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077A - 전자 기기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제어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제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077A
KR20160067077A KR1020160067315A KR20160067315A KR20160067077A KR 20160067077 A KR20160067077 A KR 20160067077A KR 1020160067315 A KR1020160067315 A KR 1020160067315A KR 20160067315 A KR20160067315 A KR 20160067315A KR 20160067077 A KR20160067077 A KR 2016006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substrat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히사 오타
신이치 미츠모리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도광판의 내부에 취입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제어 기기를 제공한다.
온도 조절기(10)는, 제어 기판(21)과 LED(22)와 반사 시트(23)와 도광판(24)을 구비하고 있다. LED(22a, 22b)는, 제어 기판(21)상에 실장되고, 제어 기판(21)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광을 조사한다. 반사 시트(23)는, 제어 기판(21)상에서의 LED(22a, 22b)와 인접하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마련되고, 광을 제어 기판(21)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한다. 도광판(24)은, 반사 시트(23)상에 배치되고, LED(22a, 22b)에서의 광조사측의 단면과 이에 대향하는 반사 시트(23)의 단면 사이의 간극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25)를 갖고 있다. 도광판(24)은, 돌출부(25)를 포함하는 측면(24a)으로부터 LED(22a, 22b)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취입하여 앞면(24b)에서 면발광시킨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제어 기기{ELECTRONIC DEVICE AND HAVING DISPLAY DEVIC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온도 조절기, 타이머, 카운터 등에 탑재되는 전자 기기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제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외부 기기의 제어 패널 등에 조립되어 있고, 온도 제어 대상이 되는 워크의 온도가 소망하는 온도가 되도록 온도 제어를 행하는 온도 조절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온도 조절기는, 주로, 온도 제어 대상이 되는 워크의 온도가 소정의 설정 온도가 되도록 히터의 ON/OFF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와, 설정 온도, 실측 온도 등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표시 장치에 표시된 실측 온도 등에 의거하여 각종 설정 입력을 행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온도 조절기의 표시 유닛의 부분에, 기판과, 기판상에 실장된 LED(광원부)와, LED에 인접하는 기판상의 위치에 마련된 반사 시트와, 반사 시트상에 마련된 도광판과, 도광판으로부터 광이 면조사(面照射)되는 액정 표시 패널을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5348158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온도 조절기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상기 공보에 개시된 온도 조절기에서는, 기판상에 실장된 LED의 광을 조사하는 개구 부분의 정면에, 평면형상의 반사 시트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사 시트의 위에 평판형상의 도광판을 겹친 구성에서는, 도광판은 반사 시트의 두께 분만큼 기판에서 분리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도광판을, LED의 광을 조사하는 개구 부분의 정면 전체를 덮는 위치까지 배치할 수가 없다. 따라서, LED의 광을 조사하는 개구 부분부터 조사되는 광을 도광판의 내부에 효율적으로 취입(取入)할 수가 없어서,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이용 효율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도광판의 내부에 취입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제어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기판과, 광원부와, 평면형상의 반사부와, 평판형상의 도광판을 구비하고 있다. 광원부는, 기판상에 실장되고, 기판의 표면에 따라 광을 조사한다. 평면형상의 반사부는, 기판상에서의 광원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마련되어 있고, 광을 기판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한다. 평판형상의 도광판은, 반사부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광판은, 광원부에서의 광조사측의 단면(端面)과 이에 대향하는 반사부의 단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있다. 도광판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측면으로부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취입하여 반사부와는 반대측의 발광면에서 면발광(面發光)시킨다.
여기서는, 기판상에 실장된 광원부로부터 기판의 표면에 따라 조사되는 광을, 기판상에 배치된 평면형상의 반사부의 윗면에 적층 배치된 도광판의 내부에 취입하여, 소망하는 방향으로 면조사 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기판상에서의 광원부와 반사부 사이의 간극 내에, 도광판의 일부를 돌출시킨 돌출부를 마련하고 있다.
여기서, 광원부에는, LED 등이 포함된다. 또한, 반사부에는, 표면에 광의 반사면을 갖는 시트형상의 부재나 기판상에 광을 반사하는 도료 등이 도포된 부분 등이 포함된다.
이에 의해, 도광판이 광원부보다도 반사부의 두께 분만큼 높은 위치에 배치된 구성이라도, 도광판이 배치되지 않은 광원부의 광을 조사하는 개구 부분의 정면까지, 도광판의 일부인 돌출부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상에 실장된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돌출부를 포함하는 도광판의 측면부분에서 취입할 수 있다. 이 결과, 종래보다도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취입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제1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로서, 돌출부는, 광원부측부터 반사부측을 향하여 기판의 표면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광판의 일부로서 형성된 돌출부에는, 광원부측부터 반사부측을 향하여 기판의 표면부터 분리되는 방향(발광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면, 즉, 반사부측에서 광원부측을 향하여 기판의 표면에 근접하는 방향(발광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이 포함된다.
