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419B1 -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419B1
KR101914419B1 KR1020180068207A KR20180068207A KR101914419B1 KR 101914419 B1 KR101914419 B1 KR 101914419B1 KR 1020180068207 A KR1020180068207 A KR 1020180068207A KR 20180068207 A KR20180068207 A KR 20180068207A KR 101914419 B1 KR101914419 B1 KR 101914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geotube
polymer
tube
mix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규
Original Assignee
김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규 filed Critical 김재규
Priority to KR1020180068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는 지오튜브를 이용하여 준설 슬러지를 탈수처리함에 있어 플록(floc)활성부에 의해 슬러지에 포함된 미세한 현탁물질이 큰 고형물형태로 응집되어 탈수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배출수의 탁도가 개선되어 하천이나 배수로로 방류시 2차 수질오염이 방지되며, 특히 슬러지가 펌핑되어 탈수튜브에 도달하기 전까지 단시간에 응집효율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펌핑부(10), 관로(20), 지오튜브(30), 플록(floc)활성부(40) 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Dredging sludg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지오튜브를 이용하여 준설 슬러지를 탈수처리함에 있어 플록(floc)활성부에 의해 슬러지에 포함된 미세한 현탁물질이 큰 고형물형태로 응집되어 탈수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배출수의 탁도가 개선되어 하천이나 배수로로 방류시 2차 수질오염이 방지되며, 특히 슬러지가 펌핑되어 탈수튜브에 도달하기 전까지 단시간에 응집효율 향상을 도모하는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준설 슬러지는 하천이나 해안, 배수로 바닥에 농축된 흙, 퇴적물을 포함하는 슬러지를 파헤쳐 바닥을 깊게 하는 작업으로서, 슬러지는 배수로 막힘, 공장의 과부하,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퇴적물 중 퇴적 슬러지는 원수 내의 용존산소를 소모시키는 유기물로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질소와 인 등의 각종 유해물질과 중금속 등을 함유하어 수질을 악화시키고, 부영양화로 조류 등이 이상 번식되도록 하여 생물에 유해한 가스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저수지, 댐 및 하천 등의 자정능력을 상실시켜 오염이 가속화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게시된 등록특허 10-0998698호에서, 펌프식 준설 방법으로 곧바로 준설물을 스플릿 바지에 공장에서 직조 및 봉제된 지오텍스타일 튜브를 설치하여 준설토의 주입과 탈수를 동시에 이루어 지게 하여 지오텍스타일 콘테이너에 준설토가 다 채워지면 스프릿트 바지선을 수중 낙하 위치로 이동하여서 배출도어를 열어 지오텍스타일 콘테이너를 낙하시겨서 준설토가 채워진 지오텍스타일 콘테이너가 수중 방파제와 수중제방 및 수중지반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공장에서 직조 및 봉제된 지오텍스타일 튜브 밀도에 의존하여 탈수과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슬러지 성상별로 다양한 밀도의 지오텍스타일 튜브를 준비해야 하고, 이로 인해 준설 작업 중에 층별, 영역별 슬러지 성상 변화에 대응하여 탈수밀도 조절이 불가능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뿐만 아니라, 준설 현장에서 탈수효율이 저하될 경우, 미세한 현탁물질이 하천이나 강으로 그대로 방류되어 2차 수질오염으로 이어짐과 더불어 탈수시 발생되는 배출수의 수질악화로 재활용이 제한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지오튜브를 이용하여 준설 슬러지를 탈수처리함에 있어 플록(floc)활성부에 의해 슬러지에 포함된 미세한 현탁물질이 큰 고형물형태로 응집되어 탈수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배출수의 탁도가 개선되어 하천이나 배수로로 방류시 2차 수질오염이 방지되며, 특히 슬러지가 펌핑되어 탈수튜브에 도달하기 전까지 단시간에 응집효율 향상을 도모하는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준설 슬러지를 흡입하는 펌핑부(10)와, 펌핑부(10)에 연결되어 슬러지를 이송하는 관로(20)와, 관로(20)를 통하여 배출되는 슬러지를 저장하면서 수분을 탈수하는 지오튜브(30)를 포함하고, 상기 관로(20)에 구비되어, 슬러지에 포함된 미립자를 응집하기 위한 폴리머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플록(floc)활성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록 활성부(40)는, 관로(20)에 연결되도록 양단에 입, 출구 플랜지(42a)(42b)가 