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305A - Adhesive tape structure and adhesive tape container - Google Patents

Adhesive tape structure and adhesive tap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305A
KR20160088305A KR1020167012898A KR20167012898A KR20160088305A KR 20160088305 A KR20160088305 A KR 20160088305A KR 1020167012898 A KR1020167012898 A KR 1020167012898A KR 20167012898 A KR20167012898 A KR 20167012898A KR 20160088305 A KR20160088305 A KR 20160088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tape
adhesive
adhesive tap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8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1382B1 (en
Inventor
가즈노리 하마자키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8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3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C09J7/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1/00Apparatus for splicing webs
    • C09J7/029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7Photovoltaic element manufacture, e.g. solar pan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원단이나 접착제의 도포 기구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접착 테이프의 대폭적인 장척화를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필름(20) 위에 접착제층(21)과 박리 커버 필름(22)을 순차 설치한 복수의 접착 테이프(2)가, 연결 기재(30) 위에 점착제층(31)과 박리 필름(32)을 순차 설치한 연결 테이프(3)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접착 테이프(2)의 베이스 필름(20)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3)의 연결 기재(30)의 단부가 기재측 접착 부재(41)에 의해 접착되고,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의 단부가 박리측 접착 부재(42)에 의해 접착되어, 박리 커버 필름(22)과 박리 필름(32)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착 테이프(2)의 필름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박리 방향 상류측을 향해 협폭으로 형성된 박리 보조용의 트리거부(2A)가 설치되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capable of achieving a significant elongation of an adhesive tape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applicator of the fabric or the adhesive. A plurality of adhesive tapes 2 in which the adhesive layer 21 and the peeling cover film 22 are successively provided on the base film 20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the connecting substrate 30 with the adhesive layer 31 and the peeling film 32 are sequential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tape 3. The end portion of the base film 20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substrate 30 of the connecting tape 3 are adhered by the substrate side adhesive member 41, The end portion of the peeling film 22 and the end portion of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are adhered by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so that the peeling cover film 22 and the peeling film 32 are integrally peeled . At the end of the adhesive tape 2 on the upstream side in the film peeling direction, there is provided a stripping aid 2A for stripping assistance which is narrowed toward the upstream side in the stripping direction.

Description

접착 테이프 구조체 및 접착 테이프 수용체{ADHESIVE TAPE STRUCTURE AND ADHESIVE TAPE CONTAIN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tape structure,

본 발명은 태양 전지의 탭선 접합용 등의 접착 테이프를 장척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elongating an adhesive tape for joining a tap line of a solar cell or the like.

종래부터 다양한 전자 부품 등을 접착하기 위한 장척의 접착 테이프가 알려져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long adhesive tape for adhering various electronic parts and the like is known.

이와 같은 접착 테이프는 협폭이고 장척인 박리 시트 위에 형성되고, 릴에 롤상으로 권취한 형태로 출하되고 있다.Such an adhesive tape is formed on a narrow and elongated release sheet, and is shipped in a roll-wound form on a reel.

그리고, 제조 현장에서는, 릴로부터 접착 테이프를 인출하여 사용하고, 접착 테이프를 다 사용하면, 일단 제조 라인을 정지하고 릴마다 접착 테이프를 교환하고 있다.At the manufacturing site, when an adhesive tape is drawn out from a reel and used, and when the adhesive tape is used up, the production line is once stopped and the adhesive tape is changed for each reel.

그러나, 접착 테이프의 길이가 짧으면, 릴 교환마다 제조 라인을 정지할 필요가 있어, 생산 효율을 저하시켜 버린다.However, if the length of the adhesive tape is short, it is necessary to stop the production line every time the reel is exchanged, thereby lower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따라서, 최근, 하나의 릴에 권취 가능한 접착 테이프의 길이를 가능한 한 길게 하는, 소위 「장척화」가 요망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so-called " lengthening " in which the length of the adhesive tape that can be wound on one reel is made as long as possible.

그러나, 접착 테이프를 장척화하려고 하면, 접착제를 도포하는 원단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도포 기구의 권출ㆍ권취부를 대형화하는 등의 대응을 취할 필요가 있고, 또한 접착 테이프의 도포 두께를 균일하게 제어해야만 하는 등, 대폭적인 장척화에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lengthen the adhesive tape,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such as lengthening the length of the cloth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or enlarging the winding and winding portion of the application mechanism. Further, And there was a limit to the drastically long period.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선행 기술문헌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The prior art docu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or example, the following.

일본 특허 공개 제2011-5206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1-52061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기존의 원단이나 접착제의 도포 기구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접착 테이프의 대폭적인 장척화를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achieving a significantly long adhesive tape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applicator of the fabric or the adhesiv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 위에 접착제층과 박리 커버 필름이 순차 설치된 복수의 접착 테이프가, 연결 기재 위에 점착제층과 박리 필름이 순차 설치된 연결 테이프를 통해 연결된 접착 테이프 구조체이며, 상기 접착 테이프의 베이스 필름의 단부와, 상기 연결 테이프의 연결 기재의 단부가 기재측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됨과 함께, 상기 접착 테이프의 박리 커버 필름의 단부와, 상기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의 단부가 박리측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어, 당해 박리 커버 필름과 당해 박리 필름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착 테이프의 필름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당해 박리 방향 상류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박리 보조용의 트리거부가 설치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hesive tap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adhesive tapes sequentially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and a peeling cover film on a base film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ng tape sequentially provided with a pressure- The end portion of the base film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substrate of the connecting tape are adhered by the substrate side adhesive member and the end portion of the peeling cover film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end portion of the peeling film of the connecting tape are peeled off And the peeling cover film and the peeling film are integrally pee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e, and at the en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a width An adhesive tape provided with a stripping assistant tree rejecting member formed to be narrowed A crude product.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 테이프의 필름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당해 박리 방향 상류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박리 보조용의 트리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effective in the case where the peeling assist triad is provided at the en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lm peel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tape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 테이프의 트리거부와 상기 연결 테이프의 트리거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첨예 선단부를 갖는 경우에도 효과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effective when either or both of the tree rejec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tree rejection of the connecting tape has a sharp tip.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 테이프의 트리거부와 상기 연결 테이프의 트리거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대해, 당해 첨예 선단부가, 당해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폭 방향에 관하여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effective in the case where the sharp tip portion is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with respect to either or both of the tree rejec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tree rejection of the connecting tap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 테이프의 연결 기재가 비투광성의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효과적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effective when the connecting substrate of the connecting tape is made of a non-transmitting material.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당해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테이프 폭보다 폭이 넓은 플랜지 간격을 갖는 릴 부재에 트래버스 권취로 권취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수용체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dhesive tape receiver in which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adhesive tape structures is wound around a reel member having a flange interval that is wider than the tape width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by traverse winding.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접착 테이프의 베이스 필름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의 연결 기재의 단부가 기재측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됨과 함께, 접착 테이프의 박리 커버 필름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의 단부가 박리측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어, 박리 커버 필름과 박리 필름이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접착용 테이프로서의 기본적인 구성 및 기능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고, 기존의 부착 장치를 사용하여 피착체에 대해 연속적으로 접착제를 부착할 수 있다.The adhesive tap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ortion of the base film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substrate of the connecting tape are bonded by the base side adhesive member and the end portion of the peeling cover film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peeling cover film and the peeling film are integrally peeled off. Therefore, the basic structure and function as the adhesive tap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one, Adhesive can be continuously attached to the complex.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원단이나 접착제의 도포 기구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접착 테이프의 대폭적인 장척화를 달성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extremely long adhesive tape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applicator of the fabric or the adhesi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의 필름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당해 박리 방향 상류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박리 보조용의 트리거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박리측 접착 부재가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폭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접착된 경우라도,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과 접착 테이프의 박리 커버 필름을 박리할 때에, 접착 테이프의 박리 커버 필름을 확실하게 일체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eeling assistant triad is provided at the en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film peel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The peeling cover film of the adhesive tape can be reliably and integrally peeled off when the peeling film of the connecting tape and the peeling cover film of the adhesive tape are peeled off.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 테이프의 필름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당해 박리 방향 상류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박리 보조용의 트리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박리측 접착 부재가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폭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접착된 경우라도,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과 접착 테이프의 박리 커버 필름을 박리할 때에,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을 확실하게 일체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peeling assistant triad is provided at the en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film peel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tape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The peeling film of the connecting tape can be reliably and integrally peeled off when peeling the peeling film of the connecting tape and the peeling cover film of the adhesive tape.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의 트리거부와 연결 테이프의 트리거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첨예 선단부를 갖는 경우에는, 박리측 접착 부재를 떼어낼 때에 트리거부의 첨예 선단부를 약간의 힘에 의해 박리할 수 있으므로, 이 첨예 선단부를 트리거로 하여 박리 커버 필름 또는 박리 필름을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원활하게 떼어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either or both of the tree rejec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tree rejection of the connecting tape has a sharp tip, when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is removed, the sharp tip of the tree rejection is peeled off with a slight force The peeling cover film or the peeling film can be smoothly peele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by using the pointed tip portion as a trigger.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의 트리거부와 연결 테이프의 트리거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대해, 첨예 선단부가,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폭 방향에 관하여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박리측 접착 부재가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폭 방향에 관하여 어떤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에도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pointed tip portion is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with respect to either or both of the tree rejec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tree rejection of the connecting tape, It is possible to surely peel off the tape structure even if it deviates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tape struc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 테이프의 연결 기재가 비투광성의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광 센서에 의해 연결 기재를 검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연결 테이프의 부분을 스킵하면서 피착체에 대해 연속적으로 접착제를 부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connecting substrate of the connecting tape is made of a non-transmitting material, the connecting substrate can be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whereby the adhesive is continuously attached to the adherend while skipping the portion of the connecting tape can do.