이에 의해, 광원부로부터 기판의 표면에 따라 조사된 광은, 경사면에 닿아서 도광판에서의 발광면측으로 반사된다. 이 결과, 돌출부에 의해 도광판의 내부에 취입된 광을, 예를 들면, 표시 패널 등이 배치된 소망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제3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로서, 경사면은, 기판의 표면에 대해, 0도 보다도 크고 45도 이하의 범위의 경사를 갖고 있다.
여기서는, 도광판의 일부로서 형성된 돌출부를 구성하는 경사면의 각도를, 상기 범위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경사면은 광의 조사 방향에 대해 둔각(鈍角)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돌출부에 의해 도광판의 내부에 취입된 광이 도광판의 측방 등으로부터 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돌출부에서 도광판의 내부에 취입된 광을 소망하는 방향으로 유도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제1부터 제3의 발명의 어느 하나에 관한 전자 기기로서, 돌출부는, 도광판에서의 반사부측의 면부터, 반사부의 두께 분만큼 기판의 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여기서는, 돌출부를, 반사부의 두께에 상당하는 양만큼 기판측으로 돌출시킨다.
이에 의해, 도광판이 기판부터 반사부의 두께 분만큼 들어 올려진 위치에 배치된 구성에서도, 도광판의 일부로서 형성된 돌출부를, 기판상에 실장된 광원부의 광조사측의 개구 부분의 정면을 덮는 위치까지 마련할 수 있다.
이 결과, 광원부의 광조사 개구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도광판의 내부에 취입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도,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제1부터 제4의 발명의 어느 하나에 관한 전자 기기로서, 돌출부는, 광원부에서의 광을 조사하는 개구 부분의 정면을 덮도록, 기판의 표면까지 돌출하고 있다.
여기서는, 돌출부를, 광원부의 광을 조사하는 개구 부분의 정면을 덮는 위치, 즉 기판의 표면까지 돌출시킨다.
또한, 돌출부가 기판의 표면까지 돌출한다는 것은, 기판의 표면에 접촉할 때까지라는 엄밀한 의미가 아니라, 기판의 표면 부근까지 돌출한 구성도 포함된다.
이에 의해, 도광판이 기판부터 반사부의 두께 분만큼 들어 올려진 위치에 배치된 구성에서도, 도광판의 일부로서 형성된 돌출부를, 기판상에 실장된 광원부의 광조사측의 개구 부분의 정면을 덮는 위치까지 마련할 수 있다.
이 결과, 광원부의 광조사 개구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도광판의 내부에 취입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도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6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제1부터 제5의 발명의 어느 하나에 관한 전자 기기로서, 도광판은, 광원부측의 측면과 발광면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발광면의 일부를 패이게 한 노치부를, 또한 갖고 있다.
여기서는, 도광판에서의 광원부측, 즉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측면과 발광면이 교차하는 부분에, 오목형상의 노치부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광판에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측면과 발광면이 교차하는 부분에 노치부를 마련함으로써, 광원부로부터 돌출부의 경사면 등에 반사되어 상방으로 빠져 가는 광을, 노치부에 의해 도광판의 내부에 가둘 수 있다. 이 결과, 돌출부에서 도광판의 내부에 취입된 광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제6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로서, 도광판의 외주를 둘러쌈과 함께, 도광판에 형성된 노치부상에 배치되어 있고, 도광판의 내부에 취입된 광을 도광판의 내부에서 반사시키는 반사 테두리체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도광판의 측면 외주 및 노치부를 덮는 반사 테두리체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광판의 외주 및 노치부를 덮는 반사 테두리체를 마련함으로써, 도광판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나가는 광, 및 광원부로부터 돌출부의 경사면 등에 반사되어 상방으로 나가는 광을, 노치부 및 반사 테두리체에 의해 도광판의 내부에 가둘 수 있다. 이 결과, 돌출부에서 도광판의 내부에 취입된 광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8의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제1부터 제6의 발명의 어느 하나에 관한 전자 기기와, 도광판으로부터 면발광된 광이 조사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술한 전자 기기를 구비한 표시 장치로서, 측면으로부터 도광판에 취입된 광을, 표시 패널이 배치된 측의 면부터 조사한다.
이에 의해,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의 이용 효율이 높은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9의 발명에 관한 제어 기기는, 제8의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실측치, 설정치에 의거하여 각종 설정이 입력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술한 전자 기기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탑재한 제어 기기로서,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실측치나 설정치에 의거하여, 각종 설정 입력이 행하여진다.
