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934A - 스크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934A
KR20160062934A KR1020140166235A KR20140166235A KR20160062934A KR 20160062934 A KR20160062934 A KR 20160062934A KR 1020140166235 A KR1020140166235 A KR 1020140166235A KR 20140166235 A KR20140166235 A KR 20140166235A KR 20160062934 A KR20160062934 A KR 20160062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ain body
body case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삼
신철호
이해섭
최영철
이동진
최상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텍
Priority to KR102014016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2934A/ko
Publication of KR2016006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는 스크류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전방벽과 후방벽 및 두 측벽을 갖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스크류가 저장되는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측벽의 하단측 부위는 저부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이루어진 스크류저장통; 상기 스크류저장통이 승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부;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상기 스크류저장통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는 스크류의 머리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스크류를 본체케이스의 배출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이송안내부;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이송안내부의 안내를 받아 상기 배출구로 배출된 스크류가 임시 저장되는 스크류배출부; 그리고, 상기 이송안내부를 통해 배출구로 배출되는 스크류의 수량을 카운팅하는 수량 카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공급장치가 제공되며, 이로써 정해진 수량의 스크류만 자동으로 정확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류 공급장치{screw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스크류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정해진 수량의 스크류만 자동으로 정확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제품의 외관이나 각종 부품 등을 조립하는 조립 작업시에는 다량의 스크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립 작업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스크류 수용통 내에 스크류를 보관한 상태로 필요에 따라 취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크류가 다량으로 쌓여서 제공될 경우에는 작업자가 해당 스크류를 일일이 낱개로 취출하여 작업함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써 작업 시간의 단축을 이루기가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스크류가 보관되는 공간으로부터 해당 작업자에게 낱개의 스크류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스크류 공급장치가 제공되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실용신안공보 실1995-0004521호, 공개특허공보 특1998-068942호, 등록특허 10-0890540호, 공개특허 제10-2013-009612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단순히 스크류를 하나씩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일 뿐임을 고려할 때 조립 작업시 조립 부위가 많을수록 작업자는 모든 조립 부위에 대한 스크류 조립이 이루어졌음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일부의 스크류 조립 누락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즉, 스크류 조립 부위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스크류의 공급은 상기 스크류 조립 부위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속도로 연속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각 조립 부위 중 일부의 조립 누락이 발생되더라도 해당 작업자가 이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다음 제품의 조립을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한,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스크류가 저장된 공간으로부터 작업자에게 스크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기기의 소형화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 역시 비쌀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대량 작업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될 뿐 소량 작업을 위한 용도로의 사용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해진 수량의 스크류만 자동으로 정확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시킨 새로운 형태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류 공급장치에 따르면 상면에는 스크류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전방벽과 후방벽 및 두 측벽을 갖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스크류가 저장되는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측벽의 하단측 부위는 저부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이루어진 스크류저장통; 상기 스크류저장통이 승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부;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상기 스크류저장통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는 스크류의 머리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스크류를 본체케이스의 배출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이송안내부;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이송안내부의 안내를 받아 상기 배출구로 배출된 스크류가 임시 저장되는 스크류배출부; 그리고, 상기 이송안내부를 통해 배출구로 배출되는 스크류의 수량을 카운팅하는 수량 카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케이스 내의 후방측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플런저가 상향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승강용실린더와, 상기 승강용실린더의 플런저와 상기 스크류저장통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안내부의 양측 벽면으로부터는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스크류저장통의 승강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격벽이 각각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 내의 각 부위 중 상기 이송안내부 상측 공간상에는 상기 이송안내부의 수용홈을 따라 이송되는 스크류 중 부정확하게 얹혀진 스크류를 측부로 낙하시키는 낙하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낙하부는 상기 이송안내부의 수용홈이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긴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정역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에 설치되면서 상기 이송안내부의 수용홈에 부정확하게 얹혀진 스크류를 측부로 밀어내는 브러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배출부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스크류가 수용되도록 상하로 개방된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의 저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탱크의 개방된 저부를 가로막거나 혹은, 개방하도록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배출부에는 