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979A - 실리콘 코팅사,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제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리콘 코팅사,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제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979A
KR20160062979A KR1020140166382A KR20140166382A KR20160062979A KR 20160062979 A KR20160062979 A KR 20160062979A KR 1020140166382 A KR1020140166382 A KR 1020140166382A KR 20140166382 A KR20140166382 A KR 20140166382A KR 20160062979 A KR20160062979 A KR 20160062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coating composition
coating
silicone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131B1 (ko
Inventor
권도완
선홍현
변희운
김성욱
성호동
오상웅
Original Assignee
(주) 정산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정산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 정산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4016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1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1/00Other features of manufacture
    • D01D11/06Coating with spinning solutions or m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사; 및 상기 코어사의 외부에 코팅된 실리콘 코팅부를 포함하는 실리콘 코팅사에 관한 발명으로 실리콘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사를 제조함으로써, 코팅사 및 제직물의 방오성, 발수성, 내후성 및 내광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리콘 코팅사,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제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SILICONE COATING YAR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VEN FABRICS THEREFROM AND COATING COMPOSITION USED THEREFOR}
본 발명은 실리콘 코팅사와 이의 제조 방법,이를 이용한 제직물 및 실리콘 코팅사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오성, 발수성, 내광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실리콘 코팅사에 관한 것이다.
코팅사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직조물을 제조하는 기술은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 이루어지고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코팅사를 제조하기 위한 코어사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PET)를 주로 이용하여 원사 코어층을 형성하고, 여기에 적용되는 코어원사가 코팅사의 중심부에 갈 수 있도록 하는 설비 기술 개발 및 압출 가공 기술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코팅사에 코팅층으로 적용되는 소재로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소재에서부터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틸렌 공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공중합 수지 및 이들의 블렌드 수지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코팅층의 소재에 다양한 변화를 주어 코팅사 간에 접착력 또는 이종 원단간의 접착 향상을 위한 다양한 소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예로, 코팅사의 접착 향상을 위해 핫멜트성의 폴리우레탄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EVA) 계열의 소재를 코팅소재로 이용하여 코팅사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코팅층에 사용되는 수지내에 난연제 성분 또는 유리구슬(glass beads)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코팅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한 원단의 난연성, 재귀반사 특성등을 발연할 수 있는 기술등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원사에 폴리염화비닐(PVC)을 압출코팅한 섬유는 탄성이 우수하고 주름이 잘 생기지 않으며, 형태 견지성, 항균성, 다양한 색상적용 등이 우수하여, 블라인드, 벽지, 바닥재, 또는 생활용, 데코용, 전자제품용 및 가구용의 섬유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코팅사에 대한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존의 섬유사로는 방오, 발수성이 구현되기 어려운 면이 있으며, 특히 발수성은 열적 특성으로 인해 가공이 어려운 실정이다. 즉 기존의 섬유사로는 다양한 시장의 요구 수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79896호는 유리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외피에 PVC 등의 고분자 물질과 함께 가소제와 난연제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코팅하여 제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PVC 코팅 섬유는 난연성, 방염성, 항균성, 인장강도, 신장율 등이 우수하지만, 압출코팅, 정경 및 제직시 불량품이 발생할 경우 PET 원사와 PVC 코팅층간 분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전량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VC 코팅섬유가 연소할 경우 PVC에 존재하는 염소이온과 코팅제에 존재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반응하여 독성유해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방오성, 발수성, 내광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실리콘 코팅사 및 이의 제조방벙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리콘 코팅사는 코어사; 및 상기 코어사의 외부에 코팅된 실리콘 코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서, 상기 코어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트(PET)계의 필라멘트 섬유, DTY(Draw Texture Yarn)섬유, 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계, 파라아라미드, 메타아라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 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서, 상기 코어사는, 직경이 100 내지 400 데니어이며 상기 실리콘 코팅사의 직경이 300 내지 120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서, 실리콘 코팅부는, 실리콘을 포함하고,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난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어지는 것을 포함하여 혼합 분산된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상기 코팅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해, 실리콘을 20 내지 9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아로마틱계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알리파틱계 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틸렌 공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실리카, 안료, 실리콘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리콘 코팅사 제조방법은 코팅부를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코팅 조성물을 코어층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 조성물은 실리콘을 포함하고,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난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어지는 것을 포함하여 혼합 분산된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코팅조성물을 이루는 물질을 블렌딩하는 단계; 상기 블렌딩한 코팅 조성물을 컴파운딩 압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리콘 코팅사 제조를 위한 코팅 조성물은 실리콘; 폴리우레탄;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은 아로마틱계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알리파틱계 이소시아네이트이며,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틸렌 공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이상 선택되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서, 실리카, 안료, 실리콘 오일 및 난연제 공중합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이상 선택되어지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서, 난연제는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서, 난연제는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리콘 코팅사 제직물은 실리콘 코팅사를 직조하여 이루어진 실리콘 코팅사 제직물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사를 제조함으로써, 코팅사 및 제직물의 방오성, 발수성, 내후성 및 내광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코팅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코팅사를 제조하는 압출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코팅사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리콘 코팅사는 코어사(10) 및 코어사(10)의 외부에 코팅된 실리콘 코팅부(20)를 포함한다.