이에 의해,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의 이용 효율이 높은 표시 장치를 탑재한 제어 기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에 의하면, 종래보다도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취입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온도 조절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온도 조절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온도 조절기에 포함되는 표시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표시 유닛에 포함되는 LED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도 3의 표시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4의 표시 유닛에 포함되는 도광판의 측면 부근에 배치된 LED와 도광판의 표면에 형성된 도트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4의 표시 유닛에 포함되는 도광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기(제어 기기)(10)에 관해,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 방향이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온도 조절기(10)의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 화면측을 앞면, 그 반대를 후면(배면)으로 한 경우의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좌우 방향이란, 온도 조절기(10)의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 화면을 정면에서 본 상태의 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온도 조절기(10)의 구성)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온도 조절기(10)는, 예를 들면, 공장에 설치된 제어 패널 등에 조립되어 있고, 온도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워크(온도 제어 대상물)의 실측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온도 조절기(10)는, 워크의 실측 온도가 설정 온도가 되도록 히터 등의 가열 수단을 제어하여 온도 제어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조절기(10)는, 조작 버튼(28d)(도 1 참조)이 조작됨에 의해, 온도 제어의 목표치가 되는 설정 온도가 입력된다. 그리고, 온도 조절기(10)는, 입력된 설정 온도와 워크의 실측 온도를, 표시 유닛(20)의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 영역에 디지털 표시한다, 또한, 온도 조절기(10)는, 설정 온도와 실측 온도와의 차의 크기에 응하여, 워크를 가열하는 히터 등의 가열 수단의 ON/OFF 제어를 행함으로써 온도 제어를 행한다.
또한, 온도 조절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직방체 형상의 몸체부(11)와, 몸체부(11) 내에 배치된 표시 유닛(표시 장치)(20)을 구비하고 있다.
(몸체부(11))
몸체부(11)는, 개략 직방체 형상의 내부에 표시 유닛(20)을 격납하는 격납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앞면측에 표시 유닛(20)의 표시 화면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1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런트 케이스(12)와, 리어 케이스(13)와, 프런트 커버(14)를 갖고 있다.
프런트 케이스(12)는, 몸체부(11)의 앞면측의 부분을 구성한 부재이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창(12a), 지지 테두리체(12b)를 갖고 있다.
표시창(12a)은, 프런트 케이스(12)의 앞면측에 형성된 개구 부분으로서, 후술하는 표시 유닛(20)의 액정 표시 패널(28)이 외측에서 시인 가능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지지 테두리체(12b)는, 프런트 커버(14)의 배면측부터 리어 케이스(13)측으로 연신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판형상 부재이고, 리어 케이스(13) 내에 배치된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는 제어 기판 유닛(30)에 대해, 선단의 폴형상 부분이 고정된다. 지지 테두리체(12b)를 구성하는 복수의 판형상 부재의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런트 케이스(12)의 앞면측부터 배면측을 향하여, 후술하는 표시 유닛(20)의 각 구성(표시 시트(29), 액정 표시 패널(28), 확산 시트(27), 반사 테두리체(26), 도광판(24), 반사 시트(23), LED(22a, 22b), 제어 기판(21))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13)는, 앞면측 및 배면측이 개구한 통형상의 부재이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측의 개구 부분에는, 온도 조절기(10)를 외부 기기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대(13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3)는, 단자대(13a)를 통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 유닛(30)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3)는, 제어 기판 유닛(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표시 유닛(20)을 내포하고 있다.
프런트 커버(14)는, 프런트 케이스(12)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부를 덮도록, 프런트 케이스(12)의 앞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프런트 커버(14)는,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부를 앞면측에서 시인 가능하고, 또한 조작 버튼(28d)을 앞면측에서 조작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연질의 투명 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표시 유닛(20))
표시 유닛(20)은, 온도 조절기(10)에 관한 각종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술한 온도 제어 대상이 되는 워크의 실측 온도, 설정 온도 및 상태 표시 등을 표시함과 함께, 조작 버튼(28d)을 통하여 설정치 등의 입력이 행하여진다. 또한, 표시 유닛(2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기판(기판)(21), LED(광원부)(22a, 22b), 반사 시트(반사부)(23), 도광판(24), 반사 테두리체(26), 확산 시트(27), 액정 표시 패널(표시 패널)(28), 표시 시트(29), 및 제어 기판 유닛(30)을 갖고 있다.
(제어 기판(21))
제어 기판(21)는, 표시 유닛(20)을 구성하는 부재중 가장 배면측에 마련된 판형상의 부재이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28)의 백라이트로서 마련된 LED(광원부)(22a, 22b), 입력된 각종 신호에 의거하여 액정 구동 제어나 온도 조절 제어 등을 행하는 제어 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LED(22a, 22b))
LED(22a, 22b)는, 제어 기판(21)상에 있어서 한 변(도 3 중의 위변)에 따르고 배치되어 있고, 제어 기판(21)의 표면에 따라 광을 조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LED(22a, 22b)는, 반사 시트(23)상에 배치된 도광판(24)의 측면(24a)에 대해 광을 조사한다.
