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012A - 빠른 개폐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 및 사용 방법들 - Google Patents

빠른 개폐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 및 사용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012A
KR20160079012A KR1020167013671A KR20167013671A KR20160079012A KR 20160079012 A KR20160079012 A KR 20160079012A KR 1020167013671 A KR1020167013671 A KR 1020167013671A KR 20167013671 A KR20167013671 A KR 20167013671A KR 20160079012 A KR20160079012 A KR 20160079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od
legs
segments
lock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일란 벤 메이어
이츠학 리히텐슈타인
Original Assignee
일란 벤 메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란 벤 메이어 filed Critical 일란 벤 메이어
Publication of KR20160079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6Details concerning attachment of head-supporting legs, with or without actuation of locking member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05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discrete positions, e.g. in extreme extend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5Locking means for translational movement
    • F16M2200/028Locking means for translational movement by positive interaction, e.g. male-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Golf Club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촬영될 대상과 눈맞춤을 유지하면서 촬영 위치에서 삼각대를 개방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빠른 개방 및 배치 메커니즘을 갖는 신규한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삼각대는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다리들 및 중심 기둥 상에 위치되는 장전된 스프링에 연결되는 트리거를 갖는 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는 중심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를 누를 시 상기 중심 잠금 메커니즘이 상기 삼각대 다리들의 이격 및 상기 다리들의 각각의 부근 지면의 높이에 따른 지면을 향한 상기 다리들의 각 다리의 상기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의 자유 낙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잠금해제되며, 상기 중심 기둥을 따라 하향으로 상기 손잡이의 슬라이딩 시, 연장된 상기 세그먼트들을 갖는 상기 다리들이 개방 형태로 잠금되게 된다.

Description

빠른 개폐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 및 사용 방법들{TRIPOD WITH FAST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METHODS OF USE}
본 발명은 사진용 장비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촬영 시 삼각대를 개방하고 배치하기 위한 빠르고, 간단하며 편리한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삼각대를 개/폐하고 다리 세그먼트들을 연장/ 복귀시키고, 촬영 위치에 삼각대를 재위치시키며, 작업이 완료된 후 삼각대를 패키징기 위한 신규한 중심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들에 관한 것이다.
사진용 및 다른 장비를 위한 삼각대 지지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많은 변경예가 안정성, 중량, 조절성, 신뢰성, 비용, 및 사용의 용이함의 이슈들을 처리하기 위해 개발되어 왔다. 이들 팩터를 수반하는 트레이드-오프들이 지금까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들 트레이드-오프에 대한 보상이 갈수록 줄어들어 왔기 때문에 혁신할 여지가 많이 있다.
최근의 대부분의 개발은 향상된 안정성을 갖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삼각대들을 제공하는 것에 주력해왔다. 다루기 힘들고 사진사가 찍어야 할 샷들에 그/그녀가 주력하게 하는 대신 그/그녀의 주의를 끄는 사용의 용이함을 개선하는 것은 거의 행해지지 않았다. 삼각대를 개/폐하고 위치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은 반복 옵션들 없이 실시간 이벤트를 촬영할 때 때때로 결정적이다.
현재는,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대부분의 삼각대가 촬영 위치에 수동으로 개방되고 배치된다, 즉, 사용자는 개별적으로 삼각대의 각 다리를 개방하고 개별적으로 각 다리 세그먼트를 잠금해제/잠금해야 하며, 그것이 위치되는 표면 구조에 삼각대의 다리를 적응해야 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삼각대들의 개/폐의 덜 다루기 힘든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몇몇 시도를 꾀했었다. 그러한 시도들의 몇몇 예는 다음 특허들 및 특허 출원들에 개시된다: JP2006170424 (A), WO2012030391, WO9920933, US6793191, US7086631, 및 CN201731245.
따라서, 삼각대의 개/폐 및 배치를 간략화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요구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그러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된 청구 대상은 삼각대를 작동하는 간단하고, 빠르며 친숙한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혁신적인 피처들을 갖는 신규한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다음 설명에서, 용어들: "개/폐 메커니즘",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 및 "잠금/릴리즈 메커니즘"은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모든 용어가 삼각대를 폐쇄, 복귀된 형태로부터 개방, 연장된 형태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의 몇몇 측면에 따라, 삼각대는 세 개의 삼각대 다리를 다리들이 중심 기둥에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한(다리들 및 중심 기둥 간 0도 내지 10도) 폐쇄 모드로부터, 다리들이 중심 기둥에 관해 약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배치되는 개방 모드로 동시에 릴리즈하는 빠른, 단일 단계 프로세스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개방 프로세스는 각 세그먼트가 삼각대의 각 다리의 부근 표면 곡률에 따라(즉, 하향으로 지향되는 다리들을 갖고 지면 위에 삼각대 헤드 또는 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홀딩 시 각 다리가 표면의 평평함에 관계없이 이 부근 표면 곡률에 따라 연장된다), 지면으로부터 원하는 높이로 텔레스코프 내에서 추출되게, 즉 자유롭게 슬라이딩하게 하기 위해 각 다리에 위치되는 복귀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두 개의 세그먼트 또는 그 이상)을 더 릴리즈한다. 예를 들어, 삼각대가 계단들, 경사, 바위 상에서, 또는 지면에서의 홀 내에서 개방될 때, 다리들의 각 다리는 그것이 위치되는 표면에 따라 연장될 것이고, 개방 연장된 모드의 다리들의 각 다리의 길이는 또한 서로 상이할 수 있는 다른 두 개의 다리의 길이와 상이할 수 있으며, 모두 삼각대가 위치되는 표면 곡률/윤곽들에 따른다.
다리들이 개방되고 각 다리의 세그먼트들이 연장될 때, 중심 잠금 메커니즘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바와 같이 적어도 세 개(3)의 잠금 서브-메커니즘의 동시 잠금 및 임의로, 다른 세 개(3) 내지 여섯 개(6)의 잠금 메커니즘의 동시 잠금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중심 개/폐 및 잠금 메커니즘은 삼각대를 개방 및 배치하기 위해, 그리고 사용 후 삼각대를 폐쇄하기 위해 반대 순서로 유사한 세트의 행위를 수행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각 다리를 개방하고, 각 세그먼트를 잠금해제하고, 그것을 원하는 길이로 당기며, 마지막으로 세그먼트들의 각각을 원하는 높이에 재잠금할 필요를 제거한다. 이러한 동작 모드는 사진사가 카메라 위치로부터 촬영될 타겟을 보고 어떤 위치도 변경하거나 타겟으로부터 그/그녀의 눈들을 뗄 필요 없이, 그/그녀가 샷들을 찍기 위해 원하는 위치를 찾자마자 삼각대를 고정하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들에 따라, 신규한 삼각대는 반-자동화된 개/폐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삼각대를 개방하고 각 다리의 세그먼트들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개/폐 손잡이 내 트리거를 누른다. 트리거를 누를 시, 삼각대의 다리들은 각지게 이격되게 되며, 여기서 각 다리의 세그먼트들은 자동적으로 잠금해제되고 연장된다(지면을 향해 하향으로 하강한다). 원하는 위치에 삼각대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그 후 손잡이를 상향으로(삼각대를 폐쇄하기 위해) 또는 하향으로(삼각대를 개방하기 위해)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라, 신규한 삼각대는 바람직하게는 삼각대 베이스 내에 위치되는, 중심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하나의 다리를 개방 시, 다른 다리들이 자동적으로 개방되게 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신규한 삼각대는 사용자가 두 개의 모드: 폐쇄 모드 및 개방 모드에서 삼각대에 카메라를 더 연결하게 한다. 카메라는 폐쇄 모드의 본 발명의 삼각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그것은 개방 및 잠금 프로세스 동안 이에 연결된 채로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카메라는 본 발명의 삼각대가 개방된 후 그것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제공되는 설명이 직선 다리들을 갖는 삼각대를 나타내더라도,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이 그렇게 함으로써 삼각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만곡된 다리들을 갖고 그리고 오목한 다리들을 갖고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들의 예증이 되는 예들이 본 출원에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면들에서, 하나보다 많은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들, 요소들 또는 부품들은 이들이 나타나는 모든 도면에 동일한 숫자로 일반적으로 라벨링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및 피처들의 치수들은 제시의 편리함 및 명확함을 위해 일반적으로 선택된 것이고 반드시 일정한 축적으로 도시된 것은 아니다. 제시된 도면들은 개략도들의 형태이고, 이와 같이, 특정한 요소들이 예시적 명확함을 위해, 꽤 간략하게 도시되거나 일정한 비율이 아닐 수 있다. 도면들은 제작도들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도면들(도)이 아래에 나열된다.
