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720A - Btk 키나아제 억제제로서의 2,3-디하이드로-이소인돌-1-온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Btk 키나아제 억제제로서의 2,3-디하이드로-이소인돌-1-온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720A
KR20160058720A KR1020157018342A KR20157018342A KR20160058720A KR 20160058720 A KR20160058720 A KR 20160058720A KR 1020157018342 A KR1020157018342 A KR 1020157018342A KR 20157018342 A KR20157018342 A KR 20157018342A KR 20160058720 A KR20160058720 A KR 20160058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fluoro
urea
cancer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163B1 (ko
Inventor
홍용래
나정은
민임숙
차현주
권슬기
노성구
조중명
Original Assignee
크리스탈지노믹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탈지노믹스(주) filed Critical 크리스탈지노믹스(주)
Publication of KR2016005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35Isoindoles, e.g. phthali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81,3-Diazoles not condensed 1,3-diazol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pilocarpine, nitrofuranto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들의 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상기 화합물의 단백질 키나아제의 이상 또는 탈조절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완화 또는 예방용 용도 및 이를 위한 약학 제제의 제조를 위한 용도;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상기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 완화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화합물은 단백질 키나아제의 이상 또는 탈조절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완화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BTK 키나아제 억제제로서의 2,3-디하이드로-이소인돌-1-온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2,3-DIHYDRO-ISOINDOL-1-ON DERIVATIVE AS BTK KINASE SUPPRESSANT, AND PHARMACEUTICAL CONPOSITION INCLUDING SAME}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들의 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의 이상 또는 탈조절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완화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BTK(Bruton' s tyrosine kinase) 효소는 Tec계(Tec family)에 속한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로 알려져 있고 65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렉스트린 상동영역(pleckstrin homology domain)(PH-domain), 징크핑거 영역(zinc-finger region), SH3 영역(SH3 domain), SH2 영역(SH2 domain), 키나아제 영역(domain)을 가지고 있다. 이 중 키나아제 영역은 의약 표적으로서의 관심이 널리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BTK 키나아제는 일부 T-세포,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혈장세포 등을 제외한 B-세포나 조혈 세포에 분포되어 있으며, 다양한 염증반응이나 암에 의한 B 세포막 수용체(BCR) 신호 전달을 통해 활성화된 BTK는 포스포리파아제 C 감마 2(Phospholipase C gamma 2)(PLCγ2) 등과 같은 하부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시켜 TNF-α, IL-6와 같은 싸이토카인(cytokine) 등과 NF-κB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염증 치료에 있어서 BTK는 B-세포에서 염증 유발 물질의 신호를 포착하는 B-세포 항원 수용체, CD40, TLR-4, Fcg 등의 막 수용체의 반응을 매개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만세포(mast cell), B-cell 그리고 대식세포(macrophage)의 활성화로 인하여 발생되는 염증의 신호전달 기작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염증 신호체계(IgE signaling)의 차단과 아울러 질병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전달 기작은 면역 물질 분비의 복잡한 신호전달 과정이며, 이 과정은 여러 단계에 걸친 단백질의 인산화, 탈인산화 과정을 거쳐 진행 되는데 이 중에서 BTK는 염증 기작 신호 전달 체계에서 SYK(spleen tyrosine kinase)와 더불어 상위 단계 중 하나이므로 다른 키나아제 표적에 비해 면역 반응들을 초래하는 요소의 활성화를 막는데 좀 더 효과적이다.
또한 항암 치료에 있어서 BTK는 B세포막 수용체(BCR)와 B세포 표면의 단백질을 변형시켜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신호(antisuicide signal)를 보낸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 이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BCR 신호 전달과 관련된 림프종과 같은 암 치료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제적으로 Pharmacyclics사의 Ibrutinib(PCI-32765)이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의 항암치료제로서 최근에 승인 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Avila사의 AVL-292 화합물이 소 림프구성 백혈병(small lymphocytic leukemia, SLL) 및 CLL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3상 단계에 있다. 이들 화합물은 상대적으로 환자군이 희소한 SLL, CLL에 대한 강점을 보이는 반면 환자군이 가장 많은 미만성 대세포형 B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등에는 그리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약제의 필요성은 계속 요구되고 있다.
BTK 키나아제 저해제가 항염증 및 항암 치료제로서의 두 가지 역할을 할 수 있는 작용기작에 대한 배경은 문헌[Nature Chemical Biology 7, (2011), 4]에 잘 설명되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들의 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의 이상 또는 탈조절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완화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들의 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Figure pct00002
또는
Figure pct00003
이며, 상기 R8은 수소, 할로겐 또는 C1-3알킬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알킬이며,
R3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또는 C1-3할로알킬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단백질 키나아제의 이상 또는 탈조절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완화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들의 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또는
Figure pct00006
이며, 상기 R8은 수소, 할로겐 또는 C1-3알킬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알킬이며,
R3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전자 끌기 치환기이며, 상기 전자 끌기 치환기는, 예컨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또는 C1-3할로알킬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R3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시아노, 니트로, 디플루오로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고;
R3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시아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며;
R8은 수소 또는 플루오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할로' 또는 '할로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또는 나프탈렌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 특히 바람직하게는 황산, 메탄설폰산 또는 할로겐화수소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통상적인 방법들을 사용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에스테르'는 R 및 R'가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고리 탄소를 통해 산소 원자와 결합됨) 및 헤테로지환족(고리 탄소를 통해 결합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이 0 또는 1인 화학식 -(R)n-COOR'을 갖는 화학 소량체(chemical moiety)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프로드러그'는 생체내(in vivo)에서 모약물(parent drug)로 변형되는 약제를 지칭한다. 프로드러그들은 몇몇 상황에서는 상기 모약물을 투여하는 것보다 용이하게 투여할 수 있으므로 이들은 종종 유용하다. 예컨대, 이들은 경구 투여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하지만 상기 모약물은 생물학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상기 프로드러그는 또한 모약물에 대해 약학 조성물들에서 개선된 용해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약물의 수용성은 세포막에 대한 이동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세포막을 통한 약물 전달을 촉진시키기 위해 에스테르 형태의 프로드러그로 투여될 수 있고, 상기 에스테르 형태의 프로드러그는 세포내에서 물질대사적으로 카복실산 및 활성본체(active entity)로 가수분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들은 비대칭 탄소중심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성체는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또는 라세믹 혼합물일 수 있고, 이들 모든 이성체 및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는 다음과 같다.
1) 1-(2,6-디클로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2)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3) 1-(2,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4) 1-(2-클로로-6-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5) 1-(2,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6)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7)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4,6-트리플루오로-페닐)-우레아;
8) 1-(2,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1-메틸-우레아;
9)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펜타플루오로페닐-우레아;
10) 1-(2,5-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
11) 1-(2,4-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12)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3,6-트리플루오로-페닐)-우레아;
13) 1-(3,5-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14) 1-(3,4-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15) 1-(4-시아노-3-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
16) 1-(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
17) 1-(3-클로로-2,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
18) 1-(2-클로로-3,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
19) 1-(4-클로로-2,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및
20)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우레아.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들의 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은 ABL(Abelson tyrosine kinase), ACK(Activated cdc42-associated kinase), AXL, Aurora, BLK(B lymphoid tyrosine kinase), BMX(Bone marrow X-linked kinase), BTK(Bruton' s tyrosine kinase), CDK(Cyclin-dependent kinase), CSK(C-Src kinase), DDR(Discoidin domain receptor), EPHA(Ephrin type A receptor kinase), FER(Fer (fps/fes related) tyrosine kinase), FES(Feline sarcoma oncogene), FGFR(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FGR, FLT(Fms-like tyrosine kinase), FRK(Fyn-related kinase), FYN, HCK(Hemopoietic cell kinase), IRR(Insulin-receptor-related-receptor), ITK(Interleukin 2-inducible T cell kinase), JAK(Janus kinase), KDR(Kinase insert domain receptor), KIT, LCK(Lymphocyte-specific protein tyrosine kinase), LYN, MAPK(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ER(c-Mer proto-oncogene tyrosine kinase), MET, MINK(Misshapen-like kinase), MNK(MAPK-interacting kinase), MST(Mammalian sterile 20-like kinase), MUSK(Muscle-specific kinase), PDGFR(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PLK(Polo-like kinase), RET(Rearranged during transfection), RON, SRC(Steroid receptor coactivator), SRM(Spermidine synthase), TIE(Tyrosine kinase with immunoglobulin and EGF repeats), SYK(Spleen tyrosine kinase), TNK1(Tyrosine kinase, non-receptor, 1), TRK(Tropomyosin-receptor-kinase) 또는 TNIK(TRAF2 and NCK interacting kinase) 등의 단백질 키나아제의 이상 또는 탈조절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완화 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들의 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단백질 키나아제의 이상 또는 탈조절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완화 또는 예방용 용도 및 이를 위한 약학 제제의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들의 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백질 키나아제의 이상 또는 탈조절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완화 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들의 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단백질 키나아제의 이상 또는 탈조절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완화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키나아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은 단백질 키나아제의 이상 또는 탈조절된 활성과 관련된 모든 질병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암,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골 관절염에 관한 염증, 천식, 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또는 건선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암으로는 림프종, 백혈병, 혈액암, 위암, 비-소세포 폐암, 간암, 대장암, 소장암, 췌장암, 뇌암, 뼈암, 흑색종, 유방암, 경화성선종, 자궁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두경부암, 식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신장암, 육종, 전립선암, 요도암, 방광암, 섬유선종, 또는 교모세포종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생제, 알킬화제, 항대사제, 호르몬제, 면역학적 제제, 인터페론 제제 및 항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직접적으로 또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적합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한 치료, 완화 또는 예방 방법은 예컨대, 만성 신부전, 당뇨병, 암, AIDS, 방사선 요법, 화학요법, 신장 투석, 또는 수술로 인한 빈혈증이 있거나 위험에 있는 대상에게 효과적인 양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피험 대상은 포유동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피험 대상은 사람일 수 있다.