또한, LED(22a, 22b)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24)의 측면(24a)에 대향하는 단면(端面)(22aa, 22ba)에, 광을 조사하는 개구부(22ab, 22bb)를 갖고 있다. 개구부(22ab, 22bb)는, LED(22a, 22b)의 높이(H)(예를 들면, 0.6㎜)에 대해 높이(h)(예를 들면, 0.46㎜)를 갖고 있다. 즉, 개구부(22ab, 22bb)의 높이(h)는, LED(22a, 22b)의 높이(H)에 대해, 약 76.7%의 높이 치수를 갖고 있다.
그리고, LED(22a, 22b)의 단면(22aa, 22ba)에 마련된 개구부(22ab, 22bb)의 하단부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22aa, 22ba)의 높이 방향에서의 하단 부분의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LED(22a, 22b)가 제어 기판(21)상에 직접 실장된 구성에서는, 광을 조사하는 개구부(22ab, 22bb)의 하단부는, 제어 기판(21)의 표면 부근에 마련된다.
또한, 광이 입사한 도광판(24)의 측면(24a)이란, 도광판(24)에서의 LED(22a, 22b)와 대향하는 측의 면을 의미하고 있다.
(반사 시트(23))
반사 시트(23)는, 표면에 반사면을 갖는 시트형상의 부재이고, 0.10㎜ 내지 0.15㎜의 두께를 갖고 있다. 반사 시트(23)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기판(21)상에서의 LED(22a, 22b)에 인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반사 시트(23)는, 제어 기판(21)의 표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광을 반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시트(23)는, 도광판(24)의 배면(24d)으로부터 제어 기판(21)측으로 나온 광을 반사하여, 재차 도광판(24)의 내부로 유도한다.
이에 의해, 제어 기판(21)과 도광판(24) 사이에 반사 시트(23)를 마련함으로써, 도광판(24)에서의 반사 테두리체(26)와 대향하는 앞면(발광면)(24b)으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 영역에 조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나 숫자 등을 보다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광판(24))
도광판(24)은,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한 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된 판형상 부재로서, 1.5 내지 3.0㎜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다. 또한, 도광판(24)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기판(21)상에 배치된 반사 시트(23)상에 적층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어 기판(21)상에 실장된 LED(22a, 22b)와 비교하여, 반사 시트(23)의 두께 분만큼, 제어 기판(21)의 표면에서 분리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광판(24)은, LED(22a, 22b)로부터 조사된 광을, LED(22a, 22b)와 대향하는 측면(24a)으로부터 내부에 취입함과 함께, 제어 기판(21)에 대향 배치된 배면(24d)의 표면에 형성된 도트 패턴(광 굴절부)(도 7 참조)에 의해 입사하여 온 광을 굴절시킨다. 이에 의해, 도광판(24)은, 액정 표시 패널(28)에 대향 배치된 앞면(24b)으로부터 거의 균일한 광을 면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도광판(24)의 배면(24d)의 표면에 형성된 도트 패턴은, 도광판(24)의 앞면(24b)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면방향에서 거의 균일하게 하기 위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22a, 22b)로부터의 거리가 커질수록, 도트 패턴의 밀도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배면(24d)의 표면에 형성된 도트 패턴은, 광량이 큰 측(LED(22a, 22b)에 가까운 측)부터 작은 측(LED(22a, 22b)으로부터 먼 측)을 향하여 배치된 4개의 영역(24da, 24db, 24dc, 24dd)에서, 단계적으로 도트 밀도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LED(22a, 22b)로부터 분리된 영역일수록, 도트 패턴의 도트 밀도가 커짐으로써 광을 굴절시키는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LED(22a, 22b)를 도광판(24)의 단부에 마련하고, 도광판(24)의 측면으로부터 광을 입사시키는 구성이라도, 도광판(24)의 앞면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24)은,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22a, 22b)와 대향 배치된 측면(24a)의 액정 표시 패널(28)측의 상단부에, 앞면(24b)의 일부를 오목형상으로 노치한 노치부(24e)를 갖고 있다.
노치부(24e)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24)의 측면(24a)과 앞면(24b)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된 단차 부분으로서, 반사 테두리체(26)의 일부(피복부(26b))에 의해 그 액정 표시 패널(28)측의 윗면이 덮여진다.
또한, 노치부(24e)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22a, 22b)로부터 경사 상방을 향하여 조사되는 광(도면 중 2점쇄선 화살표 참조)이, 측면(24a)을 통과한 후, 확산 시트(27)가 없는 부분을 통과하여 액정 표시 패널(28)의 배면측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LED(22a, 22b)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조사된 광은, 측면(24a)으로부터 도광판(24) 내에 침입한 후, 노치부(24e)의 부분에서 반사되어, 도광판(24) 내로 되돌아온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치부(24e)의 부분에는, 반사 테두리체(26)의 일부(피복부(26b))가 감입(嵌入)되어 있기 때문에, 노치부(24e)의 부분에 입사하여 온 광은, 반사 테두리체(26)의 백색의 벽면에서 반사하여 재차 도광판(24) 내로 되돌아온다.
