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983A - 입상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입상관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10983A KR20130110983A KR1020120033379A KR20120033379A KR20130110983A KR 20130110983 A KR20130110983 A KR 20130110983A KR 1020120033379 A KR1020120033379 A KR 1020120033379A KR 20120033379 A KR20120033379 A KR 20120033379A KR 20130110983 A KR20130110983 A KR 201301109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clamp
- tightening
- granular
- se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상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래브에 매설된 슬리브의 상단에 안착, 고정되며 클램프 회동안내공을 구비한 도넛형 안착판; 및 상기 클램프 회동안내공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입상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한 쌍의 반원통형 클램프 본체와, 상기 클램프 본체의 양단에서 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임편과, 상기 조임편을 조이는 조임수단을 포함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상관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슬리브에 고정되는 안착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슬리브의 매설상태와 무관하게 입상관 고정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슬리브의 상단에 플랜지부와 차단판을 구비하고 있어 슬래브 콘크리트가 슬리브의 상면을 덮고 있는 경우에도 슬래브 콘크리트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입상관을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수도 또는 소화용수 배관 등 입상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래브에 매설되는 슬리브의 매설상태와 무관하게 입상관의 고정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슬래브 콘크리트가 슬리브의 상면을 덮고 있는 경우에도 슬래브 콘크리트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입상관을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입상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에 각 층의 슬래브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입상관을 슬래브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슬래브에 매설된 매설관 위에 고정되는 클램프를 사용하여 입상관을 고정하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99916호는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라브에서 파이프를 배관하는 위치에 매설되며 슬리브 너트가 구비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 너트에 체결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슬리브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돌출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파이프를 감싸는 반원통부와, 상기 반원통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날개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파이프 고정부재와; 상기 파이프 고정부재의 양측 날개를 체결하는 고정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파이프 고정 앙카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파이프는 통상적인 입상관이며, 고정돌출부는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슬래브에 매설된 슬리브의 상부에 한 쌍의 파이프 고정부재를 위치시키고, 파이프 고정부재로 슬리브에 관통된 파이프를 감싼 다음, 파이프 고정부재의 고정돌출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볼트를 관통시켜 슬리브 너트에 체결하고, 상기 반원통부의 양측에서 연장된 날개를 볼트와 너트에 의해 조임으로써 반원통부가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파이프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파이프과 반원통부 사이에는 패킹과 파이프 고정링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슬리브는 슬래브를 타설하기 전에 슬래브 거푸집에 못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슬래브 거푸집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로 슬래브를 타설한 다음 거푸집의 탈형하면 슬래브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인 바, 통상적으로 시공자의 개인차에 의하여 슬리브에 구비된 슬리브 너트의 위치가 일정하게 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등록특허의 파이프 고정 앙카는 반원통부와 고정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를 슬래브에 고정함에 있어서 한 쌍의 반원통부의 날개를 볼트와 너트로 조이는 작업이 매우 난해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즉, 파이프는 건축물의 공간 활용면에서 건물 벽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하게 되는데, 도 9의 (a)와 같이 슬래브(S)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슬리브(1)의 네 개의 슬리브 너트부(1a)중 서로 대향하는 두 개씩의 슬리브 너트부(1a)가 벽체(W)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거나 평행을 이루도록 슬리브(1)가 매설된 경우에는 반원통부(2a)와 함께 클램프(2)를 구성하는 고정돌출부(2b)를 클램프 고정볼트(3a)와 너트부(1a)에 의해 슬리브(1)에 고정하였을 때, 반원통부(2a)의 양측에서 연장된 날개(2c, 2d)들이 벽체(W)에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날개(2c, 2d)에 클램프 고정볼트(4a)와 너트(4b)를 체결하여 파이프(P)의 고정 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지만, 도 9의 (b)(c)와 같이 슬리브(1)의 네 개의 슬리브 너트부(1a)중 서로 대향하는 두 쌍의 슬리브 너트부(1a)가 벽체(W)에 대하여 비스듬한 상태로 슬리브(1)가 매설된 경우에는 한쪽 날개(2c)는 벽체(W)의 반대측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상 문제가 없으나 다른 쪽 날개(2d)가 벽체(W)측에 위치하게 되어 클램프 고정볼트(4a)와 너트(4b)를 체결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0의 (a)와 같이 슬래브(S)가 슬리브(1)의 상단 높이에 정확히 맞춰서 평활하게 타설된 경우에는 슬리브(1)의 상단에 고정되는 클램프(2), 즉 반원통부(2a)와 고정돌출부(2b) 및 날개(2c, 2d)가 수평으로 되어 반원통부(2a)가 파이프(P)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파이프(P)의 고정상태가 양호하게 되지만, 도 