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268A -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268A
KR20160062268A KR1020140164276A KR20140164276A KR20160062268A KR 20160062268 A KR20160062268 A KR 20160062268A KR 1020140164276 A KR1020140164276 A KR 1020140164276A KR 20140164276 A KR20140164276 A KR 20140164276A KR 20160062268 A KR20160062268 A KR 20160062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late
coupled
upper plat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930B1 (ko
Inventor
김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폼
Priority to KR1020140164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9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57Longitudinally-externally threaded elements extending from the concrete or masonry, e.g. anchoring bolt with embedded head
    • E04B1/4164Longitudinally-externally threaded elements extending from the concrete or masonry, e.g. anchoring bolt with embedded head with an adjustment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는, 지주의 측면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는 스킨; 스킨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결합되는 내측모서리가 구비되고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상판; 일측 모서리가 스킨에 결합되고 타측 모서리가 상판에 결합되는 보강대; 보강대에 결합되되 상판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테두리바; 및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합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테두리바 상측에 안착되는 각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킨, 상판, 보강대, 테두리바 및 각목의 결합에 의하여 지주 상측에 콘크리트 슬라브의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테두리바 및 각목에 의하여 합판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CONNECTION APPARATUS OF COLUMN FOR CONCRETE CONSTRUC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형성된 기둥 위에 콘크리트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지주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바닥공사에는 적재하는 하중 및 지질조건에 따라 다양한 설계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설계구조에 의하여 바닥표면의 품질,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건물을 신축하고자 하는 지역의 지질이 양호한 경우, 예컨대 파일 등의 기초가 없더라도 지반을 다진 후에 바닥(Slab)을 직접 시공할 수 있는 경우에는 지주의 시공 없이 콘크리트 슬라브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지질의 지반반력계수가 충분히 강하지 못한 경우에는 파일 등의 기초공사를 한 후 슬라브를 시공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슬라브의 시공과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18952호는 "슬래브와 벽체(기둥) 사이의 시공 접합 공법"을 게시하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83347호는 "기둥구조물 연결부위 시공방법"을 게시하며, 한국 등록특허 제10-1414254호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무량판 슬래브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게시하고 있다.
이처럼, 지주 위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시공과 관련하여 다양한 시공방법이 게시되고 있으나, 기 형성된 지주 위에 콘크리트 슬라브를 형성함에 있어서,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장치(구조물)와 관련하여서는 여전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000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18952호(공개일: 2010.02.18) (000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83347호(공개일: 2010.07.22) (000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14254호(공고일: 2014.07.01)
본 발명의 목적은, 형성된 기둥 위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지주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지주에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지주의 측면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는 스킨; 상기 스킨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결합되는 내측모서리가 구비되고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상판; 일측 모서리가 상기 스킨에 결합되고 타측 모서리가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측판; 일측 모서리가 상기 스킨에 결합되고 타측 모서리가 상기 상판에 결합되되 상기 측판과 이격되는 보강대; 상기 측판 및 보강대에 결합되되 상기 상판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테두리바; 및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합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바 상측에 안착되는 각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측판은, 상기 상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측부; 상기 상측부의 외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하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테두리바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은, 외측모서리를 이루되 하측을 향할수록 상기 지주쪽을 향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바는, 상기 안착부 상측에 안착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목은 상기 절곡부와 수직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평부 또는 수직부에는, 체결유닛이 관통하여 상기 각목에 체결되도록, 관통형성된 테두리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에서, 상기 스킨은, 상기 지주의 일측면을 둘러싸는 제1 스킨과 상기 지주의 타측면을 둘러싸는 제2 스킨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스킨과 제2 스킨은, 각각의 양측 단부가 서로 맞닿아 결합되어 상기 스킨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은, 