코어사(10)는 실리콘 코팅사의 기본 원사이며, 코팅사의 용도에 맞게 선택되어질 수 있다. 코어사(1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트(PET)계의 필라멘트 섬유, DTY(Draw Texture Yarn)섬유, 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계, 파라아라미드, 메타아라미드 등의 원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트계 필라멘트 섬유는 약 50 내지 500 데니어로서, 이며, 섬유사의 굵기는 본 발명의 코팅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직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다.
코어사(10)의 굵기는 코팅사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압출단계의 압출구경에 따라, 100 내지 400 데니어까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리콘 코팅사는 300 내지 1200 데니어까지 조절될 수 있다.
실리콘 코팅부(20)는 실리콘 및 폴리우레탄을 블렌딩하여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어사(10)에 코팅할 수 있다.
실리콘 코팅부(20)에 적용되기 위한 코팅 조성물에서 실리콘은 방오성 및 발수성의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은 접착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종소재간의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리콘과 폴리우레탄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서, 원하는 용도에 맞게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오성이 중요한 코팅사를 만들고자 하면, 실리콘의 함량을 늘리고, 폴리우레탄의 함량을 줄임으로써, 코팅사의 기능성을 조절할 수 있다.
실리콘 코팅부(20)에 적용되기 위한 코팅 조성물에서 폴리우레탄은 내광성 및 완제품의 기계적, 화학적 물성을 고려하여, 아로마틱계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거나, 알리파틱계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 조성물은 코팅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직물의 용도에 따라 선택되어 진다. 예를 들어, 알리파틱계는 내광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내광성이 요구되는 제직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알리파틱계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계적 물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한 코팅사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로마틱계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 조성물로 코어사(10)에 코팅부를 형성하면, 코팅사 또는 코팅사를 이용한 제직물의 물성을 경도(Shore A) 40 내지 60, 또는 60 내지 80의 소재로 블렌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코팅사의 실리콘 코팅부(20)를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폴리올레핀을 더 포함하여 블렌딩하여 제조된 조성물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틸렌 공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 수지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을 더 포함하여 코팅부를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방오성, 발수성 및 마모강도의 특성이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폴리올레핀을 더 포함하여 제조된 코팅 조성물로 코팅부를 형성한 실리콘 코팅사는 시트, 가구, 가방, 신발등의 마모성 및 방오성이 중요한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코팅부를 조성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및 폴리올레핀은 실리콘 30 내지 90 중량부, 폴리우레탄 1 내지 69 중량부 및 폴리올레핀 1 내지 69 중량부로 혼합되어 블렌딩될 수 있다.
코팅사의 방오, 발수성을 높이기 위해서, 실리콘의 함량을 높이거나, 폴리올레핀의 함량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코팅사의 이형물질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폴리우레탄의 함량을 증가시키므로서, 이형물질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팅사를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은 실리카, 안료, 실리콘 오일 및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조성물은 코팅사의 마모 강도, 코팅사 제조작업의 편의성, 색상 발현실리카, 안료, 실리콘 오일 및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리카는 제조되는 코팅상의 표면 터치 조절 또는 광택조절을 위해서 첨가하며, 실리콘 오일은 주용 조성물(실리콘,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과 첨가되는 조성물(난연제, 실리카 등)과의 혼합성을 좋게해주기 위해서 첨가할 수 있다.
