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311A - 원유 탱크용 강재 및 원유 탱크 - Google Patents

원유 탱크용 강재 및 원유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311A
KR20160085311A KR1020167015360A KR20167015360A KR20160085311A KR 20160085311 A KR20160085311 A KR 20160085311A KR 1020167015360 A KR1020167015360 A KR 1020167015360A KR 20167015360 A KR20167015360 A KR 20167015360A KR 20160085311 A KR20160085311 A KR 20160085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rude oil
corrosion
oil tank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6413B1 (ko
Inventor
시로 츠리
츠토무 고모리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강재의 성분 조성을, 질량%로, C:0.03∼0.18%, Si:0.03∼1.50%, Mn:0.1∼2.0%, P:0.013%이하, S:0.010%이하, Al:0.005∼0.10%, N:0.008%이하 및 Cu:0.05∼0.4%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의 P함유량 범위에 대해, 상기 강재의 Cu함유량과 S함유량이 다음 식(1) [%S]≤0.077×[%Cu]0.1 -0.056 --- (1) 단, [%S], [%Cu]는 강재 중에 있어서의 S, Cu함유량(질량%)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범위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탱커 유조부 등의 원유 탱크의 상판에 있어서의 내전면 부식성 및 원유 탱크의 저판에 있어서의 내국부 부식성의 양자가 우수한 원유 탱크용 강재로 한다.

Description

원유 탱크용 강재 및 원유 탱크{STEEL FOR CRUDE OIL TANK AND CRUDE OIL TANK}
본 발명은 강재를 용접해서 형성되는 원유 탱커의 유조나 원유를 수송 혹은 저장하기 위한 탱크(이하, 「원유 탱크」라고 총칭함)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원유 탱크의 천정부나 측벽부에 발생하는 전면 부식 및 원유 탱크의 저부에 발생하는 국부 부식을 경감한 원유 탱크용 강재와, 그 강재로 구성되는 원유 탱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유 탱크용 강재에는 후강판, 박강판 및 형강이 포함된다.
탱커의 원유 탱크의 내면, 특히 상부 갑판 이면 및 측벽 상부에 이용되고 있는 강재에는 전면 부식이 생기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전면 부식이 일어나는 원인으로서는
[1] 밤낮의 온도차에 의한 강판 표면에의 결로와 건조(건습)의 반복,
[2] 원유 탱크내에 방폭용으로 봉입되는 비활성 기체(O2 약 4vol%, CO2 약 13vol%, SO2 약 0.01vol%, 잔부 N2를 대표 조성으로 하는 보일러 혹은 엔진의 배기가스 등) 중의 O2, CO2, SO2의 결로수에의 용입,
[3] 원유로부터 휘발하는 H2S 등 부식성 가스의 결로수에의 용입,
[4] 원유 탱크의 세정에 사용된 해수의 잔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통상, 2.5년마다 실행되는 실제 선박의 도크 검사에서, 강산성의 결로수 중에 황산 이온이나 염화물 이온이 검출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또, 부식에 의해서 생성된 철녹을 촉매로서 H2S가 산화되면, 고체 S가 철녹 중에 층형상으로 생성되지만, 이들 부식 생성물은 용이하게 박리되어 탈락하고, 원유 탱크의 저부에 퇴적한다. 그 때문에, 도크 검사에서는 다대한 비용을 들여, 탱크 상부의 보수나 탱크 저부의 퇴적물의 회수가 실행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한편, 탱커의 원유 탱크 등의 저판으로서 이용되는 강재에는 종래, 원유 그 자체의 부식 억제 작용이나 원유 탱크 내면에 형성되는 원유 유래의 보호성 코트(오일 코트)의 부식 억제 작용에 의해, 부식은 생기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해서, 탱크 저판의 강재에는 밥공기형의 국부 부식(공식)이 발생하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이러한 국부 부식이 일어나는 원인으로서는
[1] 염화 나트륨을 대표로 하는 염류가 고농도로 용해된 응집수의 존재,
[2] 과잉 세정에 의한 오일 코트의 이탈,
[3] 원유 중에 포함되는 황화물의 고농도화,
[4] 결로수에 용입된 방폭용 비활성 기체 중의 O2, CO2, SO2 등의 고농도화 등을 들 수 있다.