상기 제1 스킨쪽에 결합되는 제1 상판과 상기 제2 스킨쪽에 결합되는 제2 상판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상판과 제2 상판은, 각각의 단부가 서로 맞닿아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이룰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측판은, 상기 제1 스킨 및 제1 상판에 결합되는 제1 측판과 상기 제2 스킨 및 제2 상판에 결합되는 제2 측판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측판 및 제2 측판에는, 체결유닛이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수평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에서, 상기 지주는 원형(圓形)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이 이루는 면은 상기 지주의 구심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보강대가 이루는 면는 상기 측판이 이루는 면과 평행하거나 직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대는 다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지주의 구심을 향하는 측판 또는 보강대와 멀어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바는 4개로 구비되어 상기 상판의 전, 후, 좌, 우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킨, 상판, 측판, 보강대, 테두리바 및 각목의 결합에 의하여 지주 상측에 콘크리트 슬라브의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테두리바 및 각목에 의하여 합판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에 사용되는 측판 및 보강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에 사용되는 측판(50, 60) 및 보강대(70, 80)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 상판(30, 40)은 투명한 형태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는 스킨(10, 20), 상판(30, 40), 측판(50, 60), 보강대(70, 80), 테두리바(90) 및 각목(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킨(10, 20)은 지주(2)의 측면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며, 지주(2)에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지주(2)의 모양 및 크기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지주(2)가 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스킨(10, 20)은 이에 대응되도록 각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지주(2)가 원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스킨(10, 20)은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스킨(10, 20)은 지주(2)의 상측 부분을 둘러싸면서 결합되며, 지주(2)와의 결합시 스킨(10, 20)의 상단은 지주(2)의 상단과 일치할 수 있고, 또는 지주(2)의 상단보다 약간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스킨(10, 20)은 금속성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킨(10, 20)과 지주(2)가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 콘크리트 못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스킨(10, 20)을 지주(2)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에서 스킨(10, 20)은, 그 자체로 단일의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지주(2)에 결합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킨(10)과 제2 스킨(20)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스킨(10)과 제2 스킨(20)은 각각 (평면도상) 원호 형태로 이루어져, 각각의 단부(12, 22)가 서로 결합되면서 원 모양의 스킨(10, 20)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1 스킨(10)과 제2 스킨(20)은 각각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30, 40)은 스킨(10, 20)의 상측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전체적으로 편평한 판 형태를 이루되, 그 면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판(30, 40)이 이루는 면은 스킨(10, 20)의 접평면과 직교하게 된다.
상판(30, 40)의 위쪽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상판(30, 40)은 가운데 부분이 중공인 도넛 형태를 이루며, 이에 따라 상판(30, 40)에는 스킨(10, 20)의 상단 모서리(11, 21)를 따라 결합되는 내측모서리(31, 41)가 구비된다. 즉, 평면도상 상판(30, 40)의 내측모서리(31, 41)는 스킨(10, 20)의 상단 모서리(11, 21)와 일치하며, 상판(30, 40)의 외측 테두리가 차지하는 면적은 스킨(10, 20)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상판(30, 40)은, 시공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판(30, 40)의 폭은 스킨(10, 20)의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상판(30, 40)의 꼭짓점 부분(32, 42)은 일부 삭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30, 40) 또한 금속성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볼트, 못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스킨(10, 20)과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용접에 의해 스킨(10, 20)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에서 상판(30, 40)은, 그 자체로 단일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스킨(10, 20)에 결합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판(30)과 제2 상판(40)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상판(30)과 제2 상판(40)은 각각 (평면도상) C자 형태로 이루어져, 각각의 단부가 서로 결합되면서 도넛 모양의 하나의 상판(30, 40)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1 상판(30)과 제2 상판(40)은 서로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상판(30)이 제1 스킨(10)에 결합되는 부분이라면, 제2 상판(40)은 제2 스킨(2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측판(50, 60)은 편평한 금속판재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 모서리(56, 66)가 스킨(10, 20)에 결합되고 타측 모서리(52, 2)가 상판(30, 40)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측판(50, 60)이 이루는 면은 지면과 직교하고, 상판(30, 40)이 이루는 면과 직교하며, 아울러 스킨(10, 20)이 이루는 면과 직교한다.(측판(50, 60)은 스킨(10, 20)의 접평면과 직교함)
이러한 측판(50, 60)은 스킨(10, 20)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판(30, 40)의 저면에 위치한다.
