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782A -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782A
KR20160094782A KR1020150016238A KR20150016238A KR20160094782A KR 20160094782 A KR20160094782 A KR 20160094782A KR 1020150016238 A KR1020150016238 A KR 1020150016238A KR 20150016238 A KR20150016238 A KR 20150016238A KR 20160094782 A KR20160094782 A KR 20160094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output
moving objec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006B1 (ko
Inventor
신진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006B1/ko
Priority to US15/013,689 priority patent/US10168178B2/en
Publication of KR20160094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는,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정보 확인부와, 상기 이동체의 이동 속도 및 위치에 기초하여 컨텐츠 출력에 대한 안전도 정보를 판별하는 안전도 판별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및 상기 안전도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 {NAVIGATION APPARATUS AND CONTENT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등 이동체의 위치 정보와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또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와,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이동체의 안전도에 따라 수신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과 같은 이동체에 탑재되는 것으로,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하는 위치까지의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네비게이션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 좌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위치 좌표를 바탕으로 이동체의 위치, 진행 방향,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이동 경로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이동 통신 기술과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발달로 인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에서 여러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장치는 역시 단독형 H/W의 시대를 지나 휴대 단말에 탑재된 S/W의 형태로 진화 되게 되었다.
휴대 단말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휴대 단말의 이동 통신 기능과 결합하여, 주변 실시간 교통 정보와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 설정 등 네비게이션 기능이 더욱 강화 되었을 뿐만 아니라, 광고, 뉴스, DMB 등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들이 네비게이션 상에서 출력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탑재한 휴대 단말을 통해 여러 형태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게 되었으나, 네비게이션은 차량의 운전 중에 활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운전 중에 이와 같은 컨텐츠들을 사용자에게 그대로 노출하는 것은 사고의 위험성이 따른다. 이에 따라, 현재에 휴대 단말에서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S/W들은 최초 네비게이션 S/W를 구동할 때나 목적지에 도착한 이후에 음성 또는 화면 광고를 노출하는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한편,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체의 이동 속도 및 위치에 따라 컨텐츠 출력에 대한 안전도를 측정한 후 안전도에 따라 외부에서 수신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컨텐츠의 노출 빈도를 최대한 높이면서도 운전 중 컨텐츠 시청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정보 확인부; 상기 이동체의 이동 속도 및 위치에 기초하여 컨텐츠 출력에 대한 안전도 정보를 판별하는 안전도 판별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및 상기 안전도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도 판별부는, 상기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확인된 이동체의 위치와 매칭되는 장소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장소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도 정보는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되며, 상기 안전도 판별부는, 상기 예측된 정지 시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등급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도 판별부는, 상기 장소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되는 컨텐츠는 비디오 및 오디오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체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수신되는 컨텐츠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도 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컨텐츠 또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체가 이동 중에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체가 정지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동체의 이동 속도 및 위치에 기초하여 컨텐츠 출력에 대한 안전도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도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도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확인된 이동체의 위치와 매칭되는 장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장소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도 정보는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되며, 상기 안전도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정지 시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등급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장소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되는 컨텐츠는 비디오 및 오디오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체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수신되는 컨텐츠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도 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컨텐츠 또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체가 이동 중에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체가 정지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체의 이동 속도 및 위치에 따라 컨텐츠 출력에 대한 안전도를 측정하여, 외부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로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기능을 안전도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위치의 인접 장소 별로 안전도 등급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장치(100), 컨텐츠 서버(200), 네비게이션 서버(300)를 포함한다.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40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복수의 GPS 위성(400)으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의 분석을 통해 정밀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차량 등 이동체에 부착된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에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은 GPS 수신 기능 및 이동통신망(LTE, WCDMA, Wimax 등) 또는 무선랜(Wi-fi)을 통해 컨텐츠 서버(200)와 네비게이션 서버(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비게이션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간 교통 정보 등과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체의 정지 시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장소에 따라 정지 시간을 예측하는 데, 이 때 인접하는 장소의 종류, 예컨대 교차로, 주유소, 주차장 등에 따라 정지 시간의 예측 결과를 부가 정보로써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의 부가 정보는 각 장소의 좌표로써 지도 상에 포함되어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 등 어플리케이션 설치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푸쉬 방식으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컨텐츠의 예로써, 광고, 뉴스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비디오 및 오디오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디오 및 오디오 컨텐츠는 공지의 다양한 파일 포맷 또는 압축 형식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비디오 및 오디오가 서로 분리되어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출력될 수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서버(200)가 컨텐츠를 네비게이션 장치(100)로 전송하는 시점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단위,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ON/OFF 시점 또는 이동체의 정지 시에 디폴트로 지정된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네비게이션 장치(100)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컨텐츠(예컨대, 인접 상점의 광고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더라도, 현재의 안전도를 고려하여 컨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차량의 운전 중에 활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운전 중에 이와 같은 컨텐츠들을 사용자에게 그대로 노출하는 것은 사고의 위험성이 따른다.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현재 이동 속도와 위치를 고려하여 안전도를 판별한 후, 안전도에 따라 비디오 또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라고 할 수 있는 컨텐츠 출력 제어 기술을 중심으로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위치정보 확인부(160), 안전도 판별부(150), 컨텐츠 수신부(120), 저장부(180) 및 컨텐츠 출력 제어부(170)를 포함하며,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 또는 치환되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을 것이다.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이 무선 통신 기능, 컨텐츠 출력 기능 및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의 설치와 실행이 가능한 공지의 휴대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세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차량 등 이동체 내에 위치하여 동작하고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한다.
