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085A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085A
KR20160063085A KR1020140166640A KR20140166640A KR20160063085A KR 20160063085 A KR20160063085 A KR 20160063085A KR 1020140166640 A KR1020140166640 A KR 1020140166640A KR 20140166640 A KR20140166640 A KR 20140166640A KR 20160063085 A KR20160063085 A KR 20160063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sliding
guide
stopp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161B1 (ko
Inventor
김기준
이원희
조상기
김권진
박윤석
최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161B1/ko
Priority to BR112017009704-4A priority patent/BR112017009704B1/pt
Priority to PCT/KR2015/010878 priority patent/WO2016085118A1/en
Priority to AU2015354430A priority patent/AU2015354430B2/en
Priority to RU2017122145A priority patent/RU2676354C2/ru
Priority to EP15862900.6A priority patent/EP3201537B1/en
Priority to US14/946,969 priority patent/US10101058B2/en
Priority to CN201510844194.8A priority patent/CN105650847B/zh
Publication of KR20160063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24H8/006Means for removing condensate from the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공기조화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조화장치는 내측에 열교환기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장탈착 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및 상기 물수거통을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장착 및 탈착함에 따라 상기 물수거통의 일부에 간섭되면서 상기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물수거통의 일부에 간섭되는 돌출 길이를 축소하기 위해 상기 배수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내측에 매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ING EQUIPMENT}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냉매사이클을 이용하여 가습, 제습, 냉방 및 난방을 수행하는 장치로 우리 생활의 전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 중 제습은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기체상태의 수증기를 액체상태의 물로 상변화시켜 공기 중의 수분함유량을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쾌적한 실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습한 여름에는 제습기의 사용빈도가 더욱 높아진다. 이렇게 최근 제습기의 사용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응축된 물을 보관하는 물수거통의 용량이 부족하여 사용자가 물수거통에 담수된 물을 자주 비워주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물수거통에 담수된 물을 비우기 위해 공기조화장치로부터 물수거통을 제거하는 순간, 공기조화장치의 내부에 남아있던 잔여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일일이 닦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아울러, 사용자가 공기조화장치로부터 물수거통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공기조화장치의 높이에 맞추어 앉은 다음, 양손으로 물수거통에 외력을 가해 후크결합을 해제하여야 했는바, 사용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장치의 내부에 형성된 응축수가 물수거통으로 흐르는 배수구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를 공기조화장치의 내부에 배치하여 물수거통에 담수되는 담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를 응축수로부터 차단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번의 동작만으로 공기조화장치로부터 물수거통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열교환기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장탈착 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및 상기 물수거통을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장착 및 탈착함에 따라 상기 물수거통의 일부에 간섭되면서 상기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물수거통의 일부에 간섭되는 돌출 길이를 축소하기 위해 상기 배수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내측에 매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수구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씰링부재; 상기 씰링부재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마개부재; 및 상기 마개부재를 감싸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응축수를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는 배수로와 만나는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마개부재와 상기 덮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마개부재를 중력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개부재는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마개부재와 면 접촉을 하기 위해 상기 마개부재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에 후크결합 및 나사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덮개의 내면에는 상기 마개부재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수거통은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수된 응축수를 유입하는 유입구;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 시 상기 밸브부를 간섭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수거통은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면의 일부분에 상기 밸브부의 하부에 존재하는 응축수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물수거통을 제거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마개부재와 정렬되는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물수거통이 탈착된 경우 기 설정된 응축수의 수위를 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보조 배수구; 및 상기 보조 배수구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담수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수거통이 장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이 상기 하우징에 장탈착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판넬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가이드판넬과 슬라이딩을 시작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에 외력을 가해주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넬은 상기 슬라이딩부와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면;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경우 상기 케이싱이 상기 슬라이딩부와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판넬은 상기 케이싱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가이드판넬을 슬라이딩하는 제1 및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더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에 가해진 외력을 상기 슬라이딩부로 전달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기조화장치는 내측에 열교환기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및 상기 밸브부는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내측에 매입 배치되고, 상기 물수거통을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장착 및 탈착 시 상기 물수거통에 간섭되면서 상기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마개부재를 갖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배수구에 걸친 상태로 만곡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개부재는 구체 또는 반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수거통 및 물수거통이 장착된 하부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물수거통 및 하부케이스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Ⅱ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에서 물수거통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표시된 Ⅲ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에 표시된 Ⅰ부분을 상면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버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하부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Ⅳ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4에 표시된 Ⅱ부분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에서 물수거통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4에 표시된 Ⅱ부분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에서 물수거통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4에 표시된 Ⅱ부분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에서 물수거통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4에 표시된 Ⅱ부분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에서 물수거통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에서 후방커버를 분리한 후면도이다.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표시된 Ⅴ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8은 도 23에 표시된 Ⅵ부분의 변화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9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에서 담수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에서 담수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담수부에서 물수거통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1)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하우징부(100), 담수부(200) 및 밸브부(30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0)는 내부에 콤프레서, 열교환기 및 전장물을 구비하고, 공기조화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하부케이스(110), 상부케이스(120) 및 후방커버(130)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110)에는 공기조화장치(1)를 제어하는 전장물이 배치되며,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가 흐르는 배수로(112)가 형성된다. 또한, 배수로(112)의 일부분에는 응축수가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111)가 형성된다.
상부케이스(120)는 하부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콤프레서, 열교환기 및 전장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후방커버(130)는 공기조화장치(1)의 후방에 장착되어 공기조화장치(1)의 외관을 형성한다.
