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503A - 관 갱생 공법 - Google Patents

관 갱생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503A
KR20160066503A KR1020150166154A KR20150166154A KR20160066503A KR 20160066503 A KR20160066503 A KR 20160066503A KR 1020150166154 A KR1020150166154 A KR 1020150166154A KR 20150166154 A KR20150166154 A KR 20150166154A KR 20160066503 A KR20160066503 A KR 20160066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gment
pipe
tube
se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289B1 (ko
Inventor
카미야마 타카오
이시다 마코토
하세가와 타케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066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wag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설치관의 만곡부를 효과적으로 또 저가로 갱생할 수 있는 관 갱생 공법을 제공한다. 기설치관(10)은 오목상으로 만곡한 만곡부(10a, 10c), 또는 직선부(10b, 10d)를 갖는다. 만곡부(10c)의 갱생에, 내면판, 측판, 단판이 어느 것이나 직사각형의 직방체 형상의 세그먼트(1)가 복수 이용된다. 만곡부(10c)에서, 직방체 형상의 복수의 세그먼트(1)가, 각 세그먼트의 단판(104, 105) 사이에 간격유지부재(120)를 개재시켜서 원주 방향으로 연결되어, 만곡부(10C)의 갱생이 행해진다.

Description

관 갱생 공법{Pipe rehabilitation method}
본 발명은,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상기 내면판의 주변에 설립된 측판 및 단판을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세그먼트를 원주방향 및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조립하여 기설치관을 갱생하는 관 갱생 공법에 관한 것이다.
땅속에 매설된 하수관 등의 관로가 노후화된 경우, 상기 관로를 땅속으로부터 파내지 않고, 그 내주면으로 라이닝을 실시하여 상기 관로를 보수하는 관 라이닝 공법이 제안되어, 이미 실용화되어 있다.
상기 관 라이닝 공법은, 예컨대 관상 수지 흡수재에 미경화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서 구성되는 관 라이닝재를 유체압에 의해 관로내에 반전시키면서 삽입하고, 상기 관 라이닝재를 유체압에 의해 관로의 내주벽에 누른채, 관 라이닝재를 임의의 방법에 의해 가열하여 여기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관로내에 플라스틱 파이프를 형성하여 관로를 보수하는 공법이다.
또한,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상기 내면판의 주변에 설립된 측판 및 단판을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세그먼트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여 관 유닛을 조립하고, 상기 관 유닛을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갱생관을 이용하여 관로를 갱생하는 공법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대구경의 관로에 대하여는, 이 공법이 사용되며, 기설치관 내에 갱생관을 조립한 후, 기설치관과 갱생관의 사이 공간에 그라우트 등의 충전재를 충전하여 경화시켜 복합관이 구축된다.
갱생관을 현장에 설치할 때에, 기설치관의 시공오차에 대응시키기도 하고, 또는 다른 구조물과의 조화로 인하여 갱생관의 관직경(관경)을 규격 치수보다 약간 크게 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세그먼트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할 때, 세그먼트 사이에 확경부재를 개재시켜서 조립하여, 갱생관의 관경을 확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11-1280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2014-77261호 공보
단면이 원형인 기설치관을 갱생하는 경우에는, 기설치관의 원에 대응하여 원을 등분할한 원호상의 세그먼트가 이용되거나, 또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기설치관을 갱생하는 경우에는, 직사각형의 사변에 대하여는 직방체 세그먼트가, 또 4개 모퉁이에는, 그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된 굴곡 세그먼트가 이용된다.
기설치관에 소정의 곡률로 만곡하는 부분이 있을 때, 그 곡률에 맞는 규격의 원호 세그먼트가 있으면, 그것을 이용하여 관로를 갱생할 수 있지만, 곡률이 상이할 때마다 그에 맞는 원호상 세그먼트를 제작하는 것은 비용 상승의 원인으로 된다.