즉,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서버(300)로부터 위치 및 경로 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고, 이처럼 수신한 부가 정보를 기반으로 네비게이션 관련 정보(예컨대, 지도, 경로 정보, 주변 정보 등)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및 사운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수신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한다.
즉, 컨텐츠 수신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푸쉬 방식으로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텐츠의 예로써, 광고, 뉴스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수신되는 컨텐츠는 비디오 및 오디오 컨텐츠를 포함하며, 공지의 다양한 파일 포맷 또는 압축 형식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비디오 및 오디오가 서로 분리되어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출력될 수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SOC 형태의 AP(Application Processor)와,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 저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컨텐츠의 출력 제어를 수행하는데, 이는 판별된 안전도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써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위치정보 확인부(160)는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한다.
위치정보 확인부(160)는 GPS 위성(400)으로부터 송신되는 GPS 신호가 수신되면 각 GPS 위성(400)에서 수신된 GPS 신호에 따라 현재 위치 좌표를 판단할 수 있고, 이동체의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이동체의 가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체의 위치는 지도 상에서 좌표로써 추출되며, 이동 속도 판단에 따라 이동체가 현재 이동 중인지 정지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안전도 판별부(150)는 위치정보 확인부(160)에 의해 확인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출력에 대한 안전도 정보를 판별한다.
여기서, 안전도 정보는 컨텐츠를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출력 시 이동체의 운행 중 사용자에게 안전 사고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얼마나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컨텐츠의 출력 여부 또는 출력 형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안전도 정보는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안전도가 높은 순으로 상/중/하 3단계로 구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안전도 판별부(150)는 먼저 이동체가 이동하고 있는 경우 또는 소정 속도 이상(예컨대, 20km/h)으로 이동 중인 경우, 안전도를 하 등급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컨텐츠 수신부(120)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더라도 컨텐츠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차단된 컨텐츠를 저장부(180)에 저장하고, 이 후 이동체가 정지 시에 안전도의 재판단 결과 출력 여부를 결정한 후 컨텐츠의 출력 여부를 제어하며, 출력된 컨텐츠는 저장부(180)에서 삭제한다.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확인된 이동체의 위치와 매칭되는 장소 정보를 확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체의 위치는 지도 상에서 좌표로써 추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지도 정보는 각 좌표 별로 위치하는 장소(교차로, 고속도로, 주유소, 주차장 등)를 매칭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이에,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의 확인된 위치 좌표와 매칭하는(또는 인접하는) 위치 좌표의 장소를 찾고, 해당 장소에서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동체의 위치 좌표가 A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현재 위치가 교차로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B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주차장으로, C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주유소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의 장소 정보가 확인되면, 장소 정보에. 따라 정지 후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한다.
예컨대, 도 3에서 이동체가 교차로인 경우 통상적으로 신호 대기 상태에서 정지한 것으로서 정지 시간이 짧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 장치(100) 상에서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거나 컨텐츠와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조작하는 것은 위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의 현재 장소 정보가 교차로에 해당하는 경우, 안전도를 중 등급으로 판별한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시선을 뺏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디오 컨텐츠 만을 추출하여 사운드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오디오 컨텐츠도 지나치게 자주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바, 소정 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출력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체의 위치 좌표가 도 3에서 B 지점 또는 C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즉, 주차장이나 주유소 등지에서는 차량을 장시간 정차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동체의 정지 시간이 다소 길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화면 시청 및 GUI 조작을 하더라도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안전도 판별부(150)는 안전도를 상 등급으로 판별하고, 제어부(170)는 비디오 컨텐츠 및 오디오 컨텐츠를 각각 디스플레이 형태 및 소리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자는 운전 중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이용하여 음악을 들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광고 등의 오디오 컨텐츠가 자주 노출되는 것은 사용자의 음악 감상을 방해할 수 있는 바, 제어부(170)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 재생 여부를 확인한 후 이 때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통해 어떤 장소에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장소에 따라 안전도 등급을 매긴다. 이를 위해,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지도 상에는 각 좌표 별로 위치하는 장소와 해당 장소의 종류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장소의 종류는 교차로, 고속도로, 주유소, 주차장 등 해당 장소의 일반적 카테고리를 의미하며, 추가적으로 각 장소 별로 정차 예상 시간에 관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각 위치 좌표 장소의 종류, 정차 예상 시간 등의 정보들은 네비게이션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부가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비게이션 서버(300)는 여러 네비게이션 장치(100)로부터 이동체의 정지 시의 위치 좌표 별 정지 시간을 수집할 수 있다. 