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141A -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 플루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 플루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141A
KR20160088141A KR1020150007502A KR20150007502A KR20160088141A KR 20160088141 A KR20160088141 A KR 20160088141A KR 1020150007502 A KR1020150007502 A KR 1020150007502A KR 20150007502 A KR20150007502 A KR 20150007502A KR 20160088141 A KR20160088141 A KR 20160088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ullulan
extract
oureobasidium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하
이경관
유환구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7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8141A/ko
Publication of KR2016008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2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fung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 C12P19/10Pullulan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꽈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플루란을 제조하는 플루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꽈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과정에서 멜라닌 색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탈색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킴은 물론 수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 플루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 플루란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of product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Aureobasidium pullulans using the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i}
본 발명은 플루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꽈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플루란을 제조하는 플루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꽈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과정에서 멜라닌 색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탈색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킴은 물론 수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 플루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풀루란(pullulan)은 포도당을 최소 단위로 세개의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천연 다당류이다.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의 새포 외부로부터 생성되는 플루란은 포도당(glucose) 분자가 각각 intramolecule α-1,4 Glucosidic bond, Intermolecule α-1,6 Glucosidic bond 결합하여 Maltotriose 단량체를 형성한다. 형성된 Maltotriose 단량체들은 폴리머 형태를 구성하여 10 내지 100 kDa의 분자량을 갖게 된다. 이러한 플루란은 현재 의약품의 피복물, 식품첨가물, 화장품 등과 같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 분야에서는 보습 기능성 원료인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보다 약 100배 이상의 보습력을 갖지므로 보습제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루란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고, 그 예로를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오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를 연속배양하여 풀루란을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효조에 공급되는 배지중의 질소원 의농도는 0.02-0.09%(w/v)가 되고 희석률은 0.04-0.08hr-1이 되도록 조절 배양하는 풀루란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분리균주 오우레오바시디움속 미생물 GM21(기탁번호 KFCC-10890호)을 포도당, 맥아당, 설탕 또는 전분 분해물 등의 탄소원을 5~10% (w/v)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시키고, 이 배양액에서 생성된 플루란을 분리 정제시켜 흑색 색소, 산성 다당류 및 플루란 이외의 중성 다당류가 혼합되 있지 않은 고훈도 플루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3은 탄소원으로 설탕과 질소원으로 효모 추출물을 사용한 배지에 풀루란 생산균인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HP-2001 균주를 접종하여 25 내지 35℃에서 150 내지 200rpm의 교반속도로 배양하면서 연속적으로 10 내지 20% (w/v) 설탕액을 첨가하면서 고 농도의 풀루란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설탕액을 이용한 풀루란의 연속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플루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오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은 흑효모 균주로 멜라닌(Melanin)에 의해 성상이 검정 형태의 콜로니(colony)로 발현된다. 이는 오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의 발현시 멜라닌 생성과정에 의한 것으로 타이로신(Tyrosine)이 촉매가 되어 도파(Dopa)를 활성화시키고, 활성된 도파는 다시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되며, 전환된 도파퀴논은 시스테인(Cysteine)과 결합하여 5-S-시스테인도파를 형성하고, 이는 다시 벤조티아진(Benzothiazine) 중간체를 만들어 페오멜라닌(heomelanin)을 활성화시킴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화장품이나 피복물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탈색 과정을 통해 멜라닌 색소를 제거해야 한다. 