담수부(200)는 하우징부(100)에 결합되며, 물수거통(210) 및 케이싱(220)을 포함한다. 담수부(200)는 하우징부(100) 후크결합에 의해 고정되며, 분리시 사용자는 담부수(200)의 분리방향으로 외력을 가해 담수부(200)를 분리한다. 다만, 이러한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담수부(200)를 하우징부(100)로부터 분리하는 다른 방법도 적용이 가능한바 이는 후술한다.
물수거통(210)은 케이싱(220)의 상부에 장착된 채로 케이싱(220)과 함께 하부케이스(110)에 결합되며, 공기조화장치(1)의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를 모은다. 이러한 물수거통(210)은 유입구(211), 가이드부(212), 경사부(213) 및 회피홈(214)를 포함한다.
또한, 물수거통(210)은 사용자가 담수된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수거통(210)이 케이싱(220)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수거통(210)에 담수된 물의 높이가 케이싱(220)의 높이보다 높아지면, 사용자는 물수거통(210)의 투명한 부분을 통해 담수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수거통(210)에 담수된 물을 비워야 하는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유입구(211)는 배수구(111)에 대응되는 상면(215)의 부분에 형성되며, 물수거통(210)의 상면(215)에 대해 경사부(213)를 따라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유입구(211)는 가이드부(212)의 양측으로 두 개가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거 하나 또는 세 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212)는 밸브부(300)의 마개부재(312)에 대응되는 물수거통(210)의 상면(215)의 부분에 형성되며, 밸브부(300)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한다.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의 구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자세히 언급한다.
회피홈(214)은 가이드부(212)가 형성된 상면(215)의 부분에서 담수부(200)의 장착방향의 끝단에 구비되며, 마개부재(312)가 가이드부(212)에 의해 배수구(111)를 개방하기 전에 물수거통(210)의 테두리부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회피홈(214)에는 담수부(200)를 분리할 때, 마개부재(312)의 하면에 묻어 있는 잔여응축수를 닦아내는 흡수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흡수부재의 재질로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무엇이든 사용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300)는 배수구(1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배수구(111)가 형성된 부분에 배치된다. 이러한 밸브부(300)는 씰링부재(311), 마개부재(312) 및 덮개(313)를 포함한다.
씰링부재(311)는 배수구(111)의 모양에 대응하도록 배수구(111)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구(111)가 원형인바, 씰링부재(311)도 원형을 이루며 배치된다. 또한, 씰링부재(311)는 후술할 마개부재(312)와의 접촉에 의한 씰링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러버(rubber)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부재(311)는 후술할 마개부재(312)와 면 접촉을 하여 씰링이 더욱 잘 이루어지도록 안착부(311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부재(312)는 배수구(111)를 막을 수 있도록 배수구(111)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구(111)가 원형인바, 이에 대응하도록 마개부재(312)는 구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마개부재(312)는 담수부(200)가 분리된 경우에 마개부재(312) 자체의 하중을 이용해 배수구(111)를 막기 위해, 상당한 하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개부재(312)로는 쇠구슬을 이용할 수 있다.
덮개(313)는 내부에 마개부재(312)가 배치되도록 씰링부재(311)의 상면에 안착 및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3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후크(321) 및 하나의 나사(322)를 이용해 고정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후크(321)를 이용해 고정할 수도 있다. 후크만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에는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제품의 단가가 절감되며, 설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313)는 내부에 가이드리브(314)가 형성되어 있어, 마개부재(312)가 덮개(313)의 내부에서 상하이동을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된다. 아울러, 덮개(313)의 하단부 중 배수로(112)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개구(313a)가 형성되어 있어, 응축수가 배수구(111)을 통해 공기조화장치(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복수의 유수홈(113) 및 보조 배수구(114)를 구비할 수 있다.
담수부(200)가 하우징부(100)로부터 분리되어 배수구(111)가 폐쇄되어있는 경우, 배수로(112)에는 열교환기에 의해 응축된 잔여응축수가 고이게 된다. 이때, 배수구(11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칸막이(115)의 높이는 잔여응축수가 넘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가지므로 잔여응축수는 통상적으로 칸막이(115)를 넘지 않는다.
다만, 사용자가 하우징부(100)를 움직이는 경우, 고여있는 잔여응축수가 칸막이(115)를 넘치게 되고, 이로 인해 배수구(111)가 있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있는 전장물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칸막이(115)에는 칸막이(115)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복수의 유수홈(113)을 형성하여, 일정 수위 이상의 응축수가 고이게 되면 응축수를 보조 배수구(114)를 향해 흐르도록 유도한다. 이에 따라, 보조 배수구(114)을 통해 배출된 잔여응축수는 도 3에 도시된 담수홈(116)에 담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조 배수구(113)는 두 개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하나 또는 셋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의 배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사용자는 하우징부(100)에 담수부(200)를 결합시킨후 공기조화장치(1)를 구동한다. 이 경우, 물수거통(210)에 형성된 가이드부(212)는 마개부재(312)를 상측으로 밀어올려 배수구(111)가 개방되도록 한다.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열교환기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의 열을 흡수하여 액체상태의 물로 상변화시킨다. 이렇게 응축된 물은 배수로(112)를 따라 배수구(111)로 흐르게 된다.
배수구(111)로 흐르던 응축수는 덮개(313)에 형성된 개구(313a)를 통해 마개부재(312)의 아래에 개방된 배수구(111)를 통해 물수거통(210)의 상면으로 배출된다.
배수구(111)에서 배출된 응축수는 가이드부(212) 및 경사부(213)를 타고 흘러내려 유입구(211)를 통해 물수거통(210) 내부에 담수된다.
