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267A - 배양 트레이 - Google Patents

배양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267A
KR20160063267A KR1020150165367A KR20150165367A KR20160063267A KR 20160063267 A KR20160063267 A KR 20160063267A KR 1020150165367 A KR1020150165367 A KR 1020150165367A KR 20150165367 A KR20150165367 A KR 20150165367A KR 20160063267 A KR20160063267 A KR 20160063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channel
culture
channel
support frame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854B1 (ko
Inventor
켐지스 데트레프
슈뢰더 디터
네버만 슈테판
Original Assignee
유로이뮨 메디지니쉐 라보디아그노스티카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로이뮨 메디지니쉐 라보디아그노스티카 아게 filed Critical 유로이뮨 메디지니쉐 라보디아그노스티카 아게
Publication of KR20160063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mmunological test procedures
    • G01N33/5304Reaction vessels, e.g. agglutination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 B01L3/5085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using modular assemblies of strips or of individual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H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1Adjust spacings in an array of wells, pipettes or holders, format transfer between arrays of different size or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8Modula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09Holders integrated in container to position an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63Whol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대향 가로벽, 오목부 및 베이스를 갖는 기다란 배양 채널로, 후면 및 전면을 갖는 기다란 시험 스트립을 구비하고, 상기 시험 스트립은 상기 배양 채널의 베이스와 대향하는 그의 후면을 갖고, 그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분석 시약이 코팅되며,상기 배양 채널을 하나 이상의 부가 배양 채널에 연결하여 배양 채널 조립체를 형성하는 체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바람직하게, 수평 외측(outward) 지지 프레임은 상기 세로벽 중 하나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배양 채널이다.

Description

배양 트레이{INCUBATION TRAY}
본 발명은 2개의 대향 가로벽, 오목부 및 베이스를 갖는 기다란 배양 채널로, 후면 및 전면을 갖는 기다란 시험 스트립을 구비하고, 상기 시험 스트립은 상기 배양 채널의 베이스와 대향하는 그의 후면을 갖고, 그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분석 시약이 코팅되며,상기 배양 채널을 하나 이상의 부가 배양 채널에 연결하여 배양 채널 조립체를 형성하는 체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바람직하게, 수평 외측(outward) 지지 프레임은 상기 세로벽 중 하나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배양 채널이다.
환자의 샘플에 대해 항체의 존재를 시험할 수 있는 각종 시험 시스템이 실험 진단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검출 방법은 그 특정한 항체와 결부되어 질병을 발생시킨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질병은 자기 항체의 형성 결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항체는 질병에 대한 반응으로, 예를 들어 병원성 바이러스의 침투에 대한 반응으로 형성된다. 그러한 질병의 예로는, 감염, 류마티스성 질환과 같은 염증 질병,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병, 및 신경성 질병을 포함한다.
진단과 관련된 항체의 검출은, 통상 스테이지 진단이라 부르는 기술에 의해 실행되며, 이때 고감도 스크리닝이 우선 실행된 후, 구체적인 확인이 이루어진다. 일상적인 혈청 시험에서, 스크리닝을 위해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많이 사용하는 한편, 확인 시험에서는 면역블롯 스트립, 특히 웨스턴 블롯, 도트 블롯, 또는 라인 블롯 스트립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한 시험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상당히 높고, 사용된 시약은 종종 고가이며, 구득하기가 힘들고 소량으로 이용 가능하므로, 각 시험을 실행할 때 이용하는 과정에 대한 단순화 및 최적화는 필수적이다. 특히, 사용하는 분석/진단 장비는, 가능한 한 적은 장애로써 간단한 병행 방법(parallel method)을 사용해서 고속 처리 규모로 많은 시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과정, 유지, 또는 세척 단계의 단순화, 임의의 최소 위험원까지 제거, 및 사용할 시약 양의 최소화는 사용자에게 상당한 절약을 가져 온다.
그러므로, 상기 시험 스트립이 다양한 조건하에서 각종 시약으로 시험을 실행할 때 배양되는 배양 채널에 대해 특별히 주목해야 한다.
그러한 시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배양 채널을 갖는 장치는, 시험 스트립 또는 다른 스트립 형태의 캐리어가 액체에서 배양되는 다른 기술 분야에서도 물론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트립은 pH 값 또는 무기 이온의 농도를 단순히 결정하기 위한 화학적 분석에서도 사용한다. 또한, 시험 스트립 또는 유사한 캐리어를 생산할 때, 그들을 액체에서 개별적으로 배양하는 것도 필요하다.
각종 분석 및 진단 시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배양 채널이 종래 기술에 기술되어 있다.
DE202012004404U1은 기다란 시험 스트립이 구비된 환자 샘플 시험용 장치의 배양 채널을 개시한다. 시험 스트립은 채널 베이스와 대향하는 그의 후면이 배양 채널 내에 삽입된다. 2개 이상의 배양 채널을 취급하기 위해, 랙에는 배양 채널 및/또는 2개 이상의 배양 채널 조립체를 삽입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 슬롯이 구비된다. 수용 슬롯을 갖는 랙에 의해 조립체를 고정하는 것 이외에, 배양 채널은 세로방향 일측 상에 체결 요소를 가질 수도 있으며,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스냅 또는 클립 연결부에 의해 추가의 배양 채널에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DE202012004404U1은 결합된 2개 이상의 배양 채널이 배양 트레이의 양 세로측면 상에서 체결 요소 및 지지 프레임의 조합을 통해서 랙과 독립적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개시하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DE202012004404U1에 기재된 배양 트레이 조립체는 랙과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없다. 랙의 수용 슬롯은 조립체를 고정 및 안정화하기 위해 필요하다. 한쪽 세로측면 상의 유지 요소만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는 경우, 적은 무게를 갖는 2개의 추가된 소형 배양 트레이 만을 제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나, 보다 큰 조립체를 랙과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는 없다.
