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022A -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022A
KR20160061022A KR1020140163376A KR20140163376A KR20160061022A KR 20160061022 A KR20160061022 A KR 20160061022A KR 1020140163376 A KR1020140163376 A KR 1020140163376A KR 20140163376 A KR20140163376 A KR 20140163376A KR 20160061022 A KR20160061022 A KR 20160061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ilm
steel sheet
lay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663B1 (ko
Inventor
김호정
이연수
이원영
최우찬
함영범
Original Assignee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3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6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지강판 상에 화성피막층을 형성시키는 침지 수단; 상기 침지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화성피막층 상에 도료 조성물을 코팅하는 제1 코팅 수단; 상기 제1 코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도료 조성물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는 제2 코팅 수단; 상기 제2 코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접착제 조성물 상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라미네이팅 수단; 및 상기 라미네이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의 상면을 가압하여 입체 패턴을 형성시키는 패터닝 수단;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SYSTEM FOR MANUFACTURING LAMINATED STEEL SHEET HAVING THREE DIMENSIONAL PATTE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품의 표면 상에 입체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고분자 또는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또는 박막 상에 엠보스를 형성하여 가공품의 표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필름의 제조 공정, 강판의 도장 공정, 및 필름과 강판의 결합 공정이 각각 분리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연속 공정이 불가능하여 생산 단가가 매우 높다.
최근 들어, 강판의 표면에 입체 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소지강판 상에 엠보스를 형성한 다음 순차적으로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통용되고 있으나, 홀로그램과 같은 미세한 입체 패턴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필요하다.
또한, 도막을 후막화하여 도막에 입체 패턴을 형성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도료의 탄성에 기인한 복원력에 의해 홀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미세한 입체 패턴을 형성하기 어렵고, 소지강판에 상대적으로 큰 압력을 가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강판의 표면을 가압하여 입체 패턴을 형성시키는 방법 외에, 강판의 표면을 화학 물질을 이용하여 식각하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연속 공정이 불가능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산세액 등과 같은 산업 폐기물의 처리가 문제시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판의 도막에 선명한 입체 패턴을 구현하면서도 생산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지강판 상에 화성피막층을 형성시키는 침지 수단; 상기 침지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화성피막층 상에 도료 조성물을 코팅하는 제1 코팅 수단; 상기 제1 코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도료 조성물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는 제2 코팅 수단; 상기 제2 코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접착제 조성물 상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라미네이팅 수단; 및 상기 라미네이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의 상면을 가압하여 입체 패턴을 형성시키는 패터닝 수단;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팅 수단이 각각 롤 코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료 조성물이 불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의 함량이 상기 도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60중량% 내지 80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인 주수지, 및 불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수지의 함량이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5중량% 내지 95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 수단 및 상기 패터닝 수단이 각각 라미네이팅 롤 및 엠보스 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 롤이 고무 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스티렌(PS)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 조성물과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경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화 수단의 온도가 200℃ 내지 300℃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고, (a) 소지강판 상에 화성피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화성피막층 상에 도료 조성물을 코팅하여 하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c) 상기 하도 도막층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접착층 상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필름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하도 도막층, 상기 접착층, 및 상기 필름에 입체 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은, 접착층 상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라미네이팅 수단과 입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패터닝 수단을 연속 공정 라인에 도입함으로써, 입체 패턴 형성 시 필름과 접착층 사이에 기포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강판의 표면에 미세한 입체 패턴을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a 내지 e 각 구간에서의 강판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a 내지 e 각 구간에서의 강판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이, 소지강판(11) 상에 화성피막층(12)을 형성시키는 침지 수단(110); 상기 침지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화성피막층 상에 도료 조성물(13)을 코팅하는 제1 코팅 수단(120); 상기 제1 코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도료 조성물 상에 접착제 조성물(14)을 코팅하는 제2 코팅 수단(130); 상기 제2 코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접착제 조성물 상에 필름(20)을 부착시키는 라미네이팅 수단(150); 및 상기 라미네이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의 상면을 가압하여 입체 패턴(15, 16)을 형성시키는 패터닝 수단(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지 수단(110)은 소지강판(11) 상에 크로메이트 또는 논-크로메이트 화성피막층(12)을 형성시킴으로써, 소지강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지강판(11)과 도료 조성물(13)로 이루어진 하도 도막층 간의 부착력 또는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지강판을 알칼리 탈지제로 세정하고 그 표면에 크로메이트를 피막 처리하여 화성피막층을 형성할 수 있고, 용도에 따라 가전용으로 제조 시 논-크로메이트 화성피막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소지강판(11)으로는, 예를 들어, 금속판체 자체, 또는 그 위에 아연-알루미늄-실리카 합금용융도금, 전기 및 용융 아연도금과 같이 공지의 도금층이 형성된 것 또는 구리, 알루미늄, 동, 및 스테인리스 원판 등의 공지의 금속판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코팅 수단(120, 130)이 각각 롤 코터, 바 코터, 스프레이 코터, 및 그라비아 코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이 연속 공정 라인에서 최적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 코팅 수단이 각각 롤 코터일 수 있다.
