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137A -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12137A KR20160112137A KR1020150037272A KR20150037272A KR20160112137A KR 20160112137 A KR20160112137 A KR 20160112137A KR 1020150037272 A KR1020150037272 A KR 1020150037272A KR 20150037272 A KR20150037272 A KR 20150037272A KR 20160112137 A KR20160112137 A KR 201601121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positioning
- position measurement
- area
- positioning are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즉,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2 이상의 측위 영역 중, 단말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위치 측정에 따른 단말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다수의 측위 영역 중, 단말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의 경우,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된 위치를 고려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경우, 프로그램 내지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단말의 백 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지정된 주기 혹은 필요에 따라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여 이를 서비스 주체에게 보고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헌데,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는 단말의 위치 확인이 빈번하게 요구되는 경우가 있는 데, 이 경우 서비스 클라언트에서는 위 요구 시마다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게 되어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가속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다수의 측위 영역 중, 단말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위치 측정에 따른 단말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를 함께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2 이상의 측위 영역 중 상기 단말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특정 측위 영역이 판별되는 경우,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위 방식은, 상기 위치 측정에 따른 상기 단말에서의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측위 영역 각각에 상이하게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측정은,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을 기초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과 무관하게, 상기 2 이상의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 중 상기 전력 소모량이 가장 적은 특정 측위 방식으로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2 이상의 측위 영역 중 상기 단말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판별단계; 및 상기 특정 측위 영역이 판별되는 경우,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위 방식은, 상기 위치 측정에 따른 상기 단말에서의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측위 영역 각각에 상이하게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측정은,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을 기초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과 무관하게, 상기 2 이상의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 중 상기 전력 소모량이 가장 적은 특정 측위 방식으로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다수의 측위 영역 중, 단말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위치 측정에 따른 단말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환경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별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환경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별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환경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서비스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환경에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SA)과, 상기 서비스 영역(SA) 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말(100)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영역(SA)은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영역을 일컫는 것으로서, 위치 기반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전파 수신 가능 지역이라면 그 영역 크기에 있어서 제한은 따르지 않게 된다.
단말(100)은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위치 확인이 요구되는 경우에, 서비스 영역(SA) 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여 이를 서비스 주체(예: 서비스 서버, 도시 안됨)에 전달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PDA, 및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가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위치 측정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에서는 서비스 영역(SA) 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여 이를 서비스 주체(도시안됨)에 전달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위 위치 기반 서비스 경우, 예컨대, 프로그램 내지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단말(100)의 백 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지정된 주기 혹은 필요에 따라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여 이를 서비스 주체에게 보고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루어지는 서비스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단말(100)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 데, 이를 위해선 단말(100)에서 짧은 주기마다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를 서비스 주체에게 보고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헌데, 위와 같이 단말(100)에서 짧은 주기마다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여 보고하는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정확도는 향상되는 반면, 단말(100)의 배터리 소모가 가속화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하게 된다.
특히, 단말(100)에서 상대적으로 배터리 소모가 큰 지피에스(GPS) 기반의 측위 방식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빈번하게 확인하는 경우라면, 위 배터리 소모 현상은 더욱더 가속화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결국, 양질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선 단말(100)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100)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단말(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판별부(110), 및 상기 판별된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전술한 위 구성 이외에 단말(100)의 배터리 잔여량을 확인하는 확인부(130), 및 측정된 위치를 서비스 주체(도시안됨)에 보고하는 연동부(1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이상 언급한 판별부(110), 측정부(120), 확인부(130) 및 연동부(140)를 포함하는 단말(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예: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위 구성들을 통해서 단말(100)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를 함께 향상시키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단말(1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에서는 서비스 영역(SA) 내 자신의 위치 측정이 이루어짐을 언급한 바 있다.
여기서, 서비스 영역(SA)은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다수의 측위 영역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서비스 영역(SA)의 외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위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각각에는, 위치 측정에 따른 단말(100)에서의 전력 소모량과 상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를 함께 고려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되게 된다.