즉, 오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으로부터 생성되는 플루란 역시 멜라닌 색소에 의해 영향을 받아 생산 공정 중 탈색 공정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탈색을 위해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아스코르브산의 경우 산화에 의한 노란색의 갈변으로 산업계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플루란의 탈색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비 및 시간이 소요됨으로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4-0014797호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997-0062047호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390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탈색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멜리닌 색소가 제거할 수 있는 플루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오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이 발현될 때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를 억제함과 동시에 꽈리 열매의 미백 성분을 생성되는 플루란에 공급해 기존에 생성되던 멜라닌 색소가 제거된 플루란을 제공할 수 있는 꽈리 추출물일 이용한 플루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멜라닌 색소가 억제된 플루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글루코스(D-Glucose) 15 내지 30 g, 맥아추출물(Malt Extract) 15 내지 30 g, 펩톤(Peptone) 0.5 내지 3 g으로 이루어진 맥아 추출 배지에 오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를 넣은 후, 25 내지 40 ℃의 온도에서 3내지 5일간 배양하여 균주를 활성화시키는 균주 활성화 과정; 꽈리 열매를 15 내지 30 g을 18내지 35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분쇄하고, 분쇄된 꽈리 열매에 정제수 150 내지 350 ml을 첨가한 후, 90내지 110℃의 온도로 15 내지 30분간 가열하여 꽈리 추출물을 추출하는 꽈리 추출물 제조 과정: 자당(Sucrose) 90 내지 110 g, 인산수소이칼륨(K2HPO4) 2 내지 3 g, 염화나트륨(NaCl) 0.2내지 0.7g, 황산 마그네슘 7수화물(MgSO4ㅇ7H2O) 0.05 내지 0.15 g, 황산암모늄((NH4)2SO4) 0.2 내지 0.4 g, 이스트추출물(Yeast Extract) 0.02 내지 0.07 g, 꽈리 추출물 15 내지 30 ml로 이루어지고 pH 4.0 내지 8.0인 배양배지 450 내지 600ml에 균주 활성화 단계에서 활성화된 오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 40 내지 55ml를 첨가한 후, 4내지 6일 동안 배양하는 균주 배양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균주 배양 과정은 배양 시작 후 4내지 6일 후 자당 90 내지 110g을 배양배지에 400 내지 600ml에 각각 첨가하고, 첨가물이 함유된 배양물을 배양 중간물에 첨가하여 다시 1.5 내지 3일 동안 배양하는 될 수 있고,
균주 활성화 과정은 인큐베이터 내부에서 균주가 담긴 용기를 150내지 300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된 꽈리 열매의 입도는 0.01 내지 1mm인 것이 적당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꽈리 추출물일 이용한 플루란 제조 방법은 꽈리 추출물에 의해 멜라닌 색소가 억제되어 제조된 플루란의 갈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꽈리 추출물로 멜라닌 색소를 억제함으로써, 갈변 및 탈색을 위한 별도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 공정에 소요되는 장비나 시간을 절감하여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AYS 배지 pH 5.0 (1 M Ascorbic acid), 5일 배양 후 증식(Overgrowth)를 위한 기질의 양을 늘려 생산된 플루란 및 표준 플루란(pullulan standard) IR 분석
도 2는 AYS 배지 pH 5.0, 5일 배양 후 증식(Overgrowth)을 위한 기질의 양을 늘려 생산된 플루란의 HPLC 분석으로, <A>는 표준 플루란(Pullulan Standard)(TCI.CO.Ltd), <B>는 AYS pH 5.0 꽈리 추출물에서 증식된 것, <C> AYS pH 5.0 Ascorbic Acid에서 증식된 것, <D> 겹쳐 놓은 데이터(Superimposed Data)
도 3은 본 발명의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 플루란의 제조 방법에 의한 제조 공정을 도시한 과정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플루란을 증식시켜 멜라닌 색소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갈변 및 탈색을 위한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킴은 물론, 수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플루란 제조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꽈리 추출물이 혼합된 배지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플루란 제조 방법은 동결된 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를 활성화시키는 균주 활성화 과정, 꽈리 열매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과정 및 배양배지에서 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를 배양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균주 활성화 과정은 동결된 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가 괴사되지 않고 해동 및 활성화 할 수 있도록 배지가 사용되며, 이 활성화 배지는 글루코스(D-Glucose) 15 내지 30 g, 맥아추출물(Malt Extract) 15 내지 30 g, 펩톤(Peptone) 0.5 내지 3g 으로 이루어진 맥아 추출 배지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맥아 추출 배지에 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를 넣은 후, 상온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의 온도에서 3내지 5일간 배양하면 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가 활성화된다.
균주 활성화 과정을 통해 균주가 활성화되면, 이는 꽈리 추출물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균주 배양 배지에서 배양한다.
균주를 배양하기 위한 균주 배양 배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꽈리 열매로부터 추출된 꽈리 추출물은 포함한다.
꽈리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꽈리 열매를 15 내지 30g을 18내지 35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분쇄하고, 분쇄된 꽈리 열매에 정제수 150 내지 350 ml을 첨가한 후, 90내지 110℃의 온도로 15 내지 30분간 가열하여 꽈리 추출물을 추출한다.
추출된 꽈리 열매는 오염 방지를 위해 클린 룸의 실온에서 냉각시켜준다. 이렇게 꽈리 열매를 냉각시키는 이유는 꽈리 열매의 유효 성분이 배양액에 첨가하여 배양액의 다른 성분과의 상호작용이 없이 안정한 형태로 용해시켜 주기 위함이다.