한편, 상술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당해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테이프 폭보다 폭이 넓은 플랜지 간격을 갖는 릴에 트래버스 권취로 권취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 수용체에 의하면, 매우 장척인 접착 테이프 구조체를 권취하여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접착 테이프의 부착 공정에 있어서, 릴을 빈번하게 교환할 필요가 없어, 생산 효율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adhesive tape recepta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mentioned adhesive tape structure is wound around a reel having a flange interval that is wider than the tape width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by traverse winding, a very long adhesive tape structure is woun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frequently change the reel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adhesive tape,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실시 형태의 측면 구성도이고, (b)는 상기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 구성도이고, (c)는 상기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를 사용하여 접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피착체에 열 압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 (b)는 상기 접착 테이프 구조체로부터 접착 테이프의 박리 커버 필름과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과제를 도시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트리거부를 갖는 접착 테이프와, 트리거부를 갖는 연결 테이프를 조합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수용체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b), (c)는 릴 부재의 와인딩 코어축부에 권취된 접착 필름의 간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Fig. 1 (a)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b) is a sid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connecting por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ep of thermocompression bonding an adhesive layer of an adhesive tape to an adherend using the adhesive tap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3 (a) and 3 (b)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eling cover film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peeling film of the connecting tape are peeled from the adhesive tape structure.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to 5 (d)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to 6 (d)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dhesive tape structure obtained by combining an adhesive tape having a tree rejection and a connecting tape having a tree rejection.
8 (a) to 8 (d)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film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B and 9C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intervals of the adhesive films wound around the winding core shafts of the reel members; to b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실시 형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의 (b)는 상기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의 (c)는 상기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Fig. 1 (a) is a side view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n adhesive tap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b) is a sid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Fig.

본 실시 형태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1)는 복수의 접착 테이프(2)가, 각각 연결 테이프(3)를 통해 직선상으로 연결된 일련의 장척의 것이다.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eries of elongated pieces of a plurality of adhesive tapes 2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hrough the connecting tape 3, respectively.

여기서, 접착 테이프(2)는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베이스 필름(20) 위에 접착제층(21)과 박리 커버 필름(22)이 순차 전체면에 설치된, 소위 3층 구조의 것이다.Here, the adhesive tape 2 has the same constitution, and has a so-called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an adhesive layer 21 and a peeling cover film 22 are sequentially provided on the entire surface on the base film 20.

한편, 연결 테이프(3)는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연결 기재(30) 위에 점착제층(31)과 박리 필름(32)이 순차 전체면에 설치된, 소위 3층 구조의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tapes 3 have the same constitution, and have a so-called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an adhesive layer 31 and a peeling film 32 are sequentially provid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onnecting substrate 30.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연결 테이프(3)는 접착 테이프(2)보다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접착 테이프(2)의 길이, 각 연결 테이프(3)의 길이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tape 3 is configured to be shorter than the adhesive tape 2 in length. The length of each adhesive tape 2 and the length of each connecting tape 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접착 테이프(2)의 베이스 필름(20)의 단부의 상면(접착제층(21)과 반대측의 면)과, 연결 테이프(3)의 연결 기재(30)의 단부의 상면(점착제층(31)과 반대측의 면)은 각각 기재측 접착 부재(41)에 의해 접착 연결되어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end of the base film 20 of the adhesive tape 2 (the surface opposite to the adhesive layer 2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substrate 30 (the pressure- Side surface) are adhered and connected by the base-side adhesive member 41, respectively.

또한,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의 단부의 상면(접착제층(21)과 반대측의 면)과,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의 단부의 상면(점착제층(31)과 반대측의 면)은 박리측 접착 부재(42)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the surface opposite to the adhesive layer 2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31) are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접착 테이프(2)의 베이스 필름(20)은, 예를 들어 PET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base film 20 of the adhesive tape 2, for example, one containing PET may be used.

이 베이스 필름(2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재료 강도의 확보와 권취 직경을 크게 하지 않는 관점에서는, 10 내지 100㎛의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material strength and increasing the winding diameter, a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10 to 100 mu m can be suitably used.

또한, 베이스 필름(20)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각종 전자 부품을 확실하게 덮는 관점에서는, 200 내지 5000㎛의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base film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reliably covering various electronic parts, those having a thickness of 200 to 5000 mu m can be suitably used.

또한, 베이스 필름(20)의 상면은,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에 의한 박리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Fur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20 may be subjected to a peeling treatment with, for example, a silicone resin.

접착 테이프(2)의 접착제층(21)은 통상의 접착용 테이프의 접착제에 사용하는 수지, 특히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어, 에폭시계 수지, 페녹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를 사용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21 of the adhesive tape 2 may be a resin used for an adhesive of a usual adhesive tape, particularly a thermosetting resin (for example, epoxy resin, phenoxy resin, urethane resin, etc.).

이 접착제층(2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각종 전자 부품의 높이에 편차가 있는 단자를 확실하게 접속하는 관점에서는, 10 내지 100㎛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thickness to 10 to 100 占 퐉 from the viewpoint of reliable connection of the terminal having a variation in the height of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은 접착제층(21)을 보호하는 것이고, 사용 시에는 박리되는 것이다.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protects the adhesive layer 21 and is peeled off in use.

이 박리 커버 필름(22)은, 예를 들어 PET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peeling cover film 22, for example, a film containing PET may be used.

본 발명의 경우, 박리 커버 필름(2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재료 강도의 확보와 권취 직경을 크게 하지 않는 관점에서는, 10 내지 100㎛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peeling cover film 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material strength and increasing the winding diameter,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thickness to 10 to 100 mu m.

그리고, 상술한 접착 테이프(2)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사용 시에 스킵의 횟수를 적게 하는 것 및 접착 테이프(2)의 도포 설비의 최대 도포 길이를 고려하면, 50 내지 1000m의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above-described adhesive tape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number of skips during use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and to consider the maximum application length of the application equipment of the adhesive tape 2 , Those of 50 to 1000 m can be suitably used.

한편, 연결 테이프(3)의 연결 기재(30)로서는, 광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한 비투광성의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connecting substrate 30 of the connecting tape 3, a material made of a non-transmitting material which can be detected by an optical sensor can be used.

이와 같은 연결 기재(30)로서는, 예를 들어 PET를 포함하는 수지 중에, 예를 들어 흑색의 필러(충전재)를 분산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such a connecting substrate 30, for example, a resin in which a black filler (filler) is dispersed in a resin containing PET may be used.

연결 기재(3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테이프(2)의 베이스 필름(20)과 동등한 두께를 확보함으로써, 권취 시에 단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10 내지 100㎛의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substrate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tape 2 is equal to that of the base film 20 so that the thickness is 10 to 100 mu m It can be used properly.

한편, 연결 기재(30)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원활한 권취, 인출 및 주행을 행하는 관점에서는, 접착 테이프(2)의 베이스 필름(20)의 폭과 동등해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connecting substrate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equal to the width of the base film 20 of the adhesive tape 2 from the viewpoint of smooth winding, drawing, and running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t is preferable to set it so that

연결 테이프(3)의 점착제층(31)은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을 원활하게 박리하기 위한 것이다.The adhesive layer 31 of the connecting tape 3 is for smoothly peeling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은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과 함께 박리되는 것이지만,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과 연결 기재(30) 사이에 점착성을 갖는 물질이 존재하지 않으면, 박리 필름(32)을 박리할 때에 그 속도가 일시적으로 빨라지므로, 제조 라인의 반송 속도에 어긋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That is, as described later,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peels together with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However,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is peeled together with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If the material having no adhesive property is not present between the base material 30, the speed of the peeling film 32 at the time of peeling is temporarily increas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nveying speed of the production line deviates.

또한,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과 연결 기재(30) 사이에 점착성을 갖는 물질이 존재하지 않으면, 접착 테이프 구조체(1)를 제조할 때의 슬릿(절단) 시에 사행이 발생하여, 테이프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테이프가 끊어질 우려가 있다.If there is no adhesive substance between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and the connecting substrate 30, a skew occurs at the time of slitting when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s manufactured This may cause wrinkles on the tape or breakage of the tape.

본 발명의 점착제층(31)은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event such a problem.

