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705A - 형체 장치 - Google Patents

형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705A
KR20160088705A KR1020150008123A KR20150008123A KR20160088705A KR 20160088705 A KR20160088705 A KR 20160088705A KR 1020150008123 A KR1020150008123 A KR 1020150008123A KR 20150008123 A KR20150008123 A KR 20150008123A KR 20160088705 A KR20160088705 A KR 20160088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ld
movable
plate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8705A/ko
Publication of KR20160088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6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성형기의 형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금형이 부착되는 고정 형판; 상기 제1 금형과 대면하도록 제2 금형이 부착되는 이동 형판; 및 상기 이동 형판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고정 형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 형판을 관통하는 타이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형판은, 상기 타이바와 연결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이동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은 각각, 상기 제1 금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가 나머지 제1 가동 플레이트보다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형판과 이동 형판을 각각 타이바와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금형이 부착되는 중심 플레이트 및 보조 플레이트들로 분할하여 각각의 플레이트 사이에 변형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금형과 중심 플레이트 및 보조 플레이트들을 고르게 밀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형체 장치{Clam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출 성형기의 형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기의 형체 장치는 크게 유압 실린더에 의한 직압 방식, 링크 기구를 이용한 토글 방식 및 기계적인 잠금 기구와 유압을 복합한 잠금 방식으로 구분된다.
도 1은 통상적인 토글 방식의 형체 장치에 있어서,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형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통상적인 토글 방식의 형체 장치에 있어서,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형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출 성형기는 크게 사출 장치와 형체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형체 장치는 금형의 개폐 동작 즉, 형개 및 형폐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형체 장치의 형폐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금형 내로 소정의 용융 재료가 사출되는데, 이때 고압의 용융 재료에 의해 금형이 열리지 않도록 금형이 강력하게 체결되어야 한다.
통상적인 토글 방식의 형체 장치(1)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형판(10)과 이동 형판(20)이 구비되며, 고정 형판(10)과 이동 형판(20)의 마주보는 면상에는 제1 금형(11)과 제2 금형(21)이 구비된다. 고정 형판(10)과 이동 형판(20)은 타이바(60)를 매개로 연결된다
한편, 이동 형판(20)은 링크부(30)와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형판(20)의 후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러그(22)가 구비되고 각각의 러그(22)의 단부에는 링크 홈이 구비되며 링크 홈의 내에는 링크 핀(43)이 장착되며, 링크부(30)의 제1 링크(31)의 일단이 상기 링크 핀(43)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링크부(3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 형판(20)의 전후 이동 및 금형(11)(21)들의 체결 여부가 진행된다.
아래에서는 링크부(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30)는 이동 형판(20)의 러그(22)에 연결되는 제1 링크(31)와, 제1 링크(31)에 연결되는 제2 링크(32)를 구비하며, 제1 링크(31)는 이동 형판(20)의 러그(22)에 연결되고 제2 링크(32)는 리어 플레이트(34)의 러그(37)에 연결되며 제1 링크(31)와 제2 링크(32)가 연결되도록 제1 링크(31)와 제2 링크(32)의 양단에는 대응하는 구성의 러그와 정합하는 러그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링크(32)의 측부에는 제3 링크(33)가 연결되며 제3 링크(33)는 크로스 헤드(53)에 연결된다. 크로스 헤드(53)는 리어 플레이트(34)를 관통하여 스크류(50)에 체결되고 스크류(50)는 서보 모터(51)와 연결된다.
따라서, 서보 모터(51)가 회전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헤드(53)가 스크류(50)를 따라 전진 이동하게 되면서 제3 링크(33)는 스크류(50)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2 링크(32)와 제1 링크(31)는 스크류(50)와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작동하면서 이동 형판(20)을 전방 즉 고정 형판(10) 쪽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서보 모터(51)가 회전하여 크로스 헤드(53)가 스크류(50)를 따라 후진 이동하면 역순으로 링크부(30)가 작동하면서 이동 형판(20)이 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상적인 토글 방식의 형체 장치(1)에 의하면, 링크부(30)로부터 전달되는 형체력이 링크부(30)와 연결된 러그(22)가 마련된 이동 형판(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고정 형판(10)과 이동 형판(20)은 각각 상단부와 하단부가 타이바(60)에 의하여 관통되거나 타이바(60)와 연결되므로, 이로 인해 고정 형판(10)과 이동 형판(20)은 각각 타이바(60)와 연결되거나 타이바(60)에 의하여 관통된 상단부와 하단부를 기준으로 변형된다.