DE202012004404U1에 개시된 배양 채널들 사이에는, 분사된 액체가 조립체를 통해 랙상에서 유동하도록 하는 간격이 있으며, 그 안에는 수용 슬롯이 포함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세척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거나, 수용 슬롯을 갖는 랙을 자주 교체해야 한다.
또한, DE202012004404U1는 시험 스트립을 구비할 수 있는 배양 채널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를 사용해서 스트립을 배양 채널의 베이스에 부착함으로써, 시험 스트립이 부유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는 가역 접착(reversible adhesion)의 경우에 수용액에서 장기간 배양시 스트립이 분리될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불용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시험후 스트립을 장치로부터 제거할 수 없고, 정보관리(documentation)를 위해 건식 상태로 저장될 수 없다.
다른 방안으로서, DE202012004404U1는 베이스 영역의 배양 채널에 대향하는 잠금 캐치(locking catches)를 제공할 수 있음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는 상대적으로 견고한 시험 스트립만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시험 스트립은 플라스틱 잠금 캐치를 결합하기에 충분한 저항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DE202012004404U1에 명확히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트립은 결합시에 손상될 위험이 있다. 잠금 캐치와 결합된 후 배양 채널을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으나, 어렵다.
끝으로, DE202012004404U1는 베이스 부근에 시험 스트립을 고정하기 위해 클립을 사용하는 것을 개시한다. 스트립을 클립하는 밀폐하는 기구로 인해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손상의 위험이 있다. 마지막으로, 체결구(clasp)은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 스트립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커버링과 새도우 형성으로 인해, 영상화 및 연속적인 자동 진단을 더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양 채널들이 서로 연결되고 단위체로서 랙과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유연하게 연결가능한 배양 채널을 갖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조립체가 떨어질 위험성이 종래 기술에 기재된 시스템과 비교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에 기재된 시스템보다 세척 및 유지하는 데 더 용이한 유연하고 연결가능한 배양 채널을 갖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시험 스트립의 배양을 가능케 하는 개선된 배양 채널을 제공하는 목적을 가지며, 수용액에서 배양시 모든 측면에서 커버되도록 시험 스트립이 베이스에 고정되나, 배양후에는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동시에, 배양 채널은 배양후 고품질의 스트립 영상을 만들 수 있어서, 진단을 위해 영상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판독하고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석 시약이 고가이고 생산하기 어려우므로, 시험 스트립에 대한 손상이 사실상 배제되도록 시험 스트립의 고정이 달성된다.
상기 및 다른 목적들은 본 출원의 주제에 의해서, 그리고 첨부한 독립항의 주제에 의해서 달성되며, 종속항으로부터 실시예가 도출된다.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적은 2개의 대향 가로벽, 오목부 및 베이스를 갖는 기다란 배양 채널에 의해 달성되며,
이 배양 채널은 후면 및 전면을 갖는 기다란 시험 스트립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시험 스트립은 상기 배양 채널의 베이스와 대향하는 그의 후면을 갖고, 그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분석 시약이 코팅되며,
상기 배양 채널을 하나 이상의 부가 배양 채널에 연결하여 배양 채널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는 체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수평 외측 지지 프레임은 상기 세로벽 중 하나 상에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오목부를 커버하지 않는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을 갖는 세로벽과, 상기 지지 프레임 자체, 및 다른 세로벽은 서로, 상기 조립체 내에서 상기 배양 채널의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부가 배양 채널의 다른 세로벽에 놓이도록 이루어져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적어도 상기 오목부까지 연장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세로벽 상에는,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체 내에서 그 위에 상기 지지 프레임이 놓이는 형태로, 프레임 노치가 배치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로축을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단부는, 이것이 부가 배양 트레이의 세로벽에 연결되어 그의 수직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배양 채널의 하나의 세로측면 상에 있는 돌출 요소와 상기 배양 채널의 다른 세로측면 상에 있는 수용 요소를 갖는 하나 이상의 유닛을 포함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의 상기 돌출 요소는 상기 지지 프레임과 동일한 상기 배양 채널의 세로측면 상에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여러 번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는 상기 부가 배양 채널과 상기 배양 채널 간의 연결을 허용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배양 채널의 각 단부에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세로측면 상의 돌출 요소와 그에 대응하는 다른 세로 측면 상의 수용 요소를 갖도록 이루어져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배양 채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지 않으나, 연장부는 각각 상기 체결 수단의 하나의 유닛을 수용하는 상기 배양 채널의 2개의 세로단부에 배치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연장부는 오목부를 갖는 연결 요소를 통해서 연결되는 헤드를 가지며,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레벨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양 채널의 세로축에 수직인 그의 하부에 배열되는 중공부까지 상승하게 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배양 채널의 하나의 세로측면 상에 있는 돌출 요소와 상기 배양 채널의 다른 세로측면 상에 있는 수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요소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갖는 세로벽은 상기 배양 채널의 하나의 세로측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요소와 다른 세로벽은 상기 배양 채널의 다른 세로측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 및 수용 요소는 서로, 다른 세로벽의 프레임 노치 상에 놓이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서, 상기 조립체 내의 2개 이상의 동일한 배양 채널의 위치가 상기 돌출 요소와 상기 수용 요소의 상호 결합에 의해서 고정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배양 채널의 하나의 세로측면 상에 있는 돌출 요소와 상기 배양 채널의 다른 세로측면 상에 있는 수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수단의 수용 요소는 상방으로, 및 세로 프레임의 다른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돌출 요소는 이것이 수용 요소의 베이스에 안착될 때까지 상방에서 상기 수용 요소 내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배양 채널의 하나의 세로측면 상에 있는 돌출 요소와 상기 배양 채널의 다른 세로측면 상에 있는 수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요소와 상기 수용 요소는 서로, 귀로 들을 수 있는 클릭 소리와 함께 연결부 상에서 상기 돌출 요소가 상기 수용 요소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3실시예에서, 2개의 대향 가로벽, 오목부 및 베이스를 갖는 기다란 배양 채널에 의해서 달성되며,