공기조화장치(1)가 구동됨에 따라 물수거통(210)의 내부에 담수되는 응축수의 양은 증가하고, 더 이상 담수를 할 수 없는 만수 상태에 이르게 되면 사용자는 공기조화장치(1)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담수부(200)를 하우징부(100)로부터 분리하여 물수거통(210)에 담수된 응축수를 비워 주어야 한다.
이렇게 담수부(200)가 하우징부(100)로부터 분리되면, 마개부재(312)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고 있던 가이드부(212)의 간섭이 해제되고, 마개부재(312)는 자중에 의해 씰링부재(311)에 안착된다. 이때, 마개부재(312)는 씰링부재(311)의 안착부(311a)와 면 접촉을 하게 되므로 씰링효과는 극대화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배수구(111) 및 가이드부(212)가 형성되는 위치를 담수부(20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면, 담수부(200)를 분리하는 순간 외부로 흐를 수 있는 소량의 응축수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남아있던 잔여응축수는 배수구(111)가 폐쇄됨에 따라 칸막이(115)의 높이를 넘지 않는 수위를 가지며 배수로(112)에 고여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공기조화장치(1)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운반하는 경우,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고여있던 응축수는 출렁이며 칸막이(115)의 높이를 초과하게 된다. 이렇게 칸막이(115)의 높이를 초과하는 응축수는 복수의 유수홈(114)에 의해 보조 배수구(113)로 유도된 후 보조 배수구(11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보조 배수구(113)에서 배출된 응축수는 하부케이스(110)의 하측에 형성된 담수홈(116)에 담수된다.
물수거통(210)에 담수된 응축수를 비워낸 사용자는 물수거통(210)을 케이싱(220)에 장착한 후 담수부(200)를 다시 하우징부(100)에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가이드부(212)는 다시 제1 면(212a)이 마개부재(312)와 접촉하며 마개부재(312)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고, 이어서 제2 면(212b)이 마개부재(312)와 접촉하며 마개부재(312)를 상측으로 지탱하여 배수구(111)를 개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밸브부(300)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외부에 배치된 경우에 비해 물수거통(210)이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담수량이 늘어나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를 설명한다.
다만, 하우징부(100) 및 담수부(2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400)는 씰링부재(411), 마개부재(412), 덮개(413), 가이드리브(414) 및 제1 탄성부재(4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재(412)는 하부(412a)가 하측으로 돌출되는 반 구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412b)가 반 구체의 중심으롭터 원기둥 형상으로 상향 연장된다. 또한, 마개부재(412)의 중심부의 내부에는 제1 탄성부재(415)가 구비된다. 제1 탄성부재(415)는 덮개(413)의 상부에 고정된다.
제1 탄성부재(415)는 담수부(200)가 하우징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마개부재(412)를 중력방향으로 밀어내어 배수구(111)가 폐쇄되도록 한다. 반면, 제1 탄성부재(415)는 담수부(200)가 하우징부(100)에 결합되는 경우, 가이드부(212)에 의해 수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재(412)는 제1 탄성부재(415)의 탄성력을 이용해 배수구(111)를 폐쇄한다. 이때, 제1 탄성부재(415)는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탄성부재(415)는 덮개(413)에 형성된 개구(413a)로 유입된 응축수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412b)의 높이가 잔여응축수가 고일 수 있는 높이에 비해 높게 형성된다. 이렇게 제1 탄성부재(415)는 응축수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녹이 슬 염려가 없어 내구성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의 배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과정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하우징부(100)에 담수부(200)를 결합한 후 공기조화장치(1)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1 탄성부재(415)는 물수거통(210)에 형성된 가이드부(212)에 간섭되어 수축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담수부(200)를 하우징부(10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마개부재(412)는 가이드부(212)의 제2 면(212b) 및 제1 면(212a)을 순차적으로 슬라이딩하며 제1 탄성부재(415)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씰링부재(411)에 안착된다. 따라서, 배수구(111)는 폐쇄된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개부재(412)는 씰링부재(411)의 안착부(411a)와 면 접촉하여 씰링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이후, 담수부(200)를 다시 하우징(100)에 장착하는 경우, 마개부재(412)는 가이드부(212)의 제1 면(212a) 및 제2 면(212b)을 순차적으로 슬라이딩하며 상승하고, 제1 탄성부재(415)는 수축된다. 따라서 배수구(111)는 개방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를 설명한다.
다만, 하우징부(100) 및 담수부(2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500)는 씰링부재(511), 마개부재(512), 덮개(513), 가이드리브(514) 및 제1 탄성부재(5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재(5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재(312)와 동일하게 구 형상을 가진다. 다만, 제3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재(5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재(312)와 달리 상측에 제1 탄성부재(515)를 구비한다. 즉,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500)는 마개부재(512)의 자중 및 제1 탄성부재(515)의 탄성력을 이용해 배수구(111)를 폐쇄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비해 배수구(111)를 씰링하는 효과가 가장 크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재(415)와 마찬가지로,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재(515)도 덮개(513)의 상면에 고정된다. 아울러, 제1 탄성부재(515)는 응축수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덮개(51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므로, 녹이 슬 염려가 없어 내구성 및 부품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의 배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과정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하우징부(100)에 담수부(200)를 결합한 후 공기조화장치(1)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1 탄성부재(515)는 물수거통(210)에 형성된 가이드부(212)에 간섭되어 수축상태에 있게 된다.
