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130A - 샴푸용 휠체어 도크 - Google Patents

샴푸용 휠체어 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130A
KR20160075130A KR1020140184728A KR20140184728A KR20160075130A KR 20160075130 A KR20160075130 A KR 20160075130A KR 1020140184728 A KR1020140184728 A KR 1020140184728A KR 20140184728 A KR20140184728 A KR 20140184728A KR 20160075130 A KR20160075130 A KR 20160075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supporter
lower plate
shampoo
d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효성
Original Assignee
윤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효성 filed Critical 윤효성
Priority to KR102014018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5130A/ko
Publication of KR2016007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45D19/08Adaptations of wash-bas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휠체어를 탄 채로 안락한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제3자가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용이하게 감길 수 있는 샴푸용 휠체어 도크에 관한 것으로, 하부플레이트에 진입한 휠체어의 핸들부는 핸들서포터로 지지하고 휠체어의 바퀴는 휠체어서포터의 백유닛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자신의 휠체어를 탄 채로 휠체어 도크에 진입하여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는 동안 제3자가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용이하게 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샴푸용 휠체어 도크{Wheelchair Dock For Shampoo}
본 발명은 휠체어 도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휠체어를 탄 채로 안락한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제3자가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용이하게 감길 수 있는 샴푸용 휠체어 도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는 머리를 감거나 목욕을 하기 위해서는 제3자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기 마련인데, 목욕의 경우에는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단순히 목욕용 베드에 눕힌 채로 실시할 수 있어 별 어려움이 없는 반면, 머리만을 감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워 제3자는 물론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애를 먹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08130호는 도어부착 목욕장치를 제안하고 있는데, 상기 도어부착 목욕장치는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휠체어에 앉아있는 상태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위생적이고 목욕용 물을 절약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상기 도어부착 목욕장치에 특화된 휠체어가 자체 구비되어 있어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자신의 휠체어에서 일어나 옮겨 앉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높고 대중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08130호(1999년04월14일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휠체어를 탄 채로 안락한 자세를 유지한 하는 동안 제3자가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용이하게 감길 수 있는 샴푸용 휠체어 도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샴푸용 휠체어 도크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길 수 있도록 수도 시설이 구비된 샴푸대가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휠체어가 전방에서 후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전방에 경사로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좌우측에서 각각 상방으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사이드플레이트 각각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 공간을 가로지르는 원형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경사로를 통해 후진으로 진입한 휠체어의 핸들부를 지지하는 핸들서포터;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경사로를 통해 후진으로 진입한 휠체어가 안착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상방으로 형성되어 휠체어 바퀴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판 형상의 백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는 휠체어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휠체어서포터는, 상기 베이스유닛과 백유닛의 경계를 회전축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상기 휠체어서포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리프팅 페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플레이트에 진입한 휠체어의 핸들부는 핸들서포터로 지지하고 휠체어의 바퀴는 휠체어서포터의 백유닛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자신의 휠체어를 탄 채로 휠체어 도크에 진입하여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는 동안 제3자가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용이하게 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휠체어서포터가 하부플레이트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휠체어서포터 상에 안착된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휠체어를 일정한 각도로 후방으로 안전하게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자세로 머리를 감을 수 있고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휠체어에 앉은 채로 머리를 감더라도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샴푸용 휠체어 도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샴푸용 휠체어 도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샴푸용 휠체어 도크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샴푸용 휠체어 도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샴푸용 휠체어 도크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샴푸용 휠체어 도크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샴푸용 휠체어 도크는 후방 일측에 샴푸대(110)가 구비되고 전방에 경사로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10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플레이트(200)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00)의 상방을 가로지르며 형성되어 있는 