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351A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 Google Patents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351A
KR20160079351A KR1020140190595A KR20140190595A KR20160079351A KR 20160079351 A KR20160079351 A KR 20160079351A KR 1020140190595 A KR1020140190595 A KR 1020140190595A KR 20140190595 A KR20140190595 A KR 20140190595A KR 20160079351 A KR20160079351 A KR 20160079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ibers
fiber
interior
melt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447B1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4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7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6Dy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Abstract

본 발명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에 관한 것으로 사염으로 진행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흑색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제사성, 방사안정성, 일광견뢰도 및 심색도가 우수한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low melting polyester complex fiber and yarn for interior}
본 발명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사성, 방사안정성, 일광견뢰도 및 심색도가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단은 의류용뿐만 아니라 산업용, 생활용품용으로 그 용도를 확장하고 있다. 그 중 생활소재로서 원단이 스크린용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스크린(screen)은 일반적으로 창가리개용이나 프로젝터의 스크린으로 활용되고 이 중 창가리개용 스크린은 가정, 호텔, 레스토랑 기타 건물 등에서 내부의 사생활 보호 및 태양광 차단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일정 폭의 원단을 제단하고, 롤로 감아서 창문에 고정시켜 사용자가 롤을 풀어서 창문을 가리거나 롤을 감아서 창문에 고정시켜 사용자가 롤을 풀어서 창문을 가리거나 롤을 감아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만든 제품이다. 이 제품은 롤, 판넬의 형태로 원단을 절단하여 롤 스크린(roll screen), 판넬 스크린(panel screen), 버티칼 등의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상기 스크린 원단을 장폭으로 사용되는 관계로 경직성을 부여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경직성을 부여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주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라 함은, 분자 내에 에스테르 결합(-COO)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총칭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알키드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대표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강도가 높고, 내약품성, 250 내지 255 ℃ 범위의 융점을 지녀 내열성이 우수하며, 신장 굴곡에 대하여는 탄성을 지니는 장점이 있어서 신사복지, 셔츠 등의 의류뿐만 아니라 산업용 재료로 용도가 다양하다.
그러나, 상기의 폴리에스테르는 비교적 융점이 높아 일반적으로 섬유 구조체를 경화시킬 때는 포르말린(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이라든가 유기용제를 함유한 접착제, 경질 수지(페놀 수지, 멜라닌 수지, 우레아 수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유기 용제를 함유한 접착제는 원단의 내부까지 침투하지 않아 접착성도 낮고 완성되었을 때의 촉감이 거칠다. 또한, 휘발성이 강하고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대부분이며, 유독 가스 배출 등의 환경적으로 문제가 되어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휘발성 물질이 방출되지 않고, 원단의 유연성 및 경직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기술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는 염색하기가 쉽지 않아 균일한 색조로 염색된 사염사로 사용하기 위해선 대단한 기술을 필요로 하고,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복함섬유로 제조된 원사가 고 에너지 분산 염료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소정 압력 하에서 고온을 필요로 한다. 특히, 흑색 색상을 구현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사염사의 제조는 사염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일광견뢰도의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염으로 진행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흑색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제사성, 방사안정성, 일광견뢰도 및 심색도가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융점(LM)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시스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포함하는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0.5 ~ 3 중량%의 흑색원착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상기 흑색원착물질은 카본블랙, 아세틸렌블랙 및 카젠블랙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상기 흑색원착물질의 평균 입경은 20 ~ 25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는 50 : 50 ~ 80 : 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시스부의 저융점(LM)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은 110 ~ 180℃이고, 코어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의 융점은 200 ~ 2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시스부의 고유점도는 0.5 ~ 0.9 dl/g 이고, 코어부의 고유점도는 0.6 ~ 1.0 dl/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섬도는 40 ~ 300 데니어이고, 가닥수는 12 ~ 96 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공한다. 상기 인테리어용 원사는 원착사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a) 복수개의 앞서 설명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b) 복수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로서, 상기 인테리어용 원사의 총섬도가 45 ~ 150 데니어이고, 상기 (b) 복수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의 가닥수는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공한다.