이러한 고정 형판(10)과 이동 형판(20)의 변형률은, 고정 형판(10)과 이동 형판(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가장 멀리 이격된 고정 형판(10)과 이동 형판(20)의 중심부에서 최대가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제1 금형(11)과 제2 금형(21)은 고정 형판(10)과 이동 형판(20)의 중심부에 부착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토글 방식의 형체 장치(1)는, 고정 형판(10)과 이동 형판(20)의 변형으로 인해 제1 금형(11)과 제2 금형(21)이 밀착되지 못하여, 링크부(30)의 형체력이 제1 금형(11)과 제2 금형(21)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 형판에 부착된 제1 금형과 이동 형판에 부착된 제2 금형이 고르게 밀착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형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형체 장치는, 제1 금형이 부착되는 고정 형판; 상기 제1 금형과 대면하도록 제2 금형이 부착되는 이동 형판; 및 상기 이동 형판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고정 형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 형판을 관통하는 타이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형판은, 상기 타이바와 연결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금형과 근접 또는 상기 이동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은 각각, 상기 제1 금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가 나머지 제1 가동 플레이트보다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은, 제1 중심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중심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보조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금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중심 플레이트가 상기 복수의 제1 보조 플레이트들보다 이동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중심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가 나머지 제1 보조 플레이트보다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제1 중심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1 중심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제1 보조 플레이트는 각각, 고리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중심 플레이트 또는 어느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형판은,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을 각각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이동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1 가동 부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부재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일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제1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부재들은 각각, 상기 제1 안내부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안내부를 매개로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를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이동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제1 가동 플레이트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안내부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 형판은, 상기 타이바가 관통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고정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은 각각, 상기 제2 금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가 나머지 제2 가동 플레이트보다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은,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보조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금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가 상기 복수의 제2 보조 플레이트들보다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플레이트가 나머지 제2 보조 플레이트보다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제2 보조 플레이트들은 각각, 고리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보조 플레이트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 형판은,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을 각각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고정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 가동 부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부재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일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제2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부재들은 각각, 상기 제2 안내부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제2 안내부를 매개로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를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고정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제2 가동 플레이트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안내부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형체 장치는, 제1 금형이 부착되는 고정 형판; 상기 제2 금형과 대면하도록 상기 제2 금형이 부착되는 이동 형판; 및 상기 이동 형판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고정 형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 형판을 관통하는 타이바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형판은, 상기 타이바가 관통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고정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은 각각, 상기 제2 금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가 나머지 제2 가동 플레이트보다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형판은, 상기 타이바와 연결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이동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은 각각, 상기 제1 금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가 나머지 제1 가동 플레이트보다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고정 형판과 이동 형판을 각각 타이바와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금형이 부착되는 중심 플레이트 및 보조 플레이트들로 분할하여 각각의 플레이트 사이에 변형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고정 형판에 부착된 제1 금형과 이동 형판에 부착된 제2 금형을 고르게 밀착시킬 수 있다.