여기서, 서비스 영역(SA)의 가장 외곽에 위치한 제1 측위 영역(SA1)의 경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중심에 위치하는 다른 측위 영역보다 낮게 요구됨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제1 측위 영역(SA1)에는 위치 측정 정확도는 낮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이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영역(SA)의 중간에 위치한 제2 측위 영역(SA2)의 경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외곽에 위치한 측위 영역보다 다소 높게 요구됨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제2 측위 영역(SA2)에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보다 높은 위치 측정 정확도와, 다소 큰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 기반 측위 방식이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영역(SA)의 중심에 위치한 제3 측위 영역(SA3)의 경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다른 측위 영역보다 가장 높게 요구됨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영역(SA)의 중심에 위치한 제3 측위 영역(SA3)의 경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가장 높으며, 전력 소모량 또한 가장 큰 지피에스(GPS) 기반 측위 방식이 지정될 수 있다.
결국 이하에서는 서비스 영역(SA) 내 구분된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각각에 순차적으로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 기반 측위 방식 및 지피에스(GPS) 기반 측위 방식이 지정되어 있음을 전제로 단말(100) 내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판별부(110)는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별부(110)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단말(100)의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중 단말(100)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게 된다.
이때, 판별부(110)는 단말(100)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기 위해 측정부(120)로 하여금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서의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100)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동작은, 단말(100)에 대한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마다 반복된다.
이에, 판별부(110)는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단말(10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측정부(120)로 하여금 예컨대, 위치 측정 정확도는 낮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결국, 판별부(110)는 측정부(120)를 통해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100)의 위치가 측정되면, 측정된 위치가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하게 된다.
이상, 판별부(110)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을 요약하면,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을 확인하는 시점 확인 동작, 측정부(120)에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어 동작, 및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판별 동작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판별부(110)의 구성은 위 구분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모듈을 구비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판별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을 확인하는 시점 확인 모듈(110), 측정부(120)에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어 모듈(120), 및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판별 모듈(1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측정부(120)는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판별되면, 판별된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을 통해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1 측위 영역(SA1)인 경우,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 정확도는 낮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만약,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2 측위 영역(SA2)인 경우, 측정부(120)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보다 높은 위치 측정 정확도와, 다소 큰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3 측위 영역(SA3)인 경우,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가장 높으며, 전력 소모량 또한 가장 큰 지피에스(GPS)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확인부(130)에서는 측정부(120)에서 위치 측정을 수행함에 앞서, 단말(100)의 배터리 잔여량을 확인하게 되며, 확인된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이상(충분한 경우)인 경우에만, 측정부(120)로 하여금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 측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만약, 확인부(130)는 확인된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측정부(120)로 하여금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과 무관하게, 가장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위치를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고갈을 방지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게 된다.
결국,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에 따라 위치 측정 정확도 및 전력 소모량이 서로 다른 상이한 측위 방식을 선택하여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함에 따라, 단말(100)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연동부(140)는 단말(100)의 위치를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동부(140)는 단말(100)에 대한 위치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된 단말(100)의 위치를 서비스 주체(도시안됨)에 보고함으로써, 서비스 주체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가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상 설명한 단말(1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앞서 설명한 단말(1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통해 메모리(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100) 내 각 구성인 판별부(110), 측정부(120), 확인부(130) 및 연동부(14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OS: 150)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150, 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는 프로세서(1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위치확인장치(1310), 통신장치(1320), 전원관리장치(1330), 및 입출력장치(134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확인장치(1310)는 예컨대, 위치 센서를 일컫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위도, 경도 및 고도와 같은 상이한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이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통신장치(132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132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원관리장치(1330)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동작 전원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동작 전원으로서 배터리가 적용됨에 따라, 위 전원관리장치(1300)는 배터리의 잔여량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입출력장치(134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다양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321)에 대한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결국,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위치확인장치(1310), 통신장치(1320), 및 전원관리장치(133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를 함께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도 4를 참조하여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100) 내 각 구성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매개로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판별부(110)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별부(110)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단말(100)의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중 단말(100)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게 된다.
이때, 측정부(120)에서는 단말(10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컨대, 위치 측정 정확도는 낮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결국, 측정부(12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20)를 구동함으로써,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이로써, 판별부(110)는 측정부(120)를 통해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100)의 위치가 측정되면, 측정된 위치가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하게 된다.