실제로, 실제 선박의 도크 검사시에, 원유 탱크내에 체류한 물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고농도의 염화물 이온과 황산 이온이 검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전면 부식이나 국부 부식을 방지하는 가장 유효한 방법은 강재 표면에 중(重) 도장을 실시하고, 강재를 부식 환경으로부터 차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원유 탱크의 도장 작업은 그 도포 면적이 방대할 뿐만 아니라, 도포막의 열화에 의해, 약 10년에 한 번은 도포 교체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검사나 도장에 방대한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중 도장한 도포막이 손상을 받은 부분은 원유 탱크의 부식 환경하에서는 오히려 부식이 조장되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부식 문제에 대해서는 강재 자체의 내식성을 개선하여, 원유 탱크의 부식 환경하에 있어서의 내식성을 개선하는 기술이 몇 개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질량%로, C:0.001∼0.2%, Si:0.01∼2.5%, Mn:0.1∼2%, P:0.03%이하, S:0.02%이하, Cu:0.01∼1.5%, Al:0.001∼0.3%, N:0.001∼0.01%를 함유하고, 또한 Mo:0.01∼0.5% 및 W:0.01∼1%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재끼리를 용접하여 용접 이음매를 형성할 때에, 용접 금속 중의 Cu, Mo, W의 함유량이 다음의 3개의 식을 만족시키도록 용접 이음매를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3≥용접 금속의 Cu함유량(질량%)/강재의 Cu함유량(질량%)≥0.15
3≥(용접 금속의 Mo함유량+W함유량(질량%))/(강재의 Mo함유량+W함유량(질량%))≥0.15
-0.3≤용접 금속의 Cu함유량(질량%)-강재의 Cu함유량(질량%)≤0.5
또, 특허문헌 2에는 질량%로, C:0.001∼0.2%, Si:0.01∼2.5%, Mn:0.1∼2%, P:0.03%이하, S:0.02%이하, Cu:0.01∼1.5%, Al:0.001∼0.3%, N:0.001∼0.01%를 함유하고, 또한 Mo:0.01∼0.5% 및 W:0.01∼1%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재끼리를 용접하여 원유 유조를 형성할 때에, 용접 금속 중의 Cu, Mo, W의 함유량이 다음의 2개의 식을 만족시키도록 용접 이음매를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3≥용접 금속의 Cu함유량(질량%)/강재의 Cu함유량(질량%)≥0.15
3≥(용접 금속의 Mo함유량+W함유량(질량%))/(강재의 Mo함유량+W함유량(질량%))≥0.15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21981호 특허문헌 2: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23421호
해양 환경을 보전하고 또한 원유 탱커를 안전하게 운항시키기 위해서는 원유 탱크로부터 원유가 누설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원유 탱크에 있어서의 부식에 의한 관통구멍의 발생을 방지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때문에, 2.5년마다의 도크들임시에 원유 탱크의 저판의 부식 상황을 조사하고, 깊이 4㎜초과의 공식에 대해서는 보수를 실시하게 되어 있고, 원유 탱커의 유지 관리비를 삭감함에 있어서, 깊이 4㎜초과의 공식 발생을 억제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탱커에의 내식 강의 적용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탱커 저판 및 용접 이음매에 발생하는 국부 부식(공식)을 2.5년간에 4㎜이하로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렇다고 하는 것은 근래에 있어서의 실제 선박의 부식 조사에서는 탱커 저판 및 용접부에 발생하는 공식 내부의 용액의 pH는 1.0이하인 것이 판명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성액 중에 있어서의 강재 부식은 수소 환원 반응에 율속되어 있고, pH의 저하와 함께 비약적으로 부식 속도가 커지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1 및 2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pH2.0에서의 침지 시험에서는 실제 선박에 있어서의 부식 환경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탱커 상판에 발생하는 전면 부식의 억제에 대해서이지만,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발명예 중, 가장 부식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0.11㎜/y 정도이다. 이에 대해, 실제의 원유 탱커에서는 그 내용(耐用) 연수가 25년인 것, 탱커 상판의 설계 부식비가 편면 2㎜정도이기 때문에, 상판에 적용하는 내식 강의 부식 속도는 0.08㎜/y이하가 요구된다. 특히, 탱커 상판에 용접되어 있는 라운지에 대해서는 양면이 탱커 내부의 부식 환경에 노출되므로, 0.1㎜/y초과의 부식 속도를 갖는 내식 강을 적용한 경우에는 보수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도장의 생략화는 바랄수도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현상을 감안해서 개발된 것으로, 탱커 유조부 등의 원유 탱크의 상판에 있어서의 내전면 부식성 및 원유 탱크의 저판에 있어서의 내국부 부식성의 양자가 우수한 원유 탱크용 강재를 이러한 강재로 구성되는 원유 탱크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강의 성분, 특히 Cu와 S에 대해, 개개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말할 필요도 없이, 그들 배합 비율을, P량에 따라 엄밀하게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한 전면 부식이나 국부 부식을 현저히 경감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지견에 입각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질량%로, C:0.03∼0.18%, Si:0.03∼1.50%, Mn:0.1∼2.0%, P:0.013%이하, S:0.010%이하, Al:0.005∼0.10%, N:0.008%이하 및, Cu:0.05∼0.4%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재로서, 상기의 P함유량 범위에 있어서, 해당 강재의 Cu함유량과 S함유량이 다음 식(1)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원유 탱크용 강재:
[%S]≤0.077×[%Cu]0.1 -0.056 --- (1)
단, [%S], [%Cu]는 강재 중에 있어서의 S, Cu함유량(질량%)이다.