도 1a도 1b는 완전히 개방된 모드의 빠른 개/폐 메커니즘 및 완전히 연장된 다리들을 갖는 삼각대의 일례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삼각대의 개/폐 메커니즘의 부분 등각 확대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삼각대의 세 개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도 1에 예시된 삼각대의 개/폐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및 확대도들이며, 여기서 도 3a는 세 개의 주요 영역: 중심 기둥 및 세 개의 연결 아암 중 두 개의 연결 아암 간 잠금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영역 "A"(도 3b의 확대도에 예시됨); 연결 아암 및 이에 부착되는 다리 간 잠금 메커니즘을 예시하는 영역 "B"(도 3c의 확대도에 예시됨); 및 하나의 다리의 제2 세그먼트 및 제3 세그먼트 간 연결 영역에서의 잠금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영역 "C"(도 3d 및 도 3e의 확대도들에 예시됨)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예시된 삼각대의 하나의 다리의 상대적 연결 아암 및 중심 기둥 상에 위치된 잠금 요소들을 갖는 하나의 다리의 분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드의 그리고 완전히 연장된 다리들을 갖는 도 1의 삼각대의 개략도들이며, 여기서 5a도 5b는 각각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c도 5e는 상대적 잠금 아암을 갖는 다리의 제2 및 제3 세그먼트들 간 연결 영역의 확대도들이며; 도 5d는 개/폐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 다리들, 연결 아암들, 및 중심 기둥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이들의 최소 길이로 줄어드는 다리들을 갖는 완전히 폐쇄된 모드의 도 1의 삼각대의 (각각) 개략적인 정면도, 측면도 및 등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빠른 개방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200)의 다른 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여기서 다리들의 개방 각도는 다리들 및 각 다리의 세그먼트들의 잠금/잠금해제 상태를 결정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빠른 반-자동화된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300)의 다른 예의 개략적인 정면도들이며, 여기서 8a는 연장된 다리들을 갖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삼각대(300)를 예시하고; 도 8b는 부분적으로 연장된 다리들을 갖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드의 삼각대(300)를 예시하며; 이들의 최소 길이로 줄어드는 다리들을 갖는 폐쇄 모드의 삼각대(300)를 예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도 8a 내지 도 8c에 예시된 세 개의 모드의 삼각대(300)의 단면도들이며, 여기서 각 단면도는 네 개의 주요 영역: 중심 기둥 영역 및 이러한 영역에서 작동하는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영역 "A"; 연결 아암 및 다리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들 간 접합 영역 및 이러한 영역에서 작동하는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영역 "B"; 다리의 제2 및 제3 세그먼트들 간 연결 영역 및 이러한 영역에서 작동하는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영역 "C"; 및 삼각대(300)의 중심 기둥 및 연결 아암들 간 접합 영역 및 이러한 영역에서 작동하는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영역 "D"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각각 삼각대(300)의 완전히 개방된 모드(도 10a),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드(도 10b), 및 완전히 폐쇄된 모드(도 10c)에서, 장전된/장전되지 않은 스프링에 연결되는 트리거 및 피스톤을 포함하여,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갖는 삼각대(300)의 중심 기둥을 설명하는 도 9에 예시된 영역 "A"의 개략적인 확대도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각각 완전히 개방된 모드(도 11a),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드(도 11b), 및 완전히 폐쇄된 모드(도 11c)에서의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갖는 삼각대(300)의 연결 아암 및 다리(320)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들 간 접합 영역을 설명하는 도 9에 예시된 영역 "B"의 개략적인 확대도들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각각 완전히 개방된 모드(도 12a),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드(도 12b), 및 완전히 폐쇄된 모드(도 12c)에서,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갖는 삼각대(300)의 다리(320)의 제2 및 제3 세그먼트들 간 접합 영역을 설명하는 도 9에 예시된 영역 "C"의 개략적인 확대도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각각 완전히 개방된 모드(도 13a),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드(도 13b), 및 완전히 폐쇄된 모드(도 13c)에서,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갖는 중심 기둥(310) 및 연결 아암들(328) 간 접합 영역을 설명하는 도 9에 예시된 영역 "D"의 개략적인 확대도들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개방 연장된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삼각대에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이중 고정된 톱니 라인 구조 및 브레이크 패드 구성을 갖는, 도 1의 삼각대(100) 또는 도 8의 삼각대(300)의 연결 아암 및 다리들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들 간 접합 영역의, 각각 개략적인 등각도 및 축(AB)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4a는 등각도이고; 도 14b는 도 14a에 예시된 축(AB)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피처가 단일 실시예의 맥락 하에서 설명될 수 있더라도, 피처들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이 본 출원에서 명확함을 위해 개별 실시예들의 맥락 하에서 설명될 수 있더라도, 본 발명은 또한 단일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되거나 실시될 수 있다는 것, 및 본 발명은 본 출원에서 아래에 설명될 대표적인 실시예들 외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설명에서, 설명에서,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에서 제공되는 설명들 및 예들 및 재료들은 제한하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예시적인 것으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빠른 개방 및 배치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가 제공된다. 삼각대는 사용자가 촬영될 대상과 눈맞춤/완전한 가시성을 유지하면서 촬영 위치에서 삼각대를 개방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삼각대는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다리들 및 중심 기둥 상에 위치되는 장전된 스프링에 연결되는 트리거를 갖는 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는 중심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를 누를 시 상기 중심 잠금 메커니즘이 삼각대 다리들의 이격 및 다리들의 각각의 부근 지면의 높이에 따른 지면을 향한 다리들의 각 다리의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의 자유 낙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잠금해제되고, 중심 기둥에 따라 하향으로 상기 손잡이의 슬라이딩 시, 연장된 세그먼트들을 갖는 상기 다리들이 개방 형태로 잠금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몇몇 측면에서, 삼각대의 다리들은 촬영될 대상에 따라 상기 삼각대의 높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삼각대의 개폐 시 추출되고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중심 기둥은 대응하는 연결 아암을 통해 상기 삼각대 다리들의 각각에 연결되고, 각 연결 아암은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의 부분으로서 개방 및 폐쇄 형태로 삼각대의 잠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다음 형태들: 폐쇄된 다리들 및 완전히 복귀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폐쇄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복귀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부분적으로 개방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추출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해제된 삼각대; 완전히 개방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추출된 텔레스코픽 다리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및 완전히 개방된 다리들 및 완전히 추출된 텔레스코픽 다리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중 임의의 형태로 삼각대를 변환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몇몇 측면에 따라, 삼각대의 다리들의 각도 및 높이가 중심 기둥 상에 위치되는 손잡이에 의해 결정되고, 중심 기둥에 따른 손잡이의 위치가 삼각대 다리들 및 중심 잠금 메커니즘이 잠금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있는지를 기능적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들에서, 사용자가 삼각대를 폐쇄 접힌 형태에서 개방 추출된 형태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환하고 또한 촬영 위치에서 원하는 높이 및 각도에 삼각대를 잠금하게 하는 빠른 개/폐 메커니즘을 갖는 상기 삼각대는 다음을 포함한다:
(a) 촬영될 대상에 따라 삼각대의 높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삼각대의 개폐 시 추출되고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를 갖는 다리들;
(b) 대응하는 연결 아암을 통해 상기 삼각대 다리들의 각각에 연결되는 중심 기둥으로서, 각 연결 아암이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의 부분으로서 개방 및 폐쇄 형태로 삼각대의 잠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중심 기둥; 및
(c) 사용자가 다음 형태들: 폐쇄된 다리들 및 완전히 복귀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폐쇄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복귀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부분적으로 개방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추출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해제된 삼각대; 완전히 개방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추출된 텔레스코픽 다리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및 완전히 개방된 다리들 및 완전히 추출된 텔레스코픽 다리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중 임의의 형태로 삼각대를 변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
삼각대의 다리들의 각도 및 높이가 상기 중심 기둥 상에 위치되는 손잡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중심 기둥에 따른 손잡이의 위치가 삼각대 다리들 및 중심 잠금 메커니즘이 잠금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있는지를 기능적으로 결정한다.
삼각대의 배치는 삼각대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그리고 중심 기둥을 따라 앞뒤로 손잡이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그리고 원하는 형태에서 삼각대를 재잠금하기 위해 손잡이 상에 위치되는 트리거를 누름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삼각대의 잠금해제는 중심 기둥 상의 전용 개구로부터 트리거에 연결되는 노치(notch)를 추출함으로써 실현되고; 삼각대의 재잠금은 중심 기둥 상의 다른 전용 개구 내로 노치를 삽입함으로써 실현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삼각대의 개/폐 및 삼각대의 원하는 형태로의 잠금은 두 개의 단계의 수행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몇몇 변형예에서, 빠른 개/폐 메커니즘은 트리거를 포함하고 장전된 스프링에 부착되는 피스톤에 연결되는 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고 작동가능한 반-자동 메커니즘이다. 그러한 변형예에서, 삼각대의 폐쇄 형태에서, 트리거를 누를 시, 상기 다리 세그먼트들의 잠금해제 및 연장을 가능하게 하는 중심 기둥에 관한 각도로 텔레스코픽 다리들의 자동 개방을 허용하기 위해, 트리거에 연결되는 노치가 중심 기둥 상의 개구로부터 릴리즈되고, 장전된 스프링 및 이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잠금해제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손잡이를 중심 기둥을 따라 하향으로 민다. 삼각대를 개방 추출된 형태로 잠금하는 것은 중심 기둥 상의 하측 개구 내로 트리거에 연결되는 노치를 잠금하기 위해 손잡이를 하향으로 슬라이딩하고 트리거를 누름으로써 실현된다. 대안적으로, 트리거에 연결되는 노치는 손잡이를 하향으로 또는 상향으로 슬라이딩 시 중심 기둥 상의 개구들 중 하나 내로 자동적으로 삽입되고, 사용자는 개구로부터 노치를 릴리즈하기 위해 단지 트리거를 누르도록만 요구된다.
삼각대의 개방 형태에서, 트리거를 누를 시, 중심 기둥을 향해 삼각대 다리들을 모으고, 그렇게 함으로써 중심 기둥에 관한 다리들의 개방 각도를 다리 세그먼트들 하나의 다른 것으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로 최소화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트리거에 연결되는 노치가 중심 기둥 상의 개구로부터 릴리즈된다. 해당 각도에 이를 시, 삼각대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 및 삼각대를 폐쇄 복귀된 형태로 잠금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세그먼트들 하나가 다른 것 내로 기능적으로 삽입된다.
세그먼트들 하나의 다른 것으로의 삽입은 다음 방법들: (i) 세그먼트들을 지면을 향해 누름으로써; (ii) 세그먼트들 하나의 다른 것으로의 삽입을 위해 중력을 사용하기 위해 삼각대를 거꾸로 회전함으로써 중 하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삼각대의 재-개방을 준비하는 상태로 피스톤에 연결되는 스프링의 장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잠금의 완료가 손잡이를 상향으로 당기는 것 및 트리거에 연결되는 노치의 중심 기둥의 최상측 개구로의 삽입에 의해 실현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청구 대상은 또한 촬영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한 삼각대의 빠른 개방 및 배치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삼각대는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다리들 및 장전된 스프링에 연결되는 트리거를 갖는 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는 중심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방법은: (a) 상기 다리들의 각각의 부근 지면의 높이에 따라, 지면으로 다리들의 각각의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의 자유 낙하를 가능하게 하는 각도로 삼각대 다리들의 이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심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해제하기 위해 트리거를 누르는 단계; (b) 손잡이를 중심 기둥에 대해 하향으로 슬라이딩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단계 (a)에서 획득된 개방 형태로 다리들 및 연장된 세그먼트들을 재잠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삼각대를 개방 및 배치하면서 촬영될 대상과 눈맞춤을 유지하게 한다.
