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457A - 소화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소화 훈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457A
KR20160059457A KR1020157007559A KR20157007559A KR20160059457A KR 20160059457 A KR20160059457 A KR 20160059457A KR 1020157007559 A KR1020157007559 A KR 1020157007559A KR 20157007559 A KR20157007559 A KR 20157007559A KR 20160059457 A KR20160059457 A KR 20160059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mbustion
burner
main body
combus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6444B1 (ko
Inventor
고이치 이케마츠
마리오 이와카타
다카유키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치보우
고오요오산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치보우, 고오요오산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치보우
Publication of KR20160059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장치 본체(1)의 수용부(1a)에 수용된 수중에 가스 방출관(4)이 침지되고, 이 가스 방출관(4)으로부터 수중에 방출되고 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부상한 연소 가스를 연소시키도록 한 소화 훈련 장치에 있어서, 수용부(1a) 내에 복수의 가스 버너(7)를 설치한다. 가스 버너(7)는, 그곳으로부터 상방으로 상승하는 연소염의 높이가 수면으로 부상한 연소 가스에 의한 연소염보다 높아지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소화 훈련 장치{FIRE EXTINGUISHING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화재의 소화 작업의 훈련을 위해 사용되는 소화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 훈련 장치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물 등의 불연성의 액체를 수용하는 장치 본체와, 액체 중에 연소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 방출관과, 점화 플러그를 구비하고 있다. 연소 가스가 가스 방출관으로부터 액체 중에 방출되면, 그 연소 가스는 수중을 부상하여 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나온다. 이 연소 가스가 점화 플러그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이 연소염에 대해 소화 작업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소화 작업의 훈련이 행해진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40501호 공보
상기 종래의 소화 훈련 장치에 있어서는, 연소염의 높이가 수평 방향의 각 부에 있어서 대략 동일하다. 그런데, 실제의 화재에 있어서 발생하는 연소염의 높이는, 수평 방향의 각 부에 있어서 차가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소화 훈련 장치로 훈련할 수 있는 소화 작업은, 실제의 소화 작업과는 크게 다르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되고, 또한 내부에 불연성의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설치된 장치 본체와, 연소 가스를 상기 액체 중에 방출하는 가스 방출관과, 상기 가스 방출관으로부터 상기 액체 중으로 방출되어 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부상한 연소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 수단을 구비한 소화 훈련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부를 상기 액체의 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상방을 향해 연소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 버너와, 이 가스 버너로부터 방출되는 연소 가스를 점화하는 제2 점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스 버너로부터 방출된 연소 가스의 연소염의 상기 액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액면으로부터 부상한 연소 가스의 연소염의 상기 액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상기 가스 버너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점화 수단이, 상기 액면으로부터 부상하여 상기 점화 수단에 의해 점화된 상기 연소 가스의 연소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 방출관과 상기 가스 버너는, 동일한 연소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연소 가스가 공급되어도 되고, 서로 다른 연소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연소 가스가 공급되어도 된다.
상기 특징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버너로부터 방출된 가스의 연소염의 액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액면으로부터 부상한 가스의 연소염의 높이보다 높다. 즉, 수용부의 개구부로부터 상승하는 연소염의 높이가, 수평 방향의 각 부에서 다른 높이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소화 훈련 장치에 의하면, 훈련자는 실제의 화재 등에 가까운 상태로 소화 작업을 체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연소 가스가 연소된 상태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X-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Y 화살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 4와 동일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 4와 동일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의 소화 훈련 장치(A)는, 장치 본체(1)를 갖고 있다. 장치 본체(1)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내열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 본체(1)의 내부가 수용부(1a)로 되어 있다. 수용부(1a)에는, 불연성 액체의 1종인 물이 소정의 깊이까지 수용되어 있다. 장치 본체(1)는, 상부를 개방시키는 한,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이나 원형 등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수용부(1a)에 수용되는 액체는, 불연성이라면 물 이외의 액체여도 된다.