2.질량%로, C:0.03∼0.18%, Si:0.03∼1.50%, Mn:0.1∼2.0%, P:0.013∼0.025%, S:0.010%이하, Al:0.005∼0.10%, N:0.008%이하 및, Cu:0.05∼0.4%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재로서, 상기의 P함유량 범위에 있어서, 상기 강재의 Cu함유량과 S함유량이 다음 식(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원유 탱크용 강재:
0.01×[%Cu]-0.1-0.011≤[%S]≤0.077×[%Cu]0.1 -0.056 --- (2)
단, [%S], [%Cu]는 강재 중에 있어서의 S, Cu함유량(질량%)이다.
3.상기 강재는 질량%로, Ni:0.005∼0.4%, Cr:0.01∼0.2%, Mo:0.005∼0.5%, W:0.005∼0.5%, Sn:0.005∼0.4%, Sb:0.005∼0.4%, Nb:0.001∼0.1%, Ti:0.001∼0.1%, V:0.002∼0.2%, Ca:0.0002∼0.01%, Mg:0.0002∼0.01% 및, REM:0.0002∼0.015%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원유 탱크용 강재.
4.상기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원유 탱크용 강재를 이용해서 제조한 원유 탱크.
본 발명에 따르면, 원유 탱커의 유조나 원유를 수송 혹은 저장하는 탱크 등에 발생하는 전면 부식이나 국부 부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산업상 극히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전면 부식 시험에 이용한 시험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공식 시험에 이용한 시험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원유 탱크용 강재의 성분 조성을 상기의 범위에 한정한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성분에 관한 「%」표시는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질량%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C:0.03∼0.18%
C는 강의 강도를 높이는 원소이며, 본 발명에서는 원하는 강도(490∼620MPa)를 확보하기 위해 0.03%이상 첨가한다. 그러나, 0.18%를 넘는 C첨가는 용접성 및 용접 열 영향부의 인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C량은 0.03∼0.18%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6∼0.16%의 범위이다.
Si:0.03∼1.50%
Si는 탈산제로서 첨가되는 원소이지만, 강의 강도를 높이는데 유효한 원소이기도 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원하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Si를 0.03%이상 첨가한다. 그러나, 1.50%를 넘는 Si 첨가는 강의 인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Si량은 0.03∼1.50%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5∼0.40%의 범위이다.
Mn:0.1∼2.0%
Mn은 강의 강도를 높이는 원소이며, 본 발명에서는 원하는 강도를 얻기 위해 Mn을 0.1%이상 첨가한다. 그러나, 2.0%를 넘는 Mn 첨가는 강의 인성 및 용접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Mn량은 0.1∼2.0%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80∼1.60%의 범위이다.
P:0.025%이하(0.013%이하 또는 0.013∼0.025%)
P는 입계에 편석하여 강의 인성을 저하시키는 유해한 원소이므로, 극력 저감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P가 0.025%를 넘어 함유되면, 인성이 크게 저하한다. 또, P가 0.025%를 넘어 함유되면, 탱크 유조내의 내식성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P량은 0.025%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13%이하이다.
S:0.010%이하
S는 용접부의 저온 인성을 저하시키는 유해한 원소이므로, 0.010%이하로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강 중에 Cu가 0.05%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CuS를 형성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S량의 바람직한 범위가 존재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명확하게 되었다.
즉, 발명자들은 상기 CuS의 유용성에 대해 검토를 거듭한 결과, S량 범위는 강 중에 존재하는 Cu량과 정의 상관을 가지며, 강 중의 P량이 0.013%이하의 경우에는 그 범위는 다음 식(1)에서 주어지는 것이 구명되었다.