상기 배출플레이트의 동작에 의한 수용탱크 저면이 개방될 경우 상기 배출플레이트에 부딪혀 접점이 온(on)되도록 설치된 리셋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리셋스위치와 수량 카운트부는 서로 연동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상기 리셋스위치의 접점이 온(on)될 경우 상기 수량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배출 스크류의 수량이 리셋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스크류 공급장치는 스크류저장통이 승강되면서 이송안내부를 이루는 안내프레임의 상면에 상기 스크류저장통 내의 스크류들이 얹힐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의 구조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단가의 절감이 가능함과 더불어 소량 작업 용도로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스크류 공급장치는 미리 설정된 수량의 스크류만 스크류배출부의 수용탱크 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렇게 공급된 소정 수량의 스크류는 배출플레이트의 조작에 의해 일괄적인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면서 이러한 스크류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스크류의 카운팅이 리셋되도록 함에 따라 조립 작업시 조립 부위가 많더라도 잔여 스크류의 수량 확인을 통해 해당 작업자는 조립 누락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본체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평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의 내부 구조 중 스크류 저장통이 상승 이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 중 이송안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 중 이송안내부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 중 이송안내부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B”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 중 낙하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C”부 확대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 중 스크류 배출부 및 그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 중 수량 카운터부 및 그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 중 안내프레임의 상면에 스크류가 얹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스크류 공급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본체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는 크게 본체케이스(100)와, 스크류저장통(200)과, 승강부(300)와, 이송안내부(400)와, 스크류배출부(500) 및 수량 카운터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스크류저장통(200)이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에서 승강 이동되면서 그 내부에 저장된 스크류(10)를 상기 이송안내부(400)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본체케이스(100)는 내부에 각 구성들의 동작을 위한 공간 및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통체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상면에는 스크류(10)를 투입하기 위한 스크류 투입구(110)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스크류(10)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관통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류저장통(200)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스크류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스크류(10)가 저장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스크류저장통(200)은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측벽(211,212)과 전방벽(220) 및 후방벽(230)을 갖는 상부가 개방된 통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의 후방측 공간에는 가이드프레임(130)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의 전면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31)이 각각 상하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저장통(200)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31)의 지지를 받는 가이드블럭(240)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스크류저장통(20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의 가이드레일(131)에 의한 지지를 받아 승강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류저장통(200)을 이루는 두 측벽(211,212) 하단측 부위가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저장통(200)의 저부벽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의 구조는 상기 스크류저장통(200) 내로 투입된 스크류(10)들이 상기 경사를 따라 중앙측 부위에 모일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저장통(200)이 상승 이동되었을 경우 상기 스크류(10)가 후술될 이송안내부(400)의 상면에 원활히 얹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한 스크류저장통(200)의 양측벽 하측 끝단은 후술될 이송안내부(400)가 통과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300)는 상기 스크류저장통(200)이 승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승강부(300)가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용실린더(310) 및 연결프레임(320)으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용실린더(310)는 유압 혹은, 공압을 이용하는 실린더로써,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의 후방측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승강용실린더(310)의 플런저(311)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320)은 상기 승강용실린더(310)의 플런저(311)와 상기 스크류저장통(200)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으로써, 일단은 상기 플런저(311)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가이드프레임(130)을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저장통(200)의 후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의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연결프레임(320)의 관통을 위한 관통슬롯(132)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311)의 승강에 따른 연결프레임(320)의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안내부(400)는 스크류(10)를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배출구(120)로 이동시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부위로써,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이송안내부(400)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프레임(410)과,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설치를 위한 지지프레임(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내프레임(410)은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의 스크류저장통(200)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는 스크류(10)의 머리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수용되도록 첨부된 도 6과 같은 수용홈(41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선단에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120)로 상기 스크류(10)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배출가이드(412)가 연장 설치된다.
