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662A -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 Google Patents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662A
KR20160061662A KR1020140164283A KR20140164283A KR20160061662A KR 20160061662 A KR20160061662 A KR 20160061662A KR 1020140164283 A KR1020140164283 A KR 1020140164283A KR 20140164283 A KR20140164283 A KR 20140164283A KR 20160061662 A KR20160061662 A KR 20160061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pace
disposed
unit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557B1 (ko
Inventor
김진한
Original Assignee
김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한 filed Critical 김진한
Priority to KR102014016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5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으며, 상기 작동공간을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으로 분할하도록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부공간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기어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작동기어부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상기 연동기어가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격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원발생부와, 상기 전원발생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무선 송신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기어부는 상기 연동기어와 치합되는 작동기어와, 상기 작동기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단부가 상기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발생부는 감싸면서 배치되며, 내주연에 자성체부가 마련된 회전캡으로 이루어져, 전원 공급과 신호 전송을 위한 배선 최소화로 시간 및 비용 절감되고, 기존 및 신축 건물 설치시 간단한 화재 감시 시설의 구축이 가능하며, 기존의 화재 감시 센서 및 고가의 화상 카메라, 불꽃 감지기를 대체할 수 있는 있으며, 화재, 지진, 붕괴, 압력 변화 등을 감지하여 재난 및 안전을 미리 경보조치 할 수 있는 부분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 Fire Detector }
본 발명은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과 신호 전송을 위한 배선 최소화로 시간 및 비용 절감되고, 기존 및 신축 건물 설치시 간단한 화재 감시 시설의 구축이 가능하며, 기존의 화재 감시 센서 및 고가의 화상 카메라, 불꽃 감지기를 대체할 수 있는 있으며, 화재, 지진, 붕괴, 압력 변화 등을 감지하여 재난 및 안전을 미리 경보조치 할 수 있는 부분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등에는 화재 예방을 위한 장치나 화재 발생시 진화를 하기 위한 장비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기존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감지 센서부에 전원을 상시 공급하고 있으므로 베터리를 사용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방식인바, 배선상의 단선이나 누전에 따라 전원공급이 차단되거나 배터리 내장형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터리의 방전 문제가 발생한다. 그로인해 실제 화재등의 재난 상황이 일어났을 경우 제때에 동작을 하지 못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화재 예방을 위한 장치 중에는 화재의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기와,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발생을 알리는 경보와 함께 소화전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하여 화재경보등이 소화전의 상부에 설치된다.
화재 감지기는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 10-2000-0066616 호 에서와 같이 광원, 측정챔버 및 광 수용기, 온도 센서 및 전자 평가기를 가지는 광모듈로 구성되어, 화제 발생시 온도 센서가 가열된 온도를 감지하여 측정챔버 및 전자 평가기로 그 정보를 전송하여 광모듈을 통해 그 신호를 외부에 알리게 된다.