효과적인 양의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가장 효과적이고 편리한 경로 및 가장 적당한 제법이 될 수 있도록 일상적인 실험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제제와 약물 송달 시스템은 당업계에서 이용되는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이용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적합한 투여의 경로는 경막내, 직접 심실내, 정맥내, 복막내, 비강내, 또는 안내 주사를 비롯하여, 근육내, 피하, 골수내 주사를 포함하며, 경구, 직장, 점막을 통해 비강 또는 창자에의 투여 및 비경구 송달을 포함할 수 있다(Gennaro, A. R., ed. (1995)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참조). 작용제 또는 조성물은 전신보다는 국소로 투여될 수 있다. 예컨대, 적합한 작용제는 주사를 통해서, 또는 저장 또는 지속 방출제제과 같은 표적화 약물 송달 시스템을 통해서 송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잘 알려진 방법 중 종래의 혼합, 용해, 과립화, 당의정-제조, 가루화, 유화, 캡슐화, 포착화, 또는 동결건조 프로세스와 같은 어떤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형제 및 보조제와 같이 활성 분자의 프로세싱을 제약 용도로 제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제제는 선택된 투여의 경로에 의존한다. 예컨대, 주사를 위해 조성물은 수성 용액, 바람직하게는 Hanks 용액, Ringer 용액, 또는 생리적 식염수 완충액과 같은 생리적으로 호환 가능한 완충액으로 조제화될 수 있다. 점막을 통한 투여 또는 비강을 통한 투여를 위해, 점막으로 침투하기에 적당한 침투제가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침투제는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당업계에 공지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조합시킴으로써 쉽게 제제화시킬 수 있다. 상기 담체를 통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대상에 의한 경구 섭취가 가능하도록 정제, 알약, 당의정, 캡슐, 액체, 겔, 시럽, 슬러리, 현탁액 등으로 제제화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예컨대, 코코아 버터 또는 다른 글리세리드와 같은 종래의 좌약 베이스를 함유하는 좌약 또는 정체 관장액과 같은 직장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도 있다.
경구 용도를 위한 제약 제제는 필요에 따라, 정제 또는 당의정 코어를 얻기 위해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에, 결과의 혼합물을 선택적으로 그라인딩하고, 미립의 혼합물을 가공하여, 고체 부형제로서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로는 특히, 유당, 수크로스,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을 포함하는 당과 같은 충전재;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젤라틴, 트라가칸트 고무,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제제를 들 수 있다. 또한, 가교-결합된 폴리비닐 피롤리돈, 한천, 또는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의 그의 염과 같은 붕해제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나트륨 도데실술페이트와 같은 습윤제가 포함될 수 있다.
당의정 코어는 적합한 코팅이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농축 당 용액이 사용될 수 있고, 이것은 선택적으로 아라비아 고무, 활석,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르보폴 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타이타늄 디옥사이드, 래커 용액, 및 적합한 유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염료 또는 안료는 동정을 위해 또는 다른 조합의 활성 화합물 복용량을 특징짓기 위해 정제 또는 당의정 코팅에 첨가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약 제제는 젤라틴으로 만들어진 부드러운, 밀봉의 캡슐 및 글리세롤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가소제를 비롯하여 젤라틴으로 만들어진 푸시-핏(밀어맞추기) 캡슐을 포함한다. 푸시-핏 캡슐은 유당과 같은 충전재, 전분과 같은 결합제, 및/또는 활석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과 같은 윤활제, 및 선택적으로 안정화제와 혼합되며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연질 캡슐에서, 활성 화합물은 지방오일, 액체 파라핀, 또는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적합한 액체에 용해되거나 또는 현탁될 수 있으며, 또한 안정화제가 첨가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모든 제제는 그러한 투여에 적합한 용량이 되어야 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피부 패치를 통해서와 같이 경피로, 또는 국소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경피 또는 국소 제제는 추가적으로 하나 또는 다중 침투 인핸서 또는 송달된 화합물의 이동을 강화하는 작용제를 포함하는 다른 작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경피 또는 국소 투여는, 예컨대 위치 특이적 송달이 바람직한 상황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흡입에 의한 투여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적합한 분사제, 예컨대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 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탄소 디옥사이드, 또는 또 다른 적합한 가스를 포함하는 가압 팩 또는 분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의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에, 적당한 용량 유닛은 계량된 양을 전달하기 위한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젤라틴의 캡슐과 카트리지가 제제화될 수 있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화합물과 유당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베이스의 분말 믹스를 함유할 수 있다. 주사 또는 연속 주입에 의한 비경구 투여를 위해 조제된 조성물은, 첨가된 보존제와 함께, 예컨대 앰플 또는 다중-복용량 용기에 단위 용량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조성물은 유성 또는 수성 매개체중의 현탁액, 용액, 또는 에멀젼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고 현탁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화학제를 함유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수성 용액 또는 수용성 형태의 다른 조성물을 포함한다.
활성 화합물의 현탁액은 또한 적당한 유성 주사 현탁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친유성 용매 또는 매개체는 참깨 오일과 같은 지방 오일 및 에틸 올레에이트 또는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리포솜와 같은 합성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수성 주사 현탁액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소르비톨,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현탁액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현탁액은 또한 고 농축 용액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추가로 적합한 안정화제 또는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성분은 적합한 매개체(예컨대, 멸균수)와 함께 제제를 구성할 수 있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저장(reservoir) 제제로서 조제될 수 있다. 그러한 장기 작용 제제는 이식(예컨대, 피하로 또는 근육내로)에 의해 또는 근육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컨대 적합한 폴리머 또는 소수성 물질(예컨대, 허용 가능한 오일 중의 에멀젼으로서) 또는 이온 교환 수지로, 또는 아주 약간 가용성인 염 등의 유도체로서 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 사용된 약학적 조성물의 치료에 효과적인 복용량은 초기에 당업계에 잘 알려진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추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용량은 세포 배양 분석법에서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IC50를 포함하는 순환 농도 범위를 통하여 공식화될 수 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적절한 용량 범위는, 예컨대 세포 배양 분석법 및 다른 동물 연구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약제의 치료에 효과적인 복용량은 대상에서 증상의 완화 또는 생존의 연장을 가져오는 약제의 양을 말한다. 그러한 분자의 독성 및 치료 효능은 세포 배양 또는 실험 동물에서, 예컨대 LD50(개체의 50%가 치사될 수 있는 복용량) 및 ED50(개체의 50%에서 치료에 효과적인 복용량)을 결정함으로써 표준 제약 과정을 통하여 결정될 수 있다. 치료에 대한 독성의 복용량 비는 치료 지수이며, 이는 LD50/ED50로 표현될 수 있다. 높은 치료 지수를 나타내는 약제가 바람직하다.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거의 또는 전혀 독성이 없는 ED50를 포함하는 순환하는 농도의 범위 내에 있다. 용량은 채택된 용량 형태와 이용된 투여의 경로에 따라 이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정확한 조제물, 투여의 경로 및 용량은 대상의 상태 및 특징을 고려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등의 유효성분의 인체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 형태, 건강 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고통의 심각성, 투여의 방식, 및 처방하는 의사의 판단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출발 물질의 경우 다양한 합성법이 알려져 있으며, 상기 출발 물질이 시판되고 있는 경우는 공급처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약 공급처로는 Aldrich, Sigma, TCI, Wako, Kanto, Fluorchem, Acros, Abocado, Alfa, Fluka 등의 회사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의 일반적인 방법 및 과정을 사용하여 쉽게 이용 가능한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인 또는 바람직한 공정 조건(즉, 반응 온도, 시간, 반응물의 몰 비, 용매, 압력) 등으로는 달리 언급한지 않는 한, 다른 공정 조건도 사용될 수 있다. 최적의 반응 상태는 사용된 특정 반응물 또는 용매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그러한 상태는 통상적인 최적화 과정에 의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바와 같이, 특정한 작용기가 원하지 않는 반응을 겪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의 보호기가 필요할 수 있다. 특정한 작용기를 보호 및/또는 탈보호하기 위해 적합한 조건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용기에 대해 적합한 보호기는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수많은 보호기는 T.W. Greene 및 G.M. Wuts,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Second edition, Wiley, New York, 1991, 및 상기 문헌에 인용된 참고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합성 방법에 따라 기초 중간체인 화합물 D를 합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반응식 2 또는 3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합물 D의 합성 방법은 하기 반응식 1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7
상기 반응식 1의 출발물질인 "화합물 A"는 국제특허 WO2012/014017에 그 합성 방법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으며 개시된 "화합물 D"는 하기 단계에 따라 합성한다.