[관계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테리어용 원사는 방사혼섬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테리어용 원사의 상기 (b)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융점은 200 ~ 25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테리어용 원사의 상기 (b)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고유점도는 0.6 ~ 1.0 dl/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테리어용 원사의 상기 (a) 및 (b)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섬유들이 원사 내에서 랜덤하게 무작위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테리어용 원사의 상기 (a) 및 (b)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섬유들이 원사 내에서 각각 그룹을 형성하여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테리어용 원사의 상기 (a) 복수개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가닥수는 10 ~ 58개이고, (b) 복수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가닥수는 14 ~ 62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인테리어용 원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가공지를 제공한다.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인테리어용 가공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인 "원착사"는 일명 [dope dyed yarn]으로서, 섬유형 성능이 있는 중합체의 방사액에 착색제를 첨가 착생하여 만든 원사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인 "방사혼섬사"는 구금내 방사를 통해 제조된 섬유를 의미하며, 이와 반대되는 개념은 가공혼섬사로써, 방사를 통해 각기 제조된 원사를 후가공을 통해 하나의 원사로 제조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인 "블라인드"는 광을 차단하는 등의 창가리개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통상적으로 스크린, 버티칼 등으로 명명되는 제품들을 통칭하는 용어로써, 판넬형, 롤형 등 사용상태를 불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인 "가공지"는 직물, 편성물, 펠트, 프레이트, 부직포, 접착직물, 몰드직물, 웹(web) 모두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는 사염으로 진행하지 않아도 흑색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제사성, 방사안정성, 일광견뢰도 및 심색도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원사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원사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방사구금의 분배판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방사구금의 분배판 모식도이다.
도 6은 인테리어용 원사의 융착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접착강도 시험기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비교적 융점이 높아 일반적으로 섬유 구조체를 경화시킬 때는 포르말린(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이라든가 유기용제를 함유한 접착제, 경질 수지(페놀 수지, 멜라닌 수지, 우레아 수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유기 용제를 함유한 접착제는 원단의 내부까지 침투하지 않아 접착성도 낮고 완성되었을 때의 촉감이 거칠다. 또한, 휘발성이 강하고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대부분이며, 유독 가스 배출 등의 환경적으로 문제가 되어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휘발성 물질이 방출되지 않고, 원단의 유연성 및 경직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기술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는 염색하기가 쉽지 않아 균일한 색조로 염색된 사염사로 사용하기 위해선 대단한 기술을 필요로 하고,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복함섬유로 제조된 원사가 고 에너지 분산 염료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소정 압력 하에서 고온을 필요로 한다. 특히, 흑색 색상을 구현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사염사의 제조는 사염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일광견뢰도의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저융점(LM)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시스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포함하는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0.5 ~ 3 중량%의 흑색원착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또는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제공함으로서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사염으로 진행하지 않아도 흑색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제사성, 방사안정성, 일광견뢰도 및 심색도가 우수한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100)는 시스부(10) 저융점(LM)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코어부(20)는 폴리에린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포함하는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100)는 동심형 또는 편심형 일 수 있고, 편심형일 경우 편심되는 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균일 융착을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동심형일 수 있다.