측판(50, 60)은 스킨(10, 20)과 상판(30, 40)이 지주(2)상에서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수단이며, 아울러 테두리바(90)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하여, 측판(50, 60)은 상측부(52, 62), 절곡부(53, 63) 및 안착부(54, 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나아가 경사부(55, 6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부(52, 62)는 측판(50, 60)의 가장 위쪽 단부 모서리에 해당되며, 상측부(52, 62)는 전체적으로 상판(30, 40)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측부(52, 62)는 용접에 의하여 상판(30, 40)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절곡부(53, 63)는 상측부(52, 62)의 외측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이다.
안착부(54, 64)는 절곡부(53, 63)의 하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이며, 상측부(52, 62)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착부(54, 64) 상에 테두리바(90)가 안착된다.
이처럼 상측부(52, 62), 절곡부(53, 63) 및 안착부(54, 64)는 계단형태를 이루게 된다.
경사부(55, 65)는 측판(50, 60)의 바깥쪽 모서리 부분이고, 특히 측판(50, 60)의 아래쪽 부분을 이루며, 아래쪽을 향할수록 지주(2) 쪽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측판(50, 60)은 아래쪽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경사부(55, 65)는, 측판(50, 60)에 의한 상판(30, 40)의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측판(50, 60)의 불필요한 중량증가를 배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에서, 지주(2)가 원형(圓形)으로 이루어질 때, 측판(50, 60)이 이루는 면은 지주(2)의 구심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에서 측판(50, 60)은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스킨(10, 20)이 제1 스킨(10)과 제2 스킨(20)으로 구분되고, 상판(30, 40)이 제1 상판(30)과 제2 상판(40)으로 구분되는 경우, 측판(50, 60)은 총 4개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스킨(10) 및 제1 상판(30)에 결합되는 측판이 제1 측판(50)을 이루고, 제2 스킨(20) 및 제2 상판(40)에 결합되는 측판이 제2 측판(60)을 이룬다.
그리고 제1 측판(50) 및 제2 측판(60)에는, 볼트, 못 등의 체결유닛이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수평관통홀(51, 61)이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제1 스킨(10) 및 제1 상판(30)과 제1 측판(50)을 (용접에 의해) 결합시키고, 제2 스킨(20) 및 제2 상판(40)과 제2 측판(60)을 (용접에 의해) 결합시킨 후, 제1 측판(50)과 제2 측판(60) 각각의 수평관통홀(51, 61)을 체결유닛이 관통하면서 제1 측판(50)과 제2 측판(60)이 면접촉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킨(10, 20), 상판(30, 40) 및 측판(50, 60)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지주(2)에의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보강대(70, 80)는 편평한 금속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 모서리가 스킨(10, 20)에 결합되고 타측 모서리가 상판(30, 40)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보강대(70, 80)가 이루는 면은 지면과 직교하고, 상판(30, 40)이 이루는 면과 직교하며, 아울러 스킨(10, 20)이 이루는 면과 직교한다.(보강대(70, 80)는 스킨(10, 20)의 접평면과 직교함)
이러한 보강대(70, 80)는 스킨(10, 20)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판(30, 40)의 저면에 위치한다.
보강대(70, 80)는, 측판(50, 60)과 더불어 스킨(10, 20)과 상판(30, 40)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수단이며, 아울러 테두리바(90)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하여 보강대(70, 80)는, 상측부(52, 62), 절곡부(53, 63), 안착부(54, 64) 및 경사부(55, 65)를 포함하는 측판(50, 60)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참조)
보강대(70, 80)는 내측 단부가 스킨(10, 20)에 결합되고 외측 단부가 바깥쪽으로 연장되는데, 보강대(70, 80)의 외측 단부는 측판(50, 60)의 외측 단부가 형성된 지점과 일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측판(50, 60)과 멀리 떨어진 보강대(70, 80) 일수록 그 폭은 증가한다.(도 4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에서 보강대(70, 80)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지주(2)가 원형(圓形)으로 이루어질 때, 보강대(70, 80)가 이루는 면은 측판(50, 60)이 이루는 면과 평행하거나 직교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보강대(70, 80)는, 지주(2)의 구심을 향하는 측판(50, 60) 또는 보강대(70, 80)와 멀어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스킨(10, 20) 및 상판(30, 40)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각 보강대(70, 80)에서의 지지력이 균등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스킨(10, 20)이 제1 스킨(10)과 제2 스킨(20)으로 구분되고, 상판(30, 40)이 제1 상판(30)과 제2 상판(40)으로 구분되는 경우, 다수개로 구비되는 보강대(70, 80)는 제1 스킨(10) 쪽에 결합되는 보강대(70, 71, 72)와 제2 스킨(20) 쪽에 결합되는 보강대(80, 81, 8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때 서로 대칭된 형태를 이룬다.