<1-1> 화합물 B의 합성
화합물 A(40 g, 168 mmol)를 아세트산(400 ml)에 분산시킨 후, 물(400 ml) 및 피리딘(800 ml)을 넣고 10℃로 냉각시킨다. 제1인산나트륨 1수화물(sodium phosphate monobasic monohydrate, 280 g, 2.01 mol)을 첨가하고 라니 니켈(raney Ni)(101 g)을 물(70 ml)을 이용해 첨가한다. 반응액의 온도를 50℃로 올리고,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냉각하고 여과한다. 에틸아세테이트(EA, 2.5 ℓ)로 세척하고 여과액에 물(800 ml)을 가해 분액한 후 분리된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한다. 여기에 냉각된 물(800 ml)을 넣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 후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B를 얻는다(26.7 g, 수율 66%).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1.10(s, 1H), 9.15 (s, 1H), 7.95(d, J=8.1Hz, 1H), 7.78 (d, J=8.1Hz, 1H), 4.41(s, 2H)
LCMS [M+1]: 241.1
<1-2> 화합물 C의 합성
화합물 B(26.7 g, 111 mmol)를 에탄올(800 ml)에 분산시킨 후 메틸 글리옥살 48% 수용액(67 ml) 및 암모니아 28% 수용액(75 ml)을 첨가한다. 반응액의 온도를 90℃로 올리고 3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반응액의 부피를 200 ml 정도로 줄이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다. 에탄올(50 ml)로 세척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C를 얻는다(17.2 g, 수율 53%).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21-14.12(m, 1H), 9.48(s, 1H), 8.27(d, J=8.4Hz, 1H), 7.83(d, J=8.4Hz, 1H), 7.07-6.82(m, 1H), 4.39(s, 2H), 2.27-2.18(m, 3H)
LCMS [M+1]: 293.1
<1-3> 화합물 D의 합성
화합물 C(17.2 g, 58.9 mmol),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아민(19.5 g, 82 mmol), LiCl(6.9 g, 165 mmol) 및 Pd(PPh3)4(6.8 g, 5.9 mmol)를 톨루엔(589 ml)과 에탄올(589 ml)에 분산시킨 후, 1 N Na2CO3 수용액(117 ml)을 첨가하고 85℃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액을 감압 하에서 완전히 농축시킨다. 여기에 아세톤(1.2 ℓ)과 아세토니트릴(1.2 ℓ)의 혼합 용액을 넣은 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냉각하여 여과한 다음, 아세토니트릴(0.5 ℓ)로 세척한다. 여과된 용액을 아세토니트릴이 약 150 ml 정도 될 때까지 감압하여 농축한 후, 여과한다. 여과하여 얻어진 고체를 감압 하에서 차례대로 아세토니트릴(60 ml)과 n-헥산(100 ml), 그리고 물(100 ml)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D(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를 얻는다(13.31 g, 수율 70%).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4-14.34(m, 1H), 9.36(s, 1H), 8.36(d, J=8.4Hz, 1H), 7.51(d, J=7.8Hz, 1H), 7.16(t, J=8.7Hz, 1H), 7.04-6.79(m, 1H), 6.49-6.42(m, 2H), 5.65(s, 2H), 4.36(s, 2H), 2.28-2.18(m, 3H)
LCMS [M+1]: 323.3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양한 화합물들을 합성하기 위하여, 얻어진 기초 중간체인 "화합물 D"를 이용한 구체적인 합성 방법을 하기 반응식 2와 반응식 3에 자세히 기술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들은 기초 중간체인 "화합물 D"로부터 원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방법 중 대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8
상기 반응식 2에 개시된 "화합물 E"는 하기 과정에 따라 합성하였다.
<2-1> 반응식 2에 따른 화합물 E의 합성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1 당량)을 DMF/THF(1:4의 비율)에 분산시킨 후(0.08 몰랄농도) 피리딘(1.15 당량) 및 4-나이트로페닐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1.15 당량)를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한다. TLC로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한 후, n-헥산(반응 용액인 THF와 동일한 부피)을 넣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생성된 고체를 n-헥산 : THF = 1 : 1 (반응 용액인 THF 부피의 4배)의 용매로 세척하면서 여과한 후 건조한다. 건조된 화합물을 DMF에 분산시킨 후(0.1 몰랄농도), 치환된 페닐아민(6 내지 15 당량)을 넣은 후 마이크로웨이브(250W, 250psi, 150℃)에서 20분간 교반한다. 반응액에 5% 메탄올을 함유한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충분히 희석한 후, 포화 NaHCO3 수용액과 물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목적 화합물 E를 순수하게 얻는다.
상기 반응식 2에서 합성한 "화합물 E"는 하기 반응식 3에 따른 합성 방법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ct00009
<3-1> 반응식 3에 따른 화합물 E의 합성 (A)
치환된 벤조산(2 당량)을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에 분산시킨 후(0.08 몰랄농도), 포스포러스펜타클로라이드(PCl5, 2.2 당량)를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유기 용매를 실내온도 이하에서 감압하여 농축한 후, 아세톤을 반응물에 넣어 희석한다(0.08 몰랄농도). 이어서 반응물에 물(아세톤 부피의 1/12)에 녹인 소듐아지드(NaN3, 2.4 당량)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한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물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THF에 분산시키고(0.04 몰랄농도)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1 당량)을 첨가하여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하에 용매를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목적 화합물 E를 순수하게 얻는다.