즉, 각 위치 좌표 별로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수집하여 DB화 한 후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현재 위치 좌표에 맞는 예상 정지 시간을 부가 정보로써 송출하고,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안전도 판별부(150)는 네비게이션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부가 정보를 기초로 안전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에 대해 현재 위치 정보와 이동 속도를 감안하여 안전도를 결정하고, 안전도 등급 따라 전체 출력, 오디오만 출력, 출력 차단 등으로 컨텐츠 출력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컨텐츠의 노출 빈도를 최대한 높이면서도 운전 중 컨텐츠 시청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이상 네비게이션 장치(1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100)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앞서 설명한 네비게이션 장치(1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통해 메모리(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네비게이션 장치(100) 주요 구성인 위치정보 확인부(160), 안전도 판별부(150), 컨텐츠 수신부(120) 및 컨텐츠 출력 제어부(17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는 프로세서(1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위치확인장치(1310), 통신장치(1320), 및 입출력장치(134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확인장치(1310)는 예컨대, 위치 센서를 일컫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위도, 경도 및 고도와 같은 상이한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GPS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확인장치(1310)는 가속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동체의 가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장치(132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132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입출력장치(134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다양한 디스플레이 형태의 네비게이션 관련 정보(예컨대, 지도, 경로 정보, 주변 정보 등) 및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321)에 대한 제어를 담당할 수 있고,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342)에 대한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결국,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위치확인장치(1310) 및 통신장치(132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컨텐츠의 노출 빈도를 최대한 높이면서도 운전 중 컨텐츠 시청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도 4를 참조하여 컨텐츠의 출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100) 내 각 구성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매개로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컨텐츠 수신부(120)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수신부(120)는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푸쉬 방식으로 수신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며, 컨텐츠의 예로써, 광고, 뉴스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수신되는 컨텐츠는 비디오 및 오디오 컨텐츠를 포함하며, 공지의 다양한 파일 포맷 또는 압축 형식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비디오 및 오디오가 서로 분리되어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출력될 수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컨텐츠 수신부(12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20)를 구동함으로써,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광고, 뉴스 등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 컨텐츠 및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위치정보 확인부(160)는 네비게이션 장치(100)가 부착된 또는 탑승된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위치정보 확인부(160)는 위치확인장치(1310)를 통해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 확인부(160)는, 위치확인장치(1310)를 통해 GPS 위성(400)으로부터 송신되는 GPS 신호가 수신되면 각 GPS 위성(400)에서 수신된 GPS 신호에 따라 현재 위치 좌표를 판단되는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체의 위치는 지도 상에서 좌표로써 추출되며, 이동 속도 판단에 따라 이동체가 현재 이동 중인지 정지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확인부(160)는, 위치확인장치(1310)를 통해 센싱되는 이동체의 가속도를 가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위치정보 확인부(16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위치확인장치(1310)를 구동함으로써,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안전도 판별부(150)는 위치정보 확인부(160)에 의해 확인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출력에 대한 안전도 정보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안전도 정보는 컨텐츠를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출력 시 이동체의 운행 중 사용자에게 안전 사고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얼마나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컨텐츠의 출력 여부 또는 출력 형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안전도 정보는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안전도가 높은 순으로 상/중/하 3단계로 구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70)는, 안전도 판별부(150)에 의해 확인되는 안전도 정보에 따라, 입출력장치(1340)를 통해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7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입출력장치(1340)를 구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1341) 및 스피커(1342)를 통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70)가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도 판별부(150)는 먼저 이동체가 이동하고 있는 경우 또는 소정 속도 이상(예컨대, 20km/h)으로 이동 중인 경우, 안전도를 하 등급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컨텐츠 수신부(120)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더라도 컨텐츠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차단된 컨텐츠를 저장부(180)에 저장하고, 이 후 이동체가 정지 시에 안전도의 재판단 결과 출력 여부를 결정한 후 컨텐츠의 출력 여부를 제어하며, 출력된 컨텐츠는 저장부(180)에서 삭제한다.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확인된 이동체의 위치와 매칭되는 장소 정보를 확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체의 위치는 지도 상에서 좌표로써 추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지도 정보는 각 좌표 별로 위치하는 장소(교차로, 고속도로, 주유소, 주차장 등)를 매칭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이에,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의 확인된 위치 좌표와 매칭하는(또는 인접하는) 위치 좌표의 장소를 찾고, 해당 장소에서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동체의 위치 좌표가 A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현재 위치가 교차로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B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주차장으로, C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주유소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의 장소 정보가 확인되면, 장소 정보에 따라 정지 후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한다.