최근에는 화제신호를 음향으로 알리거나 중앙관제센터에 유선신호를 전송하여 알려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재 감지기는 화제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화제 신호를 전달받는 측정캠버 및 전자 평가기가 매선된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화재 감지기의 설치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화재 감지기의 위치변경이 어려우며 유지보수비용이 과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배선 사용시의 단선이나 누전 및 정전등의 문제점과 시간에 흐름에 따른 배터리 방전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무전원 상태에서 화제를 감지하여 자가 발전되는 전원으로 화제신호를 무선송출할 수 있어, 누전 및 정전 시에도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고 배터리의 교체가 필요 없으며 신호체계가 무선화되어 거리의 제한 없이 화제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으며, 상기 작동공간을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으로 분할하도록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부공간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기어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작동기어부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상기 연동기어가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격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원발생부와, 상기 전원발생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무선 송신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기어부는 상기 연동기어와 치합되는 작동기어와, 상기 작동기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단부가 상기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발생부는 감싸면서 배치되며, 내주연에 자성체부가 마련된 회전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발생부는 상기 격벽의 상부에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돌부와, 상기 체결돌부들을 연결하며 권취되는 코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단부가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안내축과, 상기 안내축의 하부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측 저면에 고정시키는 열감지부와, 상기 안내축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체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연동기어와 치압되는 제어기어와, 상기 격벽의 하부에 상단부가 지지되게 상기 체결공간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외장 안테나가 체결되도록 상기 전원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장 안테나 소켓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삼각뿔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안내축의 하부가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축을 고정시키는 열감지부가 배치되며, 상기 안내축의 하부에는 환형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에는 작동밴드가 체결되되, 상기 작동밴드의 하단부에는 작동링이 더 체결되며 상기 작동링의 상단부는 상기 열감지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 및 제어기어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롤러베어링이 더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하부에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지지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베어링의 관통홀에는 상기 열감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열감지부에는 상기 안내축의 하부가 배치되어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베어링이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가압볼트가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는 전원 공급과 신호 전송을 위한 배선 최소화로 시간 및 비용 절감되고, 기존 및 신축 건물 설치시 간단한 화재 감시 시설의 구축이 가능하며, 기존의 화재 감시 센서 및 고가의 화상 카메라, 불꽃 감지기를 대체할 수 있는 있으며, 화재, 지진, 붕괴, 압력 변화 등을 감지하여 재난 및 안전을 미리 경보조치 할 수 있는 부분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누전 및 정전 시에도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고 배터리의 교체가 필요 없으며 신호체계가 무선화되어 거리의 제한 없이 화제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평면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평면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10)(이하 설명의 편의상 화재 감지기라 명명함)는 화재 발생시 열을 감지한 후 자가 발전하여 화재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화재 감지기(10)는 하우징본체(20)와 동력전달부(30)와 제어부(40)와 전원발생부(50)와 무선 송신부(60)와 덮개(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 본체(2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작동공간(21)을 갖으며, 상기 작동공간(21)을 하부공간(22)과 상부공간(23)으로 분할하도록 내부에 격벽(24)이 내면에 접착 또는 융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20)에는 외장 안테나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발(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장 안테나 소켓(23)이 더 설치되며, 상기 안테나 소켓(25)은 상기 무선 송신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소켓(25)에 전원이 공급됨과 아울러 상기 무선 송신부(60)에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외장 안테나를 통해 화재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부(30)는 상기 하부공간(22)에 배치되는 압축된 코일스프링(31)과, 회전기어(321)와 외면에 걸림홈(322a)이 형성된 축(3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기어부(32)와, 상기 회전기어부(32)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연동기어(33)와, 상기 연동기어(33)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작동기어부(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동기어(33)는 하부기어(331)와 상부기어(33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기어(331)는 상기 회전기어부(32)의 회전기어(321)와 치합되고 상기 상부기어(332)는 상기 작동기어부(34)와 치합된다.
이때, 상기 작동기어부(34)는 상기 연동기어(33)와 치합되는 작동기어(341)와, 상기 작동기어(34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단부가 상기 상부공간(23)에 배치되고 회전축(342)과 상기 회전축(342)의 상부에 접착 또는 융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전원발생부(50)를 감싸면서 배치되며, 외벽의 내주연에 자성체부(343a)가 마련된 회전캡(3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성체부(343a)는 상기 회전캡(343)의 내주연에 접착 또는 융착되는 다수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회전캡(343)의 회전에 의해 후술될 전원발생부의 코일에서 전기가 발생되도록 음극을 나타내는 자성체와 양극을 나타내는 자성체가 순차적으로 교차되게 상기 회전캡(343)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일을 감싸면서 회전되어 전기가 발생되는 구조이면 회전캡(343)에 고정되는 자성체의 배치는 어떤 형태의 배치구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된 코일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해 순차적으로 회전기어(321), 연동기어(33) 및 작동기어(341)가 회전되면서 회전캡(343)이 회전되어, 회전캡(343)에 설치된 자성체부(343a)가 후술될 전원발생부(50)의 코일을 감싸면서 회전되어 코일에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되고, 발생된 전기로 무선송신부(6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31)은 회전되어 압축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억지끼움된 후 고정되거나 융착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축(322)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홈(322a)에 걸림,고정되어, 상기 축이 회전되도록 상기 걸림홈(322a)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홈(322a)을 도 2에서와 같이 축(322)의 중앙이 아닌 외측(측부)에 형성되어 코일스프링(31)이 걸림홈(322a)을 가압시 축(322)이 회전된다.