상기 반응식 2에서 합성한 "화합물 E"는 상기 반응식 3에 따른 또 다른 합성 방법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3-2> 반응식 3에 따른 화합물 E의 합성 (B)
치환된 벤조산(2 당량)을 THF에 분산시킨 후(0.05 몰랄농도), 트리에틸아민(4 당량) 및 디페닐포스포르아지데이트(diphenylphosphorazidate, DPPA, 2.3 당량)을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물에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1 당량)을 첨가하고,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5% 메탄올을 함유한 에틸아세테이트에 충분히 희석한 후, 물과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한다. 이어서 유기층을 무수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감압하여 농축한다.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분리 한 후, 농축하여, 순수한 목적 화합물 E를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2,6-디클로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의 제조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1 g, 0.31 mmol)을 DMF(0.8 ml), THF(3.4 ml)에 분산시킨 후 피리딘(0.03 ml) 및 4-나이트로페닐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0.07 g, 0.36 mmol)를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한 후 n-헥산(3 ml)을 넣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생성된 고체를 n-헥산 : THF = 1 : 1 (12 ml)의 용매로 세척하면서 여과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화합물을 DMF(3 ml)에 분산시킨 후 2,6-디클로로아닐린(0.34 g, 2.08 mmol)을 넣은 후 마이크로 웨이브(250 W, 250 psi, 150℃)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5% 메탄올을 함유한 에틸아세테이트를 넣고 충분히 희석한 다음, 포화 NaHCO3 수용액을 넣고 세척한 후, 물로 다시 한번 세척해 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농축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 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순수하게 얻었다(0.03 g, 수율 19%).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9.54(s, 1H), 9.36(s, 1H), 8.58(s, 1H), 8.43(d, J=8.1Hz, 1H), 7.59(m, 3H), 7.47(t, J=8.4Hz, 1H), 7.32(m, 2H), 7.08(s, 1H), 4.41(s, 2H), 2.25 (m, 3H)
LCMS [M+1]: 511
실시예 2: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의 제조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1 g, 0.31 mmol)을 DMF(0.8 ml), THF(3.4 ml)에 분산시킨 후 피리딘(0.03 ml) 및 4-나이트로페닐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0.07 g, 0.36 mmol)를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n-헥산(3 ml)을 넣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생성된 고체를 n-헥산 : THF = 1 : 1 (12 ml)의 용매로 세척하면서 여과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화합물을 DMF(2 ml)에 분산시킨 후 2-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린(0.74 g, 4.65 mmol)을 넣은 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메탄올(6 ml)을 넣은 후 포화 NaHCO3 수용액(6 ml)을 넣고 30분간 교반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화합물을 건조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 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7 g, 수율 44%).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9.54(s, 1H), 9.36(s, 1H), 8.58(s, 1H), 8.43(d, J=8.1Hz, 1H), 7.59(m, 3H), 7.47(t, J=8.4Hz, 1H), 7.32(m, 2H), 7.08(s, 1H), 4.41(s, 2H), 2.25 (m, 3H)
LCMS [M+1]: 510.0
실시예 3: 1-(2,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의 제조
2,6-디플루오로-벤조산(0.04 g, 0.248 mmol)을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3 ml)에 분산시킨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PCl5, 0.057 g, 0.273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유기 용매를 실내온도 이하에서 감압하여 농축한 다음, 아세톤(2 ml)을 반응물에 넣어 희석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에 물(0.2 ml)에 녹인 소듐아지드(NaN3, 0.019 g, 0.298 mmol)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이 완료되어 2,6-디플루오로-벤조일아지드가 생성되면,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THF(1 ml)에 분산시키고,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4 g, 0.124 mmol)이 들어있는 THF(4 ml)에 첨가하여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하에 용매를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25 g, 수율 42%).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14.45-14.36(m, 1H), 9.40-9.36(m, 2H), 8.42(d, J=8.1Hz, 1H), 8.33(s, 1H), 7.62-7.57(m, 2H), 7.48(t, J=8.4Hz, 1H), 7.37-7.26(m, 2H), 7.20-6.82(m, 3H), 4.40(s, 2H), 2.29-2.19(m, 3H)
LCMS [M+1]: 478.4
실시예 4: 1-(2-클로로-6-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의 제조
2-클로로-6-플루오로벤조산(0.054 g, 0.31 mmol)을 디에틸에테르(3 ml)에 분산시킨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PCl5, 0.074 g, 0.357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유기 용매를 실내온도 이하에서 감압하여 농축한 다음, 아세톤(2 ml)을 반응물에 넣어 희석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에 물(0.2 ml)에 녹인 소듐아지드(NaN3, 0.024 g, 0.372 mmol)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THF(1 ml)에 분산시키고,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5 g, 0.155 mmol)이 들어있는 THF(4 ml)에 첨가하여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하에 용매를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29 g, 수율 42%).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5-14.35(m, 1H), 9.40-9.35(m, 2H), 8.42(d, J=8.1Hz, 1H), 8.33(s, 1H), 7.63-7.58(m, 2H), 7.47(t, J=8.4Hz, 1H), 7.41-7.26(m, 4H), 7.07-6.82(m, 1H), 4.40(s, 2H), 2.30-2.20(m, 3H)
LCMS [M+1]: 494.4
실시예 5: 1-(2,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의 제조
2,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0.088 g, 0.31 mmol)을 디에틸에테르(3 ml)에 분산시킨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PCl5, 0.068 g, 0.326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유기 용매를 실내온도 이하에서 감압하여 농축한 다음, 아세톤(2 ml)을 반응물에 넣어 희석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에 물(0.2 ml)에 녹인 소듐아지드(NaN3, 0.024 g, 0.372 mmol)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이 완료되어 2,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지드가 생성되면,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THF(1 ml)에 분산시키고,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5 g, 0.155 mmol)을 THF(4 ml)로 희석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하에 용매를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18 g, 수율 20%).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8.40(d, J=8.4Hz, 1H), 8.09-8.06(m, 2H), 7.76(t, J=8.1Hz, 1H), 7.63(d, J=8.1Hz, 1H), 7.54(d, J=12.9Hz, 1H), 7.38(t, J=8.4Hz, 1H), 7.24(d/d, J=8.4Hz, 1H), 6.94(s, 1H), 4.43(s, 2H), 2.33(s, 3H)
LCMS [M+1]: 578.4
실시예 6: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의 제조
2-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0.058 g, 0.279 mmol)을 디에틸에테르(3 ml)에 분산시킨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PCl5, 0.064 g, 0.307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유기 용매를 실내온도 이하에서 감압하여 농축한 후, 아세톤(2 ml)을 반응물에 넣어 희석한다. 이어서 반응물에 물(0.2 ml)에 녹인 소듐아지드(NaN3, 0.024 g, 0.363 mmol)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THF(1 ml)에 분산시키고,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45 g, 0.14 mmol)을 THF(4 ml)로 희석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하에 용매를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23 g, 수율 32%).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8.41-8.39(m, 1H), 7.64-7.50(m, 5H), 7.39(t, J=8.4Hz, 1H), 7.25(m, J=8.4Hz, 1H), 6.94(s, 1H), 4.43(s, 2H), 2.33(s, 3H)
LCMS [M+1]: 528.4
실시예 7: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4,6-트리플루오로-페닐)-우레아의 제조
2,4,6-트리플루오로벤조산(0.08 g, 0.45 mmol)을 디에틸에테르(5.7 ml)에 분산시킨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PCl5, 0.11 g, 0.52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유기 용매를 실내온도 이하에서 감압하여 농축한 후, 아세톤(3.8 ml)을 반응물에 넣어 희석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에 물(0.28 ml)에 녹인 소듐아지드(NaN3, 0.035 g, 0.545 mmol)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이 완료되어 2,4,6-트리플루오로벤조일아지드가 생성되면,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THF(2 ml)에 분산시키고,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73 g, 0.23 mmol)가 들어있는 THF(7.5 ml)에 첨가하여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하에 용매를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26 g, 수율 23%).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6-14.37 (m 1H), 9.47-9.45 (br m, 1H), 9.37 (s, 1H), 8.45 (d, J=1.8Hz, 1H), 8.30-8.27 (br m, 1H), 7.63-7.46(m, 3H), 7.31-7.26 (m, 3H), 7.09-6.84 (m, 1H), 4.42 (s, 2H), 2.31-2.21 (m, 3H)
LCMS [M+1]: 496.3
