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405A - 승강기내 사람 탑승 여부를 알 수 있는 승강기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내 사람 탑승 여부를 알 수 있는 승강기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405A
KR20160072405A KR1020140179964A KR20140179964A KR20160072405A KR 20160072405 A KR20160072405 A KR 20160072405A KR 1020140179964 A KR1020140179964 A KR 1020140179964A KR 20140179964 A KR20140179964 A KR 20140179964A KR 20160072405 A KR20160072405 A KR 20160072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erson
sensor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호정
Original Assignee
가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호정 filed Critical 가호정
Priority to KR1020140179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2405A/ko
Publication of KR2016007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종래 승강기 조작장치에는 승강기내 사람의 탑승여부를 알려주는 부분이 없었다. 그로 인해 승강기 이용시 승강기를 타려는 인원과 내리려는 인원이 부딪히는 사고가 일어나곤 한다. 승강기를 타려는 사람이 승강기내의 상황을 모르는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승강기를 먼저 타려고 하는 상황에서 벌어지는 사고인 것이다. 만약 승강기를 타려고 기다리는 사람이 승강기 안에 사람이 탑승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면 승강기가 도착해도 무의식적으로 승강기에 탑승하려 하지 않고 미리 탑승해 있던 사람이 먼저 내리도록 기다리게 되므로 사고를 미리 방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고를 미리 예방하고자 종래의 승강기 조작장치에 승강기내 사람의 탑승여부를 알려주는 표시방식을 포함하는 새로운 승강기 조작장치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내 사람 탑승 여부를 알 수 있는 승강기 조작장치 {ELEVATOR OP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승강기 조작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단순히 승강기의 상, 하 동작여부나 위치정보, 승강기내 사람의 만원정보 또는 승강기 콜 요청만을 할 수 있었던 조작장치에서 벗어나 승강기 이용 시 승강기 내부의 사람 탑승 여부를 알지 못해 일어나던 사고를 미리 방지 할 수 있게 하는 승강기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빌딩 등의 고층건물에서 많은 다수의 사람들이 이동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승강기를 이용한다. 승강기를 이용함에 있어서 각층에 설치된 승강기 조작장치에는 승강기의 위치표시와 이동여부, 승강기의 콜 요청 그리고 승강기의 만원 표시만을 나타냈다.
승강기 이용에 있어 하차하는 사람과 승차하는 사람이 나뉘게 된다. 기본적으로는 하차하는 사람이 내리게 되면 상차하는 사람이 타는 것으로 질서를 유지한다. 하지만 간혹 승강기 내부에 사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차하는 사람이 이를 인지 하지 못하고 먼저 타려고 하다 부딪히는 일이 일어나곤 한다.
종래의 승강기 조작장치에는 사람의 탑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승강기에 사람이 타고 내려오는지 알 수 없어 상차하는 사람이 승강기내 사람의 탑승여부를 인지 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출원번호 : 10-2011-0104803, 10-1997-0003675, 10-2005-0096348, 10-2008-0075655, 10-2010-0027340
없음
본 발명은 승강기 이용시에 승강기 탑승을 기다리는 사람은 승강기 내부에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리하여 간혹 승강기 내부에 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승차하여는 사람이 승강기 내부에 사람이 없다고 판단하고 섣부르게 승강기에 승차하려다가 내부의 하차하는 사람과 부딪히는 사고가 일어나곤 한다. 이와 같이 승강기내 정보를 알 수만 있다면 생기지 않을 사고에 있어 정확한 정보 전달방법을 고안하고 그로 인해 종래의 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은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다. 승강기 내부에 사람의 탑승 여부에 대한 정보를 승강기를 타기 위해 기다리는 외부 사람에게 정확히 전달 할 수 있다면, 종래의 승강기에서 일어나는 충돌등의 사고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를 구체화 하기 위해 승강기 내부에 사람의 유, 무를 감지할수 있는 센서부(800)가 성치된다. 승강기의 초과무게를 제한하기 위해 성치되어있는 무게 감지 센서(810)를 이용하거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820), 사람의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 센서(830)로 사람의 유, 무를 확인하고 그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한 정보가 사람이 승강기에 탑승하여 작동된 센서의 정보라면 각 층의 승강기 조작장치로 보내지게 된다.
