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846B1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846B1
KR102171846B1 KR1020150146827A KR20150146827A KR102171846B1 KR 102171846 B1 KR102171846 B1 KR 102171846B1 KR 1020150146827 A KR1020150146827 A KR 1020150146827A KR 20150146827 A KR20150146827 A KR 20150146827A KR 102171846 B1 KR102171846 B1 KR 102171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road
route
current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451A (ko
Inventor
이중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8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즉,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어 경로이탈여부 감지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행 중 비 이상적인 경로 재탐색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전한 운전 환경을 제공하고, 불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NAVIGATION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경로이탈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장치(이하, 단말장치)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차량용 네비게이션 전용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단말장치에는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야 하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길안내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
즉,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게 되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에서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기반으로 길안내정보를 생성하여 단말장치로 전달한다. 그러면, 단말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길안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표시된 경로가 아닌 다른 경로로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주행 중인 차량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단말장치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GPS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 위치를 산출하는 과정 등을 수행해야만 차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어 차량 위치를 검출하기까지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되므로 실제의 차량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GPS 신호만을 이용하여 차량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 차량이 GPS 수신 범위를 최종적으로 벗어나는 시점이 되어야만 경로이탈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차량이 고가도로나 지하도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GPS 신호가 미수신 되어 경로이탈여부를 판정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GPS 신호에만 의존하지 않고도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경로이탈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차량의 주행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경로이탈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는, 길안내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상기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부; 상기 도로관련정보와 상기 주행관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도로상에서의 상기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 및 상기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현재도로를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로관련정보는 상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 및 상기 현재도로의 도로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관련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산출부는, 상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시점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시간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로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현재도로의 도로폭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이 상기 현재도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동작방법은, 길안내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상기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단계; 상기 도로관련정보와 상기 주행관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도로상에서의 상기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단계; 및 상기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현재도로를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로관련정보는 상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 및 상기 현재도로의 도로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관련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산출단계는, 상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산출단계는, 상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시점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로제어단계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현재도로의 도로폭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이 상기 현재도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어 경로이탈여부 감지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행 중 비 이상적인 경로 재탐색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전한 운전 환경을 제공하고, 불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여 경로이탈여부를 판단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종래 경로이탈여부를 판단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장치(100), 및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디바이스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디바이스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 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를 구비하며,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 중인 차량의 주행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서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게 하는 길안내매체로는 예컨대, 단말장치(100) 자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에서 길안내매체로서 동작하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수신되는 길안내정보가 단말장치(100)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길안내정보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의도(예: 목적지 또는 출발지 설정)가 반영된 차량의 주행을 위해 제공되는 경로정보를 일컫는다.
참고로, 단말장치(100)에서는 위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관련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이러한 현재 위치 확인은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GPS 신호에만 의존하지 않고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경로이탈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길안내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차량의 주행관련정보에 기초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차량 경로이탈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다.
여기서, 도로관련정보는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 및 현재도로의 도로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주행관련정보는 차량의 주행방향각도,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게 되는 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주행하는 경우, 단말장치(100)는, 경로이탈여부가 판단될 수 있도록 GPS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경로상에 포함된 현재도로에서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제공하게 된다.
즉, 단말장치(100)는, GPS 신호가 미수신 되는 지역인 경우에는 GPS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지 않아도 되며, GPS 신호가 수신되었으나 수신오차범위 내로 수신되어 정확성이 감소하더라도 차량의 위치가 산출되어 경로이탈여부가 판단될 수 있도록,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현재도로에서의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제공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서는, GPS 신호에만 의존하지 않고 현재도로에서 차량의 주행관련정보와 기 저장된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현재도로에서 이탈, 즉 경로이탈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GPS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도 차량의 경로이탈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장치(100) 및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네비게이션기능부(110), 데이터저장부(120) 및 센서부(130)를 포함한다.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단말장치(100)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제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부이다.