[%S]≤0.077×[%Cu]0.1-0.056 --- (1)
단, [%S], [%Cu]는 강재 중에 있어서의 S, Cu함유량(질량%)
상기 (1)식을 만족시키는 범위내에서는 S첨가량이 많을수록, 생성하는 CuS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내식성이 향상한다. 그러나, (1)식을 넘은 S를 첨가하면, CuS를 형성하기 위한 Cu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가일층의 내식성의 향상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CuS를 형성할 수 없던 S가 MnS를 형성하기 때문에, 내식성이 저하한다. 따라서, 강 중의 P량이 0.013%이하인 경우에는 강 중에 첨가하는 S량의 상한은 (1)식의 우변의 값 혹은 0.010%의 어느 하나를 낮은 쪽으로 한다.
한편, 강 중의 P량이 0.013∼0.025%의 경우에는 P량의 증가에 의해서 내식성이 저하한 분만큼을 S의 첨가(CuS의 형성)에 의해서 보충하기 때문에, 다음 식(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Cu량에 따라 필요한 S의 하한값이 존재한다.
0.01×[%Cu]-0.1 -0.011≤[%S]≤0.077×[%Cu]0.1-0.056 --- (2)
단, [%S], [%Cu]는 강재 중에 있어서의 S, Cu함유량(질량%)
상기 (2)식의 좌변에서 나타난 S량의 하한값은 강 중의 Cu량과 부의 상관을 가지며, 강 중의 Cu량이 적은(단 0.05%이상) 경우에는 S를 적극적으로 첨가하여 CuS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한편 Cu량이 많은(단 0.4%이하) 경우에는 Cu 그 자체에서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S의 하한이 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Al:0.005∼0.10%
Al은 탈산제로서 첨가되는 원소이며, 본 발명에서는 0.005%이상 첨가한다. 그러나, 0.10%를 넘어 Al을 첨가하면, 강의 인성이 저하하므로, Al량의 상한은 0.10%로 한다.
N:0.008%이하
N은 인성을 저하시키는 유해한 원소이므로, 극력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N이 0.008%를 넘어 함유되면, 인성의 저하가 커지므로, N량의 상한은 0.008%로 한다.
Cu:0.05∼0.4%
Cu는 강의 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강의 부식에 의해서 생성한 녹 중에 존재하고, 부식을 촉진시키는 Cl-이온의 확산을 억제하기 때문에, 내식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필수 첨가 원소이다. 이들 효과는 0.05%미만의 Cu 첨가에서는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한편 0.4%를 넘어 Cu를 첨가하면 내식성의 향상 효과가 포화하는 것 이외에, 열간 가공시에 표면 깨짐 등의 문제를 야기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Cu량은 0.05∼0.4%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6∼0.35%의 범위이다.
이상, 기본 성분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성분 이외에, 다음에 기술하는 원소를 적절히 함유시킬 수 있다.
Cr:0.01∼0.2%
Cr은 부식의 진행에 수반해서 녹층 중으로 이행하고, Cl-의 녹층에의 침입을 차단함으로써, 녹층과 지철의 계면에의 Cl-의 농축을 억제하고, 이것에 의해서 내식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 Zn함유 프라이머를 강재 표면에 도포했을 때에는 Fe를 중심으로 한 Cr이나 Zn의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여, 장기간에 걸쳐 강판 표면에 Zn을 존속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비약적으로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효과는 특히 탱커 유조의 저판부와 같이, 원유 유분으로부터 분리된 고농도의 염분을 포함하는 액과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현저하며, Cr을 함유한 상기 부분의 강재에 Zn함유 프라이머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Cr을 함유하지 않는 강재에 비해, 현격히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Cr의 효과는 Cr량이 0.01%미만에서는 충분하지 않고, 또한 0.2%를 넘으면 용접부의 인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Cr량은 0.01∼0.2%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5∼0.20%의 범위이다.
Sn:0.005∼0.4%
Sn은 부식시에 녹층 중에 취입되고, 치밀한 녹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강재의 국부 부식 및 전면 부식의 억제에 기여하는 유용 원소이다. 이 효과는 0.005%이상의 Sn첨가에서 발현되지만, 0.4%를 넘어 Sn을 첨가한 경우에는 저온 인성이 저하할 뿐만 아니라, 용접시에 결함의 발생을 초래한다. 따라서, Sn량은 0.005∼0.4%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1∼0.2%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1%의 범위이다.