기다란 배양 채널은 후면 및 전면을 갖는 기다란 시험 스트립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스트립은 그의 후면을 통해 상기 배양 채널의 베이스와 대향하고, 그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분석 시약이 코팅되며,
상기 시험 스트립을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부근에 고정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유지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2개 이상의 유지 요소는 상기 세로벽으로부터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부근에서, 즉 바람직하게는 측면으로 및 하방으로 개방되는 노치를 갖는 돌기 요소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험 스트립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유지 요소를 상기 베이스 부근에 고정하는 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세로벽 앞에서 상기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종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상기 세로벽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유지 요소는 쌍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양 채널은 쌍으로 배열되는 4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6개 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8개 이상의 유지 요소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세로측면 상의 쌍으로 된 2개의 유지 요소는 상기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서로에 대해 대각선으로 편위되게(offset)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쌍으로 된 상기 2개의 유지 요소는 상기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같은 높이로 상기 2개의 세로측면 상에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 요소는 수직방향으로 경사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 요소는 수직방향으로 둥굴게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 요소는 샤프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 요소의 상기 세로축은 상기 배양 채널의 베이스에 의해 결정된 높이까지 수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 요소의 상기 세로축은 상기 배양 채널의 세로축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 요소는 상기 배양 채널의 세로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유지 요소는 상기 오목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내에 위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양 채널의 상기 베이스에 대향하는 상기 유지 요소의 2개 이상의 발(feet) 위에 안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양 채널은 시험 스트립을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인출될 수 있게 상기 오목부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양 트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3개의 배양 트레이 조립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양 채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배양 채널에 의해 2개의 유지 요소를 쌍으로 배열하는 다양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체결 수단으로서 돌출 요소 및 수용 요소로 이루어진 다양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유지 요소 프레임 형태로 유지 요소를 배양 채널에 삽입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양 채널은 하나 이상의 부가 배양 채널을 갖는 배양 채널을 배양 채널 조립체로 결합하는 데 적합한 체결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조립체 형태에서 배양 채널은 단위체로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양 채널은 조립체에서 개별 채널 각각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비어 있거나 세척된 하나의 장치에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조립체는 2개 이상 및 3, 4, 5, 10, 12, 15, 20, 24, 36 또는 50개 이상의 배양 채널을 포함한다. 배양 채널의 수는 조립체 및 개별 채널에 배치된 샘플을 처리하는 장치의 수용 용량에 의해 본질적으로 제한된다. 마찬가지로, 배양 채널의 수는 조립체가 충분히 안정되고 너무 무겁지 않아야 하는 요건에 의해서도 제한된다.
조립체는 본질적으로 또는 사실상 동일한 배양 채널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배양 채널의 접촉 표면만이고, 이때 배양 채널은 본 발명에서 하나의 벽의 지지 프레임과 같은 체결 수단 및 기타 관련 요소가 조립체에서 각각 다음 배양 채널과의 결합을 허용하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그들의 함량, 라벨링, 폭 등과 같은 개별적인 배양 채널의 기타 특성은 변경될 수 있다. 분석 또는 진단을 위해, 그들이 같은 방법 또는 심지어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될지라도, 배양 채널 각각이 특정한 실험 또는 환자에 대해 그안에 포함된 샘플을 배정하는 라벨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체결 수단으로는, 서로 삽입되고 배양 채널들 간의 연결부를 결합하고 형성하는 돌출 요소 및 수용 요소(종래 기술에서 "수(male)" 또는 "암(female)" 부분)를 예시한다. 돌출 요소는 배양 채널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단부상에 또는 그 단부 부근에서 배양 채널에 대향하는 단부보다 더 넓은 크기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수용 요소는 세로 채널의 외측 방향을 따라서, 돌출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로 양쪽이 개방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결합시 2개의 요소가 배타적인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없으나, 수직 부품을 들어올리거나 비틀어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 요소는 위로부터 수용 요소에 삽입되며, 돌출 요소의 최종 수직 위치는, 돌출 요소를 맞물려 안착되는 수용 요소의 베이스에 의해 결정된다. 예시된 체결 수단은 종래 기술, 예를 들어 도브테일(dovetail) 연결부라 부르는 연결부에 대한 각종 변형으로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도브테일 연결부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배양 채널들 간의 조립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연결부는 설치 후에, 다시 분리될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배양 채널은 체결 수단을 가지며, 배양 트레이는 추가 배양 트레이와 한번만 결합될 수 있게 한다. 그것은 예를 들어, 돌출 요소에서 설정된 파손 지점이 돌출 요소와 결부되는 반면에, 후자가 수용 요소에 단단히 결합되고 보통의 강도를 사용해서 분리될 수 없도록 하여 달성할 수 있다. 체결 수단을 파괴해서 연결부를 분리하는 것만이 가능하다.