이러한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단말장치(100) 내부에 기본으로 탑재된 또는 별도 다운로드 과정을 거쳐 추가로 탑재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이러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내부에 기본으로 탑재된 또는 별도 다운로드 과정을 거쳐 추가로 탑재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단말장치(100)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목적지 검색어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즉,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면,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목적지 검색어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부터 일부 지도데이터로 표시된 길안내정보가 수신(다운로드)되면 수신(다운로드)된 길안내정보를 토대로 목적지 검색어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화면을 출력할 것이다.
이처럼 길안내정보가 네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출력된 후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게 되면,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센서부(130)로부터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에 의해 센싱된 지자기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게 된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지자기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주행방향각도를 산출하고, 이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이때, 지자기 신호에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산출이 가능하도록 주행방향에 대한 변화각도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차량이 제1 방향인 직선 경로로 주행하는 중에 제2 방향으로 우회전하게 되면, 센서부(130)는 차량의 주행방향이 제1 방향에서 우회전하는 제2 방향으로 변화되는 것을 인지하여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의 변화각도정보를 포함하는 지자기 신호를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의 변화각도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길안내 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할 때 실시간으로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주행방향각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센서부(130)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GPS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산출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네비게이션기능부(110)에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산출하여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부터 전송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서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의 주행방향각도,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 등을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즉,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할 때 차량의 주행방향각도,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제공한다.
데이터저장부(120)는,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는, 데이터저장부(12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기본적으로 기 저장되는 또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부터 이전에 기 제공(다운로드)받아 기 저장되는 데이터, 예컨대 도로, 골목, 강, 다리 등과 같이 네비게이션 화면에서 배경이미지가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저장부(120)는, 금번 목적지 검색어 입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제공(다운로드)받은 일부 지도데이터로 표시된 길안내정보가 목적지 검색어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센서들로부터 전달된 신호정보를 수신하고, 필요 시 이를 제공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센서들의 일례로는, GPS 센서,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센서부(130)는, GPS 센서로부터 GPS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후, 센서부(130)는, GPS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 알린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에서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길안내정보가 데이터저장부(120)로부터 출력되도록 하고, 출력된 현재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길안내정보를 네비게이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센서부(130)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로부터 지자기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때, 지자기 신호에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산출이 가능하도록 주행방향에 대한 변화각도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30)는, 지자기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 알린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에서는, 지자기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방향각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사용자단말(1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에서 앞서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염두 해 두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통해 메모리(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인 네비게이션기능부(110), 데이터저장부(120) 및 센서부(13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는 프로세서(1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위치확인장치(1310), 통신장치(1320), 입출력장치(1330) 및 방향확인장치(134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확인장치(1310)는 예컨대,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장치(132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132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133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다양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321)에 대한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한편, 방향확인장치(1340)는, 예컨대, 단말장치(100)의 현재 이동방향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결국,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11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위치확인장치(1310), 통신장치(1320) 및 방향확인장치(134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길안내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차량의 주행관련정보에 기초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차량 경로이탈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단말장치(100)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제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부이다.
이러한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단말장치(100) 내부에 기본으로 탑재된 또는 별도 다운로드 과정을 거쳐 추가로 탑재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이러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내부에 기본으로 탑재된 또는 별도 다운로드 과정을 거쳐 추가로 탑재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단말장치(100)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면, 통신장치(1320)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목적지 검색어를 통신장치(1320)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즉,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면,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목적지 검색어를 통신장치(1320)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부터 일부 지도데이터로 표시된 길안내정보가 수신(다운로드)되면, 입출력장치(133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1331)를 제어함으로써, 수신(다운로드)된 길안내정보를 토대로 목적지 검색어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화면을 출력할 것이다.