이에 의해, 도광판(24)에서의 LED(22a, 22b)측의 단부에서, LED(22a, 22b)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조사된 광이, 확산 시트(27)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액정 표시 패널(28)의 배면측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24)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22a, 22b)에 대향하는 측면(24a)의 하단부에, 배면(24d)으로부터 제어 기판(21)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25)를 갖고 있다.
(돌출부(25))
돌출부(2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기판(21)상에 배치된 LED(22a, 22b)의 광조사측의 단면과, 반사 시트(23)의 단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g) 내로 돌출하고 있다. 환언하면, 돌출부(25)는, 도광판(24)의 배면(24d)으로부터 제어 기판(21)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출부(25)의 도광판(24)의 배면(24d)으로부터의 돌출량은, 반사 시트(23)의 두께분에 상당한다. 이에 의해, 제어 기판(21)의 표면 부근까지 돌출부(25)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LED(22a, 22b)의 광을 조사한 개구부(22ab, 22bb)의 정면을 덮을 수 있다. 이 결과, 도광판(24)이 반사 시트(23)상에 적층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생기는 LED(22a, 22b)의 광조사측의 단면(22aa, 22ba)의 정면에 형성된 간극을, 돌출부(25)에 의해 메울 수 있다.
또한, 돌출부(25)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 단면시(斷面視)에 있어서, 측면(24a)의 연장선과 배면(24d)의 연장선으로 직각 부분을 형성하는 직각삼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5)는, 반사 시트(23)측부터 LED(22a, 22b)측을 향하여 하방 경사하는 경사면(25a)을 갖고 있다.
경사면(25a)은, 돌출부(25)의 측단면(側斷面)의 직각삼각형의 사변을 구성하는 면이고, 그 경사각도는, 제어 기판(21)의 표면에 대해, 0도 보다도 크고 45도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면(25a)은, LED(22a, 22b)측에서 보아, LED(22a, 22b)로부터 반사 시트(23)를 향하고 제어 기판(21)의 표면부터 분리되는 방향(액정 표시 패널(28)측)으로 경사한다. 환언하면, 경사면(25a)은, LED(22a, 22b)로부터 반사 시트(23)를 향하여, 발광면이 되는 앞면(25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다.
이에 의해, LED(22a, 22b)의 단면(22aa, 22ba)에서 조사된 광(도면 중 직선 화살표 참조)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만하게 올라가는 경사면(25a)에서의 반사되기 때문에, 그대로 도광판(24) 내로 나아가, 앞면(24b)으로부터 출사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도광판(24) 내에 취입할 수가 없었던 LED(22a, 22b)로부터 조사되는 광, 특히, 광을 조사하는 개구부(22ab, 22bb)의 제어 기판(21)측부터 조사되는 광을, 돌출부(25)에서의 내부에 취입할 수 있다.
이 결과, LED(22a, 22b)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대부분을 도광판(24) 내에 취입하여 앞면(24b)으로부터 면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LED(22a, 22b)와 도광판(24)과의 결합 효율을 높여서, LED(22a, 22b)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 테두리체(26))
반사 테두리체(26)는, 도광판(24)의 외연(外緣)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액자형상의 부재이고, 백색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24)의 외연 부분부터 외부에 누출되려고 하는 광은, 반사 테두리체(26)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재차 도광판(24)의 내부로 유도된다.
또한, 반사 테두리체(26)는, 도광판(24)의 앞면(24b)측부터 부착되어 있고, 도광판(24)의 앞면(24b)측의 외연부에 계지된다. 또한, 반사 테두리체(26)는, 액자형상의 측벽부(26a)와, 도광판(24)의 노치부(24e)상에 배치된 피복부(26b)를 갖고 있다. 측벽부(26a)는, 도광판(24)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테두리체이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기판(21)상에 적층된 상태에 있어서, LED(22a, 22b), 반사 시트(23), 도광판(24)을 내측에 취입하도록 배치된다.
피복부(26b)는, 측벽부(26a)를 구성하는 테두리체의 LED(22a, 22b)측의 한 변부터 내측을 향하여 연신하도록 형성된 돌출부분이고, 도광판(24)의 앞면(24b) 단부에 형성된 노치부(24e) 내에 감입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도광판(24)의 노치부(24e)상에 배치된 반사 테두리체(26)의 피복부(26b)에 의해, 도광판(24) 내에서의 노치부(24e)의 부분에 침입하여 온 광을 반사하여 도광판(24)의 내부에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24)에서의 LED(22a, 22b)와 인접하는 측의 단부로부터 광이 누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복부(26b)는, 도 6에 도시하는 상하 방향에서의 두께가, 피복부(26b)가 갑입되는 노치부(24e)의 깊이와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복부(26b)가 노치부(24e)에 감입된 상태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24)의 앞면(24b)과 피복부(26b)의 액정 표시 패널(28)측의 윗면은 단차(段差) 없이 플랫한 면을 형성한다. 이 결과, 도광판(24)의 앞면(24b)의 위에 적층 배치된 확산 시트(27)를, 단차가 없는 플랫한 면상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유닛(20)의 두께 방향에서의 치수를 조금이라도 작게 할 수 있다.
