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856A - 붕대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붕대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856A
KR20160057856A KR1020140159006A KR20140159006A KR20160057856A KR 20160057856 A KR20160057856 A KR 20160057856A KR 1020140159006 A KR1020140159006 A KR 1020140159006A KR 20140159006 A KR20140159006 A KR 20140159006A KR 20160057856 A KR20160057856 A KR 2016005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age
winding
vertical plate
rod
wind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호
김범석
Original Assignee
최용호
김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호, 김범석 filed Critical 최용호
Priority to KR1020140159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7856A/ko
Publication of KR2016005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856A/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일정 비율로 감속시켜 출력하는 감속부; 자전 가능한 구조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며, 길이방향 타측에는 자전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붕대 삽입슬릿이 형성되는 권취봉;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감속부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권취봉에 연결되어, 상기 감속부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으로 상기 권취봉을 자전시키는 동력전달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붕대를 자동으로 감을 수 있어 붕대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별도의 접착테이프나 접착제 없이도 붕대의 일단을 권취봉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붕대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하나의 원통 형상으로 권취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붕대 권취장치 {Bandage w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으로 붕대를 감는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일렬로 풀어진 붕대를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붕대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부를 감싸기 위한 붕대는 1회 사용된 이후 폐기되지만, 권투용 붕대나 압박붕대와 같이 반복 사용 가능한 붕대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감았다가 푸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사용자의 신체에 감겨져 있던 붕대를 풀었을 때에는 상기 붕대의 보관성 향상 및 재사용 시의 사용편의성을 위해 상기 붕대를 롤 형태로 감아두어야 하는데, 현재까지는 상기 붕대를 손으로 감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바, 붕대를 롤 형태로 감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붕대의 길이가 매우 긴 경우에는 붕대를 롤 형태로 감는 작업 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하나의 원통 형상으로 정확하게 감기지 아니하여 미관이 불량해진다는 단점도 있다.
물론, 직물이나 필름을 롤 형태로 권취시키기 위한 권취장치는 다양하게 제시된바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권취장치는 직물이나 필름이 감겨지는 샤프트의 길이방향 양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베이스블록에 결합되므로, 사용하던 붕대를 다시 감기 위한 용도로는 적합하지 아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하던 붕대를 감기 위해서는 붕대의 시작단(감겨지기 시작하는 측의 끝단)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 결합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권취장치는 샤프트의 양단이 모두 베이스블록에 장착되는바, 상기 샤프트에 붕대의 시작단을 고정 결합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샤프트에 붕대의 시작단을 고정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별도의 접착테이프나 접착제를 이용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별도의 접착테이프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접착테이프나 접착제를 항시 비치해 두어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19634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붕대를 자동으로 감을 수 있고, 별도의 접착테이프나 접착제 없이도 붕대의 일단을 권취봉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으며, 붕대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하나의 원통 형상으로 권취시킬 수 있는 붕대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일정 비율로 감속시켜 출력하는 감속부; 자전 가능한 구조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며, 길이방향 타측에는 자전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붕대 삽입슬릿이 형성되는 권취봉;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감속부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권취봉에 연결되어, 상기 감속부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으로 상기 권취봉을 자전시키는 동력전달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호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을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는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제1 수직판과 제2 수직판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동력전달샤프트는, 상기 제1 수직판 중 상기 제2 수직판을 향하는 측면에 접촉되는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수직판 중 상기 제1 수직판을 향하는 측면에 접촉되는 제2 플랜지를 구비한다.
상기 붕대 삽입슬릿은, 붕대 중 한 겹 부위는 인입될 수 있지만 두 겹 이상으로 두껍게 제작된 시작단의 인입이 불가한 크기로 제작된다.