이어서, 담수부(200)를 하우징부(100)로부터 분리하면, 마개부재(512)는 가이드부(212)의 제2 면(212b) 및 제1 면(212a)을 순차적으로 슬라이딩하며 마개부재(512)의 자중 및 제1 탄성부재(515)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한다.
담수부(200)가 하우징부(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마개부재(512)는 씰링부재(511)에 안착되어 배수구(111)를 폐쇄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마개부재(512)는 씰링부재(511)의 안착부(511a)와 면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수부(200)가 다시 하우징부(100)에 결합되면, 마개부재(512)는 가이드부(212)의 제1 면(212a) 및 제2 면(212b)을 순차적으로 슬라이딩하며 상승하고, 담수부(2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제1 탄성부재(515)가 수축된 상태로 배수구(111)를 개방하게 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를 설명한다.
다만, 하우징부(100) 및 담수부(2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600)는 씰링부재(611), 마개부재(612), 연장부(613) 및 고정부재(614)를 포함한다.
마개부재(612)는 원뿔을 뒤집어놓은 형상을 가지며 속이 비어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외면은 씰링부재(611)의 안착부(611a)와 면 접촉한다.
연장부(613)는 마개부재(612)로부터 고정부재(614) 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연장부(613)는 탄성력을 구비하는 재질로 형성되며, 마개부재(612)가 항상 배수구(111)를 막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힘을 가한다. 따라서, 연장부는 배수구(111)를 막고 있는 경우에는 펴져 있으나, 배수구(111)를 개방하고 있는 경우에는 아래가 볼록한 형태로 휘어지게 된다.
고정부재(614)는 연장부(613)를 하부케이스(110)에 고정한다. 따라서, 마개부재(612) 및 연장부(613)가 물수거통에 형성된 가이드부(212)에 간섭되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더라도, 고정부재(614)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600)는 마개부재(612)가 배수구(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연장부(613)의 휘어지는 부분에 배치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개부재(612)의 상측에 탄성부재를 배치하여 하측으로 가해지는 탄성력을 더 부가할 수도 있다. 이때, 탄성부재가 응축수에 노출되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개부재(612)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보호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의 배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과정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하우징부(100)에 담수부(200)를 결합한 후 공기조화장치(1)를 구동시킨다. 이때, 마개부재(612)는 물수거통(210)에 형성된 가이드부(212)에 간섭되어 들어 올려지며, 배수구(111)는 개방된다. 즉, 연장부(613)는 아래가 볼록한 모양으로 휘어진다.
이어서, 담수부(200)가 하우징부(100)로부터 분리되면, 마개부재(612)는 연장부(613)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부(212)의 제2 면(212b) 및 제1 면(212a)을 순차적으로 슬라이딩하며 하강한다. 즉, 휘어져 있던 연장부(613)가 다시 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마개부재(612)는 배수구(111)를 폐쇄하게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마개부재(612)는 씰링부재(611)의 안착부(611a)와 면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담수부(200)를 다시 하우징부(100)에 결합하면 마개부재(612)는 가이드부(212)의 제1 면(212a) 및 제2 면(212b)을 순차적으로 슬라이딩하며 상승하여 배수구(111)를 개방하게 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를 설명한다.
다만, 하우징부(100) 및 담수부(2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700)는 하중부재(711), 마개부재(712), 판넬부(713) 및 힌지부(714)를 포함한다.
하중부재(711)는 판넬부(713)의 일단에 배치되며, 마개부재(712)가 배수구(111)를 막는 방향으로 판넬부(713)가 회전하도록 자중에 의한 힘을 가한다. 이때, 회전은 힌지부(714)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마개부재(712)는 판넬부(713)의 타단에 배치되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배수구(111)를 막아야 하므로,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또한, 마개부재(712)는 배수구(111)의 씰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마개부재(712)는 마개부재(712)와 배수구(111)가 접촉하는 부분에 안착부(712a)를 형성해 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넬부(713)는 힌지부(714)를 중심으로 담수부(200)의 장착방향 및 분리방향의 양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물수거통(210)에 형성된 돌출부(221)에 의해 간섭되는 간섭면(713a)를 포함한다.
힌지부(714)는 하부케이스(1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의 배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과정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하우징부(100)에 담수부(200)를 결합한 후 공기조화장치(1)를 구동시킨다. 이때, 물수거통(210)의 돌출부(221)는 판넬부(713)의 간섭면(713a)를 밀어내므로, 하중부재(711)는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판넬부(713)는 힌지부(714)를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마개부재(712)는 배수구(111)를 개방하게 된다.
이어서, 담수부(200)를 하우징부(100)로부터 제거하면, 물수거통(210)의 돌출부(221)가 판넬부(713)의 간섭면(713a)을 밀어내는 힘도 제거되므로, 판넬부(713)는 하중부재(711)의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마개부재(712)는 배수구(111)를 막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담수부(200)를 하우징부(100)에 장착하면, 물수거통(210)의 돌출부(221)가 판넬부(713)의 간섭면(713a)을 밀어내고, 판넬부(71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마개부재(712)는 배수구(111)를 개방하게 된다.
도 1,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의 담수부(200)가 분리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하우징부(100)로부터 담수부(200)를 분리하기 위해 외력전달부(810), 슬라이딩부(820), 고정부(851) 및 가이드판넬(830)을 포함한다.
외력전달부(81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 내지 제2 버튼(811, 812) 및 제1 내지 제4 샤프트(813-816)를 포함한다.