상기한 내용에 따른 방법은 삼각대가 적어도 다음을 포함할 때 구현될 수 있다: (a.) 촬영될 대상에 따라 삼각대의 높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삼각대의 개폐 시 추출되고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를 갖는 다리들; (b) 대응하는 연결 아암을 통해 삼각대 다리들의 각각에 연결되는 중심 기둥으로서; 각 연결 아암이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의 부분으로서 개방 및 폐쇄 형태로 삼각대의 잠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중심 기둥; 및 (c) 사용자가 다음 형태들: 폐쇄된 다리들 및 완전히 복귀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폐쇄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복귀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부분적으로 개방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추출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해제된 삼각대; 완전히 개방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추출된 텔레스코픽 다리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및 완전히 개방된 다리들 및 완전히 추출된 텔레스코픽 다리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중 임의의 형태로 삼각대를 변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예들에 따라, 개방 잠금된 형태로부터 삼각대의 빠른 폐쇄를 위해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d) 중심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해제하고 각각의 상기 다리의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 하나의 다른 것으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로 이격된 다리들을 모으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트리거를 누르고 손잡이를 중심 기둥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단계; (e) 다음 중 하나에 의해 세그먼트들 하나를 다른 것으로 삽입하는 단계: 세그먼트들을 지면을 향해 누르는 것 또는 세그먼트들 하나의 다른 것으로의 삽입을 위해 중력을 사용하기 위해 삼각대를 거꾸로 회전하는 것; 및 (f) 다리들 및 복귀된 세그먼트들을 폐쇄 복귀된 형태로 재잠금하기 위해 손잡이를 중심 기둥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단계.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은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를 갖는 텔레스코픽 다리들; 및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은 다리들이 서로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한 폐쇄된 형태로부터 다리들이 폐쇄된 형태에서의 이들의 위치에 관해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배치되는, 개방 형태로 모든 삼각대 다리를 릴리즈하는 빠른 프로세스로 삼각대의 잠금해제 및 개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텔레스코픽 다리들의 개방 시, 각 다리의 세그먼트들이 삼각대의 각 다리의 부근 특정한 표면 높이에 따라, 지면에 대해 원하는 높이로 자동적으로 추출되고 잠금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은 삼각대가 다리들의 개방 및 폐쇄된 위치에서의 잠금된 상태로부터 다리들의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의 잠금해제된 상태로 변환되는 방식으로, 삼각대 다리들의 각도에 따라 삼각대 텔레스코픽 다리들 및 상기 다리들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은 두 개의 단계: (i) 중심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해제하는 단계; 및 (ii) 각 다리의 세그먼트들을 서로에 삽입하기 위해 다리들을 지면을 향해 누르는 단계의 수행에 의해 또는 중력에 의해 서로에 텔레스코픽 세그먼트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잠금해제된 상태의 삼각대를 거꾸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개방 추출된 형태로부터 폐쇄 복귀된 형태로 삼각대의 폐쇄 및 접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리들의 폐쇄 및 각 다리의 세그먼트들의 복귀 시, 다음 사용을 위해 다리들의 재-개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이 긴장된다.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이 또한 삼각대 베이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측면에서, 삼각대는 다리들의 각각을 중심 기둥과 연결하기 위해 채택되는 연결 아암들을 통해 삼각대 다리들에 연결되는 중심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은 중심 기둥 상에 위치되는 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중심 기둥을 따르는 손잡이의 배치는 중심 잠금 메커니즘이 잠금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있는지를 기능적으로 결정한다. 손잡이는 중심 기둥 상의 고정된 위치로부터 손잡이를 릴리즈하도록 그리고 재잠금되기 위해 중심 기둥 상의 다른 위치를 향해 손잡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트리거를 포함한다. 중심 기둥 상의 상기 위치는 노치의 개구로의 삽입이 삼각대의 잠금을 허용하고 노치의 개구로부터 추출이 삼각대의 잠금해제 및 중심 기둥을 따르는 손잡이의 자유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트리거에 연결되는 노치의 삽입 및 추출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개구일 수 있다.
중심 잠금 메커니즘이 잠금되는 상태에서, 삼각대는 완전히 개방된 형태 또는 완전히 폐쇄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다. 중심 잠금 메커니즘이 잠금해제되는 상태에서, 삼각대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이고, 트리거는 잠금된 상태로부터 잠금해제된 상태로의 변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완전히 개방된 모드의 빠른 개/폐 메커니즘 및 완전히 연장된 다리들을 갖는 삼각대의 일례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 1a 1b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예에서 삼각대(100)는 카메라(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작동가능한, 삼각대의 일체로 된 부품이거나 이와 분리될 수 있는 헤드(102), 힌지들(20)에 의해 세 개의 다리(120)에 그리고 중심 기둥(110)에 연결되는 베이스(106)를 포함한다. 중심 기둥(110)은 기둥(110)이 베이스(106)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베이스(106)에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중심 기둥(110)은 또한 아암들(128)을 통해 다리들(120)의 각 다리에 연결된다. 아암들(128)은 하나의 입체 요소로서 구조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아암(128)은 그것을 사진사가 그것을 가지고 삼각대를 운반하기에 보다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삼각대의 총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동들(128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예에서 다리들(120)의 각 다리는 텔레스코픽 다리이고 세 개의 세그먼트: 상측 세그먼트(122)(제1 세그먼트), 중간 세그먼트(124)(제2 세그먼트), 및 하측 세그먼트(126)(제3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임의로, 제4 세그먼트가 삼각대 다리들에 부가될 수 있다. 다리들은 제한 없이, 금속, 나무, 플라스틱, 및 이들의 조합들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다리들은 삼각대의 수송 특성을 위해 중요한 보다 가벼운 중량을 삼각대에 제공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의 특정한 변형예에서, 각 다리는 그것이 모래로 구성된 지면, 또는 다른 견고하지 않은 표면 상에 위치될 때, 보다 양호한 직립 능력을 삼각대에 제공하는 날카로운 발(127)로 끝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발(127)은 그것이 시공된 표면 상에 위치될 때 발의 날카로운 팁이 바닥을 긁거나 이외 다르게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구성되고 발(127)에 걸쳐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구형 덮개(129)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삼각대(100)는 단일 잠금 행위, 및 단일 잠금해제 행위에 의해 다리들 및 중심 기둥과 다리 세그먼트들 및 연결 아암의 동시 잠금을 가능하게 하는 신규한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신규한 잠금 메커니즘은 아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리(120)의 상측 세그먼트(122)는 세그먼트의 일체로 된 구성요소로서 또는 독립적 구성요소로서 설계될 수 있는 파지 손잡이(108)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 손잡이(108)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그리고 특히 심각한 기상 조건에서 삼각대를 홀드하기에 편리한 방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즉 더운 날씨에 땀에 젖은 손의 결과로서 삼각대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차가운 온도에서 손들에서의 저온 회화를 방지하기 위해) 보통 사용된다. 상측 세그먼트(122)는 이의 상측 상의 삼각대 베이스(106)에 그리고 이의 하측 상의 제2 세그먼트(124)에 연결된다. 상측 세그먼트(122)의 하측은 중간 세그먼트(124) 및 베어링의 잠금부(1231)와의 연결 영역에 베어링 슬리브(123)를 포함한다(베어링 슬리브 및 잠금부의 확대도가 도 2에 제공된다). 임의로, 유사한 베어링 슬리브 및 잠금부가 제2 세그먼트 및 제3 세그먼트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제3 하측 세그먼트(126)와의 연결 영역에 중간 세그먼트(124)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세그먼트는 일체로된 부품들로서 상기한 내용에서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전부 또는 몇몇을 갖는 하나의 통합된 유닛으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중간 세그먼트(124)는 제3 세그먼트(126)와 다리들(120)의 각 다리의 제2 세그먼트(124)의 동시 잠금에 책임이 있는 톱니 라인(코그들)(125)을 포함한다. 톱니 라인(125)은 그것이 전용 레일에 위치될 때 이동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간 세그먼트(124)는 삼각대에 부가적인 안정성 및 충격 없이 무거운 카메라들 및 다른 물품들을 운반하는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세그먼트 측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수평면에 새겨지는 입체 톱니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능력을 갖는 제1 톱니 라인과 대조적으로, 이러한 입체 톱니 라인은 고정된다. 그러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삼각대 다리들이 제4 세그먼트(미도시)를 포함하는 시나리오에서, 제3 세그먼트는 또한 제3 및 제4 세그먼트들의 잠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유사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3 및 제4 세그먼트들은 수동으로 잠금 및 잠금해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심 기둥(110)은 삼각대(100)의 개폐 및 다리 세그먼트들(122, 124, 및 126)의 동시 릴리즈를 위해 사용되는 트리거(114)를 갖는 운반용 손잡이(112)에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운반용 손잡이(112)는 또한 이하에서: "/폐 손잡이"로 표기된다. 도 1 내지 도 6에 예시된 예에서, 트리거(114)는 다리들을 중심 기둥(110)에 연결하는 힌지 요소들로서의 역할을 하는 세 개의 연결 아암(128)에 더 연결되는 중심 잠금부(116)에 연결된다. 중심 기둥(110)의 팁은 삼각대(100)의 부가적인 안정성이 요구될 때 중량의 현수(hanging)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삼각대(100)의 개/폐 메커니즘(28)의 부분 등각 확대도이다. 본 도면에는 각각, 제1, 제2 및 제3 세그먼트들(122, 124, 및 126)을 갖는 다리들(120), 파지 손잡이(108), 공동들(1281)을 갖는 연결 아암들(128), 제2 세그먼트(124)의 톱니 라인(125), 운반용 손잡이(112) 및 트리거(114)를 함께 갖는 중심 기둥(110), 후크(118), 중심 잠금부(116), 힌지들(20), 각 다리의 힌지 소켓(21), 삼각대(100)의 완전한 개방 모드 시 그리고 완전한 폐쇄 모드 시 두 개의 잠금 지점을 제공하는 익센트릭의 제1 잠금부(24) 및 익센트릭의 제2 잠금부(26)를 갖는 익센트릭 잠금 메커니즘(28)이 도시된다. 또한 본 도면에는 베어링 슬리브(123) 및 베어링 슬리브 잠금부(1231)가 도시된다.
복귀된 다리들을 갖는 완전한 폐쇄 모드로부터 연장된 다리들을 갖는 완전한 개방된 모드로의 삼각대(100)의 개방은 트리거(114)를 누르고 손잡이(112)를 하향으로 밈으로써 실현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아암들(128)들을 중심 기둥(110)에 관해 평행한 또는 거의 평행한 위치로부터 수직 위치로 민다. 트리거(114)를 누름으로써 익센트릭 잠금 메커니즘(28)이 이의 제1 잠금 지점에서 릴리즈되고, 이의 위치를 제2 잠금 지점을 향해 변경하기 시작한다(두 개의 잠금 지점(2426)의 확대도가 도 5e에 제공된다). 동시에, 세 개의 텔레스코픽 다리(120)가 릴리즈되고 각 다리의 세그먼트들이 다리들의 각 다리의 부근의 표면 곡률에 따라, 가능한 최대 길이로 연장된다. 이러한 고유한 피처는 삼각대가 평평하지 않은 표면 상에 위치될 때 보통 요구되는 각 다리 길이의 부가적인 움직임들 및 조절들을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부터 사진사를 자유롭게 한다. 익센트릭 잠금 메커니즘이 제2 잠금 지점에 이를 때 삼각대는 완전히 개방 및 잠금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된 메커니즘은 사진사가 단일 간단한 행위로 삼각대를 개방 및 잠금하게 한다. 도 2에 예시된 특정한 예에서, 신규한 삼각대는 간단히 트리거를 누르고 개/폐 손잡이를 하향으로 밈으로써, 다리들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세 개(3)의 잠금 메커니즘, 및 임의로, 중심 기둥 상에 위치되는 부가적인 세 개의 메커니즘의 동시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삼각대를 폐쇄하기 위해, 유사한 행위가 반대 방향으로, 즉 잠금을 릴리즈하기 위해 트리거를 누르고 개/폐 손잡이를 상향으로 미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고유한 피처는 사진사가 각 다리 및 각 다리에서의 세그먼트들의 각 세그먼트의 개별적인 개방 및 잠금을 필요로 하는 흔하게 이용가능한 삼각대들을 개방하고 위치시키는데 보통 요구되는 많은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하게 한다. 사진 촬영의 초반에 삼각대를 개방하여, 각 세그먼트를 잠금해제하고 그것을 일 회 또는 다수 회 원하는 위치로 재잠금한 후, 촬영의 마지막에 삼각대를 폐쇄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삼각대는 많은 단계 및 귀중한 시간을 절감하여, 장비를 준비하는 것이 아닌, 사진사가 촬영 프로세스 그 자체 및 촬영될 대상에 주력하게 한다.
