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180A - 고분자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분자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180A
KR20160084180A KR1020150000760A KR20150000760A KR20160084180A KR 20160084180 A KR20160084180 A KR 20160084180A KR 1020150000760 A KR1020150000760 A KR 1020150000760A KR 20150000760 A KR20150000760 A KR 20150000760A KR 20160084180 A KR20160084180 A KR 20160084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elastomer
meth
resin composition
acrylate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철
이계윤
신종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4180A/ko
Publication of KR20160084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18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hydrocarbon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 내충격성 및 강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고, 다량의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분자 수지 조성물{POLYMER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내열성, 내충격성 및 강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고, 다량의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성형품에 사용되고 있는 폴리염화비닐은 경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투명하며, 저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폴리염화비닐 소재는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량의 가소제의 사용을 요구하며, 다량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성형품으로부터 가소제가 이행 또는 용출되는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틸렌계 공중합체 재료가 폴리염화비닐의 대체 재료로 대두되었다.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유연성이 우수하고, 폴리염화비닐과 비교하여 비중이 작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내마모성이 부족하고,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분자 수지 성형품은 아이들의 장남감 등에 많이 사용되므로, 기존의 폴리염화비닐의 제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아이들에게 유해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고분자 수지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내열성, 내충격성 및 강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고, 다량의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 4 내지 95 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 4 내지 95 중량%; 및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말레무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 1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g/mo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은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은 사탕수수에서 유래된 에틸렌으로부터 중합되거나 또는 석유계 에틸렌으로부터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탕수수에서 유래된 에틸렌으로부터 중합된 저밀도폴리에틸렌은 ASTM D6866에 의하여 측정된 바이오매스로부터 유래하는 반복단위의 함량이 전체 함량에 대하여 9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말레무수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공중합체에 포함된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는, 탄소수 3 내지 12의 알켄, 탄소수 4 내지 30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8 내지 40의 방향족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와 에틸렌을 중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스티렌-에틸렌-알킬렌-스티렌-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일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말레무수산은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무수산 및 스티렌-에틸렌-알킬렌-스티렌-말레무수산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말레무수산 공중합체를 상용화제로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조성물에 포함된 전체 고분자 수지 함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충전제, 안정제, 활제, 산화방지제, UV 차단제, 내후성 첨가제, 항균제, 이형제, 염료,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은 기계 기구 부품, 전기 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가전 제품, 광학 기기, 건축 토목 부재, 일용품 또는 장난감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내충격성 및 강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다량의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연질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따라서 친환경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 4 내지 95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 4 내지 95중량%; 및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말레무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 1 내지 70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내충격성 및 강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다량의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연질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면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은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을 중합하여 얻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서 에틸렌 글리콜 유래의 잔기 중 일부 자리가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래의 잔기로 치환된 공중합체이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은, 예를 들면,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g/mol일 수 있다. 만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기본적인 고분자로서의 기능이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용융 점도가 증가하여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은, 예를 들면,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100℃일 수 있다. 만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내열성 및 강도 저하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강성이 증가하여 얼로이(alloy) 소재의 연질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은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전체 고분자 수지 중 4 내지 95 중량%, 10 내지 80 중량% 10 내지 60 중량% 또는 20 내지 6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얼로이 소재의 연질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은 바이오매스(biomass), 예를 들면, 사탕수수에서 유래된 에틸렌으로부터 중합되거나 또는 석유계 에틸렌으로부터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친환경적인 제품의 생산을 위하여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는 바이오매스 유래의 에틸렌으로부터 중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는 사탕수수에서 유래된 에틸렌으로부터 중합하여 ASTM D6866에 의하여 측정된 바이오매스로부터 유래하는 반복 단위의 함량이 전체 함량에 대하여 90 중량% 이상인 것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제품 생산에 이바지할 수 있다.