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332A - 입상배관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입상배관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332A
KR20160068332A KR1020140173896A KR20140173896A KR20160068332A KR 20160068332 A KR20160068332 A KR 20160068332A KR 1020140173896 A KR1020140173896 A KR 1020140173896A KR 20140173896 A KR20140173896 A KR 20140173896A KR 20160068332 A KR20160068332 A KR 20160068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band
hole
hing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238B1 (ko
Inventor
윤재식
Original Assignee
윤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식 filed Critical 윤재식
Priority to KR102014017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2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입상배관용 클램프는, 입상배관을 감싸도록 2개로 분할된 밴드; 상기 밴드와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2개로 분할된 플랜지; 상기 밴드에 결합된 고무패드; 상기 밴드와 플랜지를 개폐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밴드와 플랜지를 고정하는 체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밴드는 플랜지에 고정되어 입상배관의 축 방향 하중 또는 외력에 대한 반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입상배관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밴드가 플랜지에 대해 반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하여 밴드와 플랜지가 분리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상배관용 클램프{Clamps for riser pipe}
본 발명은 입상배관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슬라브에 입상배관을 고정하는 작업의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입상배관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아파트나 빌딩 등의 다층 건물의 층간에는 냉온 설비를 위한 입상배관이 상,하로 관통 시공된다. 이를 위하여 다층 건물의 층간 슬라브에는 입상배관을 시공하기 위한 관통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관통홀에 입상배관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입상배관용 클램프를 이용하여 관통홀에 입상배관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입상배관용 클램프는 입상배관을 감싸는 밴드와 슬라브에 밀착 고정되는 플랜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입상배관용 클램프를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그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입상배관용 클램프(20)는 슬라브(10)의 상부에서 입상배관(1)을 감싸면서 관통홀(11)을 차폐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클램프(20)는 스틸재로 이루어진 플랜지(40)와, 상기 플랜지(40)의 중앙에서 입상배관(1)을 잡아주도록 수직하게 형성된 밴드(30)와, 입상배관(1)과 밀착에 의해 진동 및 팽창을 잡아주도록 상기 밴드(30)에 결합되는 고무재인 패드(3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40)와 밴드(30)는 개폐되도록 분할 형성되며, 상기 밴드(30)의 내경에 입상배관(1)을 위치시킨 후 밴드(30)에 형성된 돌출편(60)의 관통공(61)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입상배관과 클램프는 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입상배관(1)과 결합된 클램프(20)는 플랜지(40)에 형성된 장공의 고정홀(41')을 슬라브(10)의 잠금부재(12)에 고정한 후 너트를 고정함으로써 슬라브(10)의 상부에 견고히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입상배관용 클램프는 입상배관의 축방향 하중 및 하중에 의한 외력이 밴드로 집중되어 밴드와 플랜지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가공성 등의 이유로 밴드와 플랜지는 각각 단품으로 가공된 후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용접부위로 입상배관의 축방향 하중 및 하중에 의한 외력이 집중되어 밴드와 플랜지가 분리되어 밴드가 원 위치보다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밴드가 플랜지의 하부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입상배관을 고정하는 클램프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게 된다.
더욱이, 밴드와 플랜지가 밴딩 가공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밴딩 부위로 입상배관의 축방향 하중 및 하중에 의한 외력이 집중되어 파손의 위험이 있다. 즉 종래기술은 축방향 하중 및 하중에 의한 외력을 보강하기 위한 물리적 수단이 수반되지 않았다.
따라서, 축 방향 하중 및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형태의 입상배관용 클램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24017호(2011.11.16.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상배관의 축 방향 하중 및 외력에 의한 반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하여 밴드와 플랜지가 분리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입상배관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상배관용 클램프는, 입상배관을 감싸도록 2개로 분할된 밴드; 상기 밴드와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2개로 분할된 플랜지; 상기 밴드에 결합된 고무패드; 상기 밴드와 플랜지를 개폐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밴드와 플랜지를 고정하는 체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밴드는 플랜지에 고정되어 입상배관의 축 방향 하중 또는 외력에 대한 반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플랜지에 형성된 힌지공, 힌지공이 형성된 플랜지에 얹혀지도록 상기 밴드에서 연장 형성된 힌지부재 및 상기 힌지공과 힌지부재를 가로질러 체결하는 리벳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의 외주면에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플랜지의 경계면과 대면하는 밴드의 수직부위의 원둘레를 따라 플랜지의 경계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2개로 분할된 밴드에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 중 하나에 형성된 암나사와, 상기 한 쌍의 고정편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장공 및, 상기 장공을 가로질러 암나사와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편에는 수직돌기와 플랜지의 상면과 수평하게 절곡된 수평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수직돌기가 삽입되는 수직관통공과 상기 수평돌기가 삽입되는 수평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관통공은 플랜지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2개로 분할된 플랜지에는 서로 중첩되도록 단차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차부는 부채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상배관용 클램프에 따르면, 입상배관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밴드가 플랜지에 대해 반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하여 밴드와 플랜지가 분리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밴드에 형성된 스토퍼, 플랜지 상측에 배치된 고정편과 힌지부에 의해 입상배관의 축 방향 하중 및 외력에 의한 반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2개로 분할된 플랜지에 각각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단차부에 의해 플랜지는 더 넓은 범위로 개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입상배관용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입상배관용 클램프를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상배관용 클램프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상배관용 클램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상배관용 클램프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상배관용 클램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상배관용 클램프(A)는, 입상배관을 감싸도록 2개로 분할된 밴드(100)와, 상기 밴드(100)와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2개로 분할된 플랜지(200)와, 상기 밴드(100)에 결합된 고무패드(300)와, 상기 밴드(100)와 플랜지(200)를 개폐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400) 및 상기 밴드(100)와 플랜지(200)를 고정하는 체결부(500)로 구성된다.