제1 버튼(811)은 하우징부(100)의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버튼(811)의 일단은 사용자가 담수부(200)의 분리를 위해 가압하는 부분이므로, 모서리부분을 필렛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버튼(811)의 내부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1 버튼(811)을 누른 후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더라도 제1 버튼(811)은 자동으로 제자리로 돌아온다. 제1 버튼(811)에 가해진 외력은 제1 샤프트(813)로 전달된다.
제1 샤프트(813)의 일단은 제1 버튼(811)의 타단에 연결되며, 제1 버튼(811)으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제1 샤프트(813)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있는 부품들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부케이스(12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샤프트(813)는 상부케이스(12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 형성되며, 타단에 연결된 제2 버튼(812)으로 외력을 전달한다.
제2 버튼(812)의 일단은 제1 샤프트(813)의 타단에 연결되며, 제1 샤프트(813)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다. 이때, 제1 샤프트(813)에서 힘이 전달되는 축과 슬라이딩부(820)가 힘을 전달받아야 할 축이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2 버튼(812)은 제1 샤프트(813)에서 힘이 전달되는 축으로부터 슬라이딩부(820)가 힘을 전달받아야 할 축으로 힘의 작용축을 전환해준다. 이러한 제2 버튼(812)은 타단에 연결된 제2 샤프트(814)로 외력을 전달한다.
제2 샤프트(814)의 일단은 제2 버튼(812)의 타단에 연결되며, 제2 버튼(812)으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다. 제2 샤프트(814)의 타단은 슬라이딩부(820)와 접촉하여 슬라이딩부(820)로 외력을 전달한다.
제3 샤프트(815)는 제 샤프트(814)로부터 제4 샤프트(816)를 향해 제2 샤프트(814)의 외면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된다. 제3 샤프트(815)는 제2 샤프트(814)와 접촉하는 슬라이딩부(820)와 대칭을 이루며 반대측에 배치된 보조슬라이딩부(820a)에 외력을 가하는 제4 샤프트(816)로 외력을 전달한다.
제4 샤프트(816)는 제2 샤프트(814)와 평행하며, 제3 샤프트(815)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4 샤프트(816)는 제3 샤프트(815)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보조슬라이딩부(820a)로 외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제2 내지 제4 샤프트(814-816)는 모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샤프트(814)의 하강에 따라 제3 샤프트(815) 및 제4 샤프트(816)도 함께 하강한다.
슬라이딩부(820)는 외력전달부(810)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가이드판넬(830)과 슬라이딩 구동을 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820)는 제1 슬라이더(821), 제2 슬라이더(822), 제2 탄성부재(823) 및 고정케이스(824)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더(821)는 일단에 형성된 제1 슬라이딩면(821a), 푸쉬부(821b)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슬라이더(821)의 타단은 제2 탄성부재(823)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어, 언제나 제1 가이드면(831)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제1 슬라이딩면(821a)은 가이드판넬(830)에 형성된 제1 가이드면(831)과 슬라이딩을 한다. 따라서, 제1 가이드면(831)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쉬부(821b)는 외력전달부(810)로부터 외력을 전달받기 위해 제1 슬라이더(821)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샤프트(814)에 의해 푸쉬부(821b)가 가압되면, 제1 슬라이더(821)는 하강하며, 제1 슬라이더(821)가 하강함에 따라 제1 슬라이딩면(821a)은 제1 걸림부(835)로부터 간섭이 해제된다.
제2 슬라이더(822)는 일단이 제2 탄성부재(823)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어, 언제나 제2 가이드면(832)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또한, 타단에는 가이드판넬(830)에 형성된 제2 가이드면(832)과 슬라이딩을 하는 제2 슬라이딩면(82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슬라이딩면(822a)도 제2 가이드면(832)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탄성부재(823)는 제1 슬라이더(821) 및 제2 슬라이더(822)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슬라이더(821) 및 제2 슬라이더(822)가 상호 이격되도록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제1 슬라이딩면(821a) 및 제2 슬라이딩면(822a)은 각각 제1 가이드면(831) 및 제2 가이드면(832)을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렇게 제2 탄성부재(823)가 제1 슬라이딩면(821a) 및 제2 슬라이딩면(822a)에 가하는 힘은 제1 가이드면(831) 및 제2 가이드면(832)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마찰력은 후술할 제1 가이드면(831) 및 제2 가이드면(83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과 함께 담수부(200)가 하우징부(100)로부터 급속도로 분리됨에 따른 슬라이딩부(820)와 가이드판넬(830) 간의 강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물수거통(210)에 담수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 탄성부재(823)는 스프링으로 표현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케이스(824)는 후술할 고정부(851)에 고정되며, 내부에 제2 탄성부재(823)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케이스(824)는 연결부(825), 제1 가이드홈(826), 제2 가이드홈(827), 제1 구멍(828) 및 제2 구멍(829)을 포함한다.
연결부(825)는 담수부(200)가 하우징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의 진행 중 고정케이스(824)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부(851)에 형성된 고정리브(852)와 연결된다.
제1 가이드홈(826) 및 제2 가이드홈(827)은 고정케이스(824)의 상단 및 하단 중 제1 슬라이더(821) 및 제2 슬라이더(822)가 배치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가이드홈(826) 및 제2 가이드홈(827)에는 각각 제1 슬라이더(821) 및 제2 슬라이더(82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 슬라이더(821) 및 제2 슬라이더(822)는 각각 제1 가이드홈(826) 및 제2 가이드홈(827)에 의해 상하구동만 가능하게 된다.