또한, 상기 회전기어(321)와 상기 연동기어(33) 및 상기 작동기어(341)는 상기 격벽(24)에 마련되는 홈들에 체결된 베어링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회전기어(321)에 체결되는 축(322)은 상기 격벽(24)과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측저면을 연결하며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내측저면에는 상기 회전기어(321)에 체결된 축 하부(322)가 체결되도록 베어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연동기어(33)가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부(40)는 상단부가 상기 격벽(24)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안내축(41)과, 상기 안내축(41)의 하부를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내측 저면에 고정시키는 열감지부(42)와, 상기 안내축(41)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체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연동기어(33)를 고정시키도록 연동기어(33)와 치합되는 일단이 막힌 관구조의 제어기어(43)와, 상기 격벽(24)의 하부에 상단부가 지지되게 상기 체결공간에 배치되는 압축된 탄성스프링(4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기어(43)의 하부는 관통한 안내축에 융착 또는 접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20)에는 상기 열감지부(42)가 녹게되면 상기 탄성스프링(4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안내축(41)의 하단부가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르게는 안내축(41)의 하단부가 인입되도록 하우징 본체(20)의 내측저면에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안내축(41)이 관통하여 하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연동기어에서 분리되는 제어기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절곡된 패널구조의 지지대를 하우징 본체에 더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20)에는 상기 열감지부(42) 및 안내축(41)의 하부가 배치되도록 저면에 홈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열감지부(42)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납,주석,카드뮴이 사용되며, 뉴턴합금이나 우드메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열기에 의해 녹는 재질의 것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즉, 화재가 발생하는 그 열기에 의해 열감지부(42)가 녹게 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해 순차적으로 회전기어(341) 및 연동기어(33)가 회전되면서 제어기어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탄성스프링(4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어기어(43)과 안내축(41)이 함께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연동기어와 제어기어가 분리된다.
이후, 연동기어(33)와 치합된 작동기어(341)와 회전캡(343)이 회전하면서 자성체부가 후술될 코일(54)을 감싸면서 회전되어 발생되는 전기가 무선송신부로 전달되어 화제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전원발생부(50)는 상기 격벽(24)의 상부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캡(343)와 함께 회전하는 자성체부(343a)에 의해 전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전원 발생부(50)는 상기 격벽(24)의 상부에 형성되는 목부(51)와, 상기 목부(51)의 상부에 형성되는 헤드(52)와, 상기 헤드(52)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돌부(53)와, 상기 체결돌부(53)들에 권취됨과 아울러 상기 체결돌부들을 연결하는 코일(54)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선 송신부(60)는 상기 전원발생부(50)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무선송신부(60)는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격벽(24)의 설치홈에 끼움되어 접착 또는 융착고정되고 상기 전기발생부(50)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기발생부(50)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화제신호를 중앙제어장치에 송출하여, 화재발생 상황을 알리게 된다.