예컨대, 도 3에서 이동체가 교차로인 경우 통상적으로 신호 대기 상태에서 정지한 것으로서 정지 시간이 짧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 장치(100) 상에서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거나 컨텐츠와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조작하는 것은 위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의 현재 장소 정보가 교차로에 해당하는 경우, 안전도를 중 등급으로 판별한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시선을 뺏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입출력장치(1340)를 구동하여 스피커(1342)를 통해 오디오 컨텐츠 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오디오 컨텐츠도 지나치게 자주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바, 소정 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출력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체의 위치 좌표가 도 3에서 B 지점 또는 C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즉, 주차장이나 주유소 등지에서는 차량을 장시간 정차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동체의 정지 시간이 다소 길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화면 시청 및 GUI 조작을 하더라도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안전도 판별부(150)는 안전도를 상 등급으로 판별한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입출력장치(1340)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1341)를 통해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고 스피커(1342)를 통해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자는 운전 중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이용하여 음악을 들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광고 등의 오디오 컨텐츠가 자주 노출되는 것은 사용자의 음악 감상을 방해할 수 있는 바, 제어부(170)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 재생 여부를 확인한 후 이 때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통해 어떤 장소에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장소에 따라 안전도 등급을 매긴다. 이를 위해,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지도 상에는 각 좌표 별로 위치하는 장소와 해당 장소의 종류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장소의 종류는 교차로, 고속도로, 주유소, 주차장 등 해당 장소의 일반적 카테고리를 의미하며, 추가적으로 각 장소 별로 정차 예상 시간에 관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각 위치 좌표 장소의 종류, 정차 예상 시간 등의 정보들은 네비게이션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부가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비게이션 서버(300)는 여러 네비게이션 장치(100)로부터 이동체의 정지 시의 위치 좌표 별 정지 시간을 수집할 수 있다. 즉, 각 위치 좌표 별로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수집하여 DB화 한 후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현재 위치 좌표에 맞는 예상 정지 시간을 부가 정보로써 송출하고,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안전도 판별부(150)는 네비게이션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부가 정보를 기초로 안전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에 대해 현재 위치 정보와 이동 속도를 감안하여 안전도를 결정하고, 안전도 등급 따라 전체 출력, 오디오만 출력, 출력 차단 등으로 컨텐츠 출력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컨텐츠의 노출 빈도를 최대한 높이면서도 운전 중 컨텐츠 시청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방법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고, 이미 설명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이 무선 통신 기능, 컨텐츠 출력 기능 및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의 설치와 실행이 가능한 공지의 휴대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S11).
이 때, 컨텐츠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푸쉬 방식으로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텐츠의 예로써, 광고, 뉴스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컨텐츠 서버(200)는 일정 시간 단위,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ON/OFF 시점 또는 이동체의 정지 시에 디폴트로 지정된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네비게이션 장치(100)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컨텐츠(예컨대, 인접 상점의 광고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이동체의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한다(S12).
이를 위해,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고, 각 GPS 위성에서 수신한 GPS 신호에 따라 현재 위치 좌표를 판단할 수 있는 GPS 모듈과, 이동체의 가속도를 판단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속도 및 위치가 확인되면,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안전도 정보를 판별한다(S13).
여기서, 안전도 정보는 컨텐츠를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출력 시 이동체의 운행 중 사용자에게 안전 사고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얼마나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컨텐츠의 출력 여부 또는 출력 형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안전도 정보는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안전도가 높은 순으로 상/중/하 3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안전도 판별을 위해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확인된 이동체의 위치와 매칭되는 장소 정보를 확인하고, 장소 정보에 따라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체의 위치 좌표가 교차로인 경우 정지 시간이 짧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고, 이동체의 위치 좌표가 주유소 또는 주차장인 경우 장 시간 정지해 있을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장소 정보 및 그에 따른 정지 예상 시간에 따라 안전도의 등급(예컨대, 상/중/하)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지도 상에 각 좌표 별로 위치하는 장소와 해당 장소의 종류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장소의 종류는 교차로, 고속도로, 주유소, 주차장 등 해당 장소의 일반적 카테고리를 의미하며, 추가적으로 각 장소 별로 정차 예상 시간에 관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각 위치 좌표 장소의 종류, 정차 예상 시간 등의 정보들은 네비게이션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부가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비게이션 서버(200)는 여러 네비게이션 장치(100)로부터 이동체의 정지 시의 위치 좌표 별 정지 시간을 수집할 수 있다. 즉, 각 위치 좌표 별로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수집하여 DB화 한 후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현재 위치 좌표에 맞는 예상 정지 시간을 부가 정보로써 송출하고,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부가 정보를 기초로 안전도를 결정할 수 있다.
안전도 정보가 판별되면,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안전도 정보에 따라 수신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한다(S14).
이 때,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안전도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출력을 차단하거나, 오디오 컨텐츠만 출력하거나, 비디오 및 오디오 컨텐츠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먼저, 이동체가 이동하고 있는 경우 또는 소정 속도 이상(예컨대, 20km/h)으로 이동 중인 경우, 안전도는 하 등급으로 판별될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고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차단된 컨텐츠를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고, 이 후 이동체가 정지 하게 되면 안전도의 재판단 결과 출력 여부를 결정한 후 컨텐츠의 출력 여부를 제어하며, 출력된 컨텐츠는 내부 저장소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이동체의 위치가 교차로와 같이 정지 시간이 짧을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에 해당하면, 안전도를 중 등급으로 판별하고, 오디오 컨텐츠 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이동체의 위치가 주유소 또는 주차장과 같이 정지 시간이 길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에 해당하면, 안전도를 상 등급으로 판별하고, 비디오 및 오디오 컨텐츠를 모두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에 대해 현재 위치 정보와 이동 속도를 감안하여 안전도를 결정하고, 안전도 등급 따라 전체 출력, 오디오만 출력, 출력 차단 등으로 컨텐츠 출력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에서 컨텐츠의 노출 빈도를 최대한 높이면서도 운전 중 컨텐츠 시청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의 동작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100) 내 각 구성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매개로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먼저, 컨텐츠 수신부(120)는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S100).
