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934A - 필터 모듈 - Google Patents

필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934A
KR20160086934A KR1020167016179A KR20167016179A KR20160086934A KR 20160086934 A KR20160086934 A KR 20160086934A KR 1020167016179 A KR1020167016179 A KR 1020167016179A KR 20167016179 A KR20167016179 A KR 20167016179A KR 20160086934 A KR20160086934 A KR 20160086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tube
adhesive
fiber element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7876B1 (ko
Inventor
랄프 라우쉬
파샬리스 니콜로우디스
빌헬름 레콰테
요한네스 보르트마이어
Original Assignee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8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1Manufacturing thereof
    • B01D63/022Encapsulating hollow fibres
    • B01D63/023Encapsulat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1Manufactu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1Manufacturing thereof
    • B01D63/0231Manufacturing thereof using supporting structures, e.g. filaments for weaving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1Manufacturing thereof
    • B01D63/0232Manufacturing thereof using hollow fibers mats as precursor, e.g. wound or pleated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1Manufacturing thereof
    • B01D63/0233Manufacturing thereof forming the bu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31Two or more types of hollow fibres within one bundle or within one potting or tube-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32More than two tube sheets for one bu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33Specific distribution of fibres within one potting or tube-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34Lumen open in more than two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03Membrane bonding or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4Specific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4Specific sealing means
    • B01D2313/041Gaskets or O-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4Specific sealing means
    • B01D2313/042Adhesives or gl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4Cartridge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8Parts of membrane modules specifically adapted for single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하우징(2), 및 하우징(2) 내에 배열되어 있고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필터(3)가 있는 필터 모듈(1)에 관한 것이고, 여기에서 하우징(2)은 제 1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 1 접합 표면(7, 18) 및 제 2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 2 접합 표면(14, 19, 21)을 통해 접착제(15)를 이용하여 접착식으로 필터에 접합된다.
본 발명은, 제 1 접합 표면(7, 18)과 제 2 접합 표면(14, 19, 21)의 접착제 접합이 제 1 플라스틱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접합 표면들(14, 18, 21)이 있는 중간 피스(10, 20)를 통해 달성된다는 점, 및 접합 표면들(7, 18, 19, 14, 21) 중 적어도 하나가 접착제 접합 전에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전처리에 의해 활성화되어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 모듈{FILTER MODULE}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배열되어 있고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필터가 있는 필터 모듈에 관한 것이고, 여기에서 하우징은 제 1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 1 접합 표면 및 제 2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 2 접합 표면을 통해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식으로 필터에 접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 10 2007 052 088 A1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관형 하우징이 있고 중공 섬유 막으로 된 링 형상의 다발로 만들어진 필터가 그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필터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하우징은 막 필터의 단부들에 의해 형성된 제 2 접합 표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그 각각의 단부에서 제 1 접합 표면을 가진다. 중공 섬유 막은 유입구에 인접한 그 단부에서 포팅 레진(potting resin)으로 밀폐되어 있고, 유출구를 향하는 그 다른 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접착제 접합은 여과 압력뿐만 아니라 생명공학에서 요구되는 시험 압력을 견뎌야만 한다.