특히,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상면인 상기 스크류(10)가 수용된 상태로 이동되는 부위는 상기 스크류(10)의 더욱 원활한 이송을 위해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420)은 그 상면으로 상기 안내프레임(410)이 얹히도록 형성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지지프레임(420)은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의 저면과 복수의 링크(421)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각 링크(421)는 양 끝단의 연결 부위가 각각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420)이 상기 본체케이스(100)로부터 전후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이 상기 본체케이스(100)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4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상기 진동발생부(430)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420)에 진동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수용홈(411)에 수용된 스크류(10)가 상기 수용홈(411)을 따라 전방을 향해 더욱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진동발생부(430)는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42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진동력을 제공받는 받침돌기(431)와, 둘레면이 상기 받침돌기(431)의 전면에 접촉되는 진동캠(432)과, 본체케이스(100) 내의 저면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진동캠(432)과는 축결합되면서 상기 진동캠(432)을 구동시키는 캠구동모터(4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지지프레임(420)의 저면 중 어느 한 부위와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의 저면 중 어느 한 부위는 탄력부재(440)로써 수평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탄력부재(440)의 탄력 복원력 및 상기 진동캠(432)과의 부딪힘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420)이 반복적인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이송안내부(400)를 이루는 안내프레임(410)의 양측에는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양측 벽면으로부터는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스크류저장통(200)의 승강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격벽(450)이 각각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상기 스크류저장통(200)은 승강 이동되는 구조이고 상기 안내프레임(410)은 전후 유동되는 구조임을 고려할 때 서로 간이 접촉된 상태로 동작되도록 구성할 경우 동작상의 간섭 발생이 야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찰 소음 역시 크게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두 지지격벽(450)의 추가적 제공으로써 스크류저장통(200)과 안내프레임(410) 간의 직접적인 접촉 및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동작상 간섭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안내부(400)를 이루는 안내프레임(410)의 수용홈(411)을 따라 이송되는 스크류(10) 중 부정확하게 얹혀진 스크류(10)를 측부로 낙하시키는 낙하부(7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상기 낙하부(700)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정확한 방향성을 갖는 스크류(10)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낙하부(700)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안내부(400)의 수용홈(411)이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긴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정역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샤프트(710)와, 상기 회전샤프트(710)에 설치되면서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수용홈(411)에 부정확하게 얹혀진 스크류(10)를 측부로 밀어내는 브러시(7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샤프트(710)는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의 상기 안내프레임(410) 상측 부위에 위치되면서 그의 양측 끝단이 스크류저장통(200)의 전방벽(220) 및 후방벽(23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저장통(200)의 전방벽(220) 혹은, 후방벽(230)에는 상기 회전샤프트(710)의 정역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730)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회전샤프트(710)의 정역 회전을 위한 구성은 구동모터(730)가 아닌 예컨대, 실린더 등과 같은 여타의 구동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낙하부(700)의 존재로 인해 본체케이스(100) 상면의 스크류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스크류(10)가 상기 낙하부(700)로 낙하될 우려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1과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의 상측 공간 중 상기 스크류 투입구(110)에 안내가이드(140)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스크류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스크류(10)가 상기 낙하부(700)를 회피하여 상기 스크류저장통(200) 내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안내가이드(140)는 상기 낙하부(700)가 존재하는 부위가 상향 돌출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해당 부위로 제공되는 스크류(10)가 상기 낙하부(700)의 위치를 회피하여 스크류저장통(200) 내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류배출부(500)는 상기 이송안내부(400)의 안내를 받아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된 스크류(10)가 임시 저장되면서 작업자의 필요시 일괄적으로 배출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스크류배출부(500)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배출구(12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첨부된 도 1과 도 3과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탱크(510) 및 배출플레이트(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탱크(510)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스크류(10)가 수용되는 부위로써, 상하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플레이트(520)는 상기 수용탱크(510)의 저면을 형성하는 부위로써, 상기 수용탱크(510)의 저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탱크(510)의 개방된 저부를 가로막거나 혹은,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플레이트(520)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플레이트(520)의 회전 조작을 위한 조작손잡이(521)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배출플레이트(520)는 상기 조작손잡이(521)의 회전 조작에 의해 그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수용탱크(510)의 저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게 되며, 이러한 배출플레이트(520)의 개방에 의해 상기 수용탱크(510) 내에 임시 저장된 스크류(10)들이 수용탱크(510) 외부로 일괄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배출플레이트(520)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을 그 실시예로 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배출플레이트(520)의 개방시 상기 배출플레이트(520)에 얹힌 각 스크류(10)가 항상 같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량 카운터부(600)는 상기 이송안내부(400)를 통해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스크류(10)의 수량을 카운팅하는 부위이다.