체결 수단에 대한 바람직한 변형은, 곧은 테두리(edge)를 갖는 도브테일 연결부이다. 이때,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양 채널과 대향하는 돌출 요소의 테두리는 기다란 배양 채널의 세로축에 수직이다. 이것의 장점은 수직의 비틀림 이동을 이용하여 트레이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조립체를 형성하거나 다시 서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종래의 도브테일 연결부와 비교해서 배양 채널을 조립체로부터 더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체의 모든 배양 채널은 상보성 요소와 같은 체결 수단을 갖는다. 그러나, 각종 배양 채널은, 예를 들어 2종류의 배양 채널을 교대로 사용하는 대형 조립체 내의 각종 배양 채널의 배열 또는 패턴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양립하지 않거나, 소정의 결합에서만 양립하는 체결 수단을 갖는 조립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형태는 도브테일 연결부를 예로 하는 제 1체결 수단의 수용 요소의 일측 상에, 그리고 제 2체결 수단의 돌출 요소의 타측 상에 배양 채널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볼 조인트와 유사하다. 그러므로, A 형태의 배양 채널은 A 형태의 부가 배양 채널에 직접 연결될 수 없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시험 스트립"은 일반적인 용제, 특히 수용액 기반의 용제에 대해 충분히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기다란 캐리어를 의미하며, 바람직한 화학 반응, 특히 분석 과정, 및 연구 진단 과정에 적합한 시약으로 코팅된다. 예를 들어, 그것은 항원을 갖는 니트로셀룰로오스 스트립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기다란(elongated)"은 긴 측 대 짧은 측의 길이비가 증가하는 순서로 적어도 1.5:1, 2:1, 3:1, 4:1, 5:1, 7.5:1, 10:1, 15:1 또는 20:1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코팅된(coated)"은 시약이 스트립의 앞측과 접촉하는 액체를 시약과도 접촉하게 하는 방법으로 시험 스트립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약은 그 앞측의 표면에 블롯되거나(blotted), 시험 스트립이 각 위치에 있는 시약의 농도를 본질적으로 일정해지도록 한다. 적합한 시험 스트립은 종래 기술에서 기재하고, 시판중인 예를 들어 EUROIMMUN, Lu .. beckL에 의한 Line Blots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분석 시약"은 시험할 샘플 또는 다른 수용액에 포함된 분해 물질과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반응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 반응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시약은 항원, 특히 에피토프 함유 폴리펩티드일 수 있고, 묶음으로 시험되는 샘플로부터 항체, 바람직하게는 자기 항체가 검출된 후, 최종 항원-항체 복합체는 추가적인 효소 결합 항체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분석 시약은 소정의 pH 값을 갖는 용액에 노출시 특정한 표시색을 띄는 예를 들어 pH-종속(dependent) 염료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배양 채널"은 베이스, 2개의 세로벽, 및 2개의 가로벽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기밀 용기를 의미한다. 배양 용기는 시험 스트립을 유지하기 위해 기다란 형태로 이루어진다. 사각형 형태를 갖는 배양 트레이에서, 가로벽 대 세로벽의 길이비는 적어도 1:2 이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1:3, 1:4, 1:5, 1:6, 1:7, 1:8, 1:9 또는 1:10이다. 배양 트레이는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수용액에 저항성을 갖는 물질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양 트레이에는 시험 스트립이 구비되고, 배양 트레이는 패키지에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험 스트립 이외에, 배양 채널은 액체를 포함한다. 이 액체는 시험할 샘플, 세척 용액 또는 화학 시약을 함유하는 용액, 방부제, 분석 물질일 수 있다.
배양 채널은 화학 시약에 필요한 시약, 특히 분석 또는 진단 시험에서 사용된 시약을 손으로 삽입하고 제거함으로써, 완전 수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배양 채널 또는 조립체는, 가능하다면 기술 요원을 상주시키지 않고, 전자동 작동으로 다수의 단계 및 이상적인 모든 단계를 실행하는 장치에 배치된다. 그러한 장치는 완전히 처리된 시험 스트립의 적합한 영상을 이상적으로 만들 수 있음과 아울러, 적합한 완충액 및 시약의 삽입 및 흡입뿐만 아니라, 저장하기 위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시험 스트립을 커버하는데 필요한 액체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배양 채널은 원뿔형이다.
배양 채널은 적어도 하나 및 바람직하게는 2개의 세로 단부상에 연장부를 갖는다. 이는 배양 채널의 세로 단부 방향으로 액체의 분사에 대해 보호하는 장점을 갖는다. 연장부, 특히 그것의 헤드는, 체결 수단 요소의 위치결정에 대해 바람직한 시작점이다. 장치, 또는 운반 또는 배양 트레이에서 배양 채널을 지지하기 위해, 대응하는 적합한 높이를 갖는 연결 요소 하부의 중공부를 사용할 수 있다. 조립체의 배양 채널은 장치 또는 트레이내에서 정위치에 고정되고, 조립체의 배양 채널이 피봇되거나 흔들리는 경우에 자리를 벗어나 미끄러질 수 없다.
