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497A - 농업용 보온재 - Google Patents

농업용 보온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497A
KR20160066497A KR1020150157474A KR20150157474A KR20160066497A KR 20160066497 A KR20160066497 A KR 20160066497A KR 1020150157474 A KR1020150157474 A KR 1020150157474A KR 20150157474 A KR20150157474 A KR 20150157474A KR 20160066497 A KR20160066497 A KR 20160066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layer
hollow fiber
agricultural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성하이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성하이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성하이론
Publication of KR20160066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보온재는, 4 내지 40%의 중공률을 가지는 중공사를 600 내지 900punch/cm2로 니들 펀치만을 적용하여 비열융착 방식으로 50 내지 1000g/m2 중량을 지니도록 제작된 부직포층; 상기 부직포층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접착 적층된 보호층; 및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의 보호층에 각각 접착 적층된 최외부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경량화를 실현하면서도 보온성이 증대고, 내구성이 뛰어난 농업용 보온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업용 보온재{Lagging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농업용 보온재에 관한 것이다.
농촌에 시설한 유리온실과 비닐하우스 등지에서 채소, 꽃 등의 각종 농작물을 동절기에 재배할 때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발포패드의 전후면에 폴리에스터 원단, 알루미늄 포일, 폴리에스테르 원단, 부직포 등을 복층으로하여 봉접한 다겹 보온원단을 구성하고, 이러한 다겹 보온원단을 천정과 양측방에 개폐할 수 있는 커튼 형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의 다겹 보온원단은 소재에 따라 3~10겹이 되게 포개어서 봉접 또는 바인더(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의 다겹 보온원단은 수분이 유입되면 무거워져 커튼이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개폐가 어렵고, 수분이 유입된 보온재는 태양광이 노출되어 곰팡이균이 서식하여 재배되는 농작물 병해발생의 원인이 된다. 또한 수분이 고이면 청태현상 발생과 함께 부패되어 반복 사용이 어렵고, 폐기시 소재별로 분리가 어려워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폴리에스테르 솜의 전후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위치시키고, 3종의 소재를 경량화되게 용착하고 통기공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농업용 보온재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비닐하우스 등에 농업용 보온재를 설치, 유지시에 비용이 많이 들고, 보온재의 수축, 이완현상에 따라 사용기간이 짧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결로현상이나 햇빛을 가림으로 인해 작물재배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량화, 보온성 증대, 부피 최소화, 결로현상방지, 내구성 증대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농업용 보온재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KR 20-2011-0008946 U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경량화를 실현하면서도 보온성이 증대고, 내구성이 뛰어난 농업용 보온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농업용 보온재는, 4 내지 40%의 중공률을 가지는 중공사를 600 내지 900punch/cm2로 니들 펀치만을 적용하여 비열융착 방식으로 50 내지 1000g/m2 중량을 지니도록 제작된 부직포층; 상기 부직포층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접착 적층된 보호층; 및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의 보호층에 각각 접착 적층된 최외부층;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12 내지 18 g/m2 중량으로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및 10 내지 22 g/m2 중량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 필름이 접착 적층된 것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부직포층에 접착되고,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은 최외부층에 접착된다.
상기 중공사는 폴리에스테르 중공사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은 폴리에스테르 중공사와 폴리프로필렌사를 4:6 내지 6:4 중량비로 혼합하여 니들 펀치만을 적용하여 비열융착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공사와 폴리프로필렌사의 굵기는 1 내지 20 데니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에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외부층은 300 내지 100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사로부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중공사를 이용하여 농업용 보온재를 제작함으로써, 농업용 보온재의 경량화를 실현하고, 보온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농업용 보온재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결로현상을 방지하며,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의 니들펀칭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보온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의 니들펀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보온재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보온재(100)는 4 내지 40%의 중공률을 가지는 중공사를 열융착없이 니들밀도 600 내지 900 punch/cm2 로 니들펀칭함으로써, 50 내지 1000g/m2 중량을 지니도록 제작된 부직포층을 포함한다.
