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767A -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 Google Patents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767A
KR20160085767A KR1020167012053A KR20167012053A KR20160085767A KR 20160085767 A KR20160085767 A KR 20160085767A KR 1020167012053 A KR1020167012053 A KR 1020167012053A KR 20167012053 A KR20167012053 A KR 20167012053A KR 20160085767 A KR20160085767 A KR 20160085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umbrella
curved
conduc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빗 라이언 헤이손드웨이트
앤드류 폴 헤이손드웨이트
Original Assignee
쉬드레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드레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쉬드레인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7023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5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2Devices for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umbrellas to win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4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31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 A45B2023/0037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the support arm being attached to the stick or to the crown, the canopy being suspended there below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우산은, 제1 단부 및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세장형 샤프트와, 상기 세장형 샤프트 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러너(runner)로 형성된다. 상기 우산은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스트럿에 의해 상기 러너에 부착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리브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장형 샤프트는 복수의 굴곡된 구획과 상기 복수의 굴곡된 구획 사이에 산재된 복수의 평면 구획에 의해 획정된 단면 형상을 구비하여 증가된 비틀림 강도를 상기 세장형 샤프트에 제공한다. 상기 리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굴곡된 구획과 상기 복수의 굴곡된 구획 사이에 산재된 복수의 평면 구획에 의해 획정된 단면 형상을 구비하여 증가된 비틀림 강도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에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UMBRELLA HAVING IMPROVED SHAFT AND RIB ASSEMBLY}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증가된 비틀림 강도를 갖는 우산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우산은 요소로부터 그리고 특히 액체와 우박으로부터 또는 심지어 태양광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디바이스이다. 전통적인 우산은 다음 부분(혹은 부품)(part), 즉: 우산대(pole), 캐노피(canopy), 리브(rib), 러너(runner), 스프링 및 물미(ferrule)를 구비한다. 우산대는 하위(bottom)에 있는 우산의 핸들(또는 파티오 모델(patio model)의 경우에 베이스 스탠드)과 상위(top)에 있는 캐노피 사이에 이어져 있는 금속 또는 목재 샤프트이다. 캐노피는 비, 바람 및 태양광을 차단하는 우산의 직물 부분이다. 리브는 우산에 구조와 형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외부 리브는 캐노피를 떠 받치고(hold up) 내부 리브(종종 스트레처(stretcher)라고도 지칭됨)는 지지부로 작용하며 외부 리브를 우산의 우산대에 연결한다. 러너는 리브/스트레처에 연결된 상태에서 우산대에서 위아래로 슬라이딩하고, 캐노피를 개폐하는 일을 한다. 많은 우산 설계는 캐노피가 개방될 때 러너를 떠 받치는 상위 스프링, 캐노피가 폐쇄될 때 러너를 억제(hold down)하는 하위 스프링, 및 종종 텔레스코픽 모델(telescopic model)에서 우산대 길이를 연장시키는 중심 볼 스프링을 포함한다. 매우 장식적인, 용마루 장식(finial)(또한 물미라고 지칭됨)은 캐노피 위 우산의 최상위에 있다.
우산 리브는 접는 구조물(folding construction)에서 우산 캐노피 직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정상 동작 조건 하에서, 우산 캐노피 직물에 작용하는 힘은 캐노피가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 그리고 돌풍 바람이 캐노피를 전도(overturn)시키는 경향이 있을 때 피크 값 쪽으로 증가한다. 이 힘은 캐노피로부터 캐노피 리브로 전달되고, 바람의 방향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리브에 작용할 수 있다. 리브는 2개의 메인 반대 방향들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부터 이 리브에 작용할 수 있는 힘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하여야 한다.
그 강도 요구조건에 더하여, 우산 리브의 형상은 우산이 접혀 있을 때의 실질적으로 직선 윤곽과 캐노피가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의 굴곡된 상태 사이에서 변하여야 한다. 직선 설계를 하는 목적은 우산이 접혀 굴곡된 설계가 일반적인 버섯 같은 형상(또한 벨 형상(bell shaped)으로도 지칭됨)을 제공할 때 접힌 리브들이 우산의 샤프트와 평행하게 놓이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우산은 제1 단부 및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세장형 샤프트(elongated shaft), 및 상기 세장형 샤프트 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러너(runner)로 형성된다. 상기 우산은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스트럿(strut)에 의해 상기 러너에 부착된 복수의 리브(rib)를 포함하는 리브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리브들이 개방되어 연장된 위치에 있고, 상기 폐쇄된 위치에서 상기 리브들이 폐쇄되어 접힌 위치에 있으며, 상기 스트럿은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상기 러너 사이에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장형 샤프트는 복수의 굴곡된 구획(curved section)과, 상기 복수의 굴곡된 구획들 사이에 산재된 복수의 평면 구획(planar section)에 의해 획정된 단면 형상을 구비하여, 증가된 비틀림 강도를 상기 세장형 샤프트에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3개의 굴곡된 구획과 상기 3개의 굴곡된 구획들 사이에 산재된 3개의 평면 구획이 있다. 상기 3개의 굴곡된 구획들 각각은 볼록한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평면 구획은 서로 약 120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호 연결된 리브들의 각 세트는 제1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상기 제1 물질과는 상이한 제2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물질은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고 상기 제2 물질은 카본 물질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호 연결된 리브들의 하나의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복수의 굴곡된 구획과, 상기 복수의 굴곡된 구획 사이에 산재된 복수의 평면 구획에 의해 획정된 단면 형상을 구비하여, 증가된 비틀림 강도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에 제공한다. 3개의 굴곡된 구획과 상기 3개의 굴곡된 구획들 사이에 산재된 3개의 평면 구획이 있고, 상기 3개의 굴곡된 구획들 각각은 볼록한 형상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샤프트와 우산 리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수동 유형의 우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샤프트와 우산 리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자동 유형의 우산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샤프트의 부분 확대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라인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리브 조립체의 하나의 리브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리브 조립체의 다른 리브의 단면도;
