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192A - 원하는 위치로의 필름 합지를 가능케하는 필름합지방법 - Google Patents

원하는 위치로의 필름 합지를 가능케하는 필름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192A
KR20160075192A KR1020140184866A KR20140184866A KR20160075192A KR 20160075192 A KR20160075192 A KR 20160075192A KR 1020140184866 A KR1020140184866 A KR 1020140184866A KR 20140184866 A KR20140184866 A KR 20140184866A KR 20160075192 A KR20160075192 A KR 20160075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ilms
roller
laminat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삼
Original Assignee
유종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삼 filed Critical 유종삼
Priority to KR1020140184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5192A/ko
Publication of KR20160075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장의 필름을 합지 함에 있어 각 필름 내부에 형성된 천공 등의 모양을 원하는 위치에 배열시키면서 필름이 합지될 수 있도록 하여 종국적으로는 누적공차를 없애고 자동공정을 통해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필름합지공정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제1 필름이 공급되고, 타측으로 제2 필름이 공급되되 커팅기를 거쳐 커팅이 이루어진 후 제1 필름 상면으로 배열되어 합지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기에서의 커팅은,
센서에 의해 제1 필름의 특정 위치가 감지되고,
제1 필름의 특정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커팅기에서 제2 필름에 대한 커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하는 위치로의 필름 합지를 가능케하는 필름합지방법{LAMINATING METHOD FOR TWO FILMS}
본 발명은 필름 간의 합지를 위한 필름합지공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 장의 필름을 합지 함에 있어 각 필름 내부에 형성된 천공 등의 모양을 원하는 위치에 배열시키면서 필름이 합지될 수 있도록 하여 종국적으로는 누적공차를 없애고 자동공정을 통해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필름합지공정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다른 성질을 가진 또는 같은 성질을 가진 필름의 합지(Laminating)가 필요한 경우가 있고, 생산 제품에 따라서는 홀이 형성된 필름끼리의 합지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합지된 두 필름간의 홀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면 또는 원하는 위치에 홀이 배열도지 않는다면 이는 불량품으로 취급된다.
홀이 형성된 두 필름을 합지하는 종래의 방식은,
우선 기 세팅된 정보 즉 홀의 크기 및 홀 간의 간격에 따라 각각의 필름에 홀을 형성하고, 홀이 형성된 각각의 필름을 한 쌍의 롤러(합지롤러)에 공급하여 합지필름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미리 세팅된 정보에 의해 간격과 크기, 그리고 위치에 필요한 홀을 각각의 필름에 형성한 후 이를 합지하는 것이기에 이론적으로는 홀 위치간의 편차가 생기지 않고 정확히 일치하여야 하지만 실 작업에서는 그러하지 못하다.
즉, 미리 세팅된 간격과 크기 그리고 위치에 홀이 형성된 두 필름을 합지한다 하더라도 필름을 피딩하는 속도나 피딩시의 작업 조건, 또는 필름의 속성 등에 따라 최종적으로 합지되는 합지필름에서는 두 필름 간의 원하는 홀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고 편차가 생기게 된다. 물론 이러한 편차는 필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더 심하게 발생되어 누적공차가 커진다는 문제점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름이 합지되는 중간 과정에서 작업자가 홀 위치간의 편차 정도를 확인하여 만족하는 수준 이상으로 편차가 심해졌다고 판단된다면 다시 필름을 셋팅하여 합지하는 작업이 진행되곤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생산성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참고로, 누적공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는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456034호(2014.10.23)『복수의 형상의 타발 합지 방법』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1456034호는 누적공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점에서는 이하 설명될 본원발명과 동일하나 등록특허 제10-1456034호의 경우 제2 필름 타발시 금형에 구비된 가이드 핀이 제1 필름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제2 필름의 타발 위치를 제1 필름과 맞추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하 설명될 본원발명과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두 장의 필름을 합지함에 있어 누적 공차가 생기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필름을 합지시킬 수 있는 필름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와 함께 상기한 공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종국적으로는 상품의 불량률을 낮추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필름합지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합지방법은,
일측으로 제1 필름이 공급되고, 타측으로 제2 필름이 공급되되 커팅기를 거쳐 커팅이 이루어진 후 제1 필름 상면으로 배열되어 합지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기에서의 커팅은,
센서에 의해 제1 필름의 특정 위치가 감지되고,