Mg:0.0002∼0.01%
Mg는 용접 열 영향부의 인성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강의 부식에 의해서 생성한 녹중에 존재하여 내식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들 효과는 Mg량이 0.0002%미만에서는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한편 0.01%를 넘어 첨가하면, 오히려 인성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Mg량은 0.0002∼0.01%의 범위로 한다.
Ni:0.005∼0.4%
Ni는 생성한 녹 입자를 미세화하여, 노출 상태에서의 내식성 및 아연 프라이머에 에폭시계 도장이 실시된 상태에서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Ni는 내식성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첨가한다. 상기의 효과는 0.005%이상의 Ni첨가에서 발현한다. 한편, 0.4%를 넘어 Ni를 첨가해도 그 효과는 포화한다. 따라서, Ni는 0.005∼0.4%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0.08∼0.35%의 범위이다.
Sb:0.005∼0.4%
Sb는 탱커 유조부 저판에 있어서의 공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탱커 상부 갑판부에 있어서의 전면 부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효과는 0.005%이상의 Sb첨가에서 발현하지만, 0.4%를 넘어 Sb를 첨가해도 그 효과는 포화한다. 따라서, Sb는 0.005∼0.4%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b:0.001∼0.1%, Ti:0.001∼0.1%, V:0.002∼0.2%
Nb, Ti 및 V는 모두, 강재 강도를 높이는 원소이며, 필요로 하는 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서 첨가할 수 있다. 상기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Nb, Ti는 각각 0.001%이상, V는 0.002%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Nb, Ti는 각각 0.1%를 넘고, V는 0.2%를 넘어 첨가하면 인성이 저하한다. 따라서, Nb, Ti 및 V는 각각 상기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0.0002∼0.01%, REM:0.0002∼0.015%
Ca 및 REM은 모두, 용접 열 영향부의 인성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첨가할 수 있다. 상기의 효과는 Ca:0.0002%이상, REM:0.0002%이상의 첨가로 얻어지지만, Ca는 0.01%를 넘고, 또 REM은 0.015%를 넘어 첨가하면, 오히려 인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Ca 및 REM은 각각 상기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0.005∼0.5%, W:0.005∼0.5%
Mo 및 W는 탱커 유조부 저판에 있어서의 공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탱커 상부 갑판부의 전면 부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이 Mo 및 W의 효과는 각각 0.005%이상의 첨가에서 발현되지만, 0.5%를 넘으면 그 효과는 포화에 도달한다. 따라서, Mo 및 W량은 각각 0.005∼0.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3%,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0.2%의 범위이다.
또한, Mo 및 W가 상기와 같은 내식성 향상 효과를 갖는 이유는 강판이 부식함에 수반해서 생성하는 녹중에 MoO4 2 - 및 WO4 2 -가 생성되고, 이 MoO4 2 - 및 WO4 2 -의 존재에 의해서, 염화물 이온이 강판 표면에 침입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또, MoO4 2- 및 WO4 2 -의 강재 표면에의 흡착에 의한 인히비터 작용에 의해서도, 강재의 부식이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원유 탱크용 강재는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강재는 상기한 성분 조성으로 조정한 강을 전로나 전기로, 진공 탈 가스 등, 공지의 정련 프로세스를 이용해서 용제하고, 연속 주조법 혹은 조괴-분괴 압연법으로 강 소재(슬래브)로 하고, 다음에 이 소재를 재가열하고 나서 열간 압연하는 것에 의해, 후강판, 박강판 및 형강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간 압연 전의 재가열 온도는 900∼1200℃의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가 900℃에 미달이면 변형 저항이 크고, 열간 압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며, 또한 가열 온도가 1200℃를 넘으면, 오스테나이트립이 조대화되어 인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 이외에, 산화에 의한 스케일 로스가 현저하게 되어 수율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한 가열 온도는 1000∼1150℃의 범위이다.