먼저, 시스부(10)는 저융점(LM)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융점이 110 ~ 180℃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상기 융점의 범위를 만족한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개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이 110℃ 미만인 경우 구금 토출에 문제가 있어 방사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융점이 180 ℃를 초과하는 경우 저융점 효과 발현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고유점도가 0.5 ~ 0.9 dl/g 일 수 있다. 만일 고유점도가 0.5 dl/g 미만인 경우 구금 토출 및 단면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고유점도가 0.9 dl/g를 초과하는 경우 저융점 효과 발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코어부(2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개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저융점사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경우 비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경우 통상적인 단량체 이외에 설폰화된 금속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써, 디메틸 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테레프탈산 이외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을 단량체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 예로써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레이트 및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나아가, 디올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제외한 디올성분이 단량체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올성분의 비제한적인 예로써,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등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융점은 바람직하게는 200 ~ 250 ℃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융점이 200℃ 미만인 경우 방사성 및 단면 형성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융점이 250 ℃를 초과하는 경우 단면형성 및 고온방사에 의한 방사성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고유점도가 0.6 ~ 1.0 dl/g 일 수 있다. 만일 고유점도가 0.6 dl/g 미만인 경우 단면형성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고유점도가 1.0 dl/g 를 초과하는 경우 방사팩(pack) 압력이 높아 방사성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코어부(20)는 0.5 중량%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 1.8 중량%의 흑색원착물질을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코어부(20)는 코어부(20) 전체 중량 대비 0.5중량% ~ 3 중량%의 흑색원착물질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는 흑색 색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르계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흑색원착물질이 코어부(20) 전체 중량 대비 0.5중량% 미만으로 포함된다면 이는 사염으로 가능한 영역일 뿐만 아니라, 원하는 색조 및/또는 흑색도를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3 중량%를 초과하며 포함된다면 제사성, 흑색원착물질의 외부돌출로 인한 오염유발 및/또는 과도한 농축에 인해 코어부(20) 내에 흑색원착물질의 분산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흑색원착물질로는 카본블랙, 아세틸렌블랙 및 카젠블랙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카본블랙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흑색원착물질은 20 ~ 25nm의 평균 입경, 바람직하게는 23 ~ 25nm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흑색원착물질의 평균 입경이 20nm 미만이면 제사성 저하 및/또는 방사팩(pack) 압력이 높아 방사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5nm를 초과하면 흑색원착물질의 외부돌출로 인한 오염유발이 발생할 수 있어, 흑색원착물질의 평균 입경을 상기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흑색원착물질의 평균 입경은 20 ~ 25nm이고, 상기 평균 입경 중 소정의 평균 입경에 대해 ± 10 %의 입경을 가지는 흑색원착물질이 전체 흑색원착물질 중 90%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균 입경 중 23nm의 평균 입경에 대해 ± 2nm의 입경을 가지는 흑색원착물질이 전체 흑색원착물질 중 90% 이상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평균 입경 중 소정의 평균 입경에 대해 ± 10 %의 입경을 가지는 흑색원착물질이 전체 흑색원착물질 중 90% 미만일 때, 응집에 의한 팩(PACK) 압력 상승과 돌출에 의한 인테리어 제품의 오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는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가 50 : 50 ~ 80 : 20, 바람직하게는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가 40 : 60 ~ 80 : 20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복합섬유의 형태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융착 강도 저하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섬도는 40 ~ 300 데니어(denier), 가닥수는 12 ~ 96개 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복합섬유의 섬도가 40 데니어 미만인 경우 제사성이 불량해져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300 데이너를 초과하는 경우 방사시 토출량이 너무 높아져 제사성이 불량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를 포함한다. 이 때, 인테리어용 원사는 원착사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a) 복수개의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b) 복수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로서, 상기 인테리어용 원사의 총섬도가 45 ~ 150 데니어이고, 상기 (b) 복수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의 가닥수는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공한다.
[관계식 1]
Figure pat00002