이 조작장치에 내부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센서작동표시등(400)이 표시부(200)에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센서작동표시등(400)은 외부로 표시되는 정보로 승강기내 사람의 탑승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승강기 내부에서 하차하려는 사람과 승강기에 탑승하려는 사람과의 충돌 등과 같은 사고가 없어질 것이다.
승강기를 타려고 기다리는 자는 외부로 표시되는 정보로 승강기내 사람의 탑승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승강기 내부에서 하차하려는 사람과 승강기에 탑승하려는 사람과의 충돌 등과 같은 사고가 없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 조작장치의 개략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장치의 개략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블럭도 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승강기의 조작장치에 대한 개략도로 종래의 승강기 조작장치에는 크게 표시부(200)와 제어부(300)로 나뉘어진다. 표시부(200)안에는 만원표시등(201), 승강기의 상, 하 움직임 표시등(202), 층수표시등(203)으로 구성되어진다. 제어부(300)는 상층버튼(301)과 하층버튼(302)으로 구성되어진다. 승강기 회사나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이나 상황에 따라 표시부(200)와 제어부(300)은 분리되어 설치되기도 한다.
도 1에서 처럼 종래의 승강기 조작장치에는 승강기 내 사람 탑승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구성되어 있지 않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승강기 조작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의 종래 승강기 조작장치에 센서작동표시등(400)이 추가로 구성된 형태이다.
도 2에서 도시된 센서작동표시등(400)은 승강기에 사람이 탑승시 센서부(800)의 센서가 작동되며, 이와 가은 센서 작동여부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즉 표시장치에 표시가 이루어지면 센서가 작동한다는 것이고 센서가 작동한다는것은 승강기내에 사람이 탑승해 있다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도 2에서 센서작동표시등(400)은 사람의 탑승여부를 알 수 있게 텍스트오 표시하거나 이모티콘으로 표시하거나 하는 방법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LED장치를 통해 발광한다던지 점멸한다던지 하는 표시방식을 통해 탑승여부를 어두운곳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2의 승강기 조작장치에서 센서작동표시등(400)은 표시부(200)안에 구성되어진 모습이며, 도 3의 센서작동표시등(400)은 제어부(300)의 상층버튼(301)과 하층버튼(302)과 같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진 모습이다. 도 3에서 처럼 센서작동표시등(400)이 표시부(200) 밖에 구성되어 있더라도 그 기능은 표시부에 속하게 된다.
도 2에서 사람탑승표시등은 조작장치의 표시부(200)안에 위치하여 LED를 통해 발광 또는 점멸 방식으로 표시된다. 표시부(200)안에서 센서작동표시등(400)의 위치는 상황과 디자인에 따라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각 버튼의 간격 및 배치는 다양하게 구성되어 진다. 센서작동표시등(400)이 상층버튼(301)과 하층버튼(302)의 중간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상, 하층 버튼의 맨 밑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 하층 버튼과 별개로 독립적으로 위치되어지기도 한다. 이는 이용자의 눈높이와 시각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도 2와 도 3에서 센서작동표시등(400)에 LED가 발광을 하거나 점멸이 된다면, 내려오거나 올라가는 승강기 안에 사람이 탑승해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승강기를 타려고 기다리는 사람은 승강기 안에 사람이 있는 것을 인지 할 수 있으므로 승강기에서 하차하는 사람이 먼저 내린 다음 탑승을 하게 되므로 탑승자간의 부딪히는 사고를 미리 방지 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 표시되는 센서작동표시등(400)은 승강기안의 센서에 의해 제어된다. 센서는 무게감지센서(810)와 동작감지센서(820), 열 감지 센서(830)가 이용되며, 승강기 제작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블럭도이다.