수직으로 세워지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권취봉의 길이방향 타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는, 표면이 매끄러운 구조물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흡착판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붕대를 자동으로 감을 수 있어 붕대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별도의 접착테이프나 접착제 없이도 붕대의 일단을 권취봉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붕대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하나의 원통 형상으로 권취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권취봉과 가이드판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는 권투붕대(10)나 압박붕대(10) 등과 같이 재사용이 가능한 붕대(10)를 원통형으로 감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의 힘에 의해 붕대(10)를 감는 것이 아니라 모터(200)의 동력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붕대(10)를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0)와, 상기 모터(200)의 회전력을 일정 비율로 감속시켜 출력하는 감속부(300)와, 자전 가능한 구조로 길이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장착되고 길이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에는 자전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붕대 삽입슬릿(510)이 형성되는 권취봉(500)과, 길이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이 상기 감속부(300)의 구동축(31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권취봉(500)에 연결되어 상기 감속부(30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권취봉(500)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권취봉(500)을 자전시키는 동력전달샤프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20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안 위치가 변경되지 아니하도록 별도의 장착 브라켓에 의해 베이스부(10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00)와 권취봉(500)은 자전만이 가능한 구조로 베이스부(10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붕대 삽입슬릿은 붕대(1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폭을 갖되 입구측이 권취봉(500)의 길이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를 이용하여 붕대(10)를 감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붕대(10)를 삽입시킨 후, 모터(200)를 작동시켜 권취봉(500)을 자전시킨다. 권취봉(500)이 자전되면 상기 붕대(10)는 권취봉(500)의 외측면에 감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이루게 된다. 붕대(10)의 권취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붕대(10)를 붕대 삽입슬릿(510) 입구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붕대(10) 뭉치를 권취봉(500)으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는, 붕대(10)를 권취봉(500)의 붕대 삽입슬릿(510)에 끼워둔 상태에서 모터(200)를 기동시키는 조작만으로 상기 붕대(10)를 원통형으로 감을 수 있으므로, 붕대(10) 정리를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권투글러브를 끼기 전에 권투선수의 손을 감싸는 권투붕대(10)는 길이가 매우 길어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감아 정리하고자 하는 경우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를 이용하면 붕대(10)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별도의 접착테이프나 접착제 없이도 상기 붕대(10)의 끝단을 권취봉(5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붕대 삽입슬릿(510)은 붕대(10) 중 한 겹 부위는 인입될 수 있지만 두 겹 이상으로 두껍게 제작된 시작단(11)의 인입은 불가한 규격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붕대(10)의 시작단(11)이 붕대 삽입슬릿(510) 일측에 위치되도록 삽입시킨 상태에서는 붕대(10)를 잡아당기더라도 붕대(10)의 끝단이 권취봉(500)으로부터 빠지지 아니하는바, 권취봉(500) 자전 시 붕대(10)가 권취봉(500)의 외주면에 감겨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에 감겨져 있던 붕대(10)를 풀어 두었다가 차후에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손에 감겨져 있던 붕대(10)를 모두 풀고 풀어진 붕대(10)를 다시 원통형으로 감아야 하는데, 이와 같이 감겨져 있던 붕대(10)를 푸는 작업과 풀어진 붕대(10)를 원통형으로 감는 작업을 각각 별도로 수행하면 붕대(10) 정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를 이용하면, 손에 감겨져 있던 붕대(10)의 일측 끝단을 붕대 삽입슬릿(510)에 삽입시킨 후 모터(200)를 기동시켰을 때 권취봉(500)의 회전력에 의해 손에 감겨져 있던 붕대(10)가 풀어지면서 권취봉(500)에 권취되는바, 붕대(10)를 푸는 작업과 붕대(10)를 원통형으로 감는 작업이 한 번에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모터(200)의 회전력을 권취봉(500)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샤프트(400)가 외팔보 구조로 베이스부(100)에 장착되면, 권취봉(500)의 끝단 처짐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권취봉(500)에 붕대(10)가 감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권취봉(500)이 상하로 크게 흔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정상적인 붕대(10) 권취가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권취봉(500)의 흔들림이 커지면 이러한 흔들림이 구동축(310)으로도 전달되는바, 감속부(300) 및 모터(200)의 손상까지도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붕대(10)를 