된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여, 이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는 진단 신호를 재송신하고, 또한 재송신된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재검출을 행하고, 이 재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정상이라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재검출(리트라이)을 행함으로써, 앞선 검출 시에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발생한 일시적인 원인(예를 들어, 흔들림)이나 회복 가능한 원인(예를 들어, 이물 혼입)에 의해 이상으로 되는 케이스를 저감시킬 수 있어, 노멀리 클로즈 접점의 모니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리트라이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만 이상(계전 유닛의 고장)이라고 판단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계전 유닛의 수명을 연장시켜, 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상기 진단 신호는 펄스 신호이며, 상기 소정 조건이란, 주기에 대하여, 주기의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상한 역치 이하이다. 이렇게 하면 모니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상기 진단 신호는 펄스 신호이며, 상기 소정 조건을,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에 대하여,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상한 역치 이하이다. 이렇게 하면 모니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상기 진단 신호는 펄스 신호이며, 상기 소정 조건이란, 주기에 대해서는, 주기의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상한 역치 이하이고,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상한 역치 이하이다. 이렇게 하면 모니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정상이라고 판단했을 때에 노멀리 오픈 접점을 폐쇄 상태,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개방 상태로 하여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정상인 것을 판정하고 나서 통전 상태로 함으로써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상기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일단 개방 상태로 하고 나서 폐쇄 상태로 하는 개폐 동작을 행하게 한 후에 상기 재검출을 행한다.
이와 같이 재검출 전에 개폐 동작을 행함으로써,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혼입된 이물을 제거하거나, 접촉점을 바꾸거나 할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동작을 소정 횟수 반복시킨 후에 상기 재검출을 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 동작을 소정 횟수 반복시킴으로써, 개폐 동작의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동작을 반복시켜 각 개폐 동작 후에 상기 재검출을 행하고, 그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 시점에서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개폐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필요한 횟수만큼 개폐 동작을 행함으로써 모니터의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상기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재검출을 행한다.
이와 같이,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재검출을 행함으로써, 일시적인 흔들림에 의한 접점 개리에 의해 이상이라고 판정되는 케이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복수의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검출 및 재검출을 행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검출 및 재검출을 행함으로써, 더 정밀도가 높은 모니터가 가능해진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의 동일한 진단 신호에 의해 상기 검출 및 재검출을 행한다.
이와 같이, 서로 접속된 복수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대하여 통합하여 상기 검출 및 재검출을 행함으로써, 모니터의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상기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1개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일단 개방 상태로 하고 나서 폐쇄 상태로 하고, 계속해서 다른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일단 개방 상태로 하고 나서 폐쇄 상태로 하고, 그 후에 상기 재검출을 행한다.
이렇게 하면, 재검출 전의 개폐 동작 중에 부하가 통전될 우려가 없어져,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복수의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1개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관한 상기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해당 1개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 및 다른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관한 상기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재검출을 행한다.
이와 같이, 1개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 및 다른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관한 상기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재검출을 행함으로써, 효율적이고 또한 안전하게 모니터를 행할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노멀리 오픈 접점을 개방 상태,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폐쇄 상태로 하여 부하에의 비통전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전환 회로를 비통전의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이상(계전 유닛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다음의 구성에서는,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외부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통지부를 설치함으로써, 관리자는 신속하게 이상(계전 유닛의 고장)을 알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은, 1개 이상의 노멀리 오픈 접점과, 1개 이상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노멀리 오픈 접점이 개방 상태이고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비통전 상태로 되고, 노멀리 오픈 접점이 폐쇄 상태이고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되는 전환 회로와, 상기 전환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비통전 상태 시에,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된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여, 이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는 진단 신호를 재송신하고, 또한 재송신된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재검출을 행하고, 이 재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정상이라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재검출을 행함으로써, 앞선 검출 시에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발생한 일시적인 원인(예를 들어, 흔들림)이나 회복 가능한 원인(예를 들어, 이물 혼입)에 의해 이상으로 되는 케이스를 저감시킬 수 있어, 노멀리 클로즈 접점의 모니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시 형태를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적절히 변경한 것이나 그들을 조합하여 얻어지는 것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계전 유닛은, 부하에의 통전 제어가 필요한 기기에 적합하다.