(확산 시트(27))
확산 시트(27)는, 액정 표시 패널(28)에 입사되는 광의 면방향에서의 조도 얼룩을 절감하기 위해 마련된 시트형상의 부재록서고, 도광판(24)의 앞면(24b)으로부터 면조사된 광이 통과할 때에, 평면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확산 시트(27)는, 도광판(24)의 앞면(24b)상에 마련되어 있다. 즉, 확산 시트(27)는, 도광판(24)의 앞면(24b)과, 액정 표시 패널(28)의 배면측 사이에 끼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28))
액정 표시 패널(28)은, 프런트 케이스(12)의 표시창(12a)을 통하여 외부에서 시인 가능한 표시 영역을 갖고 있다. 그리고,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 영역에는, 설정 온도 표시부(28a), 실측 온도 표시부(28b), 상태 표시부(28c), 및 조작 버튼(28d)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28)은, 프런트 케이스(12) 내에서, 상하 한 쌍의 고무 커넥터(31)를 통하여 제어 기판(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설정 온도 표시부(28a)는, 설치 자세에서,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 영역에서의 중앙부 약간 오른쪽 가까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조작 버튼(28d)을 통하여 입력된 워크(온도 제어 대상물)의 목표 온도를 표시한다. 또한, 설정 온도 표시부(28a)는, 녹색의 세그먼트에 의해 수치가 표시된다.
실측 온도 표시부(28b)는, 설치 자세에서,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 영역에서의 상단부 약간 오른쪽 가까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온도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워크(온도 제어 대상물)의 실측 온도를 표시한다. 또한, 실측 온도 표시부(28b)는, 백색의 세그먼트에 의해 수치가 표시된다.
상태 표시부(28c)는, 설치 자세에서,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 영역에서의 상단부로부터 중단부에 걸쳐서 왼쪽 가까이의 위치에 9개 배치되어 있고, 전원 ON/OFF 상태, 경보 등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상태 표시부(28c)는, 각 항목의 표시를 행할 때에는 각각 황색으로 점등 표시된다.
조작 버튼(28d)은, 설치 자세에서, 설정 온도의 입력이나 제어 유닛의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해, 온도 조절기(10)의 앞면에서의 하단부에 복수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설정 온도 표시부(28a), 실측 온도 표시부(28b), 상태 표시부(28c)의 각각의 표시색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광원부(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색에 의해 변경하는 방법이나, 확산 시트(27)나 액정 표시 패널(28)의 유리 기판의 일부를 착색함으로써 광의 색을 변경하는 방법에 의해,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각 표시부를 다른 색에 의해 표시함으로써, 각 표시부에서의 표시를 인식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 영역에서의 설정 온도 표시부(28a) 및 실측 온도 표시부(28b), 상태 표시부(28c)의 표시는, 액정 표시 패널(28)의 배면측에 배치된 제어 기판(21)의 제어에 의해 행하여진다.
즉, 표시 유닛(20)에서는, 설정 온도에 관해, 제어 기판(21)이, 조작 버튼(28d)의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설정 온도 표시부(28a)에 디지털 표시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기판(21)에 의한 액정 표시 패널(28)의 제어에 의해, 설정 온도 표시부(28a)의 표시를 행하는 세그먼트를, LED(22a, 22b)로부터 조사되어 도광판(24)의 앞면(24b)으로부터 면조사되는 조명광에 의해 배면측부터 투과 표시함으로써, 설정 온도가 디지털 표시된다.
한편, 온도 제어 대상이 되는 워크의 현재 온도에 관해서는, 온도 센서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실측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기판 유닛(30)을 통하여 제어 기판(21)이 수신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28)에 워크의 실측 온도를 디지털 표시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기판(21)에 의한 액정 표시 패널(28)의 제어에 의해, 실측 온도 표시부(28b)의 표시를 행하는 세그먼트를, LED(22a, 22b)로부터 조사되어 도광판(24)의 앞면(24b)으로부터 면조사되는 조명광에 의해 배면측부터 투과 표시함으로써, 실측 온도가 디지털 표시된다.
여기서, LED(22a, 22b)로부터 조사된 광은, 도광판(24)의 측면(24a)으로부터 내부에 입사하고, 반사 시트(23)나 반사 테두리체(26) 등에 의해 도광판(24)의 앞면(24b)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앞면(24b)으로부터 면조사된 광은, 확산 시트(27)에 의해 확산되고, 배면측부터 액정 표시 패널(28)에 조사된다.
