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460A - 광학용 투명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용 투명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460A
KR20160073460A KR1020140181417A KR20140181417A KR20160073460A KR 20160073460 A KR20160073460 A KR 20160073460A KR 1020140181417 A KR1020140181417 A KR 1020140181417A KR 20140181417 A KR20140181417 A KR 20140181417A KR 20160073460 A KR20160073460 A KR 20160073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olymer
weight
adhesive resin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987B1 (ko
Inventor
유종성
조용열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987B1/ko
Priority to US14/801,013 priority patent/US10446788B2/en
Priority to CN201510824535.5A priority patent/CN105694798B/zh
Priority to JP2015230973A priority patent/JP6854077B2/ja
Publication of KR2016007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460A/ko
Priority to US16/566,963 priority patent/US113490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81Unsaturated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8141Unsaturated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masked
    • C08G18/81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masked with 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81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masked with 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1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masked with 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esters of acrylic or alkyl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4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7/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탄성력과 접착력이 향상된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결정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와 결정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이 커버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된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광학용 투명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OPTICALLY CLEAR RESIN COMPOSITION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학용 투명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와 같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활용되고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윈도우,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윈도우의 사이에 개재된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과 상기 커버윈도우의 사이에 개재된 점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최근 들어, 상기 비표시 영역의 폭을 감소시키는 구조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면서, 상기 편광판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중첩 영역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탄성력 및 점착력이 향상된 광학용 투명 점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에어포켓(air pocket)이 시인되지 않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고온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은, 반복 단위 내에 에스터(ester) 결합을 포함하는 에스터(ester)계 중합체; 반복 단위 내에 (메트)아크릴산 에스터((meth)acrylate ester) 결합을 포함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 고무계 중합체; 및 결정성 중합체(crystalline polymer); 를 포함한다.
상기 에스터계 중합체는 분자량이 3000 이상 내지 60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중합체는 분자량이 2000 이상 내지 60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결정성 중합체는 분자량이 4000 이상 내지 60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에스터계 중합체는 함량이 중합체의 전체의 중량에 대해서 20 중량% 이상 내지 40 중량% 이하일 수 있고,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는 함량이 중합체 전체의 중량에 대해서 10 중량% 이상 내지 35 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고무계 중합체는 함량이 중합체 전체의 중량에 대해서 14 중량% 이상 내지 35 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결정성 중합체는 함량이 중합체 전체의 중량에 대해서 4 중량% 이상 내지 53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결정성 중합체는 상기 고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30 중량부 이상 내지 15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상기 고무계 중합체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네오프렌, 폴리이소부티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일 수 있다.
한편,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상기 결정성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Syndiotatic 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카보네이트-디올(Polycarbonate-diol),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디피에이에이)(Poly(DPAA)),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 imide, PEI),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등일 수 있다. 다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투명 영역과 상기 투명 영역의 외측에 배치된 불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윈도우(cover window);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된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윈도우의 사이에 개재된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과 상기 표시패널을 덮고 있고 상기 결정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을 포함한다.
상기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은 유리전이온도(Tg)가 4 ℃ 이상 내지 1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은 모듈러스(modulus)가 0.17 이상 내지 0.25 M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은 25 ℃ 에서의 전단강도가 300 N/cm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은 85 ℃ 에서의 전단강도가 65 N/cm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은 상기 고무계 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중합체와 상기 결정성 중합체는 중량비가 1:0.3 이상 내지 1:1.5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투명 영역과 상기 투명 영역의 외측에 배치된 불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윈도우;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된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윈도우의 사이에 개재된 편광판; 및 상기 투명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불투명 영역과 중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결정화도가 서로 상이하다.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광학적 특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굴절률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광 투과율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에는 에어포켓(air pocket)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 영역에는 에어포켓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을 향해 움푹 파인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용 투명 점착 조성물은 향상된 탄성력과 향상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에어포켓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고온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을 구성하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에 사용된 결정성 중합체와 고무계 중합체 각각의 온도와 열류량(heat flow)의 관계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3의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을 구성하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의 온도와 모듈러스 또는 온도와 손실팩터(tan δ)의 관계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3의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을 구성하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의 응력(stress)과 변형(strain) 의 관계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3의 표시장치에 사용된 편광판의 열기계적 특성 분석 (Thermomechanical Analysis, TMA)결과로서, 시간에 따른 수축률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고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다만, 표시장치(10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도 1의 불투명층은 생략하였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표시장치(1000)는 커버윈도우(100), 금속배선(130), 집적회로 칩(140),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200),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 터치스크린패널(400), 터치스크린회로필름(500), 편광판(600), 연성인쇄회로기판(700), 인쇄회로기판(750) 및 지지부재(8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을 제외하고, 커버윈도우(100)의 하부에 배치된 표시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이 적층된 구조체를 표시모듈(display module, DM)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하부에 배치된 표시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은 금속배선(130), 집적회로 칩(140) 표시패널(200), 터치스크린패널(400), 편광판(600), 연성인쇄회로기판(700), 인쇄회로기판(750) 및 지지부재(800) 등일 수 있다.