따라서, 기설치관의 만곡부의 곡률에 맞는 원호상 세그먼트가 없는 경우에는, 그 곡률에 가까운 규격의 원호상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지만, 원호상의 세그먼트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할수록, 기설치관과의 간격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경부재를 개재시켜서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는, 세그먼트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했을 때의 형성되는 관 유닛의 직경을 크게 하는 것으로, 상이한 기설치관의 만곡부에 맞추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기설치관의 만곡부를 효과적으로 또 저가로 갱생할 수 있는 관 갱생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면판과, 상기 내면판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에 설립된 측판(側板)과, 내면판의 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에 설립된 단판(端板)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일체성형의 세그먼트를 원주방향 및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갱생관을 조립하여 기설치관을 갱생하는 관 갱생 공법으로서,
상기 기설치관의 만곡부의 갱생에, 내면판, 측판, 단판이 어느 것이나 직사각형의 직방체 형상의 세그먼트가 복수 사용되며,
상기 만곡부에 있어서, 상기 직방체 형상의 복수의 세그먼트가, 각 세그먼트의 단판 사이에 간격유지부재를 개재시켜서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만곡부의 갱생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방체 형상의 복수의 세그먼트를, 각 세그먼트의 단판 사이에 간격유지부재를 개재시켜서 원주방향으로 연결시켜, 기설치관의 만곡부를 갱생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설치관의 만곡부를 효과적으로 또 저가로 갱생할 수 있다.
도 1은 갱생관의 조립에 사용되는 세그먼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한 세그먼트의 한쪽의 단판의 정면도, (b)는 다른 쪽의 단판의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간격유지부재의 정면도, (b)는 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관로에 부설된 갱생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각종 형상의 세그먼트를 사용하여 갱생관을 조립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간격유지부재를 이용하여 세그먼트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수관, 상수관, 터널, 또는 농업용 수로 등의 대구경의 기설치관을 갱생 또는 수복하는 것에 적합하고, 실시예에서는, 기설치관은, 관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만곡부 및 직선부를 갖는 형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그 이외의 형상의 기설치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또한 상기 단면형상이 관으로서 닫힌 형상이 아니고, 예컨대 말굽형이나 반원형, 凹자형 등 편측이 열려 있는 형상인 경우에도 관으로 보고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 길이방향이라는 것은, 기설치관 내지 갱생관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말한다, 원주방향이라는 것은, 관 길이방향으로 수직한 단면에서 기설치관 내지 갱생관이 그리는 폐곡선의 원주 방향을 말한다.
실시예
도 1에는, 기설치관을 갱생하는 갱생관의 조립단위부재로 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1)(이하, 간단히 세그먼트라 칭함)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세그먼트(1)는, 갱생관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101)과, 상기 내면판(101)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에 내면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립된 측판(102, 103)과, 내면판(101)의 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에 내면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립된 단판(104, 105)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일체성형의 블록상의 부재이다.
세그먼트(1)는, 내면판, 측판, 단판이 어느 것이나 직사각형(평행사변형)이고, 직방체 형상의 세그먼트로 되어 있다. 그러나, 기설치관의 단면형상에 따라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주를 복수 등분하는 소정 각도, 예컨대 6등분하는 60도의 원호상으로 만곡한 원호상 세그먼트, 또는 직각으로 둥그스름하게 하여 절곡한 만곡 세그먼트도 이용될 수 있다.
내면판(101)의 상면에는 세그먼트(1)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측판(102, 103)의 내측에, 4개의 내부판(106, 107)이 측판(102, 103)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설립된다.
내면판(101), 측판(102, 103), 단판(104, 105), 내부판(106, 107)은, 모두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동일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고, 공지의 성형기술을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된다.
측판(102), 측판(103), 및 내부판(106)에는, 세그먼트(1)를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통하기 위한 삽통구멍(102a, 103a, 106a)이 복수 (4개) 형성되어 있고, 내부판(107)에는, 동일 연결구를 통하는 절결부(107a)가 복수(동일하게 4개) 형성된다.