실시예 8: 1-(2,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1-메틸-우레아의 제조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1 g, 0.31 mmol)을 DMF(0.8 ml), THF(4 ml)에 분산시킨 후 피리딘(0.05 ml) 및 4-나이트로페닐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0.07 g, 0.36 mmol)를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n-헥산(3 ml)을 넣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생성된 고체를 n-헥산 : THF = 1 : 1 (12 ml)의 용매로 세척하면서 여과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화합물을 DMF(4 ml)에 분산시킨 후 2,6-디플루오로-메틸아닐린(0.294 g, 2.05 mmol)을 넣고 10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반응액에 5% 메탄올을 함유한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충분히 희석한 후, 포화 NaHCO3 수용액과 물을 넣어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여과하여 농축하였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 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18 g, 수율 18%).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5-14.36(m, 1H), 9.36(s, 1H), 8.91(s, 1H), 8.42(d, J=8.1Hz, 1H), 7.61-7.34(m, 5H), 7.26-7.21(m, 2H), 7.07-6.82(m, 1H), 4.40(s, 2H), 3.20(s, 3H), 2.30-2.20(m, 3H)
LCMS [M+1]: 492.4
실시예 9: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펜타플루오로페닐-우레아의 제조
펜타플루오로 벤조산(0.066 g, 0.31 mmol)을 디에틸에테르(3 ml)에 분산시킨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PCl5, 0.071 g, 0.341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4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유기 용매를 실내온도 이하에서 감압하여 농축한 후, 아세톤(3 ml)을 반응물에 넣어 희석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에 물(0.2 ml)에 녹인 소듐아지드(NaN3, 0.026 g, 0.403 mmol)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다음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THF(1 ml)에 분산시키고,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50 g, 0.155 mmol)을 THF(3 ml)로 희석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하에 용매를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23 g, 수율 28%).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5-14.36(m, 1H), 9.60(s, 1H), 9.36(s, 1H), 8.83(br s, 1H), 8.43(d, J=8.1Hz, 1H), 7.62-7.57(m, 2H), 7.50(t, J=8.4Hz, 1H), 7.30(d, J=8.4Hz, 1H), 7.08-6.83(m, 1H), 4.40(s, 2H), 2.30-2.20(m, 3H)
LCMS [M+1]: 532.4
실시예 10: 1-(2,5-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의 제조
2,5-디플루오로벤조산(0.05 g, 0.32 mmol)을 THF(4 ml)에 분산시킨 후, 트리에틸아민(0.088 ml, 0.63 mmol) 및 디페닐포스포르아지데이트(DPPA, 0.08 ml, 0.36 mmol)를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5-디플루오로벤조일아지드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한 후, 화합물 D(0.051 g, 0.16 mmol)를 첨가하고,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액에 5% 메탄올을 함유한 에틸아세테이트를 넣고 충분히 희석한 후,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무수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감압하여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메탄올 = 20 : 1)에서 전개하여 분리한 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26 g, 수율 34%).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7-14.37 (m, 1H), 9.58 (s, 1H), 9.37 (s, 1H), 8.96 (s, 1H), 8.45 (d, J=8.4Hz, 1H), 8.06-7.99 (m, 1H), 7.67-7.49 (m, 3H), 7.36-7.09 (m, 2H), 6.89-6.84 (m, 1H), 4.43 (s, 2H), 2.31-2.22 (m, 3H)
LCMS [M+1]: 478.4
실시예 11: 1-(2,4-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의 제조
2,4-디플루오로벤조산(0.04 g, 0.248 mmol)를 THF(3 ml)에 분산시킨 후, 트리에틸아민(0.069 ml, 0.496 mmol) 및 디페닐포스포르아지데이트(DPPA, 0.075 g, 0.273 mmol)을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에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40 g, 0.124 mmol)을 첨가하고,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액에 5% 메탄올을 함유한 에틸아세테이트를 넣고 충분히 희석한 후, 물과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무수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감압하여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에서 전개하여 분리한 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24 g, 수율 42%).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5-14.36(m, 1H), 9.39-9.35(m, 2H), 8.64(s, 1H), 8.43(d, J=8.1Hz, 1H), 8.09-8.00(m, 1H), 7.65-7.59(m, 2H), 7.49(t, J=8.4Hz, 1H), 7.35-7.21(m, 2H), 7.08-6.83(m, 2H), 4.41(s, 2H), 2.30-2.20(m, 3H)
LCMS [M+1]: 478.4
실시예 12: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3,6-트리플루오로-페닐)-우레아의 제조
2,3,6-트리플루오로 벤조산(0.044 g, 0.248 mmol)을 디에틸에테르(4 ml)에 분산시킨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PCl5, 0.057 g, 0.273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4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유기 용매를 실내온도 이하에서 감압하여 농축한 후, 아세톤(3 ml)을 반응물에 넣어 희석한다. 이어서 반응물에 물(0.2 ml)에 녹인 소듐아지드(NaN3, 0.021 g, 0.322 mmol)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THF(1 ml)에 분산시키고,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40 g, 0.124 mmol)을 THF(3 ml)로 희석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9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하에 용매를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22 g, 수율 36%).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5-14.35(m, 1H), 9.51(br s, 1H), 9.35(s, 1H), 8.62(br s, 1H), 8.43(d, J=8.1Hz, 1H), 7.62-7.57(m, 2H), 7.48(t, J=8.4Hz, 1H), 7.44-7.34(m, 1H), 7.31-7.20(m, 2H), 7.07-6.83(m, 1H), 4.40(s, 2H), 2.30-2.20(m, 3H)
LCMS [M+1]: 496.4
실시예 13: 1-(3,5-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의 제조
3,5-디플루오로벤조산(0.04 g, 0.248 mmol)를 THF(4 ml)에 분산시킨 후, 트리에틸아민(0.069 ml, 0.496 mmol) 및 디페닐포스포르아지데이트(DPPA, 0.075 g, 0.273 mmol)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에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40 g, 0.124 mmol)을 첨가하고,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다음, 물과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감압하여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분리한 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32 g, 수율 55%).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5-14.36(m, 1H), 9.50(s, 2H), 9.36(s, 1H), 8.43(d, J=8.1Hz, 1H), 7.64-7.60(m, 2H), 7.50(t, J=8.4Hz, 1H), 7.30-7.20(m, 3H), 7.08-6.77(m, 2H), 4.41(s, 2H), 2.30-2.20(m, 3H)
LCMS [M+1]: 478.3
실시예 14: 1-(3,4-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의 제조
3,4-디플루오로벤조산(0.05 g, 0.32 mmol)을 THF(4 ml)에 분산시킨 후, 트리에틸아민(0.088 ml, 0.63 mmol) 및 디페닐포스포르아지데이트(DPPA, 0.08 ml, 0.36 mmol)를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3,4-디플루오로벤조일아지드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한 후,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51 g, 0.16 mmol)을 첨가하고,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5% 메탄올을 함유한 에틸아세테이트로 충분히 희석한 후,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무수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감압하여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에서 전개하여 분리한 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35 g, 수율 46%).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0 (br s, 1H), 9.37 (s, 1H), 9.13-9.03 (m, 2H), 8.44 (d, J=8.1Hz, 1H), 7.71-7.47 (m, 4H), 7.41-7.27 (m, 3H), 7.18-7.16 (m, 1H), 7.00 (s, 1H), 4.43 (s, 2H), 2.26 (s, 3H)
LCMS [M+1]: 478.4
실시예 15: 1-(4-시아노-3-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의 제조
4-시아노-3-플루오로벤조산(0.08 g, 0.48 mmol)을 THF(6.1 ml)에 분산시킨 후, 트리에틸아민(0.14 ml, 0.97 mmol) 및 디페닐포스포르아지데이트(DPPA, 0.12 ml, 0.56 mmol)를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시아노-3-플루오로벤조일아지드가 생성되면,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78 g, 0.24 mmol)을 첨가하고,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5% 메탄올을 함유한 에틸아세테이트로 충분히 희석한 후,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무수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감압하여 농축한다.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에서 전개하여 분리한 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12 g, 수율 10%).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0 (br s, 1H), 9.89 (s, 1H), 9.64 (s, 1H), 9.37 (s, 1H), 8.44 (d, J=8.7Hz, 1H), 7.94-7.15 (m, 7H), 7.01-6.99 (m, 1H), 4.43 (s, 2H), 2.26 (s, 3H)
LCMS [M+1]: 485.4
실시예 16: 1-(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의 제조
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0.08 g, 0.35 mmol)을 THF(4.5 ml)에 분산시킨 후, 트리에틸아민(0.1 ml, 0.71 mmol) 및 디페닐포스포르아지데이트(DPPA, 0.09 ml, 0.41 mmol)을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지드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한 후,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57 g, 0.18 mmol)을 첨가하고,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5% 메탄올을 함유한 에틸아세테이트로 충분히 희석한 후,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무수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감압하여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에서 전개하여 분리한 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12 g, 수율 12%).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7-14.37 (m, 1H), 9.36-9.32 (m, 2H), 9.25 (s, 1H), 8.45 (d, J=8.1Hz, 1H), 8.12-8.05 (m, 1H), 7.71-7.61 (m, 4H), 7.54-7.48 (m, 1H), 7.33-7.29 (m, 1H), 7.09-6.85 (m, 1H), 4.42 (s, 2H), 2.32-2.22 (m, 3H)