밴드(100)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2개로 분할된 밴드(100)가 서로 체결되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입상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2개의 플랜지(200)는 림 형태를 유지하며 입상배관을 감싸는 밴드(100)를 슬라브에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200)에는 장공(204)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204)은 슬라브에 구비된 볼트 및 너트 등의 잠금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고무패드(300)는 밴드(100)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어 밴드(100)와 입상배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입상배관의 안정적인 고정 및 입상배관의 진동과 팽창을 억제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밴드(100)는 플랜지(200)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상기 밴드(100)의 상단과 하단은 플랜지(200)의 상면과 하면에 대해 돌출되며, 상기 밴드(100)의 상단과 하단에 고무패드(300)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힌지부(400)는 플랜지(200)에 형성된 힌지공(410)과, 힌지공(410)이 형성된 플랜지(200)에 얹혀지도록 상기 밴드(100)에서 연장 형성된 힌지부재(420) 및 상기 힌지공(410)과 힌지부재(420)를 가로질러 체결하는 리벳(4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힌지부(400)에 의해 밴드(100)와 플랜지(200)는 플랜지(200)의 상면의 수평방향으로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이, 상기 힌지부재(420)는 플랜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어 입상배관의 축 방향 하중 및 외력에 의한 반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밴드(100)의 외주면에는 스토퍼(110)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10)는 플랜지(200)의 경계면(203)과 대면하는 밴드(100)의 수직부위의 원둘레를 따라 플랜지(200)의 경계면(203)보다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110)에 의해 밴드(100)로 입상배관의 축 방향 하중 및 외력이 발생하여도 플랜지(200)의 경계면(203)에 스토퍼(110)가 걸림되어 밴드(100)와 플랜지(200)가 분리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500)는 2개로 분할된 밴드(100)에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고정편(510)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510) 중 하나에 형성된 암나사(520)와, 상기 한 쌍의 고정편(51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장공(530) 및, 상기 장공(530)을 가로질러 암나사(520)와 체결되는 볼트(54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500)에 의해 밴드(100)와 플랜지(200)를 체결하여 입상배관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편(510)에는 수직돌기(511)와 플랜지(200)의 상면과 수평하게 절곡된 수평돌기(51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200)에는 상기 수직돌기(511)가 삽입되는 수직관통공(201)과 상기 수평돌기(512)가 삽입되는 수평관통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관통공(202)은 플랜지(200)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직돌기(511)와 수직관통공(201)의 체결에 의해 밴드(100)와 플랜지(200)가 수평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며, 상기 수평돌기(512)와 수평관통공(202)에 의해 밴드(100)와 플랜지(200)가 수직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2개로 분할된 플랜지(200)에는 서로 중첩되도록 단차부(22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220)는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어 플랜지(200)의 개방시에 도 5와 같이 분할된 플랜지(200) 간에 간섭을 방지하여 밴드(100)와 플랜지(200)는 더 넓은 범위로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상배관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밴드(100)가 플랜지(200)에 대해 반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하여 밴드(100)와 플랜지(200)가 분리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밴드(100)에 형성된 스토퍼(110), 플랜지의 상측에 배치된 고정편(510)과 힌지부(400)에 의해 입상배관의 축 방향 하중 및 외력에 의한 반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 - 클램프 100 - 밴드
200 - 플랜지 300 - 고무패드
400 - 힌지부 500 - 체결부

Claims (8)

  1. 입상배관을 감싸도록 2개로 분할된 밴드;
    상기 밴드와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2개로 분할된 플랜지;
    상기 밴드에 결합된 고무패드;
    상기 밴드와 플랜지를 개폐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밴드와 플랜지를 고정하는 체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밴드는 플랜지에 고정되어 입상배관의 축 방향 하중 또는 외력에 대한 반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용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플랜지에 형성된 힌지공, 힌지공이 형성된 플랜지에 얹혀지도록 상기 밴드에서 연장 형성된 힌지부재 및 상기 힌지공과 힌지부재를 가로질러 체결하는 리벳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용 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외주면에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용 클램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플랜지의 경계면과 대면하는 밴드의 수직부위의 원둘레를 따라 플랜지의 경계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용 클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2개로 분할된 밴드에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 중 하나에 형성된 암나사와, 상기 한 쌍의 고정편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장공 및, 상기 장공을 가로질러 암나사와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용 클램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에는 수직돌기와 플랜지의 상면과 수평하게 절곡된 수평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수직돌기가 삽입되는 수직관통공과 상기 수평돌기가 삽입되는 수평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관통공은 플랜지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용 클램프.