이 목적을 고려하면, 연결 테이프(3)의 점착제층(31)과 박리 필름(32)의 박리력이, 접착 테이프(2)의 접착제층(21)과 박리 커버 필름(22)의 박리력의 0.2배 이상 2.0배 이하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Considering this object, the peel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31 and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is set so that the peel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21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peeling cover film 22 More preferably 0.2 times or more and 2.0 times or less.

연결 테이프(3)의 점착제층(31)과 박리 필름(32)의 박리력이, 접착 테이프(2)의 접착제층(21)과 박리 커버 필름(22)의 박리력의 0.2배보다 작으면, 박리 필름(32)을 박리할 때의 속도 상승에 의한 제조 라인의 반송 속도의 어긋남이나, 슬릿 시의 사행에 의한 테이프의 주름 발생이나 테이프의 끊김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If the peeling force of the adhesive layer 31 and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is smaller than 0.2 times the peeling force of the adhesive layer 21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peeling cover film 22, There is a fear that the conveying speed of the production line is shifted due to the rise in the speed at which the peeling film 32 is peeled off, and the wrinkle of the tape due to the slippage at the time of slitting or the tape is disconnected.

한편, 연결 테이프(3)의 점착제층(31)과 박리 필름(32)의 박리력이, 접착 테이프(2)의 접착제층(21)과 박리 커버 필름(22)의 박리력의 2.0배보다 크면, 연결 테이프(3)의 점착제층(31)으로부터 박리 필름(32)이 원활하게 박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eel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31 and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is larger than 2.0 times the peeling force of the adhesive layer 21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peeling cover film 22 ,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eeling film 32 is not peeled smoothly from the adhesive layer 31 of the connecting tape 3.

이상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연결 테이프(3)의 점착제층(31)은 접착 테이프(2)의 접착제층(21)과 조성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수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2)의 접착제층(21)과 조성이 상이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를 들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31 of the connecting tape 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adhesive layer 21 of the adhesive tape 2 as long as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As the resin having a different composition from the adhesive layer 21 of the adhesive tape 2, for example, a silicone resin can be mentioned.

또한, 상술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점착제층(31)의 두께는 10 내지 100㎛로 설정하면 된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for satisfying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may be set to 10 to 100 탆.

한편, 연결 테이프(3)의 점착제층(31)은 본래적으로 피착체에 대해 전사되지 않고, 스킵되는 부분이므로, 점착제층(31)의 부분만큼 비경화계의 수지 또는 경화 완료의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of the connecting tape 3 is not originally transferred to the adherend but is a portion to be skipped, the resin of the non-vulcanizing system or the cured resin is used as much as the portion of the pressure- , And the storage st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접착 테이프(2)의 접착제층(21)이, 예를 들어 고가의 필러 등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비교적 저렴한 재료로 점착제층(31)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dhesive layer 21 of the adhesive tape 2 uses, for example, an expensive filler or the lik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is formed of a relatively inexpensive material,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의 경우, 점착제층(31)을 광투과성의 재료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테이프(3)의 연결 기재(30)를 비투광성의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광 센서에 의해 연결 테이프(3)의 연결 기재(30)를 검출할 수 있지만, 광 센서가 점착제층(31)의 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31)에 의해 광이 차단되어 연결 기재(30)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substrate 30 of the connecting tape 3 can be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by constituting the connecting substrate 30 of the connecting tape 3 with a non-transmitting material,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the light is blocked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and the connecting substrate (30) can not be detected in some cases.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연결 테이프(3)의 점착제층(31)을 광투과성의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점착제층(31)을 통해 광 센서에 의해 연결 기재(30)를 검출할 수 있다.Therefore, in such a case, the connecting substrate 30 can be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by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of the connecting tape 3 with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본 발명의 경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점착제층(31)을 통해 광 센서에 의해 연결 기재(30)를 확실하게 검출하는 관점에서는, 점착제층(31)에 대해, 가시광선의 투과율(광투과율)이 70% 이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ance (light transmittance) of the visible light ray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rom the viewpoint of reliably detecting the connecting substrate 30 by the optical sensor through the pressure- More preferably 70% or more.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은 점착제층(31)을 보호하는 것이고, 사용 시에는 박리되는 것이다.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protects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31 and is peeled off in use.

이 박리 필름(32)은, 예를 들어 PET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peeling film 32, for example, a film containing PET may be used.

본 발명의 경우, 박리 필름(3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과 동등한 두께를 확보함으로써, 권취 시에 단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10 내지 100㎛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film 3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a step from being generated at the time of winding by securing a thickness equal to that of the release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More preferably 10 to 100 mu m.

그리고, 상술한 연결 테이프(3)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광 센서에 의한 센싱이 가능하고, 또한 제조 라인의 반송 속도를 가능한 한 내리지 않는 관점에서는 5 내지 100㎝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lthough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tape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y set to 5 to 100 cm from the viewpoint that sensing by the optical sensor is possible and the conveying speed of the production line is not reduced as much as possible Do.

기재측 접착 부재(41)는 베이스(43) 위에 설치된 접착제(45)에 의해 접착 테이프(2)의 베이스 필름(20)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3)의 연결 기재(30)의 단부를 견고하게 접착하는 것이다.The base material side adhesive material 41 is firmly fixed to the end portion of the base film 20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material 30 of the connecting tape 3 by the adhesive 45 provided on the base 43 .

이 접착제(4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adhesive 45, for example, an adhesive containing an acrylic resin may be used.

또한, 접착 테이프(2)의 베이스 필름(20)의 상면 및 연결 테이프(3)의 연결 기재(30)의 상면에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착제(45)의 재료로서, 실리콘 수지계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20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substrate 30 of the connecting tape 3 are subjected to the peeling treatment, May be used.

그리고, 상술한 기재측 접착 부재(41)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테이프(2)를 확실하게 접속하는 접착력을 갖고, 또한 접합 시의 작업성을 가능한 한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1 내지 10㎝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above-described base-side adhesive member 4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having an adhesive force for reliably connecting the adhesive tape 2 and facilitating workability at the time of bonding as much as possible, To 10 cm.

한편, 박리측 접착 부재(42)는 베이스(44) 위에 설치된 접착제(46)에 의해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의 단부를 견고하게 접착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is bonded to the end of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end portion of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on tape 3 by the adhesive 46 provided on the base 44 As shown in Fig.

이 접착제(46)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adhesive 46, for example, an acrylic resin may be used.

또한,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의 상면 및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의 상면에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착제(46)의 재료로서, 실리콘 수지계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When the peeling process is carried ou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May be used.

그리고, 상술한 박리측 접착 부재(42)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테이프(2)를 확실하게 접속하는 접착력을 갖고, 또한 접합 시의 작업성을 가능한 한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1 내지 10㎝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described abo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having an adhesive force for reliably connecting the adhesive tape 2 and facilitating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bonding as much as possible, To 10 cm.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접착 테이프(2)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3)의 단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간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tape 3 are provided with a slight gap as described later.

그리고,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1)는 2개 이상의 상술한 접착 테이프(2)를, 상술한 연결 테이프(3)에 의해 각각 연결하여 얻어지는 것이다.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connecting two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adhesive tapes 2 by the connecting tape 3 described above.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를 사용하여 접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피착체에 열 압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접착 테이프 구조체로부터 접착 테이프의 박리 커버 필름과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thermocompression bonding an adhesive layer of an adhesive tape to an adherend using the adhesive tap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s. 3 (a) and 3 (b)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peeling cover film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peeling film of the connecting tape are peeled from the adhesive tape structur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 부재(10)에 권취된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롤(1A)로부터 접착 테이프 구조체(1)를 인출하고, 인출 롤러(11)를 통해 방향 전환하고, 박리 롤러(12)에 의해, 상술한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과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을 박리한다.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s pulled out from the roll 1A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wound around the reel member 10, And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are peeled off by the peeling roller 12. [

여기서는, 박리 롤러(12)의 동작에 의해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이 접착제층(21)으로부터 떼어지지만, 박리 커버 필름(22)은 박리측 접착 부재(42)에 의해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과 접착되어 있으므로,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과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이, 일체적으로 떼어지게 된다.Although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is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21 by the operation of the peeling roller 12 in this embodiment, the peeling cover film 22 is connected to the peeling cover film 22 by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are integrally peeled off because they are adhered to the peeling film 32 of the tape 3. [

그 후, 롤러(13 내지 15)에 의해 접착 테이프 구조체(1)를 반송하고, 열 압착 헤드(16)와 피착체(17) 사이에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열 압착해야 할 부분을 배치하고, 그 위치에서 열 압착 헤드(16)를 동작시켜 접착 테이프(2)의 접착제층(21)을 피착체(17)에 전사한다.Thereafter,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s conveyed by the rollers 13 to 15, a portion to be thermocompression bonded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s disposed between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head 16 and the adherend 17 ,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head 16 is operated to transfer the adhesive layer 21 of the adhesive tape 2 to the adherend 17 at the position.