측정부(120)는 위치확인장치(1310) 또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판별되면, 판별된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을 통해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1 측위 영역(SA1)인 경우, 측정부(12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20)를 구동함으로써 위치 측정 정확도는 낮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만약,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2 측위 영역(SA2)인 경우, 측정부(12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20)를 구동함으로써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보다 높은 위치 측정 정확도와, 다소 큰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3 측위 영역(SA3)인 경우, 측정부(12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위치확인장치(1310)를 구동함으로써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가장 높으며, 전력 소모량 또한 가장 큰 지피에스(GPS)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확인부(130)에서는 측정부(120)에서 위치 측정을 수행함에 앞서, 단말(100)의 배터리 잔여량을 확인하게 되며, 확인된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이상(충분한 경우)인 경우에만, 측정부(120)로 하여금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 측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확인부(13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전원관리장치(1330)를 구동함으로써, 배터리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확인부(130)는 확인된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측정부(120)로 하여금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과 무관하게, 가장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위치를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고갈을 방지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게 된다.
결국,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에 따라 위치 측정 정확도 및 전력 소모량이 서로 다른 상이한 측위 방식을 선택하여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함에 따라, 단말(100)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연동부(140)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단말(100)의 위치를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동부(140)는 단말(100)에 대한 위치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된 단말(100)의 위치를 서비스 주체(도시안됨)에 보고함으로써, 서비스 주체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가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연동부(14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20)를 구동함으로써 측정된 단말(100)의 위치를 서비스 주체(도시안됨)에 보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다수의 측위 영역 중, 단말(100)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 대한 위치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단말(100)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방법을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별부(110)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단말(100)의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중 단말(100)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한다(S110-S120).
이때, 판별부(110)는 단말(100)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기 위해 측정부(120)로 하여금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서의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100)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동작은, 단말(100)에 대한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마다 반복되는 데, 측정부(120)에서는 판별부(1 단말(10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컨대, 위치 측정 정확도는 낮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결국, 판별부(110)는 측정부(120)를 통해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100)의 위치가 측정되면, 측정된 위치가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하게 된다.
한편, 확인부(130)에서는 측정부(120)에서 위치 측정을 수행함에 앞서, 단말(100)의 배터리 잔여량을 확인하게 되며, 확인된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이상(충분한 경우)인 경우에만, 측정부(120)로 하여금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 측정을 수행하도록 한다(S130).
만약, 확인부(130)는 확인된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측정부(120)로 하여금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과 무관하게, 가장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위치를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고갈을 방지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측정부(120)는 앞선 단계 S120 및 S130을 통해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되고,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판별된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을 통해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한다(S140-S150, S170).
이때,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1 측위 영역(SA1)인 경우,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 정확도는 낮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만약,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2 측위 영역(SA2)인 경우, 측정부(120)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보다 높은 위치 측정 정확도와, 다소 큰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3 측위 영역(SA3)인 경우,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가장 높으며, 전력 소모량 또한 가장 큰 지피에스(GPS)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결국,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에 따라 위치 측정 정확도 및 전력 소모량이 서로 다른 상이한 측위 방식을 선택하여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함에 따라, 단말(100)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측정부(120)는 앞선 단계 S120 및 S130을 통해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되고,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과 무관하게, 가장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위치를 측정한다(S140, S160-S170).
이후, 연동부(140)는 단말(100)에 대한 위치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된 단말(100)의 위치를 서비스 주체(도시안됨)에 보고함으로써, 서비스 주체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가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S18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의 동작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100) 내 각 구성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매개로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먼저, 판별부(110)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단말(100)의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중 단말(100)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한다(S210-S250).
이때, 측정부(12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20)를 구동함으로써,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100)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동작은, 단말(100)에 대한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마다 반복된다.
이에, 측정부(120)에서는 단말(10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컨대, 위치 측정 정확도는 낮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결국, 판별부(110)는 측정부(120)를 통해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100)의 위치가 측정되면, 측정된 위치가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하게 된다.
그런 다음, 측정부(120)는 판별부(110)로부터 측위 영역 판별 결과가 수신되는 경우, 위치 측정에 앞서, 확인부(130)로 하여금 단말(100)의 배터리 잔여량을 확인하게 한다(S260-S280).