10의 (b)와 같이 슬래브(S)가 슬리브(1)의 상단 높이에 정확히 맞춰지지 않고 슬리브(1)의 상단보다 높게 타설된 경우, 슬리브(1) 상단보다 높게 타설된 슬래브(S)의 표면을 제거해야 하는데, 상기 슬리브(1)의 중앙부는 완전히 개구되어 있고, 너트부(1a)가 슬리브(1)의 외주부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슬래브(S)의 표면을 제거하기 어렵게 되고, 결국 슬리브(1)의 상단에 고정되는 클램프(2)를 구성하는 반원통부(2a)와 고정돌출부(2b) 및 날개(2c, 2d)가 수평으로 고정되지 않고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반원통부(2a)가 파이프(P)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들뜨게 되어 파이프(P)의 고정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래브에 매설되는 슬리브의 매설상태와 무관하게 입상관의 고정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입상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래브 콘크리트가 슬리브의 상면을 덮고 있는 경우에도 슬리브 상면을 덮고 있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입상관을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입상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래브에 매설된 슬리브의 상단에 안착, 고정되며 클램프 회동안내공을 구비한 도넛형 안착판; 및 상기 클램프 회동안내공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입상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한 쌍의 반원통형 클램프 본체와, 상기 클램프 본체의 양단에서 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임편과, 상기 조임편을 조이는 조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상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슬리브는 입상관이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슬리브 본체와, 상기 슬리브 본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 입상관 통과공이 형성된 내측플랜지부 및, 상기 슬리브 본체의 내주면 상단에 구비된 너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는 입상관이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슬리브 본체와; 상기 슬리브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그 중앙에 입상관 통과공을 가지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자리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너트부를 구비한 플랜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판은 각각 클램프 회동안내공과 원호형 장공이 구비된 분할안착판과, 상기 분할안착판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호형 장공을 통하여 상기 너트부에 체결되는 안착판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할안착판은, 상기 분할안착판의 양단에 절곡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연결부와 상기 분할안착편의 양단을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볼트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안착편의 절곡연결부에 상기 연결볼트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안착편의 양단에 상기 연결볼트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된다.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양측 조임편에 관통되는 조임볼트와, 상기 일측 조임편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임너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 본체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상기 분할안착판의 클램프 회동안내공에 끼웠을 때 클램프 본체와 분할안착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상하 한 쌍의 돌출링부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플랜지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입상관 통과공을 차단하는 차단판이 더 포함되며, 상기 내측플랜지부의 내주연과 차단편의 외주연 사이에는 슬래브의 타설후 입상관의 고정작업시 차단편을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취부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입상관 통과공을 차단하는 차단편이 더 포함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내주연과 차단편의 외주연 사이에는 슬래브 타설후 입상관의 고정작업시 차단편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취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입상관을 고정하는 클램프가 슬리브에 고정되는 안착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슬리브의 매설상태와 무관하게 입상관 고정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리브의 상단에 내측플랜지부와 차단판이 구비되어 있어 슬래브의 표면이 슬리브의 상단보다 높게 타설된 경우에도 내측플랜지부와 차단판 위에 있는 슬래브 부분을 쉽게 긁어내어 제거할 수 있으므로 슬리브의 상면을 덮고 있는 경우에도 슬래브 콘크리트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입상관을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입상관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체 사시도,
도 2는 전체 분해 사시도,
도 3은 시공상태 종단면도,
도 4는 시공상태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입상관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전체 분해 사시도,
도 6은 시공상태 종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입상관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전체 분해 사시도,
도 8은 시공상태 종단면도,
도 9는 종래 입상관 고정장치에 의한 입상관 시공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종래 입상관 고정장치에 의한 입상관 시공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은 전체 사시도,
도 2는 전체 분해 사시도,
도 3은 시공상태 종단면도,
도 4는 시공상태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입상관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전체 분해 사시도,
도 6은 시공상태 종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입상관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전체 분해 사시도,
도 8은 시공상태 종단면도,