상기 중공사(112)는 섬유의 내부와 외부의 열교환을 차단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부직포층(110)을 중공사가 아닌 일반적인 섬유로 형성함으로써, 공기를 활용하지 못하여 보온 효과에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보온재(100)는, 섬유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중공에는 공기가 위치한다. 따라서, 열전도도가 낮은 공기로 인하여 열이 외부로 달아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중공을 형성함으로써, 부피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농업용 보온재(100)를 비닐하우스 등에 설치, 또는 제거시에 편의를 더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사(112)는 폴리에스테르 중공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공사에 폴리프로필렌사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공사가 교락되어 부직포층이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중공사와 폴리프로필렌사의 조합 또는 폴리에스테르 중공사와 폴리프로필렌 중공사의 조합으로 혼합되어 니들펀칭하여 부직포층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층(110)은 중공사(112)를 니들펀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니들펀칭 공정은 중공사(112)를 적층시켜 하는 것이 아니라, 중공사(112)를 서로 엉키게 혼합하여 니들펀칭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부직포의 제조공정에서는 니들펀칭 전에 캘린더 롱에 통과시키면서 프리 본딩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고 니들펀청을 적용하기 때문에 니들의 밀도는 50 내지 100 punch/cm2 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원발명에서는 열융착없이 니들밀도 600 내지 900 punch/cm2 로 니들펀칭함으로써 부직포층(110)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비닐하우스 등에 농업용 보온재(100)를 설치, 또는 제거시에 편의를 더할 수 있다. 또한 프리 본딩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 과정에서 열융착에 의한 중공사의 내부 중공의 파괴가 적고, 따라서 단열 효과가 프리 본딩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한 후 니들펀칭하는 것에 비해 현저히 우수하다.
상기 부직포층(110)을 구성하는 중공사(112)는 4 내지 40%의 중공률을 가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의 중공률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중공율이 4% 미만이면 경량성과 보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반대로 40%를 초과하면 부피감, 작업성 및 보온성의 모든 면에서 열등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니들펀칭 공정은, 중공사(112)가 50 내지 1000g/m2의 중량을 지니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g/m2 중량으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중량이 50g/m2 미만이거나, 1000g/m2 를 초과하게 되면 상업적 생산이 쉽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보온재(100)는 중공사(112)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중공사(112)에 폴리프로필렌사(114)를 혼합하여 교락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사(112)가 폴리에스테르 중공사 일 때, 폴리에스테르 중공사(112)와 폴리프로필렌사(114)를 혼합함으로써, 보온성 향상과 내화학성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사(114)와 폴리에스테르 중공사(112)의 중량비는 4 내지 6 대 6 내지 4로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프로필렌사(114)의 중량비가 과도하게 높으면 초기의 기계적 강도물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고, 폴리에스테르 중공사(112)의 보온에 대한 효과성이 낮아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폴리에스테르 중공사(112)의 중량비가 과도하게 높으면, 낮은 밀도를 지닌 폴리프로필렌사(114)의 부피감 활용도가 떨어지고 내화학성에 대한 물성저하 현상이 증가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2가지 소재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안에서 적절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결국,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중공사(112)와 폴리프로필렌사(114)를 4:6 비율, 최대 6:4의 중량비율로 폴리에스테르 중공사(112)의 두께 및 중공율의 특성과 함께 낮은 밀도를 지닌 폴리프로필렌사(114)의 경량성 및 부피감을 이용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중공사(112) 및 폴리프로필렌사(114)는 장섬유 또는 단섬유를 불문하며, 장섬유와 단섬유가 혼합되어도 무방하다. 일반적으로, 장섬유는 평균직경이 10 내지 30미크론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섬유는 평균직경이 0.1 내지 10 미크론인 멜트블로운 초극세사 형태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112), 폴리프로필렌사(114)는 1 내지 20 데니어의 굵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보온재(100)는, 상기 부직포층(1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폴리에틸렌 필름(122) 및 부직포(124)가 접합된 보호층(120)이 적층되어, 상기 부직포층(110), 상기 부직포(124),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122) 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보호층(120)은 중공사(112)를 보호하는 외피로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호층(120)이 차광과 보온, 단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농업용 보온재(100)의 보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122)은 UV코닝 또는 UV소재를 폴리에틸렌 필름(122) 원료에 배합하여 제조하여, 장기간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부직포층(110)의 일면에 보호층(120)이 적층되면, 부직포층(110), 보호부직포(124), 폴리에틸렌 필름(122) 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틸렌 필름(122)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24)는 핫멜트 방식, 바인더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층(110)의 양면에 보호층(120)이 적층되면, 보호층(120), 부직포층(110), 보호층(120)의 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20)으로는 폴리프로필렌 필름(122)을 사용한다. 