본 발명은 저융점사 모노필라멘트 간의 융착 및 과다 수축을 제어하고 가공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테리어용 원사에 앞서 설명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이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를 포함시켰으며, 이를 통해 인테리어용 원사를 포함하는 가공지가 소프트하여 사용중에 발생하는 형상변화 및/또는 자국의 발생이 방지되고, 저융점 모노필라멘트 간의 과다 융착 되지 않음에 따라 원사의 사염도 가능케 하였고, 사염의 품질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는 구체적으로 개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PET계 섬유인 경우 구체적인 공중합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비제한적인 예로써, 상기 개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통상적인 단량체 이외에 설폰화된 금속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디메틸 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테레프탈산 이외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을 단량체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 예로써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레이트 및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나아가, 디올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제외한 디올성분이 단량체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올성분의 비제한적인 예로써,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등일 수 있다.
상기 PET 섬유의 융점은 200 ~ 250 ℃일 수 있다. 만일 상기 PET 섬유의 융점이 200℃ 미만인 경우 단면 형성성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융점이 250 ℃를 초과하는 경우 방사 온도가 너무 높아 방사성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PET 섬유는 고유점도가 0.6 ~ 1.0 dl/g 일 수 있다. 만일 고유점도가 0.6 dl/g 미만인 경우 단면 형성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고유점도가 1.0 dl/g 를 초과하는 경우 PACK 압력이 높아 방사성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유점도를 가질 수 있는 PET 섬유는 모노사 섬도가 바람직하게는 0.5 ~ 6.5 데니어일 수 있다. 만일 모노사 섬도가 0.5 데니어 미만인 경우 가공지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고, 이를 포함하는 가공지의 소프트한 특성이 저하되며, 섬도가 6.5 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 제사성이 낮아지고, 사염품질 저하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PET 섬유의 단면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단면 형상에 대한 비제한적 예로써,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 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형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원사는 복수개의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와 복수개의 PET섬유의 총섬도는 45 ~ 150 데니어이다. 만일 복수개의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와 복수개의 PET섬유의 총섬도가 45 데니어 미만인 경우 제사성이 불량해져 생산성이 저하되고, 단면형성에 문제점이 있으며, 150 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 방사시 PET 섬유의 토출량이 너무 높아져 제사성이 불량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원사에 포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PET 섬유는 상기 총섬도를 만족하면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모노사 섬도와 PET 섬유의 모노사 섬도비가 1 : 1 ~ 2.2일 수 있다. 만일 PET 섬유 섬도비가 1 미만일 경우 염차발생에 따라 사염품질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원사를 포함하는 가공지의 소프트한 특성이 감소되어 사용중 발생하는 자국 등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PET섬유의 섬도비가 2.2를 초과하는 경우 사염품질이 저하되고 원사의 제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PET섬유의 가닥수는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해야 한다.
[관계식 1]
Figure pat00003
만일 PET섬유의 가닥수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가닥수의 0.9배 미만인 경우 염차발생으로 인해 사염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원사를 포함하는 가공지의 소프트한 특성이 저하됨에 따라 사용중 발생하는 가공지의 변형, 발생되는 자국을 최소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만일 PET섬유의 가닥수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가닥수의 1.6배를 초과하는 경우 원사의 융착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원사의 제사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원사의 모식도로써, 본 발명의 인테리어용 원사에 포함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11) 및 PET 섬유(12)는 원사 내에서 각각 그룹(P, Q)을 형성하여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원사의 모식도로써, 본 발명의 인테리어용 원사에 포함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21) 및 PET 섬유(22)는 원사 내에서 랜덤하게 무작위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원사에 포함되는 시스-코어형 복합섬유 및 PET 섬유의 원사 내 배열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배열은 비제한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와 복수개의 PET(3) 섬유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는 방사혼섬사일 수 있다. 즉, 원사자체가 방사구금내에서 동시에 방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복수개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와 복수개의 PET 섬유가 각기 개별적으로 방사되어 섬유로 제조된 후 통상적인 후가공 방법에 의해 합쳐진 혼섬가공사에 비해 가공지로 제조 시 2종의 섬유간 응력 및 수축율 차이에 의한 가공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평활도가 저하되고, 조직이 이완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가공지의 품질면에서 현저하게 우수하고, 제조공정을 간소화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원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가공지를 포함한다.