도 9는 종래 입상관 고정장치에 의한 입상관 시공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종래 입상관 고정장치에 의한 입상관 시공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입상관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입상관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래브(S)에 매설되는 슬리브(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안착판(20); 및 상기 안착판(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입상관(P)을 고정하는 클램프(30)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10)는 입상관(P)이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슬리브 본체(11)와, 상기 슬리브 본체(1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 입상관 통과공(12a)이 형성된 내측플랜지부(12) 및, 상기 슬리브 본체(11)의 내주면 상단에 구비된 너트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 본체(11)의 하단에는 슬래브(S)를 타설할 때 슬래브 거푸집(미도시)에 슬리브(10)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거푸집 고정편(11a)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내측플랜지부(12)에는 상기 너트부(13)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볼트통과공(12b)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플랜지부(12)는 슬리브(10)의 성형시 입상관 통과공(12a)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슬래브(S)의 타설시 콘크리트가 슬리브 본체(11)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플랜지부(12a)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입상관 통과공(12a)을 차단하는 차단판(12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플랜지부(12)의 내주연과 차단편(12c)의 외주연 사이에는 슬래브(S)의 타설후 입상관(P)의 고정작업시 차단편(12c)을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취부(12d)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트부(13)는 도시예와 같이 슬리브 본체(1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나사홀이 형성되는 나사보스 형태로 구성하거나, 슬리브 본체(1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보스부와 이 보스부에 매설되는 너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판(20)은 클램프 회동안내공(21)을 가지는 도넛형 판체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판(20)은 하나의 도넛형 판체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클램프(3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 클램프 회동안내공(21a, 21b)을 가지는 분할안착판(20a, 20b)로 구성하고,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의 양단을 연결볼트(23)로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은 어느 한 쪽(도면에서는 왼쪽)의 분할안착판(20a)의 양단에 절곡연결부(22)를 형성하여 이 절곡연결부(22)와 다른 쪽(도면에서는 오른쪽)의 분할안착편(20b)의 양단을 중첩시킨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양쪽 분할안착판(20a, 20b)이 하나의 평판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안착편(20a)의 양단에 형성된 절곡연결부(22)와 분할안착편(20b)의 양단에는 연결볼트(23)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24a)이 형성되고, 분할안착편(20b)의 양단에는 연결볼트(23)가 체결되는 나사공(24b)이 형성된다.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에는 슬리브(10)의 너트부(13)에 체결되는 안착판 고정볼트(26)가 관통되는 원호형 장공(25)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판(20)은 철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상기 나사공(24b)은 탭핑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에는 분할안착판(20a, 20b)과 클램프 본체(30a, 30b)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나사공(27)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30)는 상기 안착판(20)의 클램프 회동안내공(21; 21a, 21b)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입상관(P)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한 쌍의 반원통형 클램프 본체(30a, 30b)와, 상기 클램프 본체(30a, 30b)의 양단에서 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임편(31a, 31b)과, 상기 조임편(31a, 31b)을 조이는 조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조임편(31a)에 관통되는 조임볼트(33a) 및, 상기 조임편(31a)에 구비되어 상기 조임볼트(33a)가 체결되는 조임너트부(33b)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편(31a, 31b)에는 상기 조임볼트(33a)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32)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 본체(30a, 30b)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의 클램프 회동안내공(21a, 21b)에 끼웠을 때 클램프 본체(30a, 30b)와 분할안착판(20a, 20b)이 상하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상하 한 쌍의 돌출링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 한 쌍의 돌출링부(34)는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 본체(30a, 30b)에는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의 나사공(27)에 대응하는 볼트관통공(35a)을 가지는 결합편(3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 본체(30a, 30b)의 내주면과 입상관(P) 사이에 삽입되는 패킹(37)을 구비한다. 상기 패킹(37)은 상기 클램프 본체(30a, 30b)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외주면과 입상관(P)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내주면을 가진다. 상기 패킹(37)의 상하단에는 상기 클램프 본체(30a, 30b)의 상하단에 씌워지는 외측플랜지부(37a)가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에 의하여 입상관을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슬리브(10)는 슬래브(S)가 타설 과정에서 슬래브(S)에 매설된다. 슬래브(S)의 타설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슬리브(10)를 슬래브 거푸집(미도시) 위에 올려놓고 거푸집 고정편(11a)에 못을 박아 고정한 상태에서 슬래브 거푸집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로 슬래브(S)를 타설한 다음 슬래브 거푸집을 탈형하면, 슬리브(10)가 슬래브(S)에 매설된 상태로 된다.
