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612A -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 - Google Patents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612A
KR20160090612A KR1020150010631A KR20150010631A KR20160090612A KR 20160090612 A KR20160090612 A KR 20160090612A KR 1020150010631 A KR1020150010631 A KR 1020150010631A KR 20150010631 A KR20150010631 A KR 20150010631A KR 20160090612 A KR20160090612 A KR 20160090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pipe
beam member
pipe
mounting bracke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406B1 (ko
Inventor
박승옥
Original Assignee
와이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에스(주) filed Critical 와이에스(주)
Priority to KR102015001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4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Abstract

본 발명은 컬럼 파이프의 내부에 보강재로 보강시켜 컬럼 파이프의 높이를 높여 완강기를 올바로 착용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창틀에 올라서서 즉시 내려갈 수 있는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Supporter for descending life line}
본 발명은 컬럼 파이프의 내부에 보강재로 보강시켜 컬럼 파이프의 높이를 높여 완강기를 올바로 착용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창틀에 올라서서 즉시 내려갈 수 있는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완강기 지지대는 크게 내벽 부착형과 바닥 부착형으로 나뉜다.
내벽 부착형은 창틀을 기준으로 그 옆의 내벽에 부착되는 측면 부착형, 그 아래의 내벽에 부착되는 창문 하단형으로 나뉜다.
바닥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는 바닥에서 창문 하단까지의 높이만큼 높아야 하기 때문에 2단 컬럼 파이프로 이루어지는데(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3716호 참조), 높이 조절을 위한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컬럼 파이프가 매우 높고, 특히 상단 컬럼 파이프가 하단 컬럼 파이프에 수용되는 구조로서 설계강도(좌굴 또는 휨)를 상단 컬럼 파이프에 맞추면 하단 파이프는 불필요하게 재료가 많이 든다. 따라서, 단가 상승과 큰 중량으로 운반이나 조작 등에 큰 불편함이 있다. 또한, 비상시 2단으로 조립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비되어 신속한 대피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바닥 부착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내벽 부착형은 2단 조절을 하지 않는 대신에 창틀의 하단 또는 측면에 고정하게 한다.
측면 내벽 부착형은 특허문헌의 배경기술로서 창틀의 측면 안쪽에 설치되도록 고안이 됨으로써 여닫이 창문 방식에서 안쪽을 향해 열리는 창문의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예컨대 특허문헌(공개특허 제10-2012-0038327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의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100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안쪽 창틀의 하측 내벽에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110), 마운팅 브래킷(110)의 전방에 마련된 가이드 파이프(114)에 일정 구간이 수용된 채로 조립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하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는 승강 회전 부재(120), 승강 회전 부재(120)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130)에 설치되는 회전축(140), 회전축(140)에 결합이 되며 끝단이 창문 밖을 향하는 수평의 상태가 되는 걸이바(150)로 이루어진다.
마운팅 브래킷(110)의 가이드 파이프(114) 상에는 작동 가이드 슬롯(116)이 형성된다.
승강 회전 부재(120)의 하부 한쪽 상에는 작동 가이드 슬롯(116)에 조립되는 가이드 핀(12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헤드(13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양쪽에 형성된 한 쌍의 측벽(132a,132b)을 포함하여 구성이 되며, 헤드(130)의 측벽(132a)과 측벽(132b) 사이에는 걸이바(150)의 조립을 위한 회전축(140)이 설치가 된다.
이러한 건물 안쪽의 창틀 아래쪽에 설치로 인해,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는 창문이 열리고 닫히는 방식 또는 창문이 열리고 닫히는 방향과 관계없이 설치 호환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승강 회전 부재(120)는 상단과 하단을 마감한 내부가 빈 파이프이다.