도 7은 개방된 위치에 있는 전도-방지 기구(anti-inversion mechanism)를 도시하는 자동 유형의 우산의 측면도;
도 7A는 개방된 위치와 인장 하에 있는 도 8의 기구의 전도-방지 조인트(joint)의 확대도;
도 7B는 개방된 위치와 인장 하에 있는 도 8의 기구의 전도-방지 첨단(tip)의 확대도;
도 8은 도 1의 우산의 부분인 전도-방지 기구의 일부인 스프링 와이어 요소의 측면도;
도 9는 하나의 리브에 결합된 전도-방지 기구의 측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기구과 리브의 길이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전도-방지 와이어와 첨단 사이의 결합을 도시하는 전도-방지 첨단의 사시도;
도 12는 첨단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전도-방지 와이어와 첨단 사이에 맞물림 부분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착탈 가능한 핸들 스트랩(handle strap)을 갖는 우산 핸들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우산 핸들과 스트랩의 다른 분해도;
도 16은 우산 핸들과 스트랩의 단면도;
도 17은 우산 커버의 정면 측면도; 및
도 18은 도 17의 우산 커버의 단면도.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샤프트 구조물과 리브 조립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우산의 부품의 개수를 개선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수동 유형 우산과 자동 유형 우산 모두에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다른 특징은 다른 유형의 우산에도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과 도면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을 간략히 하고 명료하게 하기 위해 단 하나의 리브 조립체(200)만이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1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우산(100)은 제1 (상위) 단부(112) 및 대향하는 제2 (하위) 단부(114)를 구비하는 샤프트(110)를 포함한다. 샤프트(110) 그 자체는 샤프트(110)를 제공하도록 협력하는 임의의 개수의 상이한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샤프트(11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우산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폐하는 수동 우산 조립체의 일부이다. 제1 단부(112)에서, 캡(120)은 샤프트(110)를 폐쇄하는데 제공되고, 제2 단부(114)에서, 핸들(130)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도시된 샤프트(110)는 3개의 이산(distinct) 샤프트 구획, 즉, 제1 샤프트 구획(111), 제2 샤프트 구획(113), 및 제3 샤프트 구획(115)으로 형성된다. 제1 샤프트 구획(111)은 일 단부에서 캡(120)에 부착되고, 다른 단부에서 제2 샤프트 구획(113)의 일 단부에 부착된다. 제2 샤프트 구획(113)은 다른 단부에서 제3 샤프트 구획(115)의 일 단부에 부착된다. 제3 샤프트 구획(115)은 다른 단부에서 핸들(130)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1 샤프트 구획(111)은 상위 샤프트 구획을 나타내고; 제2 샤프트 구획(113)은 중간 샤프트 구획을 나타내고; 제3 샤프트 구획(115)은 하위 샤프트 구획을 나타낸다. 개별 샤프트 구획(111, 113, 115)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고, 특히, 길이와 폭(예를 들어, 직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1 샤프트 구획(111)은 2개의 다른 구획(113, 115)에 대해 최대 폭을 구비하고, 제3 샤프트 구획(115)은 2개의 다른 구획(111, 113)에 대해 최소 폭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1 샤프트 구획(111)은 14 mm 샤프트 구획일 수 있고; 제2 샤프트 구획(113)은 12 mm 샤프트 구획일 수 있고; 제3 샤프트 구획(115)은 10 mm 샤프트 구획일 수 있다. 우산(100)이 개방될 때 수동 샤프트(110)는 우산 샤프트(110)의 중심 길이방향 축을 따라 샤프트 구획(111, 113)이 연장되어 있는 텔레스코핑 구조물로 동작할 수 있다.
샤프트 구획(111, 113)들 사이에는, 결합 부재(105)가 제공될 수 있고, 특히, 결합 부재(105)는 샤프트 링(예를 들어, 14 mm 샤프트 링)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산의 메인 부품들 중 하나는 러너(150)이다. 러너(150)는 우산(100)을 개폐하는 우산의 일부이고, 여기서 러너(150)는 샤프트(110)를 따라 이동한다. 러너(150)는 결합 부재(105)와 캡(120) 사이에 위치되고, 샤프트(110)를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러너(150)는 원통형 형상의 베이스 부분(152)과 러너 링(154)을 포함하는 수 개의 부품 또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샤프트(110)는 증가된 비틀림 강도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맞춤 형상(customized shape)을 구비한다. 도 3은 샤프트(110)의 일 구획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샤프트(1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샤프트(110)는 그 주위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면(face)(편평부(flat)/평면 구획)(117)을 포함하지만 이 면(117)들 사이와 같은 선택 구역에서 곡률(119)을 여전히 구비한다는 점에서 면을 갖는 설계(faceted design)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서로 약 120도 이격되어 형성된 3개의 면(117)이 있다. 샤프트 구획(111, 113, 115)들 각각은 이 구조를 구비하고, 다만 구획(111, 113, 115)들 사이에서 폭만이 변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리브 조립체(200)는 캡(120)과 러너(150)에 모두 결합되고, 이것에 의해 러너(150)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부착된 캐노피(미도시)와 리브 조립체(200)를 개폐한다. 리브 조립체(200)와 러너(150) 사이에 연결은 스트럿(300)으로 이루어진다. 스트럿(300)은 제1 단부(302) 및 대향하는 제2 단부(304)를 구비하는 세장형 구조물이고, 여기서 제1 단부(302)는 리브 조립체(200)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2 단부(304)는 러너(150)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다. 스트럿(300)과 러너(150) 사이에 그리고 스트럿(300)과 리브 조립체(200) 사이에 선회 가능한 연결은 리벳 또는 핀 등과 같은 패스너로 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스트럿 조인트(310)는 제1 단부(302)에서 스트럿(300)과 리브 조립체(200)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스트럿 조인트(320)는 제2 단부(304)에서 스트럿(300)과 러너(150) 사이에 형성된다.
스트럿(300)은 금속(예를 들어, 아연 합금)을 포함하는 임의의 개수의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 조립체(200)는, 서로 결합되고 우산의 다른 부품들에 결합되어 개폐하는 리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다수의 부품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리브 조립체(200)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리브 조립체(200)는 3개의 이산 리브, 즉, 제1 리브(210), 제2 리브(220), 및 제3 리브(230)를 포함한다. 제1 리브(210)는 제1 단부(212) 및 대향하는 제2 단부(214)를 포함하고; 제2 리브(220)는 제1 단부(222) 및 대향하는 제2 단부(224)를 포함하고; 제3 리브(230)는 제1 단부(232) 및 대향하는 제2 단부(234)를 포함한다.
리브(210, 220, 230)들 사이를 부착하여 선회 가능한 특성이 있는 것에 의해 리브 조립체(200)가 개폐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선회 가능한 조인트 등이 각 부분들 사이에 제공되어, 리브 조립체(200)가 개방(확장)될 때와 폐쇄될 때(접혀질 때) 원하는 리브 액션이 허용될 수 있다.
제1 리브(210)의 제1 단부(212)는 상위 캡(12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단부(214)는,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전도-방지 리브 조인트 형태인 제1 리브 조인트(410)에 연결된다. 제1 리브 조인트(410)는 제1 리브(210)와 제2 리브(220)가 완전히 폐쇄된 위치와 완전히 개방된 위치(도 7)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리브 조인트(410)는 다수의 부착점을 포함하고, 특히, 제1 리브 조인트는 제1 리브(210)의 제2 단부(214)가 부착된 제1 부착점(411)을 포함한다. 제1 리브 조인트(410)는 아래에 설명된 다른 부분에 부착된 제2 부착점(413)을 더 포함하고, 제2 리브(220)의 제1 단부(222)에 부착된 제3 부착점(415)을 더 포함한다. 제1 리브 조인트(410)의 구조는 제1 리브 조인트(410)에 부착된 각 요소가 이 제1 리브 조인트에 대해 선회한다는 점에서 부착점(411, 413, 415)이 선회하는 특성을 구비하는 유형이다.
