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946U -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 - Google Patents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946U
KR20110008946U KR2020100002597U KR20100002597U KR20110008946U KR 20110008946 U KR20110008946 U KR 20110008946U KR 2020100002597 U KR2020100002597 U KR 2020100002597U KR 20100002597 U KR20100002597 U KR 20100002597U KR 20110008946 U KR20110008946 U KR 201100089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insulation
polyethylene film
curtain
polyester cott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061Y1 (ko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김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한 filed Critical 김정한
Priority to KR2020100002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06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9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9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0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온 비닐커튼에 관한 것이며 폴리에스테르 솜의 전후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위치시키고, 3종의 소재를 보온과 단면을 증대하고 경량화되게 용착하고 보온공간에는 통기공을 부여하고 상기 통기공으로는 공기가 유통되게 하여 물고임과 곰팡이균의 서식을 방지하는 보온 비닐커튼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고, 구성은 폴리에스테르 솜의 전후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위치시키고, 상기 3종의 소재를 용착하여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보온 비닐커튼은 경량이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보온공간에는 폴리에스테르 솜이 공기를 보유하게 되므로 보온효율이 증대하고 보온공간에 위치하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통기공으로는 공기가 유통되어 곰팡이균의 서식이 방지되고 폴리에스테르 솜은 차광이 우수하며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A curtain vinyl of farming keeping warm}
본 고안은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온실 또는 비닐하우스에서 보온 또는 차광할 때 사용하는 보온 비닐커튼에 관한 것이다.
농촌에 시설한 유리온실과 비닐하우스(연동) 등지에서 채소, 꽃, 토마토, 오이, 고추, 딸기 등과 같은 각종 농작물을 동절기에 재배할 때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발포패드의 전후면에 폴리에스터 원단, 알미늄 포일, 폴레에스테르 원단, 부직포 등을 복층으로 하여 봉접한 다겹 보온원단을 구성하고, 상기 다겹 보온원단을 천정과 양측방에 개폐할 수 있는 커튼으로 설치하여 사용된다.
또 상기의 다겹 보온원단은 소재에 따라 3~10겹이 되게 포개어서 봉접 또는 바인더(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다겹 보온원단은 수분이 보온원단내로 유입되면 무거워져 커튼이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으로 개폐가 어렵게 되고, 또 수분이 유입된 보온재에는 태양광에 노출되어 곰팡이균이 서식하여 재배되는 농작물 병해발생의 원인이 되고, 수분이 고이면 청태현상 발생과 함께 부패되는 결점으로 반복 사용이 어렵게 되고 폐기하게 될 경우 소재별로 분리가 어려워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폐단이 있다.
상기 수단을 개선하는 방식으로는 폴리에틸렌 합성섬유사 원단에 히터선을 매설하여 커튼에 가온기능을 부가하거나, 폴리에틸렌 소재의 커튼에 공기주머니를 형성하여 보온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 수단이 알려진바 있으나 히터선을 내장하는 경우에는 화재의 위험성이 내포되고, 전력이 소비되며, 공기주머니를 구비하는 경우 커튼으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공기의 유입과 배출수단이 함께 구비하여야 하는 결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유리온실과 비닐하우스에는 보온과 차광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식으로 연구되고, 또 경량화하기 위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경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온원단내로 유입되는 수분의 배출수단과, 곰팡이균의 서식방지와, 물고임으로 발생 되는 청태현상 방지를 위한 통풍 등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관련된 농업용 유리온실과 비닐하우스에 보온과 차광에 관련된 선행수단은 아래와 같다.
·국내 실용신안등록제230366호(공고일자 : 2001. 07. 03.)
·국내 등록특허제527913호(공고일자 : 2005. 11. 15.)
·국내 등록특허제905220호(공고일자 : 2009. 07. 01.)
·국내 등록특허제937210호(공고일자 : 2010. 01. 20.)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 폴리에스테르 솜의 전후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위치시키고, 보온과 단열을 증대하고, 경량화 되게 3종의 소재를 용착하고, 보온공간에는 통기공을 부여하고, 상기 통기공으로는 공기가 유통되게 하여 물고임과 곰팡이균의 서식을 방지와 청태현상을 해소하는 보온 비닐커튼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본 고안은 도1 내지 도3과 같이 폴리에스테르 솜(1)의 전후면에 폴리에틸렌 필름(2)(2a)을 위치시키고, 상기 3종의 소재를 용착하여 용착선(3)과 보온공간(4)을 구비하고, 상기 보온공간(4)에 위치되는 폴리에틸렌 필름(2)(2a)에는 도2와 같이 통기공(5)을 형성하여서 구성된다.