LCMS [M+1]: 544.3
실시예 17: 1-(3-클로로-2,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의 제조
3-클로로-2,6-디플루오로벤조산(0.08 g, 0.41 mmol)을 디에틸에테르(5.2 ml)에 분산시킨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PCl5, 0.099 g, 0.48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유기 용매를 실내온도 이하에서 감압하여 농축한 후, 아세톤(3.5 ml)을 반응물에 넣어 희석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에 물(0.25 ml)에 녹인 소듐아지드(NaN3, 0.032 g, 0.50 mmol)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이 완료되어 3-클로로-2,6-디플루오로벤조일아지드가 생성되면,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THF(1.6 ml)에 분산시키고,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67 g, 0.21 mmol)이 들어있는 THF(7 ml)에 첨가하여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하에 용매를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17 g, 수율 16%).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7-14.38 (m, 1H), 9.49-9.39 (m, 2H), 8.53 (s, 1H), 8.44 (d, J=8.1Hz, 1H), 7.63-7.47 (m, 4H), 7.31-7.24 (m, 2H), 7.09-6.84 (m, 1H), 4.42 (s, 2H), 2.31-2.21 (m, 3H)
LCMS [M+1]: 512.3
실시예 18: 1-(2-클로로-3,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의 제조
2-클로로-3,6-디플루오로벤조산(0.08 g, 0.41 mmol)을 디에틸에테르(5.2 ml)에 분산시킨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PCl5, 0.099 g, 0.48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유기 용매를 실내온도 이하에서 감압하여 농축한 후, 아세톤(3.5 ml)을 반응물에 넣어 희석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에 물(0.25 ml)에 녹인 소듐아지드(NaN3, 0.032 g, 0.50 mmol)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이 완료되어 2-클로로-3,6-디플루오로벤조일아지드가 생성되면,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THF(1.6 ml)에 분산시키고,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67 g, 0.21 mmol)이 들어있는 THF(7 ml)에 첨가하여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하에 용매를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38 g, 수율 36%).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6-14.37 (m, 1H), 9.51 (s, 1H), 9.37 (s, 1H), 8.58 (s, 1H), 8.44 (d, J=8.1Hz, 1H), 7.63-7.59 (m, 2H), 7.52-7.29 (m, 4H), 7.09-6.84 (m, 1H), 4.42 (s, 2H), 2.31-2.21 (m, 3H)
LCMS [M+1]: 512.3
실시예 19: 1-(4-클로로-2,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의 제조
4-클로로-2,6-디플루오로벤조산(0.060 g, 0.31 mmol)을 디에틸에테르(4 ml)에 분산시킨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PCl5, 0.071 g, 0.341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40분간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유기 용매를 실내온도 이하에서 감압하여 농축한 후, 아세톤(3 ml)을 반응물에 넣어 희석한다. 이어서 반응물에 물(0.2 ml)에 녹인 소듐아지드(NaN3, 0.026 g, 0.403 mmol)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한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물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THF(1 ml)에 분산시키고,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50 g, 0.155 mmol)을 THF(3 ml)로 희석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하에 용매를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24 g, 수율 30%).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14.46-14.37 (m, 1H), 9.86(s, 1H), 9.38 (s, 1H), 8.82 (s, 1H), 8.41 (d, J=8.1Hz, 1H), 7.63-7.59 (m, 2H), 7.52-7.29 (m, 4H), 6.97(s, 1H), 4.42 (s, 2H), 2.21 (s, 3H)
LCMS [M+1]: 512.3
실시예 20: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우레아의 제조
2,3,5,6-테트라플루오로벤조산(0.08 g, 0.41 mmol)을 디에틸에테르(5.2 ml)에 분산시킨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PCl5, 0.099 g, 0.48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유기 용매를 실내온도 이하에서 감압하여 농축한 후, 아세톤(3.4 ml)을 반응물에 넣어 희석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에 물(0.25 ml)에 녹인 소듐아지드(NaN3, 0.032 g, 0.50 mmol)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이 완료되어 2,3,5,6-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아지드가 생성되면,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설페이트(MgSO4)로 탈수한 후, THF(1.6 ml)에 분산시키고, 4-(4-아미노-2-플루오로페닐)-7-(5-메틸-1H-이미다졸-2-일)이소인돌린-1-온(화합물 D, 0.066 g, 0.21 mmol)이 들어있는 THF(7 ml)에 첨가하여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하에 용매를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20 : 1)로 전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0.014 g, 수율 13%)
1H-NMR Spectrum(300 MHz, DMSO-d 6): 8.45 (d, J=8.1Hz, 1H), 7.69-7.61 (m, 2H), 7.48-7.33 (m, 3H), 7.00 (s, 1H), 4.48 (s, 2H), 2.38 (s, 3H)
LCMS [M+1]: 514.3
상기 실시예 1 내지 20에서 얻어진 화합물들의 구조식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생물검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은 종래부터 공지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적합한 검정 방법은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다. 다음의 검정법은 다양한 키나아제들의 분석법의 일례로서 이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검정법 중 적어도 하나에서 활성을 나타낸다.
시험예 1: BTK 활성 억제 분석(ELISA method)
본 발명의 화합물의 BTK 억제제로서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판되는 BTK(promega)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0.4 nM의 BTK 효소와 기질로 작용하는 40 M biotin-S1 기질 펩티드, 50 M ATP를 반응 버퍼(15 mM Tris-HCl (pH 7.5), 20 mM MgCl2, 2 mM MnCl2, 2 mM DTT, 0.1mg/ml BSA) 내에서 효소 반응을 수행하였다. 시험하고자 하는 농도의 화합물을 처리하여 30℃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활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시료의 흡광도 값을 100% 대조군으로 하고, 시험하고자 하는 농도의 화합물을 처리한 시료에서 BTK 효소의 잔류 활성의 %로서 BTK 억제제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 처리시 남아 있는 BTK 효소 활성을 측정한 후, 대조군 대비 50% BTK 효소 활성 억제가 일어나는 화합물의 농도를 BTK 억제제의 IC50 값으로 결정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화합물 중, 임의의 몇 개의 화합물들에 대해서 BTK 키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다음 표 2에 요약 하였다.
[표 2] 대표적인 화합물들의 BTK 키나아제들의 활성 억제 결과
Figure pct00014
시험예 2: 히스타민 유리 실험(histamine release assay)
비만세포에서 BTK 활성이 저해 되면 히스타민과 같은 매개체(mediator), 지질 매개체(lipid mediator)의 생산 또는 사이토카인(cytokine)의 분비(secretion)가 줄어 든다(문헌[J Immunol. 2000 Aug 1;165(3):1210-9.Redundant and opposing functions of two tyrosine kinases, Btk and Lyn, in mast cell activation. Kawakami Y, Kitaura J, Satterthwaite AB, Kato RM, Asai K, Hartman SE, Maeda-Yamamoto M, Lowell CA, Rawlings DJ, Witte ON, Kawakami T]).
히스타민 유리 실험은 문헌[FEBS Lett. 2002 Sep 11;527(1-3):274-8. Silencing of Bruton's tyrosine kinase (Btk) using short interfering RNA duplexes (siRNA). Heinonen JE, Smith CI, Nore BF]의 방법을 토대로 실시하였으며, 히스타민의 양은 효소 면역측정법(enzyme immunoassay)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RBL-2H3 세포(한국세포주 은행으로부터 입수)를 10%(v/v) FBS가 첨가된 DMEM 배지에서 5% CO2, 37℃, 72시간 배양한 후 96 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10,000개 세포를 분주하여 5% CO2, 37℃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위에서 배양된 세포에 단일클론 안티-DNP(monoclonal anti-DNP)(sigma) 500 ng/ml과 100%(v/v)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녹인 화합물을 각각 0.001, 0.01, 0.1, 1.0, 10 μM농도로 함께 처리하였으며, 대조군으로 100% (v/v) 디메틸설폭사이드를 사용하였다. 그 후 5% CO2, 37℃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EIA 히스타민 키트(Immunotech) 실험 방법에 따라, 배양이 끝난 플레이트에 50 ㎕ 히스타민 유리 버퍼(histamine release buffer)를 각 웰 당 50 ㎕씩 처리한 후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반응이 끝난 플레이트의 배지를 각 웰 당 100 ㎕씩 새로운 플레이트에 옮기고 25 ㎕ 아세틸화 버퍼(acetylation buffer) 및 25 ㎕ 아세틸화 시약(acetylation reagent)을 넣어 충분히 섞어 주었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아세틸화 시료 중 50 ㎕를 항체가 코팅된 플레이트에 옮기고 200 ㎕ 히스타민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컨쥬게이트(conjugate)를 넣어 섞어준 후 4℃에서 18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반응이 끝난 플레이트의 시료를 모두 제거한 후 세척 버퍼(wash buffer)를 200 ㎕ 첨가하여 3번 세척한 후 기질(substrate)을 200 ㎕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정지액(stop solution) 5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한 후 Benchmark plus (Biorad) 장비를 사용하여 406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각 화합물들의 처리 농도에 따른 히스타민 유리 정도를 산출하였다. EC50(μM) 값은 히스타민 유리를 50% 억제하는 각 화합물의 농도를 엑셀 그래픽 프로그램(Excel graphic program)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화합물 중, 임의의 몇 개의 화합물들에 대해서 항염증 치료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히스타민 유리 시험을 수행하여 그 EC50값을 다음 표 3에 요약하였고 그 효과가 아주 우수하게 나타났다.
