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236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236A
KR20160075236A KR1020140184972A KR20140184972A KR20160075236A KR 20160075236 A KR20160075236 A KR 20160075236A KR 1020140184972 A KR1020140184972 A KR 1020140184972A KR 20140184972 A KR20140184972 A KR 20140184972A KR 20160075236 A KR20160075236 A KR 20160075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ver
coupled
rear cover
modu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764B1 (ko
Inventor
권석호
정동준
김영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764B1/ko
Priority to EP15870157.3A priority patent/EP3236508B1/en
Priority to CN201580068819.4A priority patent/CN107210015A/zh
Priority to US15/537,856 priority patent/US10665814B2/en
Priority to PCT/KR2015/008200 priority patent/WO2016098989A1/ko
Publication of KR2016007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측에 위치하는 모듈커버; 상기 모듈커버 외주(外周)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결합된 몰드부; 및 상기 모듈커버의 후면 측에 슬라이딩 결합되되, 상기 몰드부에 대응된 결합부가 형성된 후면커버를 포함하여, 후면커버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후면커버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후면커버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측에 위치하는 모듈커버; 상기 모듈커버 외주(外周)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결합된 몰드부; 및 상기 모듈커버의 후면 측에 슬라이딩 결합되되, 상기 몰드부에 대응된 결합부가 형성된 후면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몰드부는, 상기 모듈커버의 장변에 대응된 제1 몰드와, 상기 모듈커버의 단변에 대응된 제2,3 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3 몰드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후면커버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몰드가이드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몰드가이드는, 상기 후면커버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가 결합되면, 상기 접촉부는 탄성변형하며 상기 후면커버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3 몰드 중 적어도 하나에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와, 상기 리브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된 제1 결합공과, 상기 리브를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2 결합공을 포함하되, 상기 몰드가이드는 상기 제1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모듈커버는 상기 제2 결합공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에는, 상기 몰드가이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후면커버의 모서리가 밴딩된 복수의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드부는, 상기 모듈커버의 장변에 대응된 제1 몰드와, 상기 모듈커버의 단변에 대응된 제2,3 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몰드는, 상기 후면커버의 장변측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몰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몰드는, 상기 제1 몰드에 결합된 후면커버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몰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후면커버의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모듈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모듈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몰드부는, 상기 모듈커버와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후면커버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1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13은 도 2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5 내지 도 24는 도 14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OLED 타입일 수 있다. 즉,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사용함으로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구현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도1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플레이트(120)와, 모듈커버(130)와, 후면커버(15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측 장변에 부착되는 바텀커버(bottom cover, 140)와, 몰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실질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기판, 후면기판 및/또는 광학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일 수 있다. OLED 패널의 경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조명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일정한 곡률로 휘어져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또는 모듈커버(130)는, 접착테이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20) 전면(前面)측의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또는 플레이트(120) 후면(後面)측의 모듈커버(130)와 접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플레이트(12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또는 모듈커버(130)는, 자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20),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또는 모듈커버(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이 자력을 띠고 있어, 다른 구성에 부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120),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또는 모듈커버(130)의 분해/재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 재질의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전달되는 열을 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10) 특정 영역의 열집중을 막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듈커버(130)는, 플레이트(120)에 부착될 수 있다. 