제2 리브(220)의 제2 단부(224)는 제3 리브(230)의 제1 단부(232)에 연결된다. 특히, 제2 리브 조인트(450)는 제2 리브(220)와 제3 리브(230) 사이에 제공된다. 제2 리브 조인트(450)는 제2 리브(220)와 제3 리브(230)를 완전히 폐쇄된 위치와 완전히 개방된 위치(도 7)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제2 리브 조인트(450)는 다수의 부착점을 포함하고, 특히, 제2 리브 조인트(450)는 제2 리브(220)의 제2 단부(224)가 부착된 제1 부착점(451)을 포함한다. 제2 리브 조인트(450)는 아래에 설명된 다른 부분에 부착된 제2 부착점(453)을 더 포함한다. 제2 리브 조인트(450)의 구조는 제2 리브 조인트(450)에 부착된 각 요소가 이 제2 리브 조인트에 대해 선회한다는 점에서 부착점(451, 453)이 선회하는 특성을 구비하는 유형이다.
스트럿(300)은 제1 리브(21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럿(300)은 중간 위치에서 제1 리브(210)에 부착되고, 스트럿(300)이 러너(150)의 작용으로 인해 위쪽으로 이동될 때, 리브 조립체(200)가 개방되도록 설계된다.
리브 조립체(200)는 다수의 보강 요소를 더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브 조립체(200)는, 제1 단부(272)에서 (선회 조인트에서) 스트럿(300)의 단부(302)에 연결되고, 제2 단부(274)에서 연결 점(413)에서 선회 조인트(410)에 연결된 제1 보강 요소(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 요소(270)와 제2 리브(220) 사이에 연결은 제1 단부(222) 부근에 있는 반면, 제1 리브(210)와 제2 리브(220) 사이의 연결은 제1 단부(222)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에 있다. 제1 보강 요소(270)와 스트럿(300)과 제2 리브(220) 사이의 연결은 선회 조인트(410)의 구조에 기초하여 선회 가능한 특성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 요소(270)는 세장형 봉(elongated rod), 와이어, 케이블, 스프링 요소 등과 같은 세장형 구조 형태이다. 보강 요소(270)는 보강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고, 또한 리브 조립체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힘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도-방지 기구(400)가 제공되고, 이 전도-방지 기구는 선택 동작 조건 동안 그리고 특히, 바람이 부는 상태 또는 다른 악조건 동안 우산에 인가되는 전도력(inversion force)에 대항(counter)하도록 구성된다. 우산의 사용자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급격한 돌풍 바람이 우산의 내부 쪽으로 위쪽으로 향하는 경우, 바람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은 캐노피를 전도(invert)시켜 리브들이 캐노피를 외부쪽으로 가압하는 역효과(counterproductively)를 작용한다. 이 캐노피는 일반적으로 전도가 일어날 때 오목한 형상을 취하고, 유사하게, 리브는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선회되게 가압되어 하나 이상의 리브들이 파손될 수 있다. 이것은 우산을 못쓰게 한다. 본 발명의 우산은 아래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된 여러 부품으로 이루어진 전도-방지 기구(400)를 구비한다.
도 7은 하나 이상의 부품이 인장 하에 있는 개방된 (정상) 위치에 있는 전도-방지 기구(400)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도-방지 기구(400)는 전도-방지 리브 조인트(410)와 전도-방지 스프링(420)을 포함한다.
전도-방지 리브 조인트(410)는 실제 제1 리브와 제2 리브(210, 220) 사이의 조인트이고, 리브(210, 220)들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도 2와, 리브(210, 220)들이 완전히 개방되고 러너(150)가 록킹된 위치에 있는 도 7을 참조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리브와 제2 리브(210, 220) 사이를 개폐할 수 있다. 전도-방지 리브 조인트(410)는, 전도-방지 스프링(420)의 일 단부가 앵커링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전도-방지 스프링(420)의 제1 단부(422)가 전도-방지 리브 조인트(410)에 결합되는 구조물을 더 제공한다.
전도-방지 스프링(420)은 대항하는 제2 단부(424)를 구비하고, 가요성 물질로 형성되고, 스프링으로 기능한 결과 탄성을 구비한다. 전도-방지 스프링(420)의 길이를 따라, 전도-방지 스프링(420)은 제1 단부(422)에 인접한 코일 구획(coiled section)(425)을 구비한다. 도 7A 및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방지 스프링(420)은 제2 리브(220)와 전도-방지 리브 조인트(41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도-방지 스프링(420)은 전도-방지 리브 조인트(410)의 일 단부(원위 단부)에 인접한 제2 리브(220) 주위에 배치된 코일 구획(425)을 제외하고는 제2 리브(220)의 밑면(하위)을 따라 실질적으로 이어진다. 전도-방지 스프링(420)은 제2 리브(220) 주위를 랩핑(wrap)하고, 전도-방지 리브 조인트(410)의 후방(근위 단부)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도-방지 스프링(420)은, 전도-방지 조인트(410)의 근위 단부를 따라 배치된 수직 단부 부분(단부 벽)(427)과, 전도-방지 조인트(410)의 근위 단부에 형성된 개구, 슬롯 등 내에 배치된 립 부분(lip portion)(427)에 의해 형성된 훅 부분(hook portion)(426)을 제1 단부(422)에 구비한다.
코일 구획(425)은 제2 리브(220)가 관통 연장되는 중심 보어(central bore)를 구비하는 복수의 코일에 의해 획정된다. 전도-방지 스프링(420)의 나머지 부분은 제2 단부(424)를 나타내는 자유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세장형 와이어 형태일 수 있다. 전도-방지 스프링(420)의 길이는 제2 리브(220)의 길이 미만이다.
전도-방지 스프링(420)의 제2 단부(424)는 제2 리브(220)에 부착되지 않고 이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 있다. 전도-방지 스프링(420)의 제2 단부(424)는 대향하는 단부에서 제3 리브(230)의 제2 단부(234)에 있는 전도-방지 첨단(430)에 부착된 와이어 또는 케이블(297)에 부착된다. 케이블(297)은 제3 리브(230)로부터 이격되어 있지만 이 제3 리브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와이어/케이블(297)은 전도-방지 기구를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 첨단(430)에 부착하는 전도-방지 와이어인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케이블(297)은 나일론 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케블라(Kevlar) 섬유 또는 다른 유형의 고강도 섬유와 같은 다른 구조물도 적절할 수 있다.
임의의 개수의 상이한 기술을 사용하여 와이어(297)의 일 단부를 전도-방지 스프링(420)의 제2 단부(424)에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방지 스프링(420)의 제2 단부(424)는 와이어(297)의 일 단부를 전도-방지 스프링(420)에 허용하는 훅 또는 다른 구조물(440)을 포함할 수 있다. 훅(440)은 와이어(297)의 일 단부에서 루프를 훅(440)에 부착할 수 있게 하는 개구를 갖는 코일 구조 또는 굴곡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B 및 도 12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97)의 다른 단부는 전도-방지 첨단(430)에 부착된다. 전도-방지 첨단(430)은 제1 단부(431)와, 폐쇄된 원위 단부를 나타내는 대향하는 제2 단부(432)를 구비한다. 제1 단부(431)는, 제3 리브(230)의 제2 단부(234)가 첨단(430)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슬롯)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이 제2 단부가 부착되는 단부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도-방지 첨단(430)은 내부에 형성된 리세스(recess) 또는 그루브(groove)(433)를 구비하고, 특히, 그루브(433)는 전도-방지 첨단(430)의 몸체의 측면과 상위부를 따라 연장된다. 그루브(433)는 와이어(297)를 수용하고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깊이이다. 그루브(433)는 따라서 와이어(297)를 전도-방지 첨단(430)에 위치시켜 부착하는 위치지정 및 결합 특징부로 작용한다.