둘째, 고정 형판과 이동 형판의 중심 플레이트 및 보조 플레이트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금형의 크기에 따라 최소한의 플레이트만이 금형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중심 플레이트 및 보조 플레이트들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고정 형판에 부착된 제1 금형과 이동 형판에 부착된 제2 금형을 더욱 고르게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토글 방식의 형체 장치에 있어서,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형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통상적인 토글 방식의 형체 장치에 있어서,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형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고정 형판과 이동 형판에 각각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부착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고정 형판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이동 형판의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3의 고정 형판과 이동 형판에 각각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부착한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4의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형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고정 형판과 이동 형판에 각각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부착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고정 형판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이동 형판의 정면도이며, 도 7 및 도 8는 도 3의 고정 형판과 이동 형판에 각각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부착한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체 장치는, 제1 금형(116)(117)이 부착되는 고정 형판(110); 제1 금형(116)(117)과 대면하도록 제2 금형(126)(127)이 부착되는 이동 형판(120); 상기 이동 형판(1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고정 형판(110)과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 형판(120)을 관통하는 타이바(60); 이동 형판(120)을 고정 형판(110)과 근접 또는 고정 형판(11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따른 형체 장치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유압 실린더에 의한 직압 방식, 링크 기구를 이용한 토글 방식 및 기계적인 잠금 기구와 유압을 이용한 복합한 잠금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링크 기구를 이용한 토글 방식에 따른 구조를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체 장치는, 상술한 통상적인 토글 방식의 형체 장치(1)와 비교하여, 고정 형판(110)과 이동 형판(120)의 구조가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서로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술한 통상적인 토글 방식의 형체 방치와 동일한 구성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하게만 언급하고, 상술한 통상적인 토글 방식의 형체 장치와 구조가 다른 고정 형판(110)과 이동 형판(12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 형판(110)은, 일측면에 제1 금형(116)(117)이 부착되는 부재이다. 고정 형판(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타이바(60)와 연결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1),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금형(116)(117)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을 각각 이동 형판(120)과 근접 또는 이동 형판(1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1 가동 부재(115)들을 포함한다.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 플레이트들로서, 제1 중심 플레이트(112), 및 제1 중심 플레이트(112)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가동 플레이트들로서 하나의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복수의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들이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각각의 타이바(60)가 관통되는 복수의 제1 타이바홀(111a)들,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들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설치홈(111b), 및 후술할 각각의 제1 안내부(115a)가 관통되는 복수의 제1 안내홀(111c)들을 포함한다.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 형태를 가진다. 각각의 제1 타이바홀(111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대응되는 각각의 타이바(6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모서리부들에 각각 마련된다. 각각의 타이바(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대응되는 제1 타이바홀(111a)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그 단부에 마련된 타이바 헤드(60a)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배면에 지지되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연결된다.
제1 설치홈(111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정면이 미리 정해진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들의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각각의 제1 안내홀(111c)은 이와 대응되는 제1 안내부(115a)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1 설치홈(111b)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된다.
제1 중심 플레이트(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치홈(111b)의 중심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심 플레이트(112)를 중심에 두고 제1 설치홈(111b)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는, 고리 형상을 갖고, 제1 중심 플레이트(112) 또는 어느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113)를 둘러싸도록 제1 설치홈(111b)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들은 각각, 제1 중심 플레이트(112) 또는 어느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113)를 둘러쌀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고리 형상을 갖는 것이다.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들은 각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1 안내부(115a)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배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홀(112a)(113a)(114a)을 구비한다.
또한,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들은 각각, 제1 금형(116)(117)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들의 배치 양상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가동 부재(115)는,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들을 이동 형판(120)과 근접 또는 이동 형판(1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제1 가동 부재(115)는,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들을 개별적으로 각각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마련된다.
각각의 제1 가동 부재(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대응되는 제1 중심 플레이트(112) 또는 어느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일단이 제1 중심 플레이트(112) 또는 어느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와 연결되고 타단이 이와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제1 안내홀(111c)을 관통하는 제1 안내부(115a), 및 제1 안내홀(111c)을 관통한 제1 안내부(115a)의 타단과 결합되어 제1 안내부(115a)를 매개로 이와 대응되는 제1 중심 플레이트(112) 또는 어느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를 이동 형판(120)과 근접 또는 이동 형판(1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115b)를 포함한다.