중간 세그먼트(124) 및 하측 세그먼트(126)의 잠금은 또한 중심 기둥(110)의 잠금과 다리들(120) 및 연결 아암들(128)의 잠금에 대해 일제히 또는 동시에 즉, 9개의 잠금 메커니즘들이 작동될 수 있는, 하나의 단일 작동을 수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제3 세그먼트들(126)을 잠그기 위해 제2 세그먼트(124) 상에 위치되는 톱니 라인(125)을 더 멀리 이동시키기 위해 중심 기둥(110) 및 제1 및 제2 다리 세그먼트들(122, 124)을 잠그기 위해 사용되는 잠금 메커니즘(28)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유사한 메커니즘이 제3 및 제4 세그먼트들을 잠금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제4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삼각대들에서). 이러한 잠금 메커니즘의 보다 상세한 설명이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제2 및 제3 세그먼트들(및 존재하는 경우 제3 및 제4 세그먼트들)의 잠금 메커니즘이 이러한 기능에 적합하고 흔하게 이용가능한 임의의 표준 잠금부들에 의해 수동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세 개의 접합부(연결 지점): 중심 잠금 영역에서의 아암(128)과 중심 기둥(110) 간 연결을 설명하는 영역 "A"(도 3b); 연결 아암(128) 및 이에 연결되는 대응하는 다리 간 연결을 설명하는 영역 "B"(도 3c, 도 3e); 및 하나의 다리의 제2 및 제3 분할들(124, 126) 간 연결을 설명하는 영역 "C"(도 3d)에서의 도 1에 예시된 삼각대의 개/폐 메커니즘을 예시하는 중심 기둥(110) 및 다리들(120) 중 하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예에서, 각 다리의 제1 세그먼트(122) 및 제2 세그먼트(124)의 잠금은 여섯 개(6)의 익센트릭 잠금 메커니즘을 동시에 잠금하는 중심 기둥(110)을 잠금으로써 수행된다: 세 개는 중심 기둥(110) 상에 위치되어 중심 기둥(110) 및 세 개의 아암(128)을 잠금하도록 기능하고; 부가적인 세 개는 각 아암(128) 상에 위치되어 아암 및 이에 부착되는 대응하는 다리(120)를 잠금하도록 기능한다. 연결 아암(128)은 각 단부에 그것이 완전히 폐쇄될 때 그리고 그것이 완전히 개방될 때, 삼각대(100)의 두 개의 위치에서 잠금, 즉, 익센트릭 잠금 메커니즘의 제1 영역(24)으로부터 익센트릭 잠금 메커니즘의 제2 영역(26)으로의 코그휠(27)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한편, 이들 사이에서, 삼각대가 사용자에 의한 디바이스의 조정이 원하는 위치로 가능하게 하는 잠금해제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가능한 비-연속적 비대칭 코그휠(cogwheel)(27)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먼저 제1 잠금 위치를 릴리즈하기 위해 중심 기둥(110)으로 핀(미도시)을 삽입하는 트리거(114)를 누르고 손잡이(112)를 위로(삼각대를 폐쇄하기 위해) 또는 아래로(삼각대를 개방하기 위해) 밈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흔하게 이용가능한 대부분의 삼각대에서와 같이 잠금부들을 다리들 그 자체 상에 위치시키는 것 대신(종단면), 본 발명에서 잠금부들은 연결 아암(128) 상에 위치되기 때문에(횡단면), 각 세그먼트의 잠금부들이 본 발명에 따라 위치되는 차원들은 종래 기술의 삼각대들과 비교하여 변경된다. 이러한 개념적 변경은 모든 3/6 잠금 메커니즘(28)의 동시 잠금을 가능하게 하고 종래 기술의 삼각대들에서 요구되었던 바와 같은 개별적으로 각 다리에서의 각 세그먼트를 잠금/잠금해제할 필요를 절감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 예시된 본 발명의 하나의 임의적 변형예에서, 다리들(120)의 각각에서의 중간(제2) 세그먼트(124) 및 하측(제3) 세그먼트(126)의 잠금이 또한 상측(제1) 세그먼트(122) 및 중간 세그먼트(124)의 잠금과 함께 모든 세 개의 다리에서 일제히 또는 동시에 수행된다. 그러한 변형예에서, 각 다리의 중간 세그먼트(124)는 톱니 라인(125)을 포함한다. 톱니 라인(125)의 하측 단부는 닛치(niche)(25)를 포함하는 반면, 베어링 슬리브(123')는 닛치(25)에 꼭 들어맞도록 구성되는 돌출부(1230')를 포함한다. 다리의 상측 및 중간 세그먼트들을 잠금하는 것이 수행될 때, 중간 세그먼트 상의 톱니 라인(125)이 하향으로 밀어지고 하측 세그먼트에 딱 들어맞는다. 삼각대를 폐쇄할 때, 제1 및 제2 세그먼트들(122, 124)의 잠금의 릴리즈는 톱니 라인(125)을 상향으로 밀고, 그렇게 함으로써 중간 및 하측 세그먼트들(124, 126)을 잠금해제한다. 또한 세그먼트(124)에 베어링(123)을 잠금하는 것을 기능적으로 돕는 노치(notch)(22)가 도 3d, 도 3e에 도시된다.
설명된 잠금 메커니즘은 또한 네 개의 세그먼트를 갖는 다리들을 포함하는 삼각대들에서의 제4 세그먼트를 잠금/잠금해제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간 세그먼트 및 하측 세그먼트(그것이 존재할 때 제3 및 제4 세그먼트들)의 잠금은 마찰 또는 클램프 행위에 의해 종래 삼각대들에서와 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잠금될 특정한 다리 세그먼트들 상에 위치되는 잠금부들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변형예에서, 제2 및 제3 세그먼트들 또는 제3 및 제4 세그먼트들의 잠금이 수동으로 수행될 때, 제2 세그먼트 및 제3 세그먼트 간 및 제3 및 제4 간 잠금 메커니즘은 완전한 개방 또는 완전한 폐쇄 중 어느 하나로서 그것들의 세그먼트들을 유지할 수 있는 포지티브(positive), 스프링 작동식 잠금부에 기반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세그먼트는 양단간(all-or-nothing) 개방된 세그먼트이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제2 세그먼트는 두 개의 개구, 즉 상측 개구 및 하측 개구(미도시)를 갖는 한편, 제3 세그먼트는 스프링 작동식 버튼을 포함한다. 스프링 작동식 버튼이 하측 개구를 통해 돌출할 때, 그것은 이의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 제3 세그먼트를 포지티브로 잠금한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를 때까지, 세그먼트들의 상대적 연장부들은 이동할 수 없다. 이의 완전히 복귀된 상태에서, 버튼은 대신 상측 개구로부터 돌출할 것이다. 이러한 포지티브 잠금의 목적은 사진사에게 현실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동작 동안 클램프가 헐거워질 가능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너무 과도한 압력 및 너무 많은 튜브는 손상을 줄 수 있고, 너무 적은 압력을 가지면 걸쇠는 신뢰할 수 없다. 많은 삼각대는 이러한 문제를 조절하여, 그것이 한 가지를 더 처리하게 한다. 포지티브 잠금은 조절에 대한 임의의 필요를 제거한다. 또한 두 개의 포지티브로 잠금된 위치 중 하나로 설정하는 것이 빠르고 용이할 수 있다. 제2/제3 세그먼트들이 부가적인 개구들을 포함할 때, 제3/제4 세그먼트들의 포지티브 잠금의 부가적인 위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높이 조절을 위한 옵션들의 조절들이 제3 및 제4 세그먼트들의 연장부의 소수의 별개의 위치를 가짐으로써 감소되더라도, 무한하게 조절가능한 세그먼트가 동일한 길이이거나 최소 양단간 세그먼트보다 큰 한, 최소 및 최대 간 임의의 높이가 달성가능하다. 이러한 기법은 세 개의 팩터에 의해 삼각대의 무결성에 대해 신뢰될 필요가 있는 캠 잠금들(cam locks)을 감소시킨다.
도 4는 삼각대(100)의 다리(120)와 공동들(1281), 및 각 단부에 두 개의 잠금 지점(2426)을 포함하는 비-연속적 비대칭 코그휠(27)을 포함하는 이의 대응하는 연결 아암(128), 및 개/폐 손잡이(112), 트리거(114), 세 개의 아암의 각각에의 중심 잠금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 힌지(20)에 대해 하나씩, 세 개의 힌지 소켓(21)을 포함하는 중심 잠금부(116), 및 후크(118)를 보여주는 중심 기둥(110)의 하부의 일례의 분해도이다. 다리(120)는 상측 세그먼트(122), 중간 세그먼트(124) 및 하측 세그먼트(126)를 포함한다. 상측 세그먼트는 일체로 된 파지 영역(108)을 포함하고 그것은 베어링 슬리브(123)를 통해 힌지 소켓(21) 내에 위치되는 힌지(20)에 의해 중간 세그먼트(124)에 연결된다. 임의로, 세그먼트들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링(23)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제2 세그먼트(124), 닛치(25)를 갖는 톱니 라인(125) 및 제2 세그먼트(124) 및 제3 세그먼트(126)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 영역(1230')을 갖는 베어링(123')이 도시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드 및 완전히 연장된 다리들의 삼각대(100)의 개략도들이며, 여기서 5a도 5b는 각각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c도 5e는 상대적 연결 아암(128); 및 두 개의 잠금 영역(2426)을 갖는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하나의 다리(120)의 제2 및 제3 세그먼트들 간 연결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들이며; 도 5d는 이러한 영역에서 작동하는 개/폐 구성요소들을 갖는 삼각대 다리들 및 중심 기둥의 부분 단면도이다.