또, 열간 압연으로 원하는 형상, 치수의 강재에 압연함에 있어서는 마무리 압연 종료 온도는 700℃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무리 압연 종료 온도가 700℃미만에서는 강의 변형 저항이 커지고, 압연 부하가 증대하여 압연이 곤란하게 되거나, 압연재가 소정의 압연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이 발생하기 때문에, 압연 능률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열간 압연 후의 강재의 냉각은 공랭, 가속 냉각의 어느 방법이라도 좋지만, 더욱 고강도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속 냉각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속 냉각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냉각 속도를 2∼80℃/s, 냉각 정지 온도를 650∼4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속도가 2℃/s미만, 냉각 정지 온도가 650℃초과에서는 가속 냉각의 효과가 작고, 충분한 고강도화가 달성되지 않으며, 한편 냉각 속도가 80℃/s 초과, 냉각 정지 온도가 400℃미만에서는 얻어지는 강재의 인성이 저하하거나, 강재의 형상에 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표 1에 No. 1∼37로 나타낸 각종 성분 조성이 되는 강을 진공 용해로에서 용제하여 강괴로 하거나, 또는 전로에서 용제하여 연속 주조에 의해 강 슬래브로 하고, 이들을 1150℃로 재가열 후, 마무리 압연 종료 온도를 800℃로 하는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판 두께:25㎜의 후강판으로 한 후에, 수냉 속도 10℃/s에서 530℃까지 냉각하였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No. 1∼37의 후강판에 대해, 결로 시험 및 내산 시험을 실행하여, 그 내식성을 평가하였다.
즉, 이하의 요령으로, 상부 갑판 이면을 모의한 전면 부식 시험(결로시험)과 탱커 저판 환경을 모의한 국부 내식 시험(내산 시험)을 각각 실행하였다.
[1] 탱커 상부 갑판 환경을 모의한 전면 부식 시험(결로 시험)
탱커 상부 갑판 이면에 있어서의 전면 부식에 대한 내식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No. 1∼37의 후강판 각각에 대해, 표면 1㎜의 위치로부터, 폭 25㎜×길이 60㎜×두께 5㎜의 직사각형의 소편을 잘라내고, 그 표면을 600번수의 에머리지로 연마하였다. 다음에, 이면 및 단면은 부식하지 않도록 테이프로 시일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부식 시험 장치를 이용해서 전면 부식 시험을 실행하였다.
이 부식 시험 장치는 부식 시험조(2)와 온도 제어 플레이트(3)로 구성되어 있고, 부식 시험조(2)에는 온도가 30℃로 유지된 물(6)이 주입되어 있으며, 또 그 물(6)중에는 도입 가스관(4)을 통해, 13vol%CO2, 4vol%O2, 0.01vol%SO2, 0.05vol%H2S, 잔부 N2로 이루어지는 혼합 가스를 도입하여 부식 시험조(2)내를 과포화의 수증기로 충만하고, 원유 탱크 상부 갑판 이면의 부식 환경이 재현되고 있다. 그리고, 이 시험조의 상부 이면에 부식 시험편(1)을 세트하고, 이 부식 시험편(1)에 대해, 히터와 냉각 장치를 내장한 온도 제어 플레이트(3)를 통해 25℃×1.5시간+50℃×22.5시간을 1사이클로 하는 온도 변화를 21, 49, 77 및 98일간 반복해서 부여하고, 시험편(1)의 표면에 결로수를 발생시켜, 전면 부식을 일으키도록 하도록 하였다. 도 1 중, '5'는 시험조로부터의 배출 가스관을 나타낸다.
상기의 부식 시험 후, 각 시험편 표면의 녹을 제거하고, 시험 전후의 질량 변화로부터 부식에 의한 질량감소를 구하고, 이 값으로부터 1년당 판 두께 감소량(편 면의 부식 속도)으로 환산하였다. 그리고, 4시험 기간의 값으로부터 25년 후의 예측 손모량을 구하고, 부식량이 2㎜이하인 경우에는 내(耐)전면 부식성이 양호(○), 2㎜초과의 경우에는 내전면 부식성이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2] 탱커 유조부 저판 환경을 모의한 국부 부식 시험(내산 시험)
탱커 유조부 저판에 있어서의 공식에 대한 내식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No. 1∼37의 후강판에 대해 각각, 표면 1㎜의 위치로부터, 폭 25㎜×길이 60㎜×두께 5㎜의 직사각형의 소편을 잘라내고, 그 표면을 600번수의 에머리지로 연마하였다.
다음에, 10%NaCl 수용액을, 짙은 염산을 이용하여 Cl이온 농도:10%, pH:0.85로 조제한 시험 용액을 제작하고, 시험편의 상부에 뚫은 3㎜φ의 구멍에 거트를 통해 매달고, 각 시험편에 대해 2L의 시험 용액 중에 168시간 침지하는 부식 시험을 실행하였다. 또한, 시험 용액은 미리 30℃로 가온·유지하고, 24시간마다 새로운 시험 용액과 교환하였다.