폴리프로필렌은 비중이 0.91로 낮고, 그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보온성이 우수하다. 다만 폴리프로필렌 필름(122)은 부직포층(110)과 직접 접착될 경우, 부직포층(110)과의 표면 거칠기, 각층의 두께나 밀도 차이가 현저하고, 이로 인하여 외부에서 장력 등이 가해지면 부직포층(110)과 폴리프로필렌 필름(122)의 물성 차이로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필름(122)을 부직포층(110)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 부직포층(110)에 비해 얇고 밀도가 낮으면서 재질이 같으면서,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물성이 유사한 보호부직포(124)가 접착된 보호층(120)을 사용함으로써 농업용 보온재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12 내지 18 g/m2 중량으로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및 10 내지 22 g/m2 중량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 필름이 접착되어 이루어진다. 부직포(124)의 중량이 12 g/m2 미만이면, 내구성 강화의 효과가 미비하고, 18 g/m2을 초과하면, 경량화 및 생산성 측면에서 부적절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필름(122)에 보호부직포(124)를 접합하면, 폴리에틸렌 필름(122)만을 적층한 때보다 농업용 보온재(100)의 보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20)의 보호부직포(124)는 부직포층(110)에 접착되고, 폴리에틸렌 필름(122)은 최외부층과 접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110)의 폴리프로필렌 필름(122)에 통기공(1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습기가 유입되면 통기공(130)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물고임이 해소되고, 곰팡이균이 서식하지 않게 하여 농업용 보온재(100)의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습기가 유입되는 경우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비닐하우스 등에 농업용 보온재(100)를 설치, 제거시에 발생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보호층(120)에 최외부층(140)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최외부층(140)은 부직포층(110)의 보온 및 외피역할을 하여,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부직포층(110) 및 보호층(120)이 장력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최외부층(140)은 농업용 보온재(100)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직포층(110), 보호층(120), 최외부층(140) 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최외부층(140)은 300 내지 100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사로 형성되는 제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최외부층(140)의 경사는 300데니어, 96가닥으로 된 폴리에스테르사로 하고, 위사는 600데니어, 192가닥으로 된 폴리에스테르사로 할 수 있다. 상기 최외부층(140)은 보호층(120)의 폴리프로필렌 필림(122)와 전면이 접착될 수도 있으나, 일부만 접착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접착되지 않은 상태로 적층되고, 농업용 보온재의 최외각 모서리만 접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120)이 부직포층(110)의 양면에 적층되면, 최외부층(140), 보호층(120), 부직포층(110), 보호층(120), 최외부층(140) 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제작된 중공사(112), 폴리프로필렌사(114)의 복합 니들펀칭 부직포층(110)은 장섬유로만 구성하거나, 단섬유와의 조합된 층으로 구성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복합 니들펀칭 부직포층(110)을 구성하고 있는 각 소재들은 니들(needle)을 통한 섬유 간 교락이 이루어진 형태로 구성되고,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부드러운 면과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기계적 강성을 지닌 면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층(110)은 멜트블로운층의 구성이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중공사(112)와 더불어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층은 발수효과, 단열효과, 흡음효과, 강도 등과 같은 복합 부직포의 여러 가지 물성과 관련하여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니들펀칭의 니들의 밀도를 변화시키면서 보온율을 측정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4 데니아의 폴리에스테르 중공사(112)(중공률 30%)와 폴리프로필렌사(114)를 중량비 5:5로 혼합하여 700 punch/cm2 의 니들밀도로 니들펀칭하여 부직포층(110)을 형성하고, 수많은 니들의 상하운동으로 기계적 교락작용이 일어나 부직포 전체의 결속력을 지니도록 하여 222g/m2 의 부직포층(110)을 제조하였다.
또한, 부직포층(110)에 18g/m2 인 폴리프로필렌 필름(122) 및 15g/m2 인 폴리프로필렌 보호부직포(124)가 접착된 보호층(120)의 폴리프로필렌 보호부직포를 접착 적층하였다.
경사는 300데니어, 96가닥으로 된 폴리에스테르사로 하고, 위사는 600데니어, 192가닥으로 된 폴리에스테르사로 최외부층(140)을 제직하였고, 최외부층(140)은 보호층(120)의 폴리프로필렌 필림(122)와 가로, 세로 모두 1 m 간격으로 5 cm 두께로 접착하였다.
최외부층(140)의 중량은 40g/m2 으로 실시예의 농업용 보온재의 중량은 396g/m2 이었다.
<비교예 1>
보호층(120)에 폴리프로필렌 보호부직포(124)가 포함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농업용 보온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4 데니아의 폴리에스테르 중공사(112)(중공률 30%)와 폴리프로필렌사(114)를 중량비 5:5로 혼합한 후, 칼렌더링 열접착을 통해 프리 본딩 스펀본드 부직포를 먼저 제조하고, 100 punch/cm2 의 니들밀도로 니들펀칭하여 부직포층(110)을 형성하였다. 부직포층(110)의 중량은 225g/m2 이었다.
상기 제조된 부직포층(110)으로 실시예의 부직포를 대체하여 실시예와 동일하게 농업용 보온재를 제조하였다.
<실험 결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각각 제조한 농업용 보온재(100)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물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1. 초기 강도(kg/5cm) :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농업용 보온재(100)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알맞은 크기로 절단하여 시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크기는 50mm x 150mm 이며, 인스트롱기를 이용하여 시료마다 16회씩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Edana20.2-89를 참고하였다.
