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013A -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013A
KR20160091013A KR1020150011052A KR20150011052A KR20160091013A KR 20160091013 A KR20160091013 A KR 20160091013A KR 1020150011052 A KR1020150011052 A KR 1020150011052A KR 20150011052 A KR20150011052 A KR 20150011052A KR 20160091013 A KR20160091013 A KR 20160091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head
thickness
section
corrugated
reinforc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995B1 (ko
Inventor
송원석
이정호
김기환
이연암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9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63B3/60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with curved or corrugated p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involving reinforcing arrangements
    • F17C1/08Integral reinforcements, e.g. ri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1Reinforcing or suspension means
    • F17C2203/011Reinforcing means
    • F17C2203/012Reinforcing means on or in the wall, e.g. ri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 및 윙탱크에 고정된 상단을 갖고, 좌우현 방향으로 번갈아 나열된 골과 마루를 갖는 파형 격벽; 및 상기 파형 격벽에 고정된 강도 보강판;을 포함하는 화물창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강도 보강판은 상기 골과 마주하는 골 대향 개방면의 상단 부위 및 상기 마루와 마주하는 마루 대향 개방면의 상단 부위를 밀폐한다.

Description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BULKHEAD AND SHIP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의 화물창들을 구획하는 화물창 격벽과, 이 화물창 격벽을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벌크 캐리어(bulk carrier)는 곡물이나 광석과 같이 포장되지 않은 벌크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선박으로서, 재화중량톤수(DWT, Deadweight Tonnage)에 따라 VLOC(Very Large Ore Carrier), 케이프사이즈(Capesize, 17만DWT), 캄사르막스(Kamsarmax, 7만~8만5천DWT), 파나막스(Panamax, 6만~7만DWT), 핸디막스(Handymax, 5만DWT)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벌크 캐리어에는 벌크 화물이 저장되는 화물창들이 마련되어 있고, 이 화물창들은 격벽(bulkhead)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기 격벽은 평판 격벽(plane bulkhead)과 주름 격벽(corrugated bulkhead)으로 분류되고 있다. 평판 격벽은 평평한 판에 강도 보강재를 부착한 격벽이고, 주름 격벽은 주름진 형태를 갖는 격벽이다. 주름 격벽은 그 자체로 충분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별도의 강도 보강재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름 격벽이 적용되면, 강도 보강재로 인한 선박 무게 감소를 기대할 수 있고, 강도 보강재에 쌓인 벌크 화물의 제거를 위한 청소가 불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1133호(벌크화물선의 하부스툴 보강 방법)는 이러한 파형 격벽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파형 격벽의 하단은 선박의 인너 바텀(inner bottom)에 설치된 하부 스툴(lower stool)에 고정되는데, 이는 파형 격벽의 하단이 인너 바텀에 직접 연결되면 이 연결 부위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동일한 이유로 파형 격벽의 상단은 선박의 어퍼 데크(upper deck)에 설치된 상부 스툴(upper stool)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스툴은 파형 격벽과 어퍼 데크 간 연결 부위의 강도를 향상시키기는 하나, 사용 재료의 증가, 설치 시수의 증가, 설치 비용의 증가 등과 같은 문제를 초래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3629호(용접 파형격벽을 구비한 선박)는 상기 상부 스툴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 기술에서는 파형 격벽이 직각 파형을 갖도록 마련되고, 이 파형 격벽에 선박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스트링거들이 치합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1133호(벌크화물선의 하부스툴 보강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3629호(용접 파형격벽을 구비한 선박)
위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3629호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부 스툴의 제가가 가능하다. 그러나 파형 격벽에 스트링거들이 치합되어야 하므로 상부 스툴 제거의 효과(사용 재료 감소, 설치 시수 감소, 비용 감소)가 충분히 기대될 수 없다. 또한, 스트링거들에 쌓인 화물을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도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부 스툴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위와 같은 문제를 초래하지 않는 화물창 격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물창 격벽을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데크 및 윙탱크에 고정된 상단을 갖고, 좌우현 방향으로 번갈아 나열된 골과 마루를 갖는 파형 격벽; 및 상기 파형 격벽에 고정된 강도 보강판;을 포함하는 화물창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강도 보강판은 상기 골과 마주하는 골 대향 개방면의 상단 부위 및 상기 마루와 마주하는 마루 대향 개방면의 상단 부위를 밀폐한다.
상기 파형 격벽은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구간과, 상기 중앙 구간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두 외측 구간과, 상기 두 외측 구간 중 어느 하나의 좌측 및 나머지 하나의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두 최외곽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구간의 두께는 상기 중앙 구간의 두께보다는 크고 상기 최외곽 구간의 두께보다는 작다.
상기 중앙 구간의 길이와, 상기 두 외측 구간 각각의 길이와, 상기 두 최외곽 구간 각각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중앙 구간의 두께 및 상기 외측 구간의 두께는 각각 상기 최외곽 구간의 두께의 93.75% 및 97.9%이다.