팽팽하게 잡아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권취봉(500)을 자전시키는 경우, 붕대(10)의 인장력이 권취봉(500)으로 전달되는바, 상기 권취봉(500)의 흔들림은 더욱 커지게 되고, 상기 언급한 문제점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100)에 상호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수직판(110)과 제2 수직판(120)이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00)는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제1 수직판(110)과 제2 수직판(120)을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봉(5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제2 수직판(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단(43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샤프트(400)의 양단이 각각 제1 수직판(110)과 제2 수직판(120)에 삽입되면, 권취봉(500)의 처짐량이 감소되므로 상기 권취봉(500)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물론, 동력전달샤프트(400)가 양단지지보 구조로 장착된다 하더라도 상기 권취봉(500)은 외팔보구조로 장착되므로 상기 권취봉(500)에 약간의 흔들림이 발생될 수는 있지만, 이와 같이 권취봉(500)이 흔들리더라도 상기 권취봉(500)의 흔들림은 제1 수직판(110)과 제2 수직판(120)에 대부분 흡수되어 감속부(300) 및 모터(200) 측으로는 거의 전달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00)가 제1 수직판(110)과 제2 수직판(120)에 양단 지지보 구조로 장착되면 모터(200) 및 감속부(300)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붕대 권취장치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동력전달샤프트(400)가 단순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면 길이방향 양단이 제1 수직판(110)과 제2 수직판(120)에 삽입되더라도 길이방향(도 2에서는 좌우방향)으로는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샤프트(400)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 권취봉(500) 역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권취봉(500) 중 붕대(10)가 감겨지는 부위가 변경되어 정상적인 붕대(10) 권취가 불가해진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00)는 길이방향 양측에 제1 수직판(110)과 제2 수직판(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아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판(110) 중 상기 제2 수직판(120)을 향하는 측면에 접촉되는 제1 플랜지(410)와, 상기 제2 수직판(120) 중 상기 제1 수직판(110)을 향하는 측면에 접촉되는 제2 플랜지(42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샤프트(400)에 제1 플랜지(410)와 제2 플랜지(420)가 구비되면,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00)는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아니하고 자전만이 가능해지므로, 이에 연결된 권취봉(500) 역시 길이방향으로 흔들리지 아니하게 되어 붕대(10)가 원통형으로 깔끔하게 감겨질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플랜지(410)와 제1 수직판(110) 간의 마찰 및 제2 플랜지(420)와 제2 수직판(120) 간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1 플랜지(410)와 제1 수직판(110) 사이 및 제2 플랜지(420)와 제2 수직판(120) 사이에는 테프론 등과 같이 마찰계수가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와셔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모터(200)를 구동시켜 권취봉(500)에 붕대(10)를 감을 때 베이스부(100)가 흔들리면 정상적인 붕대(10) 권취가 불가하므로, 상기 베이스부(100)는 타 구조물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에는, 타일이나 유리 등과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구조물에 흡착되는 흡착판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의 장착위치를 변경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베이스부(100)는 별도의 체결나사 등에 의해 벽면이나 책상 등 고정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권취봉(500)과 가이드판(6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봉(500)의 길이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에 아무런 매개물이 없다면 붕대(10)를 감는 도중에 상기 붕대(10)가 권취봉(500)의 길이방향 타단으로 빠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권취봉(500)의 길이방향 타측에 별도의 블록을 고정결합시키면 권취봉(500)에 붕대(10)를 모두 감은 이후 상기 붕대(10) 뭉치를 권취봉(500)으로부터 빼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붕대 권취장치는, 권취봉(500)에 붕대(10)를 감는 동안에는 권취봉(5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붕대(10)가 권취봉(500)으로부터 빠지지 아니하도록 하고, 권취봉(500)에 붕대(10)를 모두 감은 이후에는 권취봉(500)으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붕대(10)가 권취봉(500)으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판(6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봉(500)의 길이방향 타측 외주면에는 수나사산(52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600)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운데 부위에 상기 수나사산(520)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610)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결합장치 없이도 상기 가이드판(600)이 권취봉(500)에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권취봉(500)의 길이방향 타측에 가이드판(600)이 구비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봉(500)에 감겨지는 붕대(10)는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아니하고 제자리에서 감겨지므로, 원통 형상의 깔끔한 붕대(10) 뭉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물론, 붕대(10) 권취가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가이드판(600)을 권취봉(500)으로부터 탈거시킴으로써, 붕대(10)를 권취봉(500)으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붕대 100 : 베이스부
