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65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651A
KR20160081651A KR1020140195845A KR20140195845A KR20160081651A KR 20160081651 A KR20160081651 A KR 20160081651A KR 1020140195845 A KR1020140195845 A KR 1020140195845A KR 20140195845 A KR20140195845 A KR 20140195845A KR 20160081651 A KR20160081651 A KR 20160081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gear
guard
moving body
in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490B1 (ko
Inventor
박준수
구지영
이지윤
윤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5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490B1/ko
Priority to US14/983,852 priority patent/US9803915B2/en
Priority to EP15203159.7A priority patent/EP3040664B1/en
Priority to CN201511021620.4A priority patent/CN105737498B/zh
Publication of KR20160081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1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combined with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 이너 케이스에 무빙되게 배치된 무빙 바디와; 무빙 바디와 연결부로 연결된 선반과; 선반 보다 크고 선반의 테두리를 둘러싸며 무빙 바디를 향해 돌기가 돌출된 가드를 포함하고, 무빙 바디에는 상기 돌기가 슬라이드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선반의 무빙시 선반에 올려진 음식물 등의 물품이 전복되거나 선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장실을 형성하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 내부에 선반이 무빙 가능하게 배치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실이나 냉동실 등의 저장실을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갖는 냉동 사이클 회로나 열전 모듈 등으로 냉각시키고 저장실로 음식물 등의 저장물을 투입하여 보관하는 기기이다.
냉장고에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와,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저장실의 내부에는 저장물이 보관되는 선반이나 드로워 등의 저장실 스토리지가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선반을 전후 슬라이드 안내할 수 있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딩 가이드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선반을 손으로 잡고 선반을 전방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고, 이때, 선반에 올려진 음식물 등의 물품은 일부가 전복되거나 선반 외부로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반의 무빙시 선반에 위치하는 음식물 등의 물품이 전복되거나 선반 외부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활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장실 이너 케이스에 무빙되게 배치된 무빙 바디와; 상기 무빙 바디와 연결부로 연결된 선반과; 상기 선반 보다 크고 상기 선반의 테두리를 둘러싸며 상기 무빙 바디를 향해 돌기가 돌출된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바디에는 상기 돌기가 슬라이드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다.
상기 가드는 선단부가 상기 선반의 선단과 이격될 수 있고, 상기 가드의 선단부와 상기 선반의 선단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의 옆에 위치되는 타 선반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타 선반과 상기 무빙 바디에 연결된 선반의 사이에는 상기 가드가 삽입되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의 측단과 상기 무빙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가드가 삽입되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전방 상측을 향하는 경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무빙 바디에 복수개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기는 복수개가 상기 가드에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이너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는 무빙 바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기와 가이드 레일의 접촉 면적은 상기 무빙 바디와 무빙 바디 가이드의 접촉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실 이너 케이스 내부에 무빙되게 배치된 선반과; 상기 선반 보다 크고 상기 선반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가드와; 상기 선반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된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치합된 제3기어와; 상기 가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3기어에 치합된 제4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가드는 선단부가 상기 선반의 선단과 이격되고, 상기 가드의 선단부와 상기 선반의 선단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기어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기어와 가드 중 적어도 하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의 옆에 위치되는 타 선반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타 선반과 상기 제1기어가 형성된 선반의 사이에는 상기 가드가 삽입되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이너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와 제3기어와 제4기어가 수용되는 기어 수용공간이 형성된 기어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와 제3기어는 상기 기어박스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선반의 사이에는 상기 가드가 삽입되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실 이너 케이스 내부에 무빙되게 배치된 선반과; 상기 선반 보다 크고 상기 선반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가드와; 상기 선반 및 가드에 연결되어 상기 선반의 전진시 상기 가드를 상승시키고, 상기 가드의 상승시 상기 선반을 전진시키는 연동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저장실 이너 케이스 내부에 무빙되게 배치된 선반과; 상기 선반 보다 크고 상기 선반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가드와; 상기 선반 및 가드에 연결되어 상기 선반의 전진시 상기 가드를 상승시키는 연동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저장실 이너 케이스 내부에 무빙되게 배치된 선반과; 상기 선반 보다 크고 상기 선반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가드와; 상기 선반 및 가드에 연결되어 상기 가드의 상승시 상기 선반을 전진시키는 연동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선반의 무빙시 선반에 올려진 음식물 등 물품이 전복되거나 선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간단한 구조로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선반의 전방 방향 무빙 이전에 가드가 선반 상측을 가리지 않게 위치될 수 있어 선반 상측의 원활한 뷰 확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가드가 손잡이를 겸할 수 있어 선반 진퇴시 편의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가드가 선반과 멀어지면서 동시에 선반이 전진되거나 가드가 선반과 가까워지면서 선반이 후퇴되므로, 간편한 동작으로 가드와 선반을 함께 작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드가 상승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반이 전진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가드가 하강되고 선반이 후퇴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가드가 상승되고 선반이 후퇴되었 때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가드가 하강되고 선반이 후퇴되었을 때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가드가 상승되고 선반이 후퇴되었을 때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가드가 상승되고 선반이 전진되었 때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다른 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가드가 상승됨과 아울러 선반이 전진되는 도중일 때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가드가 상승 완료되고 선반이 전진 완료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다른 실시예의 기어장치가 도시된 측면도,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가드가 상승되고 선반이 전진되는 도중일 때의 기어장치가 도시된 측면도,
도 16은 도 10에 도시된 가드가 상승 완료되고 선반이 전진 완료되었을 때의 기어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이다.