제1 구멍(828) 및 제2 구멍(829)에는 가이드판넬(830)에 형성된 제3 가이드면(833) 및 제4 가이드면(834)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및 제2 롤링부재(841, 842)가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롤링부재(841, 842)에 의해 슬라이딩부(820) 및 가이드판넬(830) 간의 슬라이딩구동의 신뢰성은 향상된다.
고정부(851)는 하부케이스(110)의 후면에 연장 형성되며, 고정리브(852) 및 간섭부(853)를 포함한다.
고정리브(852)는 연결부(825)와 연결되어 담수부(200)의 분리 과정에서 고정케이스(824)가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케이스(824)를 고정한다.
간섭부(853)는 고정부(851)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제1 슬라이더(821)가 상하구동하는 경로를 벗어나 측면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제1 가이드홈(826)과 함께 제1 슬라이더(821)를 가이드 한다.
가이드판넬(830)은 케이싱(220)의 양측 후면에서 담수부(200)의 장착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판넬(830)은 제1 내지 제4 가이드면(831-834), 제1 걸림부(835) 및 제2 걸림부(836)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면(831)은 제1 슬라이딩면(821a)과 면 접촉하며, 담수부(20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1 슬라이더(821)가 슬라이딩하는 경로이다.
제2 가이드면(832)은 제2 슬라이딩면(822a)과 면 접촉하며, 담수부(20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2 슬라이더(822)가 슬라이딩하는 경로이다.
이러한 제1 가이드면(831) 및 제2 가이드면(832)은 담수부(200)의 장착방향으로 갈수록 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탄성부재(823)가 제1 슬라이더(821) 및 제2 슬라이더(822)에 가하는 힘에 의한 제1 가이드면(831) 및 제2 가이드면(832)과의 마찰력과 함께 담수부(200)가 하우징부(100)로부터 급속도로 분리됨에 따른 슬라이딩부(820)와 가이드판넬(830) 간의 강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물수거통(210)에 담수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가이드면(833)은 제1 롤링부재(841)와 면 접촉하며, 담수부(20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1 롤링부재(841)가 회전하는 경로이다.
제4 가이드면(834)은 제2 롤링부재(842)와 면 접촉하며, 담수부(20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2 롤링부재(842)가 회전하는 경로이다.
상기 제3 및 제4 가이드면(833, 834)은 슬라이딩부(820) 및 가이드판넬(830) 간 슬라이딩구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제1 걸림부(835)는 제1 가이드면(831)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며, 담수부(200)가 장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더(821)를 간섭한다.
제2 걸림부(836)는 제1 가이드면(831)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며, 담수부(200)가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더(821)를 간섭한다. 다만, 제2 걸림부(836)는 가이드판넬(830)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쉽게 장착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정도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슬라이딩부(820), 고정부(851) 및 가이드판넬(830)은 본 실시예와 같이 양측에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힘의 분산 및 제조단가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가운데 하나만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힘의 평형을 맞추어 세 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슬라이딩부(820), 고정부(851) 및 가이드판넬(830)과 한 쌍을 이루며 반대측에 배치되는 보조슬라이딩부(820a), 보조고정부(851a) 및 보조가이드판넬(830a)은 지금까지 설명한 슬라이딩부(820), 고정부(851) 및 가이드판넬(830)과 대칭 형성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의 담수부(200)의 분리과정에 대해 도 1, 도 22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도 22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의 담수부(200)는 하우징부(100)에 장착되어 있다. 이때, 제2 샤프트(814)는 푸쉬부(821b)를 가압하지 않고 있으며, 제1 슬라이더(821)는 제1 걸림부(835)에 간섭되어있다.
이어서, 도 1, 도 22, 도 23 및 도 2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버튼(811)에 외력을 가하며, 이러한 외력은 제1 샤프트(813) 및 제2 버튼(812)를 거쳐 제2 샤프트(814)까지 전달된다. 따라서, 제2 샤프트(814)는 푸쉬부(821b)를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슬라이더(821)는 고정케이스(824)의 가이드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1 슬라이더(821)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슬라이딩면(821a)의 제1 걸림부(835)에 대한 간섭이 해제된다. 아울러, 이 경우 제2 탄성부재(823)는 압축된다.
또한, 제2 샤프트(814)로 전달된 외력은 제2 샤프트(814)에 연결된 제3 샤프트(815)에 의해 제4 샤프트(816)로 전달되어, 상술한 보조슬라이딩부(820a) 역시 슬라이딩부(820)와 같이 상술한 과정이 진행된다. 이하, 일측에 배치된 슬라이딩부(820)의 구동은 반대측에 위치한 보조슬라이딩부(820a)에 대해서도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도 1, 도 22, 도 23 및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버튼(811)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버튼(811, 813) 및 제1 내지 제4 샤프트(813-816)는 제1 버튼(811)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자리로 돌아간다.
또한, 가이드판넬(830)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슬라이딩면(821a)의 제1 걸림부(835)에 대한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담수부(200)는 자중에 의해 전진 및 하강하며 하우징부(100)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다. 즉, 담수부(200)를 하우징부(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1 버튼(811)을 누르는 동작 이외에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담수부(200)의 분리과정이 시작되면, 제1 슬라이더(821)는 제1 가이드홈(826) 및 간섭부(853)에 의해 하측으로 가이드 되며, 제2 슬라이더(822)는 제2 가이드홈(827)에 의해 상측으로 가이드 된다.
아울러, 제1 슬라이딩면(821a)은 제1 가이드면(831)을 따라 담수부(20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제2 슬라이딩면(822a)은 제2 가이드면(832)을 따라 담수부(20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또한, 제1 롤링부재(841)는 제3 가이드면(833)을 따라 담수부(20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 롤링부재(842)는 제4 가이드면(834)을 따라 담수부(20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면에, 고정케이스(824)는 고정부(85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움직이지 않고, 제1 슬라이더(821) 및 제2 슬라이더(822)의 상하운동만 가이드 한다.