이때, 확인부(13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전원관리장치(1330)를 구동함으로써, 배터리 잔여량을 확인하게 된다.
그런 다음, 확인부(130)는 배터리 잔여량을 확인 결과를 측정부(120)에 전달하여, 측정부(120)에서 확인된 배터리 잔여량에 따라 위치 측정이 수행되게 한다(S290).
이때, 확인부(230)는 확인된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이상(충분한 경우)인 경우에만, 측정부(120)로 하여금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 측정을 수행하도록 하며, 만약 확인된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측정부(120)로 하여금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과 무관하게, 가장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위치를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고갈을 방지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되고,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판별된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을 통해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한다(S300).
이때,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1 측위 영역(SA1)인 경우,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 정확도는 낮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측정부(12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20)를 구동함으로써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만약,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2 측위 영역(SA2)인 경우, 측정부(120)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보다 높은 위치 측정 정확도와, 다소 큰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측정부(120)는 위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과 마찬가지로,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20)를 구동함으로써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3 측위 영역(SA3)인 경우,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가장 높으며, 전력 소모량 또한 가장 큰 지피에스(GPS)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측정부(12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위치확인장치(1310)를 구동함으로써 전력 소모량 또한 가장 큰 지피에스(GPS)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결국,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에 따라 위치 측정 정확도 및 전력 소모량이 서로 다른 상이한 측위 방식을 선택하여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함에 따라, 단말(100)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되고,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과 무관하게, 가장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이 역시, 측정부(12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20)를 구동함으로써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이후, 연동부(140)는 단말(100)에 대한 위치 측정이 완료되어 그 결과가 측정부(12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단말(100)의 위치를 서비스 주체(도시안됨)에 보고함으로써, 서비스 주체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가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S310-S320).
이때, 연동부(14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20)를 구동함으로써 측정된 단말(100)의 위치를 서비스 주체(도시안됨)에 보고(전송)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다수의 측위 영역 중, 단말(100)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 대한 위치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단말(100)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서비스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환경에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SA)과, 상기 서비스 영역(SA) 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말(200)과 단말(200)에서 이루어지는 위치 측정 동작을 제어하는 서비스장치(300)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영역(SA)은 단말(2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영역을 일컫는 것으로서, 위치 기반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전파 수신 가능 지역이라면 그 영역 크기에 있어서 제한은 따르지 않게 된다.
단말(200)은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위치 확인이 요구되는 경우에, 서비스 영역(SA) 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여 서비스 주체인 서비스장치(300)에 전달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PDA, 및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가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위치 측정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장치(300)는 단말(200)에 대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일컫는 것으로서, 단말(200)에 제공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에는, 예컨대, 날씨 서비스, 길안내 서비스, 광고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200)에서는 서비스 영역(SA) 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여 이를 서비스장치(300)에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앞서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위 위치 기반 서비스 경우, 예컨대, 프로그램 내지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단말(100)의 백 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지정된 주기 혹은 필요에 따라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여 이를 서비스 주체에게 보고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루어지는 서비스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단말(200)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 데, 이를 위해선 단말(200)에서 짧은 주기마다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를 서비스 주체에게 보고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처럼, 단말(200)에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에 대한 보고 과정은 서비스장치(300)의 개입 없이 단말(200) 자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기 도래 시마다 서비스장치(300)가 단말(200)에 대해 위치 정보의 확인 및 보고를 요청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헌데, 위와 같이 서비스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단말(100)에서 짧은 주기마다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여 보고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정확도는 향상되는 반면, 단말(100)의 배터리 소모가 가속화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하게 된다.
결국, 양질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선 위치 측정에 따른 단말(200)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위치 측정에 따른 단말(200)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서비스장치(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는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하는 확인부(310), 단말(2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판별부(320), 및 단말(200)에서 상기 판별된 측위 영역에 지정되어 있는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를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는 구설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이상 언급한 확인부(310), 판별부(32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서비스장치(3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예: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는 위 구성들을 통해서 단말(200)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를 함께 향상시키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3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에서는 서비스 영역(SA) 내 자신의 위치 측정이 이루어짐을 언급한 바 있다.
여기서, 서비스 영역(SA)은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다수의 측위 영역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비스 영역(SA)의 외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위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각각에는, 위치 측정에 따른 단말(100)에서의 전력 소모량과 상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를 함께 고려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되게 된다.