즉, 컨텐츠 수신부(120)는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20)를 통해서,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광고, 뉴스 등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 컨텐츠 및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위치정보 확인부(160)는 네비게이션 장치(100)가 부착된 또는 탑승된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한다(S110).
즉, 위치정보 확인부(160)는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위치확인장치(1310)를 통해서,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 확인부(160)는, 위치확인장치(1310)를 통해 GPS 위성(400)으로부터 송신되는 GPS 신호가 수신되면 각 GPS 위성(400)에서 수신된 GPS 신호에 따라 현재 위치 좌표를 판단되는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체의 위치는 지도 상에서 좌표로써 추출되며, 이동 속도 판단에 따라 이동체가 현재 이동 중인지 정지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확인부(160)는, 위치확인장치(1310)를 통해 센싱되는 이동체의 가속도를 가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위치정보 확인부(16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위치확인장치(1310)를 구동함으로써,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위치정보 확인부(160)는 확인한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안전도 판별부(150)에 알린다(S120).
안전도 판별부(150)는, 위치정보 확인부(160)에 의해 확인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출력에 대한 안전도 정보를 판별한다(S130).
여기서, 안전도 정보는 컨텐츠를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출력 시 이동체의 운행 중 사용자에게 안전 사고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얼마나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컨텐츠의 출력 여부 또는 출력 형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안전도 정보는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안전도가 높은 순으로 상/중/하 3단계로 구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안전도 판별부(150)는, 판별 결과를 제어부(170)에 알린다(S140).
제어부(170)는, 안전도 판별부(150)에 의해 확인되는 안전도 정보에 따라, 입출력장치(1340)를 통해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한다(S150).
즉, 제어부(17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입출력장치(1340)를 구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1341) 및 스피커(1342)를 통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S130~S15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도 판별부(150)는 먼저 이동체가 이동하고 있는 경우 또는 소정 속도 이상(예컨대, 20km/h)으로 이동 중인 경우, 안전도를 하 등급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컨텐츠 수신부(120)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더라도 컨텐츠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차단된 컨텐츠를 저장부(180)에 저장하고, 이 후 이동체가 정지 시에 안전도의 재판단 결과 출력 여부를 결정한 후 컨텐츠의 출력 여부를 제어하며, 출력된 컨텐츠는 저장부(180)에서 삭제한다.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확인된 이동체의 위치와 매칭되는 장소 정보를 확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체의 위치는 지도 상에서 좌표로써 추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지도 정보는 각 좌표 별로 위치하는 장소(교차로, 고속도로, 주유소, 주차장 등)를 매칭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이에,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의 확인된 위치 좌표와 매칭하는(또는 인접하는) 위치 좌표의 장소를 찾고, 해당 장소에서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동체의 위치 좌표가 A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현재 위치가 교차로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B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주차장으로, C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주유소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의 장소 정보가 확인되면, 장소 정보에 따라 정지 후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한다.
예컨대, 도 3에서 이동체가 교차로인 경우 통상적으로 신호 대기 상태에서 정지한 것으로서 정지 시간이 짧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 장치(100) 상에서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거나 컨텐츠와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조작하는 것은 위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안전도 판별부(150)는 이동체의 현재 장소 정보가 교차로에 해당하는 경우, 안전도를 중 등급으로 판별한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시선을 뺏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입출력장치(1340)를 구동하여 스피커(1342)를 통해 오디오 컨텐츠 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오디오 컨텐츠도 지나치게 자주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바, 소정 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출력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체의 위치 좌표가 도 3에서 B 지점 또는 C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즉, 주차장이나 주유소 등지에서는 차량을 장시간 정차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동체의 정지 시간이 다소 길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화면 시청 및 GUI 조작을 하더라도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안전도 판별부(150)는 안전도를 상 등급으로 판별한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입출력장치(1340)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1341)를 통해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고 스피커(1342)를 통해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자는 운전 중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이용하여 음악을 들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광고 등의 오디오 컨텐츠가 자주 노출되는 것은 사용자의 음악 감상을 방해할 수 있는 바, 제어부(170)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 재생 여부를 확인한 후 이 때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제어를 위한 네비게이션 서버를 도시하고 있다.