슬래브(S)를 타설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슬리브(10)의 상단부에 구비된 차단판(12c)에 의하여 상기 입상관 통과공(12a)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가 슬리브(10) 내로 침투하는 일이 없게 되며, 슬리브(10)에 입상관(P)을 통과시키기 전에 차단판(12c)을 떼어내는 것이다. 상기 차단판(12c)을 떼어냄에 있어서는 입상관 통과공(12a)의 내주연과 차단판(12c)의 외주연 사이에 절취부(12d)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단판(12c)을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슬리브(10)를 통과한 입상관(P)을 고정하는 과정은 안착판(20)에 클램프(3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과정과, 안착판(20)을 슬리브(10) 상에 안착, 고정하는 과정 및 클램프(30)를 조이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판(20)에 클램프(30)를 결합하는 과정은 안착판(20)을 구성하는 분할안착판(20a, 20b)과 클램프(30)를 구성하는 클램프 본체(30a, 30b)를 입상관(P)의 양측에서 분할안착판(20a, 20b)을 클램프 본체(30a, 30b)에 끼워 맞춘다. 이때 분할안착판(20a, 20b)의 클램프 회동안내공(21a, 21b)이 클램프 본체(30a, 30b)의 외주면 하단에 형성된 상하 한 쌍의 돌출링부(34)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일측 분할안착판(20a)의 절곡연결부(22)와 타측 분할안착판(20b)의 양단을 중첩되게 한 상태에서 일측 분할안착판(20a)의 절곡연결부(2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4a)을 통해 연결볼트(23)를 관통시켜 타측 분할안착판(20b)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공(24b)에 체결함으로써 분할안착판(20a, 20b)이 연결되어 하나의 도넛 형태를 이루는 안착판(20)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 본체(30a, 30b)의 결합편(35)에 형성된 볼트관통공(35a)에 고정볼트(36)를 관통시켜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의 나사공(27)에 체결함으로써 안착판(20)과 클램프(30)가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안착판(20)을 슬리브(10) 위에 안착, 고정하는 과정은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을 슬리브(10)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에 형성된 원호형 장공(25)과 상기 슬리브(10)의 내측플랜지부(1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12b)에 안착판 고정볼트(26)를 통과시켜 상기 슬리브(10)의 너트부(13)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클램프(30)가 결합된 안착판(20)을 슬리브(1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분할안착판(20a, 20b)에 형성된 원호형 장공(25)에 의하여 너트부(13)에 대한 분할안착판(20a, 20b)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본체(30a, 30b)의 양단에 형성된 조임편(31a, 31b)에 형성된 볼트관통공(32)에 조임볼트(33a)를 관통시켜 조임편(31b)에 형성된 조임너트부(33b)에 체결하여 클램프(30)가 입상관(P)의 외주면을 조이도록 함으로써 입상관(P)이 클램프(30), 안착판(20) 및 슬리브(10)를 통해 슬래브(S)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 본체(30a, 30b)의 내주면과 입상관(P)의 외주면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패킹(37)을 끼울 수 있다. 