구비되는 배합관체(42)와, 배합관체(42) 내부로 폴리머를 공급하는 노즐(44)과, 노즐(44)로 공급되는 폴리머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록 활성부(40)의 배합관체(42)는 일자형 관으로 형성되어, 입구 플랜지(42a)에는 펌핑부 측 관로(20)가 연결되고, 출구 플랜지(42b)에는 지오튜브(30) 측 관로(20)가 연결되며, 내주면에 돌출되어 슬러지 이송 와류를 일으키는 블레이드(4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8)는 슬러지 이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블레이드(48) 이면과 배합관체(42) 내주면 사이에 'V'형 와류홈(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8)는 배합관체(42)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 위치에 교대로 반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44)은 배합관체(42) 내부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등지고 슬러지 이송방향으로 폴리머를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8)는 배합관체(42) 내주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49)에 형성되어, 가이드부재(49)는 배합관체(42) 내주면에서 탈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오튜브(30) 하부에는 배출수를 포집 배출하는 집수부재(50)가 구비되고, 집수부재(50)는 지오튜브(30)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는 집수패드(52)와, 집수패드(52)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배출수를 포집하는 집수띠(54)와, 집수띠(54) 일측에 개방되어 배출수를 배출하는 집수배출부(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부재(50) 상에는 지오튜브(30) 안착 영역과 배출수 포집영역을 구분하여, 배출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띠(5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로(20)는 지오튜브(30)에 구비되는 주입관부(60)에 연결되고, 상기 주입관부(60)는 슬러지 이송방향을 종방향으로 변환하도록 절곡형성되면서 양단에 확장플랜지(62a)가 구비되는 엘보관(62)과, 지오튜브(30)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오튜브(30)를 사이에 두고 확장플랜지(62a)에 체결되는 플레이트(64)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64)는 적어도 2분할되는 복수의 C형 셀플레이트(64a)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머는 양이온성(Cationic), 음이온성(Anionic), 비이온성(Nonionic)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1종으로 단독사용의 경우 양이온성 폴리머를 사용하며, 슬러지 표면전위가 양이온을 띄는 경우 음이온성 폴리머를 사용하며, 슬러지 표면전위가 양, 음이온을 가지는 경우 비이온성 폴리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오튜브(30)는, 카본사와 폴리프로필렌사가 혼합된 합사를 위, 경사로 하는 능직원단을 제직하고, 능직원단의 양단을 봉합하여 내부가 빈 중공의 튜브 구조를 형성하며, 서로 봉합되는 능직원단의 양단 영역은 그 외 영역대비 인치당 위, 경사 본수가 2~3배 증가된 제직밀도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오튜브를 이용하여 준설 슬러지를 탈수처리함에 있어 플록(floc)활성부에 의해 슬러지에 포함된 미세한 현탁물질이 큰 고형물형태로 응집되어 탈수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배출수의 탁도가 개선되어 하천이나 배수로로 방류시 2차 수질오염이 방지되며, 특히 슬러지가 펌핑되어 탈수튜브에 도달하기 전까지 단시간에 응집효율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의 플록 활성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의 배합관체와 블레이드 분리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의 집수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의 집수부재에 역류방지띠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의 지오튜브 물리적 성지를 나타내는 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의 주입관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의 슬러지 농도별 폴리머 주입량을 나타내는 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는 지오튜브를 이용하여 준설 슬러지를 탈수처리함에 있어 플록(floc)활성부에 의해 슬러지에 포함된 미세한 현탁물질이 큰 고형물형태로 응집되어 탈수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배출수의 탁도가 개선되어 하천이나 배수로로 방류시 2차 수질오염이 방지되며, 특히 슬러지가 펌핑되어 탈수튜브에 도달하기 전까지 단시간에 응집효율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펌핑부(10), 관로(20), 지오튜브(30), 플록(floc)활성부(40) 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는 준설 슬러지를 흡입하는 펌핑부(10)와, 펌핑부(10)에 연결되어 슬러지를 이송하는 관로(20)와, 관로(20)를 통하여 배출되는 슬러지를 저장하면서 수분을 탈수하는 지오튜브(30)를 포함한다. 