표시장치(1000)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변환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표시장치(1000)의 일례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윈도우(100)는 외부 충격에 대해 표시패널(200)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윈도우(100)는 투명기판(110)과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배치된 불투명층(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투명기판(110)은 글라스(glass) 또는 투명수지(resin)일 수 있다. 불투명층(111)은 외부에서 표시패널(200)의 주변영역(NA1, NA2)에 장착된 금속배선(130), 집적회로 칩(140), 연성인쇄회로기판(700) 등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불투명층(111)은 유색 인쇄층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블랙 잉크가 인쇄된 블랙잉크 인쇄층일 수 있다.
커버윈도우(100)는 투명 영역(DA)와 투명 영역(DA)의 외측에 배치된 불투명 영역(ND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00)에서 발생한 화상은 투명 영역(DA)을 통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불투명 영역(NDA)은 불투명층(111)에 의해 형성되고, 표시패널(200)에서 발생한 화상은 불투명 영역(NDA)을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는다. 불투명층(111)은 지지부재(800)의 측벽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불투명 영역(NDA)은 표시패널(200)의 주변영역(NA1, NA2)과 중첩되고, 투명 영역(DA)은 표시패널(200)의 표시 영역과 중첩된다.
표시패널(200)은 유기발광표시패널일 수 있다. 표시패널(200)은 제1 표시판(210)과 제2 표시판(212)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제1 표시판(210)은 박막트랜지스터기판일 수 있고, 제2 표시판(212)은 수분 또는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봉지기판일 수 있다. 제2 표시판(220)은 제1 표시판(210)에 비해 작은 크기 또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주변영역(NA1, NA2)은 제1 표시판(210)과 제2 표시판(212)이 중첩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금속배선(130)과 집적회로 칩(140) 등과 같이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 화소(미도시)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표시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는 영역이다.
금속배선(130)은 복수의 주사선 또는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금속배선(130)은 집적회로 칩(140)을 통해 제1 표시판(210)과 연성인쇄회로기판(7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집적회로 칩(140)은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제1 주변 영역(NA1)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400)은 커버윈도우(100)와 제2 표시판(2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회로필름(500)은 터치스크린패널(400)의 전극(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회로필름(500)은 제2 주변영역(NA2)와 중첩되는 영역에서 터치스크린패널(400)에 장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400)과 터치스크린회로필름(500)은 생략될 수 있다.
편광판(600)은 커버윈도우(100)와 터치스크린패널(4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600)은 외광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편광판(600)은 터치스크린패널(400)의 일면 전부를 덮고 있을 수 있다. 편광판(600)의 일부는 커버윈도우(100)의 불투명 영역(NDA)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700)은 인쇄회로기판(750)을 표시패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700)은 제1 표시판(210) 하부 측으로 구부러져 인쇄회로기판(750)을 제1 표시판(2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750)은 구동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소자들(미도시)과, 외부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커넥터(1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750)은 돌출부(750P)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커넥터(136)는 돌출부(750P)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800)는 표시패널(200)을 수납 및 지지할 수 있다. 제1 표시판(210)은 지지부재(800)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지지부재(800)는 측벽에 개구부(800A)가 형성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700)은 개구부(800A)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지지부재(800)는 강성이 높은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커버윈도우(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커버윈도우(100)와 표시모듈(DM) 의 사이에 배치된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커버윈도우(100)와 표시모듈(DM) 의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있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커버윈도우(100)와 표시모듈(DM) 을 합착시킬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을 커버윈도우(100)의 일면에 도포한 후,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이 도포된 커버윈도우(100)의 일면을 표시모듈(DM)의 일면과 대면시킨 후, 자외선(UV)를 조사하여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투명 영역(DA)내에서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접합될 수 있고, 불투명 영역(NDA)내에서 불투명층(111)에 접합될 수 있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표시패널(200)의 주변 영역(NA1, NA2)을 덮고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금속배선(130), 터치스크린패널(400) 및 터치스크린회로필름(500)은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으로 덮혀 있을 수 있다. 또한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편광판(600)을 덮고 있을 수 있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결정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결정성 중합체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의 탄성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정성 중합체는 준결정성 중합체(semi-crystalline poymer)를 포함한다. 비결정성 중합체는 고분자 사슬(PS)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은 비결정성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결정성 중합체와 달리, 결정성 중합체는 고분자 사슬(PS)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결정영역(CP)이 존재한다.