장치 본체(1)의 하면의 긴 방향의 일단부(도 1에 있어서 좌측 단부;이하, 선단부라고 함)에는, 한 쌍의 캐스터(2, 2)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캐스터(2, 2)는, 장치 본체(1)의 선단부의 짧은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캐스터(2)는, 차륜(2a)을 갖고 있다. 차륜(2a)은, 장치 본체(1)의 짧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장치 본체(1)의 하면의 긴 방향의 타단부(도 1에 있어서 우측 단부; 이하, 기단부라고 함)에는, 한 쌍의 지지축(3, 3)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3, 3)은, 장치 본체(1)의 짧은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지지축(3)은, 그 긴 방향을 상하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 상단부가 장치 본체(1)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3)의 하단부면은, 차륜(2a)의 하단부 테두리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축(3, 3)의 하단부면을 수평한 바닥면 등에 적재하면, 장치 본체(1)가 캐스터(2, 2) 및 지지축(3, 3)에 의해 수평하게 지지된다. 또한, 지지축(3, 3)의 하단부면과 바닥면 등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에 의해, 장치 본체(1)가 위치 고정된다. 한편, 장치 본체(1)의 기단부를 약간 들어올려, 지지축(3, 3)을 바닥면 등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장치 본체(1)를 캐스터(2, 2)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장치 본체(1)의 긴 방향을 따르는 측벽의 기단부에는, 당해 측벽을 관통하는 창 구멍(1b)이 형성되어 있다. 창 구멍(1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소 가스가 연소될 때에 외부의 공기를 수용부(1a)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창 구멍(1b)은, 그와 같은 공기 도입의 기능에 추가하여, 수용부(1a)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한다고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수용부(1a)에 수용된 물의 수면이 창 구멍(1b)의 하단부 테두리보다 상측에 위치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만큼의 물이 창 구멍(1b)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된다. 이에 의해, 수용부(1a)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가, 창 구멍(1b)의 하단부 테두리에 대해 동등 이하로 유지되어 있다. 창 구멍(1b)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정사각형이나 원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창 구멍(1b)에 추가하여, 또는 그것에 대신하여 긴 방향을 따르는 측벽의 선단부나 짧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에 형성해도 된다.
수용부(1a)의 내부에는, 가스 방출관(4)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방출관(4)은, 그 긴 방향을 장치 본체(1)의 긴 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장치 본체(1)의 짧은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방출관(4)의 선단부(도 1에 있어서 좌측 단부)는, 장치 본체(1)의 저벽에 브래킷(5)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가스 방출관(4)의 타단부는, 장치 본체(1)의 기단부측의 측벽에 후술하는 배관(6)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방출관(4)은, 수용부(1a)에 수용된 수중에 침지되도록, 창 구멍(1b)의 하단부 테두리(수면)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 방출관(4)의 주위 벽부에는, 당해 주위 벽부를 관통하는 방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 방출관(4)에 연소 가스가 공급되면, 그 연소 가스가 방출 구멍으로부터 수중으로 방출된다. 수중으로 방출된 연소 가스는, 수중을 부상하여 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나온다. 수면으로부터 나온 연소 가스는, 후술하는 불씨에 의해 점화되어, 계속해서 연소된다. 이때, 장치 본체(1)의 외부의 공기가 창 구멍(1b)을 통해 수용부(1a) 내로 도입된다. 또한, 가스 방출관(4)으로부터 수중으로 방출시키는 연소 가스로서는, 종래의 소화 훈련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연소 가스와 동일한 가스, 예를 들어 LP 가스가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a)의 내부에는, 복수의 가스 버너(7)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버너(7)는, 가스 방출관(4)의 양측에, 그것도 가스 방출관(4)과 평행한 직선상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스 방출관(4)에 대해 한쪽에 배치된 가스 버너(7)와, 다른 쪽에 배치된 가스 버너(7)는, 가스 방출관(4)의 긴 방향[장치 본체(1)의 긴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스 버너(7)는, 반드시 상기와 같이 배치할 필요가 없고, 예를 들어 하나의 원주 상에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시켜 배치해도 된다.