2 제어부
3 전환 회로
5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
6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
7·8 릴레이 코일
10 계전 유닛
21·22 부하
23 부하 전원
24 외부 전원
a1 내지 a4 접점(a 접점)
b1 내지 b4 접점(b 접점)
C1 내지 C4 절연 콘덴서

Claims (17)

1개 이상의 노멀리 오픈 접점 및 1개 이상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노멀리 오픈 접점이 개방 상태이고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비통전 상태로 되고, 노멀리 오픈 접점이 폐쇄 상태이고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되는 전환 회로와, 상기 전환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통전 상태 시에,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된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여, 이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는, 진단 신호를 재송신하고, 또한 재송신된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재검출을 행하고, 이 재검출의 결과가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정상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계전 유닛.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신호는 펄스 신호이며, 상기 소정 조건이란, 주기에 대하여, 주기의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상한 역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신호는 펄스 신호이며, 상기 소정 조건이란,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에 대하여,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상한 역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신호는 펄스 신호이며, 상기 소정 조건이란, 주기에 대해서는, 주기의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상한 역치 이하이며,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하한 역치 이상이고 또한 그 상한 역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상이라고 판단했을 때에, 노멀리 오픈 접점을 폐쇄 상태,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개방 상태로 하여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일단 개방 상태로 하고 나서 폐쇄 상태로 하는 개폐 동작을 행하게 한 후에 상기 재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동작을 소정 횟수 반복시킨 후에 상기 재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동작을 반복시켜 각 개폐 동작 후에 상기 재검출을 행하고, 그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 시점에서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개폐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재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검출 및 재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의 동일한 진단 신호에 의해 상기 검출 및 재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1개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일단 개방 상태로 하고 나서 폐쇄 상태로 하고, 계속해서 다른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일단 개방 상태로 하고 나서 폐쇄 상태로 하고, 그 후에 상기 재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1개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관한 상기 재검출을, 해당 1개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 및 다른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관한 상기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노멀리 오픈 접점을 개방 상태,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폐쇄 상태로 하여 부하에의 비통전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제2항에 있어서,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외부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1개 이상의 노멀리 오픈 접점 및 1개 이상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노멀리 오픈 접점이 개방 상태이고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비통전 상태로 되고, 노멀리 오픈 접점이 폐쇄 상태이고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되는 전환 회로와, 상기 전환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비통전 상태 시에, 상기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된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여, 이 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는, 진단 신호를 재송신하고, 또한 재송신된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재검출을 행하고, 이 재검출의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정상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
KR1020150147925A 2015-02-02 2015-10-23 계전 유닛,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 KR101811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8893A JP6428323B2 (ja) 2015-02-02 2015-02-02 継電ユニット、継電ユニットの制御方法
JPJP-P-2015-018893 2015-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837A true KR20160094837A (ko) 2016-08-10
KR101811925B1 KR101811925B1 (ko) 2017-12-22

Family