이처럼 길안내정보가 네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출력된 후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게 되면,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센서부(130)로부터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에 의해 센싱된 지자기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게 된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지자기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주행방향각도를 산출하고, 이를 통신장치(1320)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이때, 지자기 신호에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산출이 가능하도록 주행방향에 대한 변화각도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차량이 제1 방향인 직선 경로로 주행하는 중에 제2 방향으로 우회전하게 되면, 센서부(130)는 차량의 주행방향이 제1 방향에서 우회전하는 제2 방향으로 변화되는 것을 인지하여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의 변화각도정보를 통신장치(1320)를 통해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의 변화각도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길안내 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할 때 실시간으로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주행방향각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센서부(130)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의 GPS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산출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네비게이션기능부(110)에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산출하여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부터 전송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서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통신장치(1320)를 통해 차량의 주행방향각도,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 등을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즉,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할 때 차량의 주행방향각도,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통신장치(1320)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제공한다.
데이터저장부(120)는,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데이터저장부(12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기본적으로 기 저장되는 또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부터 통신장치(1320)를 통해 이전에 기 제공(다운로드)받아 기 저장되는 데이터, 예컨대 도로, 골목, 강, 다리 등과 같이 네비게이션 화면에서 배경이미지가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저장부(120)는, 금번 목적지 검색어 입력에 따라 통신장치(132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다운로드)받은 일부 지도데이터로 표시된 길안내정보를 입출력장치(133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1331)를 제어함으로써, 목적지 검색어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센서부(130)는,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센서들로부터 전달된 신호정보를 수신하고, 필요 시 이를 제공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센서들의 일례로는, 위치확인장치(1310)인 GPS 센서, 방향확인장치(1340)인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30)는, 위치확인장치(1310)로부터 GPS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후, 센서부(130)는, GPS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 알린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에서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길안내정보가 데이터저장부(120)로부터 출력되도록 하고, 입출력장치(133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1331)를 제어함으로써, 출력된 현재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길안내정보를 네비게이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센서부(130)는, 방향확인장치(1340)로부터 지자기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때, 지자기 신호에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산출이 가능하도록 주행방향에 대한 변화각도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30)는, 지자기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 알린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에서는, 지자기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방향각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신장치(1320)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단말장치(1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추천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을 이어 가지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길안내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부(210), 도로관련정보와 주행관련정보를 이용하여 현재도로상에서의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220) 및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이 현재도로를 이탈, 즉 경로이탈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제어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지도데이터정보 및 지도데이터정보에 포함된 도로관련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2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의 정보확인부(210), 위치산출부(220), 경로제어부(230) 및 데이터저장부(240)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길안내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차량의 주행관련정보에 기초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차량 경로이탈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이 주행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이 주행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를 데이터저장부(240)로부터 검출한다.
이와 관련하여, 데이터저장부(240)에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지도데이터정보를 미리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도데이터정보에 포함된 도로의 진행방향, 도로의 폭 등과 관련된 정보를 도로관련정보로 구분하여 언급하도록 하겠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기 지도데이터정보에 포함된 제1 방향의 도로(RD1)와 제2 방향의 도로(RD2)가 연결되어 도로네트워크(500)를 형성하는데,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상에서는 차량이 위치하는 제1 방향의 현재도로(RD1)로 계속 직진할 것으로 안내하는 경우, 정보확인부(210)는,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RD1)의 제1 방향을 진행방향으로 확인하게 된다.
만일, 차량이 제1 방향의 도로(RD1)가 아닌 제2 방향의 도로(RD2)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는 제2 방향의 도로(RD2)가 될 것이며,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RD2)의 제2 방향을 진행방향으로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가 현재도로(RD1)로 계속 안내되는 것이 확인되면, 정보확인부(210)는, 경로상에서의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RD1)의 진행방향인 제1 방향으로 지속되어 변화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현재도로(RD1)의 진행방향각도는 "0도"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일,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가 제1 방향의 도로(RD1)에서 제2 방향의 도로(RD2)로 안내되는 경우에는, 정보확인부(210)는,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는 도로(RD1)의 진행방향인 제1 방향과 도로(RD2)의 진행방향인 제2 방향 사이의 각도에 상응하는 만큼의 진행방향각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정보확인부(210)는, 기 지도데이터정보로부터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에 대한 도로의 폭을 함께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 정보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현재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즉, 정보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로써, 지자기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된 주행방향각도와, GPS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된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수신한다. 이후, 정보확인부(210)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현재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확인하였음을 위치산출부(220)로 알린다.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현재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이용하여 현재도로상에서의 차량의 위치를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로부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위치산출부(220)는,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로부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검출한다.