상기 가공지는 직물, 편성물, 펠트, 프레이트, 부직포, 접착직물, 몰드직물, 웹(web) 등일 수 있다. 상기 가공지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의 경우 직물, 편성물 등에 따른 통상적인 제직, 편성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원사만을 포함할 수 있고, 목적에 따라 이종의 원사와 교직, 교편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지는 별도의 기능성 부여 즉, 내광 견뢰도를 우수하게 하기 위해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나 다른 섬유용 가공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섬유용 가공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전방지제, 발수발유제, 오염방지제, 항균제, 수분 흡수제, 슬립 방지제 등이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인테리어용 가공지를 포함하는 블라인더를 포함한다.
상기 블라인더는 광을 차단하는 등의 창가리개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통상적으로 스크린, 버티칼 등으로 명명되는 제품들을 통칭하는 용어로써, 판넬형, 롤형 등 사용상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창가리개에 사용되는 기타 부재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으로 상술한 저융점(LM)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스부로 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코어부로 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복수개로 방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어부는 0.5 중량%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 1.8 중량%의 흑색원착물질을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코어부는 코어부 전체 중량 대비 0.5중량% ~ 3 중량%의 흑색원착물질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인테리어용 원사는 흑색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는 구금을 통해서 방사되는데, 구금에서 방사되는 토출구는 시스부 토출구 내에 코어부 토출구가 위치하며, 상기 코어부 토출구는 시스부 토출구 단면에 대해 동심원상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거나 일부 편심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시스-코어형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방사시에 시스부 및 코어부의 방사온도는 260℃ ~ 290℃일 수 있고, 방사속도는 600 ~ 2000ppm일 수 있다.
상기 시스-코어형으로 방사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는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가 50 : 50 ~ 80 : 20, 바람직하게는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가 40 : 60 ~ 80 : 20 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복합섬유의 형태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융착 강도 저하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복수개로 방사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단독으로 복수개를 방사하여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조하되, 상기 방사된 복수개의 섬유에 대한 총 섬도가 45 ~ 150 데니어이고, 상기 단독으로 방사된 섬유의 가닥수는 방사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가닥수의 0.9 ~ 1.6배가 되도록 방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동일한 구금을 통해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와 PET 섬유가 동시에 방사된다.
상기 구금에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와 PET 섬유가 방사되는 토출구의 배치는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에 대한 복수개의 토출구와 PET 섬유에 대한 복수개의 토출구가 그룹을 형성하여 배열거나 무작위로 섞여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방사구금의 분배판 모식도로써 도 4와 같이 그룹을 형성하여 배열될 수 있고, 도 5와 같이 무작위로 섞여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에 대한 토출구에서 시스부 토출구 내 위치하는 코어부 토출구는 시스부 토출구 단면에 대해 동심원상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거나 일부 편심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PET 섬유에 대한 토출구 단면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단면 형상에 대한 비제한적 예로써,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 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형일 수 있다.
이후 방사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와 PET 섬유는 통상적인 연신공정 거쳐 고분자의 배향을 좋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섬유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40 ~ 100℃에서 연신비 1.5~5.0로 연신할 수 있으며, 상기 연신공정은 1단 연신으로 연신할 수 있으나 섬유의 강도 증가 및 연신공정에서 섬유의 사절을 방지를 위하여 2단 연신으로 연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융점이 180℃이고, 고유점도가 0.6 dl/g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스부로 하고, 0.5 중량%의 카본블랙(평균 입경 23nm)이 함유된 융점이 230℃이고, 고유점도가 0.65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코어부로 하여 각각 방사온도를 275 ℃로 동일하게 하고 방사속도를 1000 mpm으로 하여 시스부와 코어부의 중량비가 30 : 70이 되도록 하여 시스-코어형 복합섬유를 방사하였다. 이 때,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의 가닥수는 24개로 하였다.
상기 방사된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에 대해 제1 고뎃롤러 속도 1000m/min, 온도 80 ℃, 제2 고뎃롤러 속도 3500 m/min, 온도 110 ℃ 의 조건으로 연신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10 및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코어부에 포함된 카본블랙의 중량% 및 카본블랙의 평균입경 등을 하기 표 1과 같이 달리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 10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인테리어용 원사에 대해 하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였다.
1. 제사성(F.B 율)
제사성을 평가하기 위해 만관율(%)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만관율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원사를 9kg 드럼을 만권으로 하여 방사하였을 때의 절사없는 인테리어용 원사의 수율로서,
만관율(%) =
Figure pat00004
으로 계산하였다.
2. 외부 돌출 여부
인테리어용 원사를 이용하여 가공지를 제작한 후, 가공지 상에 검게 오염되는 것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시스-코어형
복합 섬유
코어부에 포함된
카본블랙 중량%
0.5% 1.0% 1.5% 2.0% 2.5% 3.0%
카본블랙 평균입경
(nm)
23±2 23±2 23±2 23±2 23±2 23±2
제사성(%) 95 95 95 95 90 88
팩(pack) 압력
(Kg/day)
0.2 0.5 1.0 5.0 8.0 10.0
외부 돌출여부
(오염여부)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오염
(미세)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비교예
1