결정성 중합체는 비결정성 중합체와 달리 융점(melting point, m.p.)과 결정화 온도(crystallization temperature)를 갖는다. 융점(m.p.)은 결정영역(CP)의 고분자 사슬(PS)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가 흩어질 때의 온도이고, 결정화 온도는 결정영역(CP)이 형성되는 속도가 최대인 때의 온도이다.
비결정성 중합체가 유리전이온도(Tg)만을 가지는 반면에, 결정성 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 결정화 온도(Tc) 및 융점(m.p.)을 모두 갖는 점에서 비결정성 중합체와 차이가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을 구성하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에 사용된 결정성 중합체와 고무계 중합체 각각의 열시차 분석(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결과로서, 온도와 열류량(heat flow)의 관계 그래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가로축은 온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열류량(heat flow)을 나타낸다. 제1 그래프(G1)은 결정성 중합체의 흡열 곡선이고, 제2 그래프(G2)는 고무계 중합체의 흡열 곡선이다.
제1 그래프(G1)를 참고하면, 대략 60℃ 부근에서 흡열피크(peak)가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흡열량이 대략 60℃ 부근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제2 그래프(G2)를 참고하면, 대략 -50℃ 부근에서 열류량의 변화가 관찰되기는 하지만, 제1 그래프(G1)와 같은 흡열피크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결과로부터, 결정성 중합체는 대략 60℃ 부근에서의 융점을 가지는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무계 중합체는 대략 -50℃ 부근에서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는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무계 중합체는 비결정성 중합체임을 알 수 있었다.
결정영역(CP)과 고분자 사슬(PS)들의 사이에는 분자간의 힘이 존재한다. 일례로, 결정영역(CP)과 고분자 사슬(PS)들 사이에 존재하는 분자간의 힘은 반데르발스 힘일 수 있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결정영역(CP)과 고분자 사슬(PS)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향상된 접착력과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5, 도 6 그리고, 표 1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결정성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Syndiotatic 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카보네이트-디올(Polycarbonate-diol),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디피에이에이)(Poly(DPAA)),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 imide, PEI),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등일 수 있다.
결정성 중합체는 40 ℃ 이상 내지 100 ℃의 범위에서 융점을 가질 수 있고, 이 때, 결정성 중합체는 실온(20 ℃ 이상 내지 25 ℃ 이하)에서 결정질을 가질 수 있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고무계 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무계 중합체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고무계 중합체는 비결정질 중합체로서,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고분자 사슬들의 자유로운 운동에 의해 우수한 탄성력과 신장성 등을 가질 수 있다. 고무계 중합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네오프렌, 폴리이소부티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다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결정성 중합체와 고무계 중합체의 중량비는 1:0.3 이상 내지 1:1.5 이하일 수 있다. 결정성 중합체와 고무계 중합체의 중량비는 1:0.5 이상 내지 1:1.2 이하일 수 있다. 비제한적이고 구체적인 일례에서, 결정성 중합체와 고무계 중합체의 중량비는 1:1 일 수 있다.
결정성 중합체는 4000 이상 내지 6000 이하의 분자량을 가진 화합물일 수 있다. 결정성 중합체는 상기한 분자량 범위 내에서 향상된 탄성력과 향상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결정성 중합체는 상기한 분자량 범위 내에서 용해될 수 있다.
고무계 중합체는 2000 이상 내지 6000 이하의 분자량을 가진 화합물일 수 있다. 고무계 중합체는 상기한 분자량 범위 내에서 향상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무계 중합체는 상기한 분자량 범위 내에서 용해될 수 있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에스터계 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스터계 중합체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에 강성(rigidity)을 제공할 수 있다.
에스터계 중합체는 반복 단위 내에 에스터(ester)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체로서,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카르바민산 에스테르계 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르바민산 에스테르계 중합체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oligomer)일 수 있다.