공지의 필터 모듈의 경우, 하우징 튜브 단부들을 감싸는 튜브 슬리브들이 그 단부들에 배열되어 있어서 설치가 비교적 번거롭다는 것이 불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합 표면들 사이의 접착제 접합이 생명공학에서 요구되는 높은 시험 압력을 견디지 못할 것이라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편으로는 비용면에서 효율적인 설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5 바(bar)까지의 시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공지의 필터 모듈 및 그 제조를 위한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장치와 관련된 과제는, 제 1 접합 표면과 제 2 접합 표면의 접착제 접합이 제 1 플라스틱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접합 표면들이 있는 중간 피스를 통해 달성된다는 점, 및 접합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접착제 접합 전에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전처리(pre-treatment)에 의해 활성화된다는 점에서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과 관련하여 해결된다.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전처리는 폴리머의 표면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방전을 이용한다. 이는 접착성과 습윤성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기판의 표면 상 작용기의 형성을 초래한다.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전처리는 특히 비용면에서 효율적이다. 플라즈마 활성화를 이용한 표면 처리는 충분한 강도 및 충분한 장기간의 내구성을 가지는 접착제 접합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이한 플라스틱들을 서로 접착식으로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가요성 튜브로서 설계되어 있고, 필터는 복수의 중공 섬유 막을 가지고 있는 중공 섬유 요소로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 필터 모듈은 필터 모듈의 연결을 간단하게 하는 확실한 가요성을 가진다. 따라서, 필터 모듈은 통과되는 매체의 여과를 위하여 이용될 뿐만 아니라 가요성 연결수단으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섬유 요소는 인접한 튜브 단부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제 1 단부에서 밀폐되고, 중공 섬유 요소의 제 1 단부는 튜브, 또는 튜브에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는 중간 피스에 직접 접착식으로 접합된다. 특히, 중공 섬유 요소의 중공 섬유 막은 제 1 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제 1 단부로부터 멀리 향하고 있는 중공 섬유 요소의 제 2 단부에서, 중공 섬유 막들은 개방되어 있거나 밀폐되어 있을 수 있다. 링 형상의 채널은 튜브와 중공 섬유 요소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구성에 따라서는, 적용의 대상은 "막힌 단부(dead-end)" 뿐만 아니라 "관통 유동(cross-flow)"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는 실리콘이나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지는 한편, 중공 섬유 막들은 폴리에테르술폰으로 만들어진다. 특히, 중공 섬유 막이 있는 중공 섬유 요소의 제 1 단부는 접착제로서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튜브나 중간 피스에 접착식으로 접합되거나 포팅처리된다. 중간 피스는 열가소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술된 접합 표면의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전처리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플라스틱들을 필요한 강도로 접착식으로 접합하거나 포팅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공 섬유 요소는 제 1 단부로부터 멀리 향하고 있는 제 2 단부에서 인접한 튜브 단부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밀폐되어 있고, 그 중공 섬유들은 제 2 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중공 섬유 요소의 제 2 단부는 튜브 또는 튜브에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는 제 2 중간 피스에 직접 접착식으로 접합된다. 하나 이상의 중간 피스는 링 형상의 채널에 대한 연결수단이 있는 T자 형상의 커넥터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막힌 단부 및 관통 유동 작동 모두 가능하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중간 피스는 중공 섬유 요소의 단부를 둘러싸고 있는 슬리브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모듈은 가요성 용기에 부착되고, 이들은 함께 미리 살균가능하면서 연결 준비되어 있는 유닛(pre-sterilizable, connection-ready unit)을 형성한다. 특히, 가요성 용기(백(bag))는 일회용 바이오리액터로서 설계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 필터 모듈의 유입구 측면 상의 중공 섬유 막은 튜브나 커넥터 피스에 단단하면서도 밀착하여 부착되어 있고, 개개의 중공 섬유들은 내부 관통 유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중공 섬유는 필터 완전성 시험의 실행 동안 비교적 높은 시험 압력에 노출되는 한편, 중공 섬유 요소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하우징이 튜브처럼 설계되어 있는 링 형상의 채널은 상당히 낮은 압력에 노출된다. 이는 튜브, 예컨대 실리콘 튜브의 허용가능한 작업 압력이 중공 섬유 요소의 시험 압력보다 상당히 아래에 있는 것, 그리고 실리콘 튜브가 시험 동안 원치하는 하중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방법과 관련되어 있는 과제는 다음의 단계들, 즉:
a) 접합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접착제 접합 전에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전처리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계;
b) 접합 표면들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단계; 및
c) 접착제가 경화되는 단계;
를 실행하여 청구항 14의 전제부와 관련하여 해결된다.
접합 표면들이 접착제 접합 전에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전처리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계는, 예컨대 압력 시험의 실행 동안 높은 강도를 가지는 접착제 접합을 초래한다. 특히, 실리콘이나 폴리프로필렌을 폴리에테르술폰에 접착식으로 접합하는 것 및 폴리우레탄을 접착제로서 사용하는 것은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b)의 접착제는 포팅처리를 위하여 사용되거나 도포되기 전에 미리 특정된 비율로 2가지 성분들로 혼합된다. 단계(c)의 접착제를 온도 제어식 원심분리기에서 경화시키는 것은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과 이점들은 다음에 오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도 1은 막힌 단부 작동뿐만 아니라 관통 유동 작동 모두에 적합하되 튜브로서 설계된 하우징 및 중공 섬유 요소로서 설계된 필터가 있는 필터 모듈의 측면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튜브로서 설계된 하우징 및 중공 섬유 요소로서 설계된 필터가 있는 필터 모듈의 측면방향 단면도이고, 여기에서 중공 섬유 요소의 중공 섬유 막들은 제 2 자유 단부에서 밀폐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튜브로서 설계된 하우징의 측면방향 단면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중간 피스의 측면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중공 섬유 요소의 측면방향 단면 상세도이다.