시스-코어형
복합 섬유
코어부에 포함된
카본블랙 중량%
1.8% 1.8% 1.8% 1.8% 1.8% 3.5%
카본블랙 평균입경
(nm)
18±2 20±2 23±2 25±2 30±2 23±2
제사성(%) 70 85 95 95 70 70
팩(pack) 압력
(Kg/day)
30.0 8.0 5.0 5.0 30.0 28.0
외부 돌출여부
(오염여부)
없음 없음 없음 오염
(미세)
오염
(적용 불가능)
오염
(적용 불가능)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코어부에 카본 블랙을 0.5 중량% ~ 3.0 중량% 함유한 실시예 1 ~ 6는 코어부에 카본 블랙을 3.5 중량% 함유한 비교예 1 보다, 제사성이 높고, 방사팩(pack)의 압력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코어부에 카본블랙이 0.5 중량% ~ 3.0중량%를 함유한 원사가 제사성, 방사안정성, 일광견뢰도 및 흑색 심색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카본블랙의 평균입경이 20 ~ 25nm인 실시예 8 ~ 10은 카본블랙의 평균입경이 18nm인 실시예 7 및 카본블랙의 평균입경이 30nm인 실시예 11보다 제사성이 높고, 방사팩(pack)의 압력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카본블랙의 평균입경이 20 ~ 25nm를 함유한 원사가 제사성, 방사안정성, 일광견뢰도 및 흑색 심색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1
도 4와 같은 구금을 이용하여 융점이 180 ℃이고, 고유점도가 0.6 dl/g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스부로 하고, 1.8 중량%의 카본블랙(평균 입경 23nm)이 함유된 융점이 230 ℃이고, 고유점도가 0.65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코어부로 하여 각각 방사온도를 275 ℃로 동일하게 하고 방사속도를 1000mpm으로 하여 시스부와 코어부의 중량비가 5 : 5가 되도록 하여 시스-코어형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방사하고, 동일한 구금내 토출구 단면형상이 원형인 토출구를 통해 융점이 230 ℃이고, 고유점도가 0.65 dl/g인 PET 수지를 방사온도를 275 ℃로 하고 방사속도를 1000 mpm으로 하여 방사하였다. 이때, 시스-코어형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가닥수는 24개로 하였고, 원형 PET 섬유의 가닥수는 24개로 하였다.
상기 방사된 시스-코어형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원형 PET 섬유에 대해 제1 고뎃 롤러 속도 1000 m/min, 온도 80 ℃, 제2 고뎃롤러 속도 3500 m/min, 온도 110 ℃ 의 조건으로 연신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 16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하기 표 2와 같이 원형 PET 섬유의 수 및 모노사 섬도 등을 하기 표 2와 같이 달리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먼저, 시스-코어형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융점이 180 ℃이고, 고유점도가 0.6 dl/g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스부로 하고, 1.8 중량%의 카본블랙(평균 입경 23nm)이 함유된 융점이 230 ℃이고, 고유점도가 0.65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코어부로 하여 각각 방사온도를 275 ℃로 하고 방사속도를 1000mpm으로 하며 시스부와 코어부의 중량비가 5 : 5가 되도록 하여 시스-코어형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방사했다. 상기 방사된 복합섬유에 대해 제1 고뎃 롤러 속도 1000 m/min, 온도 80 ℃, 제2 고뎃롤러 속도 3500 m/min, 온도 110 ℃ 의 조건으로 연신하였다.
다음으로 별도의 구금을 이용하여 토출구 단면형상이 원형인 토출구를 통해 융점이 230 ℃이고, 고유점도가 0.65 dl/g인 PET 수지를 방사온도를 275 ℃로 하고 방사속도를 1000mpm으로 하여 방사하였다. 상기 방사된 원형 PET 섬유에 대해 제1 고뎃 롤러 속도 1000 m/min, 온도 80 ℃, 제2 고뎃롤러 속도 3500 m/min, 온도 110 ℃ 의 조건으로 연신하였다.
상기 각각 제조된 시스-코어형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와 원형 PET 섬유의 가닥수를 각각 24개, 24개로 하여 표 2와 같은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3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원형 PET 섬유의 개수를 시스-코어형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개수의 각각 0.75배, 1.67배가 되도록 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 5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원형 PET 섬유와 시스-코어형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총섬도가 각각 40데니어, 180데니어가 되도록 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원형 PET 수지를 방사하지 않고,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만을 방사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인테리어용 원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1 ~ 17 및 비교예 2 ~ 6을 통해 제조된 인테리어용 원사에 대해 하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였다.
1. 사염품질
사염품질은 120℃ * 30 ~ 60분, 110℃에서 최대 염착이 되도록 염료농도를 4~5% 포화 염착을 수행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정도에 따라 ◎, ○, △, Ⅹ 로 평가하였고, 사염자체가 되지 않는 경우 불가로 평가했다.
2. 제사성(F.B율)
제사성을 평가하기 위해 만관율(%)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만관율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원사를 9kg 드럼을 만권으로 하여 방사하였을 때의 절사없는 인테리어용 원사의 수율로서,
만관율(%) =
Figure pat00005
으로 계산하였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1 ~ 17 및 비교예 2 ~ 6을 통해 제조된 인테리어용 원사를 경사와 위사로 하여 직물로 제직한 후 가로, 세로 각각 120cm, 400cm인 가공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가공지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1. 융착품질 평가
융착품질은 접착강도 테스트를 실시하여 평가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접착강도 테스트는 접착강도 시험기(도 6, Atlas Electric Device사 접착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2. 소프트 특성
가공지의 소프트한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부드러움이 감소하는 정도에 따라 ◎, ○, △, Ⅹ 로 평가하였다.
3. 평활도 평가
가공지에 대해 시간경과에 따른 평활도, 예를 들어 가공지의 표면에 굴곡이 생기거나 뒤틀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전문가 평가하였으며, 평활도가 저하되는 정도에 따라 ◎, ○, △, ×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시스-코어형
복합섬유
(A)
섬도(De) 30 30 30 30 30 30 30
가닥수 24 24 24 24 24 24 24
원형 PET 섬유
(B)
섬도(De) 20 40 60 80 100 120 40
가닥수 24 24 24 24 22 28 24