전도-방지 첨단(430)은, 밑면을 따라 첨단(430)의 제1 단부(431)에 인접하여 위치된 작은 중공 관형 구조 형태의 하위 와이어 커넥터(435)를 더 포함한다. 커넥터(435)는 두 단부에서 개방될 수 있고, 여기서 하나의 개방된 단부는 그루브(433)에 인접한다. 와이어(297)는 첨단(430)의 상위부에 와이어(297)를 루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전도-방지 첨단(430)에 부착되고, 이에 의해 와이어(297)는 그루브(432) 내에 배치(안착)되고 나서 와이어(297)의 자유 단부는 커넥터(435)를 통해 공급된다. 이것으로 와이어(297)가 제 위치에 록킹된다.
전도-방지 기구는 또한, 제1 리브(210)와 제3 리브(230) 사이에 부착되고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리브(220)에 더 결합된 다른 보강 요소, 즉, 제2 보강 요소(280)와 동시에 동작한다. 제2 보강 요소(280)는 제1 단부(282) 및 대향하는 제2 단부(284)를 구비하는 세장형 구조물이고, 여기서 제1 단부(282)는 그 제2 단부(214)에 인접하여 제1 리브(210)에 부착된다. 제2 보강 요소(280)의 제2 단부(284)는 제2 부착점(453)에서 제2 리브 조인트(450)에 부착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보강 요소(280)와, 제1 리브(210)와 제3 리브(230) 사이에 연결은 우산이 개폐될 때 리브(210, 230)들이 자유로이 개폐되는 유형이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2 보강 요소(280)는 선형 구조가 아니고 코일 구조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요소(280)는 단부(282, 284)들 사이에 중간 코일 구획(285)을 포함한다. 코일 구획(285)은 단부(222, 224)들 사이 중간 위치에 제2 리브(220) 주위에 단일 권선(코일) 형태일 수 있다.
보강 요소(270)와 같이, 보강 요소(280)는 세장형 봉, 와이어, 케이블, 스프링 요소 등과 같은 세장형 구조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브(스트레처 부재)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지는 이유는 경량이어서 사용시 편의를 제공하고 우산 동작을 지지하는 적절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설계는 정상 환경에서는 단점이 없다. 그러나, 바람이 강한 지역에서는, 이러한 리브 구조는 강한 바람을 받을 때 우산 캐노피가 역전(reversed)될 수 있어서 용이하게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역전 풍력에 의해 하나 이상의 리브들이 비가역적으로 벤딩되어 용이하게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이것은 우산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이것은 전통적인 알루미늄 합금 우산의 주요 단점이다.
제2 보강 요소(280)는 우산의 적절한 동작을 보장하는 전도-방지 스프링(420)과 함께 동작하는 작동체 스프링인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전도-방지 스프링(420)은 캐노피의 밑면에 인가되는 힘(예를 들어, 압력)으로 인해 우산의 전도에 저항하는 저항력(counteractive force)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297)와 함께) 전도-방지 스프링(420)은 리브 조립체(200), 특히, 제3 리브(230) 등을 정상 동작 위치에 유지하는 바이어스 힘을 인가한다. 이 바이어스 힘은 인가되는 전도력(예를 들어, 위쪽으로 향하는 급격한 돌풍 바람)의 결과 제3 리브(230)의 위쪽으로의 움직임에 견뎌낸다. 와이어(297)의 강도는 캐노피의 외부 주변 부분이 위쪽으로 리프트하는 (부분에 응력과 가능하게는 파손을 초래하는) 것에 의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제2 보강 요소(280)(작동체 스프링)(280)는 전도력과 같은 힘이 우산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제2 리브(22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전도-방지 스프링(420)과 작동체 스프링(280)의 동작에 의해 우산은 악조건에서도 의도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보장된다.
리브(210, 220, 230)는 임의의 개수의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라 리브(210, 220, 230)는 2개 이상의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리브(210)는 제1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리브(220, 230)는 제2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21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리브(220, 230)는 카본 물질(예를 들어, 플루티드 카본(flutted carbon)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우산(100)의 샤프트(110)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리브(210, 220, 230)는 비틀림 강도를 위해 설계된 맞춤 형상을 구비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리브(220, 230)는 카본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맞춤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20, 230)는 복수의 평면 구획(293)(편평부)이 산재된 복수의 굴곡된 구획(291)으로 획정된 형상을 구비한다. 특히, 리브(230)의 단면은 도 4에 도시된 반면, 리브(220)의 단면은 도 5에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3개의 굴곡된 구획(291)과 3개의 편평부(293)가 있고, 여기서 편평부(293)와 교번하는 굴곡된 구획(291)은 리브의 형상을 형성한다. 이 리브 형상은 증가된 비틀림 강도를 제공한다.
우산의 각 부분은 그 동작에 필요하지만, 러너(150)는 우산을 개폐하는 부분이다. 러너(150)가 완전히 아래에 있을 때, 스트럿(300)은 샤프트에 대해 편평하게 접히고, 우산은 "폐쇄"되고, 여기서 방수 물질과 리브는 샤프트 주위에 랩핑된다. 우산을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러너(150)를 완전히 상위부까지 슬라이딩한다. 스트럿(300)은 연장되고, 스트럿에 부착된 리브를 상승시켜, 리브 위에 있는 물질(캐노피)을 타이트하게 확장시킨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샤프트(110)와 하나 이상의 리브(220, 230)는 면을 갖는 설계를 가지는 것에 의해 증가된 비틀림 강도를 제공하도록 맞춤 설계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비틀림 강도는 비틀림 부하를 받는 물질의 극한 강도이고, 파괴 전에 물질이 유지하는 최대 비틀림 응력이다. 다시 말해, 비틀림 강도는 트위스트(토크)에 대한 물질의 저항이고 전단 강도와 관련된다.
도 2 및 도 7은 샤프트(110)와 리브 조립체(20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우산(100)과 매우 유사한 우산(101)을 도시한다. 우산(101)은 (도 1에 도시된 수동 유형과 대조적으로) 자동 유형이어서, 핸들(130)은 자동화되고, 푸시 버튼(550)과 같은 작동체를 포함한다. 도시된 푸시 버튼은 버튼(550)을 한번 가압하면 우산이 개방되어 도 7에 도시된 위치를 취한다는 점에서 듀얼 작동체로 설계된다.