네비게이션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간 교통 정보 등과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들을 제공한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차량 등 이동체에 부착된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에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은 GPS 수신 기능 및 이동통신망(LTE, WCDMA, Wimax 등) 또는 무선랜(Wi-fi)을 통해 컨텐츠 서버(200)와 네비게이션 서버(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서버(300)로부터 위치 및 경로 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고, 이처럼 수신한 부가 정보를 기반으로 네비게이션 관련 정보(예컨대, 지도, 경로 정보, 주변 정보 등)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및 사운드 형태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고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에 대하여, 컨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주체가 네비게이션 서버(300)인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서버(3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버(300)는, 정보제공부(310), 안전도 판별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3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네비게이션 장치(100)로부터 네비게이션과 관련된 정보가 요청되면, 요청에 따라서, 실시간 교통 정보 등과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관련 정보(예컨대, 지도, 경로 정보, 주변 정보 등)를 네비게이션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정보제공부(310)는, 네비게이션 장치(100)로부터의 요청과 무관하게, 기 설정된 주기시간이 도래할 때마다, 네비게이션 관련 정보(예컨대, 지도, 경로 정보, 주변 정보 등)를 네비게이션 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안전도 판별부(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네비게이션 장치(100)와의 통신을 기반으로, 네비게이션 장치(100)가 부착된 또는 탑승된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안전도 판별부(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서버(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하여,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네비게이션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GPS 위성(400)으로부터 송신되는 GPS 신호가 수신되면 각 GPS 위성(400)에서 수신된 GPS 신호에 따라 현재 위치 좌표를 판단할 수 있고, 이동체의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이동체의 가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체의 위치는 지도 상에서 좌표로써 추출되며, 이동 속도 판단에 따라 이동체가 현재 이동 중인지 정지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서버(300)로부터의 요청 없이도, 주기적으로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네비게이션 서버(3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처럼,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네비게이션 서버(300)로 제공하는 과정은 네비게이션 서버(300)의 개입 없이 네비게이션 장치(100) 자체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기 도래 시마다 네비게이션 서버(300)가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해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요청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안전도 판별부(320)는, 네비게이션 장치(100)로부터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가 확인되면, 확인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출력에 대한 안전도 정보를 판별한다.
여기서, 안전도 정보는 컨텐츠를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출력 시 이동체의 운행 중 사용자에게 안전 사고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얼마나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컨텐츠의 출력 여부 또는 출력 형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안전도 정보는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안전도가 높은 순으로 상/중/하 3단계로 구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330)는, 안전도 판별부(320)에 의해 확인되는 안전도 정보에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30)는, 안전도 판별부(320)에 의해 확인되는 안전도 정보에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의 컨텐츠 출력에 대한 제어신호를 네비게이션 장치(100)로 전달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가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한 컨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도 판별부(320)는, 먼저 이동체가 이동하고 있는 경우 또는 소정 속도 이상(예컨대, 20km/h)으로 이동 중인 경우, 안전도를 하 등급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30)는, 네비게이션 장치(100)가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였더라도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의 컨텐츠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차단된 컨텐츠를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도록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제어한다.
이 후, 제어부(330)는, 네비게이션 장치(100)가 부착된 또는 탑승된 이동체가 정지 시 안전도의 재판단 결과 출력 여부를 결정한 후,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한 컨텐츠 출력 여부를 제어하며, 출력된 컨텐츠는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내부 저장소에서 삭제하도록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제어한다.
안전도 판별부(320)는,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확인된 이동체의 위치와 매칭되는 장소 정보를 확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체의 위치는 지도 상에서 좌표로써 추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지도 정보는 각 좌표 별로 위치하는 장소(교차로, 고속도로, 주유소, 주차장 등)를 매칭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이에, 안전도 판별부(320)는, 이동체의 확인된 위치 좌표와 매칭하는(또는 인접하는) 위치 좌표의 장소를 찾고, 해당 장소에서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동체의 위치 좌표가 A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현재 위치가 교차로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B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주차장으로, C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주유소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안전도 판별부(320)는, 이동체의 장소 정보가 확인되면, 장소 정보에. 따라 정지 후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한다.
예컨대, 도 3에서 이동체가 교차로인 경우 통상적으로 신호 대기 상태에서 정지한 것으로서 정지 시간이 짧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 장치(100) 상에서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거나 컨텐츠와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조작하는 것은 위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안전도 판별부(320)는, 이동체의 현재 장소 정보가 교차로에 해당하는 경우, 안전도를 중 등급으로 판별한다.