냉장고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 이너 케이스(2)에 무빙되게 배치된 무빙 바디(10)와; 무빙 바디(10)와 연결부(18)로 연결된 선반(20)과; 선반(20) 보다 크고 선반(20)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가드(30)를 포함한다. 냉장고는 선반(20)의 옆에 위치되는 타 선반(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 이너 케이스(2) 냉동실이나 냉장실 등의 저장실(C)을 형성할 수 있고, 저장실(C)을 여닫는 도어를 열었을 때,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저장실 이너 케이스(2)는 좌측판 또는 우측판을 구성하는 측판(3)과, 측판(3)에 직교하게 형성된 후판(4)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 이너 케이스(2)에는 무빙 바디(10)의 무빙을 안내하는 무빙 바디 가이드(6)가 설치될 수 있다. 무빙 바디 가이드(6)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2)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무빙 바디(10)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할 수 있다. 무빙 바디(10)는 무빙 바디 가이드(6)에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진퇴될 수 있다. 무빙 바디 가이드(6)는 측판(3)의 옆에 위치될 수 있다. 무빙 바디 가이드(6)는 후판(4)의 앞에 배치될 수 있다. 무빙 바디 가이드(6)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2)와 별도로 제조된 후 스크류나 후크 등의 체결부에 의해 저장실 이너 케이스(2)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 바디 가이드(6)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 바디 가이드(6)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2)에 함몰되게 형성되거나 저장실(C)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바디(10)는 무빙 바디 가이드(6)를 따라 무빙 바디 가이드(6)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무빙 바디(10)에는 무빙 바디 가이드(6)에 접촉되는 접촉부(7)가 일체로 형성되어 무빙 바디 가이드(6)를 따라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 바디(10)와 무빙 바디 가이드(6) 중 적어도 하나에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롤러를 통해 무빙 바디(10)가 무빙될 수 있다. 무빙 바디(10)에 롤러가 설치될 경우, 롤러는 무빙 바디 가이드(6)에 올려질 수 있고, 무빙 바디(10)의 진퇴시 롤러가 회전되면서 무빙 바디(10)의 원활한 진퇴를 도울 수 있다.
무빙 바디(10)에는 가드(30)가 무빙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16)이 형성될 수 있다. 가드(30)에는 돌기(35)가 구비될 수 있고, 돌기(35)를 가드(30)에 무빙 바디(10)를 향해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6)은
돌기(35)가 슬라이드 안내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6)은 무빙 바디(10)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6)에 돌기(35)의 무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부일 수 있다. 가이드 레일(16)은 무빙 바디(10)에 돌출되게 형성된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16)은 돌기(35)의 무빙방향으로 일단과 타단이 각각 막힌 형상일 수 있고, 가이드 레일(16)의 일단과 타단 각각은 돌기(35)가 걸리는 스토퍼로 각각 기능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인(16)은 전방 상측을 향하는 경사 방향(FU)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6)은 무빙 바디(10)에 저징실(R)의 전방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드(30)는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전진되면서 상승되고, 후퇴되면서 하강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6)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6)은 무빙 바디(10)에 저장실(R)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드(30)는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승강 동작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6)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6)은 선단과 후단 사이가 상측을 향해 볼록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가드(30)는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곡선 형상의 궤적으로 전진되면서 상승되고, 후퇴되면서 하강될 수 있다.
이하, 편의를 위해 가이드 레일(16)이 저장실(R)의 전방 상측을 향하는 경사 방향(FU)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무빙 바디(10)에는 가이드 레일(16)의 복수개(16A)(16B)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16A)(16B)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16A)(16B)는 프론트 가이드 레일(16A)와 프론트 가이드 레일(16A)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가이드 레일(16B)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20)은 무빙 바디(10)와 함께 무빙되는 무빙 선반일 수 있다. 선반(20)은 타 선반(40)의 옆에 위치되게 후퇴될 수 있고, 전방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선반(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선반(40)의 옆 위치로 후퇴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C)의 전방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무빙 바디(10)에 연결된 선반(20)과 타 선반(40)의 사이에는 가드(30)가 삽입되는 틈(G1)이 형성될 수 있다. 틈(G1)은 선반(20)의 일측단과 타 선반(40)의 사이에 가드(30)의 일부가 삽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선반(20)은 타 선반(40)을 마주보는 면(23)이 타 선반(40)과 이격되게 무빙 바디(10)에 연결될 수 있다. 가드(30)는 일부가 선반(20)과 타 선반(40)의 사이로 진입되어 선반(20)과 타 선반(40) 사이의 틈(G1)을 막을 수 있다.
선반(20)의 타측단과 무빙 바디(10)의 사이에는 가드(30)의 일부가 삽입되는 틈(G2)이 형성될 수 있다. 선반(20)은 무빙 바디(10)를 마주보는 면(24)이 무빙 바디(10)와 이격되게 무빙 바디(10)에 연결될 수 있다. 가드(30)는 일부가 선반(20)과 무빙 바디(10) 사이로 진입되어 선반(20)과 무빙 바디(10) 사이의 틈(G2)을 막을 수 있다.