선택적으로, 조립체의 배양 채널은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조립체 전체를 커버하는 연속 막, 또는 배양 채널 형태로 재단된 개별적인 커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양 채널은 가로벽들 중 하나에 부착된 외부의 지지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시험 스트립의 광학 관찰 또는 영상화를 어렵게 하지 않도록 오목부를 커버하지 않는 상기 지지 프레임은, 조립체 위에 놓이고 배양 채널의 세로축에 가로로 간격 없이 커버를 형성하도록 조립체내의 부가 배양 벽의 세로벽에 맞게 바람직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조립체로 떨어지는 액체는 프레임 또는 오목부를 타격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이 놓이는 세로벽은 상기 프레임의 형상에 맞는 프레임 노치를 갖는다. 체결 수단의 일부가 아니라 체결 수단과 유사하게, 지지 프레임은 돌출 요소로서 기능하고, 프레임 노치는 수용 요소로서 기능한다. 지지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도의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05도의 각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도의 각도,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90도, 즉 베이스로부터 수직 외측으로 연장되는 세로벽에 대해 수평이다. 원뿔 세로벽의 경우에, 상기 각도는 같은 수직 위치에서 수직 세로벽에 대응해서 측정되고, 외부 프레임에 연결된다. 이는 부가 배양 벽의 세로축 벽 상에서 조립체에 놓이도록 외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지 프레임은 적어도 오목부까지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연장된다. 이는 횡으로 분사된 액체가 조립체의 배양 채널들 사이로 흐르지 않도록 한다. 지지 프레임은 배양 채널의 베이스와 평행하게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의 하측은, 그것이 조립체의 다음 배양 채널의 다른 세로벽에 평행하게 놓이도록 구성되나, 경사진 지붕과 같이 경사진 그 상부 표면에 의해 분사된 액체가 오목부로 되돌아 흐른다.
지지 프레임은 그것이 놓이는 세로벽의 수직 연장부를 형성한다. 이는 그 벽이 수직벽의 경우에 오목부의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각도, 예를 들어 90도, 및 그 세로벽이 오목부의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각도에 대응하여, 상응하게 구성된 배양 채널에서 90도 이상의 각도로 벽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배양 트레이는 화학 및 생물학적 반응, 특히 연구 진단 절차를 실행하는 배양 채널에서, 다음 스트립을 알맞게 위치결정하는 데 적합한 2개 이상의 유지 요소를 포함한다. 이때, 우리는 영상의 관찰을 방해하는 시험 스트립의 회전 오버뿐만 아니라 시약을 포함한 액체로부터 스트립의 적어도 일측이 건조되도록 하고, 회전 어웨이되도록 하는 시험 스트립의 유동을 특히 방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목적은 하나 이상의 세로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배양 채널내의 유지 요소에 의해 달성되고, 배양 채널의 2개의 가로벽은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를 각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유지 요소는 베이스 부근에서 세로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요소로 구성된다. 이 돌기요소는 시험 스트립의 이동을 소정의 범위로 제한하기 위해, 특히 대향 세로벽 상에 위치되는 부가 유지 요소와 조합하여, 적합한 오목부의 내부로 약간 돌출된다. 시험을 실행시, 스트립이 충분히 커버되도록 배양 채널 내에 액체를 충분히 쏟아 놓는다. 배양 채널의 피봇을 허용하는 적합한 배열에 의해 액체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액체는 하나의 세로 단부에서 그 나머지 세로 단부 및 뒤로 흐른다. 그러한 배열은 종래 기술, 예를 들어, EP08169465.5 또는 EP 2191893에 기재되어 있다.
유지 요소는 그 하부에 시험 스트립을 위한 공간이 있고, 배양 채널의 이동시 내부에 함유된 주변 액체 및 시약에 최적의 노출을 제공하기 위해 약간의 상하 이동이 발생하도록 하기에 매우 충분한 돌기 요소의 하부에 노치를 가지며, 이는 세로축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스트립 및 배양 채널의 폭에 따라,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노치는 세로벽 앞에서 종결된다. 역으로, 노치는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세로벽에 도달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즉, 노치는 돌기 요소가 돌출되는 세로벽들 간의 길이 전체와 배양 채널 내부의 돌기 요소의 단부를 포함한다. 시험 스트립이 이러한 형태의 유지 요소에 의해 양측에 위치되는 경우에, 스트립은 배양 채널의 폭 전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나, 돌출부에 의해 유동 또는 회전이 방지 된다.
유지 요소의 돌기 요소 길이에 대해, 그것이 어떤 경우에 길이방향 반대쪽으로 연장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바람직하게, 베이스 상의 배양 채널의 가로축을 따라 돌기 요소의 길이는 75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에서 배양 채널의 폭의 50, 45, 40, 30, 25 또는 20% 미만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험 스트립이 배양 채널의 중간부에 놓이고, 배양 채널의 폭은 배양 트레이의 폭의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매우 바람직하게는 70%이며, 시험 스트립이 유지 요소의 돌출부에 의해 그 폭의 최대 30%를 커버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지 요소는 그들이 쌍으로 배열되는 경우, 시험 스트립을 매우 효율적으로 위치결정시킨다. 이는, 2개의 유지 요소의 공간 접근성이 함께 알맞은 위치에 있음을 보여주도록, 2개의 유지 요소가 다른 요소에 대해 대향 세로축 상의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그 2개의 유지 요소가 배열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때, 한 쌍의 2개의 유지 요소가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또는 배양 채널의 세로축과 같은 높이를 따라 2개의 세로측면 상에 서로에 대해 대각선으로 편위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한 쌍의 2개의 유지 요소 간의 거리는, 배양 채널의 오목부 길이의 최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이다. 유지 요소는 배양 트레이의 양측면 상에 세로축을 따라 교대하는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그 유지 요소는 문자 L과 같은 수평 미러 영상의 형태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유지 요소는 수직방향으로 경사지고 둥글게 형성되거나, 불연속 샤프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새도우 형성 영역을 감소시킨다. 시험 스트립 상의 감소된 새도우 형성은 보다 바람직한 광학 접근능력을 제공하여, 영상 화질의 개선된 인식능력을 제공한다. 수직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둥글게 형성된 구성은, 유지 요소의 안정성과 새도우 형성의 최소화 간에 이로운 타협을 형성한다. 유지 요소는 베이스 부근에서 시험 스트립을 고정하는 데 적합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치는 배양 채널의 오목부 높이의 아래로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5%이다.