상기 롤 코터는 도료 조성물 또는 접착제 조성물을 저장하는 팬, 상기 팬으로부터 도료 조성물 또는 접착제 조성물을 끌어올리는 픽업 롤, 및 상기 픽업 롤으로부터 도료 조성물 또는 접착제 조성물을 전달받아 피도체에 코팅시키는 전사 롤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픽업 롤과 상기 전사 롤 사이에서 도료 조성물 또는 접착제 조성물을 전달하는 전이 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롤을 통해 전달되는 도료 조성물 또는 접착제 조성물의 양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픽업 롤과 상기 전이 롤이 각각 판 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료 조성물(13)이 경화되어 상기 라미네이트 강판의 층상 구조 중 하도 도막층(1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료 조성물(13)이 불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불소 수지의 함량이 상기 도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60중량% 내지 8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불소 수지의 함량이 60중량% 미만이면 하도 도막층의 연성이 저하되어 가압에 의한 입체 패턴이 형성되기 어렵고, 80중량% 초과이면 하부의 화성피막층(12)과 상부의 접착제 조성물(13) 간의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불소 수지는, 예를 들어, 불소(F) 원자를 2개 함유한 열가소성, 결정성 고분자인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 수지(PVdF, Poly-Vinyliden di-Fluoride)일 수 있고, 이는 분자량이 크고 내용제성이 우수하여 상온에서 용제에 쉽게 용해하지 않는 안정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접착제 조성물(14)이 경화되어 상기 라미네이트 강판의 층상 구조 중 접착층(1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인 주수지, 및 불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주수지의 함량이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5중량% 내지 9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주수지의 함량이 85중량% 미만이면 하부의 하도 도막층(13)과 상부의 필름(20) 간의 부착력이 저하되어 후술할 입체 패턴 형성 시 다량 또는 다수의 기포가 발생할 수 있고, 95중량% 초과이면 접착층의 연성이 저하되어 가압에 의한 입체 패턴이 형성되기 어렵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일 성분으로 함유된 상기 불소 수지로는, 불소 수지를 주수지로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로 이루어진 하도 도막층과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도료 조성물에 일 성분으로 함유된 불소 수지와 동일한 것이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불소(F) 원자를 2개 함유한 열가소성, 결정성 고분자인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 수지(PVdF, Poly-Vinyliden di-Fluoride)일 수 있고, 이는 분자량이 크고 내용제성이 우수하여 상온에서 용제에 쉽게 용해하지 않는 안정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라미네이팅 수단(150)은 상기 제2 코팅 수단(130)의 하류에 설치된 라미네이팅 롤일 수 있고, 상기 접착제 조성물 또는 상기 접착층(14) 상에 필름(20)을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팅 롤은 필름 송급 롤(140)으로부터 송급된 필름을 접착층의 상면에 부착하는 상부 롤(151)과, 소지강판(11), 화성피막층(12), 하도 도막층(13), 및 접착층(14)을 포함하는 피착체를 공정 라인을 따라 이동시키는 하부 롤(15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부 롤과 상기 하부 롤은 금속 또는 고무,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스티렌(PS)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패터닝 수단(160)은 상기 라미네이팅 수단(150)의 하류에 설치된 엠보스 롤일 수 있고, 상기 엠보스 롤은 상기 필름(20)이 부착된 라미네이트 강판의 상면을 가압하여 돌출부(15)와 요입부(16)를 포함하는 입체 패턴(15, 16)을 형성시키는 상부 롤(161)과, 소지강판(11), 화성피막층(12), 하도 도막층(13), 접착층(14), 및 필름(20)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을 공정 라인을 따라 이동시키는 하부 롤(1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엠보스 롤의 상기 상부 롤(161)은 그 표면에 수요자가 원하는 형상의 입체 패턴의 돌출부와 요입부가 역상(reverse)으로 각인된 금속 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롤(162)으로 고무 롤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상부 롤(161)의 가압(압하) 시 상하좌우의 압력 편차를 완화하여 입체 패턴의 깊이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고, 하도 도막층, 접착층, 또는 필름의 손상 또는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이 상기 제2 코팅 수단(130)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 조성물(13)과 상기 접착제 조성물(14)을 경화시키는 경화 수단(17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화 수단으로는 오븐(oven)과 같은 공지의 가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화 수단(170)의 온도가 200℃ 내지 300℃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경화 수단(170)의 온도가 200℃ 미만이면 도료 조성물과 접착제 조성물의 연성이 저하되어 이들 각각으로 이루어진 하도 도막층과 접착층에 가압에 의한 입체 패턴이 형성되기 어렵고, 300℃ 초과이면 도료 조성물과 접착제 조성물의 연성이 과도하게 높아져 입체 패턴 형성 시 다량 또는 다수의 기포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모가 과다해져 공정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이, 상기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고, (a) 소지강판 상에 화성피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100); (b) 상기 화성피막층 상에 도료 조성물을 코팅하여 하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200); (c) 상기 하도 도막층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300); (d) 상기 접착층 상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단계(S400); 및 (e) 상기 필름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하도 도막층, 상기 접착층, 및 상기 필름에 입체 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은, (d) 상기 접착층 상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단계(S400); 및 (e) 상기 필름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하도 도막층, 상기 접착층, 및 상기 필름에 입체 