버튼(550)을 2번째 가압하면 샤프트를 연장된 채 유지하면서 캐노피를 (리브 조립체를 제어하여 접는 것에 의해) 접을 수 있다. 사용자는 러너(150)를 아래쪽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우산을 폐쇄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2의 우산의 부분인 핸들(130)의 상세를 도시한다. 우산의 모델 유형에 따라, 핸들(130)의 부분은 상이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핸들(130)의 부분은 샤프트를 외부쪽으로 전진시키고 캐노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것에 의해 우산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핸들은,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우산을 개방시킬 뿐만 아니라 우산을 (예를 들어, 리브를 접는 것에 의해 캐노피를 접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30)은, 커넥터(135)를 포함하는 (적절한 물질, 예를 들어 합성 물질로 형성된) 루프 스트랩(looped strap)(132)을 포함한다. 커넥터(135)는 커넥터(135)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부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137)를 갖는 캡(cap)(원통형 형상의 하우징) 형태이다. 돌출부(137)는 캡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180도 이격되어) 반대쪽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트랩(132)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트랩을 핸들(130)에 용이하게 부착하고 이 핸들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베이오닛 장착부(bayonet mount) 조립체의 일부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베이오닛 장착부는 하나 이상의 방사방향 핀을 갖는 원통형 수 측면부(male side)와, 매칭하는 L-형상의 슬롯(들)과 2개의 부분을 서로 록킹시키는 스프링(들)을 갖는 암 수용부(female receptor)로 구성된 패스너 기구이다. 이 슬롯은 세리프(serif)(수평 아암의 단부에서 위쪽으로 짧은 세그먼트)를 갖는 대문자 L과 같은 형상이며; 핀은 L의 수직 아암으로 슬라이딩하고, 수평 아암에 걸쳐 회전하고 나서, 스프링에 의해 약간 위쪽으로 짧은 수직 "세리프"로 푸시되고; 커넥터는, 핀이 "세리프"에서 벗어날 때까지 스프링으로 푸사다운되지 않는 한, 더 이상 자유로이 회전할 수 없다.
도 15 및 도 16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 핸들(130)은 다수의 부분으로 형성되고, 이들 중 다수는 종래의 것이다. 특히, 핸들(130)은 제1 몸체 부분(500)과 제2 몸체 부분(510)을 구비한다. 제1 몸체 부분(500)은 우산 핸들의 하부 부분에 위치된 핸들 그립 형태이고, 제2 몸체 부분(510)은 핸들 몸체 형태이며, 우산 핸들의 상부 단부(upper end)에 위치되거나 그 부근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몸체 부분(500, 510) 각각은 중공 부분이고, 제2 몸체 부분(510)의 하위 단부는 제1 몸체 부분(500)의 중공 내부에 수용되지만, 제1 몸체 부분(500)의 하위 단부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제1 몸체 부분(500)은 베이오닛 스트랩 조립체(520)가 배치된 개구를 더 포함한다. 베이오닛 스트랩 조립체(520)는 중공인 암 하우징(female housing)(522)을 포함하고, 제1 단부(523)에 있는 개구 및 반대쪽 제2 단부(524)에 있는 개구를 포함한다. 제1 단부(523)는 플랜지(525)를 더 포함한다.
제2 단부(524)에 있는 중공 내부와 개구는 커넥터(135)의 형상과 상보적인 것으로 구성되고, 그리하여, 제2 단부(524)에 있는 내부와 개구는, 원형 형상의 중심 개구로부터 외부쪽으로 연장되고 하우징(522)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한 쌍의 노치(notch)(529)를 갖는 원형 형상을 구비한다. 커넥터(135)의 돌출부(137)는 노치(529) 내에 수용된다. 돌출부(137)와 노치(529) 사이에 일치(registration)가 없는 한, 노치(529)는, 삽입이 가능하지 않으므로, 커넥터(135)를 삽입하는 가이드 수단을 제공한다.
스트랩 조립체(520)는 베이오닛 캡(530)과, 이 베이오닛 캡(530)에 힘을 인가하는 바이어스 수단, 예를 들어, 스프링(540)을 더 포함한다. 캡(530)은 스프링(540)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중공 내부를 구비한다. 도시된 캡(530)은 원통형 형상을 구비하고, 이로부터 외부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532)를 포함한다. 돌출부(532)는 돌출부(137)와 유사하고, 노치(529) 내에 배치되어, 하우징(522)의 중공 내부에서 캡(530)이 (길이방향으로) 병진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540)의 다른 단부는 벽(535)에 배치된다. 스프링(540)은 바이어스 힘을 캡(530)에 인가하여, 캡(530)을 제1 몸체 부분(500)의 하위 단부와 동일 높이에 있게 한다. 다시 말해, 캡(530)은 하우징(522)의 노출된 하위 표면과 동일 높이에 유지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루프로 형성된 스트랩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하면, 캡(530)이 하우징(522)에 있는 개구를 폐쇄하고 이 폐쇄된 위치에 스프링(540)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핸들의 하위는 클린하고 매력적인 외관을 구비하므로, 매력적인 핸들 설계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돌출부(137)가 노치(529)와 정렬된 상태에서 커넥터(135)를 하우징(522)의 하위 개구에 삽입하면, 캡(530)은 스프링(540)이 압축되면서 하위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커넥터(135)의 돌출부(137)가 길이방향 노치(529)를 지나갈 때까지 캡(530)과 커넥터(135)는 하우징(522)의 중공 내부에서 구동되고, 커넥터(135)가 트위스트되면, 돌출부(137)가 록킹 슬롯("세리프")으로 들어간다. 이 동작은 커넥터(135)를 제 위치에 효과적으로 록킹하고, 루프로 형성된 스트랩이 스프링(540)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핸들에 대해 제 위치에 록킹된다. 루프로 형성된 스트랩을 제거하려면, 단계들을 역전시켜서, 돌출부(137)가 노치(529)와 다시 일렬로 될 때까지 커넥터(135)를 회전시킨다. 스프링(540)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커넥터(135)는 하우징(522)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커넥터(135)는 베이오닛 장착부의 수 부분(male part)을 나타내고, 하우징(522)은 암 부분(female part)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2 몸체 부분(510)은 캐노피의 전개(개방)와 완전히 개방된 캐노피의 접힘 중 적어도 하나를 야기하는 푸시 버튼 조립체 형태의 작동체 조립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2 몸체 부분(510)은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 또는 개구(515)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푸시 버튼(550)이 통과하여 사용자에 접근가능하고 이를 푸시하여 작동체 조립체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관통홀(515)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화살표 또는 단일 화살표와 같은 화살표 형상을 구비한다. 단일 화살표 버튼은, 버튼을 가압하면 샤프트를 단지 연장시켜 사용자가 캐노피를 개방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역으로, 이중 화살표 버튼은, 버튼을 가압하면 샤프트를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캐노피를 자동 개방시키고 (캐노피가 개방된 때) 버튼을 2번째 가압하면 캐노피가 자동적으로 폐쇄되어, 샤프트가 수동으로 수축되어 우산을 완전히 폐쇄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작동체 (버튼) 조립체는 중공 내부와 제1 단부(562) 및 대향하는 제2 단부(564)를 구비하는 핸들 내부 어댑터(560)를 더 포함한다. 제2 단부(564)는 제2 몸체 부분(510)의 중공 내부에 수용된다. 핸들 내부 어댑터(560)는 측면 개구(561)를 더 포함한다. 조립체는, 측면 개구(561)를 통해 수용되어 핸들 내부 어댑터(560)의 중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사이즈와 형상으로 형성된 푸시 버튼 작동체(570)를 더 포함한다. 푸시 버튼 작동체(570)는 핸들 내부 어댑터(560)의 중공 내부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한다. 푸시 버튼 작동체(570)의 후방은 핸들 내부 어댑터(560)와 푸시 버튼 작동체(570)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과 같은 바이어스 요소(580)와 맞물려, 푸시 버튼 작동체(570)에 힘(복원력)을 가한다. 푸시 버튼 작동체 캐치부(catch)(585)가 또한 제공되고, 핸들 내부 어댑터(560)의 중공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푸시 버튼(550) 그 자체는 푸시 버튼 작동체(57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푸시 버튼 작동체(570)는 동일한 부분이 단일 화살표 버튼 또는 이중 화살표 버튼과 같은 상이한 유형의 버튼과 맞물릴 수 있다는 점에서 모듈식 특성을 구비한다. 푸시 버튼 작동체(570)의 전방은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푸시 버튼(550)의 후방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다수의 모델에 공통인 작동체 부분을 제조할 수 있고, 적절한 푸시 버튼을 간단히 부착하여, 버튼의 형상을 반영하는 컷아웃(홀)을 구비하는 상보적인 제2 몸체 부분(510)(핸들 몸체)에 삽입할 수 있다.