이러한 파이프로 완강기에 매달린 성인의 무게에 대해 좌굴이나 휨이 생기지 않게 견디게 하기 위해서는 무게 등에 의해 파이프의 길이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 (파이프의 두께와 내경, 재질이 동일하다면 길이의 조절로 최적을 설계할 수밖에 없다)
즉, 도 2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보면, 걸이바(150)의 하단이 승강 회전 부재(150)의 하단보다 더 아래쪽에 배치되는 길이를 갖기 때문에, 빔 부재(150)의 길이(또는 높이)를 기준으로 할 때 승강 회전 부재(120)의 길이(또는 높이)가 짧게(또는 높게)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빔 부재(150)에 비해 짧은 승강 회전 부재(120)가 도 3과 같이 상승 설치되어도 승강 회전 부재(120)의 상단이 창틀 하면에서 약간 더 올라오게 된다.
이처럼 승강 회전 부재(120)가 창틀에서 약간 올라온 경우, 완강기(200)의 줄에 고정된 벨트를 사람의 양 겨드랑이에 끼운 상태에서 창틀을 밟고 올라서서 창문을 넘어 내려가야 한다.
그런데, 양 겨드랑이에 끼운 벨트는 사람 특히 성인이 창틀에 올라서는 순간 벨트가 아래로 흘러 내려가 다시 끼우거나, 아니면 한 손으로 벨트를 잡고 올라서야하는 데, 비상시에 이러한 행동들은 매우 당황케 만드는 위험천만한 일이다.
벨트가 아래로 흘러 내려가는 정도는 사람이 창틀에 올라섰을 때의 겨드랑이 위치와 완강기(200)의 위치 사이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사람의 힙 아래쪽 심하게는 발아래로도 흘러내릴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접혀진 평상시에 승강 회전 부재(120)는 가이드 파이프(114) 내에 상하로만 움직일 수 있지만, 걸이바(150)는 스토퍼(170)가 마감판(118)에 걸린 상태로 있기 때문에 선회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회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걸이바(150)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거나 벽에 부착되어 있을 때, 임의로 움직여 보관이나 접혀진 상태에서 돌발 상황(보관중 꺼낼 때나 외력에 의해 갑자기 벌어짐)이 생길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3716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832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완강기를 올바로 착용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창틀에 올라서서 즉시 내려갈 수 있는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는, 창문 하측 내벽에 부착되는 마운팅 브래킷;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컬럼 파이프; 일측에 완강기가 설치될 수 있는 빔 부재; 상기 컬럼 파이프의 상측에 대해 상기 빔 부재의 상측이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재; 상기 컬럼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대;를 포함하되, 상기 빔 부재가 접혀 상기 컬럼 파이프와 평행할 때, 적어도 상기 컬럼 파이프의 하단이 상기 빔 부재의 하단과 같거나 더 아래쪽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띠 형상의 평철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평철의 폭 방향은 상기 빔 부재의 직각 방향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컬럼 파이프에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걸리는 신장(키)이 큰 제1돌기와 신장(키)이 작은 제2돌기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일측에 자석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컬럼 파이프의 내부에 보강대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빔 부재가 접혔을 때 컬럼 파이프의 하단이 빔 부재의 하단보다 더 아래쪽에 있거나 같은 위치에 있도록 컬럼 파이프의 길이(또는 높이)가 적어도 빔 부재의 길이(또는 높이)보다 더 길게 하여도 보강재가 좌굴이나 휨을 잡아주기 때문에, 완강기의 벨트를 겨드랑이에 낀 상태에서 창틀에 올라설 때 벨트가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아 즉시 완강기를 타고 내려갈 수 있다.
보강대가 띠 형상의 평철로 이루어짐으로써, 최소한의 무게를 가지면서 변형에 저항하는 형상이고, 컬럼 파이프에 삽입 및 고정이 용이하다.
특히 평철의 폭 방향이 빔 부재의 직각 방향(또는 수평 방향)과 같은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최소의 단면으로 최대의 좌굴 또는 휨의 변형에 저항하게 된다.
한편, 컬럼 파이프의 길이(높이)가 길어진 만큼 마운팅 브래킷에 걸리는 신장(키)이 큰 제1돌기와 신장(키)이 작은 제2돌기가 설치됨으로써, 성인 또는 아동에 따라 단일 컬럼 파이프로 조절 가능하다.