연결부(18)는 선반(20)과 무빙 바디(10)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8)는 선반(20)의 측면에서 무빙 바디(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연결부(18)는 하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측단이 무빙 바디(10) 중 선반(20)을 마주보는 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8)는 무빙 바디(10)와 선반(20)의 사이에 복수개(18A)(18B)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연결부(18A)(18B)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연결부(18A)(18B)는 프론트 연결부(18A)와, 프론트 연결부(18A)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연결부(18B)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30)는 선반(20)의 전,후,좌,우를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가드(3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드(30)은 선단부(31)와 후단부(32)와 좌측단부(33)와 우측단부(34)를 포함할 수 있고, 선단부(31)와 후단부(32)와 좌측단부(33)와 우측단부(34)의 사이에는 선반(20) 보다 큰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선단부(31)는 가드(30)의 하강시, 선반(20)의 선단(21)을 마주볼 수 있고, 선반(20)의 선단(21)과 이격될 수 있다. 선단부(31)와 선반(20)의 선단(21) 사이에는 틈(G3)이 형성될 수 있다. 선반(20)의 선단(21)과 선단부(31)의 후면 사이에 형성된 틈(G3)은 사용자의 손이 진입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고, 가드(30)의 선단부(31)는 사용자가 가드(30)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될 수 있다.
후단부(32)는 가드(30)의 하강시, 선반(20)의 후단(22)을 마주볼 수 있고, 선반(20)의 후단과 저장실 이너 케이스(2)의 후판(4)과 선반(20)의 후단(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좌측단부(33)와 우측단부(34) 중 어느 하나는 선반(20)과 타 선반(40) 사이의 틈(G1)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를 갖을 수 있고, 선반(20)의 양 측면(23)(24) 중 타 선반(40)을 마주보는 일측면(23)과 타 선반(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좌측단부(33)와 우측단부(34) 중 다른 하나는 선반(20)과 무빙 바디(10)의 사이의 틈(G2)으로 삽입될 수 있는 두께를 갖을 수 있고, 선반(20)의 양측면(23)(24) 중 무빙 바디(10)을 마주보는 타측면(24)과 무빙 바디(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가드(30)는 가이드 레일(16)에 안내되는 돌기(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드(30)의 돌기(35)는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전방 상측의 방향(FU)으로 비스듬히 상승되거나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후방 하측의 방향으로 비스듬히 하강될 수 있다. 돌기(35)는 가이드 레일(16)과 동 개수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6)이 프론트 가이드 레일(16A)와 리어 가이드 레일(16B)를 포함할 경우, 돌기(35)는 프론트 가이드 레일(16A)에 안내되는 프론트 돌기(35A)와, 리어 가이드 레일(16B)에 안내되는 리어 돌기(35B)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35)는 가드(30)의 측단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35)는 가드(30) 중 무빙 바디(10)를 마주보는 측단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35)와 가이드 레일(16) 사이의 마찰력(F1)은 무빙 바디(10)와 무빙 바디 가이드(6) 사이의 마찰력(F2) 보다 작을 수 있다. 돌기(35)와 가이드 레일(16)의 접촉 면적은 무빙 바디(10)와 무빙 바디 가이드(6)의 접촉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사용자가 가드(30)를 잡고 가드(30)를 잡아당길 때, 무빙 바디(10)가 무빙 바디 가이드(6)를 따라 전방 방향(F)으로 미끄러지지 않거나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빙 바디(10)가 무빙 바디 가이드(6)를 따라 슬라이드되기 이전에, 돌기(35)가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먼저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고, 가드(30)는 선반(20)이 전방 방향(F)으로 전진되기 이전에 전방 상측의 경사 방향(FU)으로 먼저 상승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드(30)를 잡고 가드(30)를 잡아당기는 동안, 돌기(35)는 가이드 레일(16)의 상단에 도달되어 가이드 레일(16)의 상단에 걸릴 수 있고, 이때부터 돌기(35)는 가이드 레일(16)을 전방 방향(F)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이 경우, 무빙 바디(10)는 가드(30)와 함께 전방 방향(F)으로 전진될 수 있고, 무빙 바디(10)에 연결부(18)로 연결된 선반(20)도 무빙 바디(10)와 함께 전진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가드(30)의 선단부(31)를 잡고 가드(30)를 전방 방향(F)으로 잡아당기거나 전방 상측의 경사방향(FU)으로 들어 올리거나 상측 방향(U)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이 경우, 가드(30)에 형성된 돌기(35)는 가이드 레일(16)에 안내되어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슬라이딩 전진 및 상승될 수 있고, 이때, 가드(30)는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전방 상측의 경사 방향(FU)으로 전진 및 상승될 수 있다.
가드(30)는 선단부(31)와 후단부(32)와 좌측단부(33)와 우측단부(34)가 함께 전진 및 상승되면서 선반(20)과 점차 멀어질 수 있고, 가드(30)는 도 2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20)의 상측으로 선반(20)과 이격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가드(30)에 형성된 돌기(35)가 가이드 레일(16)의 상단에 도달되어 가이드 레일(16)의 상단에 걸리면, 가드(30)의 상승은 완료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드(30)가 상승되는 도중이거나 가드(30)가 상승된 이후에, 가드(30) 또는 선반(20)을 잡고 전방 방향(F)으로 잡아당길 수 있고, 이때, 선반(20)은 무빙 바디(10)와 함께 전방 방향(F)으로 무빙될 수 있다.
가드(30)가 무빙 바디(10)를 전방 방향으로 이끄는 경우, 선반(20)은 무빙 바디(10)와 함께 전방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선반(20)이 전방 방향(F)으로 잡아당겨진 경우, 무빙 바디(10)는 선반(20)과 함께 전방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고, 이때, 가드(30)는 가이드 레일(16)에 의해 무빙 바디(10)와 함께 전진될 수 있다.