이어서, 도 22, 도 23 및 도 2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면(821a) 및 제2 슬라이딩면(822a)이 제1 가이드면(831) 및 제2 가이드면(832) 상을 슬라이딩하며 분리과정이 진행될수록, 제1 가이드면(831) 및 제2 가이드면(832) 사이의 간격은 감소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제2 탄성부재(823)가 수축하게 되므로 제1 슬라이더(821) 및 제2 슬라이더(822)를 제1 가이드면(831) 및 제2 가이드면(832)을 향해 밀어내는 힘은 점차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제1 슬라이더(821)와 제1 가이드면(831) 사이의 마찰력 및 제2 슬라이더(821)와 제2 가이드면(832) 사이의 마찰력이 모두 증가하므로, 담수부(200)의 분리되는 속도는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담수부(200)의 분리되는 속도가 감소 됨에 따라 담수부(200)는 급속도로 분리되지 않게 되고, 슬라이딩부(820)가 가이드판넬(830)과 부딪히는 순간 충격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담수부(20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물수거통(210)에 담긴 응축수가 외부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2, 도 23 및 도 28를 참조하면, 담수부(200)는 케이싱(220)으로부터 물수거통(210)을 분리할 수 있는 최종위치에 이르게 되며, 제1 슬라이딩면(821a)은 제2 걸림부(836)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담수부(200)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걸림부(836)의 돌출 정도는 크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담수부(200)를 다시 장착하기 위해 담수부(200)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담수부(200)에 가벼운 외력을 가해주면 담수부(200)를 하우징부(1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담수부(200)가 하우징부(100)로부터 분리될 때, 케이싱(220) 및 하부케이스(110)의 하측 간 마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며 전진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하부케이싱(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3 롤링부재(8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롤링부재(843)는 담수부(200)의 저면(231)과 접촉하여 회전을 하므로 마찰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켜 담수부(200)가 부드럽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하우징부(100)로부터 분리된 담수부(200)가 도 31에 도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버튼(811)을 단 한 번 누름으로써 하우징부(100)로부터 담수부(2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물수거통(210)에 담수된 응축수를 비우기 위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수거통(210)을 들어올려 케이싱(2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물수거통(210)의 상부에는 손잡이(21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하우징부
200; 담수부
210; 물수거통
220; 케이싱
300, 400, 500, 600, 700; 밸브부
810; 외력전달부
820; 슬라이딩부
830; 가이드판넬

Claims (20)

  1. 내측에 열교환기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장탈착 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및
    상기 물수거통을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장착 및 탈착함에 따라 상기 물수거통의 일부에 간섭되면서 상기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물수거통의 일부에 간섭되는 돌출 길이를 축소하기 위해 상기 배수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의 내측에 매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수구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씰링부재;
    상기 씰링부재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마개부재; 및
    상기 마개부재를 감싸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응축수를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는 배수로와 만나는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마개부재와 상기 덮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마개부재를 중력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마개부재와 면 접촉을 하기 위해 상기 마개부재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에 후크결합 및 나사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면에는 상기 마개부재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거통은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수된 응축수를 유입하는 유입구;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 시 상기 밸브부를 간섭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거통은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면의 일부분에 상기 밸브부의 하부에 존재하는 응축수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물수거통을 제거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마개부재와 정렬되는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물수거통이 탈착된 경우 기 설정된 응축수의 수위를 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보조 배수구; 및
    상기 보조 배수구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담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거통이 장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이 상기 하우징에 장탈착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판넬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가이드판넬과 슬라이딩을 시작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에 외력을 가해주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넬은
    상기 슬라이딩부와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면;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경우 상기 케이싱이 상기 슬라이딩부와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넬은 상기 케이싱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가이드판넬을 슬라이딩하는 제1 및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더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에 가해진 외력을 상기 슬라이딩부로 전달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9. 내측에 열교환기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및
    상기 밸브부는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내측에 매입 배치되고, 상기 물수거통을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장착 및 탈착 시 상기 물수거통에 간섭되면서 상기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마개부재를 갖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배수구에 걸친 상태로 만곡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구체 또는 반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40166640A 2014-11-26 2014-11-26 공기조화장치 KR102337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640A KR102337161B1 (ko) 2014-11-26 2014-11-26 공기조화장치
BR112017009704-4A BR112017009704B1 (pt) 2014-11-26 2015-10-15 Aparelho de ar condicionado