[표 3] 대표적인 화합물들의 히스타민 유리 시험 결과
Figure pct00015
시험예 3: 세포기반 증식 억제 시험(anti-proliferation assay)에 의한 검정법 (MTS assay)
상기에서 제조된 화합물이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아제 활성 억제를 통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TS 에세이를 수행하였다(Barltrop, J.A. et al (1991) 5-(3-carboxymethoxyphenyl)-2-(4,5-dimethylthiazoly)-3-(4-sulfophenyl) tetrazolium, inner salt (MTS) and related analog of 3-(4,5-dimethylthiazol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reducing to purple water soluble formazans as cell-viability indicators. Bioorg. Med. Chem. Lett. 1, 611-4; Cory, A.H. et al (1991) Use of an aqueous soluble tertrazolium/formazan assay for cell growth assays in culture. Cancer Comm. 3, 207-12.).
인간 림프종 세포주인 Jeko-1(ATCC), Mino(ATCC), H9(한국세포주 은행) 및 SR(ATCC)과 인간 백혈병 세포주인 MV4-11(ATCC), Molm-13(DSMZ), Ku812(ATCC)들을 대상으로 하여 아래와 같은 분석을 수행하였다.
Jeko-1, Mino, H9, SR, MV4-11, Molm-13 및 Ku812 세포들은 10% FBS를 포함하는 RPMI1640 배지(GIBCO, invitrogen)가 들어있는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10,000 세포수/웰의 농도로 분주한 후, 5% CO2 및 37℃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각 웰에 상기 실시예의 화합물들을 각각 0.2, 1, 5, 25 및 100 μ M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디메틸설폭사이드(DMSO)를 화합물 처리시 사용한 퍼센트와 같은 0.08 중량%로 처리하였다. 그 후, 각 세포를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의 생존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각 배양된 세포의 배지에 CellTiter 96® 수계 비방사성 세포 증식 실험 키트(aqueous Non-radioactive cell proliferation assay kit)(Promega)에서 제공되는 MTS(3-(4,5-디메틸싸이아졸-2-일)-5-(3-카복시메톡시페닐)-2-(4-설포페닐)-2H-테트라졸륨, 분자내 염(inner salt))와 PMS(페나진 메쏘설페이트) 혼합액 20 ㎕를 첨가하여 37℃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그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각 화합물들의 처리 농도에 따른 세포증식 저해 정도를 산출하였으며, 이때 암세포의 증식을 50% 억제하는 각 화합물의 농도를 EC50(μM) 값으로 산출하였다.
항염증 치료제로서의 가능성뿐 아니라 림프종 같은 항암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Jeko-1, Mino, H9 그리고 SR의 네가지 림프종 세포들에 대하여 증식 억제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EC50 값을 다음 표 4에 요약하였다
[표 4] 대표적인 화합물들의 림프종 세포들에 대한 증식 억제 시험 결과
Figure pct00016
또한, 림프종 세포에서 활성이 좋았던 임의의 화합물에 대하여 림프종 이외에 백혈병 세포들에 대하여도 증식 억제 시험을 수행하였고 높은 항암 효과를 확인 하였다. 그 효과에 대한 EC50 값을 다음 표 5에 요약하였다.
[표 5] 대표적인 화합물들의 백혈병 세포들에 대한 증식 억제 시험 결과
Figure pct00017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들의 이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ct00018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Figure pct00019
    또는
    Figure pct00020
    이며, 상기 R8은 수소, 할로겐 또는 C1-3알킬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알킬이며,
    R3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또는 C1-3할로알킬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3 내지 R7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시아노, 니트로, 디플루오로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인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고; R3 내지 R7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이며; R8이 수소 또는 플루오로인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 1-(2,6-디클로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2)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3) 1-(2,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4) 1-(2-클로로-6-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5) 1-(2,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6)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7)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4,6-트리플루오로-페닐)-우레아;
    8) 1-(2,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1-메틸-우레아;
    9)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펜타플루오로페닐-우레아;
    10) 1-(2,5-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
    11) 1-(2,4-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12)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3,6-트리플루오로-페닐)-우레아;
    13) 1-(3,5-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14) 1-(3,4-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15) 1-(4-시아노-3-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
    16) 1-(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
    17) 1-(3-클로로-2,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
    18) 1-(2-클로로-3,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우레아;
    19) 1-(4-클로로-2,6-디플루오로-페닐)-3-{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우레아; 및
    20) 1-{3-플루오로-4-[7-(5-메틸-1H-이미다졸-2-일)-1-옥소-2,3-디히드로-1H-이소인돌-4-일]-페닐}-3-(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우레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질체가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또는 라세믹 혼합물인 화합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단백질 키나아제의 이상 또는 탈조절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완화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키나아제가 ABL, ACK, AXL, Aurora, BLK, BMX, BTK, CDK, CSK, DDR, EPHA, FER, FES, FGFR, FGR, FLT, FRK, FYN, HCK, IRR, ITK, JAK, KDR, KIT, LCK, LYN, MAPK, MER, MET, MINK, MNK, MST, MUSK, PDGFR, PLK, RET, RON, SRC, SRM, TIE, SYK, TNK1, TRK 또는 TNIK인 약학적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키나아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이 암,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골 관절염에 관한 염증, 천식, 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또는 건선인 약학적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림프종, 백혈병, 혈액암, 위암, 비-소세포 폐암, 간암, 대장암, 소장암, 췌장암, 뇌암, 뼈암, 흑색종, 유방암, 경화성선종, 자궁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두경부암, 식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신장암, 육종, 전립선암, 요도암, 방광암, 섬유선종, 또는 교모세포종인 약학적 조성물.
  10. 제 6 항에 있어서, 항생제, 알킬화제, 항대사제, 호르몬제, 면역학적 제제, 인터페론 제제 및 항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백질 키나아제의 이상 또는 탈조절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완화 또는 예방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이용한 단백질 키나아제의 이상 또는 탈조절된 활성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 완화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제제의 제조를 위한 용도.
