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935A - 보상필름 및 보상필름용 유기닷 - Google Patents

보상필름 및 보상필름용 유기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935A
KR20160071935A KR1020140179744A KR20140179744A KR20160071935A KR 20160071935 A KR20160071935 A KR 20160071935A KR 1020140179744 A KR1020140179744 A KR 1020140179744A KR 20140179744 A KR20140179744 A KR 20140179744A KR 20160071935 A KR20160071935 A KR 20160071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ensation film
independently
organic
alk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김효석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935A/ko
Publication of KR2016007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보상필름용 유기닷 및 이를 이용한 보상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유기닷은 반치폭이 매우 좁기 때문에, 색재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으로서, 특히 그린(green)계통의 색재현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소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상필름 및 보상필름용 유기닷{Compensate film and Organic dots for compensate film}
본 발명은 좁은 반치폭을 갖는 유기닷을 포함하는 보상필름 및 특정 PL 파장을 갖는 보상필름용 유기닷에 관한 것이다.
양자점은 나노크기의 반도체 물질로서 양자제한(quantum confinement)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다. 양자점은 통상의 형광체 보다 강한 빛을 좁은 파장대에서 발생시킨다.
양자점의 발광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들뜬 상태의 전자가 전이하면서 발생되는데 같은 물질의 경우에도 입자크기에 따라 파장이 달리지는 특성을 나타낸다. 양자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짧은 파장의 빛을 발광하기 때문에 크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파장영역의 빛을 얻을 수 있다.
양자점은 여기파장(excitation wavelength)을 임의로 선택해도 발광하므로 여러 종류의 양자점이 존재할 때 하나의 파장으로 여기시켜 여러 가지 색의 빛을 한번에 관찰할 수 있다. 양자점은 같은 물질로 만들어지더라도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방출하는 빛의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에 의하여, 양자점은 차세대 고휘도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바이오센서(bio sensor), 레이저, 태양전지 나노소재 등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양자점을 형성하는데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제조방법은 비가수분해 합성법(nonhydrolytic synthesis)이다. 이에 의하면, 상온의 유기금속화합물을 선구물질 또는 전구체로 사용하여 고온의 용매에 빠르게 주입(rapidinjection)함으로써, 열분해 반응을 이용하여 핵을 생성(nuclraization)한 다음 온도를 가하여 이 핵을 성장시킴으로써 양자점을 제조해왔다.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하여 주로 합성되는 양자점은 카드뮴셀레늄(CdSe)이나 카드뮴텔루륨(CdTe) 등과 같이 카드뮴(Cd)을 함유하고 있다. 하지만,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녹색산업을 추구하는 현재의 추세를 고려 할 경우에, 수질과 토양을 오염시키는 대표적인 환경오염물질 중의 하나인 카드뮴(Cd)은 그 사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CdSe 양자점이나 CdTe 양자점을 대체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카드늄을 포함하지 않는 반도체 물질로서 양자점을 제조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는데, 인듐설파이드(In2S3) 양자점은 그 중의 하나이다.
특히, 인듐설파이드(InS2)는 벌크밴드갭(bulk band gap)이 2.1eV인 바, InS2 양자점은 가시광 영역에서의 발광이 가능하므로,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소자 등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만, 13족과 16족은 일반적으로 합성이 어렵기 때문에 인듐설파이드 양자점도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입자크기의 균일도 확보나 QY(Quantum Yield)가 기존의 CdSe에 비하여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카드뮴을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양자점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OLED와 LCD는 서로 강점 및 단점인 부분이 있는데, OLED는 R(red), G(Green), B(Blue)에 대한 색재현력이 매우 뛰어나지만, 해상도가 떨어져서 고해상도 구현이 LCD에 비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반대로 고해상도 발현이 가능한 LCD는 RGB 색재현력이 OLED에 비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OLED의 해상도를 증가 및/또는 LCD의 색재현력,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공개특허번호 US 2012-0113672(공개일 2012년 5월 10일) 미국 공개특허번호 US 2014-0246689호(공개일 2014년 9월 4일)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무기소재의 양자점(Quantum dots)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를 제조하고자 노력한 결과, 유기소재로 이루어진 단분자 형태의 새로운 유기닷을 개발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특정 화학식 및 특정 PL(photoluminescence) 파장을 갖는 유기닷(organic dots) 및 이를 이용한 보상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분자 형태의 유기닷(organic dots)에 관한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 C5 ~ C10의 사이클로알킬기, C7 ~ C15의 바이사이클로알킬기, C6 ~ C20의 아릴(aryl)기 또는
Figure pat00002
이며, R7은 벤조피레닐(benzopyrenyl)기, 페난트레닐(phenanthrenyl)기 또는 벤조페난트레닐(benzophenanthenyl)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3의 알킬기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 C2 ~ C5의 올레핀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스티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CN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3의 알킬기, C6 ~ C10의 아릴기, 또는
Figure pat00003
이며, R7은 벤조피레닐기이고, R3 및 R4는 메틸기이며, R5 및 R6는 메틸기, 에틸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스티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C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화학식 1의 R1 및 R2는 C1 ~ C3의 알킬기, C6 ~ C10의 아릴기, 또는
Figure pat00004