핸들 조립체는 상위 링(600)을 제2 몸체 부분(510)의 상위 에지와 맞물리는 것으로 완성된다.
이제 예시적인 우산 케이스(700)를 도시하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한다. 우산 케이스(700)는 합성 직물(예를 들어, 나일론, 캔버스(canvas) 등)과 같은 적절한 물질로 형성된 세장형 중공 구조물(710)이다. 구조물/몸체(710)의 중공 내부는 우산을 수용하여 저장하고, 지퍼 또는 훅과 루프 스트랩(715)과 같은 패스너를 제공하여 우산 주위에 커버를 가까이 부착하고 고정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전통적인 우산 케이스는 강성의 부분을 갖지 않는 본질적으로 관형 직물 구조이기 때문에 매우 가요성이다. 이것에 의해 우산을 사용할 때 케이스를 접어 저장할 수 있다. 케이스가 이런 전통적인 형태를 취할 때, 우산은 소매 전시를 위해 서로 상하로 놓일 수 있다.
몸체(710)는 개방된 제1 단부(712)와 폐쇄된 제2 단부(71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 케이스(700)는, 자체 직립하여서, 우산 제품이 눕혀 있는 것과는 달리 수직(직립)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것에 의해 제품 전시와 패키징을 보다 우수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케이스(700)의 폐쇄된 제2 단부(714)는 강성의 컵 구조물(720)(예를 들어, 주변 주위에 환형 형상의 립 또는 수직 벽을 갖는 베이스 디스크)을 구비한다. 컵 구조물(720)은 케이스가 전시와 같은 편평한 표면 상에서 직립할 수 있게 하는 편평한(평면) 하위이다. 컵 구조물(720)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임의의 개수의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에 삽입될 때, 우산의 일 단부는 컵 구조물(720)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 및 다른 물질과 구조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언급된 사항과 그 균등범위에 의해 획정된다.

Claims (31)

  1. 우산으로서,
    제1 단부 및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세장형 샤프트(elongated shaft);
    상기 세장형 샤프트 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러너(runner); 및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스트럿(strut)에 의해 상기 러너에 부착된 복수의 리브(rib)를 포함하는 리브 조립체로서, 상기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리브는 개방되어 연장된 위치에 있고, 상기 폐쇄된 위치에서 상기 리브는 폐쇄되어 접힌 위치에 있고, 상기 스트럿은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상기 러너 사이에 연장되는, 상기 리브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세장형 샤프트는, 복수의 굴곡된 구획(curved section)과 상기 복수의 굴곡된 구획 사이에 산재된 복수의 평면 구획(planar section)에 의해 획정된 단면 형상을 구비하여, 증가된 비틀림 강도를 상기 세장형 샤프트에 제공하는,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샤프트는 수동으로 전개되는 유형인, 우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샤프트는 자동적으로 전개되는 유형인, 우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샤프트는 복수의 텔레스코핑 샤프트 구획(telescoping shaft section)으로 형성되는, 우산.
  5. 제4항에 있어서, 각 텔레스코핑 샤프트 구획은 상기 복수의 굴곡된 구획과 상기 복수의 굴곡된 구획 사이에 산재된 상기 복수의 평면 구획에 의해 획정된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우산.
  6. 제1항에 있어서, 3개의 굴곡된 구획과 상기 3개의 굴곡된 구획들 사이에 산재된 3개의 평면 구획이 있고, 상기 3개의 굴곡된 구획 각각은 볼록한 형상을 구비하는, 우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구획은 서로 약 120도 이격되어 배치된, 우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조립체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호 연결된 리브들의 복수의 세트로 분할되되, 상호 연결된 리브들의 하나의 세트에 하나의 스트럿이 연결되는, 우산.
  9. 제1항에 있어서, 상호 연결된 리브들의 각 세트는 제1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상기 제1 물질과는 상이한 제2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로 형성된, 우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은 알루미늄 합금이고, 상기 제2 물질은 카본 물질인, 우산.
  11. 제9항에 있어서, 상호 연결된 리브들의 각 세트는 상기 샤프트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리브와, 제3 리브에 또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하는 스트럿은 상기 러너와 상기 제1 리브 사이에 연장되는, 우산.
  12. 제8항에 있어서, 상호 연결된 리브들의 하나의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복수의 굴곡된 구획과 상기 복수의 굴곡된 구획 사이에 산재된 복수의 평면 구획에 의해 획정된 단면 형상을 구비하여, 증가된 비틀림 강도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에 제공하는, 우산.
  13. 제12항에 있어서, 3개의 굴곡된 구획과 상기 3개의 굴곡된 구획들 사이에 산재된 3개의 평면 구획이 있고, 상기 3개의 굴곡된 구획 각각은 볼록한 형상을 구비하는, 우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구획들은 서로 약 120도 이격되어 배치된, 우산.
  15. 바람으로 유도되는 손상을 견뎌내는 우산 리브로서,
    세장형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몸체는 상기 몸체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면(facet)에 의해 획정된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우산 리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단면 형상은, 굴곡된 구획과 상기 복수의 굴곡된 구획 사이에 산재된 복수의 평면 구획에 의해 획정되어, 증가된 비틀림 강도를 상기 세장형 몸체에 제공하는, 우산 리브.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몸체는 플루티드 카본(flutted carbon) 물질로 형성된, 우산 리브.
  18. 제15항에 있어서, 3개의 굴곡된 구획과 상기 3개의 굴곡된 구획들 사이에 산재된 3개의 평면 구획이 있고, 상기 3개의 굴곡된 구획 각각은 볼록한 형상을 구비하는, 우산 리브.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구획들은 서로 약 120도 이격되어 배치된, 우산 리브.