가스 버너(7)는, 버너 본체(7a)를 갖고 있다. 버너 본체(7a)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축선을 상하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버너 본체(7a)의 하단부는, 저부에 의해 폐쇄되고,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버너 본체(7a)의 하단부는, 수면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버너 본체(7a) 전체가 수면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버너 본체(7a)는, 반드시 그 전체를 수면보다 상방에 위치시킬 필요는 없고, 하단부를 수면보다 하측에 위치시켜도 된다. 한편, 버너 본체(7a)의 상단부면은, 장치 본체(1)의 상단부면보다 약간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 버너 본체(7a)의 상단부면은, 장치 본체(1)의 상단부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켜도 되고, 장치 본체(1)의 상단부면보다 약간 상측에 위치시켜도 된다.
버너 본체(7a)의 하단부는, 장치 본체(1)의 저벽에 지지관(8)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관(8)은, 버너 본체(7a)를 장치 본체(1)에 고정할 뿐만 아니라, 가스 버너(7)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으로서 기능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너 본체(7a)의 하단부의 중앙에는, 노즐 구멍(7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노즐 구멍(7b)은, 지지관(8)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관(8)에 가스가 공급되면, 노즐 구멍(7b)으로부터 가스가 상방을 향해 버너 본체(7a) 내에 방출되고, 또한 버너 본체(7a)의 상단부 개구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방출된다. 버너 본체(7a)로부터 상방으로 방출된 가스는, 수면으로부터 부상한 연소 가스의 연소염에 의해 점화된다.
버너 본체(7a)로부터 방출된 가스가 연소되었을 때, 그 연소염의 수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가스 방출관(4)으로부터 수중으로 방출되어 수면으로부터 부상한 가스가 연소되었을 때의 불꽃의 높이보다 높아진다. 그로 인해, 이 실시 형태의 가스 버너(7)는, 다음의 두 개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두 개의 조건은, 동시에 만족시킬 필요가 없고, 어느 한쪽만을 만족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가스 버너(7)에 의한 연소염의 높이를 수면으로부터 부상한 가스에 의한 연소염의 높이보다 높게 하기 위한 조건은, 그와 같은 그 두 개의 조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조건은, 버너 본체(7a)의 상단부 개구부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단위 면적당 가스의 유량과, 수면으로부터 부상한 가스의 단위 면적당 가스의 유량이 동일한 것으로 했을 때, 버너 본체(7a)의 상단부를 수면보다 상방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버너 본체(7a)로부터 방출된 가스의 연소염은, 수면으로 부상한 가스의 연소염보다 버너 본체(7a)의 상단부가 수면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있는 분만큼 높아진다. 가스 버너(7)의 연소염의 높이가 수면으로 부상한 가스의 연소염보다 높아지는 한, 버너 본체(7a)로부터 방출되는 단위 면적당 가스의 양을 수면으로부터 부상한 가스의 단위 면적당 가스의 유량보다 약간 적게 해도 된다.
제2 조건은, 버너 본체(7a)의 상단부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단위 면적당 가스의 유량을, 수면으로부터 부상한 가스의 단위 면적당 가스의 유량을 많게 하는 것이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다음의 두 개의 방법이 있다. 하나의 방법은, 가스의 농도를 바꾸는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구멍(7b)의 내경이 가스 방출관(4)에 형성된 방출 구멍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설정되어, 버너 본체(7a)의 상단부 개구부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농도가, 수면으로 부상한 가스의 농도보다 짙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하나의 방법은, 버너 본체(7a)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유속을, 수면으로부터 부상한 가스의 상방으로의 유속보다 빠르게 하는 것이다.
버너 본체(7a)의 하단부에는, 버너 본체(7a)의 주위 벽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공기 도입구(7c)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도입구(7c)는, 노즐 구멍(7b)의 상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노즐 구멍(7b)으로부터 가스가 방출되면, 수용부(1a) 내의 공기가 공기 도입구(7c)로부터 버너 본체(7a) 내로 흡입된다. 그 결과, 버너 본체(7a)로부터 방출된 가스가 양호한 상태에서 연소된다. 공기 도입구(7c)는, 노즐 구멍(7b)의 상단부와 동등한 위치에 배치해도 되고, 노즐 구멍(7b)보다 약간 상방에 배치해도 된다.