에스터계 중합체는 3000 이상 내지 6000 이하의 분자량을 가진 화합물일 수 있다. 에스터계 중합체는 상기한 분자량 범위 내에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층(300)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는 반복 단위 내에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체로서,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iso-propyl (meth)acrylate),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butyl (meth)acrylate),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iso-butyl (meth)acrylate),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t-butyl (meth)acrylate),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iso-octyl (meth)acrylate), 네오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neo pentyl (meth)acrylate),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2-ethyl hexyl (meth)acrylate),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lauryl (meth)acrylate), 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iso-bornyl (meth)acrylate), 테트라히드로퍼퓨릴(메트)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cyclohexyl (meth)acrylate),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2-hydroxyehtyl (meth)acrylate) 및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4-hydroxy butyl (meth)acryl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들의 광중합체 또는 광중합된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광 조사에 의해 라디칼(radical)을 발생시켜 광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단파장 개시제, 장파장 개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벤조인계 개시제, 히드록시 케톤계 개시제, 아미노케톤계 개시제 또는 포스핀 옥시드계 개시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아세토페논, 디메틸아니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thioxanthone),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에스터계 중합체는 함량이 중합체들의 총 중량에 대해서 20 중량% 이상 내지 40 중량% 이하일 수 있고,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는 함량이 중합체들의 총 중량에 대해서 10 중량% 이상 내지 35 중량% 이하일 수 있며, 고무계 중합체는 함량이 중합체들의 총 중량에 대해서 14 중량% 이상 내지 35 중량% 이하일 수 있고, 결정성 중합체는 함량이 중합체들의 총 중량에 대해서 4 중량% 이상 내지 53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에스터계 중합체,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 고무계 중합체, 결정성 중합체가 각각 상기한 함량 범위 내에서 블렌딩될 때, 공정에 필요한 점도를 제공할 수 있고, 외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강성과 향상된 탄성력과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첨가제와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첨가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첨가제는 중합체들의 총 중량에 대해 1 중량부 이상 내지 10 중량부 이하의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이 100 중량부일 때, 1 중량부 이상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첨가제는 커플링제(coupling agent), 점착증진제, 황변방지제, 산화방지제 등일 수 있다.
커플링제는 고분자와 유리나 탄소섬유 등의 계면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플링제는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 점착제가 장기간 방치되었을 경우에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커플링제는 실란계 커플링제, 티탄산염계 커플링제, 크롬계 커플링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실란 커플링제(silan coupling agent)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디에톡시 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머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γ-메타크릴록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γ-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γ-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3-이소시아네이토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γ-아세토아세테이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γ-아세토아세테이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β-시아노아세틸 트리메톡시 실란, β-시아노아세틸 트리에톡시 실란, 아세톡시아세토트리메톡시 실란 등일 수 있다.
점착증진제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의 점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점착증진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로진수지, 로진에스테르수지, 테르펜페놀수지, 테르펜수지 등일 수 있다.
황변방지제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의 황변을 방지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황변 방지제는 3-(2H-벤조트리아졸-2-일)-5-(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벤젠 프로판산의 탄소수 7개-9개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에스테르, 2-(벤조트리아졸-2-일)-4-(2,4,4-트리메틸펜탄-2-일)페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4-히드록시벤조페논, 2,4-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2,4-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2,4-디페닐-6-(2-히드록시-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또는 2,4-디페닐-6-(2-히드록시-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등일 수 있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유리전이온도(Tg)가 4 ℃ 이상 내지 10 ℃ 이하일 수 있다. 도 5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을 구성하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의 동적기계분석(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 결과로서, 온도와 모듈러스 또는 온도와 손실팩터(tan δ)의 관계 그래프이다.
동적기계분석(DMA)에 필요한 실험시료와 비교시료를 하기의 과정을 통해서 제조하였다. 동적기계분석(DMA)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에서 제조된 시료와 비교예의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시료의 제조>
앵커형 임펠러(anchor-type impeller), 온도계, 적하기구(dropping funnel)가 장착된 3-목(neck) 유리 반응용기에 테트라히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acrylate),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Iso bornyl methacrylate), 라우릴 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및 n-옥틸 아크릴레이트(n-octyl acrylate)의 혼합물 30g을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를 유지시켰다.
45℃ 에서 50℃ 사이의 온도에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0g, 폴리이소프렌 20g 및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20g을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광중합 개시제 3 g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1 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한 후에 광중합 개시제가 해리되면 첨가제와 실란 커플링제를 더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비교시료의 제조>
앵커형 임펠러(anchor-type impeller), 온도계, 적하기구(dropping funnel)가 장착된 3-목(neck) 유리 반응용기에 테트라히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acrylate),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Iso bornyl methacrylate), 라우릴 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및 n-옥틸 아크릴레이트(n-octyl acrylate)의 혼합물 30g을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를 유지시켰다.