균주 배양 배지는 자당(Sucrose) 90 내지 110 g, 인산수소이칼륨(K2HPO4) 2 내지 3 g, 염화나트륨(NaCl) 0.2내지 0.7g, 황산 마그네슘 7수화물(MgSO4ㅇ7H2O) 0.05 내지 0.15 g, 황산암모늄((NH4)2SO4) 0.2 내지 0.4 g, 이스트추출물(Yeast Extract) 0.02 내지 0.07 g, 꽈리 추출물 15 내지 30 ml로 이루어진다.
상기 균주 배양 배지의 조성은 통상의 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 배양용 배지와 동일 유사하다. 다만, 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의 배양 과정에서 발생되는 메라닌 색소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해 꽈리 추출물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균주 배양 배지는 인산(H3PO4)을 이용하여 pH 4.0 내지 8.0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pH를 조절한 균주 배양 배지를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 배양은 배양 배지 450 내지 600ml에 균주 활성화 단계에서 활성화된 오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 40 내지 55ml를 첨가한 후, 4내지 6일 동안 배양한다.
상기한 바오 같은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플루란 배양 과정에서 균주 배양 과정은 배양 시작 후 4내지 6일 후 자당 90 내지 110g을 배양배지에 400 내지 600ml에 각각 첨가하고, 첨가물이 함유된 배양물을 배양 중간물에 첨가하여 다시 1.5 내지 3일 동안 배양한다.
또한, 균주 활성화 과정은 인큐베이터 내부에서 균주가 담긴 용기를 150내지 300 rpm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균주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꽈리 추출물 제조 과정에서 분쇄된 꽈리 열매의 입도는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mm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꽈리 분쇄물의 입도가 지나치게 크면 추출되는 양이 적어지고, 지나치게 작으면 추출물에 이물질이 남아 있게 때문이다.
실시예1 - 균주의 배양
글루코스(D-Glucose) 20g, 맥아추출물(Malt Extract) 20g, 펩톤(Peptone) 1g을 최종부피가 100 ml되도록 준비하였다. 인큐베이터(Incubator) 내에서 회전속도 200 rpm으로 시료 용기를 회전시키면서, 30 ℃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실시예2 - 열수법을 이용한 꽈리 추출물 제조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꽈리 열매를 20g 취해 급속 냉동장치(Deep-freezer)에서 24시간 동안 냉각시켜준 후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잘게 분쇄하였다. 분쇄된 꽈리 열매를 용기에 넣고 물 250 ml을 첨가한 후 오토클레이브(Autoclave)를 이용하여 20분간 열수 추출 하였다. 이는 오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가 발현될 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를 억제하고, 동시에 꽈리 열매의 미백효과 성분을 생성되는 플루란에 공급해 주어 기존에 생성하기 위함이다.
실시예3 - pH에 따른 생산 조건의 확립
배양 배지 1은 자당(Sucrose) 100g, 인산수소이칼륨(K2HPO4) 2.5 g, 염화나트륨(NaCl) 0.5 g, 황산 마그네슘 7수화물(MgSO4ㅇ7H2O) 0.1g, 황산암모늄((NH4)2SO4) 0.3g, 이스트추출물(Yeast Extract) 0.05g, 꽈리 추출물 20 ml을 혼합하고, 1N 인산(H3PO4)를 이용하여 pH 4.0에서 pH 8.0으로 조절한 후, 최종부피가 500ml 되도록 하였다. 앞서 맥아 추출물 배지로 배양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 50ml를 첨가하고, 5일 동안 배양하였다. 5일 후 자당 100g을 배양 배지 500ml에 각각 첨가하고, 첨가물이 함유된 배양물을 배양 중간물에 첨가하여 다시 2일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4 - 기질에 따른 생산 조건의 확립
배양 배지 1은 자당 100g, 인산수소이칼륨 2.5g, 염화나트륨 0.5g, 황산 마그네슘 7수화물 0.1g, 황산암모늄 0.3g, 이스트추출물 0.05g, 꽈리 추출물 20ml를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1 N 인산(H3PO4)를 이용하여 pH 5.0으로 조절한 후, 최종부피가 500 ml 되도록 하였다. 맥아 추출물 배지로 배양한 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 50ml를 첨가하고, 5일 동안 배양하였다. 5일 후 자당 25 g에서 100g의 양이 되도록 배양 배지 500 ml에 각각 첨가하고, 첨가물이 함유된 배양물을 배양 중간물에 첨가하여 다시 2일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5 - 꽈리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을 이용한 멜라닌 색소의 억제
배양 배지 1은 자당 100g, 인산수소이칼륨 2.5g, 염화나트륨 0.5g, 황산 마그네슘 7수화물 0.1g, 황산암모늄 0.3g, 이스트추출물 0.05g, 꽈리 추출물 20ml를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1 N 인산(H3PO4)를 이용하여 pH 5.0으로 조절한 후 최종부피가 500ml가 되도록 하였다.