  20. 우산으로서,
    제1 단부 및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세장형 샤프트;
    상기 세장형 샤프트 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러너;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스트럿에 의해 상기 러너에 연결된 복수의 리브 세트를 포함하는 리브 조립체로서, 상기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리브 세트는 개방되어 연장된 위치에 있고, 상기 폐쇄된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리브 세트는 폐쇄되어 접힌 위치에 있으며, 각 리브 세트는 제1 리브, 제2 리브, 및 제3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세장형 샤프트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3 리브는 원위 리브인, 상기 리브 조립체;
    상기 제1 리브를 상기 제2 리브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하는 제1 리브 조인트;
    상기 제2 리브를 상기 제3 리브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하는 제2 리브 조인트;
    복수의 전도-방지(anti-inversion) 스프링 요소로서, 각 전도-방지 스프링 요소는 하나의 제2 리브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전도-방지 스프링 요소는 상기 제1 리브 조인트에 고정 부착된 제1 단부와, 반대쪽 자유로운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도-방지 요소는 상기 제2 리브가 관통 연장되는 코일 구획(coiled section)을 구비하고, 상기 전도-방지 스프링 요소는 상기 우산에 인가되는 전도력(inversion force)에 대항하는 힘을 상기 리브 조립체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상기 복수의 전도-방지 스프링 요소; 및
    상기 전도-방지 스프링 요소의 상기 제2 단부에 부착된 제1 단부와, 상기 제3 리브의 자유 원위 단부에 위치된 첨단(tip)에 부착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가요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우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방지 스프링 요소는 상기 제2 리브의 밑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리브 세트가 상기 개방되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리브의 밑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전도-방지 스프링 요소는 상기 우산의 전도에 저항하는 바이어스 힘을 상기 와이어를 사용하여 인가하는, 우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방지 스프링 요소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리브 조인트의 일 단부에 있는 개구와 맞물려, 상기 전도-방지 스프링 요소를 상기 제1 리브 조인트에 고정 부착하면서, 상기 코일 구획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 측정된 상기 전도-방지 스프링 요소의 길이를 상기 제2 리브로부터 이격시키는 훅(hook)을 포함하는, 우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제2 단부는,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1 단부에 있는 루프(loop)를 수용하여 이들 둘을 상호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상기 와이어의 루프 구획(looped section)에 의해 획정된 훅 부재를 포함하는, 우산.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나일론 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를 포함하는, 우산.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및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단부에서 개방되어 상기 제3 리브를 수용하는 메인 개구를 구비하는 세장형 몸체와,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상기 첨단의 상기 세장형 몸체의 외부 표면을 따라 형성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세장형 몸체의 상기 외부 표면은 내부에 형성된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그루브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도-방지 스프링 요소의 상기 제2 단부로 연장될 때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는, 우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중심에서 관통 연장되는 관통홀을 갖는 관통 구조물을 포함하는, 우산.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에 부착된 제1 단부와, 상기 제2 리브 조인트에 부착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세장형 와이어 구조 형태의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2 리브 주위에 배치된 중간 코일 구획을 구비하는, 우산.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되어 연장된 위치에서 상기 전도-방지 스프링 요소는 상기 제2 리브 아래에 실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3 리브 아래에 실질적으로 배치된, 우산.
  29. 제20항에 있어서, (1) 상기 세장형 샤프트의 상기 제2 단부에 있는 핸들로서, 상기 핸들은 제1 개구를 구비하는 제1 몸체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핸들; 및 (2) 커넥터를 구비하는 루프로 형성된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 몸체 부분의 상기 제1 개구 사이에 베이오닛 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루프 스트랩이 상기 핸들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우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캡 구조물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대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 부분은 상기 대향하는 돌출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노치(notch)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개구를 획정하는 암 하우징(female housing)을 포함하는, 우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부분은 핸들 커버와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핸들 커버는 상기 암 하우징의 중공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은, 휴지 위치에서, 상기 루프로 형성된 스트랩이 상기 핸들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핸들 커버가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핸들 커버에 힘을 인가하는, 우산.
KR1020167012053A 2013-10-09 2014-09-25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KR20160085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3791A KR102321528B1 (ko) 2013-10-09 2014-09-25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49,703 2013-10-09
US14/049,703 US9301582B2 (en) 2013-10-09 2013-10-09 Umbrella having improved shaft and rib assembly
PCT/US2014/057425 WO2015053951A1 (en) 2013-10-09 2014-09-25 Umbrella having improved shaft and rib assembl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791A Division KR102321528B1 (ko) 2013-10-09 2014-09-25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767A true KR20160085767A (ko) 2016-07-18

Family

ID=527759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053A KR20160085767A (ko) 2013-10-09 2014-09-25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KR1020217023791A KR102321528B1 (ko) 2013-10-09 2014-09-25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791A KR102321528B1 (ko) 2013-10-09 2014-09-25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9301582B2 (ko)
EP (1) EP3054806B1 (ko)
JP (1) JP6556124B2 (ko)
KR (2) KR20160085767A (ko)
CN (1) CN105764375A (ko)
AR (1) AR097972A1 (ko)
AU (1) AU2014332376B2 (ko)
CA (1) CA2926804C (ko)
HK (1) HK1222100A1 (ko)
MX (1) MX2016004600A (ko)
RU (1) RU2720737C2 (ko)
SG (1) SG11201602769UA (ko)
TW (2) TWI639399B (ko)
WO (1) WO20150539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111Y1 (ko) * 2022-11-15 2023-07-28 쏙인터내셔날 주식회사 휴대 편리성 향상 구조를 포함하는 우산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76049A1 (en) * 2015-06-25 2016-12-29 Stroms LLC Container Opening Support System
CN205611966U (zh) * 2016-02-01 2016-10-05 厦门明和实业有限公司 一种抗风伞骨结构
US9788617B1 (en) * 2016-09-29 2017-10-17 Xiamen Mingho Brothers Mfg Co., Ltd. Pull rib of wind-resistant umbrella
US9844250B1 (en) * 2017-03-03 2017-12-19 Tsun-Zong Wu Anti-turning umbrella frame
US10258120B2 (en) 2017-06-27 2019-04-16 Charles E Crayton Multiple-fold frame assembly
USD830683S1 (en) 2017-10-09 2018-10-16 E. Mishan & Sons, Inc. Umbrella handle with light
USD831951S1 (en) 2017-10-09 2018-10-30 E. Mishan & Sons, Inc. Umbrella handle with light
US11006711B2 (en) 2018-10-24 2021-05-18 Shedrain Corporation Umbrella having anti-inversion mechanism
WO2020086806A1 (en) * 2018-10-24 2020-04-30 Shedrain Corporation Umbrella having anti-inversion mechanism
CN114828691B (zh) * 2019-09-06 2024-04-12 埃里克·切维拉德 用于恶劣天气和/或日光防护装置的框架
TWI822911B (zh) * 2019-11-25 2023-11-21 美商盛雨公司 具有防翻轉機構的傘
EP4125490A4 (en) * 2020-04-02 2024-03-20 Shedrain Corp UMBRELLA WITH AN ANTI-TURN MECHANISM
EP4240199A1 (en) 2020-11-06 2023-09-13 Shedrain Corporation Umbrella having anti-invers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577A (en) * 1896-05-05 Island
US1104598A (en) * 1913-09-30 1914-07-21 Edward Wyskosky Umbrella.