즉, 상기 수량 카운터부(600)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스크류배출부(500)로 배출된 스크류(10)의 수량 정보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렇게 확인된 스크류(10)의 수량 정보를 토대로 상기 승강부(300)와 이송안내부(400)의 동작 제어 혹은, 스크류(10)의 이송 중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량 카운터부(600)는 근접센서(610)와, 스토퍼(620)와, 디스플레이패널(630) 및 제어부(도시는 생략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근접센서(610)는 첨부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안내부(400)를 이루는 안내프레임(410) 중 스크류 배출측의 측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안내프레임(410)을 따라 이송되는 스크류(10)를 센싱하여 이의 센싱 신호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센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620)는 상기 안내프레임(410) 중 스크류 배출측의 직상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안내프레임(410)을 따라 이동되는 스크류(10)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다. 즉, 미리 설정된 수량의 스크류(10) 배출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토퍼(620)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더 이상의 스크류(10) 배출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630)은 본체케이스(100)의 전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근접센서(610)에 의해 센싱된 스크류(10)의 수량 및 작업자(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수량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610)와 스토퍼(620) 및 디스플레이패널(630)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이며, 작업자(사용자)에 의한 스크류(10) 배출 수량을 입력받고, 이 입력받은 수량의 스크류(10)가 배출됨을 확인함과 더불어 상기 입력받은 수량의 스크류(10)가 배출될 경우 스토퍼(620)를 제어하여 더 이상의 스크류(10) 배출을 차단하며, 상기 배출된 스크류(10)의 수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63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승강부(300)의 동작 제어 및 진동발생부(430)의 동작 제어를 함께 수행하는 스크류 공급장치 전체의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류배출부(500)에 리셋스위치(53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리셋스위치(530)는 상기 배출플레이트(520)의 동작에 의한 수용탱크(510) 저면의 개방시 접점이 온(on)(혹은, 오프(off))되도록 설치된 스위치로써, 이러한 리셋스위치(5300)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상기 스크류배출부(500)의 수용탱크(510) 내에 수용된 스크류(10)의 완전 배출 여부가 정확히 파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물론, 상기 리셋스위치(530)는 상기 배출플레이트(520)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된 리셋스위치(530)와 수량 카운터부(600)가 서로 연동되도록 이루어짐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상기 리셋스위치(530)의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이를 확인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630)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스크류(10)의 수량이 리셋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어부가 카운팅 중인 스크류(10)의 배출 수량 역시 리셋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작업자는 작업의 유형에 따라 한 번에 배출되는 스크류(10)의 수량을 지정한다.
예컨대, 해당 스크류 조립작업에 10개의 스크류(10)를 필요로 할 경우 한 번에 배출되는 스크류(10)의 수량을 10개로 지정하며, 이렇게 지정된 스크류(10)의 수량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에 등록되어 저장된다.
이의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한 작업 수행을 위한 동작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는 승강부(3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여 스크류저장통(200) 내에 저장된 스크류(10)가 이송안내부(400)의 안내프레임(410)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제어에 의한 승강용실린더(31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연결프레임(320)에 의한 스크류저장통(200)의 상승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스크류저장통(200)이 상승 이동되면 상기 스크류저장통(200) 내에 저장된 스크류(10)들은 이동안내부(400)를 이루는 안내프레임(410)의 상면에 얹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상면에 얹히는 각 스크류(10)들 중 일부는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상기 안내프레임(410) 상면의 수용홈(411) 내에 정확히 수용되는 반면, 다른 일부는 뒤집히거나 눕혀진 상태 등과 같이 부정확하게 수용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상면에 단순히 얹혀진 상태로만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과정에서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진동발생부(430)가 동작되면서 상기 안내프레임(410)을 진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진동발생부(430)를 이루는 캠구동모터(433)의 구동에 의한 진동캠(432)의 편심 회전 및 탄력부재(440)의 탄력 복원력에 의해 이송안내부(400)를 이루는 지지프레임(420)의 전후 유동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러한 지지프레임(420)의 전후 유동에 의한 진동에 의해 안내프레임(410) 역시 전후 유동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상면에 얹힌 스크류(10)의 몸체 부위가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수용홈(411) 내로 정확히 수용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안내프레임(410) 상면이 이루는 경사 구조에 의해 상기 스크류(10)가 안내프레임(410)의 전방으로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이 안내프레임(410)을 따라 이동되는 스크류(10) 중 첨부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수용홈(411) 내로 정확히 수용되지 못하고 눕혀진 상태 혹은, 역으로 세워진 상태의 스크류(10)는 낙하부(700)의 낙하 동작에 의해 해당 안내프레임(410)의 측부로 낙하되면서 상기 스크류저장통(200) 내로 회수된다.