45℃ 에서 50℃ 사이의 온도에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0g과 폴리이소프렌 40g 을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광중합 개시제 3 g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1 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한 후에 광중합 개시제가 해리되면 첨가제와 실란 커플링제를 더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도 5를 참고하면, 가로축은 온도를 나타내고, 좌측 세로축은 모듈러스를 나타내며, 우측 세로축은 손실팩터(tan δ)를 나타낸다.
제3 그래프(G3)는 실험시료의 온도에 따른 모듈러스 변화 곡선이고, 제4 그래프(G4)는 비교시료의 온도에 따른 모듈러스 변화 곡선이다. 제5 그래프(G5)는 실험시료의 온도에 따른 손실팩터(tan δ) 변화 곡선이고, 제6 그래프(G6)는 비교시료의 온도에 따른 손실팩터(tan δ) 변화 곡선이다.
제3 그래프(G3)를 참고하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모듈러스 값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제5 그래프(G5)를 참고하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손실팩터(tan δ) 값이 점차 증가하다가 대략 7 ℃ 부근에서 최정점을 보인 후, 점차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제2 그래프(G2)를 참고하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모듈러스 값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제4 그래프(G4)를 참고하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손실 팩터(tan δ) 값이 점차 증가하다가 대략 -3 ℃ 부근에서 최정점을 보인 후, 점차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실험시료는 대략 7 ℃ 부근에서 유리전이온도(Tg)가 나타나고, 비교시료는 대략 -3 ℃ 부근에서 유리전이온도(Tg)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결정성 중합체인 폴리카프로락톤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시료는 대략 -3 ℃ 부근에서 유리전이온도(Tg)가 나타나지만, 폴리카프로락톤을 포함하는 실험시료는 대략 7 ℃ 부근에서 유리전이온도(Tg)가 나타난다.
이는 폴리카프로락톤의 결정영역(CP)이 실험시료의 물성에 영향을 미친 결과이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모듈러스(modulus)가 0.17 이상 내지 0.25 Mpa 이하이다.
도 6은 도 3의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을 구성하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의 응력(stress)과 변형(strain) 의 관계 그래프이다.
만능재료시험기(Universial testing machine)를 이용하여 실험시료의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길이 30mm, 폭 10mm의 실험시료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만능재료시험기의 상부 지그와 하부 지그로 고정한 후, 50 mm/min의 속도로 인장시켰다.
도 6을 참고하면, 가로축은 변형률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응력을 나타낸다. 모듈러스는 변형률에 대한 응력의 기울기로 측정할 수 있다. 제7 그래프(G7)를 참고하면, 변형률이 대략 100%인 때, 응력이 대략 0.22 MPa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은 25 ℃ 에서의 전단강도가 300 N/cm2 이상이고, 85 ℃ 에서의 전단강도가 65 N/cm2 이상이다.
만능재료시험기(Universial testing machine)를 이용하여 실험시료와 비교시료의 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두께가 150 ㎛인 실험시료를 서로 이격된 슬라이드 글라스의 사이에서 경화시킨 후 슬라이드 글라스를 5 mm/min의 속도로 상하 반대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켰다. 마찬가지로, 두께가 150 ㎛인 비교시료를 서로 이격된 슬라이드 글라스의 사이에서 경화시킨 후 슬라이드 글라스를 5 mm/min의 속도로 상하 반대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켰다.
하기 표 1은 전단강도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하기 표 1을 참고하면, 실험시료가 비교시료에 비해 전단강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온도 비교시료 실험시료
25 ℃ 230 N/cm2 322 N/cm2
85 ℃ 61 N/cm2 70 N/cm2
한편, 도 7은 도 3의 표시장치(1000)에 사용된 편광판(600)의 열기계적 특성 분석(Thermomechanical Analysis, TMA)결과로서, 시간에 따른 수축률에 관한 그래프이다.
제8 그래프(G8)는 시간(min)에 대한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8 그래프(G8)를 참고하면, 최초 대략 20분 동안 대략 85 ℃까지 온도가 상승한 후, 대략 2 시간 동안 대략 85 ℃의 온도가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9 그래프(G9)는 시간(min)에 대한 편광판(600)의 수축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9 그래프(G9)를 참고하면, 편광판(600)은 대략 85 ℃의 온도에서 수축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편광판(601)은 도 3의 편광판(600)에 비해 수축영역(600S) 만큼 수축이 일어난 점에서 표시장치(1001)은 도 3의 표시장치(1000)와 상이하다.