이며, R7은 벤조[def]피레닐기, 벤조[a]피레닐기 또는 벤조[e]피레닐기이고, R3 및 R4는 메틸기이며, R5 및 R6는 메틸기, 에틸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스티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C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유기닷은 PL(photoluminescence) 파장이 500 nm ~ 570 nm이고, 반치폭이 50 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단분자 형태의 유기닷은 온도 85℃ 및 상대습도 85% 조건 하의 항온항습기 챔버에 보상필름을 192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NTSC 색좌표에 의거하여 색편차 값 측정시 CIE x의 변화값이 30/10,000 이하이고, CIE y의 변화값이 30/1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분자 형태의 유기닷을 포함하는 보상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PL(photoluminescence) 파장이 500 nm ~ 570 nm이고, 반치폭이 50 nm 이하인 보상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보상필름에 사용되는 상기 유기닷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 C5 ~ C10의 사이클로알킬기, C7 ~ C15의 바이사이클로알킬기, C6 ~ C20의 아릴(aryl)기 또는
Figure pat00006
이며, R7은 벤조피레닐(benzopyrenyl)기, 페난트레닐(phenanthrenyl)기 또는 벤조페난트레닐(benzophenanthenyl)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3의 알킬기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 C2 ~ C5의 올레핀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스티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CN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보상필름에 사용되는 상기 유기닷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3의 알킬기, C6 ~ C10의 아릴기, 또는
Figure pat00007
이며, R7은 벤조피레닐기이고, R3 및 R4는 메틸기이며, R5 및 R6는 메틸기, 에틸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스티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C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보상필름에 사용되는 상기 유기닷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1 및 R2는 C1 ~ C3의 알킬기, C6 ~ C10의 아릴기, 또는
Figure pat00008
이며, R7은 벤조[def]피레닐기, 벤조[a]피레닐기 또는 벤조[e]피레닐기이고, R3 및 R4는 메틸기이며, R5 및 R6는 메틸기, 에틸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스티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C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보상필름은 상기 유기닷 외에 양자점(Quantum dots), 폴리머닷(Polymer dots) 및 염료(Dy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보상필름은 온도 85℃ 및 상대습도 85% 조건 하의 항온항습기 챔버에 보상필름을 192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NTSC 색좌표에 의거하여 색편차 값 측정시 CIE x의 변화값(Δx)이 30/10,000 이하이고, CIE y의 변화값(Δy)이 30/1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기닷 및/또는 보상필름의 응용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유기닷 및/또는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유기 및/또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및/또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장치, 및/또는 액정표시장치(LCD)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드뮴 등의 무기 소재를 사용하지 않는 발광소재로서, 환경 문제를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유기닷은 500 nm ~ 570 nm의 PL 파장을 갖으며, 녹색(green) 계통의 반치폭(색재현율)이 50 nm 이하로 매우 좁기 때문에 광효율 증가 및 색재현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고온고습 저항성을 갖고, 내열성이 우수한 바, 기존의 무기소재의 양자점을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기닷은 그 자체로 또는 보상필름 등의 형태로 응용하여, 바이오센서, 조명 장치, LCD, LED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 ~ 도 10은 각각은 실험예 1에서 측정한 제조예 1 ~ 4 및 비교제조예 1 ~ 6의 유기닷을 이용한 필름의 PL 측정 그래프 각각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실험예 2의 고온고습 저항성 측정시 사용한 NTSC 색좌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필름"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필름 형태뿐만 아니라, 판(plate) 형태, 시트(sheet) 형태, 박막(thin film) 등을 포함하는 폭 넓은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C1", "C2" 등은 탄소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C1 ~ C5의 알킬기"는 탄소수 1 ~ 5의 알킬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
Figure pat00009
"로 표현된 화학식에서, R1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며, a는 1 ~ 3이다"라고 치환기에 대해 표현되어 있을 때, a가 3인 경우, 복수의 R1, 즉 R1 치환기가 3개가 있고, 이들 복수 개의 R1들 각각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R1들 각각은 모두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일 수 있으며, 또는 R1들 각각은 다른 것으로서, R1 중 하나는 수소원자, 다른 하나는 메틸기 및 또 다른 하나는 에틸기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용은 본 발명에서 표현된 치환기를 해석하는 일례로서, 다른 형태의 유사 치환기도 동일한 방법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
Figure pat00010
"로 표현된 화학식에서 "*" 표시는 치환기가 연결되는 부위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은 단분자 형태의 유기닷(organic dots)를 포함하는 보상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상필름은 500 nm ~ 570 nm의 PL(photoluminescence) 파장을, 바람직하게는 525 nm ~ 560 nm의 PL 파장을 갖을 수 있으며, 반치폭이 50 n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0 nm ~ 45 nm의 반치폭을 갖을 수 있는 바, 그린계열에 대한 색재현율이 매우 우수한 보상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분자 형태의 유기닷(organic dots)를 포함하는 보상필름은 온도 85℃ 및 상대습도 85% 조건 하의 항온항습기 챔버에 보상필름을 192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NTSC 색좌표에 의거하여 색편차 값 측정시 CIE x의 변화값(Δx)이 30/10,000 이하이고, CIE y의 변화값(Δy)이 30/10,000 이하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CIE x의 변화값(Δx)이 28/10,000 이하이고, CIE y의 변화값(Δy)이 29/10,000 이하인 것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CIE x의 변화값(Δx)이 24/10,000 ~ 8/10,000이고, CIE y의 변화값(Δy)이 25/10,000 ~ 8/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상필름에서 사용하는 상기 단분자 형태의 유기닷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은 신규 유기닷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유기닷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 C5 ~ C10의 사이클로알킬기, C7 ~ C15의 바이사이클로알킬기, C6 ~ C20의 아릴(aryl)기 또는
Figure pat00012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3의 알킬기, C6 ~ C10의 아릴기, 또는
Figure pat00013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및 R2는 C1 ~ C3의 알킬기, C6 ~ C10의 아릴기, 또는