제1 필름의 특정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커팅기에서 제2 필름에 대한 커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공정에서 일측에는 제1 필름과 제2 필름이 합지된 합지필름을 견인하는 피딩롤러가 구비되고,
제1 필름의 특정 위치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피딩롤러가 정지되고, 상기 피딩롤러 정지시 상기 커팅기가 작동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필름합지방법에 의하면 자동화 공정으로 두 장의 필름을 서로 합지할 수 있으면서도 제2 필름을 제1 필름에 대하여 원하는 특정의 위치에 합지시킬 수 있어 누적공차를 없애고 결국 기존 필름합지 공정보다 생산성 높이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합지공정에 의해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필름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필름상태를 도출하기 위한 필름합지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3의 필름상태를 도출하기 위한 필름합지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합지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름 필름합지방법은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필름을 합지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름(10)은 제품화될 대상체(12)가 베이스필름(11)에 점착된 상태이고, 상기 제1 필름(10)의 상면으로 제2 필름(20)이 합지된 후 상기 대상체 외곽으로 커팅 후 제품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상체(12)에는 홀이 형성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모양(15)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대상체의 특정 위치에 홀(25)이 형성된 제2 필름(20)이 합지되어야 하고, 제2 필름에 형성된 홀(25)이 상기 대상체(12)의 특정 위치에 정확히 배치되어야 불량이 아닌 양품으로 인정받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은 제품화될 대상체(12)가 베이스필름(11)에 점착된 상태의 제1 필름(10)에 특정 모양으로 형성된 커팅부(20A)를 합지시켜 제품화가 되는 경우인 것으로,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3의 경우 상기 커팅부(20A)를 제1 필름(10)의 특정 위치에 합지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필름(이를 이하에서는 제2 필름으로 칭함)(20)이 도입되고 상기 필름(제2 필름)(20)을 제1 필름(10)을 합지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바
도 3의 제품 역시 종국적으로는 앞서 언급한 실시예와 같이 필름과 필름을 합지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합지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측으로 제1 필름(10)이 공급되고, 타측으로 제2 필름(20)이 공급되되 커팅기(C)를 거쳐 커팅이 이루어진 후 제1 필름 상면으로 배열되어 합지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기(C)에서의 커팅은 센서(S)에 의해 제1 필름(10)의 특정 위치(베이스필름(11)에 점착된 대상체(12)의 위치)가 감지되고, 제1 필름(10)의 특정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커팅기(C)에서 제2 필름(20)에 대한 커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 필름(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1)에 다양한 모양(15)이 형성된 대상체(12)가 점착된 상태로 제2 필름(20)과의 합지를 위해 일방향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필름(10)이 공급 이송되는 과정에는 합지롤러(41)과 피딩롤러(42)가 구비되는데,
상기 합지롤러(41)는 제2 필름이 제1 필름 상면으로 위치하여 두 장의 필름을 합지시키는 롤러이고, 상기 피딩롤러(42)는 합지된 합지필름(F)을 일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즉, 견인하는 롤러이다.
그리고 후술하겠으나 제1 필름 보다 정확히는 대상체(12)와 합지가 이루어지는 제2 필름(20)에 상기 대상체의 특정위치에 맞춰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딩롤러(42)는 정지와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필름(10)이 공급되는 일측에는 커팅기(C)가 구비되고 상기 커팅기로 제2 필름(20)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필름(20)은 제1 필름에서의 대상체(12) 내부 모양에 맞춰 홀이 사전에 형성된 상태가 아니고 제1 필름과 합지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팅기(C)를 통해 홀(25)이 형성된다.
즉, 홀이 천공된 필름을 합지하는 기존 방식은 이미 세팅된 정보를 통해 사전에 홀이 형성된 필름을 홀 내지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 다른 필름에 합지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지속적으로 필름을 합지하다보면 이미 세팅된 정보에 맞춰 필름끼리 합지된다 하더라도 공급되는 필름의 속도나 필름상의 재질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어 홀 위치간의 편차가 생겨 원하는 제1 필름의 특정 위치에 제2 필름의 홀이 위치되지 않게 되고, 누적편차가 작업이 진행되면 될수록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제1 필름(10)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1 필름에서 이후 제2 필름에 형성된 홀이 위치되어야 할 또는 홀이 위치되어야 하는 기준점을 체크하고 이를 기준으로 제2 필름(20)에 대한 커팅기(C)를 작동시켜 제2 필름(20)에 홀(25)을 형성하고 이 두 필름을 합지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제1 필름(10)이 공급되는 공급로의 일측에는 센서(S)가 위치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제1 필름(10)의 특정 위치(대상체가 베이스 필름에 놓인 위치가 될 것이다)가 감지되고, 센서(S)에 의한 감지가 이루어지면 피딩롤러(42)가 멈추고 상기 커팅기(C)에서는 제2 필름(20)에 대하여 홀(25) 형성을 위한 커팅이 진행된다.