안료는 코팅사의 색상을 나타나게 하는 것으로 코팅사의 제조 색상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난연제는 할로겐계, 인계 또는 질소계의 난연제와 무기계 난연제로서, 금속산화물 및 금속수산화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코팅사가 사용되는 용도에 맞게 난연제의 종류를 선택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의 난연제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난연제는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코팅사의 실리콘 코팅부(20)를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첨가제는 활제, 자외선 안정제, 항균제 또는 기타 기능성 필러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첨가제의 함량은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코팅사 제조하는 방법은 코팅부를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코팅 조성물을 코어층에 코팅하여 코팅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코팅부를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및 폴리올레핀등 코팅 조성물을 이루는 물질을 블렌딩하는 단계이다. 즉, 코팅 조성물을 이루는 물질을 배합하여 분산한다. 이 때 코팅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한, 기능성 물질인 활제, 자외선 안정제, 항균제 또는 기타 기능성 필러를 포함할 경우, 이러한 기능성 물질은 배합하여 분산하는 단계에 주입될 수 있으며, 압출 컴파운드 단계에서 혼합될 수도 있다.
이 때, 코팅 조성물로 코팅부를 형성하여 제조된 코팅사의 용도에 따라, 코팅 조성물을 이루는 성분들의 함량을 조절하여 블렌딩 할 수 있으며, 코팅부를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은 컴파운딩 형태의 코팅 조성물 일 수 있다. 이러한 코팅 조성물을 컴파운딩 형태의 코팅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이 분야의 당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컴파운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며 그 방법에 제한이 없다.
이러한 코팅 조성물의 분산하는 단계 이후에 컴파운딩 압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파운딩 압출단계는 코팅 조성물의 분산의 최적화를 위해 트윈 스크류(twin screw)가 장착된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압출기의 온도는 100℃ 내지 220℃의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린더의 길이는 1m 이상인 것이 좋다. 분산이 완료된 조성물을 압출기의 호퍼(hopper)에 투입하여 100℃ 내지 220℃의 온도에서 압출한다. 이러한 압출단계에서 기능성 물질인 활제, 자외선 안정제, 항균제 또는 기타 기능성 필러를 배합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마스터 배치를 이용하여 압출기 호퍼에 첨가하여 컴파운딩 압출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난연제 및 첨가제를 먼저 가공하여 다시 재컴파운딩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컴파운딩 형태로 제조하여, 압출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 조성물을 코어사(10)에 코팅할 수 있다. 압출 가공 방법은 코어사(10)를 압출기의 코팅 방향에 맞춰 압출기의 노즐에 코어사(10)를 투입한다. 압출기에 코어사(10)가 유입되면, 코팅 조성물이 코팅사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된다. 압출 가공 방법은 코팅 조성물의 용융 특성에 맞추어 압출 온도를 170℃ 내지 195℃로 조절하면서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압출기를 통과한 코어사(10)는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코팅사가 되며, 코팅사를 냉각하여 권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코팅사는 제직물 형태로 제조되기 위한 제직단계를 거치기 전에 코팅사를 제직하는 조직 및 이의 밀도에 따라, 빔에 감아서 준비하는 정경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러한 정경단계는 일반적인 원단 제조에 이루어지는 정경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코팅사로 이루어진 제직물의 제조 방법은 실리콘 코팅사를 직조하는 단계 및 직조된 직조물을 가열하여 직조된 섬유를 고정시키는 열접착 단계를 포함한다.
실리콘 코팅사를 직조하는 단계는 일반적으로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실시할 수 있는 원사를 이용하여 제직물을 직조하는 방법으로 그 방법에 제한이 없다.
이러한 실리콘 코팅사로 이루어진 제직물은 신발, 가방, 시트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의 함량을 조절하여 이종 원단간의 접착 특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직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패션성, 방오성 및 발수성이 우수한 제직물이 될 수 있다.
<코어사(10) 준비>
코어사(10)로 사용되는 원사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라멘트 250 데이어 원사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DTY 150 데니어 원사 2종을 준비하였다.
<코팅 조성물의 제조>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실리콘과 폴리우레탄을 30:70의 중량비로 블렌딩 하였다. 이렇게 블렌딩한 조성물에 난연제,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하여 분산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블렌딩한 조성물과 난연제 및 기능성 첨가제의 중량 비율이 90:10이 되도록, 실리콘: 폴리우레탄: 난연제 및 기능성첨가제의 중량 비율이 27:63:10이 되도록 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기능성 첨가제는 전체 중량에 대해 인계난연제 5중량부 실리콘 오일 3중량부 탄산칼슘 2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탄산 칼슘은 끈적임을 제거하는 첨가제이다.