원 사
A, B
가닥수비
1:1 1:1 1:1 1:1 1:0.92 1:1.16 1:1
A, B
모노사
섬도비

1:0.67

1:1.33

1:2

1:2.67

1:3.64

1:3.43

1:1.33
총섬도
(De)
50 70 90 110 130 150 70


물 성


접착강도
(lbs)
2.6 2.4 2.3 2.1 2.3 2.4 2.4
사염품질
소프트
정도
제사성
(%)
79 95 96 88 91 86 95
평활도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시스-코어형
복합섬유
(A)
섬도(De) 30 30 20 30 50
가닥수 24 24 24 24 48
원형 PET 섬유
(B)
섬도(De) 30 30 20 140 -
가닥수 18 40 24 34 -


원 사
A, B
가닥수비
1:0.75 1:1.67 1:1 1:1.42 -
A, B
모노사
섬도비
1:1.33 1:0.6 1:1 1:4.67 -
총섬도
(De)
60 60 40 170 50


물 성

접착강도
(lbs)
2.9 1.4 2.9 0.4 3.0
사염품질 × × 불가
소프트
정도
× ×
제사성
(%)
95 88 60 70 95
평활도
상기 표 2 및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원사의 총섬도가 50 ~ 150 데니어를 불만족하는 비교예 4 및 5의 경우 제사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총섬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실시예의 경우 제사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원사에 포함된 시스-코어형 복합섬유 가닥수와 PET 섬유 가닥수의 비가 1 : 0.9 ~ 1.6을 불만족하는 비교예 2 및 3 중 상기 가닥수의 비가 0.9 미만인 비교예 2은 사염품질과 소프트 정도가 현저히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고, 1.6을 초과하는 비교예 3의 경우 사염품질과 소프트정도가 저하되었고, 평활도 역시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스-코어형 복합섬유로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6은 사염자체를 할 수 없었으며, 소프트 정도가 현저히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의 모노사 섬도와 원형 PET 섬유의 모노사 섬도비가 1 : 1 ~ 2.2를 불만족하는 실시예 11, 14 내지 16의 경우 사염품질, 소프트한 정도가 저하되었고, 제사성도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와 원형 PET 섬유를 구금내 방사한 방사혼섬사가 아닌 별도의 구금을 통해 각각 방사후 원사로 제조한 실시예 17의 경우 사염품질, 소프트한 정도가 저하되었고, 평활도도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0 : 시스부 20 : 코어부
11, 21, 100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12, 22 : PET 섬유

Claims (17)