이때, 광 센서(5)에 의해 연결 테이프(3)의 비투광성의 연결 기재(30)의 유무를 검출하고, 연결 기재(30)를 검출한 경우에는, 연결 테이프(3)가 열 압착 헤드(16)와 피착체(17) 사이에 위치하지 않도록, 즉 연결 테이프(3)의 점착제층(31)이 피착체(17)에 전사되지 않도록,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반송을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non-transmitting connecting substrate 30 of the connecting tape 3 is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5 and the connecting tape 3 is detected by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head The conveying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s controlled so as not to be located between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6 and the adherend 17, that is, the adhesive layer 31 of the connecting tape 3 is not transferred to the adherend 17.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테이프(3)의 점착제층(31)을 광투과성의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광 센서(5)가 연결 테이프(3)의 연결 기재(30)측에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광 센서(5)가 연결 테이프(3)의 점착제층(31)측에 위치하는 경우라도, 점착제층(31)을 통해 광 센서(5)에 의해 연결 기재(30)를 검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hotosensor 5 is located on the connecting substrate 30 side of the connecting tape 3 by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31 of the connecting tape 3 with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even when the optical sensor 5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adhesive layer 31 of the connecting tape 3,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connecting substrate 30 by the optical sensor 5 through the adhesive layer 31 have.

그리고, 이와 같은 열 압착 공정의 종료 후, 가이드 롤러(18)에 의해 접착 테이프 구조체(1)를 방향 전환하여 반송하고, 권취 장치(19)에 의해 접착 테이프 구조체(1)를 권취한다.After the completion of the thermocompression process,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s turned and conveyed by the guide roller 18, and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s wound by the winding device 19.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테이프(3)의 점착제층(31)이 피착체(17)에 전사되지 않으므로, 권취 장치(19)에 의해 접착 테이프 구조체(1)를 권취할 때에, 접착 테이프 구조체(1) 위에 남은 점착제층(31)이 가이드 롤러(18)에 전착할 우려가 있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adhesive layer 31 of the connecting tape 3 is not transferred to the adherend 17, when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s wound by the winding device 19,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dhesive layer 31 remaining on the adhesive layer 1 is electrodeposited on the guide roller 18. [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연결 테이프(3)의 점착제층(31)의 가이드 롤러(18)에 대한 점착력이 200gf/5㎜φ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면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31 of the connecting tape 3 to the guide roller 18 may be adjusted to 200 gf / 5 mm? Or less.

이 경우, 가이드 롤러(18)로서 실리콘 수지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나, 가이드 롤러(18)의 표면을 실리콘 수지나 폴리4불화에틸렌 수지 등의 박리성의 수지로 가공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guide roller 18 may be made of a silicone resin, or the surface of the guide roller 18 may be made of a resin such as silicone resin or polytetrafluoroethylene resin.

그런데, 박리 롤러(12)에 의해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과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을 박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이 접착제층(21)으로부터 떼어진 후, 박리측 접착 부재(42)에 의해 접착된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이 점착제층(31)으로부터 떼어지고, 추가로, 박리측 접착 부재(42)에 의해 접착된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이 접착제층(21)으로부터 떼어지게 된다.When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are peeled off by the peeling roller 1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bonded by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is peeled off from the adhesive layer 21 after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is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21,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detached from the adhesive layer 31 and further adhered by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is detached from the adhesive layer 21. [

그러나,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을 접착제층(21)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박리 커버 필름(22)의 박리 방향 상류측의 선단부(220)가 접착제층(21)으로부터 박리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3 (b), when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is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21, the peeling cover film 22 is peeled from the peeling cover film 22 in the peeling direction upstream of the peeling cover film 22 The front end portion 220 of the adhesive layer 21 may not be peeled off from the adhesive layer 21.

본 발명자가 이 원인을 예의 탐구한바, 이하와 같은 지견이 얻어졌다.Having explored this cause by the inventor,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도 4는 본 발명의 과제를 도시하기 위한 설명도이다.Fig.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과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은 박리측 접착 부재(42)에 의해 접착되어 있지만, 박리측 접착 부재(42)를 접착할 때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측 접착 부재(42)가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폭 방향, 즉 박리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접착되는 경우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are adhered by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but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may be adhered while being shif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that i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eel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는 박리 커버 필름(22)의 박리 방향 상류측의 선단부(220)의 한쪽의 테두리부(221)가 박리측 접착 부재(42)로 덮여 있지 않으므로, 박리측 접착 부재(42)의 접착력에 의해 박리 커버 필름(22)을 떼어낼 때에, 박리 커버 필름(22)의 박리 방향 상류측의 선단부(220)의 한쪽의 테두리부(221)에 대해 박리력이 작용하지 않고, 그 결과,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 커버 필름(22)의 박리 방향 상류측의 선단부(220)가 접착제층(21)으로부터 박리될 수 없고, 박리측 접착 부재(42)가 박리 커버 필름(22)으로부터 박리되어 버린다고 생각된다.In this state, since one of the edge portions 221 of the leading end portion 220 on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peeling cover film 22 is not covered with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the adhesive force of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No peeling force acts on one of the rim portions 221 of the leading end portion 220 on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peeling cover film 22 when the peeling cover film 22 is peeled off, The leading end portion 220 on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peeling cover film 22 can not be peeled off from the adhesive layer 21 and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is peeled off from the peeling cover film 22). ≪ / RTI >

본 발명자는 박리 커버 필름(22)의 박리 방향 상류측의 선단부(220)가,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박리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에 착안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이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or has noted that the tip end portion 220 on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peeling cover film 22 is formed parallel to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To solve the problem.

도 5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의 (a)는 박리측에서 본 접착 테이프 및 연결 테이프의 평면도, 도 5의 (b)는 접착 테이프 및 연결 테이프의 측면도, 도 5의 (c)는 접착 테이프 및 연결 테이프의 치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d)는 박리측 접착 부재를 설치한 접착 테이프 및 연결 테이프의 박리측 평면도이다.5 (a) to 5 (d) schematically show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is a plan view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connecting tape viewed from the peeling side, Fig. 5 5B is a side view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connecting tape, FIG. 5C is a view showing the dimensional relationship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connecting tape, FIG. 5D is a drawing showing the adhesive tape and the connecting tape Fig.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착 테이프(2)의 필름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박리 방향 상류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박리 보조용의 트리거부(2A)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stripping aid 2A for stripping assistance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adhesive tape 2 on the upstream side in the film stripping direction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upstream side in stripping direction.

본 실시 형태의 트리거부(2A)는 직선(단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뾰족한 형상, 즉 첨예 형상의 선단부(첨예 선단부)(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첨예 선단부(2a)는 접착제층(21)과 점으로 접촉하고 있다.The tree rejection 2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cross-sectional plane) shape, and has a pointed shape, that is, a pointed end (a pointed tip end) 2a. The pointed tip portion (2a) is in point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21).

여기서는,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에 박리 방향 상류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트리거부(22A) 및 첨예 선단부(22a)가 설치되어 있다.Here,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is provided with a triple rejection portion 22A and a sharp tip portion 22a formed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그리고,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에 설치한 트리거부(22A)와 동일 형상이 되도록 베이스 필름(20) 및 접착제층(21)을 형성함으로써, 접착 테이프(2)에 트리거부(2A)를 설치하는 것이, 제조의 용이함의 관점에서는, 보다 바람직하다(도 5의 (a), (b) 참조).The base film 20 and the adhesive layer 21 are formed so as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tree rejection 22A provided on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It is more preferable to provide the second electrode 2A from the viewpoint of easiness of manufacture (see Figs. 5 (a) and 5 (b)).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트리거부(2A)의 첨예 선단부(2a)를 설치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박리측 접착 부재(42)가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폭 방향에 관하여 어떤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에도 확실하게 박리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1)(접착 테이프(2))의 폭 방향에 관하여 중앙부에 트리거부(2A)의 첨예 선단부(2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t which the sharp tip end 2a of the tree rejection 2A is provid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peeling-side adhesive member 42 may be arranged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t is preferable to dispose the pointed tip 2a of the triple rejection 2A at the centr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the adhesive tape 2) .

한편, 연결 테이프(3)의 필름 박리 방향 하류측의 단부에는 접착 테이프(2)의 트리거부(2A)와 대응하는 형상의 컷팅부(3B)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cutting portion 3B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ree rejection 2A of the adhesive tape 2 is provid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connecting tape 3 in the film peeling direction.

본 발명의 경우, 연결 테이프(3)의 컷팅부(3B)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테이프(2)의 트리거부(2A)와 연결 테이프(3)의 컷팅부(3B) 사이에 간극이 있으면, 기재측 접착 부재(41)와 박리측 접착 부재(42)의 접착제(45, 46)끼리가 접촉하여 박리 커버 필름(22)이 벗겨지지 않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접착 테이프(2)의 트리거부(2A)의 형상과 동일한 오목 형상의 컷팅부(3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cutting portion 3B of the connecting tape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shape of the cutting portion 3B of the connecting tape 3 may be changed between the tree rejection 2A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cutting portion 3B of the connecting tape 3. [ The adhesive 45 and 46 of the base side adhesive member 41 and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eeling cover film 22 is not peeled off.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oncave cutting portion 3B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tree rejection 2A of the cutter 2.