삼각대(100)의 부분적 개/폐 모드에서, 아암들(128)은 삼각대의 개/폐 레벨에 따라 변화하는 중심 기둥(110)에 관한 범위가 0도 내지 90도에 이르는 각도(15)에 있다. 확대도(도 5c, 도 5e)에서, 이러한 위치에서 익센트릭 잠금부가 릴리즈된 위치에, 즉, 두 개의 잠금 지점(2426) 간 오목한 영역(246)에 있다는 것이 보여진다. 중심 기둥이 아암과 잠금되는 시나리오에서, 유사한 프로세스가 중심 기둥(110)과의 연결 영역에서의 아암(128)의 타단부에서 수행된다(도 5d). 도 5a 내지 도 5e에 표기된 삼각대(100)의 다른 모든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이들의 최소 길이로 복귀되는 다리들을 갖는 완전히 폐쇄된 모드의 도 1의 삼각대(100)의 (각각) 개략적인 정면도, 측면도 및 등각도이다. 이들 도면에는 카메라(10), 삼각대 헤드(102), 홀딩 영역(104), 삼각대 베이스(106), 힌지들(20), 일체로 된 파지 손잡이(108)를 갖는 다리(120)의 제1 세그먼트(122), 베어링 슬리브(123), 베어링 슬리브의 잠금부(1231), 제1 세그먼트(122) 내에 복귀되는 제2 세그먼트(124) 및 제3 세그먼트(126), 발(127), 발의 덮개(129), 중심 기둥(110), 개/폐 손잡이(112), 트리거(114), 중심 잠금부(116), 접혀진 위치(다리들에 그리고 중심 기둥에 관해 0도 내지 10도의 각도)의 연결 아암들(128), 및 연결 아암들의 공동들(1281)이 도시된다. 완전히 폐쇄된 모드에서 모든 다리 세그먼트가 복귀될 때, 익센트릭 잠금 메커니즘(28)은 제1 잠금 지점(24)에 고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빠른 개/폐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200)의 다른 일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여기서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은 세 개의 다리의 개폐를 동시에 발생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 접합부로서 기능하는 삼각대 베이스 영역 내에 위치된다. 삼각대 베이스에 관해 하나의 다리의 개방 각도는 다른 다리들의 위치 및 또한 다리 세그먼트들의 잠금/잠금해제 상태를 좌우한다. 본 도면에 예시된 예에서, 삼각대(200)는 세 개의 텔레스코픽 다리(220)를 포함하고 어떠한 중심 기둥도 갖지 않는다. 삼각대 베이스에 관해 삼각대(200)의 다리들(220) 중 임의의 다리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텔레스코픽 다리들의 각각에서의 세그먼트들을 더 잠금/잠금해제하기 위해 삼각대 베이스(206) 내에 위치되는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을 작동한다. 또한 본 도면에는: 삼각대 헤드(202), 다리(220)의 상측 세그먼트(222), 중간 세그먼트(224) 및 하측 세그먼트(226), 다리의 발(229), 발 덮개(2291), 및 파지 손잡이(208)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예들에 따라, 각 다리의 세그먼트들의 잠금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이를테면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삼각대의 구조적 요소들 간 마찰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기하학적 잠금부들을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양 방법론들의 조합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세그먼트들 및 연결 아암들 간 마찰력의 향상 시, 세그먼트들은 기능적으로 잠금되게 되고 만약에 있다면, 세그먼트들의 움직임은 최소로 감소된다. 동일한 방식에서, 연결 아암들 및 다리 세그먼트들 간 마찰력을 감소시킬 때,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내용에 추가하여, 기하학적 잠금 메커니즘들은 구조적 구성요소들이 동일한 차원에 위치되고 톱니들이 서로에 맞물리며 그에 따라 움직임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톱니 라인 또는 톱니 바퀴 또는 웨지와 두 개의 평행한 구조의 통합과 같다. 다른 대안적인 옵션은 전용 개구로 삽입되는 핀을 사용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삼각대의 관련된 구조적 요소들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 설명에서, 위에서 언급된 잠금 메커니즘들의 특정한 예들이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8 내지 13은 중심 기둥 상에 위치되는 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는 빠른 개/폐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300)의 다른 일례의 다양한 측면 및 뷰의 개략도들이다. 본 예에서의 개방 메커니즘은 반-자동이고 트리거를 포함하고 장전된 스프링에 부착된 피스톤에 연결되는 손잡이에 의해 작동된다. 삼각대(300)의 폐쇄된 형태에서, 트리거를 누를 시, 트리거에 연결되는 작은 노치가 중심 기둥 측면 상의 개구로부터 릴리즈되고, 장전된 스프링 및 이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릴리즈되어 손잡이를 중심 기둥을 따라 하향으로 민다. 결과적으로, 텔레스코픽 다리들은 다리들의 각각에서의 세그먼트들의 릴리즈(잠금해제) 및 연장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중심 기둥에 관한)로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단계에서 단지 트리거를 누르도록 요구되고 한 손을 사용함으로써 이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점에서 삼각대 다리들 및 세그먼트들은 잠금해제되어 원하는 각도 및 높이로 자동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개방 및 연장된 위치에서 삼각대를 잠금하기 위해 사용자는 손잡이를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트리거는 트리거에 연결되는 노치가 중심 기둥 상의 하측 개구 내로 삽입됨에 따라 인접한 개구에 잠금되게 된다. 해당 위치에서 삼각대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는 다시 트리거를 눌러, 중심 기둥에 관한 다리들의 개방 각도를 세그먼트들 하나의 다른 것에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로 최소화하기 위해 중심 기둥을 향해 다리들을 모으고, 해당 각도에 이를 시, 사용자는 각 세그먼트를 상기의 것에 삽입하기 위해 그리고 삼각대를 이의 최소 크기로 이끌기 위해 지면을 향해 구부릴 수 있거나, 또는 그/그녀는 삼각대를 해당 위치에서 거꾸로 회전하고 중력에 의해 세그먼트들 하나의 다른 것에의 삽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해당 상태에서 잠금의 완료는 손잡이를 상향으로 당기고 트리거에 연결되는 노치를 중심 기둥 측면에서의 최상측 개구로 삽입함으로써 획득된다. 이러한 조작은 삼각대의 재-개방에 대해 준비된 상태로 피스톤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장전하는 것을 야기하고, 삼각대를 폐쇄 복귀된 형태로 잠금하는 것을 더 야기한다. 도 1 내지 도 6에 예시된 삼각대(100) 및 도 8 내지 도 13에 예시된 삼각대(300)의 공통 피처들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그에 따라 삼각대(100)를 참조하여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들은 또한 삼각대(300)의 설명에 적용되고 그에 따라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삼각대의 자동 개방을 위해 장전된 스프링에 부착되는 피스톤에 연결되는 트리거를 갖는, 빠른 반-자동 개/폐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300)의 개략적인 정면도들 및 측면도들이다. 도 8a도 9a는 연장된 다리들을 갖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삼각대(300)를 예시하고; 도 8b도 9b는 부분적으로 연장된 다리들을 갖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드의 삼각대(300)를 예시하며; 도 8c도 9c는 이들의 최소 길이로 줄어드는 다리들을 갖는 폐쇄된 모드의 삼각대(300)를 예시한다. 각 단면도는 네 개의 주요 영역: 삼각대(300)의 중심 기둥 상에 위치되는 트리거 및 피스톤을 갖는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영역 "A"; 연결 아암 및 다리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들 간 접합 영역을 설명하는 영역 "B"; 다리의 제2 및 제3 세그먼트들 간 연결 영역을 설명하는 영역 "C"; 및 삼각대(300)의 중심 기둥 및 연결 아암들 간 접합 영역을 설명하는 영역 "D"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는: 삼각대 헤드(302), 중심 기둥(304)의 상측 섹션, 힌지들(20)을 통해 삼각대 다리들(320) 중 각 다리에 연결되는 삼각대 베이스(306), 파지 손잡이(308), 중심 기둥(310), 개/폐 손잡이(312), 트리거(314), 중심 잠금부(316), 후크(318), 상측 세그먼트(322), 중간 세그먼트(324), 및 하측 세그먼트(326)를 갖는 삼각대 다리(320), 베어링 슬리브(323) 및 베어링의 잠금부(3231)를 통해 일단부 상에서 다리의 상측 세그먼트에 그리고 타단부 상에서 중심 기둥에 연결되는 연결 아암(328), 발(329) 및 발 덮개(3291)가 도시된다. 또한 이들 도면에는 피스톤(390)이 도시된다. 피스톤(390)은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상세하세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에 연결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각각 완전히 개방된 모드(도 10a),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드(도 10b), 및 완전히 폐쇄된 모드(도 10c)에서의 반-자동 개방 (잠금/잠금해제) 메커니즘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갖는 삼각대(300)의 중심 기둥을 설명하는 도 9에 예시된 영역 "A"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들이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보통 사진사)가 폐쇄 복귀된 형태로부터 삼각대(300)를 개방하기를 원할 때, 그/그녀는 개/폐 손잡이(312) 내에 위치되는 트리거(314)를 먼저 눌러야 한다. 손잡이(312)는 또한 이하에서: "개/폐 손잡이"로 표기된다. 트리거(314)는 개/폐 손잡이(312) 내에 위치되고 측면방향 측에 판 스프링(leaf spring)(3142)을 그리고 중심 기둥에 근접한 내측에 작은 노치(3144)를 포함한다. 트리거를 누를 시 판 스프링은 개방 손잡이(312)를 향해 밀어지고 결과적으로, 노치(3144)가 동일한 방향으로 드래그되며 중심 기둥(310) 상에 존재하는 전용 개구(3146)로부터 당겨진다. 추가적으로, 트리거(314)를 누를 시 폐쇄 접혀진 상태에서 판 스프링(392)에 연결되는 피스톤(390)이 릴리즈된다. 장전된 스프링(392) 및 피스톤(390)의 릴리즈 시, 삼각대는 다리들(320)의 각 다리의 텔레스코픽 다리 세그먼트들을 기능적으로 잠금해제하는 각도로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이들이 지면을 향해 연장되게 한다. 각 다리는 이의 부근의 지형에 따라 연장되게 된다. 중심 기둥에 따른 피스톤(390) 및 스프링(392)의 움직임은 상부 측에서 스토퍼(stopper)(396)에 의해 그리고 하부 측에서 스토퍼(394)에 의해 제한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및 삼각대의 상부 측의 스토퍼(396) 간 공간은 장전된/장전되지 않은 스프링의 상태 및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개방 형태에서, 스프링이 이완되고, 피스톤이 릴리즈되며 피스톤 및 상측 스토퍼 간 공간이 최대인 한편, 스프링이 장전되고 피스톤의 대부분이 손잡이(312) 내에 위치되는, 접혀진 압출된 형태에서, 상측 스토퍼(396)는 피스톤에 닿는다(이들 간 어떠한 공간도 없다). 