선반(20)이 전진되는 동안, 가드(30)는 선반(20)의 상측 주변에 선반(20)과 이격되게 위치된 상태일 수 있고, 가드(30)는 선반(20)에 올려진 음식물 등의 물품이 선반(20)의 무빙에 의해 주변으로 미끌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반(20)에 올려진 음식물 등의 물품을 가드(30)의 위로 들어 올려 꺼낼 수 있고, 외부의 음식물 등의 물품을 가드(30) 내측을 통해 선반(20)에 안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30)가 전방 상측의 경사 방향(FU)으로 상승되고 선반(20)이 전방 방향(F)으로 전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선반(20)을 후방 방향(F)으로 밀 수 있다.
선반(20)은 무빙 바디(10)와 함께 후퇴될 수 있고, 가드(30)는 선반(2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무빙 바디(10)와 함께 후퇴될 수 있다. 이 경, 가드(30)는 선반(20)의 상측 주변에 선반(20)과 이격되게 위치된 상태일 수 있고, 가드(30)는 선반(20)에 올려진 음식물 등의 물품이 선반(20)의 무빙에 의해 주변으로 미끌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선반(20)은 도 2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선반(40)의 옆으로 후퇴될 수 있고, 사용자가 가드(30)를 잡고 가드(30)를 후방 방향(R)으로 밀거나 후방 하측의 경사방향으로 내리거나 하측 방향(D)으로 내릴 수 있다. 가드(30)에 형성된 돌기(35)는 가이드 레일(16)에 안내되어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슬라이딩 하강 및 후퇴될 수 있고, 이때, 가드(30)는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후방 하측의 경사 방향으로 후퇴 및 하강될 수 있다. 가드(30)에 형성된 돌기(35)가 가이드 레일(16)의 하단에 걸리면, 가드(30)의 상승은 완료될 수 있다.
가드(30)는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후퇴 및 하강되었을 때, 도 1과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20)의 테두리를 둘러쌀 수 있다. 가드(30)가 선반(20)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위치로 무빙되었을 때, 가드(30)의 좌측단부(33)는 선반(20)과 타 선반(40) 사이로 삽입될 수 있고, 가드(30)의 우측단부(34)는 무빙 바디(10)와 선반(20)로 사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선반(20)과 타 선반(40) 사이의 틈 및 무빙 바디(10)와 선반(20) 사이의 틈 각각은 최소화될 수 있다. 가드(30)는 선반(20)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위치로 하강되었을 때, 선반(20) 및 타 선반(40)과 같이 음식물 등이 올려지는 선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다른 실시예의 도이다.
냉장고는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 이너 케이스(2) 내부에 무빙되게 배치된 선반(20)과; 선반(20) 보다 크고 선반(20)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가드(30)와; 선반(20) 및 가드(30)에 연결되어 둘 중 어느 하나의 동작시 다른 하나를 동작시키는 연동기구(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연동기구(50) 이외의 기타 구성 중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생략한다. 연동기구(50)는 선반(20) 및 가드(30)에 연결되어 선반(20)의 전진시 가드(3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연동기구(50)는 선반(20) 및 가드(30)에 연결되어 가드(30)의 상승시 선반(20)을 전진시킬 수 있다. 연동기구(50)는 선반(20) 및 가드(30)에 연결되어 선반(20)의 전진시 가드(30)를 상승시키고, 가드(30)의 상승시 선반(20)을 전진시킬 수 있다.
연동기구(50)는 선반(20)과 가드(30)를 함께 동작시킬 수 있다. 연동기구(50)는 복수개의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기구(50)의 복수개 기어는 순차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선반(20)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제1기어(52)와; 제1기어(52)에 치합된 제2기어(54)와; 제2기어(54)에 치합된 제3기어(56)와; 가드(30)에 연결되고 제3기어(56)에 치합된 제4기어(58)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기구(50)는 제1기어(52)와 제2기어(54)와 제3기어(56) 및 제4기어(58)를 포함할 수 있고, 제1기어(52)의 진퇴시 제4기어(58)가 궤적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제4기어(45)의 이동시 제1기어(52)가 진퇴될 수 있다.
가드(30)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선단부(31)가 선반(20)의 선단(21)과 이격되고, 가드(30)의 선단부(31)와 선반(20)의 선단(21) 사이에는 틈(G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선반(20)의 옆에 위치되는 타 선반(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52)는 선반(20)의 진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기어(52)는 선반(20)의 옆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54)는 제1기어(52)의 진퇴시 회전 중심축(P1)을 중심으로 제1기어(52)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제2기어(54)는 제3기어(55)의 회전시 회전 중심축(P1)을 중심으로 제3기어(5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2기어(54)는 제1기어(52)의 진퇴시 회전되어 제3기어(56)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2기어(54)는 제3기어(56)의 회전시 제3기어(56)와 함께 회전되면서 제1기어(54)를 진퇴시킬 수 있다.
제2기어(54)는 제1기어(53)의 위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제1기어(53)의 위에서 회전 중심축(P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기어(54)는 제1기어(52)와 제3기어(56)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기어(54)는 제1기어(52)와 제3기어(56) 사이에서 회전 중심축(P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1기어(52) 및 제3기어(56) 각각과 연동될 수 있다.