도 6은 필터를 가지고 있는 추가적인 필터 모듈의 측면방향 단면 상세도인데, 필터는 그 1 단부가 튜브로서 설계된 하우징 내에서 접착제로 포팅처리되어 있는 중공 섬유 요소로서 설계되어 있고 자유롭게 절단되어 있다.
도 7은 추가적인 필터 모듈의 측면방향 단면 상세도이고, 여기에서 중공 섬유 요소의 제 1 단부는 슬리브 형상의 중간 피스 속에 접합되어 있고, 여기에서 중간 피스는 그 자체로 튜브에 접착식으로 접합되어 있다.
도 8은 중공 섬유 요소의 제 1 단부에 접합되어 있는 슬리브 형상의 중간 피스의 측면방향 단면 상세도인데, 중간 피스는 한편으로는 튜브의 제 1 단부 내부에 접착식으로 접합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착된 어댑터에 용접되어 있다.
필터 모듈(1)은 본질적으로 하우징(2)과 필터(3)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8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2)은 실리콘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제 1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가요성 튜브로서 설계되어 있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제 1 단부(5) 및 그 제 2 단부(6) 양쪽 모두에서, 튜브(4)는 제 1 접합 표면(7)을 가진다.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5 내지 도 8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터(3)는 복수의 중공 섬유 막(9)이 있는 중공 섬유 요소(8)로서 설계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중공 섬유 막(9) 및 중공 섬유 요소(8)는 폴리에테르술폰으로 만들어진다.
도 1과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공 섬유 요소(8)는 T자 형상의 중간 피스(10)에 의해 튜브(4)에 연결된다. 중간 피스(10)는 관통 채널(11)과 반경방향 브랜치(12)를 가진다. 튜브(4)를 향하고 있는 제 1 단부(13)에서, 중간 피스(10)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폴리우레탄인 접착제(15)를 사용하여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제 2 접합 표면(14)을 가진다. 접착제 접합이 일어나기 전에, 제 1 접합 표면(7)은 플라즈마 전처리에 의해 활성화된다.
튜브(2)와 중공 섬유 요소(8)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25)에 연결되어 있는 링 형상의 채널(24)이 배열되어 있다.
도 1과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공 섬유 요소는 중간 피스(10)의 제 2 단부(17)에서 중간 피스(10)를 향하고 있는 제 1 단부(16)에 밀폐상태(seal)를 형성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식으로 접합되거나 포팅처리된다. 중공 섬유 요소(8)의 제 1 단부(16)의 중공 섬유 막(9)은 개방되어 있다.
중간 피스(10)의 제 2 단부(17)의 내측 표면은 중공 섬유 요소(8)의 제 1 단부(16)에 대하여 제 1 접합 표면(18)을 형성하는 한편, 제 1 단부(16)의 외주는 접착제(15)를 사용하여 제 1 접합 표면(18)에 접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는 제 2 접합 표면(19)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도, 중간 피스(10)의 제 1 접합 표면(18)은 접착제 접합의 강도를 강화하도록 플라즈마 전처리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섬유 요소(8)의 제 1 단부(16)는 중간 피스 없이 튜브(4)의 제 1 단부(5)에 직접 부착된다. 튜브(4)의 제 1 접합 표면(7)은 중공 섬유 요소(8)의 제 1 단부(16)의 제 2 접합 표면(19)에 접착제(15)를 사용하여 접착식으로 직접 접합된다. 적절하게는, 제 1 접합 표면(7)은 접착제 접합이 일어나기 전에 플라즈마 전처리에 의해 활성화되었다.
도 7과 도 8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섬유 요소(8)는 슬리브 형상의 중간 피스(20)를 통해 튜브(4)의 제 1 접합 표면(7)에 연결되고, 접착제(15)를 사용하여 슬리브 형상의 중간 피스(20)의 제 2 접합 표면(21)에 연결된다.
도 7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단부(16)는 튜브(4)의 제 1 단부(5) 내부에서 약간 후퇴되어 배열되어 있는 한편, 중공 섬유 요소(8)의 제 1 단부(16)는 단부(22)와 나란하게 튜브(4)의 제 1 단부(5)를 벗어나 돌출되어 있다. 어댑터(25) 또는 커넥터는 슬리브 형상의 중간 피스(20)의 돌출 단부(22)에 용접된다.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4)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 그 제 2 단부(6)에서 밀폐되어 있다. 따라서, 중공 섬유 요소(8)의 제 2 단부(23)에 있는 중공 섬유 막(9)도 밀폐되어 있다. 제 2 단부(23)는 튜브(4) 내부에 자유롭게 배열되어 있다.