여기서, 서비스 영역(SA)의 가장 외곽에 위치한 제1 측위 영역(SA1)의 경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중심에 위치하는 다른 측위 영역보다 낮게 요구됨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제1 측위 영역(SA1)에는 위치 측정 정확도는 낮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이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영역(SA)의 중간에 위치한 제2 측위 영역(SA2)의 경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외곽에 위치한 측위 영역보다 다소 높게 요구됨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제2 측위 영역(SA2)에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보다 높은 위치 측정 정확도와, 다소 큰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 기반 측위 방식이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영역(SA)의 중심에 위치한 제3 측위 영역(SA3)의 경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다른 측위 영역보다 가장 높게 요구됨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영역(SA)의 중심에 위치한 제3 측위 영역(SA3)의 경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가장 높으며, 전력 소모량 또한 가장 큰 지피에스(GPS) 기반 측위 방식이 지정될 수 있다.
결국, 이하에서는 서비스 영역(SA) 내 구분된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각각에 순차적으로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 기반 측위 방식 및 지피에스(GPS) 기반 측위 방식이 지정되어 있음을 전제로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
확인부(310)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310)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단말(200)에서의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확인부(310)는 예컨대, 단말(200)이 현재 접속중인, 이동통신 셀(Cell)의 기지국을 확인하거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의 액세스 포인트(AP)를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 밖에, 확인부(310)는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함에 있어서,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과 근접한 시점에 단말(200)에서 이루어진 결제 정보가 추가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단말(200)을 이용한 결제가 이루어지는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를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200)의 위치로서 간주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판별부(320)는 단말(2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별부(320)는 확인부(310)를 통해 단말(200)의 위치가 확인되면, 확인된 위치가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하게 된다.
제어부(330)는 단말(200)에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판별부(320)에서 단말(2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판별되면, 단말(200)로 하여금 판별된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을 통해 위치를 측정하고, 이를 보고하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1 측위 영역(SA1)인 경우, 위치 측정 정확도는 낮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위치를 측정하게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단말(200)에 전달하게 된다.
만약,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2 측위 영역(SA2)인 경우, 측정부(120)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보다 높은 위치 측정 정확도와, 다소 큰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위치를 측정하게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단말(200)에 전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3 측위 영역(SA3)인 경우,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가장 높으며, 전력 소모량 또한 가장 큰 지피에스(GPS)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위치를 측정하게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단말(200)에 전달하게 된다.
결국, 제어부(330)는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200)이 속한 측위 영역에 따라 위치 측정 정확도 및 전력 소모량이 서로 다른 상이한 측위 방식을 선택하여 단말(100)에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단말(200)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서비스장치(3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앞서 설명한 서비스장치(3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2000)은, 프로세서(2100),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2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를 통해 메모리(2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2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2210)에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서비스장치(300) 내 각 구성인 확인부(310), 판별부(320), 및 제어부(33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OS: 150)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150, 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2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는 프로세서(2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장치(231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치(2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2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메모리(2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장치(3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2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를 매개로 통신장치(231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위단말(200)에서 이루어지는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를 함께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도 9를 참조하여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2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장치(300) 내 각 구성은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를 매개로 프로세서(2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확인부(310)는 통신장치(2310)를 통해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310)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단말(200)에서의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확인부(31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통신장치(2310)를 구동함으로써, 단말(200)이 현재 접속중인, 이동통신 셀(Cell)의 기지국을 확인하거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의 액세스 포인트(AP)를 확인하여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판별부(320)는 단말(2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별부(320)는 확인부(310)를 통해 단말(200)의 위치가 확인되면, 확인된 위치가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하게 된다.
제어부(330)는 통신장치(2310)를 통해 단말(200)에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판별부(320)에서 단말(2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판별되면, 단말(200)로 하여금 판별된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을 통해 위치를 측정하고, 이를 보고하도록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33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통신장치(2310)를 구동함으로써, 단말(200)의 위치 측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단말(200)에 전달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다수의 측위 영역 중, 단말(100)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단말(100)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방법을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확인부(310)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단말(200)에서의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한다(S410-S420).