이 경우, 상술한 치수의 접착 테이프(2) 및 연결 테이프(3)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2)의 트리거부(2A)와 연결 테이프(3)의 컷팅부(3B)의 간격 S1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과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을 원활하게 일체적으로 박리하는 관점에서는, 10 내지 10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의 (c) 참조).In this case, when the adhesive tape 2 and the connecting tape 3 having the above-described dimensions are used, the interval S1 between the tree rejection 2A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cutting portion 3B of the connecting tape 3 From the viewpoint of smoothly and integrally separating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and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from each other is set to 10 to 1000 mu m (See Fig. 5 (c)).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술한 치수의 접착 테이프(2) 및 연결 테이프(3)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2)의 트리거부(2A)의 첨예 선단부(2a)의 각도 θ1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과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을 원활하게 일체적으로 박리하는 관점에서는, 20 내지 16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의 (c) 참조).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dhesive tape 2 and the connecting tape 3 having the above-described dimensions are used, the angle? 1 of the pointed tip 2a of the triple rejection 2A of the adhesive tape 2 From the viewpoint of smoothly and integrally separating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and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from each other at 20 to 160 degrees (See Fig. 5 (c)).

그리고,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2)의 트리거부(2A)의 첨예 선단부(2a)와, 연결 테이프(3)의 컷팅부(3B)의 코너부(3b)를 덮도록, 박리측 접착 부재(42)를 접착한다.5 (d), the pointed end 2a of the triple rejection 2A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corner portion 3b of the cutting portion 3B of the connecting tape 3,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is bonded.

또한, 이상 설명한 접착 테이프(2)의 트리거부(2A)와, 연결 테이프(3)의 컷팅부(3B)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광폭 시트상으로 형성된 접착 테이프(2)와 연결 테이프(3)에 대해, 슬라이스할 때에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면 된다.In order to create the tree rejection 2A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cutting portion 3B of the connecting tape 3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tape 2 and the connecting tape 3), it can be cut into a desired shape at the time of slicing.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박리측 접착 부재(42)가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폭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접착된 경우라도, 접착제층(21)과 점으로 접촉하는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의 첨예 선단부(22a)가 박리측 접착 부재(42)에 의해 덮여 있고, 연결 테이프(3)와 함께 박리측 접착 부재(42)를 떼어낼 때에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의 첨예 선단부(22a)가 약간의 힘에 의해 접착제층(21)으로부터 박리되므로, 이 첨예 선단부(22a)를 트리거로서 박리 커버 필름(22)이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원활하게 떼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is adhered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n a state of being displac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adhesive tape 2, which is in point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21 The peeling edge 22a of the peeling cover film 22 is covered by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and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is peeled off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tape 3, The sharp tip 22a of the cover film 22 is peeled off from the adhesive layer 21 by a slight force so that the peeling cover film 22 is move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Smoothly.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과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을 박리할 때에,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을 확실하게 일체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and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are peeled off,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is peeled off, Can be reliably and integrally peeled off.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결 테이프(3)의 필름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이하에 설명하는 트리거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tree rejection described below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tape 3 on the upstream side in the film peeling direction.

도 6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의 (a)는 박리측에서 본 접착 테이프 및 연결 테이프의 평면도, 도 6의 (b)는 접착 테이프 및 연결 테이프의 측면도, 도 6의 (c)는 접착 테이프 및 연결 테이프의 치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의 (d)는 박리측 접착 부재를 설치한 접착 테이프 및 연결 테이프의 박리측 평면도이다.6 (a) to 6 (d) schematically show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 is a plan view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connecting tape viewed from the peeling side, Fig. 6 6 (b) is a side view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connecting tape, Fig. 6 (c) is a view showing the dimensional relationship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connecting tape, Fig. 6 Fig.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테이프(3)의 필름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박리 방향 상류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박리 보조용의 트리거부(3A)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triple rejection aid 3A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tape 3 on the upstream side in the film peeling direction, which is formed so as to have a smaller width toward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본 실시 형태의 트리거부(3A)는 직선(단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뾰족한 형상, 즉 첨예 형상의 선단부(첨예 선단부)(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첨예 선단부(3a)는 점착제층(31)과 점으로 접촉하고 있다.The tree rejection 3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cross-sectional plane) shape and has a pointed shape, that is, a pointed tip 3a (pointed tip end) of a sharp tip. The pointed tip 3a is in point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

여기서는,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에 박리 방향 상류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트리거부(32A) 및 첨예 선단부(32a)가 설치되어 있다.Here,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is provided with a tree reject portion 32A and a sharp tip portion 32a formed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그리고,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에 설치한 트리거부(32A)와 동일 형상이 되도록 연결 기재(30) 및 점착제층(31)을 형성함으로써, 연결 테이프(3)에 트리거부(3A)를 설치하는 것이, 제조의 용이함의 관점에서는 보다 바람직하다(도 6의 (a), (b) 참조).By forming the connecting substrate 30 and the adhesive layer 31 so as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triple rejection 32A provided on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3A) is mo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manufacture (see Figs. 6 (a) and 6 (b)).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트리거부(3A)의 첨예 선단부(3a)가 설치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박리측 접착 부재(42)가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폭 방향에 관하여 어떤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에도 확실하게 박리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1)(연결 테이프(3))의 폭 방향에 관하여 중앙부에 트리거부(3A)의 첨예 선단부(3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t which the sharp tip end 3a of the tree rejection 3A is provid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may be arranged in any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truncated tip 3A of the triple rejection 3A at the centr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connecting tape 3) .

한편, 접착 테이프(2)의 필름 박리 방향 하류측의 단부에는 연결 테이프(3)의 트리거부(3A)와 대응하는 형상의 컷팅부(2B)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adhesive tape 2 in the film peeling direction, a cutting portion 2B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ree rejection 3A of the connecting tape 3 is provided.

본 발명의 경우, 접착 테이프(2)의 컷팅부(2B)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연결 테이프(3)의 트리거부(3A)와 접착 테이프(2)의 컷팅부(2B) 사이에 간극이 있으면, 기재측 접착 부재(41)와 박리측 접착 부재(42)의 접착제(45, 46)끼리가 접촉하여 박리 필름(32)이 벗겨지지 않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결 테이프(3)의 트리거부(3A)의 형상과 동일한 오목 형상의 컷팅부(2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cutting portion 2B of the adhesive tape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shape of the cutting portion 2B of the adhesive tape 2 may be changed between the tree rejection 3A of the connecting tape 3 and the cutting portion 2B of the adhesive tape 2. [ The adhesive 45 and 46 of the base side adhesive member 41 and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eeling film 32 is not peeled off.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oncave cutting portion 2B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tree rejection 3A of FIG.

이 경우, 상술한 치수의 연결 테이프(3) 및 접착 테이프(2)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연결 테이프(3)의 트리거부(3A)와 접착 테이프(2)의 컷팅부(2B)의 간격 S2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과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을 원활하게 일체적으로 박리하는 관점에서는, 10 내지 10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의 (c) 참조).In this case, when the connecting tape 3 and the adhesive tape 2 having the above-described dimensions are used, the gap S2 between the tree rejection 3A of the connecting tape 3 and the cutting portion 2B of the adhesive tape 2 Is set to 10 to 1000 mu m from the viewpoint of smoothly and integrally separating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See Fig. 6 (c)).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술한 치수의 연결 테이프(3) 및 접착 테이프(2)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연결 테이프(3)의 트리거부(3A)의 첨예 선단부의 각도 θ2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과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을 원활하게 일체적으로 박리하는 관점에서는, 20 내지 16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의 (c) 참조).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ng tape 3 and the adhesive tape 2 having the above-described dimensions are used, the angle? 2 of the triangular tip 3A of the connecting tape 3 is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y set to 20 to 160 degrees from the viewpoint of smoothly and integrally separating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6 (c)).

그리고,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테이프(3)의 트리거부(3A)의 첨예 선단부(3a)와, 접착 테이프(2)의 컷팅부(2B)의 코너부(2b)를 덮도록, 박리측 접착 부재(42)를 접착한다.6 (d), the pointed end 3a of the triple rejection 3A of the connecting tape 3 and the corner portion 2b of the cutting portion 2B of the adhesive tape 2,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is bonded.