이 경우, 제어부(330)는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시선을 뺏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디오 컨텐츠 만을 추출하여 사운드 형태로 출력하도록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오디오 컨텐츠도 지나치게 자주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바, 소정 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출력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체의 위치 좌표가 도 3에서 B 지점 또는 C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즉, 주차장이나 주유소 등지에서는 차량을 장시간 정차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동체의 정지 시간이 다소 길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화면 시청 및 GUI 조작을 하더라도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안전도 판별부(320)는, 안전도를 상 등급으로 판별하고, 제어부(330)는 비디오 컨텐츠 및 오디오 컨텐츠를 각각 디스플레이 형태 및 소리 형태로 출력하도록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자는 운전 중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이용하여 음악을 들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광고 등의 오디오 컨텐츠가 자주 노출되는 것은 사용자의 음악 감상을 방해할 수 있는 바, 제어부(330)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 재생 여부를 확인한 후 이 때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도록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버(3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2000)은, 프로세서(2100),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2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를 통해 메모리(2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2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2210)에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네비게이션 서버(300) 주요 구성인 정보제공부(310), 안전도 판별부(320), 컨텐츠 출력 제어부(33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2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는 프로세서(2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장치(2310)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장치(2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2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메모리(2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서버(3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2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를 매개로 통신장치(132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컨텐츠의 노출 빈도를 최대한 높이면서도 운전 중 컨텐츠 시청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도 8을 참조하여 컨텐츠의 출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2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서버(300) 내 각 구성은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를 매개로 프로세서(2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푸쉬 방식으로 수신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며, 컨텐츠의 예로써, 광고, 뉴스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수신되는 컨텐츠는 비디오 및 오디오 컨텐츠를 포함하며, 공지의 다양한 파일 포맷 또는 압축 형식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비디오 및 오디오가 서로 분리되어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출력될 수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제공부(310)는, 통신장치(2310)을 통해, 네비게이션 관련 정보(예컨대, 지도, 경로 정보, 주변 정보 등)를 네비게이션 장치(1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정보제공부(310)는, 네비게이션 장치(100)로부터 네비게이션과 관련된 정보가 요청되면, 실시간 교통 정보 등과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관련 정보(예컨대, 지도, 경로 정보, 주변 정보 등)를 네비게이션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정보제공부(310)는, 네비게이션 장치(100)로부터의 요청과 무관하게, 기 설정된 주기시간이 도래할 때마다, 네비게이션 관련 정보(예컨대, 지도, 경로 정보, 주변 정보 등)를 네비게이션 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결국, 정보제공부(31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통신장치(2310)를 구동함으로써, 네비게이션 관련 정보(예컨대, 지도, 경로 정보, 주변 정보 등)를 네비게이션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안전도 판별부(320)는, 통신장치(2310)을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100)가 부착된 또는 탑승된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안전도 판별부(320)는,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서버(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하여,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네비게이션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GPS 위성(400)으로부터 송신되는 GPS 신호가 수신되면 각 GPS 위성(400)에서 수신된 GPS 신호에 따라 현재 위치 좌표를 판단할 수 있고, 이동체의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이동체의 가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체의 위치는 지도 상에서 좌표로써 추출되며, 이동 속도 판단에 따라 이동체가 현재 이동 중인지 정지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네비게이션 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서버(300)로부터의 요청 없이도, 주기적으로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네비게이션 서버(3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안전도 판별부(320)는, 네비게이션 장치(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제공되는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네비게이션 서버(300)로 제공하는 과정은 네비게이션 서버(300)의 개입 없이 네비게이션 장치(100) 자체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기 도래 시마다 안전도 판별부(320)가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해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요청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안전도 판별부(320)는, 네비게이션 장치(100)로부터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가 확인되면, 확인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출력에 대한 안전도 정보를 판별한다.
여기서, 안전도 정보는 컨텐츠를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출력 시 이동체의 운행 중 사용자에게 안전 사고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얼마나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컨텐츠의 출력 여부 또는 출력 형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결국, 안전도 판별부(32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통신장치(2310)를 구동함으로써,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안전도 정보는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안전도가 높은 순으로 상/중/하 3단계로 구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330)는, 안전도 판별부(320)에 의해 확인되는 안전도 정보에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3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통신장치(2310)를 구동함으로써, 안전도 판별부(320)에 의해 확인되는 안전도 정보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한 컨텐츠 출력 제어신호를 네비게이션 장치(100)로 전달하여,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가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도 판별부(320)는, 먼저 이동체가 이동하고 있는 경우 또는 소정 속도 이상(예컨대, 20km/h)으로 이동 중인 경우, 안전도를 하 등급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30)는, 네비게이션 장치(100)가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였더라도 네비게이션 장치(100)에서의 컨텐츠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차단된 컨텐츠를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도록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제어한다.
이 후, 제어부(330)는, 네비게이션 장치(100)가 부착된 또는 탑승된 이동체가 정지 시 안전도의 재판단 결과 출력 여부를 결정한 후, 네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한 컨텐츠 출력 여부를 제어하며, 출력된 컨텐츠는 네비게이션 장치(100)의 내부 저장소에서 삭제하도록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제어한다.
안전도 판별부(320)는,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확인된 이동체의 위치와 매칭되는 장소 정보를 확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체의 위치는 지도 상에서 좌표로써 추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지도 정보는 각 좌표 별로 위치하는 장소(교차로, 고속도로, 주유소, 주차장 등)를 매칭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이에, 안전도 판별부(320)는, 이동체의 확인된 위치 좌표와 매칭하는(또는 인접하는) 위치 좌표의 장소를 찾고, 해당 장소에서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동체의 위치 좌표가 A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현재 위치가 교차로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B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주차장으로, C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주유소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안전도 판별부(320)는, 이동체의 장소 정보가 확인되면, 장소 정보에. 따라 정지 후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한다.
예컨대, 도 3에서 이동체가 교차로인 경우 통상적으로 신호 대기 상태에서 정지한 것으로서 정지 시간이 짧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 장치(100) 상에서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하거나 컨텐츠와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조작하는 것은 위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안전도 판별부(320)는, 이동체의 현재 장소 정보가 교차로에 해당하는 경우, 안전도를 중 등급으로 판별한다.