상기 패킹(37)은 클램프(30)를 안착판(20)에 결합하기 전에 클램프 본체(30a, 30b)의 내주면에 미리 끼워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30)가 결합된 안착판(20)을 슬리브(10)에 안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리브(10)의 매설상태에 따라 상기 원호형 장공(25)에 의하여 안착판(20)의 위치로 조절한다고 하더라도 클램프(30)의 조임편(31a 31b)이 벽체(W) 쪽을 향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4의 b 참조)에는 상기 고정볼트(36)를 해체하고, 상기 안착판(20)에 대하여 클램프(30)를 회동시켜 조임편(31a, 31b)의 위치를 조절하여 조임볼트(33a)와 조임너트부(33b)에 의한 조임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10)는 상단에 내측플랜지부(12)와 차단판(12c)이 구비 되어 있으므로 슬래브 콘크리트가 슬리브(10)의 상면을 덮고 있는 경우에도 약간의 타격이나 긁는 것만으로 내측플랜지부(12)와 차단판(12c)를 덮고 있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차단판(12c)을 제거하고 입상관(P)을 고정하기 위하여 슬리브(10)의 내측플랜지부(12) 위에 안착판(20)을 안착, 고정할 때 안착판(20)이 정확하게 안착, 고정되어 안착판(20)에 결합된 클램프(30)에 의한 입상관(P)의 고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입상관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는 슬리브(10)와 안착판(20)의 구조가 변경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슬리브(10)는 상하단이 모두 완전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슬리브 본체(11)와, 상기 슬리브 본체(11) 상단에 결합되는 플랜지 부재(14)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 부재(14)는 슬리브 본체(11)의 상단에 씌워지며 중앙에 입상관(P)이 통과하는 입상관 통과공(15a)이 형성된 플랜지부(15)와, 상기 플랜지부(15)에 형성된 복수개의 너트부(16)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부(16)는 슬리브 캡(14)에 일체로 형성되어 나사홀이 형성되는 나사보스 형태로 구성하거나, 플랜지 부재(14)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보스부와 이 보스부에 매설되는 너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캡(14)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것으로, 성형시 상기 입상관 통과공(15a)을 차단하는 차단편(17)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15)의 내주연과 차단편(17)의 외주연 사이에는 슬래브 타설후 입상관(P)의 고정작업시 차단편(17)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취부(17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 캡(14)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슬리브 본체(11)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리브 본체 삽입홈(18)이 형성된다. 상기 입상관 통과공(15a)의 주위에는 입상관(P)을 안내하는 입상관 안내관부(19)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실시예의 원호형 장공(25)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판(20)은 양측 분할안착판(20)의 외주연 중간부에 원호형 장공(28a)을 가지는 연장편(28)이 연장형성된 것이다. 상기 안착판(20)과 클램프(30)의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에 의하여 입상관을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슬리브(10)는 슬리브 본체(11)와 플랜지 부재(14)가 결합된 상태로 슬래브(S)에 매설된다. 슬래브(S)의 타설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슬리브 본체(11)의 상단을 플랜지 부재(14)의 슬리브 본체 삽입홈(18)에 삽입하여 조립한 슬리브(10)를 슬래브 거푸집(미도시) 위에 올려놓고 거푸집 고정편(11a)에 못을 박아 고정하고, 슬래브 거푸집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로 슬래브(S)를 타설한 다음, 슬래브 거푸집을 탈형하면, 슬리브(10)가 슬래브(S)에 매설된 상태로 된다.