이후,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을 산출한다.
즉,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면, 위치산출부(220)는,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상의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것이 아니라 경로를 이탈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과, 차량의 주행속도와 차량의 주행시간을 이용하여 현재도로상에서의 차량의 위치를 산출한다.
즉,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시점, 즉 두 각 사이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하고,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에 기초하여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이탈하고 있는 다른 방향의 도로까지의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5와 같이, 기 지도데이터정보에 포함된 제1 방향의 도로(RD1)와 제2 방향의 도로(RD2)가 연결되어 도로네트워크(500)를 형성하며,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510)상에서는 차량이 위치하는 제1 방향의 현재도로(RD1)로 계속 직진할 것으로 안내하는 경우, 차량이 최초 위치하는 제1 위치(P1)는 제1 방향의 도로(RD1)와 제2 방향의 도로(RD2)가 네트워크로 연결되기 직전 위치로서 동일한 GPS 수신범위(520)에 포함되게 된다.
그러나, 위치산출부(220)는, 차량이 제2 위치(P2), 제3 위치(P3)로 주행하여 점차 좌회전을 시작하게 되는 경우, 동일한 GPS 수신범위(520)에서 GPS 좌표상으로는 같은 좌표상에 위치하게 되지만, 도로(RD1)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시점, 즉 두 각 사이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인 제2 위치(P2)부터 제1 방향의 도로(RD1)가 아닌 제2 방향의 도로(RD2)로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즉, 위치산출부(220)는, 제2 위치(P2)부터 제2 방향의 도로(RD2)로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하고 차량의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에 기초하여 제1 방향의 현재도로(RD1)부터 제2 방향의 도로(RD2)까지의 차량의 위치인 제3 내지 제7 위치(P3-P7)를 산출하여 차량 이동 방향(530)을 확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은,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에서 산출됨에 따라 GPS 신호가 수신되었으나 수신오차범위 내로 수신되어 정확성이 감소하게 되는 경우에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경로이탈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종래 도 6에서와 같이 기 지도데이터정보에 포함된 제1 방향의 도로(RD1)와 제2 방향의 도로(RD2)가 연결되어 도로네트워크(600)를 형성하며,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610)상에서는 차량이 위치하는 제1 방향의 현재도로(RD1)로 계속 직진할 것으로 안내하는 경우, 기존에는 수신된 GPS 신호가 GPS 수신 범위(620)를 넘어 서거나, 수신된 GPS 정보들을 서로 연결하여 차량 이동 방향(630)을 확인하고 차량 이동 방향(630)이 경로(610)의 방향과 다를 경우, 경로 이탈로 판정함에 따라 마지막으로 확인되는 GPS 정보(G7)를 수신해야만 경로이탈여부를 판정할 수 있었던 것과 달리,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어 경로이탈여부 감지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상에서의 차량의 위치가 확인되었음을 경로제어부(230)로 알린다.