모듈커버(130)와 플레이트(120)는, 접착테이프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모듈커버(150)에는, 포밍영역(forming area)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포밍영역은, 전자회로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 및/또는 발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후면커버(150)는, 제 1 장변(LS1)으로부터 제 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즉 제 2 방향(DR2)으로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M)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후면커버(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제 1 단변(SS1),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S2) 및 제 1, 2 단변(SS1, SS2)에 인접하고 제 1 단변(SS1)과 제 2 단변(SS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장변(LS1)으로부터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후면커버(150)를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후면커버(150) 및/또는 그에 인접한 다른 구조물에는 돌출부, 슬라이딩부, 결합부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몰드부(300)는, 후면커버(150) 및/또는 모듈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몰드부(300)는, 플라스틱 재질을 성형한 것일 수 있다. 몰드부(300)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부(300)는, 제1 내지3 몰드(31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몰드(310)는 장변 측에 부착되고, 제2,3 몰드(330, 350)은, 각각 단변 측에 부착될 수 있다. 후면커버(150)에 부착되는 경우에, 몰드부(300)는 후면커버(15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3은 도 2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몰드부(300)를 사용하여 후면커버(150)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커버(150)에는 몰드부(300)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커버(150)의 내측 모서리 영역에 제1 내지 3 몰드(310, 330, 350)가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모듈커버(130)에는, 몰드부(300)에 대응된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모듈커버(130)의 상측 장변에 인접한 영역과 좌우측 단변에 인접한 영역에 일정한 형상의 구조물이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듈커버(130)의 해당 영역이 프레스가공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모듈커버(130) A 영역의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 모듈커버(130)의 A 영역에는, 제1 결합부(215)와 제2 결합부(225)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2 결합부(215, 225)는, 모듈커버(130)의 상측 장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모서리 영역을 따라 제1,2 결합부(215, 225)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결합부(215, 225)는, 후면커버(15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개구(opening)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되는 리어커버(150) 내측의 구조물과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결합부(215, 225)는, 모듈커버(130)의 해당 영역이 프레스 가공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판형의 모듈커버(130) 일부 영역이 압착되거나 제거되며 제1,2 결합부(215, 225)가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결합부(215)는, 모서리의 제1 영역(21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210a)은, 그 내측의 제2 영역(210b) 보다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영역(212)을 거치며 제1,2 영역(210a, 210b)가 계단형태로 높이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결합부(225)는, 모서리의 제2 영역(210b)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최 외주영역인 제1 영역(210a) 보다 내측 영역에 제2 결합부(225)가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결합부(225)는, 몸체부(225a)와, 경계영역(225b)과, 슬릿(225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15)와 제2 결합부(225)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215)와 제2 결합부(225)가 Y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는, 도 4 I-I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215)와 제2 결합부(212)는 경계영역(212)에 의하여 높이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215)는, 제2 결합부(212)에 비하여 Z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후면커버(150)의 대응된 영역이, 제1 결합부(215)에 보다 자연스럽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15)는, 끝단부(215a)와, 몸체(215b)와, 홈부(215c)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215c)는, 몸체(215b)의 일부가 몸체(215b)의 내측으로 함몰된 영역일 수 있다. 홈부(215c)의 형상으로 인하여, 제1 결합부(215)에 결합된 대응물이 제1 결합부(215)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5)는, 끝단부(225d)와, 홈부(224e)와, 몸체(225f)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25f)는, 경계영역(225b)을 통해 모듈커버(13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5)는, 제1 결합부(215)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제2 결합부(225)는, 제1 결합부(215)와는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 및 도 7은, 제1,2 결합부(215, 225)와 몰드부(300)의 제1 몰드(310) 사이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몰드(310)의 제3,4 결합부(315, 325)는, 제1,2 결합부(215, 225)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즉, 후면커버(150) 내측의 상측 장변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몰드(310)의 제3 결합부(315)는 제1 결합부(215)에 결합되고, 제4 결합부(225)는 제2 결합부(225)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커버(150)는, 모듈커버(13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제1,2 결합부(215, 225)와 제3,4 결합부(315, 225)의 형상은 상호 대응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커버(130) 측의 제1,2 결합부(215, 225)와 후면커버(150) 측의 제3,4 결합부(315, 325)는 일정 범위 내에서 변형되며 결합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225)의 몸체(225f)와 그에 대응된 제4 결합부(325)의 몸체(325f)는 중첩영역(OL)이 발생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225)와 제4 결합부(325) 간의 슬라이딩 결합 과정에 제2 결합부(225)의 끝단부(225d)와 제4 결합부(325)의 끝단부(325a)가 상호 접촉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5)의 끝단부(225d)와 제4 결합부(325)의 끝단부(325a)가 접촉되면, 제2 결합부(225) 및/또는 제4 결합부(325)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225)는 제1 방향(M1)으로 변형되고 제4 결합부(325)는 제2 방향(M2)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225)가 형성되어 있는 모듈커버(130)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경우에는, 제2 방향(M2)의 변형만이 발생하거나 제2 방향(M2)의 변형이 제1 방향(M1)의 변형보다 클 수 있다.