또한, 이상 설명한 연결 테이프(3)의 트리거부(3A)와, 접착 테이프(2)의 컷팅부(2B)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광폭 시트상으로 형성된 연결 테이프(3)와 접착 테이프(2)에 대해, 슬라이스할 때에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면 된다.In order to prepare the tree rejection 3A of the connecting tape 3 and the cutting portion 2B of the adhesive tape 2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tape 3 and the adhesive tape 2), it may be cut into a desired shape at the time of slicing.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박리측 접착 부재(42)가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폭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접착된 경우라도, 점착제층(31)과 점으로 접촉하는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의 첨예 선단부(32a)가 박리측 접착 부재(42)에 의해 덮여 있고, 접착 테이프(2)와 함께 박리측 접착 부재(42)를 떼어낼 때에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의 첨예 선단부(32a)가 약간의 힘에 의해 점착제층(31)으로부터 박리되기 때문에, 이 첨예 선단부(32a)를 트리거로 하여 박리 필름(32)이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원활하게 떼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is adhered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n a shifted state, The peeling film 32 is peeled off from the peeling film 32 when the peeling front end portion 32a of the peeling film 32 is covered with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and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is peeled off together with the adhesive tape 2, The sharp tip 32a of the peeling film 32 is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31 by a slight force so that the peeling film 32 is move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t is removed smoothly.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과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을 박리할 때에,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을 확실하게 일체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are peeled off,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is peeled off It can be surely peeled integrally.

도 7은 트리거부를 갖는 접착 테이프와, 트리거부를 갖는 연결 테이프를 조합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dhesive tape structure obtained by combining an adhesive tape having a tree rejection and a connecting tape having a tree rejec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 있어서는, 접착 테이프(2)의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상술한 트리거부(2A)가 설치되고, 연결 테이프(3)의 박리 방향 하류측의 단부에 트리거부(2A)에 대응하는 상기 컷팅부(3B)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in the present example, the above-mentioned tree rejection 2A is provided at the en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2, and at the en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ape 3 The cutting portion 3B corresponding to the tree rejection 2A is provided.

또한, 연결 테이프(3)의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상술한 트리거부(3A)가 설치되고, 접착 테이프(2)의 박리 방향 하류측의 단부에 트리거부(3A)에 대응하는 상기 컷팅부(2B)가 설치되어 있다.The aforementioned tree rejection 3A is provided at the upstream end of the connecting tape 3 in the peeling direction and the cutout 3A corresponding to the tree rejection 3A is provid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adhesive tape 2 in the peeling direction. (2B) are provid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예에 의하면, 상기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박리측 접착 부재(42)가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폭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접착된 경우라도,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과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을 박리할 때에,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과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을 확실하게 일체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is adhered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n a shifted state as is clear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adhesive tape 2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are peeled off from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It can be surely peeled integrally.

도 8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이하, 상기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8A to 8D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ose of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의 (a)에 도시하는 예는, 접착 테이프(2)의 트리거부(2A)의 첨예 선단부(2a)가, 접착 테이프(2)의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있어서 한쪽의 테두리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8A shows that the tip end 2a of the triple rejection 2A of the adhesive tape 2 is located on one edge portion on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2 It is installed.

본 예는, 예를 들어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 공정에 있어서 박리측 접착 부재(42)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폭 방향에 대한 어긋남 방향을 한 방향으로만 제어할 수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In this examp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b),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deviation direction of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42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s controlled only in one direction It is available if you can.

본 예의 경우, 상술한 치수의 접착 테이프(2) 및 연결 테이프(3)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2)의 트리거부(2A)와 연결 테이프(3)의 컷팅부(3B)의 간격 S3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과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을 원활하게 일체적으로 박리하는 관점에서는, 10 내지 10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ap between the tree rejection 2A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cutting portion 3B of the connecting tape 3 is set to be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ree rejection 2A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cutting portion 3B of the connecting tape 3 when the adhesive tape 2 and the connecting tape 3 having the above- S3 is set to 10 to 1000 mu m from the viewpoint of smoothly and integrally separating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and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

또한, 본 예의 경우, 상술한 치수의 접착 테이프(2) 및 연결 테이프(3)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2)의 트리거부(2A)의 첨예 선단부(2a)의 각도 θ3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연결 테이프(3)의 박리 필름(32)과 접착 테이프(2)의 박리 커버 필름(22)을 원활하게 일체적으로 박리하는 관점에서는, 20 내지 8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is example, when the adhesive tape 2 and the connecting tape 3 having the above-described dimensions are used, the angle? 3 of the pointed tip 2a of the triple rejection 2A of the adhesive tape 2, From the viewpoint of smoothly and integrally separating the peeling film 32 of the connecting tape 3 and the peeling cover film 22 of the adhesive tape 2 from each other is preferably 20 to 80 DEG Do.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예에 의하면, 접착 테이프(2)의 트리거부(2A)의 단면 형상과 연결 테이프(3)의 컷팅부(3B)의 단면 형상이 모두 평면 형상이므로, 제조(절단) 공정을 보다 간소한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xampl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ree rejection 2A of the adhesive tape 2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utting portion 3B of the connecting tape 3 are both planar, Can be made simpler.

도 8의 (c)에 도시하는 예는 접착 테이프(2)의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복수(여기서는 2개)의 트리거부(2A)가 설치되고, 연결 테이프(3)의 박리 방향 하류측의 단부에 당해 트리거부(2A)에 대응하는 복수(여기서는 2개)의 컷팅부(3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8C, a plurality of (here, two) tree rejects 2A are provided at the en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2, A plurality of (here, two) cutting portions 3B corresponding to the tree rejection 2A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tree rejection 2A.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예에 의하면, 트리거부(2A)가 복수 있고, 1개의 트리거부(2A)가 작동하지 않아도 다른 트리거부(2A)가 작동하므로, 보다 확실하게 박리 커버 필름(22)을 박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one of the tree rejects 2A does not operate, the other tree rejects 2A operate, There is an effect that peeling can be performed.

도 8의 (d)에 도시하는 예는 접착 테이프(2)의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곡선(단면 곡면) 형상의 트리거부(2A)가 설치되고, 연결 테이프(3)의 박리 방향 하류측의 단부에 당해 트리거부(2A)에 대응하는 컷팅부(3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d), a triple rejection 2A having a curved (cross-sectional curved) shape is provided at the en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2, And a cutting portion 3B corresponding to the tree rejection 2A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tree rejection 2A.

본 예에서는, 첨예 선단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트리거부(2A)의 원호 부분이 트리거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원활한 박리가 가능해진다는 효과가 있다.In this example, the sharp tip end portion is not formed, but the circular arc portion of the tree rejection 2A functions as a trigger, so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smooth peeling can be performed.

또한, 상술한 변형예는 접착 테이프(2)에 트리거부(2A)를 설치한 경우이지만, 연결 테이프(3)에 동일 구성의 트리거부(3A)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 효과가 있다.The modified example described above is the case where the tree rejection 2A is provided on the adhesive tape 2. However,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when the tree rejection 3A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is provided on the connecting tape 3. [

도 9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수용체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9의 (b), (c)는 릴 부재의 와인딩 코어축부에 권취된 접착 필름의 간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9 (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n embodiment of the film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b) and 9 (c) show the distance of the adhesive film wound around the winding core shaft portion of the reel member Fig.

본 실시 형태의 필름 수용체(50)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테이프 폭보다 광폭 간격의 플랜지(51, 52)를 갖는 릴 부재(53)의 와인딩 코어축부(54)에, 접착 테이프 구조체(1)가 트래버스 권취로 권취되어 있는 것이다.The film receiver 5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on the winding core shaft portion 54 of the reel member 53 having the flanges 51 and 52 with a wider width than the tape width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s wound by traverse winding.

여기서, 트래버스 권취란, 릴 부재(53)의 와인딩 코어축부(54) 위에, 장척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1)를 소정의 피치(간격)로 나선상으로 복수층으로 권취하는 것을 말한다.The traverse winding refers to winding a long adhesive tape structure 1 into a plurality of layers in a spiral pattern at a predetermined pitch (interval) on the winding core shaft portion 54 of the reel member 53.

여기서는, 릴 부재(53)의 와인딩 코어축부(54) 위에, 접착 테이프 구조체(1)가, 인접하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간격 p가 소정의 값이 되도록 권취되고(도 9의 (b) 참조), 또한 이들 접착 테이프 구조체(1) 위에, 인접하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간격 p가 소정의 값이 되도록 접착 테이프 구조체(1)가 겹쳐서 권취된다(도 9의 (c) 참조).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s wound on the winding core shaft portion 54 of the reel member 53 so that the interval p between adjacent adhesive tape structures 1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Fig. 9 (b) And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s wound on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so that the interval p between the adjacent adhesive tape structures 1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see Fig. 9 (c)).

이 경우, 인접하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1)의 간격 p는 테이프 폭 방향으로 비어져 나오는 접착제에 의해 인접하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1)끼리가 접착할 우려가 없고, 또한 접착 테이프 구조체(1)를 권취할 때에 권취 무너짐이 발생하지 않는 값으로 설정하면 된다.In this case, the gap p between the adjacent adhesive tape structures 1 is not likely to be adhered to the adjacent adhesive tape structures 1 due to the adhesive released in the tape width direction, and the adhesive tape structure 1 is wound It is necessary to set the value to a value at which the winding collapse does not occur.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의 조건에 의해,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구성 요소인 접착 테이프와 연결 테이프를 작성하였다.Adhesive tapes and connection tape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were produc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접착 테이프의 작성〕[Preparation of adhesive tape]

접착 테이프로서, 폭 1.5㎜의 PET를 포함하고 두께 50㎛의 베이스 필름 위에 두께 20㎛의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접착제층 위에 두께 25㎛의 PET를 포함하는 박리 커버 필름을 설치한 것을 사용하였다.As the adhesive tape, an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 탆 was formed on a ba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탆 and a PET film having a width of 1.5 탆, and a peeling cover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 탆 was further provided on the adhesive layer Respectively.