경로제어부(230)는, 현재도로상에서의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경로이탈여부를 판단하고, 경로이탈인 경우 이탈한 경로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새로운 경로를 재탐색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제어부(230)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로부터 현재도로의 도로폭을 검출한다. 이후, 경로제어부(230)는, 차량의 위치가 현재도로의 도로폭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술한 도 5를 참고하면, 차량의 위치가 제1 위치(P1)와 같이 현재도로의 도로폭에 포함되는 경우, 경로제어부(230)는, 차량이 현재도로를 이탈하지 않고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차량의 위치가 제2 위치 및 제3 위치(P2, P3)와 같이 현재도로의 도로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경로제어부(230)는, 차량이 현재도로를 이탈, 즉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경로제어부(230)는, 이탈한 경로를 기준으로 GPS 수신범위에서 이동 가능한 도로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경로를 재탐색하고, 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차량의 이탈여부를 예측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경로이탈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행 중 비 이상적인 경로 재탐색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전한 운전 환경을 제공하고, 불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 설명한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앞서 설명한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3000)은, 프로세서(3100),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3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를 통해 메모리(3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3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3210)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 내 각 구성인 정보확인부(210), 위치산출부(220), 경로제어부(230) 및 데이터저장부(24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150, 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3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는 프로세서(3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장치(331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치(3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3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를 매개로 통신장치(3310) 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길안내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차량의 주행관련정보에 기초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차량 경로이탈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와 관련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 내 각 구성은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를 매개로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정보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이 주행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이 주행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를 데이터저장부(240)로부터 검출한다.
이와 관련하여, 데이터저장부(240)에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지도데이터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도데이터정보에 포함된 도로의 진행방향, 도로의 폭 등과 관련된 정보를 도로관련정보로 구분하여 언급하도록 하겠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기 지도데이터정보에 포함된 제1 방향의 도로(RD1)와 제2 방향의 도로(RD2)가 연결되어 도로네트워크(500)를 형성하는데,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상에서는 차량이 위치하는 제1 방향의 현재도로(RD1)로 계속 직진할 것으로 안내하는 경우, 정보확인부(210)는,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RD1)의 제1 방향을 진행방향으로 확인하게 된다.
만일, 차량이 제1 방향의 도로(RD1)가 아닌 제2 방향의 도로(RD2)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는 제2 방향의 도로(RD2)가 될 것이며,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RD2)의 제2 방향을 진행방향으로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가 현재도로(RD1)로 계속 안내되는 것이 확인되면, 정보확인부(210)는, 경로상에서의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RD1)의 진행방향인 제1 방향으로 지속되어 변화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현재도로(RD1)의 진행방향각도는 "0도"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일,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가 제1 방향의 도로(RD1)에서 제2 방향의 도로(RD2)로 안내되는 경우에는, 정보확인부(210)는,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는 도로(RD1)의 진행방향인 제1 방향과 도로(RD2)의 진행방향인 제2 방향 사이의 각도에 상응하는 만큼의 진행방향각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정보확인부(210)는, 기 지도데이터정보로부터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에 대한 도로의 폭을 함께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 정보확인부(21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현재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즉, 정보확인부(21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로써, 지자기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된 주행방향각도와, GPS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된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수신한다.
이후, 정보확인부(210)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현재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확인하였음을 위치산출부(220)로 알린다.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현재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이용하여 현재도로상에서의 차량의 위치를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로부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위치산출부(220)는,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로부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검출한다.
이후,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을 산출한다.
즉,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면, 위치산출부(220)는,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상의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것이 아니라 경로를 이탈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과, 차량의 주행속도와 차량의 주행시간을 이용하여 현재도로상에서의 차량의 위치를 산출한다.
즉,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시점, 즉 두 각 사이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하고, 차량의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에 기초하여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이탈하고 있는 다른 방향의 도로까지의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5와 같이, 기 지도데이터정보에 포함된 제1 방향의 도로(RD1)와 제2 방향의 도로(RD2)가 연결되어 도로네트워크(500)를 형성하며,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510)상에서는 차량이 위치하는 제1 방향의 현재도로(RD1)로 계속 직진할 것으로 안내하는 경우, 차량이 최초 위치하는 제1 위치(P1)는 제1 방향의 도로(RD1)와 제2 방향의 도로(RD2)가 네트워크로 연결되기 직전 위치로서 동일한 GPS 수신범위(520)에 포함되게 된다.