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4 결합부(225, 325)는 일정 정도 변형된 상태에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면에 대해서 a 및/또는 b 만큼 기울어진 생태에서 결합이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4 결합부(225, 325)간의 중첩영역(OL)으로 인해 제2,4 결합부(225, 325)가 상호 밀착되며 결합됨으로 인하여, 제2,4 결합부(225, 325)가 확실히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 제2,4 결합부(225, 325)의 떨림으로 인한 소음 및/또는 진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모듈커버(130) B 영역의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 모듈커버(130)의 B 영역에는, 제5 내지 7 결합부(410, 420, 43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5 내지 7 결합부(410, 420, 430)에는, 후면커버(15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개구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 5 내지 7 결합부(410, 420, 430)는, 복수 개가 모듈커버(130) 장변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트(S1)의 제5 내지 7 결합부(410, 420, 430)가 위치하고 그 다음에는 제2 세트(S2)의 제5 내지 7 결합부(410, 420, 430)가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5 내지 7 결합부(410, 420, 430)는, 후면커버(150)의 슬라이딩 결합시에, 후면커버(150)의 모듈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모듈커버(130)와 후면커버(150)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후면커버(150) 자체는 투명 내지 반투명하게 표현하였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커버(150)의 내측에는 몰드부(300)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변 측에 결합되는 제3 몰드(350)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몰드부(300)에는, 제 8 내지 10 결합부(238, 232, 234)가 마련될 수 있다. 후면커버(150)의 제 8 내지 10 결합부(238, 232, 234)는, 모듈커버(130)의 제5 내지 7 결합부(410, 420, 43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8 내지 10 결합부(238, 232, 234)가 제5 내지 7 결합부(410, 420, 43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8 결합부(238)는, 몰드부(30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슬릿(slit)일 수 있다. 즉, 즉, 몰드부(300)가 관통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8 결합부(238)는, 제5 결합부(410)에 대응될 수 있다. 제8 결합부(238)와 제5 결합부(410)의 결합관계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9 결합부(232)는, 몰드부(30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되어 있는 제6 결합부(420)의 형상에 대응된 걸이구조(latch)일 수 있다.
제10 결합부(234)는, 몰드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제7 결합부(430)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7 결합부(430)와의 원활한 슬라이딩 결합을 위해 제10 결합부(234)에는, 경사부(236)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0 결합부(234) 내부로 결합되기 위해, - Y 및 Z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부(236)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9, 10 결합부(232, 234)는, 몰드부(30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모듈커버(130)의 최외측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제6 결합부(420)보다는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제 5, 7 결합부(410, 4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해, 제9,10 결합부(232, 234)는, 몰드부(300)의 몸체에서 내측인 X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1은, 몰드부(300)의 슬라이딩 결합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부(300)가 ?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부(300)는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상태는, 몰드부(300)의 제 8 내지 10 결합부(238, 232, 234)가 모듈커버(130)의 제 5 내지 7 결합부(410, 420, 43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 Y 방향으로 몰드부(300)가 슬라이딩되면, 제8 내지 10 결합부(238, 232, 234)가 제 5 내지 7 결합부(410, 420, 43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2는, 도11 (b)의 II-II 방향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서 제8 내지 10 결합부(238, 232, 234)가 제 5 내지 7 결합부(410, 420, 4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6, 7 결합부(420, 430)의 하측에 제9 결합부(232) 및 제10 결합부(234)의 경사부(236)가 삽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결합부(410)는, 모듈커버(130)와는 별도로 형성된 몰드(mold)일 수 있다. 즉, 별도의 사출과정을 거쳐 제5 결합부(410)를 형성하여, 모듈커버(130)에 부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몰드부(300)의 제8 결합부(238)는, 지지바(239)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239)는, 제5 결합부(410)의 몸체부(414)에 밀려 안착부(412)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지지바(239)가 몸체부(414)와 안착부(412) 경계의 벽면에 밀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8 결합부(238)의 중심영역의 폭(W1)은, 제8 결합부(238)의 외주영역의 폭(W2) 보다 클 수 있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바(239)는, 제5 결합부(410)의 안착부(412)에 결합될 수 있다. 안착부(412)는, 제5 결합부(410)의 몸체부(414)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414)의 높이가 H1일 때, 안착부(412)의 높이는 그 보다 작은 H2일 수 있다.