여기서, 접착제의 조성은 페녹시 수지(신닛테츠 가가쿠사제 YP-50) 30중량부, 액상 에폭시 수지(미츠비시 가가쿠사제 JER828) 20중량부, 고무 성분(나가세 켐테크사제 SG80H) 10중량부, 경화제(아사히 가세이사제 노바큐어 3941HP) 40중량부, 실란 커플링제(모멘티브ㆍ퍼포먼스ㆍ머티리얼즈사제 A-187) 1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었다.The composition of the adhesive was 30 parts by weight of a phenoxy resin (Shin-Tetsu Kagaku YP-50), 20 parts by weight of a liquid epoxy resin (JER828 made by Mitsubishi Chemical Corp.), 10 parts by weight of a rubber component (SG80H manufactured by Nagase Chemtech Co., 40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Nova Cure 3941HP produced by Asahi Chemical Industry Co., Ltd.) and 1 part by weight of a silane coupling agent (A-187 manufactured by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이 접착제 조성물을 용제 톨루엔으로 용해한 후, 베이스 필름 위에 도포하고, 60℃의 분위기 온도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용제를 휘발시켜,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This adhesive composition was dissolved in toluene as a solvent and then applied onto a base film and heated at 60 ° C for 10 minutes to volatilize the solvent to form an adhesive layer.

〔연결 테이프의 작성〕[Preparation of connection tape]

연결 테이프로서, 폭 1.5㎜의 흑색 PET를 포함하고 두께 50㎛의 베이스 필름 위에 두께 2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점착제층 위에 두께 25㎛의 PET를 포함하는 박리 필름을 설치한 것을 사용하였다.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 占 퐉 was formed on a ba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占 퐉 containing black PET having a width of 1.5 mm as a connection tape and a release film containing PET having a thickness of 25 占 퐉 was further provided o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Respectively.

여기서, 점착제의 조성은 실리콘계 수지(도레이ㆍ다우코닝사제 SD4584PSA) 100중량부, 경화제(도레이ㆍ다우코닝사제 BY24-741) 0.7중량부, 실란 커플링제(모멘티브ㆍ퍼포먼스ㆍ머티리얼즈사제 A-187) 1중량부, 백금 촉매(도레이ㆍ다우코닝사제 NC-25) 0.6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었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100 parts by weight of a silicone resin (SD4584PSA manufactured by Toray Dow Corning), 0.7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BY24-741 manufactured by Dow Corning Toray Co., Ltd.), a silane coupling agent A-187 manufactured by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 And 0.6 part by weight of a platinum catalyst (NC-25, manufactured by Dow Corning Toray Co., Ltd.).

이 조성물을, 바 코터에 의해 연결 기재 위에 도포하고, 온도 70℃에서 5분간 가열한 후, 150℃에서 4분간 더 가열하고 경화시켜, 두께 2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This composition was coated on the connecting substrate by a bar coater, heated at 70 캜 for 5 minutes, and then heated at 150 캜 for 4 minutes and hardened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 탆.

<실시예><Examples>

상술한 접착 테이프 및 연결 테이프를 사용하여, 도 7에 도시하는 구성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샘플을 작성하였다.Using the above-described adhesive tape and connecting tape, samples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7 were prepared.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박리 방향 상류측에 트리거부가 설치되고, 연결 테이프의 박리 방향 하류측에 당해 트리거부에 대응하는 컷팅부가 설치되어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ee rejection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cutter corresponding to the tree rejection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tape.

또한, 연결 테이프의 박리 방향 상류측에 트리거부가 설치되고, 접착 테이프의 박리 방향 하류측에 당해 트리거부에 대응하는 컷팅부가 설치되어 있다.Further, a tree rejection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tape, and a cut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ree rejection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여기서, 접착 테이프 및 연결 테이프의 트리거부의 첨예 선단부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폭 방향에 관하여 중앙부에 설치하였다.Herein, the pointed ends of the triple rejec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connecting tape were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또한, 접착 테이프의 첨예 선단부의 각도는 45°로 설정하였다.Further, the angle of the tip of the sharp point of the adhesive tape was set at 45 degrees.

또한, 연결 테이프의 첨예 선단부의 각도는 45°로 설정하였다.Further, the angle of the pointed end of the connecting tape was set at 45 degrees.

한편, 접착 테이프의 트리거부와, 연결 테이프의 컷팅부의 간격은 500㎛로 설정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ree rejec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cutt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tape was set to 500 mu m.

또한, 연결 테이프의 트리거부와, 접착 테이프의 컷팅부의 간격은 500㎛로 설정하였다.The distance between the tree rejection of the connecting tape and the cutting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was set to 500 mu m.

그리고, 길이 50m의 상기 접착 테이프 2개와, 길이 30㎝의 상기 연결 테이프 1개를, 기재측 접착 부재 및 박리측 접착 부재로 하고, 길이 5㎝의 실리콘계 접착 테이프(데쿠세리아루즈사제 T4082S)에 의해 접착하여, 길이 100m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샘플을 작성하였다.Then, two adhesive tapes having a length of 50 m and one connecting tape having a length of 30 cm were used as a base side adhesive member and a release side adhesive member, and a silicone adhesive tape having a length of 5 cm (T4082S manufactured by Decusiaryoz) Whereby a sample of an adhesive tape structure having a length of 100 m was prepar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상술한 접착 테이프 및 연결 테이프를 사용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거부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샘플을 작성하였다.Using the above-described adhesive tape and connecting tape, samples of an adhesive tape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no tree rejection was provided as shown in Fig. 4 were prepared.

여기서, 접착 테이프의 단부와, 연결 테이프의 단부의 간격은 500㎛로 설정하였다.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tape was set to 500 mu m.

또한, 연결 테이프의 단부와, 접착 테이프의 단부의 간격은 500㎛로 설정하였다.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connecting tape and the end of the adhesive tape was set at 500 mu m.

그리고, 길이 50m의 상기 접착 테이프 2개와, 길이 30㎝의 상기 연결 테이프 1개를, 기재측 접착 부재 및 박리측 접착 부재로 하고, 길이 5㎝의 실리콘계 접착 테이프(데쿠세리아루즈사제 T4082S)에 의해 접착하여, 길이 100m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샘플을 작성하였다.Then, two adhesive tapes having a length of 50 m and one connecting tape having a length of 30 cm were used as a base side adhesive member and a release side adhesive member, and a silicone adhesive tape having a length of 5 cm (T4082S manufactured by Decusiaryoz) Whereby a sample of an adhesive tape structure having a length of 100 m was prepared.

《평가 방법》"Assessment Methods"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샘플을,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외경이 φ130㎜, 내경이 φ50㎜인 릴 부재에 각각 권취하였다.Samples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wound around a reel member including polystyren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130 mm and an inner diameter of 50 mm.

이들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릴 부재를, 도 2에 도시하는 장치에 장착하고, 접착 테이프의 박리 커버 필름과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박리 커버 필름 및 박리 필름의 박리성을 육안에 의해 확인하였다.The reel members of these adhesive tape structures were attached to the apparatus shown in Fig. 2, and the peeling cover film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peeling film of the connecting tape were peeled off, and the peeling property of the peeling cover film and peeling film was visually confirmed .

이 경우, 테이프의 이송 속도는 200㎜/sec로 하고, 테이프의 이송 피치는 200㎜로 하였다.In this case, the feeding speed of the tape was 200 mm / sec and the feeding pitch of the tape was 200 mm.

《평가 결과》"Evaluation results"

접착 테이프 및 연결 테이프에 트리거부를 설치한 실시예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는, 접착 테이프의 박리 커버 필름 및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을 문제없이 박리할 수 있었다.The adhesive tape structure and the adhesive tape structure of the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tree rejection on the connecting tape could peel off the peeling cover film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peeling film of the connecting tape without any problem.

이에 비해, 접착 테이프 및 연결 테이프에 트리거부를 설치하지 않은 비교예의 접착 테이프 구조체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박리 커버 필름을 박리할 수 없는 일이 생겼다.On the other hand, in the adhesive tape structure of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adhesive tape and the connecting tape were not provided with the tree rejection, the peeling cover film of the adhesive tape could not be peeled off.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효과를 실증할 수 있었다.From the above result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monstrated.