제1 안내부(115a)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안내부(115a)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1 안내부(115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선단부가 제1 중심 플레이트(112) 또는 어느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의 나사홀(112a)(113a)(114a)에 나사 결합되고 후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1 안내홀(111c)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제1 구동부(115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며, 제1 안내홀(111c)을 관통한 제1 안내부(115a)의 후단부와 결합된다. 제1 구동부(115b)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구동부(115b)는, 제1 안내부(115a)의 후단부와 축 결합되어 제1 안내부(115a)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동부(115b)는 제1 안내부(115a)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제1 안내부(115a)를 매개로 이와 대응되는 제1 중심 플레이트(112) 또는 어느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를 이동 형판(120)과 근접 또는 이동 형판(1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구동부(115b)를 이용하여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작업자가 직접 각각의 제1 안내부(115b)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각각의 제1 안내부(115a)와 대응되는 제1 중심 플레이트(112) 또는 어느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를 이동 형판(120)과 근접 또는 이동 형판(1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1 금형(116)(117)의 크기에 따라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들의 배치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형(116)의 크기가 제1 중심 플레이트(112)의 크기 이하인 경우에는 제1 중심 플레이트(112)는 이동 형판(120)과 근접되도록 배치하고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들은 이동 형판(120)과 이격되도록 배치한 후 제1 금형(116)을 제2 금형(126)과 대면하도록 제1 중심 플레이트(112)의 일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금형(116)은 제1 중심 플레이트(11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형(117)의 크기가 제1 중심 플레이트(112)의 크기보다 크고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의 합산 크기 이하인 경우에는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는 이동 형판(120)과 근접되도록 배치하고 나머지 제1 보조 플레이트(114)는 이동 형판(120)과 이격되도록 배치한 후 제1 금형(117)을 제2 금형(127)과 대면하도록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의 일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를 각각 제1 금형(117)과 밀착시키기 위하여 제1 금형(117)이 부착되는 제1 중심 플레이트(112)의 일측면과 제1 보조 플레이트(113)의 일측면이 서로 동일한 라인 상에 위치하도록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가 배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면, 제1 금형(117)은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제1 금형(117)의 크기가 제1 중심 플레이트(112)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 제1 보조 플레이트들(113)(114)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함께 제1 금형(117)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형(117)의 크기가 제1 중심 플레이트(112)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도, 제1 중심 플레이트(112)만이 제1 금형(117)을 지지하도록 제1 보조 플레이트들(113)(114)들을 제1 중심 플레이트(112)보다 이형 형판(12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형판(120)은, 일측면에 제1 금형(116)(117)과 대면하도록 제2 금형(126)(127)이 부착되는 부재이다. 이동 형판(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타이바(60)가 관통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1),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금형(126)(127)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을 각각 고정 형판(110)과 근접 또는 고정 형판(1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 가동 부재(125)들을 포함한다.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동 플레이트들로서, 제2 중심 플레이트(122), 및 제2 중심 플레이트(122)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가동 플레이트들로서 하나의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복수의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들이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1)는, 각각의 타이바(60)가 관통되는 복수의 제2 타이바홀(121a)들,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들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설치홈(121b), 후술할 각각의 제2 안내부(125a)가 관통되는 복수의 제1 안내홀(111c)들, 링크부(30)의 제1 링크(31)와 연결되는 복수의 러그(121d)를 포함한다.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 형태를 갖는다. 각각의 제2 타이바홀(121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대응되는 각각의 타이바(6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모서리부들에 각각 마련된다. 각각의 타아바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대응되는 제2 타이바홀(121a)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제2 설치홈(121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대면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정면이 미리 정해진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들의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각각의 제2 안내홀(121c)은 이와 대응되는 제2 안내부(125a)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2 설치홈(121b)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된다. 각각의 러그(121d)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30)의 제1 링크(31)와 연결되도록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1) 후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다.
제2 중심 플레이트(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설치홈(121b)의 중심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심 플레이트(122)를 중심에 두고 제2 설치홈(121b)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는, 고리 형상을 갖고, 제2 중심 플레이트(122)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보조 플레이트(123)를 둘러싸도록 제2 설치홈(121b)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들은 각각, 제2 중심 플레이트(122)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보조 플레이트(123)를 둘러쌀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고리 형상을 갖는 것이다.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들은 각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2 안내부(125a)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배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홀(122a)(123a)(124a)을 구비한다.
또한,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들은 각각, 제2 금형(126)(127)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들의 배치 양상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가동 부재(125)는,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들을 고정 형판(110)과 근접 또는 고정 형판(1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제2 가동 부재(125)는,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들을 개별적으로 각각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마련된다.
각각의 제2 가동 부재(1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대응되는 제2 중심 플레이트(122)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일단이 제2 중심 플레이트(122)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와 연결되고 타단이 이와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제2 안내홀(121c)을 관통하는 제2 안내부(125a), 및 제2 안내홀(121c)을 관통한 제2 안내부(125a)의 타단과 결합되어 제2 안내부(125a)를 매개로 이와 대응되는 제2 중심 플레이트(122)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를 고정 형판(110)과 근접 또는 고정 형판(1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125b)를 포함한다.