배양 채널 및 유지 요소는 하나의 조각으로 제조된다. 유지 요소는 배양 채널의 가로벽으로부터 직접 돌출된다. 대안으로서, 유지 요소는 배양 채널로부터 분리된 유지 요소 프레임 형태로 만들어진다. 유지 요소 프레임은 하나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유지 요소 프레임 발에 의해 배양 채널의 베이스를 배양 트레이의 베이스로부터 유지 요소 프레임의 거리를 결정하는 유지 요소 프레임 발과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유지 요소 프레임의 형태 또는 크기는 원뿔형 배양 채널의 경우에 가로벽 상에 직접 놓여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지 요소 프레임은 가로벽의 상단 부근에서 오목부보다 좁으나, 배양 채널의 베이스보다는 넓게 구성된다. 유지 요소 프레임은 배양 채널의 오목부 높이의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레벨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유지 요소 프레임 자체의 무게가 충분치 않으면, 부가 중량체를 추가하여 더 무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정은 특정된 순서는 아니나, 하나 이상의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a) 본 발명에 따르는 시험 스트립을 포함하는 배양 채널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샘플 재료가 시험 스트립과 접촉하도록 블롯 트레이 내의 액체, 바람직하게는 수용액에 샘플 재료를 추가하는 단계와,
c) 샘플 재료의 존재하에 시험 스트립을 배양하는 단계와,
d) 샘플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와,
e) 시험 스트립을 세척하는 단계와,
f) 하나 이상의 화학 시약을 추가하고 단계d)로부터 시험 스트립을 배양하는 단계와,
g) 같거나 다른 화학 시약으로 단계f)를 적어도 한번 선택적으로 반복하는 단계와,
h) 시험 스트립을 선택적으로 세척하는 단계와,
i) 시험 스트립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와,
j) 시험 스트립을 선택적으로 분석하는 단계와,
k) 선택적으로 건조시키고, 필요하다면 시험 스트립을 보관하는 단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에 기재하는 실시예는 모든 관점에서 단지 하나의 예일 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주어진 특성의 다양한 조합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로벽((3 및 2), 후자는 지지 프레임(6)의 하부에 있어서 볼 수 없다) 및 오목부(4)를 갖는 배양 채널(1)의 평면도이며, 시약(15)을 가진 시험 스트립(14)이 베이스(5)상에 위치되고, 그 스트립은 유지 요소(16)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다. 세로방향 일측은 지지 프레임(6)을 가지며, 타측은 적합한 지지 프레임 상에 프레임 노치(8)를 갖는다. 여기에는 체결 수단의 돌출 요소(9) 및 수용 요소(10)도 도시되어 있다.
도 1b의 측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세로단은 돌출 요소(9) 및 수용 요소(10)를 갖는 헤드(11)를 구비한다. 헤드는 연결 요소(12)를 통해서 배양 트레이의 다른 부품에 연결되고, 하부에는 중공부(13)를 갖는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르는 3개의 동일한 배양 트레이 조립체를 도시한다. 조립체는 프레임 노치(8)로 들어가는 지지 프레임(6)에 의해, 그리로 수용 요소(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출 요소(9)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다.
도 2b는 지지 프레임(6)이 특히 원뿔형 배양 채널에서 배양 트레이들 간의 간격을 밀폐하여 봉인하는 방법으로 조립체 내에서 인접한 배양 트레이의 프레임 노치(8)에 어떻게 맞춰지는 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2c는 돌출 요소(9) 및 수용 요소(10)가 조립체 내에서 어떻게 결합되는 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a의 배양 채널에 대응하는 도 3a의 배양 채널을 비롯해서, 유지 요소(6)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르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모든 유지 요소의 특징은 세로벽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세로벽 방향을 따르는 돌기 요소(20)이고, 그 하부에 노치(21)가 배치된다. 돌기 요소는 배양 채널의 대향 세로측면 상에서 구성 유지 요소쌍을 통해서 그 하부에서 시약(15)이 삽입되는 시험 스트립(14)의 수직 방향의 위치를 제한한다. 이러한 식으로, 시험 스트립은 돌기 요소의 하부 테두리에 대응하는 베이스의 최대 높이로 유지된다. 수평 방향의 그의 위치는, 유지 요소의 노치(21) 형태에 의해 제한된다.
도 3b1, 3c1, 3d1, 3e1 및 3f1 또는 3b2, 3c2, 3d2, 3e2 및 3f2는 유지 요소, 특히 수직방향으로 경사진 돌기 요소(도 3c1 및 도 3c2에 도시), 수직으로 둥글게 형성된 돌기 요소(도 3d1 및 도 3d2에 도시),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노치를 세로벽 앞에서 종결시키는 유지 요소(도 3b2 및 도 3c2에 도시), 및 후자의 유지 요소와 대조적으로 그 노치를 세로벽까지 연장시키는 유지 요소(도 3e2 및 도 3f2에 도시)에 대한 다양한 변형을 배양 채널의 세로축 또는 가로축을 따라 횡단면으로 도시한다. 후자의 경우에, 수평 방향의 시험 스트립의 위치는 2개의 가로벽에 의해 배타적으로 제한된다. 도 3f1 및 도 3f2는 샤프트 형태로 이루어진 유지 요소를 도시한다.