안착부(412)의 높이가 몸체부(414)의 높이보다는 낮지만, 몸체부(414)와 접촉되는 몰드부(300)의 밀착부(237) 보다는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바(239)는, 밀착부(237)의 하단면 보다 H2 만큼 높게 안착부(412)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바(239)의 이와 같은 위치관계로 인하여, 지지바(239)는, 몸체부(414) 및 안착부(412)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플레이트(120)와, 모듈커버(130)와, 후면커버(150)와, 몰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부(500)는, 후면커버(150)의 슬라이딩 결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몰드부(500)는 플레이트(120) 및 모듈커버(130)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몰드부(500)가 플레이트(120) 및 모듈커버(130) 중 적어도 하나에 압출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몰드부(500)는, 압출에 적절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몰드부(500)는, 제1 내지3 몰드(520, 510, 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3 몰드(520, 510, 540)는, 함께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4는 도 14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몰드(510)는, 몰드가이드(530)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가이드(530)는, 제2 몰드(510)의 Y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몰드(510)와 별도로 제작된 몰드가이드(530)가 제2 몰드(510) 상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6은, 제2 몰드(510)와 몰드가이드(53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몰드(510)에는, 결합부(152)와, 제1,2 결합공(154, 156)과, 리브(158)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52)는, 제2 몰드(51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함몰영역일 수 있다. 결합부(152)에는, 제2 몰드(5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후면커버(150)의 모서리 영역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결합공(154)에는, 몰드가이드(530)를 결합하기 위한 제1 스크루(SC1)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공(156)에는, 제2 몰드(510)에 모듈커버(130)를 결합하기 위한 제2 스크루(SC2)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500)는, 모듈커버(13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모듈커버(130)와 플레이트(120)가 일체형인 경우라면, 몰드부(500)는 모듈커버(130)와 플레이트(120)를 한번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리브(158)는, 제1,2 결합공(154, 15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리브(158)는, 제1 결합공(154) 측에 결합되는 몰드가이드(530) 및/또는 제2 결합공(156) 측에 결합되는 모듈커버(130)의 결합과정에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커버(130)의 모서리가 리브(158)에 맞닿으면, 모듈커버(130)가 자연스럽게 결합위치에 자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커버(140)의 플랜지(145)는, 몰드가이드(53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커버(140)를 -Z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Y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후면커버(140) 내측의 플랙지(145)가 각각의 몰드가이드(530) 내측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가이드(530)는, 후면커버(140)와의 효과적인 결합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가이드(530)는, 함몰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532)는 몰드가이드(530) 몸체의 일부가 하방으로 밀려진 형태일 수 있다. 함몰부(532) 내에는, 접촉부(532)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532)는, 몰드가이드(530)의 몸체에 비하여 PR 만큼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접촉부(532)가 몰드가이드(530)의 다른 부분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접촉부(532)가 후면커버(140)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몰드가이드(530)와 후면커버(140) 간의 느슨한 접촉으로 인한 소음 및/또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후면커버(14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커버(140)의 내측으로 밴딩된 플랜지(145)는, 몰드가이드(530)와 제2 몰드(51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몰드가이드(530)에서 돌출된 접촉부(532)는, 플랜지(145)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후면커버(14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후면커버(140)의 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5 A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몰드부(500)의 제1 몰드(520)에는, 커버삽입부(522)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커버삽입부(522)는, 제1 몰드(520)의 끝단영역 중 일부에 형성된 함몰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삽입부(522) 측만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3 면은 폐쇄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몰드(5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528)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리브(528)는, 커버삽입부(522)에 결합된 후면커버(150)를 Z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후면커버(150)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함은 물론 후면커버(150)와 제1 몰드(520) 간에 접촉으로 인한 진동 및/또는 소음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몰드(520)에는, 일정 간격으로 슬릿(529)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커버(140)는 제1 몰드(52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커버(140)가 Y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후면커버(140)가 슬라이딩 되면, 후면커버(140)의 상측 끝단에 형성된 제11 결합부(147)가 커버삽입부(522)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1 결합부(147)는, 일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Z 방향으로 BH 거리만큼 돌출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돌출된 제11 결합부(147) 구조로 인하여, 제11 결합부(147)는, 커버삽입부(522) 내에서 제1 몰드(520)에 밀착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커버(150)는 레일(rail) 형태의 구조물을 사용하여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일(610)은 후면커버(150)의 내측에 결합되고 제2 레일(630)은 모듈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2 레일(610)은 몰드부(50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일(61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기(6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돌기(612)의 크기 및 간격은 제2 레일(6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격부(634)에 대응될 수 있다. 이격부(634)는, 측벽(632)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돌기(612)는, 측벽(632)의 그루브(636)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3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일(610)과 제2 레일(620)을 결합하여 ?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제1 레일(610)을 ?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 제1 레일(610)의 돌기(612)가 제2 레일(620)의 측벽(636)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636) 내부로 돌기(612)가 삽입되면, 제1 레일(610)과 제2 레일(63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 레일(610)은, 후면커버(14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레일(630)은, 모듈커버(13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2 레일(610, 630) 간의 결합으로 인하여, 후면커버(140)와 모듈커버(13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 플레이트 130 : 모듈커버