다른 한편, 마운팅 브래킷의 일측에 자석이 설치됨으로써, 빔 부재가 컬럼 파이프에 대해 평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자석에 끌려 빔 부재가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포장이나 보관, 운반 등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종래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설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완강기 설치대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설치대가 창문 하측 내벽에 부착된 평상시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도 1의 상태에서 비상시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4에서 분리된 컬럼 파이프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11-11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12-12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설치대가 창문 하측 내벽에 부착된 평상시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도 1의 상태에서 비상시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4에서 분리된 컬럼 파이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11-11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12-12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대(1)는 창문 하측 내벽(IW)에 부착되는 마운팅 브래킷(110)과, 마운팅 브래킷(11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컬럼 파이프(20)와, 일측에 완강기(200)가 설치될 수 있는 빔 부재(150)와, 컬럼 파이프(20)에 대해 빔 부재(150)가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재(140)를 포함한다.
마운팅 브래킷(110)은 내벽(IW)에 부착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111)와, 베이스(111)에 설치되는 가이드 파이프(114)가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111)의 양측에는 다수의 설치구멍(112)이 형성되어, 이 설치구멍(112)을 통해 못이나 스크루 등이 박혀 베이스(111)를 내벽(IW)에 고정시킨다.
가이드 파이프(114)는 ㄷ자 형상 또는 ㅁ자 형상의 각형 파이프를 베이스(111)에 용접 등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가이드 파이프(114)의 타측 하단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럼 파이프(20)의 조립 또는 분해를 위한 작동 가이드 판(116)이 아래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즉, 작동 가이드 판(116)에는 일단이 열린 회전용 수평통로(116c)와, 회전용 통로(116c)의 끝단과 연결되며 하단이 막힌 승강용 수직통로(116a)가 'ㄱ'자로 형성되어 있다.
컬럼 파이프(20)는 원형의 파이프로서, 가이드 파이프(114) 내에서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컬럼 파이프(20)의 내부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대(25)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보강대(25)는 폭()에 비해 길이(ℓ)가 긴 띠 형상의 평철(flat bar)(25)로 구현되는 것이 좋다.
평철(25)은 컬럼 파이프(20)의 내부에 지름방향으로 삽입 고정되어 있다.
특히, 평철(25)의 폭(w) 방향이 빔 부재(150)의 펼쳐진 직각방향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최소한의 재료로 컬럼 파이프(20)의 좌굴이나 휨에 대한 최대한의 저항을 제공하게 된다.
컬럼 파이프(20)의 상단과 하단에는 마감판(22)(23)이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컬럼 파이프(20)의 내부에 평철(25)이 삽입 고정됨으로써, 컬럼 파이프(20)의 길이 또는 높이를 더 높여 신장이 큰 사람이 신속히 완강기를 타고 내려가게 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컬럼 파이프(20)의 하단이 빔 부재(150)의 하단보다 h만큼 더 아래쪽에 위치시키거나 같게 위치시킬 수 있다.
컬럼 파이프(20)의 하측 외주면에는 핀 또는 볼트와 같은 제1돌기(2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컬럼 파이프(20)의 중간 외주면에도 핀 또는 볼트와 같은 제2돌기(21b)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제1돌기(21a) 또는 제2돌기(21b)는 수직통로(116a)의 하단에 놓여, 컬럼 파이프(20)가 마운팅 브래킷(110)에 지지되게 된다.
제1돌기(21a)는 성인 등과 같이 신장(키)이 큰 사람에게 적합하고, 제2돌기(21b)는 아동 등과 같이 신장(키)이 작은 사람에게 적합하다.
빔 부재(150)는 통상 단면이 ㅁ자 형상인 각형 파이프로서, 양측에 마감판이 마감되어 있다.
빔 부재(150)의 일측에는 완강기(200)가 걸리는 고리(156)가 고정되어 있다.
고리(156)는 아이 볼트로서, 일측의 마감판에 체결된 후 용접 고정시킨다.
빔 부재(150)의 타측은 힌지부재(140)에 의해 컬럼 파이프(20)에 지지되어 있다.