도 4는 위에서 볼 수 있는 배양 채널에 의해 대향 세로측면 상에 2개의 유지 요소를 쌍으로 배열하는 여러 가능한 경우를 도시하고,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 1a 및 도 3a를 확대해서 변형시킨 도면이다. 도 4a에서, 2개의 유지 요소쌍은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동일 높이로 2개의 세로측면을 따르도록 구성된다. 도 4b에서, 2개의 유지 요소쌍이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서로에 대해 대각선으로 편위된 2개의 세로측면 상에 배열된다. 단지 비교를 위해,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며, 그 2개의 유지 요소는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같은 높이로 2개의 세로측면 상에 배열되고, 시험 스트립을 커버하도록 체결구 형태로 연결된다.
도 5는 체결 수단으로서 돌출 요소(9) 및 수용 요소(10)로 이루어진 다양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5a는 도브테일 연결부라 부르는 연결부를 도시한다. 도 5b는 직선 테두리를 갖는 도브테일 연결부를 도시한다. 도 5c는 스탬프 형태의 돌출 요소를 갖는 체결 수단을 도시한다. 도 5d는 돌출 요소를 원형으로 또는 볼 조인트 형태의 3차원적으로 구성한 체결 수단을 도시한다.
도 6은 유지 요소 프레임(18) 형태로 유지 요소를 배양 채널에 삽입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유지 요소 프레임(18)은 지지 프레임(19)의 1개 이상의 피트 위에 선택적으로 위치결정된다. 도 6a는 유지 요소 프레임과 함께 배양 채널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하나의 유지 요소 프레임이고, 도 6c는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횡단면으로 유지 요소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고, 도 6d1은 유지 요소가 있는 경우의 배양 채널의 지지 프레임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 6d2는 유지 요소가 없는 경우의 횡단면도이고, 도 6d3은 유지 요소의 발에 의해 세로단 위에 있는 지지 프레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1: 기다란 배양 채널, 2 및 2: 가로벽, 4: 오목보, 5: 베이스, 6: 지지 프레임, 8: 프레임 노치, 9: 돌출 요소, 10: 수용 요소, 11: 헤드, 12: 연결 요소, 13: 중공부, 14: 시험 스트립, 15: 시약, 16: 유지 요소, 17: 조립체, 18: 유지 요소 프레임, 19: 지지 프레임의 발, 20: 돌기 요소, 21: 노치

Claims (15)

  1. 2개의 대향 가로벽, 오목부 및 베이스를 갖는 기다란 배양 채널로,
    후면 및 전면을 갖는 기다란 시험 스트립을 구비하고,
    상기 시험 스트립은 상기 배양 채널의 베이스와 대향하는 그의 후면을 갖고, 그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분석 시약이 코팅되며,
    상기 배양 채널을 하나 이상의 부가 배양 채널에 연결하여 배양 채널 조립체를 형성하는 체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수평 외측(outward) 지지 프레임은 상기 세로벽 중 하나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배양 채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오목부를 커버하지 않는 배양 채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 프레임을 갖는 세로벽과, 상기 지지 프레임 자체, 및 다른 세로벽은 서로, 상기 조립체 내에서 상기 배양 채널의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부가 배양 채널의 다른 세로벽에 놓이도록 이루어져 있는 배양 채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배양 채널의 세로축을 따라 적어도 상기 오목부까지 연장되는 배양 채널.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세로벽 상에는,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체 내에서 그 위에 상기 지지 프레임이 놓이는 형태로, 프레임 노치가 배치되는 배양 채널.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축을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단부는, 이것이 부가 배양 트레이의 세로벽에 연결되어 그의 수직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배양 채널.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배양 채널의 하나의 세로측면 상에 있는 돌출 요소와 상기 배양 채널의 다른 세로측면 상에 있는 수용 요소를 갖는 하나 이상의 유닛을 포함하는 배양 채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의 상기 돌출 요소는 상기 지지 프레임과 동일한 상기 배양 채널의 세로측면 상에 있는 배양 채널.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여러 번 연결 및 분리되도록 상기 부가 배양 채널과 상기 배양 채널 간의 연결을 허용하는 배양 채널.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수단은 상기 배양 채널의 각 단부에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세로측면 상의 돌출 요소와 그에 대응하는 다른 세로 측면 상의 수용 요소를 갖도록 이루어져 있는 배양 채널.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배양 채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지 않으나, 연장부는 각각 상기 체결 수단의 하나의 유닛을 수용하는 상기 배양 채널의 2개의 세로단부에 배치되는 배양 채널.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연장부는 오목부를 갖는 연결 요소를 통해서 연결되는 헤드를 가지며,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레벨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양 채널의 세로축에 수직인 그의 하부에 배열되는 중공부까지 상승하게 되는 배양 채널.
  13. 제 7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하나의 세로측면 상에 있는 돌출 요소와 다른 세로측면 상에 있는 수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요소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갖는 세로벽은 상기 배양 채널의 하나의 세로측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요소와 다른 세로벽은 상기 배양 채널의 다른 세로측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 및 수용 요소는 서로, 다른 세로벽의 프레임 노치 상에 놓이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서, 상기 조립체 내의 2개 이상의 동일한 배양 채널의 위치가 상기 돌출 요소와 상기 수용 요소의 상호 결합에 의해서 고정되는 배양 채널.