110 : 제1 수직판 120 : 제2 수직판
200 : 모터 300 : 감속부
310 : 구동축 400 : 동력전달샤프트
410 : 제1 플랜지 420 : 제2 플랜지
430 : 돌출단 500 : 권취봉
510 : 붕대 삽입슬릿 520 : 수나사산
600 : 가이드판 610 : 암나사산

Claims (5)

  1.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0);
    상기 모터(200)의 회전력을 일정 비율로 감속시켜 출력하는 감속부(300);
    자전 가능한 구조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장착되며, 길이방향 타측에는 자전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붕대 삽입슬릿(510)이 형성되는 권취봉(5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감속부(300)의 구동축(31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권취봉(500)에 연결되어, 상기 감속부(30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으로 상기 권취봉(500)을 자전시키는 동력전달샤프트(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호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수직판(110)과 제2 수직판(120)을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00)는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제1 수직판(110)과 제2 수직판(120)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00)는, 상기 제1 수직판(110) 중 상기 제2 수직판(120)을 향하는 측면에 접촉되는 제1 플랜지(410)와, 상기 제2 수직판(120) 중 상기 제1 수직판(110)을 향하는 측면에 접촉되는 제2 플랜지(4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 권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붕대 삽입슬릿(510)은, 붕대(10) 중 한 겹 부위는 인입될 수 있지만 두 겹 이상으로 두껍게 제작된 시작단(11)의 인입이 불가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 권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권취봉(5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가이드판(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 권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에는, 표면이 매끄러운 구조물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흡착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 권취장치.
KR1020140159006A 2014-11-14 2014-11-14 붕대 권취장치 KR20160057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006A KR20160057856A (ko) 2014-11-14 2014-11-14 붕대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006A KR20160057856A (ko) 2014-11-14 2014-11-14 붕대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856A true KR20160057856A (ko) 2016-05-24

Family

ID=5611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006A KR20160057856A (ko) 2014-11-14 2014-11-14 붕대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78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0736A (zh) * 2020-06-29 2020-09-25 岳铁华 一种外科手术用医用压敏胶带盒
CN114848304A (zh) * 2022-04-27 2022-08-05 项林 一种烧伤科绷带缠绕辅助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0736A (zh) * 2020-06-29 2020-09-25 岳铁华 一种外科手术用医用压敏胶带盒
CN111700736B (zh) * 2020-06-29 2022-01-07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外科手术用医用压敏胶带盒
CN114848304A (zh) * 2022-04-27 2022-08-05 项林 一种烧伤科绷带缠绕辅助装置
CN114848304B (zh) * 2022-04-27 2023-09-08 南京善若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烧伤科绷带缠绕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472B1 (ko) 소방호스 권취 장치
JP2008223473A (ja) 自動車用日除けロールブラインド
KR20160057856A (ko) 붕대 권취장치
BR112016002398B1 (pt) Método para remover um painel envidraçado ligado a uma armação por um material de ligação interposto
CN210052011U (zh) 一种纱幕投影装置
JP3141989U (ja) シート状物品の巻取装置
CN114229623A (zh) 一种电缆轴盘用收放线装置
CN210438215U (zh) 一种线材收纳结构
JP2016209902A (ja) 線材供給装置
KR0145960B1 (ko) 단열 테이프 권취 방법 및 장치
KR102014767B1 (ko) 마이크 케이블 권취장치
CN210594514U (zh) 无芯卷棉机
JP2015202937A (ja) 巻取装置
CN215399459U (zh) 一种手持式胶带缠线器
JP5571964B2 (ja) 糸の巻回装置
CN215458306U (zh) 一种多功能手术室用的手术线固定盒
CN219669849U (zh) 一种便于线束装配的辅助装置
KR100921978B1 (ko) 커넥터 롤 피복재 감김 장치
JP3554521B2 (ja) ボンベ固定装置
CN101282064B (zh) 白布带包带装置
JPH09117579A (ja) 糸掛け装置
KR200393250Y1 (ko) 마이크 연결선 권취기
JP2937748B2 (ja) オーニング装置
JP3665807B2 (ja) 電動釣竿
JP3013470U (ja) ゴム式巻き取り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