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S500)를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입체 패턴 형성 시 상기 필름과 상기 접착층 간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라미네이트 강판의 표면에 미세한 입체 패턴을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소지강판(11), 화성피막층(12), 도료 조성물(하도 도막층)(13), 접착제 조성물(접착층)(14), 필름(20), 입체 패턴(15, 16)의 종류, 성질, 및 이들 각각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 또는 장치에 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GI(용융아연 도금강판)를 크로메이트계 용액에 침지하여 면적 밀도 80mg/m2의 화성피막층을 형성하고, 주수지로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를 70중량%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제1 롤 코터로 코팅하여 두께 20㎛의 하도 도막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주수지로 폴리에스테르를 95중량%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2 롤 코터로 코팅하여 두께 7㎛의 접착층을 형성하고, 라미네이팅 롤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부착한 후, 엠보스 롤을 이용하여 필름의 상면을 가압하여 표면에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라미네이팅 롤을 제외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면, 즉, 엠보스 롤 만으로 필름을 부착하고 입체 패턴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기포 발생 여부 등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라미네이트 강판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필름의 상태, 기포 발생 여부, 필름의 부착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필름 상태 기포 부착성
실시예1
비교예 1 X X X
(상대적 평가기준: ◎ 우수, ○ 양호, △ 보통, X 불량)
표 1을 참조하면, 라미네이팅 롤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해, 강판 최외각의 필름이 손상되었고(찢어짐), 필름 하부에 다수의 기포가 관찰되어 필름과 접착층 간의 부착성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접착층 형성 후, 필름 부착 전 단계에서, 피착체를 온도가 200℃로 설정된 오븐에 투입하여 도료 조성물과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킨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오븐의 온도를 220℃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오븐의 온도를 240℃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오븐의 온도를 160℃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오븐의 온도를 180℃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기포 발생 여부 등
상기 실시예 2, 3, 4, 및 비교예 2, 3에 따라 제조된 라미네이트 강판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입체 패턴의 선명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입체 무늬 선명도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2
비교예 3 X
(상대적 평가기준: ◎ 우수, ○ 양호, △ 보통, X 불량)
표 2를 참조하면, 오븐의 온도가 200℃ 미만인 비교예 2, 3의 경우, 실시예 2, 3, 4에 비해, 강판 최외각에서 관찰되는 입체 무늬의 선명도가 현저히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피착체
11: 소지강판
12: 화성피막층
13: 도료 조성물, 하도 도막층
14: 접착제 조성물, 접착층
15, 16: 입체 패턴
20: 필름
110: 침지 수단
120: 제1 코팅 수단
130: 제2 코팅 수단
140: 필름 송급 수단
150: 라미네이팅 수단
160: 패터닝 수단
170: 경화 수단

Claims (12)

  1. 소지강판 상에 화성피막층을 형성시키는 침지 수단;
    상기 침지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화성피막층 상에 도료 조성물을 코팅하는 제1 코팅 수단;
    상기 제1 코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도료 조성물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는 제2 코팅 수단;
    상기 제2 코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접착제 조성물 상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라미네이팅 수단; 및
    상기 라미네이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의 상면을 가압하여 입체 패턴을 형성시키는 패터닝 수단;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팅 수단이 각각 롤 코터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조성물이 불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의 함량이 상기 도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60중량% 내지 80중량%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인 주수지, 및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수지의 함량이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5중량% 내지 95중량%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 수단 및 상기 패터닝 수단이 각각 라미네이팅 롤 및 엠보스 롤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 롤이 고무 롤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스티렌(PS)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 수단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 조성물과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경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수단의 온도가 200℃ 내지 300℃의 범위로 조절되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고,
    (a) 소지강판 상에 화성피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화성피막층 상에 도료 조성물을 코팅하여 하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c) 상기 하도 도막층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접착층 상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필름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하도 도막층, 상기 접착층, 및 상기 필름에 입체 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140163376A 2014-11-21 2014-11-21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 KR101632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376A KR101632663B1 (ko) 2014-11-21 2014-11-21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376A KR101632663B1 (ko) 2014-11-21 2014-11-21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022A true KR20160061022A (ko) 2016-05-31