즉, 낙하부(700)를 이루는 구동모터(730)의 정역 구동에 따른 회전샤프트(710)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샤프트(710)에 설치된 브러시(720)가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수용홈(411)에 부정확하게 얹혀진 스크류(10)를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측부로 쓸어내는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계속해서,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수용홈(411) 내에 정확히 수용된 상태로 이동되는 스크류(10)는 상기 낙하부(700)를 통과한 후 상기 안내프레임(410)의 스크류 배출측에 연장된 배출가이드(412)의 안내를 받아 본체케이스(100)의 배출구(120)를 통과하여 스크류배출부(500)의 수용탱크(510) 내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스크류(10)의 배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구(120)의 인접 부위에 위치된 근접센서(610)는 상기 배출되는 스크류(10)를 센싱하여 그 센싱 신호를 제어부로 제공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센싱 신호를 토대로 한 스크류 수량의 카운팅 정보를 디스플레이패널(63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팅된 스크류(10)의 수량을 미리 설정된 수량과 비교하며, 이러한 비교 결과 상기 카운팅된 스크류(10)가 미리 설정된 수량에 도달될 경우에는 스토퍼(620)를 동작시켜 스크류(10)의 이동을 가로막도록 함으로써 더 이상의 스크류 배출이 중단되도록 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전술된 과정에 의해 스크류배출부(500)의 수용탱크(510) 내로 미리 설정된 수량의 스크류(10) 배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첨부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521)의 조작에 의한 배출플레이트(52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수용탱크(510) 내의 스크류(10)를 일괄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정해진 수량의 스크류(10)를 이용한 조립 작업을 수행하며, 이로써 상기 스크류(10)의 잔여 수량을 통대로 해당 작업자는 조립 작업의 완료 여부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크류배출부(500)의 개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리셋스위치(530)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그 신호를 제어부로 제공하게 되고, 이러한 리셋스위치(530)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확인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패널(630)에 디스플레이된 스크류(10) 배출 수량을 리셋함과 더불어 근접센서(610)에 의해 감지된 스크류(10) 배출 수량 역시 리셋되면서 미리 설정된 수량의 스크류(10) 배출이 재수행되도록 승강부(300)와 진동발생부(430) 및 스토퍼(6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결국,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는 스크류저장통(200)이 승강되면서 이송안내부(400)를 이루는 안내프레임(410)의 상면에 상기 스크류저장통(200) 내의 스크류(10)들이 얹힐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의 구조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단가의 절감이 가능함과 더불어 소량 작업 용도로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공급장치는 미리 설정된 수량의 스크류(10)만 스크류배출부(500)의 수용탱크(510) 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렇게 공급된 소정 수량의 스크류(10)는 배출플레이트(520)의 조작에 의해 일괄적인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조립 작업시 조립 부위가 많더라도 잔여 스크류의 수량 확인을 통해 해당 작업자는 조립 누락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100. 본체케이스 110. 스크류 투입구
120. 배출구 130. 가이드프레임
131. 가이드레일 132. 관통슬릿
140. 안내가이드 200. 스크류 저장통
211,212. 측벽 220. 전방벽
230. 후방벽 240. 가이드블럭
300. 승강부 310. 승강용실린더
311. 플런저 320. 연결프레임
400. 이송안내부 410. 안내프레임
411. 수용홈 420. 지지프레임
421. 링크 430. 진동발생부
431. 받침돌기 432. 진동캠
433. 캠구동모터 440. 탄력부재
450. 지지격벽 500. 스크류 배출부
510. 수용탱크 520. 배출플레이트
521. 조작손잡이 530. 리셋스위치
600. 수량카운터부 610. 근접센서
620. 스토퍼 630. 디스플레이패널
700. 낙하부 710. 회전샤프트
720. 브러시 730. 구동모터

Claims (6)

  1. 상면에는 스크류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전방벽과 후방벽 및 두 측벽을 갖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스크류가 저장되는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측벽의 하단측 부위는 저부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이루어진 스크류저장통;
    상기 스크류저장통이 승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부;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상기 스크류저장통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면에는 스크류의 머리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스크류를 본체케이스의 배출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이송안내부;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이송안내부의 안내를 받아 상기 배출구로 배출된 스크류가 임시 저장되는 스크류배출부; 그리고,