  14. 제 10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하나의 세로측면 상에 있는 돌출 요소와 다른 세로측면 상에 있는 수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수단의 수용 요소는 상방으로, 및 세로 프레임의 다른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돌출 요소는 이것이 수용 요소의 베이스에 안착될 때까지 상방에서 상기 수용 요소 내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배양 채널.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배양 채널의 하나의 세로측면 상에 있는 돌출 요소와 상기 배양 채널의 다른 세로측면 상에 있는 수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요소와 상기 수용 요소는 서로, 귀로 들을 수 있는 클릭 소리와 함께 연결부 상에서 상기 돌출 요소가 상기 수용 요소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배양 채널.
KR1020150165367A 2014-11-26 2015-11-25 배양 트레이 KR102026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003971.0 2014-11-26
EP14003971.0A EP3025780B1 (de) 2014-11-26 2014-11-26 Inkubationswan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267A true KR20160063267A (ko) 2016-06-03
KR102026854B1 KR102026854B1 (ko) 2019-09-30

Family

ID=5200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367A KR102026854B1 (ko) 2014-11-26 2015-11-25 배양 트레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025780B1 (ko)
KR (1) KR102026854B1 (ko)
CN (2) CN205581116U (ko)
ES (1) ES2682719T3 (ko)
HK (2) HK1209958A2 (ko)
PL (1) PL3025780T3 (ko)
TR (1) TR201811583T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025780T3 (pl) * 2014-11-26 2018-11-30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Rynienka inkubacyjna
EP3539661A1 (de) 2018-03-12 2019-09-18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Inkubationsrinne sowie inkubationswanne mit mehreren inkubationsrinnen
EP3667322A1 (en) 2018-12-14 2020-06-17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Serological detection of plasmodium antibodies
BR102020000922A2 (pt) 2019-01-24 2021-11-30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Detecção sorológica de anticorpos de plasmodium
KR20200146018A (ko) 2019-06-19 2020-12-31 유로이뮨 메디지니쉐 라보디아그노스티카 아게 해산물 알레르기의 진단 방법 및 제품
DE20175031T1 (de) 2020-05-15 2021-09-09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Wirksamkeit eines SARS-CoV-2 Impfstoffs
EP4057009A1 (en) 2021-03-08 2022-09-14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Methods and reagents for detecting an antibody to a sesame nsltp
CN113125739B (zh) * 2021-04-16 2022-07-26 杭州浙大迪迅生物基因工程有限公司 一种荧光芯片定量检测试剂盒
EP4134674A1 (en) 2021-08-13 2023-02-15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Methods and reagents for detecting an antibody to a ses ipr-10 allerg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4738A1 (en) * 2007-10-24 2009-11-19 Felix Dirla Tray-shaped container for test objects to be optically analyzed and product device therefore
US20130280698A1 (en) * 2012-04-24 2013-10-24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For And On Behalf Of Northern Arizona University Rapid multiplex lateral flow assay device
US20140186971A1 (en) * 2012-05-03 2014-07-03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Testkit for Laboratory Diagnostic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38354A1 (en) * 1998-09-23 2003-07-24 Stephen Peter Fitzgerald Assay devices
AU2008100675A4 (en) * 2008-07-23 2008-08-28 Pak Leong Lim Portable shaker and method for performing assays
EP2191893B1 (de) 2008-11-19 2019-03-06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Analyseverfahren und Vorrichtungen für biologische Reaktionen zwischen einer flüssigen und einer festen Phase
WO2012122301A2 (en) * 2011-03-07 2012-09-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odular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for microtubes
DE202011106093U1 (de) * 2011-09-24 2011-10-19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Kalibrationsstreifen für einen Immunoblot
PL3025780T3 (pl) * 2014-11-26 2018-11-30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Rynienka inkubacyjn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4738A1 (en) * 2007-10-24 2009-11-19 Felix Dirla Tray-shaped container for test objects to be optically analyzed and product device therefore
US20130280698A1 (en) * 2012-04-24 2013-10-24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For And On Behalf Of Northern Arizona University Rapid multiplex lateral flow assay device
US20140186971A1 (en) * 2012-05-03 2014-07-03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Testkit for Laboratory Diagno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19307A1 (zh) 2017-03-31
ES2682719T3 (es) 2018-09-21
HK1209958A2 (en) 2016-04-08
CN105628915B (zh) 2020-03-03
EP3025780B1 (de) 2018-06-06
TR201811583T4 (tr) 2018-09-21
EP3025780A1 (de) 2016-06-01
KR102026854B1 (ko) 2019-09-30
CN205581116U (zh) 2016-09-14
PL3025780T3 (pl) 2018-11-30
CN105628915A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3268A (ko) 배양 트레이
KR20160063267A (ko) 배양 트레이
KR100858198B1 (ko) 유체 시료로부터 분리된 입자성 물질의 단층을자동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018588B2 (en) Multiwell test apparatus
US20130287651A1 (en) Tapered cuvette and method of collecting magnetic particles
US8802037B2 (en) Sample well strip
BRPI0722175A2 (pt) Método e aparelho para monitorar a formação de coágulo de fibrina espacial
US7282362B2 (en) Tray with protrusions
CN110252432B (zh) 培养槽以及具有多个培养槽的培养盘
CN109475869A (zh) 液体分析试剂分配设备及其相关的分析套件和使用方法
KR102299215B1 (ko) 고상과 액상 간의 반응을 위한 향상된 장치 및 방법
AU2002335887A1 (en) Sample well strip
CN103599817A (zh) 免疫学化验系统和方法
BR102022002500A2 (pt) Dispositivo para prender respectivos elementos de membrana em respectivas cavidades de uma placa de múltiplos poç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