Figure pat00014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의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3의 알킬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2의 알킬기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3 및 R4는 메틸기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 C2 ~ C5의 올레핀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스티렌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 또는 CN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스티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CN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5 및 R6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일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의 상기 R7은 벤조피레닐(benzopyrenyl)기, 페난트레닐(phenanthrenyl)기, 벤조페난트레닐(benzophenanthenyl)기 또는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R7은 벤조피레닐기 또는 벤조페난트레닐기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7의 상기 벤조피레닐기는 벤조[def]피레닐기, 벤조[a]피레닐기 또는 벤조[e]피레닐기일 수 있고, R7의 상기 벤조페난트레닐기는 벤조[a]페난트레닐기 또는 벤조[c]페난트레닐기일 수 있으며,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R7
Figure pat00015
또는
Figure pat00016
일 수 있으며, 일례로,
Figure pat00017
또는
Figure pat00018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상필름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유기닷 이외에 양자점(Quantum dots), 폴리머닷(Polymer dots) 및 염료(Dy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추가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자점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상필름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랜덤 공중합체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랜덤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머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9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1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며, m은 0 ~ 3의 정수이고, R2는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며, R3는 C1 ~ C5의 알킬기, C2 ~ C5의 올레핀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Figure pat00020
을 포함하는 C2 ~ C4의 올레핀기이고, 여기서, R14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며, n은 0 ~ 3의 정수이며, R6 ~ R11 각각은 독립적으로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C4 ~ C12의 분쇄형 알킬기 또는 C2 ~ C12의 올레핀기이며, R12 ~ R13는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고, R15는 ?H, -OCH3 또는 -OCH2CH3이며, a, b, c, d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간의 몰비를 나타낸 것으로서, a, b, c, d의 몰비는 1 : 1 ~ 1.5 : 5 ~ 25 : 1 ~ 1.5이고, A 및 B는 독립적으로 페닐기, 페닐기, 바이페닐기, 안트라센기 및 나프탈렌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말단기이며, L은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1,000 ~ 50,00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2의 R1은 메틸기이고, m은 1 ~ 3의 정수이며,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3는 C1 ~ C5의 올레핀 또는
Figure pat00021
을 포함하는 C2 ~ C4의 올레핀기이며, R14는 메틸기이고, n은 0 또는 1이고, R6 ~ R11 각각은 모두 동일하며, R6 ~ R11은 C6 ~ C10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6 ~ C10의 분쇄형 알킬기이고, A 및 B는 페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22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C1 ~ C5의 알킬기이며,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며, R4 및 R5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 ~ C5의 알킬기, C2 ~ C5의 올레핀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Figure pat00023
을 포함하는 C2 ~ C4의 올레핀기이고, 여기서, R8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며, n은 0 ~ 3의 정수이며, R6 및 R7 각각은 독립적으로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C4 ~ C12의 분쇄형 알킬기 또는 C2 ~ C12의 올레핀기이고, a 및 b의 몰비는 1 :5 ~ 15이고, A 및 B는 독립적으로 페닐기, 바이페닐기, 안트라센기 및 나프탈렌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말단기이며, L은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1,000 ~ 100,00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3의 R1은 메틸기이고,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 ~ C2의 알킬기이고, R4 및 R5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 ~ C5의 알킬기이며, R6 및 R7는 독립적으로 C6 ~ C10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6 ~ C10의 분쇄형 알킬기고, A 및 B는 페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료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광학필름용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쿠마린(Coumain, Green) 및 로다민(Rhodamin, Re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닷을 포함하는 보상필름을 유기 또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또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장치 및/또는 액정표시장치(LCD) 등에 적용시켜 폭 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백라이트 유닛(BLUs)의 프리즘 필름, 확산필름, 도광판, 보상필름 등에 적용시켜서 그린(green)계열에 대한 색재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소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히, 그린계열의 색재현 향샹을 위한 LCD용 보상필름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상필름은 본 발명은 카드뮴 등의 무기 소재를 사용하지 않는 발광소재로서, 환경 문제를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유기닷은 500 nm ~ 570 nm의 녹색(green) 계통의 PL 파장 및 50 nm 이하의 반치폭을 갖기 때문에, 색재현율 증가 및 양자효율(광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는 바, 유기닷 그 자체로 또는 보상필름 등의 형태로 응용하여, 바이오센서, 조명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 유기닷의 제조
3구 플라스크에 8-메시틸-1,3,5,7-테트라메틸-4,4-다이플루오로-4-보라3-3a,4a-다이아자-s-인다센(8-Mesityl-1,3,5,7-tetramethyl-4,4-difluoro-4-bora3-3a,4a-diaza-s-indacene, 2.72mmol) 1g를 넣고 진공상태로 만든 후, 건조된 CH2Cl2을 넣고 교반했다.