제3기어(56)는 제2기어(54)의 회전시, 회전 중심축(P2)을 중심으로 제2기어(5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3기어(56)는 제4기어(58)의 무빙시, 회전 중심축(P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3기어(56)는 제2기어(54)의 회전시 회전되어 제4기어(56)를 무빙시킬 수 있다. 제3기어(55)는 제4기어(58)의 무빙시 회전되어 제2기어(5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3기어(56)와 제2기어(54)는 평기어로 구성될 수 있고, 제3기어(56)는 제2기어(54)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제3기어(56)는 제2기어(54) 보다 기어치 개수가 많을 수 있다.
제3기어(56)는 제1기어(52)와 제4기어(56)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기어(56)는 제1기어(52)와 이격될 수 있고, 제1기어(52)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제3기어(56)는 제1기어(52)의 상측 위치에 제1기어(52)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4기어(58)는 제3기어(56)의 회전시, 제3기어(56)의 외둘레를 따라 무빙될 수 있다. 제4기어(58)는 가드(30)와 함께 무빙될 수 있고, 가드(30)와 제4기어(48)은 동일 궤적으로 무빙될 수 있다. 제4기어(58)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4기어(58)는 라운드지게 굽은 호 형상의 랙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3기어(56)를 마주보는 면에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2)에 배치되고 기어장치(50)가 수용되는 기어 수용공간(Q)이 형성된 기어박스(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수용공간(Q)에는 제1기어(52)와 제2기어(54)와 제3기어(56)와 제4기어(58)가 수용될 수 있다. 기어박스(7)는 제1기어(52)와 제2기어(54)와 제3기어(56) 및 제4기어(58)를 보호할 수 있다.
기어박스(7)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2)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저장실(C)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기어박스(7)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2) 내면에 저장실(C)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저장실 이너 케이스(2)는 기어박스(7)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기어박스 수용홈(3A)이 함몰 형성될 수 있고, 기어박스(7)는 기어박스 수용홈(3A)에 삽입될 수 있다.
기어박스(7)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외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저장실(C)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냉장고는 아우터 케이스(8)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사이에 단열재(9)가 위치될 수 있고, 기어박스(7)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외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단열재(9)는 기어박스(7)의 외면을 둘러쌀 수 있다.
제1기어(53)는 기어박스(7)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중 적어도 하나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되게 배치될 수 있고, 기어박스(7)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2)의 사이에서 전진되거나 후퇴될 수 있다. 기어박스(7)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기어(53)의 전후 방향 진퇴를 안내하는 제1기어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선반(20)은 선반(20)의 측면 또는 하면에는 돌출부(29)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기어(53)는 돌출부(29)의 상면 일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9)는 일부가 기어 수용공간(Q)에 위치될 수 있고, 돌출부(29) 중 기어 수용공간(Q)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1기어(52)가 형성될 수 있다. 선반(20)은 저장실 이너 케이스(2) 내부에 위치되는 판 형상의 선반 바디와, 선반 바디에 돌출된 돌출부(29)와, 돌출부(29) 중 일부에 형성된 제1기어(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기어(54)와 제3기어(56)는 기어박스(7)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기어(54)의 회전 중심축(P1)은 기어박스(7)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2기어(54)는 기어박스(7)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사이에서 정,역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기어(54)의 정회전은 제2기어(54)의 시계 방향 회전일 수 있고, 제2기어(54)의 역회전은 제2기어(54)의 반시계 방향 회전일 수 있다.
제3기어(56)의 회전 중심축(P2)은 기어박스(7)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3기어(56)는 기어박스(7)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사이에서 정,역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3기어(56)의 정회전은 제3기어(56)의 시계 방향 회전일 수 있고, 제3기어(56)의 역회전은 제3기어(56)의 반시계 방향 회전일 수 있다. 제3기어(56)는 제2기어(54)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기어(5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3기어(5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2기어(5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3기어(5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4기어(58)는 기어박스(7)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중 적어도 하나에 곡선형 궤적으로 무빙되게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가드(30)와 제4기어(58) 중 적어도 하나의 무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60)은 기어박스(7)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고, 호 형상 등의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60)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리브(60A)(6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리브(60A)(60B)는 기어박스(7) 또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2)에서 기어 수용공간(Q)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4기어(48)를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60)은 한 쌍의 리브(60A)(60B) 일단을 잇는 일단 스토퍼(60C)와, 한 쌍의 리브(60A)(60B) 타단을 잇는 타단 스토퍼(6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4기어(58)는 일단(58A)이 일단 스토퍼(60C)에 막혀 일단 스토퍼(60C)에 걸릴 수 있고, 제4기어(58)는 일단(58A)이 일단 스토퍼(60C)에 걸리는 위치일 때, 연결부(64) 및 가드(30)가 각각 최상측 위치일 수 있다.
제4기어(58)는 타단(58B)이 타단 스토퍼(60C)에 막혀 타단 스토퍼(60C)에 걸릴 수 있고, 제4기어(58)는 타단(58B)이 타단 스토퍼(60C)에 걸리는 위치일 때, 연결부(64) 및 가드(30)가 각각 최하측 위치일 수 있다.
저장실 이너 케이스(2)와 기어 박스(7)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돌출부(29)가 관통되는 돌출부 관통공(62)과, 제4기어(58)와 가드(30)를 연결하는 연결부(64)가 관통되는 연결부 관통공(66)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 관통공(62)은 선반(20)의 진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 관통공(62)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제1기어(52)의 진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 관통공(62)은 일단 스토퍼(62C)와, 타단 스토퍼(62D)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9)는 일단 스토퍼(62C)에 막혀 일단 스토퍼(62C)에 걸릴 수 있고, 돌출부(29)가 일단 스토퍼(62C)에 전방 방향으로 걸리는 위치일 때, 돌출부(28) 및 선반(30)는 각각 최대 전진위치(즉, 전진 완료 위치)일 수 있다. 돌출부(29)는 타단 스토퍼(62D)에 막혀 타단 스토퍼(62D)에 걸릴 수 있고, 돌출부(29)가 타단 스토퍼(62D)에 후방 방향으로 걸리는 위치일 때, 돌출부(28) 및 선반(30)은 각각 최대 후퇴위치(즉, 후퇴 완료 위치)일 수 있다.