가스 방출관(4) 및 가스 버너(7)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가스가 공급된다. 즉, 장치 본체(1)의 하면의 기단부에는, 헤더(9)가 설치되어 있다. 이 헤더(9)는, 배관(10)을 통해 컨트롤 유닛(CU)에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 유닛(CU)은, 가스 공급 장치(G)에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 유닛(CU)은, 컨트롤러(C)에 의해 제어된다. 즉, 컨트롤러(C)의 연소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하면, 컨트롤 유닛(CU)이 개방 상태로 되어, 가스 공급 장치(G)의 연소 가스가 컨트롤 유닛(CU) 및 배관(10)을 통해 헤더(9)에 공급된다.
헤더(9)에는, 상기 배관(6)의 지지관부(6a)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지지관부(6a)의 중간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의 기단부측의 측벽에 관통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관부(6a)의 장치 본체(1)의 내부, 즉 수용부(1a)의 내부에 들어간 선단부에는, 3방향 분기관(6b)의 중간부가 접속되어 있다. 3방향 분기관(6b)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스 통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 통로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지지관부(6a)가 접속되어 있다. 가스 통로의 상단부는, 3방향 분기관(6b)의 상단부에 형성된 점화구(도시하지 않음)에 연통되어 있다. 점화구는, 수면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3방향 분기관(6b)의 가스 통로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스 방출관(4)의 기단부가 엘보우(6c)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헤더(9)에 연소 가스가 공급되면, 그 연소 가스의 일부가 점화구로부터 상방을 향해 방출됨과 함께, 연소 가스의 일부가 가스 방출관(4)으로부터 수중에 방출된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9)에는, 가스 버너(7)와 동일수의 연통관(11)의 각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연통관(11)의 각 타단부는, 지지관(8)의 각 하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헤더(9)에 연소 가스가 공급되면, 그 연소 가스의 일부가 연통관(11) 및 지지관(8)을 통해 각 가스 버너(7)에 공급된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의 하면의 짧은 방향의 양단부에는, 장치 본체(1)의 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호벽부(1c, 1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벽부(1c, 1c)는, 그들 사이에 헤더(9) 및 연통관(11)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헤더(9) 및 연통관(11)이 보호되어 있다. 보호벽부(1c, 1c)의 선단부 사이 및 기단부 사이에도 보호벽부를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의 기단부에는 점화 유닛(12)이 설치되어 있다. 점화 유닛(12)은, 커버(12a)를 갖고 있다. 커버(12a)는, 장치 본체(1)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그 일단부(도 1에 있어서 좌측 단부)가 장치 본체(1)의 기단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커버(12a)의 일단부는, 하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부를 통해 수용부(1a)의 기단부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 방출관(4)으로부터 수중에 가스가 방출되면, 그 가스의 일부가 커버(12a)의 일단부 내에 들어간다. 또한, 커버(12a)의 일단부는, 점화구와 상하로 대향하고 있다.
커버(12a)의 일단부 내에는, 점화 플러그(12b)가 설치되어 있다. 점화 플러그(12b)는, 이그나이터(12d)를 통해 컨트롤 유닛(CU)에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C)의 연소 버튼을 누르는 등의 조작이 행해지면, 컨트롤 유닛(CU)으로부터 점화 플러그(12b)로 점화용의 전류가 일정한 시간(예를 들어, 10초간)만큼 단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점화 플러그(12b)의 한 쌍의 전극(12c, 12c)(도 3 참조) 사이에서 불꽃 방전된다.