KR101632663B1 KR101632663B1 (ko) 2016-06-22

Family

ID=5609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376A KR101632663B1 (ko) 2014-11-21 2014-11-21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6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377A (ko) * 2014-02-17 2015-08-26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소 인쇄판과 그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239357B1 (ko) * 2019-10-28 2021-04-13 동국제강주식회사 입체패턴을 갖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KR20210050393A (ko) * 2019-10-28 2021-05-07 동국제강주식회사 전사필름을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CN114274667A (zh) * 2021-12-22 2022-04-05 福建思嘉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磨夹网布立体花纹加工制备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3552A (zh) * 2016-12-26 2017-05-31 东丽酒伊织染(南通)有限公司 一种羽绒面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757A (ja) * 1992-01-10 1993-07-27 Sumitomo Metal Ind Ltd ラミネート金属板用接着剤組成物
KR20130006959A (ko) * 2011-06-28 2013-01-18 디케이동신주식회사 필름표면에 헤어라인 처리된 필름을 적층한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66313A (ko) * 2012-11-23 2014-06-02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도막 엠보스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5195A (ko) * 2013-04-18 2014-10-28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757A (ja) * 1992-01-10 1993-07-27 Sumitomo Metal Ind Ltd ラミネート金属板用接着剤組成物
KR20130006959A (ko) * 2011-06-28 2013-01-18 디케이동신주식회사 필름표면에 헤어라인 처리된 필름을 적층한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66313A (ko) * 2012-11-23 2014-06-02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도막 엠보스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5195A (ko) * 2013-04-18 2014-10-28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377A (ko) * 2014-02-17 2015-08-26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소 인쇄판과 그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239357B1 (ko) * 2019-10-28 2021-04-13 동국제강주식회사 입체패턴을 갖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KR20210050393A (ko) * 2019-10-28 2021-05-07 동국제강주식회사 전사필름을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CN114274667A (zh) * 2021-12-22 2022-04-05 福建思嘉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磨夹网布立体花纹加工制备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663B1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663B1 (ko)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
WO2008060582A3 (en) Coated substrates, organometallic films and methods for applying organometallic films to substrates
JP2007513813A5 (ko)
EP2374612A8 (en) Surface metal film material, process for producing surface metal film material, process for producing metal pattern material, and metal pattern material
JP2005514515A (ja) 微小構造化剥離ライナ
EP2280096A4 (en) METAL MATERIAL WITH BISMUTH FILM ATTACHED THERETO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URFACE TREATING LIQUID USED IN SAID PROCESS AND CATIONIC ELECTROLYTIC DEPOSITION COATED META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1670744A (zh) 一种装饰膜及其制作方法
CN107206739B (zh) 真空热成型用装饰片及使用其形成的物品、真空热成型用装饰片的制备方法
KR100769056B1 (ko) 적층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4299384A (ja) 保護シート付き加飾シートおよ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WO2017131681A1 (en) Metal-p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KR102239357B1 (ko) 입체패턴을 갖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JP2012082267A (ja) マスキングフィルム支持体
JP2015227486A (ja) めっき用マスキングフィルム支持体及びこれを用いたマスキングフィルム
CN106414639A (zh) 粘合片
JP3008073B2 (ja) 有機被膜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66145B1 (ko)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JP4813772B2 (ja) 粗面部を有する樹脂被覆金属板の製造方法
KR101528844B1 (ko) 코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료의 코팅방법
KR20090082801A (ko) Sus 질감을 구현한 인테리어 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4248230B2 (ja) 金属表面化粧材とこれを用いたインサート成形品
EP3725518A1 (en) Laminated steel having extremely low interface bubble 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457900B1 (ko) 실리콘 적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457736B1 (ko) 표면 마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67737B1 (ko) 전사필름을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