<컴파운딩 공정>
코팅 조성물을 분산 진행한 후 압출 컴파운딩 단계를 수행한다. 컴파운딩 압출기는 코팅 조성물의 분산 최적화를 위해 트윈 스크류가 장착된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압출기의 온도는 22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며, 실린더의 길이는 1m이며, 상기 분산이 완료된 조성물을 압출기의 호퍼에 투입하여 220℃의 압출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코팅사의 제조>
코팅사를 제조하기 위해 미리 준비한 코어사(10)를 압출기의 코팅 방향에 경사 또는 위사 방향에 맞춰 압출기의 다이스노즐에 코어사(10)를 통과시키면서 컴파운딩된 코팅 조성물을 코어사(10)에 코팅되도록 하였다. 이 때, 코팅 조성물이 400㎛ 두께로 코팅하였으며,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코팅사를 권취하였다. 압출 코팅의 온도는 195℃로 진행하였으며, 코팅속도는 600m/min으로 진행하였다.
<제직물의 제조>
위의 단계에서 제조된 코팅사를 경사용으로 권취하여, 정경한 뒤 폭 1.6m의 그물조직으로 제작하고, 170℃에서 텐타 공정을 진행하여, 제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실리콘과 폴리우레탄의 비율을 50:50으로 하여,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하게, 코어사(10)의 준비, 코팅 조성물의 제조, 컴파운딩 공정, 코팅사의 제조공정을 거쳐 코팅사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실리콘과 폴리우레탄의 비율을 70:30으로 하여,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하게, 코어사(10)의 준비, 코팅 조성물의 제조, 컴파운딩 공정, 코팅사의 제조공정을 거쳐 코팅사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폴리우레탄을 대신하여,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이용하며, 실리콘과 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을 30:70으로 하여,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하게, 코어사(10)의 준비, 코팅 조성물의 제조, 컴파운딩 공정, 코팅사의 제조공정을 거쳐 코팅사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에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실리콘과 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을 50:50으로 하여,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하게, 코어사(10)의 준비, 코팅 조성물의 제조, 컴파운딩 공정, 코팅사의 제조공정을 거쳐 코팅사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에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실리콘과 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을 70:30으로 하여,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하게, 코어사(10)의 준비, 코팅 조성물의 제조, 컴파운딩 공정, 코팅사의 제조공정을 거쳐 코팅사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실시예 1에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실리콘을 제외하고 폴리우레탄에 난연제,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하여 분산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폴리우레탄과 난연제 및 기능성 첨가제의 중량 비율이 90:10이 되도록 하여,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하게, 코어사(10)의 준비, 코팅 조성물의 제조, 컴파운딩 공정, 코팅사의 제조공정을 거쳐 코팅사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2]
비교예 1에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폴리우레탄을 대신하여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하게, 코어사(10)의 준비, 코팅 조성물의 제조, 컴파운딩 공정, 코팅사의 제조공정을 거쳐 코팅사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직물을 제조하였다.
위의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2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제직물의 물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구분 방오성 발수성 내후성 내광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X X
비교예 2
( ◎ : 아주 좋음, ○ : 좋음, △ : 보통, X : 나쁨 )
위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리콘을 포함하지 않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사를 제조할 경우, 방오성, 발수성, 내후성 및 내광성의 측면에서 제직물의 특성이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코어사; 및
    상기 코어사의 외부에 코팅된 실리콘 코팅부를 포함하는 실리콘 코팅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트(PET)계의 필라멘트 섬유, DTY(Draw Texture Yarn)섬유, 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계, 파라아라미드, 메타아라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 되어지는 실리콘 코팅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사는,
    직경이 100 내지 400 데니어이며 상기 실리콘 코팅사의 직경이 300 내지 1200 데니어인 실리콘 코팅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코팅부는,
    실리콘을 포함하고,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난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어지는 것을 포함하여 혼합 분산된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 실리콘 코팅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코팅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해, 실리콘을 20 내지 95 중량부로 포함하는 실리콘 코팅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아로마틱계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알리파틱계 이소시아네이트인 실리콘 코팅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틸렌 공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 되는 실리콘 코팅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실리카, 안료, 실리콘 오일을 더 포함하는 실리콘 코팅사.
  9. 코팅부를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코팅 조성물을 코어층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 조성물은 실리콘을 포함하고,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난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어지는 것을 포함하여 혼합 분산된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 실리콘 코팅사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코팅조성물을 이루는 물질을 블렌딩하는 단계;
    상기 블렌딩한 코팅 조성물을 컴파운딩 압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실리콘 코팅사 제조 방법
  11. 실리콘;
    폴리우레탄;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은 아로마틱계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알리파틱계 이소시아네이트이며,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틸렌 공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이상 선택되어지는 실리콘 코팅사 제조를 위한 코팅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실리카, 안료, 실리콘 오일 및 난연제 공중합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이상 선택되어지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실리콘 코팅사 제조를 위한 코팅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실리콘 코팅사 제조를 위한 코팅 조성물.