140 : 바텀커버 150 : 후면커버

Claims (1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측에 위치하는 모듈커버;
    상기 모듈커버 외주(外周)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결합된 몰드부; 및
    상기 모듈커버의 후면 측에 슬라이딩 결합되되, 상기 몰드부에 대응된 결합부가 형성된 후면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상기 모듈커버의 장변에 대응된 제1 몰드와,
    상기 모듈커버의 단변에 대응된 제2,3 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3 몰드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후면커버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몰드가이드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가이드는,
    상기 후면커버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가 결합되면,
    상기 접촉부는 탄성변형하며 상기 후면커버를 가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3 몰드 중 적어도 하나에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와,
    상기 리브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된 제1 결합공과,
    상기 리브를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2 결합공을 포함하되,
    상기 몰드가이드는 상기 제1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모듈커버는 상기 제2 결합공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에는,
    상기 몰드가이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후면커버의 모서리가 밴딩된 복수의 플랜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상기 모듈커버의 장변에 대응된 제1 몰드와,
    상기 모듈커버의 단변에 대응된 제2,3 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몰드는,
    상기 후면커버의 장변측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몰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드는,
    상기 제1 몰드에 결합된 후면커버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몰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후면커버의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모듈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모듈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몰드부는,
    상기 모듈커버와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84972A 2014-12-19 2014-12-19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972A KR102294764B1 (ko) 2014-12-19 2014-12-19 디스플레이 장치
EP15870157.3A EP3236508B1 (en) 2014-12-19 2015-08-05 Display device
CN201580068819.4A CN107210015A (zh) 2014-12-19 2015-08-05 显示装置
US15/537,856 US10665814B2 (en) 2014-12-19 2015-08-05 Display device with slidable cover
PCT/KR2015/008200 WO2016098989A1 (ko) 2014-12-19 2015-08-05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972A KR102294764B1 (ko) 2014-12-19 2014-12-1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236A true KR20160075236A (ko) 2016-06-29
KR102294764B1 KR102294764B1 (ko) 2021-08-27

Family

ID=5636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972A KR102294764B1 (ko) 2014-12-19 2014-12-1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76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446A (ko) * 2016-07-24 2018-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123193A (ko) * 2018-04-23 2019-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50591B1 (ko) * 2019-05-27 2020-01-08 (주)티에스이 유기발광소자 패널 파손방지를 위한 이너플레이트 보강구조
CN110764297A (zh) * 2019-10-18 2020-02-07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后盖模组、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组装方法
WO2021010564A1 (ko) * 2019-07-17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925049B2 (en) 2017-11-30 2024-03-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502A (ko) * 2009-08-20 2011-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502A (ko) * 2009-08-20 2011-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446A (ko) * 2016-07-24 2018-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925049B2 (en) 2017-11-30 2024-03-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190123193A (ko) * 2018-04-23 2019-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50591B1 (ko) * 2019-05-27 2020-01-08 (주)티에스이 유기발광소자 패널 파손방지를 위한 이너플레이트 보강구조
WO2021010564A1 (ko) * 2019-07-17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770951B2 (en) 2019-07-17 2023-09-2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10764297A (zh) * 2019-10-18 2020-02-07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后盖模组、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组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764B1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5236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236508B1 (en) Display device
US976648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JP5536833B2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9025104B2 (en) Backboard structure, backlight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JP4945667B2 (ja) 表示装置
JP5841638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
EP2977814A1 (en) Display device
JP2011002657A (ja) 液晶モジュール
CN103998976A (zh) 液晶显示装置及液晶电视机
US9519172B2 (en) Backplate assembly,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JP2009169324A (ja) 液晶表示パネル
US9052429B2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50346541A1 (en) Display device
JP2015022059A (ja) 光学部材保持構造、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105842913B (zh) 显示装置
US8267567B2 (en) Backlight module, bezel assembly applied to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CN205316158U (zh) 光学膜片、背光模组和显示面板
KR201600809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772537B2 (en) Edge-lit backlight module
US20140321156A1 (en) Backlight device
US20130128524A1 (en) Back Frame and Backlight System Thereof
WO2015194648A1 (ja) シャーシ、バックライトシャーシ、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5447449B2 (ja) 表示装置
JP2009086070A (ja) 液晶表示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