연결부(64)는 가드(30)의 옆에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가드(30)의 측단과 제4기어(58)의 측단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 관통공(66)은 연결부(64)를 슬라이드 안내할 수 있고, 제4기어(58)의 옆에 제4기어(58)의 궤적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 관통공(66)은 연결부(64)의 궤적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 관통공(66)은 일단 스토퍼(66C)와, 타단 스토퍼(66D)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64)는 일단 스토퍼(66C)에 막혀 일단 스토퍼(66C)에 걸릴 수 있고, 연결부(64)가 일단 스토퍼(60C)에 걸리는 위치일 때, 연결부(64) 및 가드(30)는 각각 최상측 위치일 수 있다. 연결부(64)는 타단 스토퍼(66D)에 막혀 타단 스토퍼(66D)에 걸릴 수 있고, 연결부(64)가 타단 스토퍼(66D)에 걸리는 위치일 때, 연결부(64) 및 가드(30)는 각각 최하측 위치일 수 있다. 냉장고가 연결부 관통공(66)과 가이드 레일(60)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연결부 관통공(66)은 가이드 레일(60)의 일부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 관통공(66)은 가이드 레일(60)의 일부와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기어 박스(7)가 저장실(C)로 노출되게 설치될 경우, 돌출부 관통공(62)과, 연결부 관통공(66)은 기어 박스(7)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기어 박스(7) 중 저장실 이너 케이스(2)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기어 박스(7)가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외부에 설치될 경우, 돌출부 관통공(62)과, 연결부 관통공(66)은 저장실 이너 케이스(2)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저장실 이너 케이스(2) 중 기어 박스(7)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어(52)가 형성된 선반(20)과 타 선반(40)의 사이에는 가드(30)가 삽입되는 틈(G1)이 형성될 수 있다. 가드(30)는 일측단부와 타측단부 중 어느 하나가 선반(20)과 타 선반(40) 사이의 틈(G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저장실 이너 케이스(2)와 기어 박스(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제1기어(52)가 형성된 선반(20)의 사이에는 가드(30)가 삽입되는 틈(G2)이 형성될 수 있다. 가드(30)는 일측단부와 타측단부 중 다른 하나가 선반(20)과 타 선반(40) 사이의 틈(G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저장실 이너 케이스(2)에 돌출부 관통공(62)과, 연결부 관통공(66)이 형성될 경우, 저장실 이너 케이스(2)와 선반(20)의 사이에 틈(G2)이 형성될 수 있다. 기어 박스(7)에 돌출부 관통공(62)과, 연결부 관통공(66)이 형성될 경우, 기어 박스(7)와 선반(20)의 사이에 틈(G2)이 형성될 수 있다. 가드(30) 중 좌측단부(33)와 우측단부(34) 중 어느 하나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2)와 기어 박스(7) 중 어느 하나와 선반(20) 사이의 틈(G2)으로 삽입될 수 있다.
타 선반(40)이 선반(20)의 좌측에 위치할 경우, 가드(30)의 좌측단부(33)는 선반(20)과 타 선반(40) 사이의 틈(G1)으로 삽입될 수 있고, 가드(30)의 우측단부(34)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2)와 기어 박스(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선반(20) 사이의 틈(G2)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타 선반(40)이 선반(20)의 우측에 위치할 경우, 가드(30)의 우측단부(34)는 선반(20)과 타 선반(40) 사이의 틈(G1)으로 삽입될 수 있고, 가드(30)의 좌측단부(33)은 저장실 이너 케이스(2)와 기어 박스(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선반(20) 사이의 틈(G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가드(30)의 선단부(31)를 잡고 가드(30)를 전방 방향(F)으로 잡아당기거나 전방 상측의 경사방향(FU)으로 들어 올리거나 상측 방향(U)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이 경우, 가드(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상측의 방향으로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전진 및 상승될 수 있고, 가드(30)에 연결부(64)로 연결된 제4기어(58)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기어(56)의 외둘레를 따라 무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드(30)의 무빙 및 제4기어(58)의 무빙시, 제3기어(56)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기어(58)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기어(54)를 회전시킬 수 있고, 제2기어(5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기어(52)를 전진시킬 수 있다. 제1기어(52)의 전진시, 선반(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52)와 함께 전방 방향(F)으로 전진 동작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드(30)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드(30)는 선반(20)과 점차 멀어지면서 선반(20) 보다 높게 상승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선반(20)이 전방 방향(F)으로 전진될 수 있다.
가드(30)는 선단부(31)와 후단부(32)와 좌측단부(33)와 우측단부(34)가 함께 전진 및 상승되면서 선반(20)과 점차 멀어질 수 있고, 가드(30)는 도 2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20)의 상측으로 선반(20)과 이격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연결부(64)가 도 11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상승 위치일때, 가드(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상승 위치일 수 있고, 이때, 선반(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전진 위치일 수 있다. 가드(30)의 상승 및 선반(20)의 전진은 각각 완료될 수 있다.