펌핑부(10)는 펌프에 연결된 흡입관을 이동하면서 슬러지를 흡입하거나, 주행체에 펌프를 탑재하고, 펌프 흡입구측에 포집호퍼을 설치하여 이동하면서 슬러지를 흡입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이동식으로 펌핑부를 구성하는 경우 포집호퍼 전방에서 슬러지를 펌프 흡입구측으로 포집하는 스크류날이 설치되고, 스크류날은 상호 역방향으로 슬러지 이송력이 발생되는 한 쌍의 날로 구비되어 흡입구 측으로 슬러지를 포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핑부(10)에서 흡입된 슬러지는 관로(20)를 통하여 이송되어 지오튜브(30)에 포집되는바, 여기서 지오튜브(30)는 합성 고분자 재료를 써서 만들어진 투수성을 갖는 섬유 제품인 지오텍스타일을 폐쇄형 튜브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슬러지 충진시 높은 탈수압력을 견디기 위해 도 6과 같이 물리적 성질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오튜브(30)는, 카본사와 폴리프로필렌사가 혼합된 합사를 위, 경사로 하는 능직원단을 제직하고, 능직원단의 양단을 봉합하여 내부가 빈 중공의 튜브 구조를 형성하며, 서로 봉합되는 능직원단의 양단 영역은 그 외 영역대비 인치당 위, 경사 본수가 2~3배 증가된 제직밀도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합사는 복수의 카본사와 폴리프로필렌사가 혼합으로 인해 탈수성 및 강도가 우수하고, 인치당 위, 경사 12본식 동일하게 적용하여 인장강도를 위, 경사방향으로 같게 유지하므로 슬러지 충진시 지오튜브 내부 압력이 사방으로 균일하게 분산되고, 특히 능직구조로 인해 지오튜브의 신축성이 향상되어 현장 시공성이 우수하며, 외부충격에 의해 찍어짐이 발생시 일부분만이 손상되므로 이후 유지보수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능직원단을 인치당 위, 경사 12본으로 제직 시 양단 영역은 위, 경사를 24본으로 형성하여, 서로 봉합되는 양단부의 봉합강도를 보강하므로 지오튜브(30) 내부 압력 상승에 의한 터짐 및 늘어짐 변형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현장에서 태양광에 노출시 자외선에 의한 지오튜브(30)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능직원단에 uv처리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 상기 관로(20)는 지오튜브(30)에 구비되는 주입관부(60)에 연결되고, 상기 주입관부(60)는 슬러지 이송방향을 종방향으로 변환하도록 절곡형성되면서 양단에 확장플랜지(62a)가 구비되는 엘보관(62)과, 지오튜브(30)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오튜브(30)를 사이에 두고 확장플랜지(62a)에 체결되는 플레이트(64)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64)는 적어도 2분할되는 복수의 C형 셀플레이트(64a) 조합으로 구성된다. 도 7과 같이 지오튜브(30)에 슬러지 주입구멍(H1)과, 주입구멍(H1)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볼트체결구멍(H2)을 형성하고, 주입구멍(H1)을 통하여 2분할된 2개의 C형 셀플레이트(64a)를 지오튜브(30) 내부로 삽입한 후 원형으로 조합하고, C형 셀플레이트(64a)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관통되는 볼트를 볼트체결구멍(H2)으로 삽입하여 엘보관의 확장플랜지에 체결하면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확장플랜지(62a)와 C형 셀플레이트(64a) 사이에는 고무패킹이 설치되어 지오튜브(30) 고정력이 향상되면서 슬래그 누수가 방지된다.
이처럼, 상기 C형 셀플레이트(64a)를 지오튜브(30) 주입구멍(H1)으로 삽입하여 지오튜브(30) 내측에서 엘보관(62)의 확장플랜지(62a)에 체결되는 간단한 설치구조를 가진다. 즉, 현장에서 지오튜브(30) 임의의 위치에 슬러지 주입구멍(H1)과 볼트체결구멍(H2)을 형성하면 엘보관(62)이 간단하게 설치되므로 현장상황(지오튜브 설치 면적, 슬래그 처리량)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주입관부(60) 위치 및 개수가 유동적으로 조절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록(floc)활성부(40)는 관로(20)에 구비되어, 슬러지에 포함된 미립자를 응집하기 위한 폴리머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플록(floc)활성부(40)는 폴리머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에 폴리머를 이송하는 펌프와, 펌프를 통한 폴리머 주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부와, 펌프에 연결되어 폴리머를 분사하는 노즐(44)로 구성된다. 그리고 플록(floc)활성부(40)는 관로(20)에 구멍을 천공하여 노즐(44)을 삽입설치하는 직설형 또는 노즐(44)이 설치된 배합관체(42) 양단에 관로를 연결하는 모듈형으로 구비된다.