상기 강도 보강판의 두께는 상기 최외곽 구간의 두께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도 보강판의 두께는 상기 최외곽 구간의 두께의 102.1%이다.
상기 강도 보강판은 상기 파형 격벽의 부위 중 상기 데크에 고정되는 부위에만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화물창 격벽을 구비한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창 격벽을 구성하는 파형 격벽이 상부 스툴을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 선박의 데크 및 윙 탱크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부 스툴이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 사용되는 재료가 감소하고, 설치 시수가 감소하며, 소요 비용이 감소한다. 그러면서도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물창 격벽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창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물창 격벽의 상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물창 격벽의 최대응력 시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물창 격벽의 항복강도 시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화물창 격벽의 좌굴강도 시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창 격벽(100)은 선박의 화물창들(미도시)을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격벽(110) 및 강도 보강판(120)을 포함한다.
상기 파형 격벽(110)은 선박의 좌우현 방향으로 번갈아 나열된 골(122)과 마루(124)를 갖는다. 또한, 파형 격벽(110)은 골 대향 개방면(122a)을 갖는데, 이(122a)는 상기 골(122)과 마주하고 있다. 또한, 파형 격벽(110)은 마루 대향 개방면(124a)을 갖는데, 이(124a)는 상기 마루(124)와 마주하고 있다. 이러한 파형 격벽(110)의 상단은 선박의 데크(미도시) 및 이 데크의 좌우측에 마련된 윙탱크(미도시)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파형 격벽(110)의 하단은 종래와 같이 하부 스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형 격벽(110)의 두께(t2)는 구간별로 상이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파형 격벽(110)은 중앙 구간(A1)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갖고, 최외곽 구간(A3)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외측 구간(A2)에서 중앙 구간(A1)의 두께와 최외곽 구간(A3)의 두께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 구간(A1)의 두께는 최외곽 구간(A3)의 두께의 93.75%이고, 상기 외측 구간(A2)의 두께는 최외곽 구간(A3)의 두께의 97.9%이다.
여기서, 상기 중앙 구간(A1)은 파형 격벽(110)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간이고, 상기 외측 구간(A2)은 중앙 구간(A1)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구간이다. 그리고 상기 최외곽 구간(A3)은 두 외측 구간(A2) 중 어느 하나의 좌측 및 나머지 하나의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구간이다. 상기 중앙 구간(A1)의 길이는 두 외측 구간(A2) 각각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두 최외곽 구간(A3) 각각의 길이와도 동일하다.
상기 강도 보강판(120)은 상부 스툴이 제거됨으로 인해 부족해진 파형 격벽(1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강도 보강판(120)은 골 대향 개방면(122a)의 상단 부위를 덮도록 파형 격벽(110)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마루 대향 개방면(124a)의 상반 부위도 덮도록 파형 격벽(110)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강도 보강판(120)은 파형 격벽(110)의 전체 구간에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 강도 보강판(120)의 상단은 데크 및 윙 탱크에 용접으로 고정될 것이다. 그러나 파형 격벽(110)의 부위 중 데크에 고정되는 구간에만 마련되어도 충분한 강도가 보장됨이 실험으로 확인되었는바, 상기 강도 보강판(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에 고정되는 파형 격벽(110)의 구간에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도 보강판(120)의 상단은 데크와만 용접으로 고정될 것이다.
상기 강도 보강판(120)의 두께(t1)는 파형 격벽(110)의 최외곽 구간(A3)의 두께보다 크게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강도 보강판(120)의 두께(t1)는 최외곽 구간(A3)의 두께의 102.1%이다. 모든 강도 보강판들(120)의 두께는 동일하게 마련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화물창 격벽(1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미도시)의 선수미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창 격벽(100)이 CSR BC Rule이 요구하는 강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83K 벌크 캐리어 중앙(선수미 방향 기준)의 두 화물창 격벽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강도 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가 도 3 내지 5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시험에서 파형 격벽(110) 최외곽 구간(A3)의 두께는 24mm로 설정되었고, 외측 구간(A2)의 두께는 23.5mm로 설정되었으며, 중앙 구간(A1)의 두께는 22.5mm로 설정되었다. 그리고 강보 보강판들(120)은 모두 24.5mm의 두께를 갖도록 설정되었고, 데크에 고정되는 파형 격벽(110)의 구간에만 배치되었다. 하중 조건 및 경계 조건은 CSR BC Rule에 부합하도록 설정되었다.
이상과 같은 시험 조건에 따른 최대응력 결과와, 항복강도(yield strength) 결과와, 좌굴강도(buckling strength) 결과가 도 3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보면 가장 큰 최대응력이 317N/mm2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SR BC Rule은 최대응력이 355N/mm2을 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창 격벽(110)은 CSR BC Rule이 요구한 최대응력 조건을 만족한다. 도 5를 보면 가장 큰 좌굴강도가 0.97임을 확인할 수 있다. CSR BC Rule은 좌굴강도가 101을 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창 격벽(110)은 CSR BC Rule이 요구한 좌굴강도 조건도 만족한다. 또한, 도 4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창 격벽(110)이 CSR BC Rule이 요구한 항복강도 조건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화물창 격벽 110 : 파형 격벽
120 : 강도 보강판 122 : 골
122a : 골 대향 개방면 124 : 마루
124a : 마루 대향 개방면