다음으로, 트리에틸아민(NEt3, 27.2mmol) 7.6㎖와 Bromodimethylborane(27.2mmol, 5.3㎖)을 투입한 다음, 80분 동안 교반을 수행한 후, 반응을 완료했다.
다음으로 반응생성물을 Na2CO3 용액으로 처리한 후 Na2SO4 용액으로 물을 잡고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건조된 반응생성물을 컬럼하여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1 H NMR ( CDCl 3 , 400 MHz ) : 6.964(s,2H), 5.973(s,2H), 2.564(s,6H), 2.342(s,3H), 2.094(s,6H), 1.391(s,6H), 0.219(s, 6H)
[화학식 1-1]
Figure pat00024
상기 화학식 1-1에 있어서, R1, R2, R3, R4, R5 및 R6이다.
실시예 2
3구 플라스크에 브로모벤젠(Bromobenzene, 5.445mmol) 855mg 넣고 진공상태로 만든 후,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를 투입했다. 그 다음 1.6M n-부틸리튬(1.6M n-Butyllithium, 6.807mmol) 4.4㎖을 넣고 교반했다.
다음으로, 8-메시틸-1,3,5,7-테트라메틸-4,4-다이플루오로-4-보라3-3a,4a-다이아자-s-인다센(8-Mesityl-1,3,5,7-tetramethyl-4,4-difluoro-4-bora3-3a,4a-diaza-s-indacene, 2.723mmol) 1g를 넣고 30분 교반을 수행한 후, 반응을 완료했다.
다음으로 이를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반응생성물을 컬럼하여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1 H NMR ( CDCl 3 , 400 MHz ) : 7.28-7.15(m, 10H), 6.982(s,2H), 5.981(s,2H), 2.570(s,6H), 2.341(s,3H), 2.091(s,6H), 1.403(s,6H)
[화학식 1-2]
Figure pat00025
상기 화학식 1-2에 있어서, R1 및 R2 각각은 페닐기이며, R3, R4, R5 및 R6은 모두 -CH3이다.
실시예 3
3구 플라스크에 2-브로모프탈렌(2-Bromonaphthalene, 5.445mmol) 1.13g과 마그네슘(Magnesium, 5.445mmol) 132mg을 넣고, 아르곤 분위기를 형성시킨 다음, 여기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를 투입 후 1시간 동안 교반을 수행했다.
그 다음, 여기에 8-메시틸-1,3,5,7-테트라메틸-4,4-다이플루오로-4-보라3-3a,4a-다이아자-s-인다센(8-Mesityl-1,3,5,7-tetramethyl-4,4-difluoro-4-bora3-3a,4a-diaza-s-indacene, 2.723mmol) 1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용액을 투입한 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을 수행한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다음으로 반응생성물을 1N HCl 용액으로 처리하고, MC(methylene chloride)로 추출한 후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건조된 반응생성물을 컬럼하여 하기 화학식 1-3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1 H NMR ( CDCl 3 , 400 MHz ) : 7.82-7.73(m, 2H), 7.72-7.69(m, 6H), 7.45-7.39(m, 6H), 6.980(s,2H), 5.975(s,2H), 2.570(s,6H), 2.341(s,3H), 2.078(s,6H), 1.417(s,6H)
[화학식 1-3]
Figure pat00026
상기 화학식 1-3에 있어서, R1 및 R2 각각은
Figure pat00027
이며, R3, R4, R5 및 R6은 모두 -CH3이다.
실시예 4
3구 플라스크에 에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Ethylmagnesium bromide, 6.80mmol) 6.8ml와 1-ethynylpyrene, 7.35mmol) 1.66g을 넣고, 70?에서 2시간 교반시킨다.
그 다음, 여기에 8-메시틸-1,3,5,7-테트라메틸-4,4-다이플루오로-4-보라3-3a,4a-다이아자-s-인다센(8-Mesityl-1,3,5,7-tetramethyl-4,4-difluoro-4-bora3-3a,4a-diaza-s-indacene, 2.723mmol) 1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여 Cannula(케뉼라) 용액을 투입한 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을 수행한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다음으로 건조된 반응생성물을 컬럼하여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1 H NMR ( CDCl 3 , 400 MHz ) : 8.801(d, 2H), 7.974-8.213(m, 16H), 6.823(s,2H), 5.969(s,2H), 2.548(s,6H), 2.340(s,3H), 2.104(s,6H), 1.411(s,6H)
[화학식 1-4]
Figure pat00028
상기 화학식 1-4에 있어서, R1 및 R2 각각은
Figure pat00029
이고, 상기 R7
Figure pat00030
이며, R3, R4, R5 및 R6은 모두 -CH3이다.