힌지부재(140)는 컬럼 파이프(20)의 상단에 고정되는 힌지용 브래킷(130)에 설치되는 힌지축(140a)인 볼트와, 힌지축(140a)에 체결되는 캡 너트(140b)로 구성되어 있다.
힌지축(140a)은 빔 부재(150)의 상측에 형성된 힌지공(미도시)과 힌지용 브래킷(130)의 관통공(133a)(133b)에 끼워진다.
캡 너트(140b)는 힌지축(140a)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힌지용 브래킷(130)은 컬럼 파이프(20)의 상단 양측에 마주보게 고정되는 측벽(130a)(130b)과, 측벽(130a)(130b)에 마주보게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133a)(133b)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힌지용 브래킷(130)의 관통공(133a)(133b)은 컬럼 파이프(20)의 수직 중심축에 대해 편심되는 위치에 있다.
이러한 편심으로, 빔 부재(150)가 도 1과 접혔을 때 컬럼 파이프(20)와 평행하게 배치될 뿐만 아니라 힌지부재(140)에 대해 원활히 선회 가능하게 된다.
또한, 힌지용 브래킷(130)은 도 11과 같이 평면에서 볼 땐 평철(25)의 폭(w) 방향과 같이 나란한 방향 또는 도 10과 같이 정면에서 볼 땐 직각 방향으로 배치 고정된다.
한편, 마운팅 브래킷(110) 특히 가이드 파이프(114)의 일측면에는 자석(30)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자석(30)은 도 1과 같이 빔 부재(150)가 마운팅 브래킷(110)에 자성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다.
이하, 전술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대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평상시에는 마운팅 브래킷(110)이 내벽(IW)에 고정되고, 힌지용 브래킷(130)의 가이드 파이프(114)의 상단에 결린 채 컬럼 파이프(20)와 빔 부재(150)가 평행하게 높인다.
이렇게 평행하게 놓일 때 컬럼 파이프(20)의 하단이 빔 부재(150)의 하단보다 더 아래쪽에 놓일 h만큼 길이가 길거나, 힌지용 브래킷(130) 사이에 놓이는 빔 부재(150)의 길이만큼 맞추었을 때에도 길거나 거의 같다.
도 4의 상태에서 탈출할 상황인 비상 시에는, 도 6과 같이 컬럼 파이프(20)를 가이드 파이프(114)에 대해 위로 올린다. 이때 제2돌기(21b)가 가이드 파이프(114)의 하단에 걸리지 않게 가이드 파이프(114)의 각진 모서리 쪽을 향하게 해서 올려 먼저 빠진 후 각진 모서리 쪽을 벗어나게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제1돌기(21a)가 가이드 파이프(114)의 하단에 걸릴 때까지 올리면 된다.
제1돌기(21a)가 가이드 파이프(114)의 하단에 걸리면, 도 7과 같이 컬럼 파이프(20)의 중심(c1)에 대해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제1돌기(21a)는 수평통로(116c)로 들어가다가 걸려 놓으면 수직통로(116a) 아래로 내려가, 하단에 걸려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도 7가 같이 빔 부재(150)는 창문 쪽으로 선회 가능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7의 위치에서, 빔 부재(150)를 들어 도 8과 같이 힌지축(140)의 중심(c2)에 대해 선회시키면, 도 9와 같이 빔 부재(150)는 컬럼 파이프(20)에 대해 직각으로 놓이게 된다.
물론, 평균 신장보다 작은 아이들인 경우에는 제2돌기(21b)가 제1돌기(21a)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파이프(114)의 하단에 걸릴 때까지 올리면 된다. 이 경우에는 제2돌기(21b)가 위로 빠져나갈 필요가 없어, 각진 모서리 쪽을 향하게 맞출 필요는 없다.