단판(104)은,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102)과 측판(103) 사이에 배치되고, 단판(104)에는, 세그먼트(1)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볼트 등의 연결부재를 통하기 위한 원형의 삽통구멍(104a)이 복수(5개) 형성되고, 또 후술하는 간격유지부재 (스페이서)의 철부(凸部)와 감합하는 요부(凹部)(104b)가 2개 형성된다. 또한, 단판(104)의 하방부에는, 간격유지부재의 철부와 요부에 감합하는 요부(104e)와 철부(104f)가 관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단판(105)은,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판(104)과 동일한 형상이고, 단판(105)에는, 연결부재를 통하기 위한 원형의 삽통구멍(105a)이 복수(5개) 형성되고, 또 간격유지부재의 요부에 감합하는 철부(105b)가 형성된다. 또한, 단판(105)의 하방부에는, 간격유지부재의 요부와 철부에 감합하는 철부(105e)와 요부(105f)가 관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도 3에는, 관로의 만곡부에 있어서 직방체 세그먼트를 사용하여 관 갱생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간격유지부재(스페이서)(120)가 도시되어 있다. 간격유지부재(120)는, 세그먼트(1)와 동일한 재질이고, 세그먼트(1)의 단판(105)과 당접하는 당접면(120a)과 그 반대측의 당접면(120b)은 각도 α를 형성하여 교차하도록 경사 평면으로 되어 있다. 간격유지부재(120)의 하면에는, 연결되는 세그먼트의 각 측판, 내부판의 관 길이방향의 위치에 일치하는 돌출부(122, 126, 127, 123)가 제공되며, 세그먼트(1)의 단판(104, 105)의 삽통구멍(104a, 105a)에 대응하는 삽통구멍(120i)이 복수 형성된다.
또한, 간격유지부재(120)의 당접면(120a)에는, 세그먼트(1)의 단판(105)에 형성된 철부(105b)와 감합하는 요부(120c)가, 또한 당접면(120b)에는, 세그먼트(1)의 단판(104)에 형성된 요부(104b)에 감합하는 철부(120d)가 형성된다. 또한, 당접면(120a)의 상부에는, 세그먼트(1)의 단판(105)에 형성된 철부(105e)와 요부(105f)와 감합하는 요부(120e)와 철부(120f)가 관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당접면(120b)의 상부에는, 세그먼트(1)의 단판(104)에 형성된 요부(104e)와 철부(104f)에 감합하는 철부(120g)와 요부(120h)가 관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이하에,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세그먼트 및 간격유지부재를 사용하여 상이한 만곡부가 있는 갱생관을 기설치관 내에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에는, 갱생해야할 기설치관(10)이 도시되어 있고, 기설치관(10)은, 관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수직 단면에서 보아 오목상으로 만곡한 만곡부(10a, 10c), 직선부(10b, 10d) 및 굴곡부(10e, 10f)를 갖고 있다.
만곡부(10a)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원을 6등분하는 60도의 원호상으로 만곡한 세그먼트(3)를 이용하여 갱생되고, 만곡부(10c)는, 만곡부(10a)에 비교하여 만곡이 근소하여, 도 1에 도시한 직방체 형상의 세그먼트(1)와 간격유지부재(120)를 이용하여 갱생되고, 직선부(10b, 10d)는, 세그먼트(1)와 동일한 직방체 형상의 세그먼트이며, 원주방향 길이가 세그먼트(1)의 약 2배인 세그먼트(2)를 이용하여 갱생되며, 또한, 만곡부(10e, 10f)는, 단판이 세그먼트(1)의 단판(104, 105)과 동일하고, 내면판, 측판, 내부판이 직각으로 둥그스름하게 하여 절곡된 형상의 세그먼트(4)를 이용하여 갱생된다.
도 5는, 각종 세그먼트(1~ 4)를 원주방향 및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공정을 일부의 세그먼트를 취출하여 설명하고 있다.
도 5의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로부터 순서대로 세그먼트(3, 2, 2, 4, 1)의 각각의 단판을 합치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각 세그먼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이들의 세그먼트가 원주방향으로 연결된다.