이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28)의 설정 온도 표시부(28a), 실측 온도 표시부(28b), 및 상태 표시부(28c)에 숫자나 문자 등을 세그먼트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표시 유닛(20)의 액정 표시 패널(28)에 표시된 설정 온도, 실측 온도, 상태 표시 등을 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온도 조절기(10)에서는, 도광판(24)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28)과 대향하는 앞면으로부터 균일한 광을 면조사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LED(22a, 22b)로부터 조사된 광은, 도광판(24)의 측면(24a)으로부터 도광판(24)의 내부에 입사한다. 그리고, 도광판(24) 내에 입사한 광은, 배면(24d)과 앞면(24b) 사이에서 반사되면서 도광판(24)의 내부를 진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온도 조절기(10)에 의하면, 제어 기판(21)상에서의 단부에 실장된 LED(22a, 22b)는, 대향 배치된 도광판(24)의 측면(24a)을 향하여 광을 조사한다. 측면(24a)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도광판(24)의 앞면(24b)으로부터 면조사되어, 액정 표시 패널(28)측으로 진행된다.
이에 의해, 도광판(24)의 앞면(24b)은, 액정 표시 패널(28)의 백라이트로서 기능하여,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 영역을 배면측부터 조사할 수 있다. 이 결과, LED(22a, 22b)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28)의 표시 영역까지의 광로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LED(22a, 22b)로부터 조사되는 스폿 광을, 도광판(24)의 앞면(24b)으로부터 거의 균일하게 조사되는 광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광판(24)의 제어 기판(21)측의 면부터 제어 기판(21)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5)로서, 측단면시(側斷面視)에서 직각삼각형이 되는 도광판의 일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돌출부의 형상으로서는, 측단면시에서 직각삼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 부분이라도 좋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광판(24)과 제어 기판(21) 사이에 마련되는 반사부로서, 표면에 반사면을 갖는 시트상의 반사 시트(23)를 이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반사부는, 시트형상의 부재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기판상에 광을 반사하는 도료를 도포한 부분이나 인쇄에 의해 마련된 반사부 등을 반사부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부로서, 제어 기판(21)의 단부에 마련된 2개의 LED(22a, 22b)를 이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LED 이외의 광원으로서, 냉음극관(CCFL)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LED의 개수에 대해서도, 하나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부로서, 동일어 전류를 흘린 경우에 타색보다도 조도가 높고 시인성이 높은 백색광을 조사하는 LED(22a, 22b)를 예로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적색이나 녹색, 황색 등의 색이 있는 광을 조사하는 컬러 LED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기판상에 복수의 LED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시 영역마다 색을 나누기 위해, 다른 색의 LED를 배치하여도 좋다.
(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광판(24)에서의 제어 기판(21)에 대향 배치된 배면(24d)에 도트 패턴(광 굴절부)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광판(24)에서의 앞면(24b)으로부터 면조사되는 광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트 패턴(광 굴절부)이 형성된 면은, 배면(24d)으로 한하지 않고, 도광판(24)을 구성한 다른 면이라도 좋다.
(F)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온도 조절기(10)의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28)을 이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로서는, 유기 EL 패널 등, 다른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도 좋다.
(G)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기기, 표시 장치를 탑재한 제어 기기로서, 온도 조절기(10)를 예로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로서는, 온도 조절기 이외에도, 타이머나 카운터 등이라도 좋다. 또한, 제어 기기로서는, 수치를 표시하면서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 기기라면 온도 조절기로 한하지 않고, 각종 제어 기기에 대해 널리 적용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종래보다도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취입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루기 때문에, 광원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등에 대해 널리 적용 가능하다.
10 : 온도 조절기(제어 기기) 11 : 몸체부
12 : 프런트 케이스 12a : 표시창
12b : 지지 테두리체 13 : 리어 케이스
13a : 단자대 14 : 프런트 커버
20 : 표시 유닛(표시 장치) 21 : 제어 기판(기판)
22a, 22b : LED(광원부) 22aa, 22ba : 단면
22ab, 22bb : 개구부 23 : 반사 시트(반사부)
24 : 도광판 24a : 측면
24b : 앞면(발광면) 24c : 측면
24d : 배면 24da 내지 24dd : 영역
24e : 노치부 25 : 돌출부
25a : 경사면 26 : 반사 테두리체
26a : 측벽부 26b : 피복부
27 : 확산 시트 28 : 액정 표시 패널(표시 패널)
28a : 설정 온도 표시부 28b : 실측 온도 표시부
28c : 상태 표시부 28d : 조작 버튼
29 : 표시 시트 30 : 제어 기판 유닛
31 : 고무 커넥터 g : 간극

Claims (7)

  1.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실장되고, 상기 기판의 표면에 따라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기판상에서의 상기 광원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마련되어 있고, 광을 상기 기판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하는 평면형상의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상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광원부에서의 광조사측의 단면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반사부의 단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측면으로부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취입하여 상기 반사부와는 반대측의 발광면에서 면발광시키는 평판형상의 도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광판에서의 상기 반사부측의 면부터, 상기 반사부의 두께의 부분만큼 상기 기판의 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부측의 측면과 상기 발광면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면의 일부를 패이게 한 노치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도광판의 측면 외주를 둘러쌈과 함께, 상기 도광판에 형성된 상기 노치부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취입된 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서 반사시키는 반사 테두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반사 테두리체 중, 상기 노치부 상에 배치된 일부는 피복부이며,
    상기 피복부는, 상기 노치부에 침입하여 온 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광조사측의 단면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도광판의 측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광원부측부터 상기 반사부측을 향하여 상기 기판의 표면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대해, 0도 보다도 크고 45도 이하의 범위의 경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광원부에서의 광을 조사하는 개구 부분의 정면을 덮도록 상기 기판의 표면까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기기와,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면발광된 광이 조사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6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실측치, 설정치에 의거하여 각종 설정이 입력되는 입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기기.