테두리바(90)는 금속성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직선 형태를 이루며, 상판(30, 40)의 모서리를 따라 결합된다. 특히 테두리바(90)는 측판(50, 60) 및 보강대(70, 80) 상측에 안착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판(30, 40)이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때, 테두리바(90)는 4개로 구비되어, 상판(30, 40)의 전, 후, 좌, 우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2 개의 테두리바(90)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판(30, 40)의 다른 쪽 모서리 상에도 테두리바(9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바(90)는 수평부(92) 및 수직부(91)로 구분될 수 있고, 측판(50, 60) 및 보강대(70, 80)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수평부(92)는 수평방향으로 편평한 면을 이루며 측판(50, 60)의 안착부(54, 64) 상에 안착된다. 수평부(92) 또는 수직부(91)에는, 볼트, 못과 같은 체결유닛이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 테두리관통홀(93)이 구비된다. 테두리관통홀(93)을 통해 체결유닛을 체결하여 테두리바(90)에 각목(100)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테두리관통홀(93)은 수평부(9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될 수 있고, 각 테두리관통홀(93)은 일정한 간격을 이룰 수 있다.
수직부(91)는 수직방향으로 편평한 면을 이루며, 수평부(92)의 외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에서, 테두리바(90)는 측판(50, 60)과 보강대(70, 80)와 결합되면서 전체적으로 안정된 틀을 유지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목(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각목(100)은, 그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합판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테두리바(90) 상측에 안착된다. 각목(100)과 합판의 결합은 볼트, 못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목(100)은 단면이 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측판(50, 60)의 절곡부(53, 63)와 테두리바(90)의 수직부(91) 사이에 꼭 맞게 개재된다. 평면도상 각목(100)은, 상판(30, 40)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게 된다.
각목(100)은 테두리바(90)와 같은 수(數)로 이루어지며, 같은 길이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1)에 의하면, 스킨(10, 20), 상판(30, 40), 측판(50, 60), 보강대(70, 80), 테두리바(90) 및 각목(100)의 결합에 의하여 지주(2) 상측에 콘크리트 슬라브의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테두리바(90) 및 각목(100)에 의하여 합판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스킨(10, 20), 상판(30, 40), 측판(50, 60) 및 보강대(70, 80)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2 : 지주
10 : 제1 스킨
20 : 제2 스킨 30 : 제1 상판
40 : 제2 상판 50 : 제1 측판
51, 61 : 수평관통홀 52, 62 : 상측부
53, 63 : 절곡부 54, 64 : 안착부
55, 65 : 경사부 60 : 제2 측판
70, 80 : 보강대 90 : 테두리바
91 : 수직부 92 : 수평부
93 : 테두리관통홀 100 : 각목

Claims (9)

  1. 지주의 측면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는 스킨;
    상기 스킨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결합되는 내측모서리가 구비되고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상판;
    일측 모서리가 상기 스킨에 결합되고 타측 모서리가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보강대;
    상기 보강대에 결합되되 상기 상판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테두리바; 및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합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바 상측에 안착되는 각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 모서리가 상기 스킨에 결합되고 타측 모서리가 상기 상판에 결합되되 상기 보강대와 이격되는 측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판은,
    상기 상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측부;
    상기 상측부의 외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하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테두리바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외측모서리를 이루되 하측을 향할수록 상기 지주쪽을 향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바는,