만곡부(10c)는, 원호 곡률이 커서, 규격의 원호상의 세그먼트(3) 등으로는, 갱생이 곤란하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하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의 세그먼트(1, 1)사이에 간격유지부재(120)를 개재시켜서 원주방향으로 연결하여, 만곡부(10c)를 갱생하도록 하고 있다.
도 6의 (a)에서, 2개의 세그먼트(1, 1)의 단판(104, 105) 사이에 간격유지부재(120)를 삽입하고, 한쪽의 세그먼트(1)의 측판(104)에 형성된 요부(104b, 104e), 철부(104f)를, 간격유지부재(120)의 당접면(120b)에 형성된 철부(120d,120g), 요부(120h)에 위치시켜 맞추는 것과 함께, 다른 쪽의 세그먼트(1)의 측판(105)에 형성된 철부(105b, 105e), 요부(105f)를, 간격유지부재(120)의 당접면(120a)에 형성된 요부(120c, 120e), 철부(120f)에 위치시켜 맞춘다.
이어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위치 맞춰진 철부와 그에 대응하는 요부를 감합시켜, 2개의 세그먼트(1, 1)의 단판((104, 105)과 간격유지부재(120)의 당접면(120b, 120a)을 각각 당접시킨다. 그 상태에서, 단판(105)의 삽통구멍(105a)으로부터 간격유지부재(120)의 삽통구멍(120i), 단판(104)의 삽통구멍(104a)에 볼트(6)를 통하여 반대측의 너트(7)에 나사연결하여, 양 세그먼트(1, 1)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양 세그먼트(1, 1)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만곡부(10c)의 4개의 세그먼트(1)는, 각각 그 사이에 간격유지부재(120)를 개재시켜서 연결되기 때문에, 도 4에 대략 도시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1)의 측판(102)의 상측(도 4에서는 하측)과 만곡부(10c) 사이의 간극이 적어져서, 만곡부(10c)의 원만한 원호에 대응한 원호상 세그먼트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였을 때에 얻을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간격유지부재(120)의 당접면(120a)과 (120b)이 이루는 경사각 α은, 기설치관의 만곡부의 곡률, 세그먼트(1)의 원주방향 길이 등으로 결정하게 한다. 예컨대, 만곡부의 곡률이 크고(곡률 반경이 작고) 만곡도가 큰 경우, 또는 세그먼트(1)의 원주방향 길이가 긴 경우에는, 그에 따라서 당접면(120a, 120b)의 경사를 크게하여 경사각 α를 크게 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간격유지부재를 개재하여 원주방향으로 연결된 세그먼트가 이루는 만곡을, 만곡부의 만곡에 의해 양호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모든 세그먼트를 연결하면, 도 5의 중앙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주방향으로 연결된 링상의 관을 얻을 수 있다. 그 링상의 관의 각 세그먼트를 이미 원주방향으로 연결이 끝낸 도 5의 좌측에 도시하는 링상의 관의 세그먼트를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은 관 길이 방향의 세그먼트의 연결은,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한쪽의 세그먼트에 고정된 너트에, 다른 쪽의 세그먼트로부터의 볼트상의 연결구를 나사연결하여, 양 세그먼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모든 세그먼트를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기설치관(10) 내에 갱생관을 조립한 후, 기설치관과 갱생관 사이의 간극에 그라우트 등의 충전재를 주입하고, 고화시켜, 기설치관과 갱생관으로 이루어지는 복합관을 구축하여, 기설치관의 갱생을 완료한다.