비교예 1
3구 플라스크에 8-페닐-1,3,5,7-테트라메틸-4,4-다이플루오로-4-보라3-3a,4a-다이아자-s-인다센(8-Phenyl-1,3,5,7-tetramethyl-4,4-difluoro-4-bora3-3a,4a-diaza-s-indacene (3.22mmol) 1g를 넣고 진공상태로 만든 후, 건조된 CH2Cl2을 넣고 교반했다.
다음으로, 여기에 트리에틸아민(NEt3, 6.45mmol) 0.90㎖와 브로모다이메틸보레인(Bromodimethylborane, 6.45mmol) 0.63㎖을 투입한 다음,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을 완료했다.
다음으로 반응생성물을 Na2CO3 용액으로 처리한 후, Na2SO4 용액으로 물을 잡고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건조된 반응생성물을 컬럼하여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1 H NMR ( CDCl 3 , 400 MHz ) : 7.64-7.48(m, 5H), 5.985(s,2H), 2.564(s,6H), 1.391(s,6H), 0.209(s, 6H)
[화학식 4]
Figure pat00031

비교예 2
3구 플라스크에 8-(4-메틸페닐)-1,3,5,7-테트라메틸-4,4-다이플루오로-4-보라3-3a,4a-다이아자-s-인다센(8-(4-methylphenyl)-1,3,5,7-tetramethyl-4,4-difluoro-4-bora3-3a,4a-diaza-s-indacene (2.95mmol) 1g를 넣고 진공상태로 만든 후, 건조된 CH2Cl2을 넣고 교반했다.
다음으로, 여기에 트리에틸아민(NEt3, 5.89mmol) 0.82㎖와 브로모다이메틸보레인(Bromodimethylborane, 5.89mmol) 0.57㎖을 투입한 다음,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을 완료했다.
다음으로 반응생성물을 Na2CO3 용액으로 처리한 후 Na2SO4 용액으로 물을 잡고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건조된 반응생성물을 컬럼하여 하기 화학식 4-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1 H NMR ( CDCl 3 , 400 MHz ) : 7.564(d, 2H), 7.521(d, 2H), 5.980(s,2H), 2.559(s,6H), 2.383(s, 3H), 1.398(s,6H), 0.212(s, 6H)
[화학식 4-1]
Figure pat00032

비교예 3
3구 플라스크에 8-(3,5-디메틸페닐)-1,3,5,7-테트라메틸-4,4-다이플루오로-4-보라3-3a,4a-다이아자-s-인다센(8-(3,5-dimethylphenyl)-1,3,5,7-tetramethyl-4,4-difluoro-4-bora3-3a,4a-diaza-s-indacene (2.95mmol) 1g를 넣고 진공상태로 만든 후, 건조된 CH2Cl2을 넣고 교반했다.
다음으로, 여기에 트리에틸아민(NEt3, 5.66mmol) 0.79㎖와 브로모다이메틸보레인(Bromodimethylborane, 5.66mmol) 0.55㎖을 투입한 다음,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을 완료했다.
다음으로 반응생성물을 Na2CO3 용액으로 처리한 후 Na2SO4 용액으로 물을 잡고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건조된 반응생성물을 컬럼을 수행하여 하기 화학식 4-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1 H NMR ( CDCl 3 , 400 MHz ) : 7.45(s, 1H), 7.31-7.27(m, 2H), 5.991(s,2H), 2.549(s,6H), 2.118(s, 6H), 1.408(s,6H), 0.21(s, 6H)
[화학식 4-2]
Figure pat00033

비교예 4
3구 플라스크에 4-하이드록시벤제알데하이드(4-Hydroxybenzaldehyde, 8.18mmol) 1g을 넣고 진공상태로 만든 후, 건조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를 넣고 교반했다.
다음으로, 여기에 2,4-디메틸-1H-피롤(2,4-dimethyl-1H-pyrrole, 20.45mmol) 2.1 ㎖를 넣은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틱산(trifluoroacetic acid, 44 Ul)와 건조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를 희석시켜 천천히 투입했다.
다음으로, 이를 25℃에서 3시간 교반 후, 0℃에서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2,3-Dichloro-5,6-dicyano-1,4-benzoquinone, 8.18 mmol) 1.85g 투입한 후, 25℃으로 올려 1시간 동안 교반했다.
다음으로, 여기에 트리에틸아민(NEt3) (16.5㎖)를 투입한 후, BF3·Et2O 17.6 ㎖을 천천히 투입한 다음, 25℃에서 5시간 교반시킨 후, 반응을 완료했다.
다음으로 반응생성물을 Na2CO3 용액으로 처리한 후 Na2SO4 용액으로 물을 잡고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건조된 반응생성물을 컬럼을 수행하여 하기 화학식 4-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1 H NMR ( CDCl 3 , 400 MHz ) : 7.62(d, 2H), 7.21(d, 1H), 6.91(d, 1H), 6.86(d, 2H), 6.01(s, 2H), 4.98(s, 1H), 2.55(s,6H), 1.72(s,6H)
[화학식 4-3]
Figure pat00034

비교예 5
3구 플라스크에 2,6-다이메틸-4-하이드록시벤제알데하이드(2,6-Dimethyl-4-Hydroxybenzaldehyde, 6.66 mmol) 1g을 넣고 진공상태로 만든 후, 건조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를 넣고 교반했다.