도 1 및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점화 플러그(12b)의 전극(12c, 12c)은, 점화구의 대략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C)의 연소 버튼의 조작에 의해, 연소 가스의 일부가 점화구로부터 상방으로 방출됨과 동시에, 점화 플러그(12b)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점화구로부터 상방으로 방출된 연소 가스가 전극(12c, 12c) 사이의 불꽃 방전에 의해 착화되고, 불씨로 되어 계속해서 연소된다. 이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점화 유닛(12)과 3방향 분기관(6b)의 점화구에 의해 점화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헤더(9)에 공급된 연소 가스의 일부는, 배관(6)을 통해 가스 방출관(4)에 공급된다. 가스 방출관(4)에 공급된 연소 가스는, 가스 방출관(4)으로부터 수중에 방출되고, 수중을 부상하여 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나온다. 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부상한 연소 가스는, 불씨에 의해 착화되어 연소된다.
헤더(9)에 공급된 연소 가스의 나머지의 일부는, 연통관(11)을 통해 가스 버너(7)에 공급된다. 가스 버너(7)에 공급된 연소 가스는, 버너 본체(7a)로부터 상방으로 방출된다. 이 연소 가스는, 수면으로부터 부상한 연소 가스의 연소염에 의해 착화된다. 이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수면으로부터 부상한 연소 가스의 연소염이 가스 버너(7)로부터 방출되는 연소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제2 점화 수단으로서 사용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C)에는, 조절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조절 스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헤더(9)로의 연소 가스의 공급량을 증감시킬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연소염의 양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소 가스의 연소에 대해서는, 컨트롤러(C)에 의해 각종 제어가 행해지지만, 그 제어 내용 및 방법은,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아니고, 공지한 것과 동일해도 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의 소화 훈련 장치(A)에 있어서, 컨트롤러(C)의 연소 버튼을 조작하면, 헤더(9)에 연소 가스가 공급된다. 헤더(9)에 공급된 연소 가스의 일부는, 점화구로부터 상방으로 방출된다. 이와 동시에 점화 플러그(12b)의 전극(12c, 12c) 사이에 있어서 불꽃 방전된다. 이 불꽃 방전에 의해, 점화구로부터 방출된 연소 가스가 점화되고, 불씨로 되어 계속해서 연소된다.
헤더(9)에 공급된 연소 가스의 일부는, 가스 방출관(4)으로부터 수중에 방출된다. 이 연소 가스는, 수중을 부상하여 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나온다. 그러면, 불씨에 의해 점화되고, 연소염으로 되어 계속해서 연소된다. 이 연소염의 높이는 수평 방향의 각 부에서 대략 일정해진다.
헤더(9)에 공급된 연소 가스의 나머지는, 연통관(11)을 통해 가스 버너(7)에 공급된다. 가스 버너(7)에 공급된 연소 가스는, 버너 본체(7a)의 상단부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방출된다. 그러면, 수면으로부터 상승하는 연소 가스의 연소염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가스 버너(7)로부터 상승하는 연소염의 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수면으로부터 상승하는 연소염의 높이보다 높다. 따라서, 수용부(1a) 전체에서는, 수용부(1a)로부터 상승하는 연소염의 높이가, 수평 방향의 각 부에서 다른 높이로 된다. 따라서, 소화 체험을 하는 것은, 실제의 화재에 가까운 상태에서 소화 작업을 행할 수 있어, 보다 의미있는 소화 체험을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스 방출관(4)에 복수의 분기관(4a)을 설치한 것이다. 모든 분기관(4a)은, 가스 방출관(4)으로부터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체 분기관(4a) 중 일부의 분기관(4a)은, 가스 방출관(4)으로부터 일측부측(도 6에 있어서 상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당해 한쪽의 분기관(4a)은, 이것과 동일측에 배치된 가스 버너(7)에 대해, 가스 방출관(4)의 긴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나머지 분기관(4a)은, 가스 방출관(4)으로부터 타측부측(도 6에 있어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그 나머지 분기관(4a)은, 이것과 동일측에 배치된 가스 버너(7)에 대해 가스 방출관(4)의 긴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스 방출관(4) 대신에, 가스 방출관(4A)이 사용되어 있다. 