제1돌기(21a)와 제2돌기(21b)는 가이드 파이프(114)의 각진 모서리 부분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에, 컬럼 파이프(20)를 가이드 파이프(114)에서 완전히 분리하거나 삽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완강기 지지대 20 : 컬럼 파이프
21a : 제1돌기 21b : 제2돌기
25 : 보강재(평철) 30 : 자석
110 : 마운팅 브래킷 111 : 베이스
114 : 가이드 파이프 116 : 작동 가이드 판
130 : 힌지용 브래킷 140 : 힌지부재
150 : 빔 부재 156 : 고리

Claims (5)

  1. 창문 하측 내벽에 부착되는 마운팅 브래킷;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컬럼 파이프;
    일측에 완강기가 설치될 수 있는 빔 부재;
    상기 컬럼 파이프의 상측에 대해 상기 빔 부재의 상측이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재;
    상기 컬럼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대;를 포함하되,
    상기 빔 부재가 접혀 상기 컬럼 파이프와 평행할 때, 적어도 상기 컬럼 파이프의 하단이 상기 빔 부재의 하단과 같거나 더 아래쪽에 위치하는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띠 형상의 평철로 이루어진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평철의 폭 방향은 상기 빔 부재의 직각 방향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컬럼 파이프에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걸리는 신장(키)이 큰 제1돌기와 신장(키)이 작은 제2돌기가 설치되는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일측에 자석이 더 설치되는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
KR1020150010631A 2015-01-22 2015-01-22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 KR101695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631A KR101695406B1 (ko) 2015-01-22 2015-01-22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631A KR101695406B1 (ko) 2015-01-22 2015-01-22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612A true KR20160090612A (ko) 2016-08-01
KR101695406B1 KR101695406B1 (ko) 2017-01-11

Family

ID=5670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631A KR101695406B1 (ko) 2015-01-22 2015-01-22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4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2801A (ja) * 1997-11-21 1999-06-08 Nkk Corp ブレース材
KR20080074688A (ko) * 2007-02-08 2008-08-13 이세원 건축용 서포터
KR100918030B1 (ko) * 2009-02-23 2009-09-18 최승훈 소방 재난 구조용 완강기 지지대
KR20100003716U (ko) 2008-09-29 2010-04-07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직립형 완강기 설치대
KR20120038327A (ko) 2010-10-13 2012-04-23 (주)서한에프앤씨 완강기 설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2801A (ja) * 1997-11-21 1999-06-08 Nkk Corp ブレース材
KR20080074688A (ko) * 2007-02-08 2008-08-13 이세원 건축용 서포터
KR20100003716U (ko) 2008-09-29 2010-04-07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직립형 완강기 설치대
KR100918030B1 (ko) * 2009-02-23 2009-09-18 최승훈 소방 재난 구조용 완강기 지지대
KR20120038327A (ko) 2010-10-13 2012-04-23 (주)서한에프앤씨 완강기 설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406B1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1667B (fi) Menetelmä ja järjestely hissikorin alakaton tai vastaavan avaamiseksi ja sulkemiseksi sekä lukituslaite
KR101695406B1 (ko) 창문 하측 내벽 부착형 완강기 지지대
KR20090118141A (ko) 긴급 피난설비
KR20120038327A (ko) 완강기 설치대
KR10164835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EP2406164B1 (en) Elevator system with guide rail bracket
JP4861235B2 (ja) 引戸装置
KR20170089292A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KR101307214B1 (ko) 아파트 건설현장용 승강기 출입 가이드장치
JP6842857B2 (ja) 床置き式ガイドレール
JP2006194027A (ja) 引戸の上部ガイド構造
JP3238848B2 (ja) 窓用シャッタの支持構造
JP4539339B2 (ja) 引戸の上部ガイド構造
JP7260152B2 (ja) 建具の付け枠構造
JPH0745225Y2 (ja) 避難梯子装置
JP3447118B2 (ja) 足場用手摺枠
CN220549879U (zh) 机械联动装置及机械联动系统
CN107795139B (zh) 一种外挑板防护网体系及其安装方法
JP5148160B2 (ja) 引戸装置
JP5762722B2 (ja) 引戸
JP7213577B2 (ja) 自動ドア装置用取付ベース
KR200364277Y1 (ko) 천정 설치식 완강기 거치대
KR102567457B1 (ko) 개구부용 안전 펜스
KR102298347B1 (ko) 재난구조용 절첩형 소방 완강기 지지대
KR101875107B1 (ko) 건축용 안전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