제2 안내부(125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 형상을 갖는다. 제2 안내부(125a)는, 나사산이 형성된 선단부가 제2 중심 플레이트(122)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의 나사홀(122a)(123a)(124a)에 나사 결합되고 후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2 안내홀(121c)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제2 구동부(125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며, 제2 안내홀(121c)을 관통한 제2 안내부(125a)의 후단과 결합된다. 제2 구동부(125b)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구동부(125b)는, 제2 안내부(125a)의 후단과 축 결합되어 제2 안내부(125a)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구동부(125b)는 제2 안내부(125a)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제2 안내부(125a)를 매개로 이와 대응되는 제2 중심 플레이트(122)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를 고정 형판(110)과 근접 또는 고정 형판(1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구동부(125b)를 이용하여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작업자가 직접 각각의 제2 안내부(125a)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각각의 제2 안내부(125a)와 대응되는 제2 중심 플레이트(122) 또는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를 고정 형판(110)과 근접 또는 고정 형판(1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2 금형(126)(127)의 크기에 따라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들의 배치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형(126)의 크기가 제2 중심 플레이트(122)의 크기 이하인 경우에는 제2 중심 플레이트(122)는 고정 형판(110)과 근접되도록 배치하고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들은 고정 형판(110)과 이격되도록 배치한 후 제2 금형(126)을 제1 금형(116)과 대면하도록 제2 중심 플레이트(122)의 일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금형(126)은 제1 중심 플레이트(11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형(127)의 크기가 제1 중심 플레이트(112)의 크기보다 크고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의 합산 크기 이하인 경우에는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는 고정 형판(110)과 근접되도록 배치하고 나머지 제2 보조 플레이트(124)는 고정 형판(110)과 이격되도록 배치한 후 제2 금형(127)을 제1 금형(117)과 대면하도록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의 일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를 각각 제2 금형(127)과 밀착시키기 위하여 제2 금형(127)이 부착되는 제2 중심 플레이트(122)의 일측면과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의 일측면이 서로 동일한 라인 상에 위치하도록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가 배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면, 제2 금형(127)은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제2 금형(127)의 크기가 제2 중심 플레이트(122)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 제2 보조 플레이트들(123)(124)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함께 제2 금형(127)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형(127)의 크기가 제2 중심 플레이트(122)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도, 제2 중심 플레이트(122)만이 제2 금형(127)을 지지하도록 제2 보조 플레이트들(123)(124)을 제2 중심 플레이트(122)보다 고정 형판(11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형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1 금형(116) 및 제2 금형(126)이 각각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체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들을 구비한 고정 형판(110)과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들을 구비한 이동 형판(120)을 타이바(60)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심 플레이트(112)를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들보다 이동 형판(120)과 근접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이동 형판(120) 쪽을 향하는 제1 중심 플레이트(112)의 일측면에 제1 금형(116)을 부착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중심 플레이트(122)를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들보다 고정 형판(110)과 근접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 형판(110) 쪽을 향하는 제2 중심 플레이트(122)의 일측면에 제2 금형(126)을 제1 금형(116)과 대면하도록 부착한다.