PCT/KR2015/010878 WO2016085118A1 (en) 2014-11-26 2015-10-15 Air conditioning equipment
AU2015354430A AU2015354430B2 (en) 2014-11-26 2015-10-15 Air conditioning equipment
RU2017122145A RU2676354C2 (ru) 2014-11-26 2015-10-15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EP15862900.6A EP3201537B1 (en) 2014-11-26 2015-10-15 Air conditioning equipment
US14/946,969 US10101058B2 (en) 2014-11-26 2015-11-20 Air conditioning equipment
CN201510844194.8A CN105650847B (zh) 2014-11-26 2015-11-26 空气调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640A KR102337161B1 (ko) 2014-11-26 2014-11-26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085A true KR20160063085A (ko) 2016-06-03
KR102337161B1 KR102337161B1 (ko) 2021-12-08

Family

ID=5600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640A KR102337161B1 (ko) 2014-11-26 2014-11-26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01058B2 (ko)
EP (1) EP3201537B1 (ko)
KR (1) KR102337161B1 (ko)
CN (1) CN105650847B (ko)
AU (1) AU2015354430B2 (ko)
BR (1) BR112017009704B1 (ko)
RU (1) RU2676354C2 (ko)
WO (1) WO2016085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1778B2 (en) * 2013-03-15 2018-01-09 Resmed Limited Humidifier reservoir
CN104949215B (zh) * 2014-03-31 2018-04-06 Lg电子株式会社 除湿机
IT201700016302A1 (it) * 2017-02-14 2018-08-14 Ariston Thermo Spa Tanica per la raccolta dell'acqua di condensa di uno scaldacqua
KR102340052B1 (ko) * 2019-01-03 2021-12-16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KR20200144003A (ko) * 2019-06-17 2020-12-28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청정기
CN116624940B (zh) * 2023-06-12 2024-02-23 伊岛电器(宁波)有限公司 一种除湿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360A (ja) * 1999-03-16 2000-09-29 Mitsubishi Electric Corp 除湿機のドレン処理装置
KR20020056406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20088809A (ko) * 2001-05-21 2002-1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6388A (en) * 1958-02-21 1960-12-27 Chamberlain Corp Roll out shelf structure
US3411569A (en) * 1966-11-02 1968-11-19 Johnson Corp Pull-out cooling section for combined heating-cooling unit
JP3281631B2 (ja) * 1991-05-07 2002-05-13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U630040B1 (en) * 1991-10-02 1992-10-15 Cambri Pty Ltd Ball valve
US5683015A (en) * 1994-12-12 1997-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dispenser having a fillable storage vessel and adapted to be mounted in a refrigerator door
JPH08312993A (ja) * 1995-05-19 1996-11-26 Sharp Corp 室内設置型空気調和機の排水装置
US5792390A (en) * 1996-01-11 1998-08-11 Holmes Products Corp. Humidifier with top fill tank
US5797426A (en) * 1997-04-10 1998-08-25 Powell; Edwin O. Check valve and trap assembly
JP3284267B2 (ja) * 1997-09-17 2002-05-20 シャープ株式会社 除湿機の排水装置
KR100758947B1 (ko) * 2001-05-21 2007-09-1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제습기의 베이스
ES2267385B1 (es) * 2005-04-21 2007-11-16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Equipo de aire acondicionado.
AT8732U1 (de) * 2005-12-06 2006-12-15 Blum Gmbh Julius Ausziehführungssystem für schubladen
GB0526207D0 (en) * 2005-12-22 2006-02-01 Airbus Uk Ltd Fuel tank valve
GB0617582D0 (en) * 2006-09-07 2006-10-18 Strix Ltd Washable electrical appliances
CN101191657A (zh) * 2006-11-21 2008-06-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除湿机冷凝水的出水管组件
KR101592572B1 (ko) * 2009-03-20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102116506A (zh) * 2009-12-30 2011-07-0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除湿机的底盘结构
US20120195055A1 (en) * 2011-01-31 2012-08-02 Michael Prichard Lighting fixture with adjusting weight structure
CN202177173U (zh) * 2011-07-16 2012-03-28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前斜拉式水箱结构的除湿机
KR101341375B1 (ko) * 2011-11-28 2013-12-13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의 배수구조
WO2013129764A1 (en) * 2012-02-29 2013-09-06 Coway Co., Ltd. Water leakage preventing humidific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360A (ja) * 1999-03-16 2000-09-29 Mitsubishi Electric Corp 除湿機のドレン処理装置
KR20020056406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20088809A (ko) * 2001-05-21 2002-1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09704A2 (pt) 2018-02-20
RU2017122145A3 (ko) 2018-12-26
US10101058B2 (en) 2018-10-16
CN105650847B (zh) 2020-05-05
AU2015354430A1 (en) 2017-05-18
EP3201537B1 (en) 2019-09-25
RU2017122145A (ru) 2018-12-26
AU2015354430B2 (en) 2018-08-09
EP3201537A1 (en) 2017-08-09
KR102337161B1 (ko) 2021-12-08
CN105650847A (zh) 2016-06-08
RU2676354C2 (ru) 2018-12-28
BR112017009704B1 (pt) 2023-02-07
US20160146502A1 (en) 2016-05-26
EP3201537A4 (en) 2017-11-01
WO2016085118A1 (en)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3085A (ko) 공기조화장치
US10082302B2 (en) Dehumidifier
KR20170037356A (ko) 제습기
EP2927617A1 (en) Dehumidifier
KR101597038B1 (ko) 제습기
JP5299536B2 (ja) 除湿装置の排水タンク
KR20150003844U (ko) 용기
CN207999932U (zh) 除湿机
KR101159191B1 (ko)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KR20130059163A (ko) 제습기의 배수구조
JP4603897B2 (ja) 除湿機
CA2681513A1 (en) Easily-drainable dehumidifier
KR20150077777A (ko) 제습기
KR20150056246A (ko) 응축수의 누수가 방지되는 제습기
JP3627526B2 (ja) 除湿機
JP2013226484A (ja) 除湿機
KR20120095551A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KR101542015B1 (ko) 드레인 모듈
JP4684389B2 (ja) 除湿機
KR102211114B1 (ko) 제습기
CN219056977U (zh) 一种密封储存盒
JPH027384Y2 (ko)
WO2016086966A1 (en) Laundry drying machine with a condensate water receptacle
KR20150042679A (ko) 제습장치
KR2024000639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