상기의 통기공(5)은 보온공간(4)에 위치하는 폴리에틸렌 필름(2)(2a)의 양면 또는 일면을 선택하여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보온 비닐커튼은 폴리에스테르 솜의 양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위치시키고 양측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폴리에스테르 솜과 함께 용착하면 한 몸통으로 용착되어 변형이 없게 되고, 또 폴레이스테르 솜에 의한 차광성이 우수하고 보온공간에 폴리에스테르 솜이 위치되어 공기의 보유 공간이 형성되어 보온력이 우수하고, 수분이 보온공간으로 유입되면 통기공으로 배출되므로 물고임이 해소되고 곰팡이균이 서식되지 않아 반복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에서 합접상태를 발췌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A-A′선단면 확대도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의 정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상태의 측면도
본고안에서 보인 도1은 종단면도
도2는 평면도
도3은 합접상태를 발췌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A-A′선단면 확대도
도5는 실시상태의 정면도
도6은 실시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1 및 도3과 같이 폴리에스테르 솜(1)의 전후면에 폴리에틸렌 필름(2)(2a)을 위치시키고, 상하의 폴리에틸렌 필름(2)(2a)간을 도3 및 도4와 같이 용착하여 용착선(3)과 보온공간(4)이 반복 형성되게 구비하고, 상기 보온공간(4)에 위치되는 폴리에틸렌 필름(2)(2a)에는 통기공(5)을 형성하여서 구성된다.
상기에서 통기공(5)은 폴리에틸렌 필름(2)(2a)의 양면 또는 일면에 선택 구비된다.
또 상기의 보온 비닐커튼은 도5 및 도6과 같이 유리온실과 비닐하우스에서 천정 및 측방 커튼(10)(11)으로 사용하게 되면 경량이어서 벗기고 씌울 때 쳐짐이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또 보온 비닐커튼에 형성되는 보온공간(4)의 상하 외측 폴리에틸렌 필름(2)(2a) 사이에 위치하는 폴리에스테르 솜(1)은 공기의 보유공간이 형성되므로 더운공기가 유입되어 보온의 효과가 뛰어나고, 또 사용과정에서 습기가 유입되면 상기 습기는 폴리에틸렌 필름(2)(2a)에 형성된 통기공(5)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고, 또 보온공간(4)내에서 수분이 응집되어 보온공간(4)에 물이 고이게 되면 통기공(5)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경량상태를 유지하고 곰팡이균이 서식하거나 물이 고여 생기는 청태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폴리에틸렌 필름(2)(2a)에 구비하는 통기공(5)은 사용지점이나 위치에 따라 일면에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폴리에틸렌 필름(2)(2a)을 폴리에스테르 솜(1)과 함께 용착할 때 폴리에틸렌 필름(2)(2a) 사이에는 폴리에스테르 솜이 위치되므로 용착지점을 200~350℃정도로 가열된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서 용융 압착하면 용착선(3)이 구비되면서 용착이 이루어지고, 또 다른 방식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솜 위에 용해된 폴리에틸렌 필름 융액을 공급하고 압지롤러를 용착하여 용착선(3)을 구비하게 된다.
또 상기의 보온 비닐커튼의 폴리에틸렌 필름(2)(2a)은 폴리에스테르 솜(1)을 보호하는 외피기능과 단열의 기능을 갖게 되고 폴리에스테르 솜(1)은 차광의 기능과 보온공간(4)의 공기 보유공간에서 보온의 기능을 갖게 되므로 보온과 차광의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게 되며 제조가 용이하여 양산할 수 있게 되고 반복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경제적인 이점을 갖게 된다.