삼각대의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스프링이 이완되고, 피스톤이 릴리즈되며, 상측 스토퍼로부터의 피스톤의 거리가 두 개의 극한 상태 사이 중간 어딘가에 있다(보다 작은 공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 및 각도로 삼각대를 위치시킨 후 사용자는 트리거의 노치(3144)를 개구(3146) 내로 삽입하고 해당 위치에서 삼각대를 잠금하기 위해, 개/폐 손잡이(312)를 하향으로 당김으로써 해당 위치에서 삼각대를 잠금하고 중심 기둥 측면 상의 전용 개구(3146)의 앞에 트리거(314)를 릴리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중심 기둥(310)은 개방 위치(최하측 개구)에, 폐쇄 위치(최상측 개구)에, 그리고 중간 상태(중간 개구)에 삼각대의 잠금을 가능하기 위한 노치(3144) 구성에 적합한 세 개의 고정 개구(3146)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촬영을 마치고 그/그녀가 삼각대를 폐쇄하는 것(즉 다리들을 폐쇄하고 다리 세그먼트들을 복귀하는 것)에 관심이 있을 때, 사용자는 개구(3146)로부터 노치(3144)를 릴리즈하기 위해, 그리고 개/폐 손잡이(312)를 상향으로 당기기 위해, 트리거(314)를 먼저 눌러야 한다. 이러한 행위는 삼각대의 잠금 메커니즘을 릴리즈하고 삼각대를 접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서로에의 세그먼트들의 복귀는 예를 들어 동시에 삼각대의 모든 세 개의 다리에서의 제1 세그먼트 내로 제2 세그먼트 내로의 제3 세그먼트의 삽입을 가능하게 위해 예를 들어 지면을 향해 텔레스코픽 다리들을 밈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세그먼트들 하나의 다른 것으로의 삽입은 또한 릴리즈된 상태에서 삼각대를 거꾸로 회전함으로써 획득되고 중력이 제3 세그먼트를 제1 세그먼트 내로의 제2 세그먼트 내로 삽입하게 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다리들이 복귀된 후, 사용자는 이러한 형태로 삼각대를 잠금하기 위해 트리거를 누르고 중심 기둥의 최상측 개구의 앞에 노치(3144)를 릴리즈함으로써 접힌 복귀된 상태에서 삼각대를 잠금할 수 있다. 이러한 폐쇄 복귀된 형태로 피스톤(390)에 연결되는 스프링(392)은 재장전되어, 삼각대의 다음 사용(개방)을 준비한다. 삼각대의 이러한 간단한 개폐 메커니즘은 종래 기술의 삼각대들에 관해 훨씬 더 빠르고 편리하며 단지 한 손을 사용하여 삼각대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삼각대를 개폐하기 위해 다른 손으로 삼각대의 헤드를 홀딩할 필요를 제거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는 삼각대 베이스(306), 삼각대 다리의 제1 세그먼트(322), 및 파지 손잡이(308)가 예시된다.
이제 11도 14가 참조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각각 완전히 개방된 모드(도 11a),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드(도 11b), 및 완전히 폐쇄된 모드(도 11c)에서의 삼각대(300)의 연결 아암(328) 및 다리(320)의 제1 세그먼트(322) 및 제2 세그먼트(324) 간 접합 영역을 설명하는 도 9에 예시된 영역 "B"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예에서 이러한 접합부의 잠금 메커니즘은 완전히 개방된 모드의 그리고 완전히 폐쇄된 모드의 두 개의 잠금 지점을 제공하는 두 개의 분리된 톱니 세그먼트(24'26')를 갖는 대칭 코그휠(27')에 기반한다. 두 개의 톱니 세그먼트는 릴리즈된 영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이들 간 중간 오목한 영역(246)에 의해 분리되어 사용자 능력이 폐쇄 모드 및 개방 모드 사이를 그리고 그 반대로 변환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이들 도면에 예시된 특정한 예에서, 아암(328)은 세 개의 아암을 갖는 포크(fork)로서 구조화되며, 각 아암은 그것이 완전히 폐쇄될 때 그리고 그것이 완전히 개방될 때, 삼각대(300)의 두 개의 위치에서의 잠금, 즉, 코그휠(27')의 제1 톱니 세그먼트(24')로부터 제2 톱니 세그먼트(26')로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작동가능한 두 개의 분리된 톱니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코그휠(27)을 이의 측단부 상에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제1 잠금 위치로부터 삼각대를 릴리즈하고 그것이 제2 잠금 위치에서 잠금되게 하기 위해 도 10을 참조하여 예시된 바와 같이 먼저 중심 기둥(310) 상의 개구들 중 하나에서의 이의 위치로부터 노치(3144)를 릴리즈하는 트리거(114)를 누르는 것 및 중심 기둥(310) 상의 다른 개구로의 이의 후속 삽입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하나의 잠금 위치로부터 다른 잠금 위치로의 변환은 위로(삼각대를 폐쇄하기 위해) 또는 아래로(삼각대를 개방하기 위해) 개/폐 손잡이(312)를 밈으로써 더 달성된다.
삼각대(300)의 개방 형태에서(도 11a), 제2 톱니 세그먼트(26')가 제2 세그먼트(324)의 톱니 라인(125)과 일체화된다. 일체화된 톱니는 다리(320)의 제2 및 제3 세그먼트들(324326)의 잠금을 야기하는 상향으로 전체 톱니 라인(125)의 움직임을 야기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는 베어링 슬리브들(323323')이 도시된다.
도 14a 및 도 14b는 개방 연장된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삼각대에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이중 고정된 톱니 라인 구조 및 브레이크 패드 구성을 갖는 삼각대 다리들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들 및 연결 아암 간 접합 영역의, 각각 개략적인 등각도 및 축(A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a는 등각도이고; 도 14b는 도 14a에 예시된 AB 축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특정한 실시예에서, 다리의 제2 세그먼트는 다리의 측면 상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입체 톱니 라인(333)을 더 포함한다. 톱니 라인과 익센트릭 잠금 영역의 일체화 시 그것은 제2 다리 세그먼트(324)에 제1 다리 세그먼트(322)를 잠금하기 위해, 톱니 모양의 하부를 갖는 브레이크 패드(339)를 더 누르고 그것을 입체 톱니 라인(333)에 잠금한다. 중간 상태에서(도 11b), 오목한 아크(246)는 톱니 라인(125)에 그리고 입체 톱니 라인/들(333)에 평행하고 그에 따라, 잠금 메커니즘(28)이 릴리즈된 상태에 있으며 세그먼트들의 그리고 개/폐 손잡이(312)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삼각대(300)의 s 폐쇄 형태에서(도 11c), 제1 잠금 영역(24)이 제2 세그먼트(324)의 톱니 라인(125)과 일체화된다. 일체화된 톱니는 삼각대의 폐쇄 상태에서 다시 한 번 더 다리(320)의 제2 및 제3 세그먼트들(324326)의 잠금을 야기하는 하향으로 전체 톱니 라인의 움직임을 야기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제2 세그먼트가 입체 톱니 라인들(333)을 더 포함할 때 브레이크 패드(339)는 다시 아래로 눌러지고 패드의 하부 톱니 모양 측이 그러한 상태에서 삼각대를 잠금하고 다리들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입체 톱니 라인(333)과 일체화되게 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각각 완전히 개방된 모드(도 12a),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드(도 12b), 및 완전히 폐쇄된 모드(도 12c)에서 삼각대(300)의 다리(320)의 제2 세그먼트(324) 및 제3 세그먼트(326) 간 접합 영역을 설명하는 도 9에 예시된 영역 "C"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들이다. 잠금된 상태에서(개방 삼각대) 웨지(350)는 입체 단방향 톱니 라인(333)과 일체화된다. 판 스프링(351)은 웨지(350)를 상향으로 미는 것을 목표로 하여 일정한 긴장 상태에 있고, 지지 구조(355)가 기본 중립 위치로 리턴하기 위해 톱니 라인(125)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구성에서, 판 스프링(351) 및 지지 구조(355) 사이에 공간(354)이 있다. 삼각 형상을 갖는 다른 공간(352)이 또한 웨지(350) 위에 도시된다. 중간 상태에서(도 12b), 톱니 라인(125)이 이동하고, 긴장된 판 스프링(351)은 웨지 움직임(350)의 결과로서 더 장전되게 되고 웨지(350)를 공간(352) 내로 밀며, 그에 따라, 웨지(350)가 상승되고 제3 세그먼트(326)의 톱니 라인(333)으로부터 반환되게 되고, 공간(354)은 폐쇄되며 세그먼트들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삼각대를 폐쇄 및 잠금 시, 연결 아암(328)의 코그휠(27)은 제2 세그먼트의 톱니 라인(125)과 일체화되게 되고; 웨지(350)의 하부 측은 제3 세그먼트의 톱니 라인(333)과 일체화되게 되고, 판 스프링(351)은 릴리즈되어 웨지(350)를 터치하지(밀지) 않으며, 그에 따라, 웨지 위 공간(352)이 도시되며, 세그먼트들의 움직임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각각 완전히 개방된 모드(도 13a),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드(도 13b), 및 완전히 폐쇄된 모드(도 13c)에서 중심 기둥(310) 및 연결 아암들(328) 간 접합 영역을 설명하는 도 9에 예시된 영역 "D"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결 아암들 및 다리들을 잠금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사한 잠금 메커니즘(28)이 중심 기둥(310)에 연결 아암들(328)을 잠금 및 잠금해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삼각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도 13a)에 있을 때 상측 잠금 지점(26)은 중심 기둥(310) 및 개/폐 손잡이(312) 양자를 누른다. 압력은 기능적으로 잠금을 유발하고 이러한 영역에서의 부품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하측 잠금 지점(24)이 중심 기둥 상에 눌러지고 해당 지점에서의 중심 기둥 상에 인가되는 압력의 결과로서 그것을 잠금할 때, 유사한 상황이 삼각대의 폐쇄 복귀된 상태에서 발생한다(도 13c). 도 13b에 도시된 중간 상태(삼각대가 잠금해제된)에서, 중심 기둥은 두 개의 잠금 지점 간 오목한 영역(246)에 접한다. 중심 기둥에 관한 연결 아암(328)의 해당 위치에서, 어떠한 압력도 중심 기둥 및 개/폐 손잡이(312) 상에 인가되지 않고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들 도면에는 힌지들(20), 후크(318), 다리(320), 및 삼각대의 총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결 아암들(328)에서의 공동들(3281)이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들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이 이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단지 본 발명의 보다 양호한 이해를 위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분명해야 한다. 또한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를 읽은 후 여전히 본 발명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첨부된 도면들 및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해 조절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야 한다.