그러나, 위치산출부(220)는, 차량이 제2 위치(P2), 제3 위치(P3)로 주행하여 점차 좌회전을 시작하게 되는 경우, 동일한 GPS 수신범위(520)에서 GPS 좌표상으로는 같은 좌표상에 위치하게 되지만, 도로(RD1)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시점, 즉 두 각 사이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인 제2 위치(P2)부터 제1 방향의 도로(RD1)가 아닌 제2 방향의 도로(RD2)로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즉, 위치산출부(220)는, 제2 위치(P2)부터 제2 방향의 도로(RD2)로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하고 차량의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에 기초하여 제1 방향의 현재도로(RD1)부터 제2 방향의 도로(RD2)까지의 차량의 위치인 제3 내지 제7 위치(P3-P7)를 산출하여 차량 이동 방향(530)을 확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은,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에서 산출됨에 따라 GPS 신호가 수신되었으나 수신오차범위 내로 수신되어 정확성이 감소하게 되는 경우에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경로이탈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종래 도 6에서와 같이 기 지도데이터정보에 포함된 제1 방향의 도로(RD1)와 제2 방향의 도로(RD2)가 연결되어 도로네트워크(600)를 형성하며,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610)상에서는 차량이 위치하는 제1 방향의 현재도로(RD1)로 계속 직진할 것으로 안내하는 경우, 기존에는 수신된 GPS 신호가 GPS 수신 범위(620)를 넘어 서거나, 수신된 GPS 정보들을 서로 연결하여 차량 이동 방향(630)을 확인하고 차량 이동 방향(630)이 경로(610)의 방향과 다를 경우, 경로 이탈로 판정함에 따라 마지막으로 확인되는 GPS 정보(G7)를 수신해야만 경로이탈여부를 판정할 수 있었던 것과 달리,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어 경로이탈여부 감지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상에서의 차량의 위치가 확인되었음을 경로제어부(230)로 알린다.
경로제어부(230)는, 현재도로상에서의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경로이탈여부를 판단하고, 경로이탈인 경우 이탈한 경로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새로운 경로를 재탐색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제어부(230)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로부터 현재도로의 도로폭을 검출한다. 이후, 경로제어부(230)는, 차량의 위치가 현재도로의 도로폭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술한 도 5를 참고하면, 차량의 위치가 제1 위치(P1)와 같이 현재도로의 도로폭에 포함되는 경우, 경로제어부(230)는, 차량이 현재도로를 이탈하지 않고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차량의 위치가 제2 위치 및 제3 위치(P2, P3)와 같이 현재도로의 도로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경로제어부(230)는, 차량이 현재도로를 이탈, 즉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경로제어부(230)는, 이탈한 경로를 기준으로 GPS 수신범위에서 이동 가능한 도로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차량의 이탈여부를 예측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경로이탈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행 중 비 이상적인 경로 재탐색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전한 운전 환경을 제공하고, 불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의 정보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이 주행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이 주행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를 데이터저장부(240)로부터 검출하고, 이를 확인한다(S100).
이와 관련하여, 데이터저장부(240)에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지도데이터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도데이터정보에 포함된 도로의 진행방향, 도로의 폭 등과 관련된 정보를 도로관련정보로 구분하여 언급하도록 하겠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기 지도데이터정보에 포함된 제1 방향의 도로(RD1)와 제2 방향의 도로(RD2)가 연결되어 도로네트워크(500)를 형성하는데,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상에서는 차량이 위치하는 제1 방향의 현재도로(RD1)로 계속 직진할 것으로 안내하는 경우, 정보확인부(210)는,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RD1)의 제1 방향을 진행방향으로 확인하게 된다.