KR1020160067315A 2014-02-28 2016-05-31 전자 기기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제어 기기 KR201600670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38506A JP2015162429A (ja) 2014-02-28 2014-02-28 電子機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制御機器
JPJP-P-2014-038506 2014-02-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099A Division KR20150102673A (ko) 2014-02-28 2014-09-11 전자 기기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제어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077A true KR20160067077A (ko) 2016-06-13

Family

ID=539484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099A KR20150102673A (ko) 2014-02-28 2014-09-11 전자 기기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제어 기기
KR1020160067315A KR20160067077A (ko) 2014-02-28 2016-05-31 전자 기기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제어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099A KR20150102673A (ko) 2014-02-28 2014-09-11 전자 기기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제어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5162429A (ko)
KR (2) KR20150102673A (ko)
CN (1) CN104880858A (ko)
TW (1) TWI5519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616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8158B2 (ja) 2011-03-08 2013-11-20 オムロン株式会社 表示部を備えた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652U (ja) * 1991-11-21 1993-06-18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
JPH10247413A (ja) * 1997-03-03 1998-09-14 Omron Corp 面光源装置
JP4216577B2 (ja) * 2002-12-20 2009-01-28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導光板
JP2004335405A (ja) * 2003-05-12 2004-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面発光装置
TW200512515A (en) * 2003-09-26 2005-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200714979A (en) * 2005-10-06 2007-04-16 Radiant Opto Electronics Corp The fixing frame apparatus for the back light module
JP5142499B2 (ja) * 2006-08-18 2013-02-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JP5110582B2 (ja) * 2008-01-30 2012-12-2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JP5271733B2 (ja) * 2009-01-30 2013-08-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照明ユニット、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402428B2 (ja) * 2009-09-09 2014-01-29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I396894B (zh) * 2009-11-06 2013-05-21 Innolux Corp 液晶顯示裝置
KR20110054783A (ko) * 2009-11-18 2011-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CN102024603B (zh) * 2010-12-03 2013-06-19 东莞市康德五金电子有限公司 导光按键模组
JP5236767B2 (ja) * 2011-03-29 2013-07-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JP2012243526A (ja) * 2011-05-18 2012-12-10 Toppan Printing Co Ltd 導光板、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画像表示装置
CN102322601A (zh) * 2011-10-12 2012-01-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led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TWI456312B (zh) * 2011-12-02 2014-10-1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及其背光模組及背光模組之組裝方法
CN103511918A (zh) * 2012-06-29 2014-01-15 鑫成科技(成都)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8158B2 (ja) 2011-03-08 2013-11-20 オムロン株式会社 表示部を備えた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616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62429A (ja) 2015-09-07
TW201533509A (zh) 2015-09-01
CN104880858A (zh) 2015-09-02
KR20150102673A (ko) 2015-09-07
TWI551923B (zh) 2016-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2574A (ko) 점 모양의 광원을 구비한 조명 디바이스
KR102236711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WO2007020720A1 (ja) 光源制御装置、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201627964A (zh) 可出現光紋圖案之電子裝置
US11106081B2 (en) Light-emitting mechanism and backlight module
JP6785432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9519100B2 (en) Apparatus having light guide for illuminating a display unit and for illuminating a patterned region
JP2008226792A (ja) 面光源装置
JP2007207751A (ja) 光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20180239081A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MX2012009374A (es) Dispositivo de iluminacion, dispositivo de presentacion visual y receptor de television.
KR20060115124A (ko) 균일한 광분포를 얻기 위한 광방출기 및 상기 광방출기를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17003550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113752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器
JP2004325959A (ja) 液晶バックライト装置
KR20160067077A (ko) 전자 기기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제어 기기
KR102425442B1 (ko) 표시 장치
EP3705934B1 (en)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09676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20120002135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CN112764267A (zh) 背光模组、显示屏组件以及电子设备
EP2520970B1 (en)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US20150292939A1 (en) Light-guid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KR2019004822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8777471B2 (en)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display p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