Claims (7)

  1. 데크 및 윙탱크에 고정된 상단을 갖고, 좌우현 방향으로 번갈아 나열된 골과 마루를 갖는 파형 격벽; 및
    상기 파형 격벽에 고정된 강도 보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강도 보강판은 상기 골과 마주하는 골 대향 개방면의 상단 부위 및 상기 마루와 마주하는 마루 대향 개방면의 상단 부위를 밀폐하는 화물창 격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격벽은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구간과, 상기 중앙 구간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두 외측 구간과, 상기 두 외측 구간 중 어느 하나의 좌측 및 나머지 하나의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두 최외곽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외측 구간의 두께는 상기 중앙 구간의 두께보다는 크고 상기 최외곽 구간의 두께보다는 작은 화물창 격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구간의 길이와, 상기 두 외측 구간 각각의 길이와, 상기 두 최외곽 구간 각각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중앙 구간의 두께 및 상기 외측 구간의 두께는 각각 상기 최외곽 구간의 두께의 93.75% 및 97.9%인 화물창 격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판의 두께는 상기 최외곽 구간의 두께보다 큰 화물창 격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판의 두께는 상기 최외곽 구간의 두께의 102.1%인 화물창 격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판은 상기 파형 격벽의 부위 중 상기 데크에 고정되는 부위에만 설치되는 화물창 격벽.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화물창 격벽을 구비한 선박.
KR1020150011052A 2015-01-23 2015-01-23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71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052A KR101710995B1 (ko) 2015-01-23 2015-01-23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052A KR101710995B1 (ko) 2015-01-23 2015-01-23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013A true KR20160091013A (ko) 2016-08-02
KR101710995B1 KR101710995B1 (ko) 2017-02-28

Family

ID=5670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052A KR101710995B1 (ko) 2015-01-23 2015-01-23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9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495U (ja) * 1983-07-20 1985-02-13 日立造船株式会社 船体構造
JPH0633794U (ja) * 1992-10-12 1994-05-0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貨物船の横隔壁構造
KR20120001133A (ko) 2010-06-29 2012-0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벌크화물선의 하부스툴 보강 방법
KR20120033629A (ko) 2010-09-30 2012-04-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파형격벽을 구비한 선박
KR101210587B1 (ko) * 2012-01-05 2012-12-11 (주)지브텍 폭발압력이 개선된 선박용 방화격벽
KR20140117639A (ko) * 2013-03-01 2014-10-07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선박용 격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495U (ja) * 1983-07-20 1985-02-13 日立造船株式会社 船体構造
JPH0633794U (ja) * 1992-10-12 1994-05-0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貨物船の横隔壁構造
KR20120001133A (ko) 2010-06-29 2012-0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벌크화물선의 하부스툴 보강 방법
KR20120033629A (ko) 2010-09-30 2012-04-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파형격벽을 구비한 선박
KR101210587B1 (ko) * 2012-01-05 2012-12-11 (주)지브텍 폭발압력이 개선된 선박용 방화격벽
KR20140117639A (ko) * 2013-03-01 2014-10-07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선박용 격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995B1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5114B1 (en) Cargo hold structure for a crude oil carrier
US4660491A (en) Double hull ship without reinforcing transverse members between the inner and outer hull platings
KR101185517B1 (ko)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KR101710995B1 (ko)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US4674430A (en) Ship without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s between the inner and outer hull plating
JP2011168073A (ja) タンカーのアクセストランク構造
EP0476036B1 (en) A container ship
KR20130084446A (ko) 컨테이너선용 래싱브리지
KR20110000590U (ko) 개방형 횡격벽 구조를 갖는 화물 운반선
JP5613289B1 (ja) チップ専用船の倉内トランク構造
KR101022986B1 (ko) 벌크 캐리어용 해치 코밍
KR102114349B1 (ko) 화물선
JPH09118289A (ja) ばら積貨物船の船艙構造
KR101507327B1 (ko) 해치 커버
KR20160098577A (ko) 하이브리드 화물창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665447B1 (ko) 컨테이너 선박용 셀 가이드의 엔트리 가이드 배치구조 및 그 엔트리 배치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선박
JP5613288B1 (ja) チップ専用船の貨物倉内構造
KR20160061134A (ko) 콘테이너선 상갑판 화물창 코너의 응력 집중 해소를 위한 구조물
KR20110056013A (ko)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KR20120000250U (ko) 화물운반선의 래킹 벌크헤드 구조
KR101498168B1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해치 커버 지지물 구조
RU214362U1 (ru) Крышка люка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CN112896417A (zh) 储油式散货船顶墩结构
KR20120002214A (ko) 액화연료탱크를 갖는 컨테이너선
KR20140044012A (ko) 산적화물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