만일, 차량이 제1 방향의 도로(RD1)가 아닌 제2 방향의 도로(RD2)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는 제2 방향의 도로(RD2)가 될 것이며,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RD2)의 제2 방향을 진행방향으로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가 현재도로(RD1)로 계속 안내되는 것이 확인되면, 정보확인부(210)는, 경로상에서의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RD1)의 진행방향인 제1 방향으로 지속되어 변화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현재도로(RD1)의 진행방향각도는 "0도"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일,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가 제1 방향의 도로(RD1)에서 제2 방향의 도로(RD2)로 안내되는 경우에는, 정보확인부(210)는,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는 도로(RD1)의 진행방향인 제1 방향과 도로(RD2)의 진행방향인 제2 방향 사이의 각도에 상응하는 만큼의 진행방향각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정보확인부(210)는, 기 지도데이터정보로부터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에 대한 도로의 폭을 함께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 정보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현재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110).
즉, 정보확인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로써, 지자기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된 주행방향각도와, GPS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된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수신한다. 이후, 정보확인부(210)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현재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확인하였음을 위치산출부(220)로 알린다.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현재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이용하여 현재도로상에서의 차량의 위치를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로부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를 검출한다(S120). 그리고, 위치산출부(220)는,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로부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을 검출한다(S130).
이후,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을 산출한다(S140).
즉,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면, 위치산출부(220)는,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상의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것이 아니라 경로를 이탈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과, 차량의 주행속도와 차량의 주행시간을 이용하여 현재도로상에서의 차량의 위치를 산출한다(S150).
즉,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시점, 즉 두 각 사이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하고,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에 기초하여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이탈하고 있는 다른 방향의 도로까지의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5와 같이, 기 지도데이터정보에 포함된 제1 방향의 도로(RD1)와 제2 방향의 도로(RD2)가 연결되어 도로네트워크(500)를 형성하며,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510)상에서는 차량이 위치하는 제1 방향의 현재도로(RD1)로 계속 직진할 것으로 안내하는 경우, 차량이 최초 위치하는 제1 위치(P1)는 제1 방향의 도로(RD1)와 제2 방향의 도로(RD2)가 네트워크로 연결되기 직전 위치로서 동일한 GPS 수신범위(520)에 포함되게 된다.
그러나, 위치산출부(220)는, 차량이 제2 위치(P2), 제3 위치(P3)로 주행하여 점차 좌회전을 시작하게 되는 경우, 동일한 GPS 수신범위(520)에서 GPS 좌표상으로는 같은 좌표상에 위치하게 되지만, 도로(RD1)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시점, 즉 두 각 사이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인 제2 위치(P2)부터 제1 방향의 도로(RD1)가 아닌 제2 방향의 도로(RD2)로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즉, 위치산출부(220)는, 제2 위치(P2)부터 제2 방향의 도로(RD2)로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하고 차량의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에 기초하여 제1 방향의 현재도로(RD1)부터 제2 방향의 도로(RD2)까지의 차량의 위치인 제3 내지 제7 위치(P3-P7)를 산출하여 차량 이동 방향(530)을 확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차량의 주행속도 및 차량의 주행시간은,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에서 산출됨에 따라 GPS 신호가 수신되었으나 수신오차범위 내로 수신되어 정확성이 감소하게 되는 경우에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경로이탈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종래 도 6에서와 같이 기 지도데이터정보에 포함된 제1 방향의 도로(RD1)와 제2 방향의 도로(RD2)가 연결되어 도로네트워크(600)를 형성하며,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610)상에서는 차량이 위치하는 제1 방향의 현재도로(RD1)로 계속 직진할 것으로 안내하는 경우, 기존에는 수신된 GPS 신호가 GPS 수신 범위(620)를 넘어 서거나, 수신된 GPS 정보들을 서로 연결하여 차량 이동 방향(630)을 확인하고 차량 이동 방향(630)이 경로(610)의 방향과 다를 경우, 경로 이탈로 판정함에 따라 마지막으로 확인되는 GPS 정보(G7)를 수신해야만 경로이탈여부를 판정할 수 있었던 것과 달리,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어 경로이탈여부 감지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위치산출부(220)는, 현재도로상에서의 차량의 위치가 확인되었음을 경로제어부(230)로 알린다.