배양 배지 2는 자당 100g, 인산수소이칼륨 2.5g, 염화나트륨 0.5g, 황산 마그네슘 7수화물 0.1g, 황산암모늄 0.3g, 이스트추출물 0.05g, 꽈리 추출물 20ml를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1M 아스코르브산으로 pH 5.0으로 조절한 후 최종부피가 500ml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각에 맥아 추출물 배지로 배양한 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 50 ml를 첨가하고, 5일 동안 배양하였다. 5일 후 자당 100g을 배양 배지 1 500ml를 각각 첨가하고 다시 2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는 멜라닌 색소 억제에 있어서 꽈리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을 비교하여 꽈리 열매 추출물의 효율성에 대하여 비교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6- 플루란 생성을 위한 최적화 조건
배양 배지는 자당 100g, 인산수소이칼륨 2.5g, 염화나트륨 0.5g, 황산 마그네슘 7수화물 0.1g, 황산암모늄 0.3g, 이스트추출물 0.05g, 꽈리 추출물 20ml를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1 N 인산(H3PO4)를 이용하여 pH 5.0으로 조절한 후 최종부피가 500ml 되도록 하였다. 앞서 맥아 추출물 배지로 배양한 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 50 ml를 첨가하고, 5일 동안 배양하였다. 5일 후 자당 100 g을 배양 배지 500 ml에 각각 첨가하고, 첨가물이 함유된 배양물을 배양 중간물에 첨가하여 다시 2일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7 - FT-IR를 이용한 플루란의 분석
동결 건조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의해 제조된 플루란과 표준 플루란(Pullulan Standard)(TCI.Co.,Ltd) 각각을 0.3 g 채취하여 증류수 1 ml에 넣고, 50 ℃에서 녹여 FT-IR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400 cm-1, 1000 cm-1에서 -OH, C-O로 예상되어지는 특정 peak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peak에서 나타나는 작용기는 일반적으로 플루란에서 확인되어지는 작용기이며, 2900 cm-1에서도 sp3 C-H 결합에 대하여 같은 패턴의 peak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8 - HPLC를 이용한 플루란의 정제 및 분석
동결 건조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의해 제조된 플루란과 표준 플루란 각각을 0.3 g 채취하여 1 N HCl 1 ml 넣고, 50 ℃에서 1시간 동안 녹여 HPLC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7분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농도의 peak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의 <B>, <C>의 경우 각각 꽈리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에 의해 멜라닌 색소를 억제한 형태로 동결건조 후 1 N HCl로 가수분해하여 측정된 분석데이터이다. <B>, <C>다른 머무름 시간에서 형성된 peak는 기질에 있어서 균주의 영양분으로 완전히 전환되지 않았거나, 혹은 기질의 과 첨가로 인해 균주 내에서 플루란이 아닌 다른 형태의 다당류 고분자가 형성되었을 수도 있으며, 형성된 플루란의 분자량의 차이에 의해 여러 peak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4)

  1. 멜라닌 색소가 억제된 플루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글루코스(D-Glucose) 15 내지 30 g, 맥아추출물(Malt Extract) 15 내지 30 g, 펩톤(Peptone) 0.5 내지 3 g으로 이루어진 맥아 추출 배지에 오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를 넣은 후, 25 내지 40 ℃의 온도에서 3내지 5일간 배양하여 균주를 활성화시키는 균주 활성화 과정;
    꽈리 열매를 15 내지 30 g을 18내지 35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분쇄하고, 분쇄된 꽈리 열매에 정제수 150 내지 350 ml을 첨가한 후, 90내지 110℃의 온도로 15 내지 30분간 가열하여 꽈리 추출물을 추출하는 꽈리 추출물 제조 과정:
    자당(Sucrose) 90 내지 110 g, 인산수소이칼륨(K2HPO4) 2 내지 3 g, 염화나트륨(NaCl) 0.2내지 0.7g, 황산 마그네슘 7수화물(MgSO4ㅇ7H2O) 0.05 내지 0.15 g, 황산암모늄((NH4)2SO4) 0.2 내지 0.4 g, 이스트추출물(Yeast Extract) 0.02 내지 0.07 g, 꽈리 추출물 15 내지 30 ml로 이루어지고 pH 4.0 내지 8.0인 배양배지 450 내지 600ml에 균주 활성화 단계에서 활성화된 오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 균주 40 내지 55ml를 첨가한 후, 4내지 6일 동안 배양하는 균주 배양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 플루란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균주 배양 과정은 배양 시작 후 4내지 6일 후 자당 90 내지 110g을 배양배지에 400 내지 600ml에 각각 첨가하고, 첨가물이 함유된 배양물을 배양 중간물에 첨가하여 다시 1.5 내지 3일 동안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 플루란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균주 활성화 과정은 인큐베이터 내부에서 균주가 담긴 용기를 150내지 300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 플루란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분쇄된 꽈리 열매의 입도는 0.01 내지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 플루란의 제조 방법.