가스 방출관(4A)은, 장치 본체(1)의 측벽부의 내면을 따라서 환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스 방출관(4A)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에 모든 가스 버너(7)가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가스 방출관(4) 또는 도 6에 도시하는 가스 방출관(4) 및 분기관(4a)과 조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형예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점화구, 가스 방출관(4) 및 가스 버너(7)에 대해 가스 공급 장치(G)와 컨트롤 유닛(CU)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연료 공급원에 의해 연소 가스를 공급하고 있지만, 컨트롤 유닛(CU)에 배관(10)을 대신하는 3개의 배관을 설치하고, 각 배관을 점화구, 가스 방출관(4) 및 가스 버너(7)에 각각 접속해도 된다. 그와 같이 하면, 점화구, 가스 방출관(4) 및 가스 버너(7)에 공급하는 가스의 공급량을 각각 별개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유닛(CU)에 배관(10)을 대신하는 2개의 배관을 설치하고, 한쪽의 배관을 점화구 및 가스 방출관(4)에 접속하고, 다른 쪽의 배관을 가스 버너(7)에 접속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가스 공급 장치(G) 및 컨트롤 유닛(CU) 중, 가스 방출관(4)에 접속된 배관으로 연소 가스를 공급하는 부분이, 가스 방출관(4)으로의 연소 가스 공급원으로 되고, 가스 버너(7)에 접속되는 배관으로 연소 가스를 공급하는 부분이, 가스 버너(7)로의 연소 가스 공급원으로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면에 부상한 연소 가스의 연소염이 가스 버너(7)로부터 방출되는 연소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 수단(제2 점화 수단)으로서 사용되어 있지만, 가스 버너(7)로부터 방출되는 연소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 수단으로서 점화 플러그(12b)와 같은 점화 수단을 가스 버너(7) 또는 그 근방의 장치 본체(1)에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과, 가스 방출관(4) 및 가스 버너(7)로의 가스 공급원을 개별로 설치한다는 구성을 조합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연소 형태로서, 가스 방출관(4)으로부터 수중에 방출된 연소 가스만을 연소시키는 형태와, 가스 버너(7)로부터 방출된 연소 가스만을 연소시키는 형태와, 가스 방출관(4) 및 가스 버너(7)의 양자로부터 방출된 연소 가스를 동시에 연소시키는 형태의 3개의 연소 형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A : 소화 훈련 장치
CU : 컨트롤 유닛(연소 가스 공급원)
G : 가스 공급 장치(연소 가스 공급원)
1 : 장치 본체
1a : 수용부
4 : 가스 방출관
4A : 가스 방출관
7 : 가스 버너
12b : 점화 플러그(점화 수단)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고, 또한 내부에 불연성의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부(1a)가 설치된 장치 본체(1)와, 연소 가스를 상기 액체 중에 방출하는 가스 방출관(4, 4A)과, 상기 가스 방출관(4, 4A)으로부터 상기 액체 중에 방출되어 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부상한 연소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 수단(12)을 구비한 소화 훈련 장치(A)에 있어서,
    적어도 상부를 상기 액체의 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수용부(1a) 내에 설치되고, 상방을 향해 연소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 버너(7)와, 이 가스 버너(7)로부터 방출되는 연소 가스를 점화하는 제2 점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스 버너(7)로부터 방출된 연소 가스의 연소염의 상기 액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액면으로부터 부상한 연소 가스의 연소염의 상기 액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상기 가스 버너(7)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훈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점화 수단이, 상기 액면으로부터 부상하여 상기 점화 수단(12)에 의해 점화된 상기 연소 가스의 연소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훈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방출관(4, 4A)과 상기 가스 버너(7)에 동일한 연소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연소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훈련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방출관(4, 4A)과 상기 가스 버너(7)에는 서로 다른 연소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연소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훈련 장치.