    상기 이송안내부를 통해 배출구로 배출되는 스크류의 수량을 카운팅하는 수량 카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케이스 내의 후방측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플런저가 상향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승강용실린더와,
    상기 승강용실린더의 플런저와 상기 스크류저장통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안내부의 양측 벽면으로부터는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스크류저장통의 승강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격벽이 각각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 내의 각 부위 중 상기 이송안내부 상측 공간상에는 상기 이송안내부의 수용홈을 따라 이송되는 스크류 중 부정확하게 얹혀진 스크류를 측부로 낙하시키는 낙하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낙하부는
    상기 이송안내부의 수용홈이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긴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정역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에 설치되면서 상기 이송안내부의 수용홈에 부정확하게 얹혀진 스크류를 측부로 밀어내는 브러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배출부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스크류가 수용되도록 상하로 개방된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의 저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탱크의 개방된 저부를 가로막거나 혹은, 개방하도록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배출부에는 상기 배출플레이트의 동작에 의한 수용탱크 저면이 개방될 경우 상기 배출플레이트에 부딪혀 접점이 온(on)되도록 설치된 리셋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리셋스위치와 수량 카운트부는 서로 연동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상기 리셋스위치의 접점이 온(on)될 경우 상기 수량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배출 스크류의 수량이 리셋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공급장치.
KR1020140166235A 2014-11-26 2014-11-26 스크류 공급장치 KR20160062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235A KR20160062934A (ko) 2014-11-26 2014-11-26 스크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235A KR20160062934A (ko) 2014-11-26 2014-11-26 스크류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934A true KR20160062934A (ko) 2016-06-03

Family

ID=5619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235A KR20160062934A (ko) 2014-11-26 2014-11-26 스크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29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820A (ko) 2018-04-30 2019-11-07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 및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내성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07428B1 (ko) * 2019-08-16 2021-01-25 안종원 볼트의 수직 정렬 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820A (ko) 2018-04-30 2019-11-07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 및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내성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07428B1 (ko) * 2019-08-16 2021-01-25 안종원 볼트의 수직 정렬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1130B2 (ja) 錠剤充填装置
KR100952999B1 (ko) 인서트너트 정렬장치가 구비된 취출인서트 로봇시스템
KR101165489B1 (ko) 정제 충전 장치
KR101481967B1 (ko) 비정형 정제 디스펜싱 장치
CN210943941U (zh) 小型移液枪吸头装载设备
KR101647043B1 (ko)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
CN107499867B (zh) 一种一出二螺钉供料器
JP2006232357A (ja) 錠剤充填装置
CN108792085A (zh) 全自动移液器吸头装填机
KR20090026127A (ko) 캡 공급 장치
KR20160062934A (ko) 스크류 공급장치
US11383864B2 (en) Capsule filling apparatus
JPH08204388A (ja) チップ部品の自動補給装置
JPH08204386A (ja) チップ部品の整列供給装置
KR100847290B1 (ko) 볼트 정량 인입 기능이 구비된 볼트 자동 포장장치
KR101526867B1 (ko) 스크류 공급장치
CN103895996B (zh) 一种自动出药装置
KR200409520Y1 (ko) 비스부재의 공급장치
JP6024842B1 (ja) ねじ収容体、ねじ供給装置及びねじ締結物の製造方法
RU104750U1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с системой точного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CN213998462U (zh) 一种钢球进给装置及钢球进给设备
KR200471964Y1 (ko) 담배 자동 판매기용 담배 공급장치
CN210175184U (zh) 液体分装装置
CN207129621U (zh) 一种一出二螺钉供料器
CN214428001U (zh) 智能化一次性无菌物品耗材管理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