이때, 확인부(310)는 예컨대, 단말(200)이 현재 접속중인, 이동통신 셀(Cell)의 기지국을 확인하거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의 액세스 포인트(AP)를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 밖에, 확인부(310)는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함에 있어서,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과 근접한 시점에 단말(200)에서 이루어진 결제 정보가 추가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단말(200)을 이용한 결제가 이루어지는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를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200)의 위치로서 간주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판별부(320)는 확인부(310)를 통해 단말(200)의 위치가 확인되면, 확인된 위치가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한다(S430).
이후, 제어부(330)는 판별부(320)에서 단말(2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판별되면, 단말(200)로 하여금 판별된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을 통해 위치를 측정하고, 이를 보고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단말(200)에 전달한다(S440-S450).
예를 들어,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1 측위 영역(SA1)인 경우, 위치 측정 정확도는 낮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위치를 측정하게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단말(200)에 전달하게 된다.
만약,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2 측위 영역(SA2)인 경우, 측정부(120)는 이동통신 셀(Cell) 기반 측위 방식보다 높은 위치 측정 정확도와, 다소 큰 전력 소모량이 요구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위치를 측정하게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단말(200)에 전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이 제3 측위 영역(SA3)인 경우, 측정부(120)는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가 가장 높으며, 전력 소모량 또한 가장 큰 지피에스(GPS) 기반 측위 방식을 통해서 위치를 측정하게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단말(200)에 전달하게 된다.
결국, 제어부(330)는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200)이 속한 측위 영역에 따라 위치 측정 정확도 및 전력 소모량이 서로 다른 상이한 측위 방식을 선택하여 단말(100)에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단말(200)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각 구성의 동작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2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장치(300) 내 각 구성은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를 매개로 프로세서(2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먼저, 확인부(310)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단말(200)에서의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한다(S510-S520).
이때, 확인부(31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통신장치(2310)를 구동함으로써, 단말(200)이 현재 접속중인, 이동통신 셀(Cell)의 기지국을 확인하거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의 액세스 포인트(AP)를 확인하여 서비스 영역(SA) 내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판별부(320)는 확인부(310)로부터 위치 확인 결과가 수신되면, 확인된 위치가 제1 측위 영역(SA1), 제2 측위 영역(SA2) 및 제3 측위 영역(SA3)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시점에 단말(100)이 속한 측위 영역을 판별한다(S530-S540).
이후, 제어부(330)는 판별부(320)로부터 측위 영역 판별 결과가 수신되면, 단말(200)로 하여금 판별된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을 통해 위치를 측정하고, 이를 보고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단말(200)에 전달한다(S550-S570).
이때, 제어부(33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2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0)를 매개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통신장치(2310)를 구동함으로써, 단말(200)의 위치 측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단말(200)에 전달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다수의 측위 영역 중, 단말(100)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단말(100)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위치 측정의 정확도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 200) 및 서비스장치(300)는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100, 200) 및 서비스장치(300)는 또한 예컨대 이더넷 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예컨대 RS-232 포트와 같은 직렬 통신 장치 및/또는 예컨대 802.11 카드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외부 입출력 장치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입출력 장치는 다른 입출력 장치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장치, 예컨대 키보드, 프린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 200) 및 서비스장치(300)는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단말(100, 200) 및 서비스장치(300)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다수의 측위 영역 중, 단말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
110: 판별부 120: 측정부
130: 확인부 140: 연동부
110: 판별부 120: 측정부
130: 확인부 140: 연동부
Claims (11)
-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2 이상의 측위 영역 중 상기 단말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특정 측위 영역이 판별되는 경우,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방식은,
상기 위치 측정에 따른 상기 단말에서의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측위 영역 각각에 상이하게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은,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을 기초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과 무관하게, 상기 2 이상의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 중 상기 전력 소모량이 가장 적은 특정 측위 방식으로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위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측위 방식이 지정된 2 이상의 측위 영역 중 상기 단말이 속한 특정 측위 영역을 판별하는 판별단계; 및