이 경우, 제어부(330)는 비디오 컨텐츠를 출력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시선을 뺏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디오 컨텐츠 만을 추출하여 사운드 형태로 출력하도록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오디오 컨텐츠도 지나치게 자주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바, 소정 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출력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체의 위치 좌표가 도 3에서 B 지점 또는 C 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즉, 주차장이나 주유소 등지에서는 차량을 장시간 정차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동체의 정지 시간이 다소 길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화면 시청 및 GUI 조작을 하더라도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안전도 판별부(320)는, 안전도를 상 등급으로 판별하고, 제어부(330)는 비디오 컨텐츠 및 오디오 컨텐츠를 각각 디스플레이 형태 및 소리 형태로 출력하도록 네비게이션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에 따르면, 컨텐츠의 노출 빈도를 최대한 높이면서도 운전 중 컨텐츠 시청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네비게이션 장치
120: 컨텐츠 수신부
150: 안전도 판별부
160: 위치정보 확인부
170: 제어부
180: 저장부

Claims (12)

  1.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정보 확인부;
    상기 이동체의 이동 속도 및 위치에 기초하여 컨텐츠 출력에 대한 안전도 정보를 판별하는 안전도 판별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및
    상기 안전도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 판별부는,
    상기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확인된 이동체의 위치와 매칭되는 장소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장소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 정보는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되며,
    상기 안전도 판별부는,
    상기 예측된 정지 시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등급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 판별부는,
    상기 장소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컨텐츠는 비디오 및 오디오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체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수신되는 컨텐츠의 출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도 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컨텐츠 또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이동 중에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체가 정지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8.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및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동체의 이동 속도 및 위치에 기초하여 컨텐츠 출력에 대한 안전도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도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체가 정지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확인된 이동체의 위치와 매칭되는 장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장소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체의 정지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 정보는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되며,
    상기 안전도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정지 시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등급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컨텐츠는 비디오 및 오디오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체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수신되는 컨텐츠의 출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도 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컨텐츠 또는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50016238A 2015-02-02 2015-02-02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 KR102403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38A KR102403006B1 (ko) 2015-02-02 2015-02-02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
US15/013,689 US10168178B2 (en) 2015-02-02 2016-02-02 Navigation device and content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38A KR102403006B1 (ko) 2015-02-02 2015-02-02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782A true KR20160094782A (ko) 2016-08-10
KR102403006B1 KR102403006B1 (ko) 2022-05-27

Family

ID=5655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238A KR102403006B1 (ko) 2015-02-02 2015-02-02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68178B2 (ko)
KR (1) KR102403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8220B2 (en) * 2016-09-12 2019-11-26 Telenav, Inc. Navigation system with device oper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19019179A1 (zh) * 2017-07-28 2019-01-31 广东兴达顺科技有限公司 一种广告播放方法及车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474B1 (ko) * 2005-10-26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행 중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처리하는 방법
JP2012093297A (ja) * 2010-10-28 2012-05-17 Clario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4175B2 (en) * 2009-02-27 2015-10-20 Blackberry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notification-based mobile device navigation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KR20100106864A (ko) * 2009-03-24 2010-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WO2012089284A2 (en) * 2010-12-31 2012-07-05 Tomtom Belgium Nv Method of communicating content to a user, mobile computing apparatus, and content delivery system
KR101972089B1 (ko) * 2012-05-15 2019-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474B1 (ko) * 2005-10-26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행 중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처리하는 방법
JP2012093297A (ja) * 2010-10-28 2012-05-17 Clario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68178B2 (en) 2019-01-01
US20160223353A1 (en) 2016-08-04
KR102403006B1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8114B1 (en) Providing insurance discounts based upon usage of telematics data-based risk mitigation and prevention functionality
KR101704567B1 (ko) 차량 연동 앱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09151720A (ja) 道路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道路交通情報提供装置、道路交通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109694A1 (en) Vehicle assignment system and method
US10890456B2 (en) Vehicle and method of providing route guidance using public transportation
US8358221B2 (en) Vehicle-mounted device, output propriety judgment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KR20160094782A (ko)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
KR101631748B1 (ko) 돌발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
JP5056330B2 (ja) 道路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道路交通情報提供装置、道路交通情報提供方法
KR20160112137A (ko)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JP2007264878A (ja) バス位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バス位置管理システムの位置情報送受信方法。
US20230048622A1 (en) Providing insurance discounts based upon usage of telematics data-based risk mitigation and prevention functionality
KR20160126296A (ko) 경로안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46532A (ko) 중복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내비게이션 단말기
JP5992837B2 (ja) 走行支援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通知制御装置
KR102172101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20067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251217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4698699B2 (ja) 路車間情報通信処理車載装置
KR20170048836A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49159A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50122A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272162B2 (ja) 出口案内システム及び出口案内方法
JP2015159382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バッファ制御方法
KR20210050218A (ko) 차량이벤트공유장치 및 차량이벤트공유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