슬래브(S)를 타설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플랜지 부재(14)에 구비된 차단판(17)에 의하여 상기 입상관 통과공(15a)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가 슬리브(10) 내로 침투하는 일이 없게 되며, 슬리브(10)에 입상관(P)을 통과시키기 전에 차단판(17)을 떼어내는 것이다. 상기 차단판(17)을 떼어냄에 있어서는 입상관 통과공(15a)의 내주연과 차단판(17)의 외주연 사이에 절취부(17a)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단판(17)을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슬리브(10)를 통과한 입상관(P)을 고정하는 과정은 안착판(20)에 클램프(3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과정과, 안착판(20)을 슬리브(10) 상에 안착, 고정하는 과정 및 클램프(30)를 조이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판(20)에 클램프(30)를 결합하는 과정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안착판(20)을 슬리브(10) 상에 안착, 고정하는 과정은 상기 안착판 고정볼트(26)를 연장편(28)에 형성된 원호형 장공(28a)에 관통시켜 플랜지 부재(14)의 너트부(16)에 체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클램프(30)를 조이는 과정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슬리브(10)는 상단에 결합되는 플랜지 부재(14)는 플랜지부(15)와 차단판(17)이 구비 되어 있으므로 슬래브 콘크리트가 슬리브(10)의 상면을 덮고 있는 경우에도 약간의 타격이나 긁는 것만으로 플랜지부(15)와 차단판(17)을 덮고 있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차단판(17)을 제거하고 입상관(P)을 고정하기 위하여 슬리브(10)의 플랜지부(15) 위에 안착판(20)을 안착, 고정할 때 안착판(20)이 정확하게 안착, 고정되어 안착판(20)에 결합된 클램프(30)에 의한 입상관(P)의 고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입상관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는 수평조절부재(40)의 외곽 형태가 직선부와 원호부로 형성된 것이며, 실질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슬리브 13 : 너트부
20 : 안착판 20a, 20b : 분할안착편
21; 21a, 21b : 클램프 회동안내공 22 : 절곡연결부
25, 28a : 원호형 장공 26 : 안착판 고정볼트
30 : 클램프 30a, 30b : 클램프 본체
31a, 31b : 조임편 33a : 조임볼트
34 : 돌출링부
20 : 안착판 20a, 20b : 분할안착편
21; 21a, 21b : 클램프 회동안내공 22 : 절곡연결부
25, 28a : 원호형 장공 26 : 안착판 고정볼트
30 : 클램프 30a, 30b : 클램프 본체
31a, 31b : 조임편 33a : 조임볼트
34 : 돌출링부
Claims (10)
- 슬래브(S)에 매설된 슬리브(10)의 상단에 안착, 고정되며 클램프 회동안내공(21)을 구비한 도넛형 안착판(20); 및
상기 클램프 회동안내공(21)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입상관(P)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한 쌍의 반원통형 클램프 본체(30a, 30b)와, 상기 클램프 본체(30a, 30b)의 양단에서 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임편(31a, 31b)과, 상기 조임편(31a, 31b)을 조이는 조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상관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는 입상관(P)이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슬리브 본체(11)와, 상기 슬리브 본체(1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 입상관 통과공(12a)이 형성된 내측플랜지부(12) 및, 상기 슬리브 본체(11)의 내주면 상단에 구비된 너트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는 입상관(P)이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슬리브 본체(11)와;
상기 슬리브 본체(11)의 상단에 결합되어 그 중앙에 입상관 통과공(15a)을 가지는 플랜지부(15)와, 상기 플랜지부(15)의 가장자리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너트부(16)를 구비한 플랜지 부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20)은 각각 클램프 회동안내공(21a, 21b)과 원호형 장공이 구비된 분할안착판(20a, 20b)과,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볼트(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호형 장공을 통하여 상기 너트부(13, 16)에 체결되는 안착판 고정볼트(2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은, 상기 분할안착판(20a)의 양단에 절곡연결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연결부(22)와 상기 분할안착편(20b)의 양단을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볼트(23)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안착편(20a)의 절곡연결부(22)에 상기 연결볼트(23)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24a)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안착편(20b)의 양단에 상기 연결볼트(23)가 체결되는 나사공(24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조임편(31a, 31b)에 관통되는 조임볼트(33a)와, 상기 조임편(31b)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임너트부(33b)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본체(30a, 30b)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상기 분할안착판(20a, 20b)의 클램프 회동안내공(21a, 21b)에 끼웠을 때 클램프 본체(30a, 30b)와 분할안착판(20a, 20b)이 상하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상하 한 쌍의 돌출링부(3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플랜지부(12a)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입상관 통과공(12a)을 차단하는 차단판(12c)이 더 포함되며, 상기 내측플랜지부(12)의 내주연과 차단편(12c)의 외주연 사이에는 슬래브(S)의 타설후 입상관(P)의 고정작업시 차단편(12c)을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취부(12d)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5)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입상관 통과공(15a)을 차단하는 차단편(17)이 더 포함되며, 플랜지부(15)의 내주연과 차단편(17)의 외주연 사이에는 슬래브 타설후 입상관(P)의 고정작업시 차단편(17)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취부(17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3379A KR101358242B1 (ko) | 2012-03-30 | 2012-03-30 | 입상관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3379A KR101358242B1 (ko) | 2012-03-30 | 2012-03-30 | 입상관 고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0983A true KR20130110983A (ko) | 2013-10-10 |