도 4를 바탕으로 승강기에 사람이 탑승하면 승강기내 제어반 센서부(800)의 센서에 의해 사람의 탑승을 감지하게 된다. 이렇게 감지된 정보는 승강기내의 제어부(850)에 전해진다. 각종 승강기내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장치로 센서의 작동으로 감지된 정보를 무선송신부(900)를 통해 승강기 조작장치의 무선송신부(901)로 전달된다. 이를 전달받은 무선송신부(901)는 센서의 작동여부를 표시(200)의 센서작동표시등(400)으로 전달하여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렇게 표시된 정보를 통해 승강기를 기다리는 사람은 승강기에 사람이 탑승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200 : 표시부 800 : 센서부
201 : 만원표시등 810 : 무게감지센서
202 : 상, 하 이동 표시등 820 : 동작감지센서
203 : 승강기 층수 표시등 830 : 열감지센서
300 : 제어부 850 : 승강기내 제어부
301 : 상층버튼 900 : 무선송신부
302 : 하층버튼 901 : 무선수신부
400 : 센서작동표시등

Claims (4)

  1. 승강기 내부에 사람이 탑승시 이를 감지하고 작동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작동여부를 출력하는 표시등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가 포함된 승강기 조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승강기에서 중력에 의해 사람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감지센서, 사람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또는 인체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로 승강기내 사람의 탑승시 작동하는 센서부(800)로 부터 데이터 값을 전송받아 표시하는 승강기 조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표시부(200)에 출력되는 센서작동표시등(400)은 텍스트 또는 이모티콘으로 표현되는 LED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센서작동표시등(400)은 LED장치를 통해 발광한다던지 또는 점멸한다던지 하는 방식으로 출력되는 표시장치
KR1020140179964A 2014-12-15 2014-12-15 승강기내 사람 탑승 여부를 알 수 있는 승강기 조작장치 KR20160072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964A KR20160072405A (ko) 2014-12-15 2014-12-15 승강기내 사람 탑승 여부를 알 수 있는 승강기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964A KR20160072405A (ko) 2014-12-15 2014-12-15 승강기내 사람 탑승 여부를 알 수 있는 승강기 조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405A true KR20160072405A (ko) 2016-06-23

Family

ID=5635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964A KR20160072405A (ko) 2014-12-15 2014-12-15 승강기내 사람 탑승 여부를 알 수 있는 승강기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240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4803A (ko) 2010-03-17 2011-09-23 오맹원 투 클릭 모오스코드가 할당된 기본자판 영역내의 터치 또는 다수의 기본자판 영역 간의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4803A (ko) 2010-03-17 2011-09-23 오맹원 투 클릭 모오스코드가 할당된 기본자판 영역내의 터치 또는 다수의 기본자판 영역 간의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048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destination call for use by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an elevator installation
JP2015107852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乗場呼びシステム
KR101781170B1 (ko)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JP2017119580A (ja) エレベーター自動ガイド補助システム及びその誘導方法
JP6235326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20180016116A1 (en) Arrangement for the allocation of destination calls
JP2010241546A (ja) エレベータかご乗車状況検出装置
KR20160064522A (ko) 손 움직임 감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장호출버튼 및 그 제어방법
JP2008143680A (ja) エレベータの誘導案内システム
KR102362935B1 (ko) 승객 유도 장치 및 승객 유도 방법
US20080041669A1 (en) Directing Passengers Using Color Indications
CN203806888U (zh) 电梯厅外满员显示装置
JP2019151464A (ja) エレベータ、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群管理方法
JP2012051665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20160072405A (ko) 승강기내 사람 탑승 여부를 알 수 있는 승강기 조작장치
JP6729619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100959337B1 (ko)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제어방법
JP7471443B2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KR102551809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JP2017132634A5 (ko)
JP6939694B2 (ja) 自動車用エレベーターの行先階登録装置および自動車用エレベーターの行先階登録システム
JP2006016127A (ja) かご内満員検出装置
JP6960388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および、乗場釦故障検出装置
KR100893220B1 (ko) 엘리베이터
KR101782365B1 (ko)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