또 상기의 보온 비닐커튼은 소재가 폴리에스테르 솜(1)과 폴리에틸렌 필름(2)(2a)은 성질이 다르기는 하나 폐기시에는 규격으로 절단하고 소재별로 분리하면 자원소재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의 폴리에틸렌 필름(2)(2a)에는 uv코팅 또는 uv소재를 폴리에틸렌 필름 원료에 배합하여 제조하면 보온 비닐커튼을 장구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 : 폴리에스테르 솜 2, 2a : 폴리에틸렌 필름
3 : 용착선 4 : 보온공간
5 : 통기공 10 : 비닐하우스의 천정커튼
11 : 비닐하우스의 측방커튼 20 : 비닐하우스
21 : 골주 22 : 레일
23 : 커튼 지지대

Claims (3)

  1. 소재를 다겹으로 하여 구비되는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솜(1)의 상하면에 폴리에틸렌 필름(2)(2a)을 위치시키고, 상기 3종의 소재를 용착하여 용착선(3)과 보온공간(4)을 반복되게 구비하고, 상기 보온공간(4)에 위치되는 폴리에틸렌 필름(2)(2a)에는 통기공(5)을 형성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
  2. 제1항에 있어서
    보온공간(4)에 위치하는 폴리에틸렌 필름(2)(2a)의 통기공(5)은 일면의 폴리에틸렌 필름에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
  3. 제1항에 있어서
    보온공간(4)에 위치하는 폴리에틸렌 필름(2)(2a)의 통기공(5)는 양면의 폴리에틸렌 필름에 반복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
KR2020100002597U 2010-03-15 2010-03-15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 KR200461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597U KR200461061Y1 (ko) 2010-03-15 2010-03-15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597U KR200461061Y1 (ko) 2010-03-15 2010-03-15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946U true KR20110008946U (ko) 2011-09-21
KR200461061Y1 KR200461061Y1 (ko) 2012-06-19

Family

ID=4509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597U KR200461061Y1 (ko) 2010-03-15 2010-03-15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06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85Y1 (ko) * 2011-12-02 2012-05-09 김일구 단열 커튼
CN103918508A (zh) * 2014-04-17 2014-07-16 中国科学院新疆生态与地理研究所 一种利用太阳能的农田微气候干预系统
KR20160066497A (ko) 2014-12-02 2016-06-10 주식회사 하성하이론 농업용 보온재
KR102101581B1 (ko) * 2019-08-06 2020-04-17 농업회사법인 델텍스 주식회사 온실용 보온, 차광막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793B1 (ko) 2018-08-10 2020-04-17 (주)부전 농업 재배시설용 원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144A (ja) * 1991-10-30 1993-05-21 Unitika Ltd 防水透湿シート
KR970004678Y1 (ko) * 1994-11-10 1997-05-19 한국타포린 주식회사 하우스용 보온덮개 적층구조
JP2667130B2 (ja) * 1995-04-24 1997-10-27 ユニチカ株式会社 農業用被覆シー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85Y1 (ko) * 2011-12-02 2012-05-09 김일구 단열 커튼
CN103918508A (zh) * 2014-04-17 2014-07-16 中国科学院新疆生态与地理研究所 一种利用太阳能的农田微气候干预系统
KR20160066497A (ko) 2014-12-02 2016-06-10 주식회사 하성하이론 농업용 보온재
KR102101581B1 (ko) * 2019-08-06 2020-04-17 농업회사법인 델텍스 주식회사 온실용 보온, 차광막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061Y1 (ko)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061Y1 (ko) 농업용 보온 비닐커튼
JP5977829B2 (ja) グリーンハウススクリーン
KR101470400B1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및 그 제조방법
JP2013099291A (ja) 農業用シート
KR20130033741A (ko) 인삼재배용 보온덮개 겸용 차광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245327B1 (ko) 비닐 하우스
JP2011010590A (ja) 農業用ハウスに使用する保温シート
CN206237931U (zh) 一种采光通风食用菌栽培大棚
KR101643540B1 (ko) 통기성 합지 보온재
KR20150078553A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와 이의 제조방법
KR101268928B1 (ko) 비닐하우스의 치마부용 보온 및 단열매트
JP2009207410A (ja) 農業用ハウス用暖房内壁
JP2011182767A (ja) 冷暖房内張り二重膜流水カーテン
KR101612478B1 (ko) 비닐하우스용 연결용 보온덮개
KR20150073511A (ko) 치마부용 보온덮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CN208754804U (zh) 一种利用太阳光照射墙体升温节能型日光温室
JP2009241364A (ja) 保温シート
JP6568713B2 (ja) 農業用ハウス保温材
CN201467763U (zh) 阻燃抗紫外线防翻转无纺布幕帘
KR101246210B1 (ko) 팽창형 열 커튼을 구비하는 비닐 하우스
JP3176964U (ja) 栽培用ハウス
KR101672437B1 (ko) 부직포에 난방 기능성을 부여한 보온필름과 그 제조방법
JP2016517688A (ja) ビニールハウス用二重ビニールシート
KR101561037B1 (ko) 다층 통기성 합지 보온재
KR20170100195A (ko) 비닐하우스의 치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