Claims (25)

  1. 사용자가 촬영될 대상과 눈맞춤을 유지하면서 촬영 위치에서 상기 삼각대를 개방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빠른 개방 및 배치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로서, 상기 삼각대는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telescopic segments)을 갖는 다리들 및 중심 기둥 상에 위치되는 장전된 스프링에 연결되는 트리거를 갖는 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는 중심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를 누를 시 상기 중심 잠금 메커니즘이 상기 삼각대 다리들의 이격 및 상기 다리들의 각각의 부근 지면의 높이에 따른 상기 지면을 향한 상기 다리들의 각 다리의 상기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의 자유 낙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잠금해제되고, 상기 중심 기둥에 따른 하향으로 상기 손잡이의 슬라이딩 시, 연장된 상기 세그먼트들을 갖는 상기 다리들이 개방 형태로 잠금되게 되는, 삼각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a. 상기 다리들이 촬영될 대상에 따라 상기 삼각대의 높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삼각대의 개폐 시 추출되고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b. 상기 중심 기둥이 대응하는 연결 아암을 통해 상기 삼각대 다리들의 각각에 연결되고, 각 연결 아암은 상기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의 부분으로서 개방 및 폐쇄 형태로 상기 삼각대의 잠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c. 상기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이 상기 사용자가 다음 형태들: 폐쇄된 다리들 및 완전히 복귀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폐쇄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복귀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부분적으로 개방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추출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해제된 삼각대; 완전히 개방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추출된 텔레스코픽 다리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및 완전히 개방된 다리들 및 완전히 추출된 텔레스코픽 다리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중 임의의 형태로 상기 삼각대를 변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삼각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의 상기 다리들의 각도 및 높이가 상기 중심 기둥 상에 위치되는 상기 손잡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중심 기둥에 따른 상기 손잡이의 상기 위치가 상기 삼각대 다리들 및 상기 중심 잠금 메커니즘이 잠금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있는지를 기능적으로 결정하는, 삼각대.
  4. 사용자가 삼각대를 폐쇄 접힌 형태에서 개방 추출된 형태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환하고 또한 촬영 위치에서 원하는 높이 및 각도에 상기 삼각대를 잠금하게 하는 빠른 개/폐 메커니즘을 갖는 상기 삼각대로서,
    a. 촬영될 대상에 따라 상기 삼각대의 높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삼각대의 개폐 시 추출되고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를 갖는 다리들;
    b. 대응하는 연결 아암을 통해 상기 삼각대 다리들의 각각에 연결되는 중심 기둥으로서, 각 연결 아암이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의 부분으로서 개방 및 폐쇄 형태로 상기 삼각대의 잠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중심 기둥; 및
    c. 상기 사용자가 다음 형태들: 폐쇄된 다리들 및 완전히 복귀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폐쇄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복귀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부분적으로 개방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추출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해제된 삼각대; 완전히 개방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추출된 텔레스코픽 다리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및 완전히 개방된 다리들 및 완전히 추출된 텔레스코픽 다리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중 임의의 형태로 상기 삼각대를 변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삼각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의 상기 다리들의 각도 및 높이가 상기 중심 기둥 상에 위치되는 손잡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중심 기둥에 따른 상기 손잡이의 상기 위치가 상기 삼각대 다리들 및 상기 중심 잠금 메커니즘이 잠금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있는지를 기능적으로 결정하는, 삼각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의 상기 배치는 상기 삼각대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중심 기둥을 따라 앞뒤로 상기 손잡이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그리고 원하는 형태에서 상기 삼각대를 재잠금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 상에 위치되는 트리거를 누름으로써 조절되는, 삼각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의 상기 잠금해제는 상기 중심 기둥 상의 전용 개구로부터 상기 트리거에 연결되는 노치(notch)를 추출함으로써 실현되고, 상기 삼각대의 재잠금은 상기 중심 기둥 상의 다른 전용 개구 내로 상기 노치를 삽입함으로써 실현되는, 삼각대.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의 상기 개/폐 및 원하는 형태로의 잠금은 두 개의 단계의 수행에 의해 달성되는, 삼각대.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빠른 개/폐 메커니즘은 트리거를 포함하고 장전된 스프링에 부착되는 피스톤에 연결되는 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고 작동가능한 반-자동 메커니즘인, 삼각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삼각대의 폐쇄 형태에서, 상기 트리거를 누를 시, 상기 다리 세그먼트들의 잠금해제 및 연장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중심 기둥에 관한 각도로 상기 다리들의 자동 개방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트리거에 연결되는 노치가 상기 중심 기둥 상의 개구로부터 릴리즈되고, 상기 장전된 스프링 및 이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릴리즈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를 상기 중심 기둥을 따라 하향으로 밀고, 상기 개방 추출된 형태로 상기 삼각대를 잠금하는 것은 상기 중심 기둥 상의 하측 개구에 상기 트리거에 연결되는 상기 노치를 잠금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를 하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트리거를 누름으로써 실현되는, 삼각대.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의 개방 형태에서, 상기 트리거를 누를 시, 상기 중심 기둥을 향해 상기 다리들을 모으고,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중심 기둥에 관한 상기 다리들의 개방 각도를 상기 다리 세그먼트들 하나의 다른 것으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로 최소화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트리거에 연결되는 상기 노치가 상기 중심 기둥 상의 상기 개구로부터 릴리즈되고, 상기 각도에 이를 시 상기 삼각대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 및 상기 삼각대를 폐쇄 복귀된 형태로 잠금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다리 세그먼트들 하나가 다른 것에 기능적으로 삽입되는, 삼각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 하나의 다른 것으로의 삽입은 다음 방법들: (i) 상기 세그먼트들을 지면을 향해 누름으로써; (ii) 상기 세그먼트들 하나의 다른 것으로의 삽입을 위해 중력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삼각대를 거꾸로 회전함으로써 중 하나에 의해 실현되고, 상기 삼각대의 재-개방을 준비하는 상태로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는 상기 스프링의 장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잠금의 완료가 상기 손잡이를 상향으로 당기는 것 및 상기 트리거에 연결되는 상기 노치의 상기 중심 기둥의 최상측 개구로의 삽입에 의해 실현되는, 삼각대.
  13. 촬영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한 삼각대의 빠른 개방 및 배치를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삼각대가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다리들 및 장전된 스프링에 연결되는 트리거를 갖는 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는 중심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다리들의 각각의 부근 지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지면으로 상기 다리들의 각각의 상기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의 자유 낙하를 가능하게 하는 각도로 상기 삼각대 다리들의 이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중심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트리거를 누르는 단계;
    b. 상기 손잡이를 중심 기둥에 대해 하향으로 슬라이딩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단계 (a)에서 획득된 개방 형태로 상기 다리들 및 연장된 세그먼트들을 재잠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삼각대의 빠른 개방 및 배치를 위한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삼각대를 개방 및 배치하면서 촬영될 대상과 눈맞춤을 유지하게 하는, 삼각대의 빠른 개방 및 배치를 위한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가 적어도 다음:
    a. 촬영될 대상에 따라 상기 삼각대의 높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삼각대의 개폐 시 추출되고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를 갖는 다리들;
    b. 대응하는 연결 아암을 통해 상기 삼각대 다리들의 각각에 연결되는 중심 기둥으로서, 각 연결 아암은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의 부분으로서 개방 및 폐쇄 형태로 상기 삼각대의 잠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중심 기둥; 및
    c. 상기 사용자가 다음 형태들: 폐쇄된 다리들 및 완전히 복귀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폐쇄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복귀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부분적으로 개방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추출된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을 갖는 잠금해제된 삼각대; 완전히 개방된 다리들 및 부분적으로 추출된 텔레스코픽 다리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및 완전히 개방된 다리들 및 완전히 추출된 텔레스코픽 다리들을 갖는 잠금된 삼각대 중 임의의 형태로 상기 삼각대를 변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삼각대의 빠른 개방 및 배치를 위한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개방 잠금된 형태로부터 상기 삼각대의 빠른 폐쇄를 위해, 상기 방법이 다음:
    d. 상기 중심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해제하고 상기 다리들의 각각의 상기 텔레스코픽 세그먼트들 하나의 다른 것으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로 이격된 상기 다리들을 모으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트리거를 누르고 상기 손잡이를 상기 중심 기둥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단계;
    e. 다음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세그먼트들 하나를 다른 것으로 삽입하는 단계:
    i. 상기 세그먼트들을 상기 지면을 향해 누르는 것;
    ii. 상기 세그먼트들 하나의 다른 것으로의 삽입을 위해 중력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삼각대를 거꾸로 회전하는 것; 및
    f. 상기 다리들 및 복귀된 세그먼트들을 상기 폐쇄 복귀된 형태로 재잠금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를 상기 중심 기둥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삼각대의 빠른 개방 및 배치를 위한 방법.