US1444017A (en) * 1921-03-05 1923-02-06 Waschek Frank Parachute
US2833297A (en) * 1947-11-05 1958-05-06 Tibony Henry Umbrella construction
US2616439A (en) * 1949-05-24 1952-11-04 Thompson Richard Herbert Collapsible umbrella
JPS5347950U (ko) * 1976-09-20 1978-04-22
JPS5927768Y2 (ja) * 1981-07-25 1984-08-11 典和 藤橋 濡損を防止した折畳み洋傘
GB2120547B (en) * 1982-05-26 1986-05-08 Fu Tai Umbrella Works Limited Umbrella
JPS6036720U (ja) * 1983-08-22 1985-03-13 水田 要 引き伸ばし傘
US4779896A (en) * 1987-07-27 1988-10-25 Ingalls James W Ski pole
JPH06105708A (ja) * 1992-09-03 1994-04-19 Guenther Schneider 携帯容器
JP3007819U (ja) * 1994-06-09 1995-02-28 河政商事株式会社 洋 傘
US5720311A (en) * 1996-10-07 1998-02-24 Fu Tai Umbrella Works, Ltd. Telescopic umbrella shaft means with concave hexagonal sides
JPH10179223A (ja) * 1996-12-19 1998-07-07 Kk Shoji Kk 折り畳み式傘の軸柄
DE29715020U1 (de) * 1997-08-21 1997-11-13 Fu Tai Umbrella Works Ltd Gewichtsverringerter, mehrfach gegliederter, automatischer Schirm
US6343568B1 (en) * 1998-03-25 2002-02-05 Mcclasky David R. Non-rotating telescoping pole
US6016822A (en) * 1998-04-28 2000-01-25 Fu Tai Umbrella Works, Ltd. Automatic umbrella with quadruple folds or the like
US6058952A (en) * 1998-12-02 2000-05-09 Fu Tai Umbrella Works, Ltd. Simplified flat top umbrella
US6112755A (en) * 1998-12-15 2000-09-05 Fu Tai Umbrella Works, Ltd. Automatic penta-fold umbrella
US6186157B1 (en) * 1999-10-04 2001-02-13 Fu Tai Umbrella Works, Ltd. Windproof umbrella having compact folded structure
CN2396678Y (zh) * 1999-10-11 2000-09-20 浙江帅哥实业有限公司 三折伞拉簧骨架
US6338353B1 (en) * 2000-04-18 2002-01-15 Ming Ho Umbrella Industry Co., Ltd. Self-opening and foldable umbrella
US6360759B1 (en) 2000-06-02 2002-03-26 Fu Tai Umbrella Works Ltd. Multiple-fold automatic umbrella with penta-fold rope
JP3370980B2 (ja) * 2000-09-25 2003-01-27 福太洋傘工廠股▲ふん▼有限公司 アルミニウム合金の内骨と炭素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外骨とを有する多段折畳み式の傘骨アセンブリ
JP2002336018A (ja) * 2001-05-11 2002-11-26 Showa O ハンドル及び該ハンドルを備えた傘
US6588439B2 (en) * 2001-07-06 2003-07-08 Tsun-Zong Wu Wind-protecting skeleton for folding umbrella
FR2844430B1 (fr) * 2002-09-13 2005-04-29 Yves Michel Emile Fremont Dispositif anti-retournement pour parapluies, parasols, ombrelles
US6863081B2 (en) 2003-02-04 2005-03-08 Hsieh Ming-Ju Wind-proof umbrella rib structure
TW592060U (en) * 2003-05-14 2004-06-11 Sheng-He Wang Umbrella with rotary face unit
US20040238020A1 (en) * 2003-05-28 2004-12-02 Youth Lee Wind-proof umbrella
US7415986B2 (en) * 2004-04-09 2008-08-26 Hsien-Sao Wu Reinforced structure for collapsible and wind resistible umbrella
CN101204262B (zh) * 2006-12-21 2011-12-14 张书闵 用于自动开收伞的可减小间隙的中棒结构
KR20110005299U (ko) * 2009-11-23 2011-05-31 이재덕 우산 살대 에프 알 피
US8360082B2 (en) 2010-03-31 2013-01-29 Kahng David J Compact folding umbrella with hybrid ribs to resist damage due to inversion
US8607808B1 (en) * 2012-06-29 2013-12-17 Ching-Chuan You Light windproof umbrella
CN203152755U (zh) * 2013-04-02 2013-08-28 上虞市天涵工贸有限公司 三棱柱结构的伸缩伞中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111Y1 (ko) * 2022-11-15 2023-07-28 쏙인터내셔날 주식회사 휴대 편리성 향상 구조를 포함하는 우산 손잡이
WO2024106686A1 (ko) * 2022-11-15 2024-05-23 쏙인터내셔날 주식회사 휴대 편리성 향상 구조를 포함하는 우산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56124B2 (ja) 2019-08-07
JP2016532478A (ja) 2016-10-20
RU2016113754A (ru) 2017-11-15
US9609926B2 (en) 2017-04-04
RU2720737C2 (ru) 2020-05-13
TW201524404A (zh) 2015-07-01
US9301582B2 (en) 2016-04-05
WO2015053951A1 (en) 2015-04-16
KR102321528B1 (ko) 2021-11-03
TWI548362B (zh) 2016-09-11
AR097972A1 (es) 2016-04-20
MX2016004600A (es) 2017-03-06
TW201626919A (zh) 2016-08-01
US20160135555A1 (en) 2016-05-19
EP3054806A1 (en) 2016-08-17
KR20210095750A (ko) 2021-08-02
CA2926804C (en) 2022-03-08
AU2014332376A1 (en) 2016-05-05
EP3054806A4 (en) 2017-07-05
AU2014332376B2 (en) 2019-08-08
TWI639399B (zh) 2018-11-01
CA2926804A1 (en) 2015-04-16
CN105764375A (zh) 2016-07-13
EP3054806B1 (en) 2018-01-10
HK1222100A1 (zh) 2017-06-23
US20150096601A1 (en) 2015-04-09
RU2016113754A3 (ko) 2018-11-12
SG11201602769UA (en)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5767A (ko)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CN114222510B (zh) 关节炎辅助三帆风转伞
US10016033B2 (en) Adjustable canopy umbrella with auditory pin locking and centering system
TW201628524A (zh) 具有抗反轉機構的傘
US11607021B2 (en) Umbrella having anti-inversion mechanism
US11992100B2 (en) Umbrella having anti-inversion mechanism
US11044972B2 (en) Umbrella having an exterior stretcher frame
KR20230098203A (ko) 뒤집힘 방지 기구를 갖는 우산
KR20220156565A (ko) 뒤집힘 방지 기구를 갖는 우산
TW202119969A (zh) 具有防翻轉機構的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