  1. 저융점(LM)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시스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포함하는 코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0.5 ~ 3 중량%의 흑색원착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원착물질은 카본블랙, 아세틸렌블랙 및 카젠블랙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원착물질의 평균 입경은 20 ~ 25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의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는 50 : 50 ~ 80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에서 시스부의 저융점(LM)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은 110 ~ 180℃이고, 코어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의 융점은 200 ~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에서 시스부의 고유점도는 0.5 ~ 0.9 dl/g 이고, 코어부의 고유점도는 0.6 ~ 1.0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의 섬도는 40 ~ 300 데니어이고, 가닥수는 10 ~ 96 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9. (a) 복수개의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b) 복수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로서,
    상기 인테리어용 원사의 총섬도가 45 ~ 150 데니어이고, 상기 (b) 복수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의 가닥수는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관계식 1]
    Figure pat00006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용 원사는 방사혼섬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융점은 200 ~ 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고유점도는 0.6 ~ 1.0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섬유들이 원사 내에서 랜덤하게 무작위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섬유들이 원사 내에서 각각 그룹을 형성하여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복수개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가닥수는 10 ~ 58개이고, (b) 복수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가닥수는 14 ~ 6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16.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테리어용 원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가공지.
  17. 제16항에 따른 인테리어용 가공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KR1020140190595A 2014-12-26 2014-12-26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KR101672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595A KR101672447B1 (ko) 2014-12-26 2014-12-26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595A KR101672447B1 (ko) 2014-12-26 2014-12-26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351A true KR20160079351A (ko) 2016-07-06
KR101672447B1 KR101672447B1 (ko) 2016-11-03

Family

ID=5650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595A KR101672447B1 (ko) 2014-12-26 2014-12-26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4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554A1 (ko) * 2016-09-20 2018-03-29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용 심재, 샌드위치 패널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20180038948A (ko) * 2016-10-07 2018-04-1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섬유
TWI790384B (zh) * 2018-06-27 2023-01-21 南韓商東麗先端素材股份有限公司 熱黏合纖維用聚酯組合物及包含其的熱黏合複合纖維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1239A (ja) * 2000-03-17 2001-10-02 Toray Ind Inc 収縮差混繊糸および製造方法
KR20090090167A (ko) * 2008-02-20 2009-08-2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 난연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원단과 이의제조방법
KR20120132055A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휴비스 차광성 및 표면경화성이 우수한 난연성 심초형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60609A (ko) * 2011-11-30 2013-06-10 손황 항균ㆍ소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1239A (ja) * 2000-03-17 2001-10-02 Toray Ind Inc 収縮差混繊糸および製造方法
KR20090090167A (ko) * 2008-02-20 2009-08-2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 난연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원단과 이의제조방법
KR20120132055A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휴비스 차광성 및 표면경화성이 우수한 난연성 심초형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60609A (ko) * 2011-11-30 2013-06-10 손황 항균ㆍ소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554A1 (ko) * 2016-09-20 2018-03-29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용 심재, 샌드위치 패널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20180038948A (ko) * 2016-10-07 2018-04-1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섬유
TWI790384B (zh) * 2018-06-27 2023-01-21 南韓商東麗先端素材股份有限公司 熱黏合纖維用聚酯組合物及包含其的熱黏合複合纖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447B1 (ko)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6807B2 (ja) 難燃性繊維、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繊維を用いた布帛および樹脂複合材料
KR101672447B1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KR101543113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KR101283894B1 (ko) 차광성 및 표면경화성이 우수한 난연성 심초형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44256B1 (ko) 용출형 복합중공섬유 및 복합중공사
KR102036668B1 (ko) 코튼 라이크의 원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4611A (ko) 섬유 표면 형상에 의한 촉감이 우수한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56464B1 (ko) 실크라이크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2016113714A (ja) 仮撚中空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及び織編物
KR101572727B1 (ko) 인테리어용 원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90231B1 (ko) 연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590232B1 (ko) 인테리어 방사혼섬사용 구금분배판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방사혼섬사 제조방법
KR20130130953A (ko) 이용성 복합중공사 제조방법
KR101858480B1 (ko) 중공형 가발원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866688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3549A (ko) 적외선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재생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JPH04185714A (ja) ポリエステル原着複合繊維
TWI658183B (zh) 扁平剖面捲縮絲、該捲縮絲的製造方法和含有該捲縮絲的編織物
KR102542019B1 (ko)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고강도 가발 원사용 나노섬유 복합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7936B1 (ko)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822434B1 (ko) 실크-라이크 폴리에스테르 원사
JP4715387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
KR101744255B1 (ko) 용출형 복합중공섬유 및 복합중공사
KR20120055965A (ko) 실크라이크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2012021245A (ja) 遮熱性編物および繊維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