1 : 접착 테이프 구조체
2 : 접착 테이프
2A : 트리거부
2a : 첨예 선단부
3 : 연결 테이프
3A : 트리거부
3a : 첨예 선단부
20 : 베이스 필름
21 : 접착제층
22 : 박리 커버 필름
22A : 트리거부
22a : 첨예 선단부
30 : 연결 기재
31 : 점착제층
32 : 박리 필름
32A : 트리거부
32a : 첨예 선단부
41 : 기재측 접착 부재
42 : 박리측 접착 부재
1: Adhesive tape structure
2: Adhesive tape
2A: Reject tree
2a:
3: Connection tape
3A: Deny Tree
3a:
20: base film
21: adhesive layer
22: peeling cover film
22A: Tree refuse
22a:
30: Connection board
31: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2: Release film
32A: Reject tree
32a:
41: Base-side adhesive member
42: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Claims (6)

베이스 필름 위에 접착제층과 박리 커버 필름이 순차 설치된 복수의 접착 테이프가, 연결 기재 위에 점착제층과 박리 필름이 순차 설치된 연결 테이프를 통해 연결된 접착 테이프 구조체이며,
상기 접착 테이프의 베이스 필름의 단부와, 상기 연결 테이프의 연결 기재의 단부가 기재측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됨과 함께,
상기 접착 테이프의 박리 커버 필름의 단부와, 상기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의 단부가 박리측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어, 당해 박리 커버 필름과 당해 박리 필름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착 테이프의 필름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당해 박리 방향 상류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박리 보조용의 트리거부가 설치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
A plurality of adhesive tapes sequentially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and a peeling cover film on a base film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ng tape sequentially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 release film on a connecting substrate,
The end portion of the base film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substrate of the connecting tape are adhered by the substrate side adhesive member,
The end portion of the peeling cover film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end portion of the peeling film of the connecting tape are adhered by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so that the peeling cover film and the peeling film are peeled integrally in the tap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peeling auxiliary triad is provided at an en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dhesive tape in the film peeling direction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테이프의 필름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당해 박리 방향 상류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박리 보조용의 트리거부가 설치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The adhesive tap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dge of the connecting tape on the upstream side in the film peeling direction is provided with a stripping aid for peeling assist which is formed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upstream side in the peeling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트리거부와 상기 연결 테이프의 트리거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첨예 선단부를 갖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The adhesive tap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either or both of the tree rejec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tree rejection of the connecting tape has a sharp ti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트리거부와 상기 연결 테이프의 트리거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대해, 당해 첨예 선단부가, 당해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폭 방향에 대해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The adhesive tap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said sharp tip portion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said adhesive tape structure with respect to either or both of the tree rejection of said adhesive tape and the tree rejection of said connecting t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테이프의 연결 기재가 비투광성의 재료로 이루어진 접착 테이프 구조체.The adhesive tap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substrate of the connecting tape is made of a non-transmitting material. 베이스 필름 위에 접착제층과 박리 커버 필름이 순차 설치된 복수의 접착 테이프가, 연결 기재 위에 점착제층과 박리 필름이 순차 설치된 연결 테이프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접착 테이프의 베이스 필름의 단부와, 상기 연결 테이프의 연결 기재의 단부가 기재측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됨과 함께, 상기 접착 테이프의 박리 커버 필름의 단부와, 상기 연결 테이프의 박리 필름의 단부가 박리측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어, 당해 박리 커버 필름과 당해 박리 필름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박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착 테이프의 필름 박리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 당해 박리 방향 상류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박리 보조용의 트리거부가 설치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 테이프 구조체가, 당해 접착 테이프 구조체의 테이프 폭보다 폭이 넓은 플랜지 간격을 갖는 릴 부재에 트래버스 권취로 권취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수용체.
A plurality of adhesive tapes sequentially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and a peeling cover film on a base film are connected to a connecting substrate via a connecting tape sequentially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 peeling film on the connecting substrate,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substrate is adhered by the substrate side adhesive member and the end portion of the peeling cover film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end portion of the peeling film of the connecting tape are adhered by the peeling side adhesive member, The stripping aid is provided on the end of the adhesive tape on the upstream side in the stripping direction of the tape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upstream side in the stripping direction An adhesive tape structure,
Wherein the adhesive tape structure is wound around a reel member having a flange interval that is wider than the tape width of the adhesive tape structure by traverse winding.
KR1020167012898A 2013-11-20 2014-11-19 Adhesive tape structure and adhesive tape container KR1022913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40433A JP6313575B2 (en) 2013-11-20 2013-11-20 Adhesive tape structure and adhesive tape container
JPJP-P-2013-240433 2013-11-20
PCT/JP2014/080659 WO2015076304A1 (en) 2013-11-20 2014-11-19 Adhesive tape structure and adhesive tape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305A true KR20160088305A (en) 2016-07-25
KR102291382B1 KR102291382B1 (en) 2021-08-23

Family

ID=5317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898A KR102291382B1 (en) 2013-11-20 2014-11-19 Adhesive tape structure and adhesive tape contain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13575B2 (en)
KR (1) KR102291382B1 (en)
CN (1) CN105765021A (en)
TW (1) TWI634993B (en)
WO (1) WO201507630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2792B2 (en) * 2015-09-15 2019-08-2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Adhesive film structure, adhesive film container, and method for temporarily attaching adhesive film structure
EP3418339B1 (en) * 2016-02-16 2020-07-1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ncased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JP6668164B2 (en) * 2016-05-20 2020-03-1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Adhesive tape structure
WO2019159383A1 (en) * 2018-02-13 2019-08-22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surface protec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2023111900A1 (en) * 2021-12-15 2023-06-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estoon form tape packag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5686A1 (en) * 2001-12-31 2003-07-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sable splice for a stabilized absorb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plice
US20040115403A1 (en) * 2000-11-28 2004-06-17 Markus Eikmeier Adhesive tape for a continuous roll change
KR20060084453A (en) * 2002-07-30 2006-07-24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Adhesive material tape, adhesive material-tape reel, adhering device and adhesive agent-tape cassette
JP2008156126A (en) * 2008-01-11 2008-07-10 Hitachi Chem Co Ltd Method and body for connecting adhesive tape
JP2010189008A (en) * 2009-02-16 2010-09-02 Panasonic Corp Tape connector and tape connecting method
JP2011052061A (en) 2009-08-31 2011-03-17 Nitto Denko Corp Self-adhesive tape attachment method and self-adhesive tape attach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6109A (en) * 1969-06-18 1971-10-26 Fitchburg Coated Products Inc Splice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tock
JPH0520524Y2 (en) * 1987-10-28 1993-05-27
JPH0542811Y2 (en) * 1988-05-09 1993-10-28
JPH085579B2 (en) * 1988-07-26 1996-01-2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Web joining method
JPH08209085A (en) * 1995-02-01 1996-08-13 Lintec Corp Covering tape
JP4239585B2 (en) * 2002-12-24 2009-03-18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Adhesive tape connection method and adhesive tape connector
JP2004059776A (en) * 2002-07-30 2004-02-26 Hitachi Chem Co Ltd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tape
JP2005060488A (en) * 2003-08-11 2005-03-10 Nitto Denko Corp Heat-bonding sheet for thermally peelable adhesive sheet seam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rmally peelable adhesive sheet
US8173245B2 (en) * 2005-06-01 2012-05-08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Peelable tape carrier
KR20210010660A (en) * 2012-08-03 2021-01-27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Reel member, film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lm contai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5403A1 (en) * 2000-11-28 2004-06-17 Markus Eikmeier Adhesive tape for a continuous roll change
US20030125686A1 (en) * 2001-12-31 2003-07-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sable splice for a stabilized absorb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plice
KR20060084453A (en) * 2002-07-30 2006-07-24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Adhesive material tape, adhesive material-tape reel, adhering device and adhesive agent-tape cassette
JP2008156126A (en) * 2008-01-11 2008-07-10 Hitachi Chem Co Ltd Method and body for connecting adhesive tape
JP2010189008A (en) * 2009-02-16 2010-09-02 Panasonic Corp Tape connector and tape connecting method
JP2011052061A (en) 2009-08-31 2011-03-17 Nitto Denko Corp Self-adhesive tape attachment method and self-adhesive tape attach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01590A (en) 2015-06-04
KR102291382B1 (en) 2021-08-23
JP6313575B2 (en) 2018-04-18
WO2015076304A1 (en) 2015-05-28
TW201522077A (en) 2015-06-16
TWI634993B (en) 2018-09-11
CN105765021A (en)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8305A (en) Adhesive tape structure and adhesive tape container
JP6333539B2 (en) Adhesive tape structure and adhesive tape container
JP6278545B2 (en) Glass substrate having edge web portion
KR20160095112A (en) Adhesive tape structure and adhesive tape container
JP6079003B2 (en) Glass film laminate
JP7192753B2 (en) glass roll
KR102144724B1 (en) Adhesive tape structure
JP6696828B2 (en) Adhesive tape structure
JP6696826B2 (en) Adhesive tape structure
KR102534610B1 (en) Adhesive tape, adhesive tape winding re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dhesive tape
JP2017206659A (en) Adhesive tape structure
KR102301105B1 (en) Lamination device of display device
JP2017206664A (en) Adhesive tape structure
JP2017206663A (en) Adhesive tap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