  14. 제 1항 내지 제8항의 실리콘 코팅사를 직조하여 이루어진 실리콘 코팅사 제직물.


KR1020140166382A 2014-11-26 2014-11-26 실리콘 코팅사,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제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 KR101699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382A KR101699131B1 (ko) 2014-11-26 2014-11-26 실리콘 코팅사,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제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382A KR101699131B1 (ko) 2014-11-26 2014-11-26 실리콘 코팅사,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제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979A true KR20160062979A (ko) 2016-06-03
KR101699131B1 KR101699131B1 (ko) 2017-02-01

Family

ID=5619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382A KR101699131B1 (ko) 2014-11-26 2014-11-26 실리콘 코팅사,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제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1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61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휴비스 메타아라미드가 도포된 폴리에틸렌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2103B1 (ko) 2018-11-26 2020-02-03 김태준 탄성사의 실리콘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KR102188328B1 (ko) * 2019-06-05 2020-12-10 주식회사 알켄즈 투광성을 조절가능한 코팅사를 포함하는 원단
KR20210055254A (ko) 2019-11-07 2021-05-17 주식회사 알켄즈 코팅사 메시직물 제조방법
KR20230163855A (ko) * 2022-05-24 2023-12-01 김종현 모피느낌을 갖는 파일직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057A (ko) * 2003-06-04 2006-01-23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실리콘/폴리우레탄 피복된 직물
KR100616220B1 (ko) * 2004-10-26 2006-08-25 주식회사 효성 발수성 심초형 중공사의 제조방법
KR20080112564A (ko) * 2007-06-21 2008-12-26 주식회사 효성 발수성능이 우수한 복합섬유 제조방법 및 그 섬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057A (ko) * 2003-06-04 2006-01-23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실리콘/폴리우레탄 피복된 직물
KR100616220B1 (ko) * 2004-10-26 2006-08-25 주식회사 효성 발수성 심초형 중공사의 제조방법
KR20080112564A (ko) * 2007-06-21 2008-12-26 주식회사 효성 발수성능이 우수한 복합섬유 제조방법 및 그 섬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61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휴비스 메타아라미드가 도포된 폴리에틸렌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2103B1 (ko) 2018-11-26 2020-02-03 김태준 탄성사의 실리콘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KR102188328B1 (ko) * 2019-06-05 2020-12-10 주식회사 알켄즈 투광성을 조절가능한 코팅사를 포함하는 원단
KR20210055254A (ko) 2019-11-07 2021-05-17 주식회사 알켄즈 코팅사 메시직물 제조방법
KR20230163855A (ko) * 2022-05-24 2023-12-01 김종현 모피느낌을 갖는 파일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131B1 (ko)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131B1 (ko) 실리콘 코팅사,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제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
CN1882730A (zh) 包含长丝纱和含发泡聚合物的基质的复合纱
KR101513780B1 (ko) 보푸라기 방지용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우븐 바닥장식재
KR20150091453A (ko) 난연성이 우수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635001B1 (ko) 유/무기 복합코팅층을 갖는 코팅사를 이용한 투시성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선스크린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33058B1 (ko) 섬유 접착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직물
AU2015250659B2 (en) Novel process for manufacturing flame retardant yarns
KR101587451B1 (ko) 시스-코어형 비할로겐 난연성 복합사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
JP2007092245A (ja) 遮光シート
JP4272530B2 (ja) 複合糸、その製法およびそれから生成する織物構造体
KR101761196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
EP2900776B1 (en) Flame retardant pigment paste composition
WO2010011068A2 (ko) 난연성 창가리개용 스크린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430546B1 (ko) 퍼징 현상이 개선된 코팅사 및 이의 직물
KR100594992B1 (ko) 직물의 제조 방법
KR101711573B1 (ko) 코팅사용 조성물
KR102188328B1 (ko) 투광성을 조절가능한 코팅사를 포함하는 원단
US11602925B2 (en) Thermoplastic elastomeric coated fabric protection with a top-coating finishing system
KR20160141007A (ko) 복합난연섬유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직물 및 직물제품
KR102363970B1 (ko)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 타포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1864B1 (ko) 압출사를 이용한 직물 및 퍼징 현상이 개선된 바닥재
KR101897616B1 (ko) 카고 스크린용 직물 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직물 소재를 포함하는 카고 스크린
KR20240073810A (ko) 패브릭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5275B1 (ko) 합성수지 방수 원단지의 제조방법
KR101957749B1 (ko) 고신축성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