  7. 제 1항에 있어서,
    2개로 분할된 플랜지에는 서로 중첩되도록 단차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용 클램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부채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용 클램프.
KR1020140173896A 2014-12-05 2014-12-05 입상배관용 클램프 KR101709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96A KR101709238B1 (ko) 2014-12-05 2014-12-05 입상배관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96A KR101709238B1 (ko) 2014-12-05 2014-12-05 입상배관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32A true KR20160068332A (ko) 2016-06-15
KR101709238B1 KR101709238B1 (ko) 2017-02-22

Family

ID=5613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896A KR101709238B1 (ko) 2014-12-05 2014-12-05 입상배관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950A (ko) * 2014-07-15 2016-01-25 문종현 입상배관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419B1 (ko) * 2018-06-14 2018-11-01 김재규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KR102415371B1 (ko) 2021-05-31 2022-07-01 (주)피엔에스엔지니어링 입상배관용 고정장치
KR20240010887A (ko) 2022-07-18 2024-01-25 주식회사 한국자동화기술 볼플랜저를 이용하여 풀림 방지가 되는 더블클로우 클램프
KR102637560B1 (ko) 2022-10-24 2024-02-19 (주)피엔에스엔지니어링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028A (ko)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20110098448A (ko) * 2010-02-26 2011-09-01 원승호 화재 번짐 방지 수단을 갖는 입상배관의 고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20110124017A (ko) 2010-05-10 2011-11-16 주식회사 동원산업 입상배관용 편심형 고정클램프
KR101179962B1 (ko) * 2011-05-24 2012-09-07 (주)유넷트코리아 층간 화염 및 유독성가스 차단장치
KR20130110983A (ko) * 2012-03-30 2013-10-10 안병득 입상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028A (ko)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20110098448A (ko) * 2010-02-26 2011-09-01 원승호 화재 번짐 방지 수단을 갖는 입상배관의 고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20110124017A (ko) 2010-05-10 2011-11-16 주식회사 동원산업 입상배관용 편심형 고정클램프
KR101179962B1 (ko) * 2011-05-24 2012-09-07 (주)유넷트코리아 층간 화염 및 유독성가스 차단장치
KR20130110983A (ko) * 2012-03-30 2013-10-10 안병득 입상관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950A (ko) * 2014-07-15 2016-01-25 문종현 입상배관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238B1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238B1 (ko) 입상배관용 클램프
US8833705B2 (en) Conduit hanger with a load-distribution plate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US9903517B2 (en) Flange coupling part reinforcing jig
JP6077122B2 (ja) イヤー・クランプ
KR200483799Y1 (ko) 배관 거치대
JP6508997B2 (ja) フランジ補強具
KR20160078785A (ko)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연결구조
KR101766601B1 (ko) 파이프용 지지장치
KR20210003036A (ko) 입상관 고정구
JP6672504B2 (ja) フランジ補強具
KR102098608B1 (ko) 진동 저감용 배관 지지장치
KR20140003489U (ko) 선박의 배관 플랜지 전용 서포트 클램프
KR102104180B1 (ko) 내화충전재 장착장치
JP7057244B2 (ja) 管材固定具
JP2017203480A (ja) 支持金具
JP2017106507A (ja) 支持装置
JP5674335B2 (ja) 支持手段
KR20190103586A (ko) 내진보강부재를 구비한 조임틀 장치
KR101686204B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0462293Y1 (ko)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101526980B1 (ko) 피팅부재 고정용 클램프
KR20180048283A (ko) 파이프용 지지장치
JP7179713B2 (ja) 配管固定具及びそれに用いる取付けプレート並びに配管取付け治具
KR101860410B1 (ko) 입상관 고정용 앵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