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은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전체 고분자 수지 중 4 내지 95 중량%, 5 내지 80 중량% 10 내지 60 중량% 또는 15 내지 5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얼로이 소재의 연질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말레무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하며, 서로 다른 화합물 사이에 기재된 기호 "-"은 "-"으로 연결된 화합물이 공중합 또는 그래프팅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와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가 공중합 또는 그래프팅되어 제조된 것이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말레무수산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와 말레무수산이 공중합 또는 그래프팅되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는 에틸렌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는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2의 알켄, 탄소수 4 내지 30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8 내지 40의 방향족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3 내지 12의 알켄의 예로는 1-부텐, 1-헥센 또는 1-옥텐 등의 알켄을 들 수 있고, 탄소수 4 내지 30의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탄소수 8 내지 40의 방향족 단량체로는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말레무수산과 공중합 또는 그래프팅되어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말레무수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스티렌-에틸렌-알킬렌-스티렌-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말레무수산은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무수산 및 스티렌-에틸렌-알킬렌-스티렌-말레무수산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알킬렌은 프로필렌, 부틸렌, 펜틸렌, 헥실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말레무수산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공중합체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어 내충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중합체로는 ASTM 또는 ISO 충격강도 측정 방법으로 시험하였을 때 N.B (No Break)의 값을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말레무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는 전체 고분자 수지 중 1 내지 70 중량%, 5 내지 50 중량% 또는 10 내지 3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만일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내열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고분자 수지의 균일한 혼합을 위하여 상용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용화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용화제로는 에틸렌-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말레무수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전체 고분자 수지 함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또는 3 내지 8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목적하는 성형품의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첨가제로는 충전제, 안정제, 활제, 산화방지제, UV 차단제, 내후성 첨가제, 항균제, 이형제, 염료,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충전제로는 탈크, 탄산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충전제를 예시할 수 있고,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포스파이트계 산화 방지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 예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압출기 또는 니더(kneader) 등을 사용하여 상술한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로는 단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3축 이상의 다축 압출기 또는 2축/단축 복합 압출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을 용융 혼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약 1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용융 혼련하여 균일하게 혼합된 후,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및 각종 섬유로의 방사 등 다양한 성형 방법에 의하여 목적하는 성형품으로 성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다량의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연질의 특성을 가져 친환경적으로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은 기계 기구 부품, 전기 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가전 제품, 광학 기기, 건축 토목 부재 및 일용품 등 각종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다량의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고, 친환경적인 소재를 도입하여 인체에 직접 접촉하는 제품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일 예로,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아이들의 인체에 직접 접촉하는 장난감 등을 제공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 30 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 45 중량%,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0 중량%, 그리고 상용화제로서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 중량%와 전체 고분자 수지 함량에 대하여 0.2 중량%의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 및 0.2 중량%의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를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은 국내 에스케이케미칼사의 KN-100, 저밀도폴리에틸렌은 브라질 브라스켐사의 바이오매스로부터 유래하는 반복 단위 함유 PE 제품인 SBC818,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는 중국 SUNNY FC사의 SOG-02,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프랑스 아케마사의 AX-8840, 페놀계 1차 산화안정제는 일본 ADEKA사의 AO-60,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안정제는 미국 DOVER사의 S-9228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을 40 중량%로 사용하고, 저밀도폴리에틸렌을 35 중량%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을 50 중량%로 사용하고, 저밀도폴리에틸렌을 25 중량%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기존의 연질 PVC 제품과 실시예들의 성형품의 물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1은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연질 PVC 제품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기존의 저밀도폴리에틸렌 제품과 실시예들의 성형품의 물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2는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저밀도폴리에틸렌 제품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저밀도폴리에틸렌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펠렛을 사출기를 이용하여 190℃에서 사출한 후, 사출된 시험편을 23±2℃의 온도 및 50±5%의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상태 조절하였다. 제조된 시험편의 기계적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충격강도 측정: ASTM D 256에 의거한 측정용 시편을 제조하고, 아이조드 충격기(Impact Tester, Toyoseiki)를 사용하여 시편의 충격강도 값을 측정하였다.
(2) 인장특성 측정: ASTM D 638에 의거한 측정용 시편을 제조하고,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Roell Z010)를 사용하여 인장강도, 신율 및 인장탄성률을 측정하였다.