상기 부식 시험에 이용한 장치를 도 2에 나타낸다. 이 부식 시험 장치는 부식 시험조(8), 항온조(9)의 이중구조의 장치로, 부식 시험조(8)에는 상기 시험 용액(10)이 넣어지고, 그 중에 시험편(7)이 거트(11)에 의해 매달려 침지되어 있다. 시험 용액(10)의 온도는 항온조(9)에 넣은 물(12)의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유지하고 있다.
상기의 부식 시험 후, 시험편 표면에 생성된 녹을 제거한 후, 시험 전후의 질량차를 구하고, 이 차를 전체 표면적으로 반려하고, 1년당 판 두께 감소량(양면의 부식 속도)을 구하였다. 그 결과, 부식 속도가 1.0㎜/y이하의 경우를 내국부 부식성이 양호(○), 부식 속도가 1.0㎜/y초과의 경우를 내국부 부식성이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후강판 No.1∼4, 7, 12∼37은 상부 갑판 이면을 모의한 전면 부식 시험 및 탱커 저판 환경을 모의한 국부 부식 시험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양호한 내식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후강판 No.5, 6, 8∼11은 어느 내식성 시험에 있어서도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1, 7; 부식 시험편 2, 8; 부식 시험조
3; 온도 제어 플레이트 4; 도입 가스관
5; 배출 가스관 6, 12; 물
9; 항온조 10; 시험 용액
11; 거트

Claims (4)

  1. 질량%로,
    C:0.03∼0.18%,
    Si:0.03∼1.50%,
    Mn:0.1∼2.0%,
    P:0.013%이하,
    S:0.010%이하,
    Al:0.005∼0.10%,
    N:0.008%이하 및,
    Cu:0.05∼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재로서, 상기의 P함유량 범위에 있어서, 상기 강재의 Cu함유량과 S함유량이 다음 식(1)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원유 탱크용 강재:
    [%S]≤0.077×[%Cu]0.1 -0.056 --- (1)
    단, [%S], [%Cu]는 강재 중에 있어서의 S, Cu함유량(질량%)이다.
  2. 질량%로,
    C:0.03∼0.18%,
    Si:0.03∼1.50%,
    Mn:0.1∼2.0%,
    P:0.013∼0.025%,
    S:0.010%이하,
    Al:0.005∼0.10%,
    N:0.008%이하 및,
    Cu:0.05∼0.4%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재로서, 상기의 P함유량 범위에 있어서, 상기 강재의 Cu함유량과 S함유량이 다음 식(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원유 탱크용 강재:
    0.01×[%Cu]-0.1 -0.011≤[%S]≤0.077×[%Cu]0.1 -0.056 --- (2)
    단, [%S], [%Cu]는 강재 중에 있어서의 S, Cu함유량(질량%)이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질량%로,
    Ni:0.005∼0.4%,
    Cr:0.01∼0.2%,
    Mo:0.005∼0.5%,
    W:0.005∼0.5%,
    Sn:0.005∼0.4%,
    Sb:0.005∼0.4%,
    Nb:0.001∼0.1%,
    Ti:0.001∼0.1%,
    V:0.002∼0.2%,
    Ca:0.0002∼0.01%,
    Mg:0.0002∼0.01% 및,
    REM:0.0002∼0.015%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원유 탱크용 강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유 탱크용 강재를 이용해서 제조한 원유 탱크.