상기 덮개(70)는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며 나사 체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하부에는 삼각뿔 형상의 관통공(2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6)에는 상기 안내축(41)의 하부가 관통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축(41)을 고정시키는 열감지부(42)가 배치되며, 상기 안내축의 하부에는 환형의 지지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411)에는 작동밴드(412)가 체결되되, 상기 작동밴드(80)의 하단부에는 작동링(413)이 더 체결되며 상기 작동링(413)의 상단부는 상기 열감지부(42)의 내부에 배치되어, 화제시 사용자가 작동링(413)을 잡아당기거나 회전시켜 열감지부(42)를 관통공(26) 하부로 분리시킴과 아울러 잡아당겨 제어기어(43)를 연동기어(33)에서 분리시킴으로서, 화제발생시 열감지부(42)가 녹기전에 화제신호를 신속하게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20)에는 상기 탄성스프링(44)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롤러베어링(80)이 더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20)에는 내측하부에 안착홈(27)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7)에는 지지베어링(90)이 억지끼움 또는 융착고정되고, 상기 지지베어링(90)의 관통홀(91)에는 상기 열감지부(42)가 배치되고, 상기 열감지부(42)에는 상기 안내축(41)의 하부가 배치되어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베어링(90)이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가압볼트(90)가 더 체결되어, 열감지부(42)가 녹는 과정에서 안내축(41)이 걸림되거나 열감지부(42)가 부분적으로 녹아 안내축(41)이 하향으로 이동되지 못할경우 사용자가 상기 가압볼트(28)를 회전(가압을 해지)시키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31)의 탄성에 따른 상기 연동기어(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어기어(43), 상기 안내축(41) 및 탄성스프링(44)이 회전되는데 상기 롤러베어링(80)과 상기 지지베어링(90)에 의해 상기 열감지부(42)도 녹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안내축(41)과 함께 걸림없이 원활히 회전되면서 순차적으로 회전캡(343)이 회전되어 발생된 전원으로 화제신호를 송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볼트(28)는 상기 지지베어링(90) 또는 열감지부(42)는 가압하여 지지베어링(90)이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지지베어링(90) 또는 열감지부(42)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가압볼트(28)의 상단부를 상기 홈에 끼워 걸림되게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롤러베어링(80)은 스러스터 롤러베어링이다.
10 : 화재 감지기 20 : 하우징본체
30 : 동력전달부 40 : 제어부
50 : 전원발생부 60 : 무선 송신부
70 : 덮개 80 : 롤러베어링
90 : 지지베어링
21 : 작동공간 22 : 하부공간
23 : 상부공간 24 : 격벽
25 : 안테나 소켓 26 : 관통공
27 : 안착홈 28 : 가압볼트
31 : 코일스프링 32 : 회전기어부
321 : 회전기어 322 : 축
322a : 걸림홈 33 : 연동기어
331 : 하부기어 332 : 상부기어
34 : 작동기어부 341 : 작동기어
342 : 회전축 343 : 회전캡
343a : 자성체부
41 : 안내축 411 : 지지홈
412 : 작동밴드 413 : 작동링
42 : 열감지부
43 : 제어기어 44 : 탄성스프링
51 : 목부 52 : 헤드
53 : 체결돌부 54 : 코일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으며, 상기 작동공간을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으로 분할하도록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본체;
    상기 하부공간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기어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작동기어부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
    상기 연동기어가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격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원발생부;
    상기 전원발생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기어부는 상기 연동기어와 치합되는 작동기어와, 상기 작동기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단부가 상기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발생부는 감싸면서 배치되며, 내주연에 자성체부가 마련된 회전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부는 상기 격벽의 상부에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돌부와, 상기 체결돌부들을 연결하며 권취되는 코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단부가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안내축과, 상기 안내축의 하부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측 저면에 고정시키는 열감지부와, 상기 안내축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체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연동기어와 치압되는 제어기어와, 상기 격벽의 하부에 상단부가 지지되게 상기 체결공간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외장 안테나가 체결되도록 상기 전원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장 안테나 소켓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삼각뿔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안내축의 하부가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축을 고정시키는 열감지부가 배치되며, 상기 안내축의 하부에는 환형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에는 작동밴드가 체결되되, 상기 작동밴드의 하단부에는 작동링이 더 체결되며 상기 작동링의 상단부는 상기 열감지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 및 제어기어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롤러베어링이 더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하부에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지지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베어링의 관통홀에는 상기 열감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열감지부에는 상기 안내축의 하부가 배치되어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베어링이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가압볼트가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KR1020140164283A 2014-11-24 2014-11-24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KR10163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283A KR101638557B1 (ko) 2014-11-24 2014-11-24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283A KR101638557B1 (ko) 2014-11-24 2014-11-24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662A true KR20160061662A (ko) 2016-06-01