ID=5432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925A KR101811925B1 (ko) 2015-02-02 2015-10-23 계전 유닛,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97316B2 (ko)
EP (1) EP3051556B1 (ko)
JP (1) JP6428323B2 (ko)
KR (1) KR101811925B1 (ko)
CN (1) CN1058455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9573B2 (ja) * 2015-02-02 2019-01-30 オムロン株式会社 継電ユニット
CN107291014B (zh) * 2017-07-26 2023-03-24 黑龙江瑞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用继电器控制电路
EP3462471B1 (en) * 2017-09-29 2022-04-13 Rockwell Automation Switzerland GmbH Safety switch
WO2019128662A1 (zh) * 2017-12-27 2019-07-04 上海辰竹仪表有限公司 智能安全继电器及其应用电路
CN110716421B (zh) * 2018-07-11 2023-11-24 兰州大成铁路信号股份有限公司 执行单元切换电路、包括其的电子执行系统和切换方法
JP7099220B2 (ja) * 2018-09-21 2022-07-12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リレーの故障診断装置
JP7006565B2 (ja) * 2018-10-31 2022-01-24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機器、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7172695B2 (ja) * 2019-02-13 2022-11-16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Plc用リレーの故障診断回路
CN111624901B (zh) * 2019-02-28 2024-03-01 施耐德电器工业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
CN112509864B (zh) * 2020-11-06 2024-05-10 联创汽车电子有限公司 继电器控制方法及其控制结构
CN113534003A (zh) * 2021-06-23 2021-10-22 北京航天新立科技有限公司 一种配电器测试方法
CN114531383B (zh) * 2022-03-17 2024-05-03 深圳市三旺通信股份有限公司 轨道车载交换机异常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435A (ja) 1991-08-27 1993-03-05 Mitsubishi Denki Eng Kk 半導体集積回路のパツケージ
EP1202313A1 (de) 2000-10-23 2002-05-02 Safecom Ag Einrichtung in der Sicherheitstechnik zur Kontrolle der Schaltstellung mechanischer Schaltkontakt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435U (ja) 1991-12-26 1993-07-23 サンクス株式会社 出力スイッチの状態検出回路
US5586111A (en) * 1994-09-21 1996-12-17 The Whitaker Corporation In-line test switch for communications network
JPH09293440A (ja) * 1996-04-25 1997-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継電器の制御方法
JP3724207B2 (ja) 1997-09-08 2005-12-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継電器の制御回路
US6621270B2 (en) * 2002-01-11 2003-09-16 San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relay testing
US7522400B2 (en) 2004-11-30 2009-04-21 Robertshaw Controls Company Method of detecting and correcting relay tack weld failures
DE102005014125A1 (de) * 2005-03-22 2006-09-28 Pilz Gmbh & Co. Kg Sicherheitsschaltvorrichtung zum sicheren Abschalten eines elektrischen Verbrauchers
US7298148B2 (en) * 2006-03-02 2007-11-20 Emerson Electric Co. Relay controller
DE102006053397A1 (de) * 2006-11-10 2008-05-15 Cedes Ag Sicherheitsschaltereinrichtung
WO2012128039A1 (ja) 2011-03-22 2012-09-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磁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435A (ja) 1991-08-27 1993-03-05 Mitsubishi Denki Eng Kk 半導体集積回路のパツケージ
EP1202313A1 (de) 2000-10-23 2002-05-02 Safecom Ag Einrichtung in der Sicherheitstechnik zur Kontrolle der Schaltstellung mechanischer Schaltkontak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43563A (ja) 2016-08-08
CN105845503A (zh) 2016-08-10
EP3051556A1 (en) 2016-08-03
KR101811925B1 (ko) 2017-12-22
US20160225561A1 (en) 2016-08-04
JP6428323B2 (ja) 2018-11-28
CN105845503B (zh) 2019-10-18
US9997316B2 (en) 2018-06-12
EP3051556B1 (en)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925B1 (ko) 계전 유닛,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
JP6435891B2 (ja) 継電ユニット、継電ユニットの制御方法
US9053884B2 (en) Safety switching device with universal signal input
CN104101831A (zh) 继电器故障检测系统
KR101785160B1 (ko) 계전 유닛 및 계전 회로의 제어 방법
US9952286B2 (en) Power-supply control device and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US7304406B2 (en) Control device for safety-critical components and corresponding method
JP2020134157A (ja) Plc用リレーの故障診断回路
CN109585219B (zh) 安全开关
US11355297B2 (en) Safety-related switching device
US10978987B2 (en) Motor drive device
CN109417000B (zh) 用于消耗器的故障安全断开的装置
CN108203029B (zh) 升降机控制装置以及升降机控制方法
CN107589733B (zh) 控制器诊断信号生成、故障保护及功能安全的方法、系统
WO20160071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switching circuitry
JP2019192616A (ja) 接続装置、及び制御装置
JP2018092822A (ja) 開閉システム
JPH03256499A (ja) 選択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