(3) 내열성 측정: ASTM D 648에 의거한 측정용 시편을 제조하고, 내열도 시험기(HDT Tester, Toyoseiki)를 사용하여 내열성을 측정하였다.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4
아이조드충격강도
(1/8")
J/m 430 500 430 430 430 80
아이조드충격강도
(1/4")
J/m 430 435 430 430 425 50
인장탄성률 MPa 7 19 40 7 104 190
인장강도 kg/cm2 125 130 140 76 120 300
신율 % 170 120 58 182 123 35
내열도(0.45MPa) 53 58 61 측정불가 측정불가 56
내열도(1.82MPa) 39 43 47 측정불가 측정불가 41
비교예 3과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제조된 시험편의 cutting 불가로 상기와 같은 물성 평가를 위한 시편의 제조가 불가능하였으며, 이로써 비교예 3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는 목적하는 제품을 얻을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비교예 5와 같이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압출이 용이하지 않아 비교예 5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도 목적하는 제품을 얻을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표 1과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면, 기존의 연질 PVC 제품 및 저밀도폴리에틸렌 제품 대비 동등 혹은 개선된 수준의 내충격성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인장물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수지 제품이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 4 내지 95 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 4 내지 95 중량%; 및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말레무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 1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g/mol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은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100℃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은 사탕수수에서 유래된 에틸렌으로부터 중합되거나 또는 석유계 에틸렌으로부터 중합된 저밀도폴리에틸렌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탕수수에서 유래된 에틸렌으로부터 중합된 저밀도폴리에틸렌은 ASTM D6866에 의하여 측정된 바이오매스로부터 유래하는 반복 단위의 함량이 전체 함량에 대하여 90 중량% 이상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말레무수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공중합체에 포함된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는, 탄소수 3 내지 12의 알켄, 탄소수 4 내지 30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8 내지 40의 방향족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와 에틸렌을 중합한 것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스티렌-에틸렌-알킬렌-스티렌-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말레무수산은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무수산 및 스티렌-에틸렌-알킬렌-스티렌-말레무수산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공중합체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말레무수산 공중합체를 상용화제로서 추가로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를 조성물에 포함된 전체 고분자 수지 함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충전제, 안정제, 활제, 산화방지제, UV 차단제, 내후성 첨가제, 항균제, 이형제, 염료,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기계 기구 부품, 전기 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가전 제품, 광학 기기, 건축 토목 부재, 일용품 또는 장난감 용도로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0150000760A 2015-01-05 2015-01-05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20160084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760A KR20160084180A (ko) 2015-01-05 2015-01-05 고분자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760A KR20160084180A (ko) 2015-01-05 2015-01-05 고분자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180A true KR20160084180A (ko) 2016-07-13

Family

ID=5650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760A KR20160084180A (ko) 2015-01-05 2015-01-05 고분자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41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2151A (ja) * 2017-03-31 2018-1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袋および積層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2151A (ja) * 2017-03-31 2018-1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袋および積層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0822B1 (ko) 그라프팅된, 다층-상의,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66303B1 (ko) 올레핀-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들을 이용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들의 변성
CN105860468A (zh) 一种生物可降解超韧聚乳酸共混物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722448B (zh) 利用天然纤维的汽车内饰材料用复合组合物
JP2016069397A (ja) 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体
JPS58154757A (ja) ポリアリ−レンスルフイド樹脂組成物
CN110183839B (zh) 具有良好表面性能的高填充聚碳酸酯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498996A (zh) 一种玻纤增强聚丙烯组合物及制备方法
KR102276848B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20160084180A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JP633967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含有組成物
KR20200061929A (ko) 접착성이 우수한 방수 시트용 수지 조성물
KR101908612B1 (ko)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용 기능성 마스터베치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마스터베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14994A (ko) 저경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694904B1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24096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0523915B1 (ko)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JP7067133B2 (ja) ポリエステル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S5859256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1735653B1 (ko)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KR20170014250A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1763454B1 (ko)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무도장 사출 성형품
CN114854191B (zh) 热塑性弹性体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841131A (zh) 一种尼龙11/聚乳酸生物基高分子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1006518A (ja) セルロース繊維強化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当該樹脂組成物を成形してなる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