    상기 안착부 상측에 안착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목은 상기 절곡부와 수직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은, 상기 지주의 일측면을 둘러싸는 제1 스킨과 상기 지주의 타측면을 둘러싸는 제2 스킨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스킨과 제2 스킨은, 각각의 양측 단부가 서로 맞닿아 결합되어 상기 스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제1 스킨쪽에 결합되는 제1 상판과 상기 제2 스킨쪽에 결합되는 제2 상판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상판과 제2 상판은, 각각의 단부가 서로 맞닿아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기 제1 스킨 및 제1 상판에 결합되는 제1 측판과 상기 제2 스킨 및 제2 상판에 결합되는 제2 측판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측판 및 제2 측판에는, 체결유닛이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수평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원형(圓形)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이 이루는 면은 상기 지주의 구심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보강대가 이루는 면는 상기 측판이 이루는 면과 평행하거나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다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지주의 구심을 향하는 측판 또는 보강대와 멀어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KR1020140164276A 2014-11-24 2014-11-24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KR101654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276A KR101654930B1 (ko) 2014-11-24 2014-11-24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276A KR101654930B1 (ko) 2014-11-24 2014-11-24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268A true KR20160062268A (ko) 2016-06-02
KR101654930B1 KR101654930B1 (ko) 2016-09-07

Family

ID=5613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276A KR101654930B1 (ko) 2014-11-24 2014-11-24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9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382A (ko) * 2004-11-08 2006-05-12 (주)태양건설 목재 데크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 설치 구조
KR20100018952A (ko) 2008-08-08 2010-02-18 두우균 슬래브와 벽체(기둥) 사이의 시공 접합 공법
KR20100018877A (ko) * 2008-08-07 2010-02-18 주식회사 아이스트 건축물의 수직 골조부와 피씨거더부재의 연결구조 및 그시공 방법
KR20100083347A (ko) 2009-01-13 2010-07-22 (주)네오크로스구조엔지니어링 기둥구조물 연결부위 시공방법
KR20120102321A (ko) * 2011-03-08 2012-09-18 김승원 접합부에서의 전단결합 증진 구조를 가지는 그라우트-재킷을 이용한 기둥의 접합구조 및 이를 위한 받침장치
KR101414254B1 (ko) 2013-04-17 2014-07-01 신우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무량판 슬래브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382A (ko) * 2004-11-08 2006-05-12 (주)태양건설 목재 데크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 설치 구조
KR20100018877A (ko) * 2008-08-07 2010-02-18 주식회사 아이스트 건축물의 수직 골조부와 피씨거더부재의 연결구조 및 그시공 방법
KR20100018952A (ko) 2008-08-08 2010-02-18 두우균 슬래브와 벽체(기둥) 사이의 시공 접합 공법
KR20100083347A (ko) 2009-01-13 2010-07-22 (주)네오크로스구조엔지니어링 기둥구조물 연결부위 시공방법
KR20120102321A (ko) * 2011-03-08 2012-09-18 김승원 접합부에서의 전단결합 증진 구조를 가지는 그라우트-재킷을 이용한 기둥의 접합구조 및 이를 위한 받침장치
KR101414254B1 (ko) 2013-04-17 2014-07-01 신우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무량판 슬래브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930B1 (ko)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WO2013182997A1 (en) Building unit and modular unit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such building units
KR101654930B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KR20170057064A (ko) 절단 브리지형 펀칭전단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의 시공방법
KR101216557B1 (ko) Pc보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보 생산방법
WO2016203483A1 (en) Composite framing and wall
KR100608097B1 (ko) 건축물 기둥 보강 구조
JP2015101873A (ja) スラブ内の型枠支持部材
JP3189413U (ja) 残存型枠
JP6383532B2 (ja) 既存構造物の免震化方法
CN107740511B (zh) 一种模块墙系统
JP3177005U (ja) 自走式駐車場と、それを使用する仮設住宅施設
JP6713768B2 (ja) 壁構造体
JP6816941B2 (ja) 免震建物の基礎構造
JP6401751B2 (ja) 仮設壁
JPS6015790B2 (ja) 構造物の築造法
JP2007303214A (ja) 木製壁
KR20190088865A (ko) 운반과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평상
CN214615101U (zh) 一种钢结构悬挑楼梯
JP2004124485A (ja) 型枠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使用した建築構造物に対する床面や梁材等の造成工法
JP2004238984A (ja) 擁壁用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気泡混合軽量盛土工法
JP2017071902A (ja) 建物ユニットの固定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6639822B2 (ja) 墓石
JP2017528626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および型枠支持ブラケット
JP3109877U (ja) 免震基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