필터 모듈을 생산하기 위하여, 다음의 단계들, 예컨대:
a) 하우징(2)의 제 1 접합 표면(7)이 플라즈마로 활성화되는 단계;
b1) 2가지 성분의 접착제(15)가 미리 특정된 비율, 예컨대 100:80의 레진 대 경화제를 사용하여 혼합되는 단계;
b2) 중공 섬유 요소(8)의 중공 섬유 막(9)들이 튜브(4)나 중간 피스(10, 20) 내부에 접착식으로 접합되거나 포팅처리되는 단계;
c) 필터 모듈(1)이 960 rpm(revolutions per minute; 분당 회전수)으로 60분 동안 40℃인 온도 제어식 원심분리기에서 경화되는 단계;
c1) 필터 모듈들이 24 시간 보다 오랜 최종 경화를 거치는 단계;
d) 필터 모듈(1)들이 2 bar 보다 큰 압력에서 시험되는 단계; 및
e) 필터 모듈들이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121℃로 살균되는 단계;
이 실행된다.
물론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어 있고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관점에서,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광범위한 가능성 있는 주어진 변형예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필터 모듈
2 필터 모듈의 하우징
3 필터 모듈의 필터
4 튜브
5 튜브의 제 1 단부
6 튜브의 제 2 단부
7 하우징의 제 1 접합 표면
8 중공 섬유 요소
9 중공 섬유 요소의 중공 섬유 막
10 중간 피스 (T자 형상)
11 중간 피스의 관통 채널
12 중간 피스의 브랜치
13 중간 피스의 제 1 단부
14 중간 피스의 제 2 접합 표면
15 접착제
16 중공 섬유 요소의 제 1 단부
17 중간 피스의 제 2 단부
18 중간 피스(슬리브 형상)의 제 1 접합 표면
19 중공 섬유 요소의 제 1 단부의 제 2 접합 표면
20 중간 피스(슬리브 형상)
21 중간 피스(슬리브 형상)의 제 2 접합 표면
22 중간 피스(슬리브 형상)의 돌출 단부
23 중공 섬유 요소의 제 2 단부
24 필터 모듈의 링 형상의 채널
25 어댑터

Claims (16)

  1.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하우징(2), 및 하우징(2) 내에 배열되어 있고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필터(3)가 있는 필터 모듈(1)로서,
    하우징(2)은 제 1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 1 접합 표면(7, 18) 및 제 2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 2 접합 표면(14, 19, 21)을 통해 접착제(15)를 이용하여 접착식으로 필터에 접합되고,
    제 1 접합 표면(7, 18)과 제 2 접합 표면(14, 19, 21)의 접착제 접합은 제 1 플라스틱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접합 표면들(14, 18, 21)이 있는 중간 피스(10, 20)를 통해 달성되고,
    접합 표면들(7, 18, 19, 14, 21) 중 적어도 하나는 접착제 접합 전에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전처리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2)은 가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2)은 튜브(4)로서 설계되어 있고, 필터(3)는 복수의 중공 섬유 막(9)을 가지는 중공 섬유 요소(8)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중공 섬유 요소(8)는 적어도 제 1 단부(16)에서 인접한 튜브 단부(5)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밀폐되고,
    중공 섬유 요소(8)의 제 1 단부(16)는 튜브(2), 또는 튜브(2)에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중간 피스(10, 20)에 직접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모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중공 섬유 요소(8)의 중공 섬유 막(9)들은 제 1 단부(16)에서 개방되어 있고,
    튜브(2)와 중공 섬유 요소(8)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링 형상의 채널(24)은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25)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모듈.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2)는 실리콘이나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지고, 중공 섬유 막(9)들은 폴리에테르술폰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모듈.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공 섬유 요소(8)의 제 1 단부(16)는 접착제(15)로서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튜브(2)나 중간 피스(10, 20)에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피스(10, 20)는 열가소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모듈.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공 섬유 요소(8)는 제 1 단부(16)로부터 멀리 향하고 있는 제 2 단부(23)에서 인접한 튜브 단부(6)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밀폐되어 있고, 그 중공 섬유 막(9)들은 제 2 단부(23)에서 개방되어 있고,
    중공 섬유 요소(8)의 제 2 단부(23)는 튜브(2) 또는 튜브(2)에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제 2 중간 피스(10)에 직접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모듈.
  10.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공 섬유 요소(8)의 중공 섬유 막(9)들은 제 1 단부(16)로부터 멀리 향하고 있는 제 2 단부(23)에서 접착식으로 접합되고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모듈.
  11.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중간 피스(10)는 링 형상의 채널(24)에 대한 연결수단이 있는 T자 형상의 커넥터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모듈.