KR1020150007502A 2015-01-15 2015-01-15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 플루란의 제조 방법 KR20160088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502A KR20160088141A (ko) 2015-01-15 2015-01-15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 플루란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502A KR20160088141A (ko) 2015-01-15 2015-01-15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 플루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141A true KR20160088141A (ko) 2016-07-25

Family

ID=5661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502A KR20160088141A (ko) 2015-01-15 2015-01-15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 플루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814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4797A (ko) 1992-12-08 1994-07-19 신춘호 미생물 연속배양에 의한 무색소 풀루란의 생산방법
KR19990000070A (ko) 1997-06-02 1999-01-15 김영환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제조방법
KR100739022B1 (ko) 2005-12-12 2007-07-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탕액을 이용한 풀루란의 연속 생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4797A (ko) 1992-12-08 1994-07-19 신춘호 미생물 연속배양에 의한 무색소 풀루란의 생산방법
KR19990000070A (ko) 1997-06-02 1999-01-15 김영환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제조방법
KR100739022B1 (ko) 2005-12-12 2007-07-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탕액을 이용한 풀루란의 연속 생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9048B2 (en) High-purity D-psicose preparation method
JP5957096B2 (ja) バチルス、ヒアルロン酸酵素、及びそれらの使用
Cheng et al. Pullulan: biosynthesis, production, and applications
Wu et al.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pullulan by a new strain of Aureobasidium pullulans isolated from sea mud and its characterization
CN106884025B (zh) 一种酶法水解定向制备褐藻胶寡糖的方法
JP6903502B2 (ja) アウレオバシジウム・プルランス、β−グルカン生産用培地及び方法、アウレオバシジウム・プルランス培養物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Yu et al. Media optimization for elevated molecular weight and mass production of pigment-free pullulan
Ma et al.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via deep eutectic solvents based on choline chloride as an enzymatic reaction medium
Liu et al. Correlation between the synthesis of pullulan and melanin in Aureobasidium pullulans
KR101881319B1 (ko) 흑효모균 및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인삼열매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1158179A1 (en) SCHIZOPHYLLUM COMMUNE STRAIN PLNP13 AND β-GLUCAN OBTAINED FROM CO-CULTURING THE STRAIN WITH GANODERMA LUCIDUM
JP2009161448A (ja) 麦芽根抽出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んでなる微生物の発酵促進剤
KR101952951B1 (ko) 컴파운드 케이를 함유하는 흑효모 배양액의 생산 방법, 컴파운드 케이가 함유된 기능성 화장품 및 식품
EP2850213B1 (fr) Souche productrice de turanose et utilisations
KR20070047811A (ko) 효모 변이주, 글루타티온 고함유 효모의 제조방법, 그배양물, 그 분획물, 효모 엑기스 및 글루타티온 함유음식품
KR20160048393A (ko) 자외선 조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이균주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YK1 및 이를 이용한 β-글루칸 생산 방법
Xu et al. A new strategy to improve Ganoderma polysaccharides production by symbiotic fungi elicitors through activating the biosynthetic pathway
JP2008054580A (ja) デフェリフェリクリシン高生産変異株、シデロフォア生産用の液体培地、シデロフォアの製造方法
KR20160088141A (ko) 꽈리 추출물을 이용한 오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 플루란의 제조 방법
Kachrimanidou et al. Sepedonium sp. and Phellinus sp. Novel Isolates: Growth Pattern and Production of Polysaccharide-Protein Complexes on Conventional and Grape Pomace Substrates
CN116042548A (zh) CYP76AD1-α分支蛋白及其在甜菜苷生物合成中的应用
JUN et al. Identification of L-Ascorbic Acid 2-Ο-$\alpha $-Glucoside, a Stable Form of Ascorbic Acid, in Kimchi
EP2376621B1 (fr) Souche bacterienne et melange bacterien a activite fucanolytique
JP7199459B2 (ja) 老化、フリーラジカルによるダメージを防止する卵殻膜発酵液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752613B (zh) 果胶酶基因、果胶酶、重组载体及其在蓝莓加工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