경로제어부(230)는, 현재도로상에서의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경로이탈여부를 판단하고, 경로이탈인 경우 이탈한 경로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새로운 경로를 재탐색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제어부(230)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로부터 현재도로의 도로폭을 검출한다. 이후, 경로제어부(230)는, 차량의 위치가 현재도로의 도로폭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0).
즉, 전술한 도 5를 참고하면, 차량의 위치가 제1 위치(P1)와 같이 현재도로의 도로폭에 포함되는 경우, 경로제어부(230)는, 차량이 현재도로를 이탈하지 않고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차량의 위치가 제2 위치 및 제3 위치(P2, P3)와 같이 현재도로의 도로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경로제어부(230)는, 차량이 현재도로를 이탈, 즉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경로제어부(230)는, 이탈한 경로를 기준으로 GPS 수신범위에서 이동 가능한 도로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경로를 재탐색하고, 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170).
즉, 본 발명은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차량의 이탈여부를 예측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경로이탈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행 중 비 이상적인 경로 재탐색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전한 운전 환경을 제공하고, 불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어 경로이탈여부 감지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행 중 비 이상적인 경로 재탐색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전한 운전 환경을 제공하고, 불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장치(100), 및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또한 예컨대 이더넷 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예컨대 RS-232 포트와 같은 직렬 통신 장치 및/또는 예컨대 802.11 카드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외부 입출력 장치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입출력 장치는 다른 입출력 장치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장치, 예컨대 키보드, 프린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 및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경로이탈이 시작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네비게이션기능부 120: 데이터저장부
130: 센서부
200: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210: 정보확인부 220: 위치산출부
230: 경로제어부

Claims (10)

  1. 길안내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상기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경로이탈 시작이 예측되는 시점부터 상기 차량이 경로 이탈하고 있는 방향으로의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 및
    상기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현재도로를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관련정보는 상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 및 상기 현재도로의 도로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관련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산출부는,
    상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산출부는,
    상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시점을 상기 차량의 경로이탈 시작이 예측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으로 예측하고,
    상기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시간을 기초로 상기 차량이 경로 이탈하고 있는 방향으로의 상기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현재도로의 도로폭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이 상기 현재도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6. 길안내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경로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도로의 도로관련정보와 상기 차량의 주행관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경로이탈 시작이 예측되는 시점부터 상기 차량이 경로 이탈하고 있는 방향으로의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단계; 및
    상기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현재도로를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동작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관련정보는 상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 및 상기 현재도로의 도로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관련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동작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산출단계는,
    상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동작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산출단계는,
    상기 현재도로의 진행방향각도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각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포함되는 시점을 상기 차량의 경로이탈 시작이 예측되는 경로이탈 시작시점으로 예측하고,
    상기 경로이탈 시작시점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시간을 기초로 상기 차량이 경로 이탈하고 있는 방향으로의 상기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동작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제어단계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현재도로의 도로폭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이 상기 현재도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50146827A 2015-10-21 2015-10-21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1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27A KR102171846B1 (ko) 2015-10-21 2015-10-21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27A KR102171846B1 (ko) 2015-10-21 2015-10-21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51A KR20170046451A (ko) 2017-05-02
KR102171846B1 true KR102171846B1 (ko) 2020-10-29

Family

ID=58742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827A KR102171846B1 (ko) 2015-10-21 2015-10-21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686B1 (ko) * 2017-11-06 2022-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614076B1 (ko) * 2021-08-05 2023-12-13 김경민 산책 코스 추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400B1 (ko) * 2002-02-20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항법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197007B1 (ko) * 2006-03-02 2012-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 휴대단말기의 경로이탈 알림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51A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4664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1846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41884A (ko) 정보안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97167B1 (ko)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102615620B1 (ko) 경로안내 기반 컨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72161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2101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48833A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51217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2081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4099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4060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47924A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1251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59096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16380B1 (ko) 경로안내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48836A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4109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94202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58844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58848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04126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121453A (ko) 네비게이션 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41362A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96856B1 (ko) 장소 간 연관성 판별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