2. 보온율(%): 국내 보온율 측정 규격(KS K 0560:2011 항온법)에 의거하여 진행하였다.
3. 내구성: 농업용 보온재를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면서 구김을 주어 보호층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손상이 발생하는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가장 양호 ◎, 양호 ○, 보통 △, 불량 ×으로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이 실시한 농업용 보온재(100)의 물성 테스트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단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강도 kg/5cm 267 168 270
보온성 % 83.2 75.3 77.4
내구성 -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농업용 보온재는 비교예 1의 농업용 보온재에 비하여 강도와 보온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내구성 역시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 필름(122)만을 적층하는 것보다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24)를 접합함으로써, 강도, 내구성과 보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프리 본딩 스펀본드 부직포를 먼저 제조하고 니들펀층하여 제조한 보호층(110)을 이용한 비교예 2의 농업용 보온재는 강도는 유사하였으나, 내구성 부분은 비교예 1보다는 우수했으나 보호층(110)의 유연성이 부족해지면서 농업용 보온재를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면서 구김을 주었을 때 어나 내구성이 실시예에 비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보온성도 실시예에 비해서 저하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100: 농업용 보온재 110: 부직포층
112: 중공사 114: 폴리프로필렌사
120: 보호층 122: 폴리프로필렌 필름
124: 폴리프로필렌 보호부직포 130: 통기공
140: 최외부층

Claims (6)

  1. 4 내지 40%의 중공률을 가지는 중공사를 600 내지 900punch/cm2로 니들 펀치만을 적용하여 비열융착 방식으로 50 내지 1000g/m2 중량을 지니도록 제작된 부직포층;
    상기 부직포층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접착 적층된 보호층; 및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의 보호층에 각각 접착 적층된 최외부층;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12 내지 18 g/m2 중량으로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및 10 내지 22 g/m2 중량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 필름이 접착 적층된 것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부직포층에 접착되고,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은 최외부층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보온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는 폴리에스테르 중공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보온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은 폴리에스테르 중공사와 폴리프로필렌사를 4:6 내지 6:4 중량비로 혼합하여 니들 펀치만을 적용하여 비열융착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보온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공사와 폴리프로필렌사의 굵기는 1 내지 2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보온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에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보온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부층은 300 내지 100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사로부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보온재.
KR1020150157474A 2014-12-02 2015-11-10 농업용 보온재 KR201600664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133 2014-12-02
KR20140170133 2014-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97A true KR20160066497A (ko) 2016-06-10

Family

ID=5619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474A KR20160066497A (ko) 2014-12-02 2015-11-10 농업용 보온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64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9727A (ko) 2022-05-12 2023-11-22 주식회사 현성부직포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난연·소취성을 가진 농업용 보온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946U (ko) 2010-03-15 2011-09-21 김정한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946U (ko) 2010-03-15 2011-09-21 김정한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9727A (ko) 2022-05-12 2023-11-22 주식회사 현성부직포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난연·소취성을 가진 농업용 보온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0869B2 (ja) 建材用シート材料
CA2616853A1 (en) Bicomponent sheet material having liquid barrier properties
JP2018144491A (ja) 透湿防水シート
KR101038192B1 (ko) 열차폐성 및 투습방수성이 우수한 다기능성 하우스 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66497A (ko) 농업용 보온재
JP4504822B2 (ja) 遮熱性および光透過性を有するネット状資材
JP6349019B1 (ja) 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及びその用途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663708B1 (ko) 비닐하우스 습기제거용 보온재
JP5354991B2 (ja) 農業用資材、その製造方法、その使用方法
JP2012026150A (ja) 塗膜防水シート
JP6925826B2 (ja) 透湿防水シート
JP2002356958A (ja) ハウスラップ用または屋根下地用の積層シート
JPWO2019026798A1 (ja) 積層吸音材
JP6499429B2 (ja) 農業用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726454B2 (ja) 遮熱透湿防水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52593B1 (ko) 도트 무늬를 갖는 부직포 및 그 부직포의 제조방법
JP5294608B2 (ja) 無機質繊維充填袋体及びその梱包体
JPH11235129A (ja) 農園芸用遮光資材
TW202210676A (zh) 吸音材料、使用其的吸音面板及吸音材料的製造方法
JP2012167412A (ja) 揚水性繊維構造体
KR101354301B1 (ko) 팬형식 냉각장치용 필터조립체
CN220390582U (zh) 一种复合型阻燃透气膜
KR20150065430A (ko) 자외선 안정성 및 산화 안정성이 우수한 산업용 멜트블로운 섬유 실외 보온재
JP5106207B2 (ja) タイルカーペット
JP6684638B2 (ja) 建築用透湿防水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