편광판(601)의 수축력은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0)의 물성 변화를 유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1)은 제1 영역(301)과 제2 영역(301-1)로 구분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제1 영역(301)과 제2 영역(302)은 결정화도(Crystalinity)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결정화도는 전체 결정성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결정영역(CP)의 중량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제1 영역(301)은 투명 영역(DA)과 중첩되는 영역일 수 있고, 제2 영역(301-1)은 불투명 영역과 충접되는 영역일 수 있다.
결정화도의 측정법으로는 결정영역과 비결정영역의 두 밀도로부터 그 가감성을 가정하여 구하는 밀도법, 융해열의 측정에 의한 방법, X선 회절상의 강도 분포를 비결정영역에 의한 회절과 결정영역에 의한 회절로 분리하여 구하는 X선법 등이 알려져 있다.
결정화도는 결정화 온도, 냉각 속도, 외력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데,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1)의 점착력은 편광판(601)의 수축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영역(301-1)을 제1 영역(301)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장될 수 있고, 제1 영역(301)은 제2 영역(30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판(601)의 수축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1)과 불투명층(111) 사이의 점착력,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1)과 금속배선(130) 사이의 점착력,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1)과 표시패널(200) 사이의 점착력 등일 수 있다.
한편,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601)의 탄성력은 편광판(601)의 수축력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301-1)은 결정영역(도 3의 CP)의 밀도가 감소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영역(301)은 편광판(601)의 수축력이 집중될 수 있고, 따라서, 제1 영역(301)은 결정영역(도 3의 CP)의 밀도가 제2 영역(301-1)에 비해 클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영역(301)의 결정화도는 제2 영역(301-1)의 결정화도에 비해 클 수 있다. 결정화도가 클수록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은 고밀도를 가진다. 따라서, 제1 영역(301)과 제2 영역(301-1)은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의 밀도가 서로 상이하다.
제1 영역(301)과 제2 영역(301-1)의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의 밀도의 차이는 광학적 특성의 차이를 유발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제1 영역(301)과 제2 영역(301-1)은 광 투과율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301)은 제2 영역(301-1)에 비해 광 투과율이 작을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제1 영역(301)과 제2 영역(301-1)은 굴절률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301)은 제2 영역(301-1)에 비해 굴절률이 클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2)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의 표시장치(1002)는 옆면(302S)이 휘어진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2)을 포함하는 점에서 옆면(300S)이 휘어지지 않은 광학용 점착 수지막(300)을 포함하는 도 3의 표시장치(1000)와 상이하다.
도 9를 참고하면,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2)은 불투명영역(NDA)과 중첩되는 제2 영역(도 8의 301-1)에서 에어포켓(air pocket)(AG)이 발생될 수 있다. 다만, 투명영역(DA)과 중첩되는 제1 영역(도 8의 301)에는 에어포켓(AG)이 발생되지 않는다.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2)의 옆면(302S)은 편광판(601)의 수축에 의해 제1 영역(도 8의 301-1) 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옆면(302S)은 제1 영역(도 8의 301-1) 측으로 움푹 파인 곡면이 될 수 있고, 지지부재(800)의 측벽 사이에서 에어포켓(AG)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3)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의 표시장치(1003)은 광학용 점착 수지막(도 9의 302 참고)의 일부가 불투명층(111)으로부터 박리되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광학용 점착 수지막(303, 303R, 303Re)을 형성하는 점에서 도 9의 표시장치(1002)와 상이하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편광판(601)의 수축력을 견디지 못한 광학용 점착 수지막(도 9의 302 참고)이 불투명층(111)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불투명층(111)에 접합된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3R)과 연성인쇄회로기판(700), 금속배선(130) 및 집적회로 칩(140)에 접합된 광학용 투명 접착 수지막(303Re)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고,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3R)과 광학용 투명 접착 수지막(303Re)의 사이에는 에어포켓(AG)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어포켓(AG)은 불투명층(111),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303, 303Re) 및 지지부재(800)의 측벽의 사이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표시 장치
100: 커버 윈도우
200: 표시 패널
300: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
600: 편광판

Claims (20)

  1. 반복 단위 내에 에스터(ester) 결합을 포함하는 에스터계 중합체;
    반복 단위 내에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결합을 포함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
    고무계 중합체; 및
    결정성 중합체(crystalline polymer);
    를 포함하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Syndiotatic 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카보네이트-디올(Polycarbonate-diol),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디피에이에이)(Poly(DPAA)),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 imide, PEI) 및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중합체는 분자량이 3000 이상 내지 6000 이하이고,
    상기 고무계 중합체는 분자량이 2000 이상 내지 6000 이하이며,
    상기 결정성 중합체는 분자량이 4000 이상 내지 6000 이하인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중합체는 함량이 중합체 전체의 중량에 대해서 20 중량% 이상 내지 40 중량% 이하이고,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는 함량이 중합체 전체의 중량에 대해서 10 중량% 이상 내지 35 중량% 이하이며,
    상기 고무계 중합체는 함량이 중합체 전체의 중량에 대해서 14 중량% 이상 내지 35 중량% 이하이며,
    상기 결정성 중합체는 함량이 중합체 전체의 중량에 대해서 4 중량% 이상 내지 53 중량% 이하인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중합체는 상기 고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30 중량부 이상 내지 150 중량부 이하인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 조성물.