  12.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중간 피스(20)는 중공 섬유 요소(8)의 단부(16, 23)를 둘러싸고 있는 슬리브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모듈.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모듈(1)은 가요성 용기에 부착되고, 이들은 함께 미리 살균가능하면서 연결 준비되어 있는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모듈.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필터 모듈(1)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a) 접합 표면들(7, 16, 10, 20) 중 적어도 하나가 접착제 접합 전에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전처리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계;
    b) 접합 표면들(7, 16, 10, 20)이 접착제(15)를 사용하여 서로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단계; 및
    c) 접착제가 경화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단계(b)의 접착제(15)는 도포 또는 포팅처리 전에 미리 특정된 비율에 따라 2가지 성분들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단계(c)의 접착제는 온도 제어식 원심분리기에서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67016179A 2013-11-21 2014-11-20 필터 모듈 KR101917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DE102013112863.7 2013-11-21
DE102013112863.7A DE102013112863A1 (de) 2013-11-21 2013-11-21 Filtermodul
PCT/EP2014/075077 WO2015075099A1 (de) 2013-11-21 2014-11-20 Filtermodu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934A true KR20160086934A (ko) 2016-07-20
KR101917876B1 KR101917876B1 (ko) 2018-11-13

Family

ID=5201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179A KR101917876B1 (ko) 2013-11-21 2014-11-20 필터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3406B2 (ko)
EP (1) EP3071317B1 (ko)
KR (1) KR101917876B1 (ko)
CN (1) CN105848763A (ko)
DE (1) DE102013112863A1 (ko)
WO (1) WO2015075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5553A (zh) * 2017-12-18 2019-06-25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血液透析器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3284A (en) 1979-07-18 1981-08-11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Hollow fiber dialyzer end seal system
US4995967A (en) 1987-11-06 1991-02-26 Akzo N.V. Separator for cell-containing liquids
DE59802340D1 (de) * 1997-04-08 2002-01-17 Bio Lab Vertriebsgmbh Filter mit einem in der verschlusskappe befindlichen strömungsleitkörper
EP1227876A1 (de) 2000-02-17 2002-08-07 Gambro Dialysatoren GmbH & Co. KG Filter mit membranen aus hohlfasern
DE10017690A1 (de) * 2000-04-08 2001-10-25 Simmoteit Robert Vorrichtung zum Stoffaustausch und Kultivierung von Zellen
US6584892B2 (en) * 2001-07-12 2003-07-01 Illinois Tool Works, Inc. Strapping machine with modular heads
US6830685B2 (en) * 2001-12-05 2004-12-14 Fresenius Usa, Inc. Filtering device with associated sealing design and method
US20040019516A1 (en) * 2002-07-24 2004-01-29 Puskorius Gintaras Vincent Method for calculating the probability that an automobile will be sold by a future date
US7297270B2 (en) 2003-04-04 2007-11-20 Chf Solutions, Inc. Hollow fiber filter for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EP1790364B1 (en) * 2004-08-06 2012-09-12 Asahi Kasei Medical Co., Ltd. Polysulfone hemodialyzer
EP2067521A4 (en) * 2006-09-19 2011-04-20 Toray Industrie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DE102007052088A1 (de) 2007-10-31 2009-05-07 M. Mannesmann Gmbh & Co. Kg Membranfilter zur Erzeugung keimfreien Wassers
EP2755735A4 (en) 2011-09-12 2018-01-24 Idex Health & Science LLC Supersaturated fluid dega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112863A1 (de) 2015-05-21
US20160296890A1 (en) 2016-10-13
KR101917876B1 (ko) 2018-11-13
WO2015075099A1 (de) 2015-05-28
EP3071317A1 (de) 2016-09-28
EP3071317B1 (de) 2020-01-22
US10493406B2 (en) 2019-12-03
CN105848763A (zh)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3657B2 (ja) 膜カートリッジシステム
JP5837928B2 (ja) 硬質使い捨て流路
JPH09290138A (ja) 中空糸型分離膜モジュール
JPH06296834A (ja) 中空糸型フィルター
KR101917876B1 (ko) 필터 모듈
CN111225731A (zh) 中空纤维膜模块
WO2018146788A1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ろ過方法
JP2017100105A (ja) 外圧式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387935A1 (en) Filter module case
KR101532155B1 (ko)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
JP2016041216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ケーシング筒、ケーシング筒の製造方法
JPH01218605A (ja) 中空糸型濾過モジユール
JP2019051463A (ja) 集水構造
JP5385523B2 (ja) 分離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8030049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97681B2 (ja) 濾過モジュール
JPH04126527A (ja) 中空糸型膜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