즉, 상기 커팅기(C)에서의 제2 필름에 대한 홀(25) 천공은
제1 필름(10)이 피딩롤러(42)에 의해 견인되면서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S)에 의해 제1 필름(10)의 대상체 위치가 감지되고,
대상체 위치가 감지된 순간 상기 커팅기(C)가 작동되어 홀 형성을 위해 제2 필름(20)을 커팅(타공)하게 되는데, 상기 커팅기(C) 작동을 위해 피딩롤러(42)가 정지된다.
이렇게 타공된 제2 필름(20)은 피딩롤러(42)에 의해 견인되면서 합지롤러(41)까지 공급되고 상기 합지롤러(41)에 의해 제1 필름(10)과 제2 필름(20)간의 합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합지롤러(41)에 제2 필름이 공급되기 전 커팅기(C)에서 커팅된 제2 필름의 스크랩(본 실시예에서는 홀 내부 부위이다)(27)은 스크랩제거용 롤러(43)를 통해 일측으로 배출되어 제2 필름에서 제거되고 상기 합지롤러(41)로 제2 필름(20)이 공급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필름의 일면에는 스크랩제거용 롤러(4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점착시트(50)가 구비되고, 커팅기(C)에서 커팅된 제2 필름의 스크랩(27)은 상기 점착시트(50)에 점착된 상태로 스크랩제거용 롤러(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1 필름의 원하는 특정 위치에 제2 필름의 천공된 홀이 위치되도록 하는 방법은 상기 센서(S)로부터 합지롤러(41)까지의 제1 필름상의 거리와 상기 커팅기(C)로부터 합지롤러(41)까지 제2 필름상의 거리를 동일하게 맞추는 것이고,
이와 같이 거리가 맞춰진 상태에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각각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1 필름(10)에서의 특정 위치를 상기 센서(S)가 감지하면 피딩롤러(42)가 정지되고, 피딩롤러(42)가 정지되면 상기 커팅기(C)가 작동하여 제2 필름(20)에 대한 타공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정을 거쳐 홀(25)이 천공된 제2 필름(20)은 합지롤러(41)로 공급되고 상기 합지롤러를 통과하면서 제1 필름(10)과의 합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합지롤러(41)로 제2 필름이 공급되기 전 커팅기에 의해 커팅된 후 제거되어야 할 스크랩(27)은 스크랩제거용 롤러(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 필름(20)은 합지롤러(41)로까지 원활한 필름 공급을 위해 다수 개의 이송롤러(44)를 거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필름(20)에서 특정 모양으로 커팅된 커팅부(20A)를 제1 필름 대상체(12)의 원하는 위치에 합지시키는 공정이다.
이를 위해 제2 필름(20)의 일면에는 점착시트(50)가 구비되고 타면에는 리무버시트(30)가 구비된다. 참고로, 제2 필름(20)의 일면에 부착된 점착시트(50)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의 점착시트와 동일한 기능을 위해 채용된 것으로 커팅기(C)를 거친 후 제2 필름(20)에서 제거도어야 할 스크랩(27)을 스크랩제거용 롤러(43)를 통해 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본 과정에서 제거되어야 할 스크랩(27)은 제2 필름에서 커팅부(20A)를 제외한 부분으로 이 경우 상기 커팅부(20A)를 합지롤러(41)까지 공급할 별도의 시트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리무버시트(30)가 제공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리무버시트(30)-제2 필름(20)-점착시트(50)의 순으로 배열된 제2 필름이 커팅기(C)로 공급되고 커팅기(C)에서는 리무버시트(30)-제2 필름(20)까지만 커팅하는 반커팅이 이루어진다.
커팅기를 거친 제2 필름(20)은 합지롤러(41)로 공급되는데 합지롤러로의 공급 전 스크랩(27)이 점착된 점착시트(50)는 스크랩제거용 롤러(43)를 통해 배출되고,
커팅부(20A)가 리무버시트(30)에 점착된 상태로 합지롤러(41)로 공급된다.
이후 합지롤러(41)에서 커팅부(20A)가 제1 필름(10)과 합지가 이루어지면, 상기 리무버시트(30)는 리무버시트제거용 롤러(45)를 통해 배출된다.
그 외 합지방식은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하면 제1 필름의 원하는 특정 위치에 특정의 모양으로 커팅된 커팅부(20A)의 합지가 이루어진다.