도 2에서, 모듈형 플록 활성부(40)는, 관로(20)에 연결되도록 양단에 입, 출구 플랜지(42a)(42b)가 구비되는 배합관체(42)와, 배합관체(42) 내부로 폴리머를 공급하는 노즐(44)과, 노즐(44)로 공급되는 폴리머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44)은 배합관체(42) 내부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등지고 슬러지 이송방향으로 폴리머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배합관체(42) 내부에서 고압으로 이송되는 슬러지에 의한 노즐 막힘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폴리머를 분사시 슬러지 이송저항에 간섭받지 않고 폴리머 투입량이 정밀하게 제어된다.
도 2에서 노즐(44)은 배합관체(42) 입구측에 1개소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배합관체(42)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더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6)는 수동으로 타이머를 설정하여 주입량을 조절하거나, 펌핑부(10)를 통한 슬러지 이송량(압력)을 검출하여 그에 비례하게 폴리머 주입량을 자동 조절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폴리머는 슬러지에 포함된 미세한 현탁물질을 큰 고형물형태로 응집하는 구성으로, 탈수효율 향상과 더불어 배출수의 탁도가 개선되어 하천이나 배수로로 방류시 2차 수질오염이 방지되며, 특히 슬러지가 펌핑되어 탈수튜브에 도달하기 전까지 단시간에 응집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폴리머는 양이온성(Cationic), 음이온성(Anionic), 비이온성(Nonionic)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1종으로 단독사용의 경우 양이온성 폴리머를 사용하며, 슬러지 표면전위가 양이온을 띄는 경우 음이온성 폴리머를 사용하며, 슬러지 표면전위가 양, 음이온을 가지는 경우 비이온성 폴리머가 사용된다.
그리고, 수처리용 폴리머는 중합구조(Degree of structuring)에 따라, Linear, Low, Medium, High로 구분되어지며, 주로 무기계 응집제(Alum, PAC 등)에 의한 전처리 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Liner계열의 제품을 사용하며, 해당 폴리머의 유효활성 농도(Active polymer %)는 85% 이상의 사용을 권장한다.
또, 상기 폴리머 최적 주입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예비 테스르(Jar-Test)를 거쳐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오튜브(30)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슬러지 농도별 폴리머 최적 주입량을 나타낸다. 예비 테스트는 슬러지 시편에 도 8의 표를 기준으로 폴리머를 주입한 후, 지오튜브를 통과시켜 배출수에 포함된 슬러지 농도를 검출하는 과정을 통하여 폴리머 주입량이 결정된다.
이때, 상기 플록 활성부(40)의 배합관체(42)는 일자형 관으로 형성되어, 입구 플랜지(42a)에는 펌핑부 측 관로(20)가 연결되고, 출구 플랜지(42b)에는 지오튜브(30) 측 관로(20)가 연결되며, 내주면에 돌출되어 슬러지 이송 와류를 일으키는 블레이드(48)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블레이드(48)는 슬러지 이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블레이드(48) 이면과 배합관체(42) 내주면 사이에 'V'형 와류홈(45)이 형성되고, 배합관체(42)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 위치에 교대로 반복 배치된다.
이에 상기 슬러지는 배합관체(42) 입구에서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폴리머 혼합되고, 이후 복수의 블레이드(48)를 거치면서 이송압력변화 즉, 블레이드 설치구간에서 고압이송되고 블레이트 미설치구간에서 저압이송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폴리머가 짧은 시간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혼합되고, 특히 경사각을 이루는 블레이드(48)를 통과한 후 블레이드(48) 이면의 'V'형 와류홈(45)에서 슬러지가 와류되면서 폴리머와의 혼합효율이 더욱 향상되며, 이로 인해 폴리머를 과다 사용하지 않고도 미세한 현탁물질이 신속하게 응집되는 이점이 있다.
도 3에서, 상기 블레이드(48)는 배합관체(42) 내주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49)에 형성되어, 가이드부재(49)는 배합관체(42) 내주면에서 탈착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부재(49)는 바 또는 관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복수의 블레이드(48)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이에 배합관체(42) 내주면에 가이드부재(49)를 삽입 설치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블레이드(48)가 적용되어 일반 민자형 관체에도 적용됨과 더불어 사용 중 블레이드(48) 손상시 간단하게 교체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는 입, 출구 플랜지(42a)(42b)에 체결되는 관로 연결용 플랜지(예컨데, 관로 연결용 플랜지는 입, 출구 플랜지(42a)(42b) 플랜지 내경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는 구성)에 의해 측단면이 지지되어 견고하게 위치고정된다.