  6. 투명영역과 상기 투광영역의 외측에 배치된 불투명영역을 포함하는 커버윈도우(cover window);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에 배치된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윈도우의 사이에 개재된 편광판; 및
    결정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과 상기 표시패널을 덮고 있는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
    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Syndiotatic 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카보네이트-디올(Polycarbonate-diol),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디피에이에이)(Poly(DPAA)),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 imide, PEI), 폴리아세탈(Polyacetal) 및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표시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은 유리전이온도(Tg)가 4 ℃ 이상 내지 10 ℃ 이하인 표시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은 모듈러스(modulus)가 0.17 이상 내지 0.25 Mpa 이하인 표시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은 25 ℃ 에서의 전단강도가 300 N/cm2 이상이고, 85 ℃ 에서의 전단강도가 65 N/cm2 이상인 표시장치.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은 고무계 중합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무계 중합체와 상기 결정성 중합체는 중량비가 1:0.3 이상 내지 1:1.5 이하인 표시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계 중합체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네오프렌, 폴리이소부티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표시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계 중합체는 분자량이 2000 이상 내지 6000 이하이며,
    상기 결정성 중합체는 분자량이 4000 이상 내지 6000 이하인 표시장치.
  14. 투명영역과 상기 투명영역의 외측에 배치된 불투명영역을 포함하는 커버윈도우;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에 배치된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윈도우의 사이에 개재된 편광판; 및
    상기 투명영역과 중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불투명영역과 중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결정화도가 서로 상이한 광학용 투명 점착 수지막;
    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광학적 특성이 서로 상이한 표시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굴절률이 서로 상이한 표시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광 투과율이 서로 상이한 표시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는 에어포켓(air pocket)이 존재하지 않는 표시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는 에어포켓이 존재하는 표시장치.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을 향해 움푹 파인 곡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40181417A 2014-12-16 2014-12-16 광학용 투명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257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417A KR102257987B1 (ko) 2014-12-16 2014-12-16 광학용 투명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4/801,013 US10446788B2 (en) 2014-12-16 2015-07-16 Optically clear resin composi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510824535.5A CN105694798B (zh) 2014-12-16 2015-11-24 光学透明粘合剂树脂组合物和包括该组合物的显示装置
JP2015230973A JP6854077B2 (ja) 2014-12-16 2015-11-26 光学用透明粘着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US16/566,963 US11349095B2 (en) 2014-12-16 2019-09-11 Optically clear resin composi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417A KR102257987B1 (ko) 2014-12-16 2014-12-16 광학용 투명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460A true KR20160073460A (ko) 2016-06-27
KR102257987B1 KR102257987B1 (ko) 2021-05-31

Family

ID=5611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417A KR102257987B1 (ko) 2014-12-16 2014-12-16 광학용 투명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446788B2 (ko)
JP (1) JP6854077B2 (ko)
KR (1) KR102257987B1 (ko)
CN (1) CN10569479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523A (ko) * 2016-12-15 2018-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079043A (ko) *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7774A1 (en) * 2016-09-21 2018-03-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ve display film with glass
US11152580B2 (en) 2017-03-30 2021-10-19 Sharp Kabushiki Kaisha Flexible display device
CN107292226A (zh) * 2017-04-24 2017-10-24 麦克思商务咨询(深圳)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及电子装置
CN107749245A (zh) * 2017-10-11 2018-03-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oled显示屏及电子设备
KR102649331B1 (ko) * 2018-08-14 2024-03-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33441B1 (ko) 2018-12-03 2024-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유닛,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120845A (ko) * 2019-04-12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3997187A4 (en) * 2019-07-10 2023-03-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POSITIONABLE,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COMPOSITIONS
JP2021140082A (ja) * 2020-03-06 2021-09-1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0389A (ko) * 2000-07-31 2004-04-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폴리카프로락톤 접착 조성물