이상으로 두 장의 필름을 합지함에 있어 누적 공차 없이 자동화공정으로 정확한 위치에 필름을 합지하는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고,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 필름
11: 베이스필름 12: 대상체 15: 모양
20: 제2 필름 20A: 커팅부
25: 홀 27: 스크랩
30: 리무버시트 50: 점착시트
41: 합지롤러 42: 피딩롤러
43: 스크랩제거용 롤러 45: 리무버시트제거용 롤러
S: 센서

Claims (4)

  1. 일측으로 제1 필름이 공급되고,
    타측으로 제2 필름이 공급되되 커팅기를 거쳐 커팅이 이루어진 후 제1 필름 상면으로 배열되어 합지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기에서의 커팅은,
    센서에 의해 제1 필름의 특정 위치가 감지되고,
    제1 필름의 특정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커팅기에서 제2 필름에 대한 커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하는 위치로의 필름 합지를 가능케하는 필름합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에는 제1 필름과 제2 필름이 합지된 합지필름을 견인하는 피딩롤러가 구비되고,
    제1 필름의 특정 위치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피딩롤러가 정지되고, 상기 피딩롤러 정지시 상기 커팅기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하는 위치로의 필름 합지를 가능케하는 필름합지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의 일면에는 점착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커팅기를 거친 후 커팅된 제2 필름에서 제거되어야 할 스크랩은 상기 점착시트에 접착되어 스크랩제거용 롤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하는 위치로의 필름 합지를 가능케하는 필름합지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의 일면에는 점착시트가 구비되고 타면에는 리무버시트가 구비되어,
    상기 커팅기를 거친 후 커팅된 제2 필름에서 제거되어야 할 스크랩은 상기 점착시트에 접착되어 스크랩제거용 롤러를 통해 배출되고,
    제1 필름에 합지되어야 할 제2필름의 커팅부는 상기 리무버시트에 점착되어 제1 필름 상면으로 공급된 후 상기 리무버시트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하는 위치로의 필름 합지를 가능케하는 필름합지방법.
KR1020140184866A 2014-12-19 2014-12-19 원하는 위치로의 필름 합지를 가능케하는 필름합지방법 KR20160075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866A KR20160075192A (ko) 2014-12-19 2014-12-19 원하는 위치로의 필름 합지를 가능케하는 필름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866A KR20160075192A (ko) 2014-12-19 2014-12-19 원하는 위치로의 필름 합지를 가능케하는 필름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192A true KR20160075192A (ko) 2016-06-29

Family

ID=5636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866A KR20160075192A (ko) 2014-12-19 2014-12-19 원하는 위치로의 필름 합지를 가능케하는 필름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51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1946A (zh) * 2021-08-12 2021-11-05 深圳市领滔科技有限公司 带丝网复合片材的模切工艺及带丝网复合片材的模切产线
CN115367188A (zh) * 2021-06-11 2022-11-22 广东聚华印刷显示技术有限公司 贴膜设备及贴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7188A (zh) * 2021-06-11 2022-11-22 广东聚华印刷显示技术有限公司 贴膜设备及贴膜方法
CN115367188B (zh) * 2021-06-11 2023-10-27 广东聚华印刷显示技术有限公司 贴膜设备及贴膜方法
CN113601946A (zh) * 2021-08-12 2021-11-05 深圳市领滔科技有限公司 带丝网复合片材的模切工艺及带丝网复合片材的模切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9057C (en) Method and device for machining of a substrate
EP3145707B1 (en) A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blanks for boxes to measure
KR101227318B1 (ko) 골판지 시트의 제함 방법 및 장치
US9427824B2 (en) Laser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6335679B (zh) 吸嘴安装装置
KR20190084062A (ko) 박판 패킷을 형성하도록 박판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107141A (zh) 顺序输送加工方法
KR102404902B1 (ko) 리본 시트 상에서 정밀한 레이저 커팅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160075192A (ko) 원하는 위치로의 필름 합지를 가능케하는 필름합지방법
JP2017143191A (ja) 積層コア形成用の積層材製造装置
JP2009202339A (ja) 製袋機の断裁装置
JP2008200766A (ja) 断裁装置および製袋機
KR20070034139A (ko) 급지 및 절취수단을 갖는 라미네이팅 장치
MX2020012791A (es) Sistema de pre-corte de envases.
KR20190074127A (ko)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JP2009255183A (ja) 加工対象シートのハーフカット加工方法およびフレキシブルダイ並びにロータリ加工装置
JP2006315060A (ja) 板金加工システム及び板金加工方法
JP2018069615A (ja) ラミネータ及びラミネート方法
TWI766199B (zh) 光學膜片的孔洞加工裝置以及方法
JP5063193B2 (ja) ラベル連続体の生産装置
JP2014168329A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鉄心の製造ライン
JP2009148843A (ja) 薄板状部品製造装置及び薄板状部品製造方法
KR101643190B1 (ko) 슬릿북 라미네이터 및 슬릿북 라미네이팅 방법
JP2003080494A (ja) 樹脂付き銅箔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TW201536207A (zh) 增強膜黏著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