다음으로, 여기에 2,4-디메틸-1H-피롤(2,4-dimethyl-1H-pyrrole, 16.6mmol) 1.7 ㎖를 넣은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틱산(trifluoroacetic acid, 44 Ul)와 건조된 THF를 희석시켜 천천히 투입했다.
다음으로, 이를 25℃에서 3시간 교반 후, 0℃에서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2,3-Dichloro-5,6-dicyano-1,4-benzoquinone, 6.66 mmol) 1.51 g 투입한 후, 25℃으로 올려 1시간 동안 교반했다.
다음으로, 트리에틸아민(NEt3, 13.1 ㎖)를 투입한 후, BF3·Et2O(14.3㎖)을 천천히 투입한 다음, 25℃에서 5시간 교반시킨 후, 반응을 완료했다.
다음으로 반응생성물을 Na2CO3 용액으로 처리한 후 Na2SO4 용액으로 물을 잡고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건조된 반응생성물을 컬럼을 수행하여 하기 화학식 4-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1 H NMR ( CDCl 3 , 400 MHz ) : 6.61(s, 2H), 5.87(s, 2H), 2.35(s, 6H), 2.11(s, 6H), 1.37(s, 6H)
[화학식 4-4]
Figure pat00035

비교예 6
3구 플라스크에 2,4-디메틸-1H-피롤(2,4-dimethyl-1H-pyrrole, 10.51mmol) 1.08㎖와 건조된 MC를 넣은 후 아세틸클로라이드(acetyl chloride) 24.1mmol) 1.7㎖ 천천히 투입하여 25℃에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1시간 동안 환류를 시킨 후, 온도를 낮추고 n-hexane 넣고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그리고, 다시 건조된 MC(methylene chloride)를 넣어 교반시킨 다음 트리에틸아민(NEt3) 4.2㎖) 투입하고 10분 동안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BF3·Et2O 5.7㎖을 천천히 투입한 다음, 25℃에서 1시간 교반시킨 후, 반응을 완료했다.
다음으로 반응생성물을 Na2CO3 용액으로 처리한 후 Na2SO4 용액으로 물을 잡고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건조된 반응생성물을 컬럼을 수행하여 하기 화학식 4-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1 H NMR ( CDCl 3 , 400 MHz ) : 6.04(s, 2H), 2.55(s,3H), 2.51(s, 6H), 2.40(s,6H)
[화학식 4-5]
Figure pat00036

제조예 1 : 유기닷의 표면처리 및 이를 이용한 보상필름의 제조
중량평균분자량 2,000 관능기가 6개인 이액형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경 2㎛인 실리콘 단분산 비드(간츠사, SI-020) 500 중량부, 용매로서 메틸에틸케톤(MEK) 120 중량부 및 톨루엔 80 중량부, 레벨링개선제[BYK Cmemie사(BYK-377)] 1 중량부, 4급 암모늄염계 대전방지제(일본제일공업제약사, PU101) 9 중량부, 발광물질로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유기닷 0.1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1,000 rpm으로 30분 동안 교반시켜서 보상필름 제조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보상필름 제조용 코팅 조성물을 기재(PET) 상단면에 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도포하여, 평균도막두께 50 ㎛로 코팅하였다. 다음으로,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를 오븐에 투입한 후, 100℃에서 10 분간 경화시켜서 보상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제조예 4 및 비교제조예 1 ~ 비교제조예 6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2 ~ 실시예 4 및 비교예 1 ~ 비교예 6의 유기닷을 각각 사용하여 보상필름을 제조하여 제조예 2 ~ 제조예 4 및 비교제조예 1 ~ 비교제조예 6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 : UV 흡수파장 및 PL 파장 측정 실험
(1) UV 흡수파장 측정
상기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제조한 필름을 UV 스펙트로미터(VARIAN, CARY 100 Conc.)를 활용하여 UV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의 시료는 유기닷 각각을 0.01 g씩 취한 후, 이를 톨루엔 3 ㎖에 용해하여 테스트튜브에 넣어 UV 흡광도에 따른 발광스펙트럼을 측정한 것이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2) PL ( photoluminescence ) 측정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필름을 상기 실시예의 유기닷을 제조한 후, DarsaPro5200OEM PL(PSI Trading Co.)와 500W ARC 제논램프(Xenon Lamp)을 활용하여 PL 측정 및 반치폭을 측정하였다.
이때의 시료는 유기닷 각각을 0.04g씩 취한 후, 이를 톨루엔 3 ㎖에 용해 후 바인더 물질과 교반하여 필름을 제조한 다음 제논램프(Xenon Lamp)를 통해 발광스펙트럼을 측정한 것이다.