 또한, 상술한 간격유지부재는, 그것을 규격 세그먼트 사이에 개재시켜서 세그먼트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는 갱생관의 관 직경을 크게 하는 관직경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2, 3, 4: 세그먼트 6: 볼트 7: 너트
10: 기설치관 101: 내면판 102, 103: 측판
104, 105: 단판 106, 107: 내부판 120: 간격유지부재

Claims (4)

  1. 내면판과, 내면판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에 설립된 측판과, 내면판의 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에 설립된 단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일체성형의 세그먼트를 원주방향 및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갱생관을 조립하고기설치관을 갱생하는 관 갱생 공법으로서,
    상기 기설치관의 만곡부의 갱생에, 내면판, 측판, 단판이 어느 것이나 직사각형의 직방체 형상의 세그먼트가 복수 이용되고,
    상기 만곡부에 있어서, 상기 직방체 형상의 복수의 세그먼트가, 각 세그먼트의 단판 사이에 간격유지부재를 개재시켜서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만곡부의 갱생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가, 세그먼트의 단판과 당접하는 제1 당접면과, 상기 제1의 당접면과 반대측에 있는 세그먼트의 단판과 당접하는 제2의 당접면을 갖고, 양 당접면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교차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양 당접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기설치관의 만곡부의 곡률 및 직방체 형상의 세그먼트의 원주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의 단판의 내부판 측의 하방부에, 관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판과 당접하는 간격유지부재의 제1 또는 제2의 당접면에는, 상기 단판에 형성된 요부와 철부에 감합하는 철부와 요부가 관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KR1020150166154A 2014-12-02 2015-11-26 관 갱생 공법 KR101712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3642 2014-12-02
JP2014243642A JP6418923B2 (ja) 2014-12-02 2014-12-02 管更生工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503A true KR20160066503A (ko) 2016-06-10
KR101712289B1 KR101712289B1 (ko) 2017-03-03

Family

ID=5513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154A KR101712289B1 (ko) 2014-12-02 2015-11-26 관 갱생 공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18692B2 (ko)
JP (1) JP6418923B2 (ko)
KR (1) KR101712289B1 (ko)
CN (1) CN105650399A (ko)
DE (1) DE102015120268A1 (ko)
GB (1) GB25346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0522B (zh) * 2016-12-27 2020-12-01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管线密封搭接卡具和管线维修方法
KR102341887B1 (ko) * 2017-03-28 2021-12-21 리 리 스마트 모듈 배관, 스마트 모듈 나선관 권선기 및 그 권선방법
CN106989218B (zh) * 2017-03-28 2023-01-13 中道(重庆)管业有限公司 模块化智能化管道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4669B2 (ja) * 1990-03-29 1997-05-28 ダンビイ ピィ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下水管の修理及び保護方法
KR20050094334A (ko) * 2004-03-22 2005-09-27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갱생관 어셈블리용 세그먼트
KR20080084135A (ko) * 2007-03-15 2008-09-19 (주)씨스이엔지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KR20090011767A (ko) * 2007-07-27 2009-02-02 (주)씨스이엔지 갱생관용 세그먼트부재 및 그 세그먼트부재를 이용한갱생관
JP2011012803A (ja) 2009-06-03 2011-01-20 Shonan Plastic Mfg Co Ltd 既設管の更生工法
JP2014077261A (ja) 2012-10-10 2014-05-01 Shonan Plastic Mfg Co Ltd 更生管および管更生工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5044A (en) * 1969-04-12 1972-10-03 Masahiro Hoshino Sealing method of sealed segments of a tunnel
US4497590A (en) * 1982-03-08 1985-02-05 Crs Group, Inc. Tunnel lining
GB8601413D0 (en) * 1986-01-21 1986-02-26 Vidal H Moulding process
US5458155A (en) * 1994-07-05 1995-10-17 Stephens; Patrick J. System and method for slipliner renovation of semi-elliptical conduits
JP3017443B2 (ja) * 1996-05-02 2000-03-06 株式会社栗本鐵工所 既設水路内面の補強ユニット及び補強工法
GB2312904B (en) * 1996-05-08 2000-07-12 Johnston Pipes Ltd A pipe,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pipe and a method of lining or re-lining a sewer using the pipe as a liner