KR1020167015360A 2013-12-12 2014-12-05 원유 탱크 상판 및 저판용 강재 및 원유 탱크 KR101786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7383A JP6048385B2 (ja) 2013-12-12 2013-12-12 耐食性に優れる原油タンク用鋼材および原油タンク
JPJP-P-2013-257383 2013-12-12
PCT/JP2014/006099 WO2015087532A1 (ja) 2013-12-12 2014-12-05 原油タンク用鋼材および原油タン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311A true KR20160085311A (ko) 2016-07-15
KR101786413B1 KR101786413B1 (ko) 2017-10-17

Family

ID=5337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360A KR101786413B1 (ko) 2013-12-12 2014-12-05 원유 탱크 상판 및 저판용 강재 및 원유 탱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48385B2 (ko)
KR (1) KR101786413B1 (ko)
CN (1) CN105793454A (ko)
TW (1) TWI534275B (ko)
WO (1) WO20150875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715A1 (ko) * 2016-12-22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황화물을 포함하는 결로 환경에서 내식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172A1 (ja) * 2015-06-22 2016-12-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エタノール貯蔵及び輸送設備用鋼
KR101908804B1 (ko) 2016-12-21 2018-10-16 주식회사 포스코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9102817A1 (ja) * 2017-11-24 2019-05-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原油タンカー上甲板および底板用耐食鋼材、ならびに、原油タンカー
CN110863146B (zh) * 2019-10-25 2021-01-08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耐腐蚀球扁钢及其生产方法
KR20220147727A (ko) * 2020-09-10 2022-11-03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3637905B (zh) * 2021-07-28 2022-06-17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310MPa级冷轧汽车用低成本耐候钢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421A (ja) 2003-02-26 2005-01-27 Nippon Steel Corp 耐食性に優れた溶接継手を有する原油油槽
JP2005021981A (ja) 2003-02-26 2005-01-27 Nippon Steel Corp 耐食性に優れた溶接継手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253B2 (ja) * 1997-08-21 2000-09-0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湿潤硫化水素環境で疲労亀裂進展特性に優れる原油タンカー用鋼板の製造方法
JP3996727B2 (ja) * 2000-01-31 2007-10-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ダブルハル型石油タンカー貯蔵庫用耐食鋼
JP4506244B2 (ja) * 2004-03-31 2010-07-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原油タンク底板用鋼材
DK2009125T3 (en) * 2006-03-30 2018-09-24 Jfe Steel Corp Corrosion resistant steel material for crude oil storage tank and crude oil storage tank
JP4868916B2 (ja) * 2006-04-04 2012-02-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食性に優れた船舶用鋼材
JP4502075B1 (ja) * 2008-12-24 2010-07-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原油タンカー用耐食鋼材
KR20130029436A (ko) 2009-01-30 2013-03-2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원유 탱크용 내식 강재와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원유 탱크
JP5771011B2 (ja) * 2011-01-18 2015-08-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食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鋼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421A (ja) 2003-02-26 2005-01-27 Nippon Steel Corp 耐食性に優れた溶接継手を有する原油油槽
JP2005021981A (ja) 2003-02-26 2005-01-27 Nippon Steel Corp 耐食性に優れた溶接継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715A1 (ko) * 2016-12-22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황화물을 포함하는 결로 환경에서 내식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3414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포스코 황화물을 포함하는 결로 환경에서 내식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EP3561126A4 (en) * 2016-12-22 2019-12-25 Posco STEEL MATERIA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IN A SULFIDE CONTAINING CONDENSATION ENVIRONM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48385B2 (ja) 2016-12-21
CN105793454A (zh) 2016-07-20
KR101786413B1 (ko) 2017-10-17
TWI534275B (zh) 2016-05-21
WO2015087532A1 (ja) 2015-06-18
TW201536931A (zh) 2015-10-01
JP2015113507A (ja)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413B1 (ko) 원유 탱크 상판 및 저판용 강재 및 원유 탱크
JP4577158B2 (ja) 原油タンク用耐食鋼材
JP4968394B2 (ja) 耐食性に優れる溶接継手および原油タンク
JP4968395B2 (ja) 耐食性に優れる溶接継手および原油タンク
JP6536769B1 (ja) 原油タンカー上甲板および底板用耐食鋼材、ならびに、原油タンカー
TWI654316B (zh) Steel and crude oil tankers for crude oil tankers
KR101786409B1 (ko) 원유 탱크 상판 및 저판용 강재 및 원유 탱크
JP6064888B2 (ja) 耐食性に優れる原油タンク用鋼材および原油タンク
JP2014201759A (ja) 耐食性に優れる原油タンク用鋼材および原油タンク
JP2014201758A (ja) 耐食性に優れる原油タンク用鋼材および原油タンク
JP2014201755A (ja) 耐食性に優れる原油タンク用鋼材および原油タンク
JP6409963B2 (ja) 耐食性に優れる原油タンク用鋼材および原油タンク
JP2012117137A (ja) 耐食性に優れる原油タンク用鋼材、溶接継手および原油タンク
JP2012117138A (ja) 耐食性に優れる原油タンク用鋼材、溶接継手および原油タンク
JP6409962B2 (ja) 耐食性に優れる原油タンク用鋼材および原油タンク
JP6201376B2 (ja) 耐食性に優れる原油タンク用鋼材および原油タンク
JP2014201757A (ja) 耐食性に優れる原油タンク用鋼材および原油タンク
JP2014201756A (ja) 耐食性に優れる原油タンク用鋼材および原油タンク
JP2012117139A (ja) 耐食性に優れる原油タンク用鋼材、溶接継手および原油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