그리고, 반치폭은 40nm ~ 50nm에서의 반치폭을 측정한 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제조예 1 ~ 제조예 4 및 비교제조예 1 ~ 비교제조예 6 각각의 PL 측정 그래프를 도 1 ~ 도 10에 각각 순서대로 나타내었다.
구분 UV 흡수파장
(nm)
PL 파장측정
(nm)
반치폭
(nm)
제조예 1 508 531 41
제조예 2 512 541 45
제조예 3 513 548 47
제조예 4 522 552 50
비교제조예 1 501 528 59
비교제조예 2 504 533 57
비교제조예 3 510 530 54
비교제조예 4 526 543 57
비교제조예 5 531 547 53
비교제조예 6 498 521 51
상기 표 2의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이 제시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기닷인 제조예 1 ~ 제조예 4는 PL 파장이 500 ~ 570 nm, 바람직하게는 525 ~ 560 nm 범위이면서, 반치폭이 50 nm 이하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제조예 1 ~ 비교제조예 5의 유기닷은 반치폭이 50 nm를 초과하여 반치폭이 큰 결과를 보였으며, 비교제조예 6의 유기닷은 PL 파장이 500 nm 미만으로 그린계열의 PL 파장 범위를 벗어났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유기닷(제조예 1 ~ 4)가 그린 계열의 PL 파장을 갖으면서, 반치폭이 작기 때문에 그린계열에 대한 색재현성이 매우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고온고습 저항성 측정 실험
상기 제조예 1 ~ 제조예 4 및 비교제조예 1 ~ 비교제조예 6에서 제조한 보상필름을 사용하여, DarsaPro5200OEM PL(PSI Trading Co.)와 500W ARC 제논램프(Xenon Lamp)을 활용하여 색좌표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그리고, 색좌표는 도 11에 나타낸 NTSC 색좌표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보상필름 각각을 85℃ 및 상대습도 85% 조건 하의 항온 항습기 챔버에 보상필름을 192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동일한 방법으로 색좌표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고온고습
저항성 측정 전
고온고습
저항성 측정 후
색편차
색좌표
CIE x CIE y CIE x CIE y Δx Δy
제조예 1 0.2201 0.7310 0.2173 0.7281 0.0028 0.0029
제조예 2 0.2312 0.7247 0.2288 0.7222 0.0024 0.0025
제조예 3 0.2410 0.7196 0.2395 0.7180 0.0015 0.0016
제조예 4 0.2415 0.7115 0.2405 0.7106 0.0010 0.0009
비교제조예 1 0.2120 0.7326 0.2086 0.7288 0.0034 0.0038
비교제조예 2 0.2284 0.7301 0.2231 0.7250 0.0053 0.0051
비교제조예 3 0.2128 0.7331 0.2083 0.7290 0.0045 0.0041
비교제조예 4 0.2387 0.7210 0.2359 0.7165 0.0028 0.0045
비교제조예 5 0.2401 0.7198 0.2376 0.7155 0.0025 0.0043
비교제조예 6 0.2117 0.7334 0.2046 0.7252 0.0071 0.0082
상기 표 2의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제조예 1 ~ 제조예 4 경우 모두 전반적으로 색편차 값이 30/10,000 이하로 우수한 고온고습 저항성을 갖았으며, 특히 제조예 1 ~ 제조예 4의 경우 색편차(Δx 및 Δy)가 9/10,000 ~ 29/10,000 정도를 보였다. 그러나, 비교제조에 1 ~ 비교제조예 6은 색편차(Δx 및 Δy)가 30/10,000를 초과하는 결과를 보였다. 상기 표 2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유기닷이 우수한 고온고습 저항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의 단분자 형태의 유기닷이 그린(green) 계통의 PL 파장을 갖으며, 반치폭이 좁아서 색재현율이 우수한 유기닷 및/또는 보상필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고습 저항성이 우수한 유기닷 및/또는 보상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PL(photoluminescence) 파장이 500 nm ~ 570 nm이고, 반치폭이 50 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분자 형태의 유기닷(organic dot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닷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필름;
    [화학식 1]
    Figure pat00037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 C5 ~ C10의 사이클로알킬기, C7 ~ C15의 바이사이클로알킬기, C6 ~ C20의 아릴(aryl)기 또는
    Figure pat00038
    이며, R7은 벤조피레닐(benzopyrenyl)기, 페난트레닐(phenanthrenyl)기 또는 벤조페난트레닐(benzophenanthenyl)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3의 알킬기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 C2 ~ C5의 올레핀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스티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CN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3의 알킬기, C6 ~ C10의 아릴기, 또는
    Figure pat00039
    이며, R7은 벤조피레닐기이고, R3 및 R4는 메틸기이며, R5 및 R6는 메틸기, 에틸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스티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C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필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1 및 R2는 C1 ~ C3의 알킬기, C6 ~ C10의 아릴기, 또는
    Figure pat00040
    이며, R7은 벤조[def]피레닐기, 벤조[a]피레닐기 또는 벤조[e]피레닐기이고, R3 및 R4는 메틸기이며, R5 및 R6는 메틸기, 에틸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스티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C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필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필름은 양자점(Quantum dots), 폴리머닷(Polymer dots) 및 염료(Dy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필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 85℃ 및 상대습도 85% 조건 하의 항온항습기 챔버에 보상필름을 192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NTSC 색좌표에 의거하여 색편차 값 측정시 CIE x의 변화값(Δx)이 30/10,000 이하이고, CIE y의 변화값(Δy)이 30/1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필름.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필름용 유기닷;
    [화학식 1]
    Figure pat0004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 C5 ~ C10의 사이클로알킬기, C7 ~ C15의 바이사이클로알킬기, C6 ~ C20의 아릴(aryl)기 또는
    Figure pat00042
    이며, R7은 벤조피레닐(benzopyrenyl)기, 페난트레닐(phenanthrenyl)기 또는 벤조페난트레닐(benzophenanthenyl)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3의 알킬기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 C2 ~ C5의 올레핀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스티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CN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3의 알킬기, C6 ~ C10의 아릴기, 또는
    Figure pat00043
    이며, R7은 벤조피레닐기이고, R3 및 R4는 메틸기이며, R5 및 R6는 메틸기, 에틸기, C5 ~ C6의 사이클로알킬기, 스티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CN인 특징으로 하는 보상필름용 유기닷.