KR1020157018342A 2012-12-28 2013-12-26 Btk 키나아제 억제제로서의 2,3-디하이드로-이소인돌-1-온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09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46980P 2012-12-28 2012-12-28
US61/746,980 2012-12-28
PCT/KR2013/012204 WO2014104757A1 (ko) 2012-12-28 2013-12-26 Btk 키나아제 억제제로서의 2,3-디하이드로-이소인돌-1-온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720A true KR20160058720A (ko) 2016-05-25
KR102009163B1 KR102009163B1 (ko) 2019-08-09

Family

ID=5102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342A KR102009163B1 (ko) 2012-12-28 2013-12-26 Btk 키나아제 억제제로서의 2,3-디하이드로-이소인돌-1-온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4) US9758508B2 (ko)
EP (2) EP2940014B1 (ko)
JP (2) JP6325573B2 (ko)
KR (1) KR102009163B1 (ko)
CN (1) CN104995184B (ko)
AU (3) AU2013371146C1 (ko)
BR (1) BR112015015477B1 (ko)
CA (1) CA2896711C (ko)
DK (1) DK2940014T3 (ko)
ES (2) ES2696700T3 (ko)
HK (1) HK1259355A1 (ko)
MX (2) MX2015008396A (ko)
PL (1) PL2940014T3 (ko)
PT (1) PT2940014T (ko)
RU (2) RU2671847C2 (ko)
WO (1) WO20141047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8588B1 (en) 2010-05-20 2017-05-03 Array Biopharma, Inc. Macrocyclic compounds as TRK kinase inhibitors
AU2013371146C1 (en) * 2012-12-28 2019-01-17 Crystalgenomics, Inc. 2,3-dihydro-isoindole-1-on derivative as BTK kinase suppressan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same
PT3322706T (pt) 2015-07-16 2021-03-08 Array Biopharma Inc Compostos de pirazolo[1,5-a]piridina substituídos como inibidores da quinase do ret
JOP20190077A1 (ar) 2016-10-10 2019-04-09 Array Biopharma Inc مركبات بيرازولو [1، 5-a]بيريدين بها استبدال كمثبطات كيناز ret
TWI704148B (zh) 2016-10-10 2020-09-11 美商亞雷生物製藥股份有限公司 作為ret激酶抑制劑之經取代吡唑并[1,5-a]吡啶化合物
WO2018102785A2 (en) 2016-12-03 2018-06-07 Juno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use of therapeutic t cells in combination with kinase inhibitors
CN110267960B (zh) 2017-01-18 2022-04-26 阿雷生物药品公司 作为RET激酶抑制剂的取代的吡唑并[1,5-a]吡嗪化合物
WO2018136663A1 (en) 2017-01-18 2018-07-26 Array Biopharma, Inc. Ret inhibitors
CN110621665A (zh) * 2017-02-21 2019-12-27 艾普托斯生物科学公司 用于治疗患有恶性血液病的患者的方法
JOP20190213A1 (ar) 2017-03-16 2019-09-16 Array Biopharma Inc مركبات حلقية ضخمة كمثبطات لكيناز ros1
TWI812649B (zh) 2017-10-10 2023-08-21 美商絡速藥業公司 6-(2-羥基-2-甲基丙氧基)-4-(6-(6-((6-甲氧基吡啶-3-基)甲基)-3,6-二氮雜雙環[3.1.1]庚-3-基)吡啶-3-基)吡唑并[1,5-a]吡啶-3-甲腈之調配物
TWI791053B (zh) 2017-10-10 2023-02-01 美商亞雷生物製藥股份有限公司 6-(2-羥基-2-甲基丙氧基)-4-(6-(6-((6-甲氧基吡啶-3-基)甲基)-3,6-二氮雜雙環[3.1.1]庚-3-基)吡啶-3-基)吡唑并[1,5-a]吡啶-3-甲腈之結晶形式及其醫藥組合物
JP7061195B2 (ja) 2018-01-18 2022-04-27 アレイ バイオファーマ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ET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置換ピラゾロ[3,4-d]ピリミジン化合物
JP7060694B2 (ja) 2018-01-18 2022-04-26 アレイ バイオファーマ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et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置換ピロロ[2,3-d]ピリミジン化合物
CN111615514B (zh) 2018-01-18 2022-10-11 奥瑞生物药品公司 作为ret激酶抑制剂的取代的吡唑并[4,3-c]吡啶化合物
JP2022500383A (ja) 2018-09-10 2022-01-04 アレイ バイオファーマ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et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縮合複素環式化合物
AU2019387508A1 (en) * 2018-11-30 2021-06-10 Aptose Biosciences Inc. Combination therapy with 2,3-dihydro-isoindole-1-one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patients with various mutations
US20220143049A1 (en) 2019-03-21 2022-05-12 Onxeo A dbait molecule in combination with kinase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cancer
EP4054579A1 (en) 2019-11-08 2022-09-14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INSERM)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ncers that have acquired resistance to kinase inhibitors
WO2021148581A1 (en) 2020-01-22 2021-07-29 Onxeo Novel dbait molecule and its use
US20240100172A1 (en) 2020-12-21 2024-03-28 Hangzhou Jijing Pharmaceutical Technology Limited Methods and compounds for targeted autophagy
CN117295737A (zh) * 2021-03-05 2023-12-26 林伯士萨顿公司 Hpk1拮抗剂和其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17A2 (ko) * 2010-10-05 2012-04-12 크리스탈지노믹스(주) 2,3-디히드로-이소인돌-1-온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28315A (en) * 2001-04-12 2005-04-29 F Dihydro-benzo [b] [1, 4] diazepin-2-one derivatives as MGLUR2 antagonists II
EP1633710A1 (en) * 2003-06-02 2006-03-15 Abbott Laboratories Isoindolin-1-one compounds as kinase inhibitors
PE20061119A1 (es) * 2005-01-19 2006-11-27 Aventis Pharma Sa PIRAZOLO PIRIDINAS SUSTITUIDAS COMO INHIBIDORES DE CINASAS FAK, KDR Y Tie
KR20080011199A (ko) 2005-04-19 2008-01-31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질소 함유 복소환 화합물
WO2007047646A2 (en) * 2005-10-14 2007-04-26 Janssen Pharmaceutica, N.V. Substituted dihydro-isoindolones useful in treating kinase disorders
JP2009530342A (ja) * 2006-03-20 2009-08-27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 Btkおよびsyk蛋白キナーゼを阻害する方法
EP2108642A1 (en) * 2006-10-17 2009-10-14 Kyowa Hakko Kirin Co., Ltd. Jak inhibitor
JP5587193B2 (ja) * 2007-10-23 2014-09-10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 新規なキナーゼ阻害剤
WO2012014017A1 (en) 2010-07-30 2012-02-02 Poly Medicure Limited Catheter introducer
AU2013371146C1 (en) 2012-12-28 2019-01-17 Crystalgenomics, Inc. 2,3-dihydro-isoindole-1-on derivative as BTK kinase suppressan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same
US10463658B2 (en) 2013-10-25 2019-11-05 Videra Pharmaceuticals, Llc Method of inhibiting FLT3 kina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17A2 (ko) * 2010-10-05 2012-04-12 크리스탈지노믹스(주) 2,3-디히드로-이소인돌-1-온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04351A (ja) 2016-02-12
EP2940014A1 (en) 2015-11-04
MX2021011563A (es) 2022-10-10
AU2020201431B2 (en) 2021-07-22
RU2018138028A (ru) 2019-03-21
RU2015124381A (ru) 2017-02-01
AU2013371146C1 (en) 2019-01-17
US20150336934A1 (en) 2015-11-26
AU2020201431A1 (en) 2020-03-19
US20170362205A1 (en) 2017-12-21
CA2896711A1 (en) 2014-07-03
RU2671847C2 (ru) 2018-11-07
CN104995184B (zh) 2018-01-02
JP2018109069A (ja) 2018-07-12
WO2014104757A1 (ko) 2014-07-03
AU2013371146A1 (en) 2015-07-16
US20210009565A1 (en) 2021-01-14
AU2018214134B2 (en) 2020-03-12
EP2940014A4 (en) 2016-06-22
EP3428161A1 (en) 2019-01-16
EP2940014B1 (en) 2018-09-26
JP6596537B2 (ja) 2019-10-23
US20220380346A1 (en) 2022-12-01
CA2896711C (en) 2019-12-31
PL2940014T3 (pl) 2019-03-29
BR112015015477A2 (pt) 2017-07-11
BR112015015477B1 (pt) 2022-07-12
KR102009163B1 (ko) 2019-08-09
AU2018214134A1 (en) 2018-08-30
ES2696700T3 (es) 2019-01-17
ES2929906T3 (es) 2022-12-02
US9758508B2 (en) 2017-09-12
PT2940014T (pt) 2018-11-28
US10604508B2 (en) 2020-03-31
EP3428161B1 (en) 2022-09-07
JP6325573B2 (ja) 2018-05-16
MX2015008396A (es) 2016-04-15
CN104995184A (zh) 2015-10-21
DK2940014T3 (en) 2018-12-10
US11230539B2 (en) 2022-01-25
HK1259355A1 (zh) 2019-11-29
AU2013371146B2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0539B2 (en) 2,3-dihydro-isoindole-1-one derivative as BTK kinase suppressan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same
JP5883195B2 (ja) 増殖性疾患の治療に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有用なジヒドロナフチリジン及び関連化合物
KR102558308B1 (ko) 3-아자바이사이클로[3,1,1]헵탄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14082578A1 (zh) 杂芳基炔烃化合物及其应用
CN113480543B (zh) 2,6,8-多取代咪唑并[1,2-a]吡嗪及其合成方法和应用
WO2015058661A1 (zh) Bcr-abl激酶抑制剂及其应用
KR20230002721A (ko) Egfr 억제제로서의 삼환계 화합물
KR20050044382A (ko) 안트라닐산 아미드 및 vegf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억제제로서 그의 용도
JP2023550380A (ja) 重水素修飾チエノピリドン化合物
CN105228609A (zh) 新的转录因子调节剂
CN113214230B (zh) 2-取代吡唑氨基-4-取代氨基-5-嘧啶甲酰胺类化合物、组合物及其应用
WO2019096112A1 (zh) 一种取代的苯并咪唑化合物及包含该化合物的组合物
WO2020155931A1 (zh) 一种jak抑制剂及其制备方法
JPH04261121A (ja) 肺高血圧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