JP2009079119A (ja) * 2007-09-26 2009-04-16 Kaneka Corp 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および改質剤
KR20100001275A (ko) * 2008-06-26 2010-01-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76707A (ko) * 2009-12-29 2011-07-06 제일모직주식회사 저광 특성이 우수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4809B1 (ko) * 2012-01-10 2013-05-15 주식회사 애드위너 비극성소재 프라이머 또는 접착제용 폴리우레탄계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6177B2 (en) * 2000-07-31 2005-09-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red structure which thermally peeled with ease
US7189461B2 (en) 2003-03-04 2007-03-13 Air Products Polymers, L.P. Semi-crystalline ethylene vinyl acetate emulsion polymers for heat seal applications
JP2009186957A (ja) * 2007-04-09 2009-08-20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樹脂組成物及び表示装置
KR20100112148A (ko) * 2007-12-28 2010-10-18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화학선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US8273512B2 (en) 2009-06-16 2012-09-25 Xerox Corporation Photoreceptor interfacial layer
KR101558591B1 (ko) 2009-07-21 2015-10-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101211722B1 (ko) 2010-03-16 2012-1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12006321A (ja) * 2010-06-28 2012-01-12 Sumitomo Chemical Co Ltd ディスプレイ保護用樹脂板
JP5968587B2 (ja) * 2010-10-21 2016-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光学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CN103249553B (zh) * 2010-12-08 2015-01-21 旭硝子株式会社 带粘合层的透明面材、显示装置及它们的制造方法
JP5817354B2 (ja) * 2011-09-07 2015-11-18 Dic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粘着剤用樹脂組成物、粘着剤
KR20150046044A (ko) * 2012-08-20 2015-04-29 헨켈 차이나 컴퍼니 리미티드 디스플레이 적용을 위한 액체 광학적으로 투명한 광경화성 접착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0389A (ko) * 2000-07-31 2004-04-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폴리카프로락톤 접착 조성물
JP2009079119A (ja) * 2007-09-26 2009-04-16 Kaneka Corp 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および改質剤
KR20100001275A (ko) * 2008-06-26 2010-01-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76707A (ko) * 2009-12-29 2011-07-06 제일모직주식회사 저광 특성이 우수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4809B1 (ko) * 2012-01-10 2013-05-15 주식회사 애드위너 비극성소재 프라이머 또는 접착제용 폴리우레탄계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523A (ko) * 2016-12-15 2018-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079043A (ko) *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13611A (ja) 2016-06-23
US20160168432A1 (en) 2016-06-16
US11349095B2 (en) 2022-05-31
US20200006698A1 (en) 2020-01-02
JP6854077B2 (ja) 2021-04-07
CN105694798B (zh) 2020-10-30
KR102257987B1 (ko) 2021-05-31
CN105694798A (zh) 2016-06-22
US10446788B2 (en)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3460A (ko) 광학용 투명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0014259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교체가능한 커버 렌즈
JP6206070B2 (ja) 粘着剤付き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US8482836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968955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광학 필름용 점착 필름
CN113168789B (zh) 带粘合剂层的光学膜、图像显示面板及图像显示装置
KR20100009574A (ko) 투명 점착 시트 및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KR20180030748A (ko)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CN106459726B (zh) 触控面板用紫外线固化型树脂组合物、使用了该组合物的贴合方法和物品
CN106459675B (zh) 触控面板用紫外线固化型树脂组合物、使用了该组合物的贴合方法和物品
KR10197183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6459725B (zh) 触控面板用紫外线固化型树脂组合物、使用了该组合物的贴合方法和物品
JP2007140220A (ja) 表示装置
KR20170105523A (ko)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그것에 사용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터치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21261101A1 (ja) 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993273B1 (ko)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점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7395527B2 (ja) 前面板、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0208305A (ja) 貼り合わせ基板、表示装置、貼り合わせ基板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47465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9361B1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CN113168044A (zh) 图像显示面板、以及图像显示装置
KR20190036083A (ko)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JP6775042B2 (ja)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光学フィルム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らを作製するための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
KR20180075494A (ko) 터치패널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경화물 및 터치패널
TWI838402B (zh) 附黏著劑層之光學薄膜、影像顯示面板及影像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