KR101358242B1 KR101358242B1 (ko) | 2014-02-12 |
Family
ID=4963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3379A KR101358242B1 (ko) | 2012-03-30 | 2012-03-30 | 입상관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824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8332A (ko) * | 2014-12-05 | 2016-06-15 | 윤재식 | 입상배관용 클램프 |
KR20180055366A (ko) * | 2016-11-17 | 2018-05-25 | 김성복 |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 |
KR20190127176A (ko) * | 2018-05-03 | 2019-11-13 | 파이발텍 주식회사 | 가스차단 기능을 겸비한 입상관 클램프 장치 |
CN110808566A (zh) * | 2019-11-19 | 2020-02-18 |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 一种卡套式电缆管密封结构及密封工艺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5320B1 (ko) | 2016-03-11 | 2023-03-07 |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
KR101832098B1 (ko) * | 2017-06-13 | 2018-04-04 | 홍순익 | 내진성을 구비한 입상배관 고정장치 |
KR102464592B1 (ko) | 2022-01-24 | 2022-11-10 |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 건축물의 배수파이프를 통한 소방용 화재 확산 방지장치 |
KR102475631B1 (ko) * | 2022-02-25 | 2022-12-07 | 홍석호 | 입상관 클램핑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5228B1 (ko) | 2006-10-25 | 2008-07-09 | 한재광 |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 |
KR20110098448A (ko) * | 2010-02-26 | 2011-09-01 | 원승호 | 화재 번짐 방지 수단을 갖는 입상배관의 고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
KR200458928Y1 (ko) * | 2010-03-26 | 2012-03-21 | 원승호 | 배관의 긴밀한 고정을 위한 씽크관통슬리브 덮개 |
KR200451427Y1 (ko) * | 2010-04-22 | 2010-12-14 | (주)유넷트코리아 |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
-
2012
- 2012-03-30 KR KR1020120033379A patent/KR10135824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8332A (ko) * | 2014-12-05 | 2016-06-15 | 윤재식 | 입상배관용 클램프 |
KR20180055366A (ko) * | 2016-11-17 | 2018-05-25 | 김성복 |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 |
KR20190127176A (ko) * | 2018-05-03 | 2019-11-13 | 파이발텍 주식회사 | 가스차단 기능을 겸비한 입상관 클램프 장치 |
CN110808566A (zh) * | 2019-11-19 | 2020-02-18 |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 一种卡套式电缆管密封结构及密封工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8242B1 (ko) | 2014-0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8242B1 (ko) | 입상관 고정장치 | |
US5878448A (en) | Floor drain extension | |
KR101671423B1 (ko) |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 |
KR20160119317A (ko) |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 | |
CA2977565C (en) | Concrete form system | |
KR101641339B1 (ko) |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 |
KR100890825B1 (ko) | 관 일체형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블럭의 성형몰드 및 이를이용한 맨홀블럭 제조방법 | |
KR101332415B1 (ko) |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 |
KR20160045470A (ko) | 파이프 행거 지지용 슬래브 인서트 앵커너트 및 그 제작방법 | |
KR101493249B1 (ko) |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 |
KR20140000051U (ko) |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 |
JP6914028B2 (ja) | 型枠固定装置、型枠、型枠固定方法および目地の施工方法 | |
KR200459761Y1 (ko) | 벽체 거푸집의 상단 간격 유지 조정장치 | |
KR100943942B1 (ko) | 밀봉소켓 조립체 | |
KR101639311B1 (ko) | 맨홀철개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 |
KR200468002Y1 (ko) | 콘크리트 맨홀 성형장치 | |
KR20170003729U (ko) |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 |
KR20100013100U (ko) | 체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관통 슬리브 고정대 | |
KR100915629B1 (ko) | 건축용 파이프 고정구 | |
KR102497786B1 (ko) |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 | |
JP3199417U (ja) | 床スリーブ | |
JP3774762B2 (ja) | アンカーボルト設置構造 | |
KR20140020614A (ko) | Cd 전선관 지지용 인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선관 배관공사 방법 | |
KR101355487B1 (ko) | 신축이음용 판재의 다웰바 고정장치 | |
KR200481431Y1 (ko) | 고정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