가드(30)가 상승됨과 동시에 선반(20)이 전진되는 동안 가드(30)는 선반(20)의 상측 주변에 선반(20)과 이격되게 위치된 상태일 수 있고, 가드(30)는 선반(20)에 올려진 음식물 등의 물품이 선반(20)의 무빙에 의해 주변으로 미끌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최대 전진 위치로 전진된 선반(20)의 음식물 등의 물품을 가드(30)의 위로 들어 올려 꺼낼 수 있고, 외부의 음식물 등의 물품을 가드(30) 내측을 통해 선반(20)에 안착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30)가 최대 상승 위치로 상승되고, 선반(20)이 전방 방향(F)으로 최대 전진 위치로 전진된 상태에서 선반(20)을 후방 방향(R)으로 밀거나, 가드(30)를 후방 방향(R)으로 밀거나 후방 하측의 방향 또는 하측 방향(D)으로 내릴 수 있다. 이 경우, 선반(20)은 후방 방향(R)으로 후퇴될 수 있고, 제1기어(52)는 후방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으며, 제2기어(5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3기어(5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제4기어(58)는 제3기어(56)의 외둘레를 따라 무빙될 수 있다. 그리고, 가드(30)는 후방 하측의 방향으로 후퇴 및 하강될 수 있다.
연결부(64)가 도 9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하강 위치일때, 가드(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하강 위치일 수 있고, 이때, 선반(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후퇴 위치일 수 있다. 가드(30)의 하강 및 선반(20)의 후퇴는 각각 완료될 수 있다.
가드(30)는 최대 하강 위치로 후퇴 및 하강되었을 때, 도 9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20)의 테두리를 둘러쌀 수 있다. 가드(30)가 선반(20)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위치로 무빙되었을 때, 가드(30)의 좌측단부(33)는 선반(20)과 타 선반(40) 사이로 삽입될 수 있고, 가드(30)의 우측단부(34)는 저장실 이너 케이스(2)와 기어 박스(7) 중 어느 하나와 선반(20)사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선반(20) 좌,우 양 옆의 틈 각각은 최소화될 수 있다. 가드(30)는 선반(20)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위치로 하강되었을 때, 선반(20) 및 타 선반(40)과 같이 음식물 등이 올려지는 선반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번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저장실 이너 케이스 10: 무빙 바디
18: 가이드 레일 20: 선반
21: 선반의 선단 22: 선반의 후단
30: 가드 31: 선반의 선단부
32: 선반의 후단부 33: 선반의 좌측단부
34: 선반의 우측단부 40: 타 선반
50: 기어장치 52: 제1기어
54: 제2기어 56: 제3기어
58: 제4기어 C: 저장실
G1: 선반과 타 선반 사이의 틈
G3: 선반의 선단부와 선반의 선단 사이의 틈
FU: 전방 상측의 경사방향 S: 공간

Claims (18)

  1. 저장실 이너 케이스에 무빙되게 배치된 무빙 바디와;
    상기 무빙 바디와 연결부로 연결된 선반과;
    상기 선반 보다 크고 상기 선반의 테두리를 둘러싸며 상기 무빙 바디를 향해 돌기가 돌출된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바디에는 상기 돌기가 슬라이드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는 선단부가 상기 선반의 선단과 이격되고, 상기 가드의 선단부와 상기 선반의 선단 사이에는 틈이 형성된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옆에 위치되는 타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 선반과 상기 무빙 바디에 연결된 선반의 사이에는 상기 가드가 삽입되는 틈이 형성된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측단과 상기 무빙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가드가 삽입되는 틈이 형성된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전방 상측을 향하는 경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무빙 바디에 복수개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냉장고.
    상기 돌기는 복수개가 상기 가드에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이너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는 무빙 바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와 가이드 레일의 접촉 면적은 상기 무빙 바디와 무빙 바디 가이드의 접촉면적 보다 작은 냉장고.
  8. 저장실 이너 케이스 내부에 무빙되게 배치된 선반과;
    상기 선반 보다 크고 상기 선반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가드와;
    상기 선반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된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치합된 제3기어와;
    상기 가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3기어에 치합된 제4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는 선단부가 상기 선반의 선단과 이격되고, 상기 가드의 선단부와 상기 선반의 선단 사이에는 틈이 형성된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기어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기어와 가드 중 적어도 하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옆에 위치되는 타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 선반과 상기 제1기어가 형성된 선반의 사이에는 상기 가드가 삽입되는 틈이 형성된 냉장고.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이너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와 제3기어와 제4기어가 수용되는 기어 수용공간이 형성된 기어박스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와 제3기어는 상기 기어박스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냉장고.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와 저장실 이너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선반의 사이에는 상기 가드가 삽입되는 틈이 형성된 냉장고.