KR101638557B1 KR101638557B1 (ko) 2016-07-11

Family

ID=5613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283A KR101638557B1 (ko) 2014-11-24 2014-11-24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5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447B1 (ko) * 2020-02-03 2020-09-0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무전원 정온식감지 송수신 시스템
KR102187784B1 (ko) * 2019-11-28 2020-12-07 삼우산기 주식회사 유리 벌브 작동에 의해 동작하는 자가발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유리 벌브 기반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203286B1 (ko) * 2020-06-24 2021-01-1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가스밸브 무선원격 개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03287B1 (ko) * 2020-06-24 2021-01-1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유리벌브형 무선 정온식 감지기
KR20220067223A (ko) * 2020-11-17 2022-05-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화재감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898A (ko) * 2002-05-15 2003-11-21 이호준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JP2005284930A (ja) * 2004-03-30 2005-10-13 Nohmi Bosai Ltd 電池レス配線レス火災検出器
JP2006268546A (ja) * 2005-03-24 2006-10-05 Nohmi Bosai Ltd 火災感知器
KR20110023327A (ko) * 2009-08-31 2011-03-08 김문수 단독형 자동 화재 경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898A (ko) * 2002-05-15 2003-11-21 이호준 비축전지가 내장되는 화재감지장치
JP2005284930A (ja) * 2004-03-30 2005-10-13 Nohmi Bosai Ltd 電池レス配線レス火災検出器
JP2006268546A (ja) * 2005-03-24 2006-10-05 Nohmi Bosai Ltd 火災感知器
KR20110023327A (ko) * 2009-08-31 2011-03-08 김문수 단독형 자동 화재 경보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784B1 (ko) * 2019-11-28 2020-12-07 삼우산기 주식회사 유리 벌브 작동에 의해 동작하는 자가발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유리 벌브 기반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152447B1 (ko) * 2020-02-03 2020-09-0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무전원 정온식감지 송수신 시스템
WO2021157808A1 (ko) * 2020-02-03 2021-08-12 엠피아 주식회사 자가발전 무전원 정온식감지 송수신 시스템
US11854362B2 (en) 2020-02-03 2023-12-26 Mpia Co., Lt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lf-powered power-free fixed temperature type fire detection
KR102203286B1 (ko) * 2020-06-24 2021-01-1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가스밸브 무선원격 개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03287B1 (ko) * 2020-06-24 2021-01-1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유리벌브형 무선 정온식 감지기
WO2021261661A1 (ko) * 2020-06-24 2021-12-30 엠피아 주식회사 자가발전 가스밸브 무선원격 개폐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67223A (ko) * 2020-11-17 2022-05-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화재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557B1 (ko)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557B1 (ko)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JP5102225B2 (ja) 手動プロセストランスミッタ
KR101684374B1 (ko)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JP2015005312A (ja) 防災端末装置
JP2015198518A (ja) 分電盤
KR101439267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KR101774195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화재감지시스템
KR102152447B1 (ko) 자가발전 무전원 정온식감지 송수신 시스템
JP6890054B2 (ja) 消火器誘導システム、火災報知器用アダプタおよび消火器用アダプタ
JP5536512B2 (ja) 多機能操作装置及び警報器
KR101924854B1 (ko) 화재감지용 다기능 수신기
KR101667565B1 (ko) 무선송출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KR102203286B1 (ko) 자가발전 가스밸브 무선원격 개폐 모니터링 시스템
JP6771357B2 (ja) 火災感知器用充電器及び充電機能付火災感知器用作動試験器
CN212433916U (zh) 一种高层建筑电缆竖井防电气火灾警示装置
JP5844841B2 (ja) 警報器
KR200464821Y1 (ko) 스마트 단독형 화재 감지기
CN211294118U (zh) 一种智能报警装置
JP2013192308A (ja) 過熱検知システム
KR101482179B1 (ko) 화재감지기
JP2013120522A (ja) 警報器
JP6055216B2 (ja) 告知放送受信機
CN205596206U (zh) 一种防爆摄像一体机
JP6296388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分電盤並びに管理システム
KR20160133600A (ko) 무전원 무선 화재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