핸들서포터(30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0) 상에 구비되어 있는 휠체어서포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휠체어서포터(40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의 경사로를 통해 진입한 휠체어(10)가 안착되는 베이스유닛(410)과, 상기 베이스유닛(410)에 안착한 휠체어(10)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휠체어(10)의 바퀴를 지지하는 백유닛(4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휠체어서포터(40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00) 상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베이스유닛(410)과 백유닛(420)의 경계를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휠체어서포터(400)가 회동하더라도 휠체어(10)의 바퀴를 상기 백유닛(420)이 지지하여 휠체어(10)가 뒤로 밀리는 상황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게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감겨 줄 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휠체어서포터(400)의 회동을 샴푸용 휠체어 도크를 사용하여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감겨주고자 하는 제3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100) 상에 풋페달(430)을 구비하여 두는 것도 좋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샴푸대(100)는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감겨 줄 수 있도록 샤워기나 수도꼭지, 개수대 등과 같은 수도 시설이 구비되어 있는데,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키나 휠체어의 크기 등에 맞추어 상기 샴푸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샴푸대(100) 인근의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00) 상부에 샴푸나 기타 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샴푸 수납함(210)을 구비하도록 하여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감겨주고자 하는 제3자의 편의를 도모하여 주도록 한다.
상기 핸들서포터(300)는 상기 샴푸대(100)의 전방에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00)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휠체어서포터(400)에 안착한 휠체어(10)의 핸들부가 걸려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서포터(300)는 단순히 바 형태로만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충격을 흡수하고 안전하게 휠체어(10)의 핸들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쿠션부재를 더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휠체어서포터(400)가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휠체어서포터(400)의 백유닛(420)과 함께 상기 핸들서포터(300)가 휠체어(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금속과 같은 재질로 상기 핸들서포터(300)를 튼튼하게 제작하도록 한다.
아울러, 휠체어(10)의 크기 등에 맞추어 상기 핸들서포터(30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거나 상기 핸들서포터(300)가 일정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샴푸용 휠체어 도크의 작동을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앉아 있는 휠체어(10)를 후진시켜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의 경사로를 이용하여 샴푸용 휠체어 도크에 진입시키도록 하고, 계속 후진시켜 상기 하부플레이트(100) 상에 구비되어 있는 휠체어서포터(400)의 베이스유닛(410)에 휠체어(10)를 안착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휠체어서포터(400)의 백유닛(420)에 휠체어(10)의 바퀴가 닿을 때까지 휠체어(10)를 후진시켜 상기 휠체어서포터(400) 내에 휠체어(10)가 완전히 들어와 안전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휠체어(10)가 상기 휠체어서포터(400) 상에 안전하게 자리를 잡은 후에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감겨주고자 하는 제3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00) 상에 구비된 풋페달(430)을 조작하여 상기 휠체어서포터(400)를 일정한 각도로 회동시켜 준다.
상기 휠체어서포터(400)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휠체어서포터(400)에 안착하고 있는 휠체어(10) 또한 같이 회동하여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휠체어(10)가 기울어짐에 따라 휠체어(10)의 바퀴는 상기 휠체어서포터(400)의 백유닛(420)이 지지하게 되고, 휠체어(10)의 핸들부는 상기 핸들서포터(300)가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휠체어서포터(400)에 의하여 휠체어(10)가 후방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휠체어(10)에 앉아 있는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머리를 감는 동안 물에 젖지 않게 되며, 휠체어(10)에도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휠체어(10)의 수명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휠체어서포터(400)가 회동하여 휠체어(10)를 기울어지도록 함에 따라 휠체어(10)에 앉아 있는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게 되는데,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받혀 줄 수 있도록 상기 샴푸대(100)에 별도의 지지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휠체어서포터(400)를 회동시켜 휠체어(10)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인 다음에는 샴푸대(110)에 구비된 샤워기나 수도꼭지, 개수대 등을 이용하여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감겨 주도록 하는데,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00) 상에 구비된 샴푸 수납함(210)에 의하여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감겨 주고 있는 제3자가 샴푸 등을 가져오느라 여기저기 이동하거나 샴푸 등을 찾느라 시간을 허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샴푸대(110)에 구비된 각종 시설을 이용하여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감겨 준 후에 제3자는 풋페달(430)을 조작하여 상기 휠체어서포터(400)를 원래 상태로 회동시키도록 한다.
물론, 상기 휠체어서포터(400)를 회동시키기 전에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머리를 수건이나 드라이 등으로 말려주어 샴푸 후 남아 있는 물기를 제거하여 줌으로써 샴푸 후 물기에 의하여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젖거나 휠체어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휠체어서포터(400)를 원래 상태로 회동시킨 후에 휠체어(10)를 전진시켜 상기 휠체어서포터(400)를 빠져나오도록 하며, 계속하여 하부플레이트(100)의 경사로를 따라 휠체어(10)를 전진시켜 샴푸용 휠체어 도크에서 안전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치환 등에 의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휠체어
100 - 하부플레이트
110 - 샴푸대
200 - 사이드플레이트
210 - 샴푸 수납함
300 - 핸들서포터
400 - 휠체어서포터
410 - 베이스유닛
420 - 백유닛
430 - 풋페달