  16. 저장실 이너 케이스 내부에 무빙되게 배치된 선반과;
    상기 선반 보다 크고 상기 선반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가드와;
    상기 선반 및 가드에 연결되어 상기 선반의 전진시 상기 가드를 상승시키고, 상기 가드의 상승시 상기 선반을 전진시키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저장실 이너 케이스 내부에 무빙되게 배치된 선반과;
    상기 선반 보다 크고 상기 선반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가드와;
    상기 선반 및 가드에 연결되어 상기 선반의 전진시 상기 가드를 상승시키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18. 저장실 이너 케이스 내부에 무빙되게 배치된 선반과;
    상기 선반 보다 크고 상기 선반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가드와;
    상기 선반 및 가드에 연결되어 상기 가드의 상승시 상기 선반을 전진시키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40195845A 2014-12-31 2014-12-31 냉장고 KR101720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845A KR101720490B1 (ko) 2014-12-31 2014-12-31 냉장고
US14/983,852 US9803915B2 (en) 2014-12-31 2015-12-30 Refrigerator
EP15203159.7A EP3040664B1 (en) 2014-12-31 2015-12-30 Refrigerator
CN201511021620.4A CN105737498B (zh) 2014-12-31 2015-12-31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845A KR101720490B1 (ko) 2014-12-31 2014-12-3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651A true KR20160081651A (ko) 2016-07-08
KR101720490B1 KR101720490B1 (ko) 2017-03-28

Family

ID=5502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845A KR101720490B1 (ko) 2014-12-31 2014-12-31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03915B2 (ko)
EP (1) EP3040664B1 (ko)
KR (1) KR101720490B1 (ko)
CN (1) CN10573749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166A (ko) * 2018-12-28 202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82189A (ko) * 2018-12-28 202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82175A (ko) * 2018-12-28 202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698B1 (ko) * 2015-02-13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47530B1 (ko) * 2016-04-15 202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6679315B (zh) * 2016-12-29 2019-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搁物组件及具有该搁物组件的冰箱
US10451336B2 (en) * 2017-10-12 2019-10-22 Whirlpool Corporation Adjustabl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door assembly
KR102609376B1 (ko) 2018-12-21 202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2254593A1 (ja) * 2021-06-02 2022-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US11892231B2 (en) * 2021-06-18 2024-02-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dead space storage sys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591Y2 (ja) * 1978-12-28 1985-02-21 ユニバ−サルパイオニア株式会社 放電管の点弧回路
JP2005052603A (ja) * 2003-08-04 2005-03-03 Nakamura Seisakusho:Kk 棚落下防止具
KR20120115615A (ko) * 2011-04-11 2012-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8178A (en) * 1956-06-26 1958-03-25 Gen Electric Refrigerator compartment shelf and guard assembly
US4217010A (en) * 1978-12-22 1980-08-12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volume-split refrigerator
US4500147A (en) * 1983-03-17 1985-02-19 Reister Richard A Refrigerator shelf doors
JPH065591Y2 (ja) 1988-10-04 1994-02-09 富士電機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の引出し式商品陳列棚
US6220684B1 (en) * 2000-07-13 2001-04-24 Maytag Corporation Adjustable retain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door shelf
JP2002267350A (ja) * 2001-03-13 2002-09-18 Matsushita Refrig Co Ltd 棚装置および棚装置を備えた冷蔵庫
DE202006020932U1 (de) * 2006-03-27 2011-02-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höhenverstellbarem Absteller
US20080067910A1 (en) * 2006-09-15 2008-03-20 Thetford Corporation Refrigerator shelving system with item retainer
US8182056B2 (en) * 2007-09-05 2012-05-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Offset weight supporting slide
BRPI0802420A2 (pt) * 2008-07-07 2010-03-09 Whirlpool Sa mecanismo para movimentação de prateleiras de equipamentos de refrigeração e equipamento de refrigeração
BRMU8900569U2 (pt) 2009-04-16 2010-12-21 Electrolux Do Brasil Sa prateleiras deslizantes para refrigeradores e freezers
US8960825B2 (en) * 2011-10-04 2015-02-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932043B1 (ko) * 2011-12-15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높이 조절 선반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JP6005591B2 (ja) * 2013-06-13 2016-10-12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回転電機
KR101618128B1 (ko) * 2014-04-16 201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015802B1 (en) * 2014-08-12 2018-03-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591Y2 (ja) * 1978-12-28 1985-02-21 ユニバ−サルパイオニア株式会社 放電管の点弧回路
JP2005052603A (ja) * 2003-08-04 2005-03-03 Nakamura Seisakusho:Kk 棚落下防止具
KR20120115615A (ko) * 2011-04-11 2012-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166A (ko) * 2018-12-28 202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82189A (ko) * 2018-12-28 202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82175A (ko) * 2018-12-28 202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0664A2 (en) 2016-07-06
KR101720490B1 (ko) 2017-03-28
US9803915B2 (en) 2017-10-31
EP3040664B1 (en) 2019-02-13
US20160187052A1 (en) 2016-06-30
EP3040664A3 (en) 2016-11-16
CN105737498B (zh) 2018-07-03
CN105737498A (zh)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490B1 (ko) 냉장고
KR102595327B1 (ko) 냉장고
KR102233289B1 (ko) 냉장고
US11346598B2 (en) Refrigerator
KR102580773B1 (ko) 냉장고
KR101641263B1 (ko) 냉장고
KR102421854B1 (ko) 냉장고
KR101829374B1 (ko) 냉장고
EP2924377B1 (en) Refrigerator
KR20060081923A (ko) 냉장고
KR20170093602A (ko) 냉장고
JP4559963B2 (ja) 貯蔵庫
KR200202232Y1 (ko) 김치냉장고
KR101639448B1 (ko) 냉장고의 수납장치
KR100717461B1 (ko) 야채박스의 이중 인출구조
CN113310278A (zh) 冰箱
KR20170052409A (ko) 냉장고
KR20060094586A (ko) 야채박스의 이중 인출구조
KR101858066B1 (ko) 냉장고
KR101096820B1 (ko) 냉장고의 이중서랍
KR20060094587A (ko) 야채박스의 이중 인출구조
KR20080013150A (ko) 냉장고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