KR1020157007559A 2014-10-21 2014-10-21 소화 훈련 장치 KR101776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7908 WO2016063339A1 (ja) 2014-10-21 2014-10-21 消火訓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457A true KR20160059457A (ko) 2016-05-26
KR101776444B1 KR101776444B1 (ko) 2017-09-07

Family

ID=5576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559A KR101776444B1 (ko) 2014-10-21 2014-10-21 소화 훈련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76444B1 (ko)
CN (1) CN105992620B (ko)
WO (1) WO20160633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0942A (ja) * 2018-07-31 2020-02-06 株式会社ニチボウ 消火体験装置
KR102622317B1 (ko) * 2023-09-20 2024-01-08 주식회사 올비솔루션 수면에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화재 상황 재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8009B3 (de) * 2017-08-25 2019-02-28 Dräger Safety AG & Co. KGaA Brandwanne für einen Brenner für Simulationsflammen in Brandsimulationsanlagen, Brenner sowie Brandsimulationsanlage
KR102405420B1 (ko) 2021-10-21 2022-06-07 나라기업 주식회사 소방 훈련을 위한 트레일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1692B2 (ja) * 1991-10-07 1996-05-29 シントロン・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消火活動訓練装置
JP3369107B2 (ja) * 1998-05-18 2003-01-20 東京瓦斯株式会社 燃焼装置
US6192881B1 (en) * 1998-12-30 2001-02-27 Ronald Scott Nix Portable fireplace
US6802718B2 (en) * 2002-04-19 2004-10-12 Kidde Fire Trainers Inc. Fuel spill firefighter trainer
CN1938735B (zh) * 2004-03-10 2012-05-30 伦塞勒工艺研究所 用于灭火的训练装置、方法、系统和用于明火训练的方法
US7744373B2 (en) * 2006-08-02 2010-06-29 Kidde Fire Trainers, Inc. Dispersion burner for firefighter training
JP2010210878A (ja) * 2009-03-10 2010-09-24 Ogawa Jin 消火体験装置
CN202075268U (zh) * 2011-05-23 2011-12-14 广东出入境检验检疫局检验检疫技术中心 气体燃烧试验装置
CN102254463A (zh) * 2011-06-22 2011-11-23 长春工程学院 消防灭火训练机
JP6182373B2 (ja) * 2012-08-30 2017-08-16 株式会社ニチボウ 消火体験装置
CN103388833B (zh) * 2013-07-25 2015-12-09 广州市建筑材料工业研究所有限公司 一种同时控制火焰形状和火焰温度的装置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0942A (ja) * 2018-07-31 2020-02-06 株式会社ニチボウ 消火体験装置
KR102622317B1 (ko) * 2023-09-20 2024-01-08 주식회사 올비솔루션 수면에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화재 상황 재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92620A (zh) 2016-10-05
CN105992620B (zh) 2019-12-31
WO2016063339A1 (ja) 2016-04-28
KR101776444B1 (ko)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444B1 (ko) 소화 훈련 장치
ES2230448T3 (es) Antorcha con quemador pilota ultra-estable y metodo.
JP6670181B2 (ja) 水素燃焼装置
ATE527031T1 (de) Dispersionsbrenner für die feuerwehrausbildung
JP6312395B2 (ja) 消火訓練装置
JP5371056B2 (ja) 消火体験装置
JP6182373B2 (ja) 消火体験装置
JP2011133118A (ja) 廃油燃焼装置
JP7175463B2 (ja) 消火体験装置
CN211016012U (zh) 一种火灾模拟发生装置
KR200476819Y1 (ko) 휴대용 고 화력 토치램프
EP2885580B1 (en) Igniter with pilot flame mounted in a gas-fired burner
KR102405420B1 (ko) 소방 훈련을 위한 트레일러 시스템
JP2012107795A (ja) 水中設置用火炎発生装置及び水中火炎発生方法
JP2015223457A (ja) グリル
US1539324A (en) Ignition device for gas ranges, etc.
RU2169885C1 (ru) Запальник
JP5858963B2 (ja) グリル
KR101528113B1 (ko) 가스기기의 이중 화염 버너
US2415519A (en) Ignition device for oil burners
KR890000838A (ko) 퍼너스(furnace)장치
US1675899A (en) Automatic igniter for gas stoves and the like
CN110300871A (zh) 燃烧装置
KR20100007592A (ko) 세라믹판형 버너
US1085945A (en) Portable water-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