상기 특정 측위 영역이 판별되는 경우,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방식은,
상기 위치 측정에 따른 상기 단말에서의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위치 측정에 요구되는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측위 영역 각각에 상이하게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은,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을 기초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에 따라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특정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과 무관하게, 상기 2 이상의 측위 영역에 지정된 측위 방식 중 상기 전력 소모량이 가장 적은 특정 측위 방식으로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7272A KR102297167B1 (ko) | 2015-03-18 | 2015-03-18 |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
US15/074,793 US9924307B2 (en) | 2015-03-18 | 2016-03-18 | Terminal for performing position measure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7272A KR102297167B1 (ko) | 2015-03-18 | 2015-03-18 |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2137A true KR20160112137A (ko) | 2016-09-28 |
KR102297167B1 KR102297167B1 (ko) | 2021-09-01 |
Family
ID=5692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7272A KR102297167B1 (ko) | 2015-03-18 | 2015-03-18 |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924307B2 (ko) |
KR (1) | KR10229716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5130B1 (ko) * | 2018-08-31 | 2023-10-05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EP4078089B1 (en) * | 2019-12-18 | 2023-05-24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Localization using sensors that are tranportable with a device |
US11606756B2 (en) | 2021-03-29 | 2023-03-14 | Snap Inc. | Scheduling requests for location data |
WO2022213029A1 (en) * | 2021-03-29 | 2022-10-06 | Snap Inc. | Scheduling requests for location data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59026A (ja) * | 2002-11-06 | 2004-06-03 | Nec Access Technica Ltd |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測位切替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
JP2012021851A (ja) * | 2010-07-13 | 2012-02-02 | Kyocera Corp | 携帯端末及び制御方法 |
KR20120073708A (ko) * | 2010-12-27 | 2012-07-0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단말기 위치측정방법 |
KR20130012323A (ko) * | 2011-07-25 | 2013-02-04 | 김정호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20150026286A (ko) * | 2013-09-02 | 2015-03-11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Family Cites Families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74829A (en) * | 1995-12-12 | 1998-06-30 | Pinterra Corporation | Navigation and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sing uncoordinated beacon signals in conjunction with an absolute positioning system |
US6067045A (en) * | 1998-09-01 | 2000-05-23 |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 Communication network initi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GPS-based positioning |
JP3543773B2 (ja) * | 2001-03-14 | 2004-07-21 | 日本電気株式会社 | セルラ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移動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送信電力制御方法 |
US7146188B2 (en) * | 2003-01-31 | 2006-12-05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requesting photographs |
US8948805B2 (en) * | 2005-08-26 | 2015-02-03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transmit power and timing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
EP1819148A1 (en) * | 2006-02-08 | 2007-08-15 | STMicroelectronics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levels of a video processing device and system |
US8160629B2 (en) * | 2006-09-07 | 2012-04-17 | Airvana, Corp. | Controlling reverse link interference in private access points for wireless networking |
CN101183888B (zh) * | 2006-09-27 | 2012-12-05 | 三星电子株式会社 | 在通信系统中考虑数据功率的调度数据的方法和设备 |
JP2008125940A (ja) * | 2006-11-24 | 2008-06-05 | Aruze Corp | 遊技機 |
US9363770B2 (en) * | 2007-10-05 | 2016-06-07 | Ipcomm | Automatic provisioning of handoff parameters for femtocell |
JP5097615B2 (ja) * | 2008-05-13 | 2012-12-12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 |
JP5239677B2 (ja) * | 2008-09-18 | 2013-07-17 | 富士通株式会社 | 通信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
JP5360888B2 (ja) * | 2009-04-15 | 2013-12-04 |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直流電源システムおよび出力制御方法 |
WO2010120264A1 (en) * | 2009-04-17 | 2010-10-21 | Nokia Corporation | Determining a position of a terminal |
JP5646611B2 (ja) * | 2009-06-17 | 2014-12-24 |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 互いに異なる周波数領域で送信されるチャネルの送信電力制御 |
US8600424B2 (en) * | 2009-06-19 | 2013-12-03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ownlink transmission power in a heterogeneous network |
JP5647418B2 (ja) * | 2009-09-11 | 2014-12-24 | 京セラ株式会社 |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