  9. 제7항에 있어서, PL(photoluminescence) 파장이 500 nm ~ 570 nm이고, 반치폭이 50 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필름용 유기닷.
  10. 제7항에 있어서, 온도 85℃ 및 상대습도 85% 조건 하의 항온항습기 챔버에 보상필름을 192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NTSC 색좌표에 의거하여 색편차 값 측정시 CIE x의 변화값(Δx)이 30/10,000 이하이고, CIE y의 변화값(Δy)이 30/1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필름용 유기닷.
  11. 제6항의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12. 제6항의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13. 제6항의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LCD).
KR1020140179744A 2014-12-12 2014-12-12 보상필름 및 보상필름용 유기닷 KR20160071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44A KR20160071935A (ko) 2014-12-12 2014-12-12 보상필름 및 보상필름용 유기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44A KR20160071935A (ko) 2014-12-12 2014-12-12 보상필름 및 보상필름용 유기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935A true KR20160071935A (ko) 2016-06-22

Family

ID=5636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744A KR20160071935A (ko) 2014-12-12 2014-12-12 보상필름 및 보상필름용 유기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193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1367A1 (en) 2005-04-21 2012-01-12 Denison William D Method for Controlling and Recording the Security of an Enclosure
US20140246689A1 (en) 2013-03-04 2014-09-04 Osram Sylvania Inc. LED Lamp with Quantum Dots Lay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1367A1 (en) 2005-04-21 2012-01-12 Denison William D Method for Controlling and Recording the Security of an Enclosure
US20140246689A1 (en) 2013-03-04 2014-09-04 Osram Sylvania Inc. LED Lamp with Quantum Dots La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833B1 (ko) 피로메텐 붕소 착체, 색 변환 조성물, 색 변환 필름, 및 그것을 포함하는 광원 유닛, 디스플레이 및 조명
JP5186442B2 (ja) 有機金属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1213643A (ja) 銅錯体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Shao et al. Diphenylethyne based β-diketonate europium (III) complexes as red phosphors applied in LED
Cai et al. Multi‐Resonance Building‐Block‐Based Electroluminescent Material: Lengthening Emission Maximum and Shortening Delayed Fluorescence Lifetime
KR20140137676A (ko) 광학필름용 폴리머닷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CN106867507A (zh) 一种具有聚集诱导发光性质的绿光染料
CN111961461A (zh) 一种磷光材料、磷光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679755B2 (ja) 波長変換用発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波長変換部材及び発光素子
JP2014506725A (ja) 可変調節可能な(adaptable)発光色を有する光電子デバイス用金属錯体
CN112154143A (zh) 发光化合物
Yuan et al. Color-tunable circularly polarized electroluminescence from a helical chiral multiple resonance emitter with BN bonds
KR20160079374A (ko) 고색재현력이 우수한 보상필름
CN106833009A (zh) 含有三苯胺乙烯侧链的香豆素类绿光染料
KR102054489B1 (ko) 청색 인광 호스트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9375A (ko) 발광색 변환 조성물, 발광색 변환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160071935A (ko) 보상필름 및 보상필름용 유기닷
CN101575506B (zh) 基于倍半硅氧烷有机无机杂化蓝光材料及其制备和应用
KR20150050969A (ko) 보상필름 및 보상필름용 유기닷
WO2021015020A1 (ja) ピロメテンホウ素錯体、色変換組成物、色変換フィルム、光源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照明装置
Shang et al. DFT/TDDFT investigation on the electronic structures and photophysical properties of phosphorescent platinum (II) complexes with triarylboron/triarylnitrogen-functionalized N-heterocyclic carbene chelate ligands
JP7380216B2 (ja) 色変換部材、光源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照明装置、色変換基板およびインク
CN106833608A (zh) 含有香豆素类绿光染料的光转换膜
KR20170112060A (ko) 색재현 보상필름용 파이렌계 유기닷 및 이를 포함하는 색재현 보상필름
KR20170112077A (ko) 색재현 보상필름용 유기닷 및 이를 포함하는 색재현 보상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