이후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30)를 구동하여 제1 금형(116)과 제2 금형(126)이 형폐되도록 이동 형판(120)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체 장치의 고정 형판(110)과 이동 형판(120)은, 타이바(60)와 연결 또는 타이바(60)가 관통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121)와, 금형이 부착되는 중심 플레이트(112)(122) 및 보조 플레이트(113)(114)(123)(124)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독립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링크부(30)로부터 제공되는 형체력으로 인하여 각각의 플레이트들(111~114, 121~124)에 발생한 변형이 다른 플레이트들(111~114, 121~124)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금형(116)(117)(126)(127)이 부착되는 중심 플레이트(112)(122)와 보조 플레이트(113)(114)(123)(124)들의 변형률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체 장치는, 제1 중심 플레이트(112)와 제1 보조 플레이트(113)(114)에 부착된 제1 금형(116)(117)과 제2 중심 플레이트(122)와 제2 보조 플레이트(123)(124)에 부착된 제2 금형(126)(127)을 고르게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링크부(30)의 형체력을 제1 금형(116)(117)과 제2 금형(126)(127)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고정 형판 20 : 이동 형판
11 : 제1 금형 21 : 제2 금형
30 : 링크부 43 : 링크 핀
50 : 스크류 60 : 타이바
110 : 고정 형판 111 : 제1 베이스 플레이트
112 : 제1 중심 플레이트 113, 114 : 제1 보조 플레이트
115 : 제1 가동 부재 116, 117 : 제1 금형
120 : 이동 형판 121 : 제2 베이스 플레이트
122 : 제2 중심 플레이트 123, 124 : 제2 보조 플레이트
125 : 제2 가동 부재 126, 127 : 제2 금형

Claims (16)

  1. 제1 금형이 부착되는 고정 형판;
    상기 제1 금형과 대면하도록 제2 금형이 부착되는 이동 형판; 및
    상기 이동 형판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고정 형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 형판을 관통하는 타이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형판은,
    상기 타이바와 연결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이동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은 각각, 상기 제1 금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가 나머지 제1 가동 플레이트보다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은,
    제1 중심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중심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보조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금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중심 플레이트가 상기 복수의 제1 보조 플레이트들보다 이동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중심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가 나머지 제1 보조 플레이트보다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제1 중심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1 중심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보조 플레이트는 각각, 고리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중심 플레이트 또는 어느 하나의 제1 보조 플레이트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형판은,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을 각각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이동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1 가동 부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부재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일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제1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부재들은 각각,
    상기 제1 안내부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안내부를 매개로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를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이동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제1 가동 플레이트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안내부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형판은,
    상기 타이바가 관통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고정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은 각각, 상기 제2 금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가 나머지 제2 가동 플레이트보다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은,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보조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금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가 상기 복수의 제2 보조 플레이트들보다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플레이트가 나머지 제2 보조 플레이트보다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보조 플레이트들은 각각, 고리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중심 플레이트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보조 플레이트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형판은,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을 각각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고정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 가동 부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부재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일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제2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부재들은 각각,
    상기 제2 안내부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제2 안내부를 매개로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를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고정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제2 가동 플레이트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안내부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15. 제1 금형이 부착되는 고정 형판;
    상기 제2 금형과 대면하도록 상기 제2 금형이 부착되는 이동 형판; 및
    상기 이동 형판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고정 형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 형판을 관통하는 타이바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형판은,
    상기 타이바가 관통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고정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플레이트들은 각각, 상기 제2 금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가 나머지 제2 가동 플레이트보다 상기 고정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동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형판은,
    상기 타이바와 연결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 또는 상기 이동 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 가동 플레이트들은 각각, 상기 제1 금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가 나머지 제1 가동 플레이트보다 상기 이동 형판과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동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KR1020150008123A 2015-01-16 2015-01-16 형체 장치 KR20160088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123A KR20160088705A (ko) 2015-01-16 2015-01-16 형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123A KR20160088705A (ko) 2015-01-16 2015-01-16 형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705A true KR20160088705A (ko) 2016-07-26

Family

ID=5668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123A KR20160088705A (ko) 2015-01-16 2015-01-16 형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87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6953B2 (ja) 型締装置及び射出成形機
WO2006115141A1 (ja) 型締装置、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方法
US10543632B2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10710290B2 (en) Mold platen, mold clamping device, injection molding device
JP2007167922A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における離型剤のスプレイ方法及びその装置
JP4988027B2 (ja) 射出成形機
US10207441B2 (en) Molding die and die-exchanging method
KR20160088705A (ko) 형체 장치
JPH11170322A (ja) 型締装置
JP5620245B2 (ja) トグル式型締装置
JP4641556B2 (ja) 射出成形機のトグル式型締装置
KR20160026669A (ko) 사출성형기
JP5394802B2 (ja) 射出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装置
JP2870630B2 (ja) 成形装置
KR100696026B1 (ko) 사출 성형기의 복합식 형체 장치
JP4229456B2 (ja) 射出成形機のトグル式型締装置
JP2010012623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3201572B2 (ja) ホットランナを有する射出成形装置及び金型交換方法
JP7348158B2 (ja) 射出成形金型
EP2796267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H0857897A (ja) 複数の成形型及び単一の射出ユニット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材料の射出成形機
JPH07195415A (ja) 射出成形機
JP2012086379A (ja) 射出成形用金型の調整方法及び金型装置
JP3524897B2 (ja) 導光板成形用の金型
JP6841579B1 (ja) 竪型射出成形機のエジェ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