GB2357988B (en) * 2000-01-05 2004-04-28 Channeline Sewer Systems Ltd Linings for sewers
JP2005308010A (ja) * 2004-04-19 2005-11-04 Shonan Plastic Mfg Co Ltd 更生管用セグメント部材
JP2005307531A (ja) * 2004-04-21 2005-11-04 Shonan Plastic Mfg Co Ltd 更生管及びその敷設方法
JP2005308100A (ja) * 2004-04-22 2005-11-04 Shonan Plastic Mfg Co Ltd 更生管の敷設方法
JP4515806B2 (ja) * 2004-04-22 2010-08-04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既設管の更生方法
JP4482373B2 (ja) * 2004-05-14 2010-06-16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既設管更生用セグメント部材及びそのセグメント部材を用いた更生管
JP4452558B2 (ja) * 2004-05-28 2010-04-21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既設管の更生工法
CA2585238A1 (en) * 2004-10-28 2006-05-04 Shonan Gosei-Jushi Seisakusho K.K. Rehabilitating pipe and method for repairing a pipeline installation using rehabilitating pipe
JP4237782B2 (ja) * 2006-07-26 2009-03-11 日本ホーバス株式会社 曲面パネルの製造方法
GB2443198B (en) * 2006-10-24 2011-05-25 Kenneth Latimer Scott A method of lining pre-existing pipes or passages and apparatus therefor
JP5302696B2 (ja) * 2008-07-11 2013-10-02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マンホール更生工法
JP5463077B2 (ja) * 2008-07-17 2014-04-09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更生管用セグメント
KR20100064333A (ko) * 2008-12-04 2010-06-14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기설관 갱생 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
US9052051B2 (en) * 2009-04-20 2015-06-09 Link-Pip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 repair of conduits
JP5794845B2 (ja) * 2011-07-08 2015-10-14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更生管及び該更生管を用いた管更生工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4669B2 (ja) * 1990-03-29 1997-05-28 ダンビイ ピィ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下水管の修理及び保護方法
KR20050094334A (ko) * 2004-03-22 2005-09-27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갱생관 어셈블리용 세그먼트
KR20080084135A (ko) * 2007-03-15 2008-09-19 (주)씨스이엔지 관로 보수관용 세그먼트
KR20090011767A (ko) * 2007-07-27 2009-02-02 (주)씨스이엔지 갱생관용 세그먼트부재 및 그 세그먼트부재를 이용한갱생관
JP2011012803A (ja) 2009-06-03 2011-01-20 Shonan Plastic Mfg Co Ltd 既設管の更生工法
JP2014077261A (ja) 2012-10-10 2014-05-01 Shonan Plastic Mfg Co Ltd 更生管および管更生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50399A (zh) 2016-06-08
GB2534655A (en) 2016-08-03
US20160153603A1 (en) 2016-06-02
JP6418923B2 (ja) 2018-11-07
GB201520319D0 (en) 2015-12-30
US9518692B2 (en) 2016-12-13
KR101712289B1 (ko) 2017-03-03
DE102015120268A1 (de) 2016-06-02
JP2016108723A (ja)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6848B2 (ja) 更生管用セグメントおよび管更生工法
KR101712289B1 (ko) 관 갱생 공법
KR20100064333A (ko) 기설관 갱생 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
US7083360B2 (en) Method for rehabilitating an existing pipe
KR101922945B1 (ko)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관 갱생 공법
US9746121B2 (en) Spacer for positioning a rehabilitating pipe
JP2005308100A (ja) 更生管の敷設方法
JP2017227255A (ja) 管更生工法
JP2015024561A (ja) 更生管の支保工装置および支保工工法
JP2005308010A (ja) 更生管用セグメント部材
WO2006046477A1 (ja) 更生管及び該更生管を用いた管路施設修復工法
JP6067312B2 (ja) 更生管および管更生工法
JP2019027594A (ja) 管更生工法
JP4673922B2 (ja) 既設管更生工法及びその工法に使用される更生管用セグメント
WO2016088168A1 (ja) 既設管の更生工法
JP5770341B2 (ja) 更生管用セグメント
JP2009108484A (ja) セグメントの連結方法
EP4137730A1 (en) Pipe rehabilitation construction method
JP2018109433A (ja) 管更生工法
JP2021110372A (ja) 更生管及び管更生工法
KR20090011777A (ko) 갱생관 및 그 갱생관을 이용한 관로시설 수복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