Claims (3)

  1. 사용자의 머리를 감길 수 있도록 수도 시설이 구비된 샴푸대가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휠체어가 전방에서 후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전방에 경사로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좌우측에서 각각 상방으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사이드플레이트 각각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 공간을 가로지르는 원형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경사로를 통해 후진으로 진입한 휠체어의 핸들부를 지지하는 핸들서포터;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경사로를 통해 후진으로 진입한 휠체어가 안착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상방으로 형성되어 휠체어 바퀴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판 형상의 백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는 휠체어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용 휠체어 도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서포터는,
    상기 베이스유닛과 백유닛의 경계를 회전축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용 휠체어 도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상기 휠체어서포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풋페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용 휠체어 도크.
KR1020140184728A 2014-12-19 2014-12-19 샴푸용 휠체어 도크 KR20160075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728A KR20160075130A (ko) 2014-12-19 2014-12-19 샴푸용 휠체어 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728A KR20160075130A (ko) 2014-12-19 2014-12-19 샴푸용 휠체어 도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130A true KR20160075130A (ko) 2016-06-29

Family

ID=5636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728A KR20160075130A (ko) 2014-12-19 2014-12-19 샴푸용 휠체어 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51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328B1 (ko) 2020-02-07 2020-09-08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목욕용 안전 휠체어
KR20210116001A (ko) * 2020-03-17 2021-09-27 왕미선 장애인용 정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8130B1 (ko) 1994-04-06 1999-07-15 야나이 요시히코 도어부착 목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8130B1 (ko) 1994-04-06 1999-07-15 야나이 요시히코 도어부착 목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328B1 (ko) 2020-02-07 2020-09-08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목욕용 안전 휠체어
KR20210116001A (ko) * 2020-03-17 2021-09-27 왕미선 장애인용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75247B2 (ja) 多機能車椅子
KR20170088245A (ko) 장애인 또는 노인용 목욕 의자
US20080022448A1 (en) Bathing aid
KR102038996B1 (ko) 목욕용 의자
KR20160075130A (ko) 샴푸용 휠체어 도크
US5539939A (en) Bath chair
US6408456B1 (en) Swivel tub and shower chair system
JP6769653B2 (ja) 入浴介護装置
JP5348585B2 (ja) 椅子と一体化した施術装置
JP7305145B2 (ja) 入浴装置
KR101537907B1 (ko) 다기능 휠체어
JP7333899B2 (ja) 手すり装置
JP6268340B1 (ja) 浴槽用車椅子
JP2001353089A (ja) 浴 槽
JP2004113255A (ja) 椅子
JP2002209798A (ja) 手摺装置
KR102505407B1 (ko) 용변 가능한 목욕용 접이식 의자
JP3167780U (ja) シャワー椅子
KR102530064B1 (ko)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변기 착석 보조장치
JP2015171483A (ja) 足湯器
JP2004105396A (ja) サドルつき歩行器
JP5894328B1 (ja) 介護補助装置
JP2017086795A (ja) 椅子
JP3094671U (ja) 理美容室用洗面台とその洗面ボール
KR101326767B1 (ko) 이동 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