KR101749992B1 (ko) * | 2009-11-13 | 2017-06-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시간 범위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방법 |
US8199051B2 (en) * | 2009-12-18 | 2012-06-12 | Trueposition, Inc. | Satellite positioning receiver and proxy location system |
JP2012004998A (ja) * | 2010-06-18 | 2012-01-05 | Kyocera Corp |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電源制御方法 |
JP5372887B2 (ja) * | 2010-10-15 | 2013-12-1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ならびに基地局 |
US9585025B2 (en) * | 2011-02-16 | 2017-02-28 | Qualcomm Incorporated | Managing transmit power for better frequency re-use in TV white space |
US9813994B2 (en) * | 2011-02-16 | 2017-11-07 | Qualcomm, Incorporated | Managing transmit power for better frequency re-use in TV white space |
US20130044681A1 (en) * | 2011-02-16 | 2013-02-21 | Qualcomm Incorporated | Managing transmit power for better frequency re-use in tv white space |
CN103918346B (zh) * | 2011-11-07 | 2018-05-22 | Lg电子株式会社 | 在无线通信系统中收发邻居网络信息的方法和设备 |
US9179248B2 (en) * | 2012-03-16 | 2015-11-03 | MCube Inc. | Methods and devices for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regional minimal residual estimation |
US20140111375A1 (en) * | 2012-10-19 | 2014-04-24 | Qualcomm Incorporated | Gnss fine-time assistance over rtt-capable wireless networks |
KR20140079274A (ko) * | 2012-12-18 | 2014-06-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에너지 소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AU2014253684B2 (en) * | 2013-04-18 | 2017-06-15 | Bluedot Innovation Pty Ltd | Reactive hybrid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
CN105556245B (zh) * | 2013-07-25 | 2020-03-06 | 日产自动车株式会社 | 预测能量余量引导系统 |
WO2015013923A1 (zh) * | 2013-07-31 | 2015-02-05 | 华为技术有限公司 | 数据帧的发送、接收方法和装置 |
KR20150142959A (ko) * | 2014-06-12 | 2015-12-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디지털 구동 방법 |
US20160381644A1 (en) * | 2015-06-26 | 2016-12-29 | Qualcomm Incorporated | Technique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a user equipment oper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2015
- 2015-03-18 KR KR1020150037272A patent/KR10229716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3-18 US US15/074,793 patent/US992430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59026A (ja) * | 2002-11-06 | 2004-06-03 | Nec Access Technica Ltd |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測位切替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
JP2012021851A (ja) * | 2010-07-13 | 2012-02-02 | Kyocera Corp | 携帯端末及び制御方法 |
KR20120073708A (ko) * | 2010-12-27 | 2012-07-0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단말기 위치측정방법 |
KR20130012323A (ko) * | 2011-07-25 | 2013-02-04 | 김정호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20150026286A (ko) * | 2013-09-02 | 2015-03-11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위치정보 제공 관리 장치, 그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7167B1 (ko) | 2021-09-01 |
US20160277883A1 (en) | 2016-09-22 |
US9924307B2 (en) | 2018-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09886B2 (ja) | 測位制御装置及び測位制御方法 | |
KR20160112137A (ko) |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 |
US20140300513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 |
JP5202222B2 (ja) | 情報処理システム、携帯情報通信端末、情報処理装置、位置測定方法、情報処理方法、位置測定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
CN111935740A (zh) | 一种测量方法、装置、通信节点及存储介质 | |
KR20130008323A (ko) | 이동 단말의 위치 측위 방법 및 기록 매체 | |
US8874146B2 (en) | Determining geographic zone | |
US9880016B2 (en) | Apparatus for route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70031954A (ko) | 경로안내 기반 컨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US10168178B2 (en) | Navigation device and content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2202368B (zh) | 一种获取网络信息的方法和装置 | |
US20160219456A1 (en) | Mobility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ity service in multi-mobile network environment | |
KR102516380B1 (ko) | 경로안내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10044565B1 (en) | Wireless network interface management on a multi-radio embedded computing device | |
KR102175042B1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10168433B2 (en) | Power conservation via GNSS-wireless activity synchronization | |
KR20170049946A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70141475A (ko) |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251217B1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20200359162A1 (en) | Storage size based offloading of geofence processing | |
JP6722719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 |
KR20170031914A (ko) | 장소 간 연관성 판별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
KR102159096B1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70048838A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174109B1 (ko)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