  17.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를 갖는 텔레스코픽 다리들; 및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삼각대로서, 상기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은 상기 다리들이 서로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한 폐쇄된 형태로부터 상기 다리들이 폐쇄된 형태에서의 이들의 위치에 관해 15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배치되는, 개방 형태로 모든 상기 삼각대 다리를 릴리즈하는 빠른 프로세스로 상기 삼각대의 잠금해제 및 개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텔레스코픽 다리들의 개방 시, 각 다리의 상기 세그먼트들이 상기 삼각대의 각 다리의 부근 특정한 표면 높이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원하는 높이로 자동적으로 추출되고 잠금되는, 삼각대.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은 상기 삼각대가 상기 다리들의 개방 및 폐쇄된 위치에서의 잠금된 상태로부터 상기 다리들의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의 잠금해제된 상태로 변환되는 방식으로, 상기 삼각대 다리들의 상기 각도에 따라 상기 삼각대 텔레스코픽 다리들 및 상기 다리들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삼각대.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은 두 개의 단계: (i) 상기 중심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해제하는 단계; 및 (ii) 각 다리의 상기 세그먼트들을 서로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다리들을 상기 지면을 향해 누르는 단계의 수행에 의해 또는 중력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세그먼트의 서로에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잠금해제된 상태의 상기 삼각대를 거꾸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개방 추출된 형태로부터 폐쇄 복귀된 형태로 상기 삼각대의 폐쇄 및 접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삼각대.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다리들의 폐쇄 및 각 다리의 상기 세그먼트들의 복귀 시, 다음 사용을 위해 상기 다리들의 재-개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이 긴장되는, 삼각대.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이 상기 삼각대 베이스 내에 위치되는, 삼각대.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연결 아암들을 통해 상기 삼각대 다리들에 연결되는 중심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 잠금 및 잠금해제 메커니즘은 상기 중심 기둥 상에 위치되는 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심 기둥을 따르는 상기 손잡이의 배치는 상기 중심 잠금 메커니즘이 잠금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잠금해제 상태에 있는지를 기능적으로 결정하는, 삼각대.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중심 기둥 상의 고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손잡이를 릴리즈하도록 그리고 재잠금되기 위해 상기 중심 기둥 상의 다른 위치를 향해 상기 손잡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삼각대.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중심 기둥 상의 상기 위치가 노치의 상기 개구로의 삽입이 상기 삼각대의 잠금을 허용하고 상기 노치의 상기 개구로부터 추출이 상기 삼각대의 잠금해제 및 상기 중심 기둥을 따르는 상기 손잡이의 자유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트리거에 연결되는 상기 노치의 삽입 및 추출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개구인, 삼각대.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중심 잠금 메커니즘이 잠금되는 상태에서, 상기 삼각대가 완전히 개방된 형태 또는 완전히 폐쇄된 형태에 있고, 상기 중심 잠금 메커니즘이 잠금해제되는 상태에서, 상기 삼각대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이며, 상기 트리거가 잠금된 상태로부터 잠금해제된 상태로의 변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삼각대.
KR1020167013671A 2013-10-30 2014-09-15 빠른 개폐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 및 사용 방법들 KR201600790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97292P 2013-10-30 2013-10-30
US61/897,292 2013-10-30
PCT/IL2014/050821 WO2015063754A1 (en) 2013-10-30 2014-09-15 Tripod with fast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methods of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012A true KR20160079012A (ko) 2016-07-05

Family

ID=5300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671A KR20160079012A (ko) 2013-10-30 2014-09-15 빠른 개폐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 및 사용 방법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68143B2 (ko)
EP (1) EP3063453A4 (ko)
JP (1) JP2017500598A (ko)
KR (1) KR20160079012A (ko)
CN (1) CN105705855B (ko)
AU (1) AU2014343200B2 (ko)
WO (1) WO2015063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7694B2 (en) 2012-10-15 2020-05-19 Tangible Play, Inc. Activity surface detection, display and enhancement of a virtual scene
US9158389B1 (en) 2012-10-15 2015-10-13 Tangible Play, Inc. Virtualization of tangible interface objects
US10932537B2 (en) 2016-01-14 2021-03-02 Jrj Alliance, Llc Shade apparatus
US20170202321A1 (en) * 2016-01-14 2017-07-20 Jmm Visionary, Llc Shade apparatus
CN106069284A (zh) * 2016-07-29 2016-11-09 厦门大学嘉庚学院 一种新型智能盆栽自动喷灌系统及其控制方法
US10288987B2 (en) * 2016-12-09 2019-05-14 Moises H Olmos-Calderon Tripod accessory clamp
JP6467442B2 (ja) * 2017-01-17 2019-02-13 東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の保持装置
US10663839B1 (en) * 2018-03-16 2020-05-26 O'Brien Engineering, Inc. Transportable pole-mounted inspection device
CN110345363A (zh) * 2018-04-03 2019-10-18 天津市朋思吉影视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快速调节高度功能的摄影支架
CN108870024A (zh) * 2018-07-10 2018-11-23 陈晓骏 一种三脚架云台
CN108937140A (zh) * 2018-07-24 2018-12-07 合肥爱玩动漫有限公司 一种方便调节高度的动漫设计用画板支架
US11221544B1 (en) * 2018-09-10 2022-01-11 Brian York Portable camera support device for elevated photography and/or videography
GB2608250A (en) * 2018-09-17 2022-12-28 Tangible Play Inc Display positioning system
CN109340533A (zh) * 2018-09-20 2019-02-15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三脚平台
WO2020058981A1 (en) * 2018-09-20 2020-03-26 Ilan Ben Meir Compact tripod with single action deploy mechanism
CN110529714B (zh) * 2019-09-16 2024-02-13 张磊 快速收放三脚架
CN110566778B (zh) * 2019-09-16 2024-02-13 张磊 一种快速收放三脚架
US10996017B2 (en) 2019-09-19 2021-05-04 Andrew AMARAL Quickly deployable tripod
CN114556006A (zh) * 2019-10-23 2022-05-27 威泰克影像解决方案股份公司 用于视频摄影设备的三脚架
US11339916B2 (en) * 2019-10-25 2022-05-24 Cade Smith Tripod
JP7352465B2 (ja) * 2019-12-27 2023-09-28 株式会社トプコン 三脚装置
CN111288258B (zh) * 2020-03-03 2021-08-13 核工业华东二六三工程勘察院 一种便携式地理信息测绘仪
CN111425735B (zh) * 2020-04-30 2021-07-09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摄影用落地支架结构及摄影设备
US11785182B2 (en) * 2020-05-18 2023-10-10 Apollo Streams Inc.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from an event
US20240081317A1 (en) * 2021-01-18 2024-03-14 Christopher J. Litwin Portable Hunting Blind Base and Accessories Therefor, Including a Wheeled Arrangement
USD974454S1 (en) * 2021-04-09 2023-01-03 Aukey Technology Co., Ltd Tripod for camera
CN113236945B (zh) * 2021-04-19 2022-10-25 三门峡职业技术学院 一种水利水电工程测绘装置
CN113309963B (zh) * 2021-04-22 2022-09-16 杭州亚太建设监理咨询有限公司 一种全站仪
US20220349670A1 (en) * 2021-04-28 2022-11-03 Sporting Wood Llc Shooting stick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4612A (en) * 1954-03-29 1957-06-04 Clifton Leyman Ernest Portable camera stand
US3881675A (en) * 1974-01-04 1975-05-06 John C Matchett Camera tripod
US4324477A (en) * 1980-11-18 1982-04-13 Kabushiki Kaisha L.P.L Photographic tripod apparatus
JP3462176B2 (ja) * 1997-10-20 2003-11-05 オートキュ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二段階の迅速開放脚及び三脚
IL134285A0 (en) * 2000-01-30 2001-04-30 Sherwin Daniel Tripod
US6793191B1 (en) * 2003-07-09 2004-09-21 Dicke Tool Company Quick release mechanism for use with a supporting device
US7111424B1 (en) * 2003-12-02 2006-09-26 Moody Joseph R Fore grip with bipod
US7086631B2 (en) * 2004-03-03 2006-08-08 Eml Technologies Llc Quick-release telescoping tripod
JP2006170424A (ja) * 2004-12-17 2006-06-29 Kaoru Sato 三脚式スタンドの脚の開脚を、主脚体と二本の副脚体とを連結した開脚バーのワンタッチ操作で機能させた、三脚の開脚法および同法を用いたワンタッチ開脚式三脚。
CN100565325C (zh) * 2005-09-20 2009-12-02 杨永坚 一种相机三脚架
US20070075209A1 (en) * 2005-10-05 2007-04-05 Dennis Kapp Easel with support structure
US7438266B2 (en) * 2006-06-09 2008-10-21 Randall L May Stackable instrument stadium hardware stand
US20080078914A1 (en) * 2006-09-18 2008-04-03 Tsun-Wu Liao Tripod stand
US7530542B2 (en) * 2006-12-07 2009-05-12 Deere & Company Locking mounting assembly
DE202007012585U1 (de) 2007-09-07 2007-12-06 Camera Dynamics Gmbh Spinne für ein Stativ und Set umfassend die Spinne sowie ein Dreibeinstativ
US20100019109A1 (en) * 2008-07-24 2010-01-28 Hao Liu Reverse Foldable Camera Tripods
CN100578068C (zh) * 2008-09-18 2010-01-06 陆伟明 三段一体式伸缩三脚架
US8047481B2 (en) * 2009-05-11 2011-11-01 Suzhou Synta Optical Technology Co., Ltd. Continuously angle-adjustable multifunction tripod
FR2949530A1 (fr) * 2009-08-25 2011-03-04 Stephane Fortier Dispositif de support telescopique a deverrouillage simultane
US9228695B2 (en) * 2009-09-04 2016-01-05 Guragear, Llc Tripod to support photographic equipment with tripod legs that quickly convert from a folded condition to an assembled condition
CN201731245U (zh) * 2009-12-25 2011-02-02 李冰心 便携式可快速伸缩的三脚架
CN102537616B (zh) * 2012-01-13 2015-06-24 壮大材料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三脚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3453A1 (en) 2016-09-07
US9568143B2 (en) 2017-02-14
JP2017500598A (ja) 2017-01-05
EP3063453A4 (en) 2017-07-19
AU2014343200B2 (en) 2017-11-02
US20160258572A1 (en) 2016-09-08
WO2015063754A1 (en) 2015-05-07
AU2014343200A1 (en) 2016-05-12
CN105705855A (zh) 2016-06-22
CN105705855B (zh)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9012A (ko) 빠른 개폐 메커니즘을 갖는 삼각대 및 사용 방법들
US7654494B2 (en) Tripod
RU2643610C2 (ru) Рама с телескопической толкающей рукояткой для прогулочной или легкой детской коляски и коляска с такой рамой
US7552487B2 (en) Bottom bracket of playpen
US6942187B2 (en) Adjustable tripod assembly
US7000875B2 (en) Tripod
US20180207788A1 (en) Adjustable sawhorse
TW201536210A (zh) 關節鎖定裝置及具有關節鎖定裝置之拐杖椅
CN109790954B (zh) 用于影像摄影三脚架的改进的展阔器
KR20130122861A (ko) 발판을 구비한 클램핑 장치
US20230304629A1 (en) A support leg
JP2012242403A (ja) 自己撮影用カメラ器具
JP3115185U (ja) カメラスタンド
JP3221220U (ja) 反転可能な伸縮式のシートピラー
EP1736077A1 (en) Relaxation chair
JP2007319011A (ja) 折畳み式タモ網
WO2020016585A1 (en) Tripod leg spreader
US1045358A (en) Folding umbrella.
TWM413011U (en) Door stopping rod
CN211473619U (zh) 简便操作的帐篷
AU2004100095B4 (en) Retractable bollard
TWM403360U (en) Wire-clamp positioning structure of racket threading machine
US1185650A (en) Umbrella-stick.
EP1552742B1 (en) Angling rod support apparatus
CN205854398U (zh) 滑板车用折叠机构及包含该机构的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