도 4에서, 상기 지오튜브(30) 하부에는 배출수를 포집 배출하는 집수부재(50)가 구비되고, 집수부재(50)는 지오튜브(30)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는 집수패드(52)와, 집수패드(52)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배출수를 포집하는 집수띠(54)와, 집수띠(54) 일측에 개방되어 배출수를 배출하는 집수배출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집수패드(52)는 방수포로 형성되어 지오튜브(30)가 설치되는 준설 현장바닥에 선 시공되거나, 지오튜브(30) 저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지오튜브(30)와 함께 시공되고, 가장자리부에 튜브형태로 팽창(공압 또는 수압)되는 집수띠(54)가 형성된다.
이에 집수패드(52)를 시공후 도 4 (a)처럼 집수띠(54)가 팽창되어 경계 뚝을 형성하면 배출수 포집구획이 형성되고, 지오튜브(30)에서 탈수되는 배출수는 집수부재(50)에 포집되어 도 4 (b)와 같이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집수배출부(56)를 통하여 이송되어 공업용수 등으로 이용되므로 준설현장이 청결하게 유지됨은 물론 배출수 재활용으로 수자원이 절약을 도모한다.
도 5에서, 상기 집수부재(50) 상에는 지오튜브(30) 안착 영역과 배출수 포집영역을 구분하여, 배출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띠(58)가 구비된다. 즉, 역류방지띠(58)는 집수패드(52) 중앙부에 지오튜브(30) 저면 사이즈와 대응하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에어 또는 물을 투입시 팽창되어 경계뚝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역류방지띠(58)에 의해 지오튜브(30) 안착영역과 배출수 집수 영역이 구분되어 탈수과정에서 집수패드(52)상에 포집된 배출수가 지오튜브(30) 저면으로 흡수되는 역류현상이 방지된다.
10: 펌핑부 20: 관로
30: 지오튜브 40: 플록(floc)활성부
50: 집수부재

Claims (12)

  1. 준설 슬러지를 흡입하는 펌핑부(10)와, 펌핑부(10)에 연결되어 슬러지를 이송하는 관로(20)와, 관로(20)를 통하여 배출되는 슬러지를 저장하면서 수분을 탈수하는 지오튜브(30)를 포함하고,
    상기 관로(20)에 구비되어, 슬러지에 포함된 미립자를 응집하기 위한 폴리머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플록(floc)활성부(40);
    상기 지오튜브(30) 하부에는 배출수를 포집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집수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집수부재(50)는 지오튜브(30)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는 집수패드(52)와, 집수패드(52)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배출수를 포집하는 집수띠(54)와, 집수띠(54) 일측에 개방되어 배출수를 배출하는 집수배출부(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집수부재(50) 상에는 지오튜브(30) 안착 영역과 배출수 포집영역을 구분하여, 배출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띠(58)가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록 활성부(40)는, 관로(20)에 연결되도록 양단에 입, 출구 플랜지(42a)(42b)가 구비되는 배합관체(42)와, 배합관체(42) 내부로 폴리머를 공급하는 노즐(44)과, 노즐(44)로 공급되는 폴리머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록 활성부(40)의 배합관체(42)는 일자형 관으로 형성되어, 입구 플랜지(42a)에는 펌핑부 측 관로(20)가 연결되고, 출구 플랜지(42b)에는 지오튜브(30) 측 관로(20)가 연결되며, 내주면에 돌출되어 슬러지 이송 와류를 일으키는 블레이드(4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8)는 슬러지 이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블레이드(48) 이면과 배합관체(42) 내주면 사이에 'V'형 와류홈(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8)는 배합관체(42)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 위치에 교대로 반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4)은 배합관체(42) 내부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등지고 슬러지 이송방향으로 폴리머를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7.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8)는 배합관체(42) 내주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49)에 형성되어, 가이드부재(49)는 배합관체(42) 내주면에서 탈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20)는 지오튜브(30)에 구비되는 주입관부(60)에 연결되고, 상기 주입관부(60)는 슬러지 이송방향을 종방향으로 변환하도록 절곡형성되면서 양단에 확장플랜지(62a)가 구비되는 엘보관(62)과, 지오튜브(30)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오튜브(30)를 사이에 두고 확장플랜지(62a)에 체결되는 플레이트(64)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64)는 적어도 2분할되는 복수의 C형 셀플레이트(64a)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양이온성(Cationic), 음이온성(Anionic), 비이온성(Nonionic)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1종으로 단독사용의 경우 양이온성 폴리머를 사용하며, 슬러지 표면전위가 양이온을 띄는 경우 음이온성 폴리머를 사용하며, 슬러지 표면전위가 양, 음이온을 가지는 경우 비이온성 폴리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튜브(30)는, 카본사와 폴리프로필렌사가 혼합된 합사를 위, 경사로 하는 능직원단을 제직하고, 능직원단의 양단을 봉합하여 내부가 빈 중공의 튜브 구조를 형성하며, 서로 봉합되는 능직원단의 양단 영역은 그 외 영역대비 인치당 위, 경사 본수가 2~3배 증가된 제직밀도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KR1020180068207A 2018-06-14 2018-06-14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KR10191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207A KR101914419B1 (ko) 2018-06-14 2018-06-14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207A KR101914419B1 (ko) 2018-06-14 2018-06-14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419B1 true KR101914419B1 (ko) 2018-11-01

Family

ID=6439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207A KR101914419B1 (ko) 2018-06-14 2018-06-14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4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7426A (zh) * 2020-06-15 2020-11-03 安徽省水利水电勘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河道治理用连续清淤装置
CN112745008A (zh) * 2020-11-16 2021-05-04 江阴市华士水利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河道淤泥除水处理系统及淤泥处理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554B1 (ko) * 1998-10-30 2001-12-28 김영식 복합형지오텍스타일
KR100980419B1 (ko) * 2009-12-07 2010-09-07 (주) 영동엔지니어링 악취제거장치
JP2013017989A (ja) * 2011-06-17 2013-01-31 Yano Kogyo:Kk 汚泥の浚渫処理方法および浚渫処理システム
KR101549039B1 (ko) * 2014-12-29 2015-09-08 관악산업 주식회사 준설토의 지오튜브 충진 시스템 및 지오튜브 충진 방법
KR101709238B1 (ko) * 2014-12-05 2017-02-22 윤재식 입상배관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554B1 (ko) * 1998-10-30 2001-12-28 김영식 복합형지오텍스타일
KR100980419B1 (ko) * 2009-12-07 2010-09-07 (주) 영동엔지니어링 악취제거장치
JP2013017989A (ja) * 2011-06-17 2013-01-31 Yano Kogyo:Kk 汚泥の浚渫処理方法および浚渫処理システム
KR101709238B1 (ko) * 2014-12-05 2017-02-22 윤재식 입상배관용 클램프
KR101549039B1 (ko) * 2014-12-29 2015-09-08 관악산업 주식회사 준설토의 지오튜브 충진 시스템 및 지오튜브 충진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7426A (zh) * 2020-06-15 2020-11-03 安徽省水利水电勘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河道治理用连续清淤装置
CN112745008A (zh) * 2020-11-16 2021-05-04 江阴市华士水利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河道淤泥除水处理系统及淤泥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419B1 (ko) 준설 슬러지 처리장치
KR20100136994A (ko) 액체 제거 장치
US20140326648A1 (en) Facility for removal of materials and/or polluting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courses
CN110963654A (zh) 一种工程泥浆处理系统及方法
US20190177199A1 (en) Sewage dewatering processes and apparatuses
KR101641191B1 (ko) 하,폐수의 부유물처리용 가압부상분리기
CN106977073B (zh) 生态清淤集成系统
CN111574013A (zh) 双掺法、动态混合的淤泥高干度脱水工艺
EP1701921B1 (en) An installation for the removal of pollutant materials and/or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 streams
CN218589883U (zh) 船载式疏浚泥浆即时干化处理系统
KR100646027B1 (ko) 폐수 처리 장치
CN112745008A (zh) 一种河道淤泥除水处理系统及淤泥处理方法
CN207153194U (zh) 一种水力旋流沉淀器及污水处理设备
KR20050028619A (ko) 준설 퇴적물의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KR102340612B1 (ko) 모듈형경사판 침전지 작동방법
KR101060739B1 (ko) 수질정화 및 슬러지 탈수를 위한 수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20190102376A (ko) 고효율 혼화·응집침전설비를 갖춘 굴착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CN212609938U (zh) 一种tbm施工隧洞污水处理系统
CN113371961A (zh) 一种自适应悬浮物浓度的高密滤袋应急脱水系统
CN210460549U (zh) 一种灌注桩成孔泥浆循环处理系统
KR100521649B1 (ko) 소규모하수종말처리방법
CN214829885U (zh) 一种河道淤泥除水处理系统
KR100985064B1 (ko) 이동식 실시간 수질정화장치
CN101792241A (zh) 一体式污泥自回流曝气沉淀装置
KR100330493B1 (ko) 취수구의 수질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