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474A -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조작 유닛의 조작 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조작 유닛의 조작 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474A
KR20160057474A KR1020167010261A KR20167010261A KR20160057474A KR 20160057474 A KR20160057474 A KR 20160057474A KR 1020167010261 A KR1020167010261 A KR 1020167010261A KR 20167010261 A KR20167010261 A KR 20167010261A KR 20160057474 A KR20160057474 A KR 20160057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ound
predetermined
operating unit
audi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328B1 (ko
Inventor
홀거 와일드
마크 피터 첼닉
고든 세이츠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05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6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coustic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3Scrolling through menu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5Selection of menu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1Activation of instrument input devices by approaching fingers 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60K2360/1442Emulation of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접촉 감지 조작 유닛의 이동 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조작 유닛(1) 위에 표시된 스위치면(10. 20, 30) 앞의 소정의 제1 영역(11) 내에서 특히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입력 수단(2)의 존재를 인식하는 단계(200), 및 이에 대한 응답으로 소정의 제1 오디오출력(3)을 통해 상기 인식된 존재를 확인응답(acknowledging)하는 단계(300)로서, 제1 오디오 출력은 제1 소리 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리 기호는 조작 유닛(1) 위에 표시된 제1 스위치면(10, 20, 30)에 맥락 특정적으로 지정되는 것인, 확인 응답 단계(300).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조작 유닛의 조작 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방법{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ASSISTING A USER WITH OPERATION OF AN OPERATING UNI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접촉 감지 조작 유닛의 이동 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동 수단의 운전자가 주행 상황을 인지하는 중에 이동 수단 내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조작 유닛을 조작할 때 운전자를 지원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uman-machine-interfaces, HMI)가 차량에 장착되어,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위에서 선택 자유적으로 콘텐츠 및 상호 작용면들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조작을 위해 예컨대 용량 센서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표면과 마찬가지로 회전-/누름 조정기, 스위치 버튼 및 다른 기계적 요소가 공지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조작 유닛과의 접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스크린 앞에 수행된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하는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조작 단계는 호버링(hovering)으로 지칭된다. 이때 제스처 인식은 광학 센서(카메라) 및 대안적 또는 부가적으로 용량 센서 장치에 의해 감지되고 소정의 스위치면에 지정된다. 이와 연관하여 운영 시스템 "Window 8(등록 상표)" 및 삼성 갤럭시 S4(등록 상표)의 "AirView(등록 상표)"를 참조한다.
WO 2009/062677 A2는 정보의 입력 및 표현을 위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다중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고, 이러한 시스템에서 소정의 기능을 호출하는 음성 명령과 연계하여 제스처가 사용된다. 이때 터치-/제스처 인식을 위한 용량 센서 및 음성 명령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 시스템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때, 특히 주행 상황의 인지 중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때 사용자를 지원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항에 따른 특징들을 포함하는 방법 및 제8항에 따른 특징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해결된다. 이에 상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동 수단 내에 장착된 HMI로서 형성될 수 있는 접촉 감지 조작 유닛을 조작할 때 사용자를 지원하는 것이다. 우선 조작 유닛과 관련한 소정의 제1 영역 내에서 입력 수단의 존재(presence)가 인식된다. 입력 수단은 예컨대 입력핀("스타일러스)", 사용자의 손가락, 사용자의 다른 신체 부위 등일 수 있다. 전술한 터치-/제스처 인식에 상응하여, 소정의 제1 영역은 조작 유닛과 접촉하고 있고("터치-조작") 조작 유닛 앞의 소정의 거리 영역("호버링-영역")으로 연장된다. 조작 유닛은 서로 다른 입력들을 인식하기 위해 용량 센서 장치, 카메라 기반 센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수단의 인식된 존재에 대한 응답으로, 오디오 출력이 생성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존재가 확인응답된다(acknowledged). 오디오 출력은 제1 소리 기호를 포함하고, 제1 소리 기호는 조작 유닛 위에 표시된 제1 스위치면에 맥락-특정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제1 스위치면은 예컨대 소정의 기능 범위를 나타낼 수 있고, 제1 소리 기호는 이러한 기능 범위를 적합한 방식으로 상징한다. 제1 소리 기호는 "음향 아이콘"("이어콘(earcon)"이라고도 함)을 의미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스위치면에 지정된 기능은 소리 기호의 구현을 결정하되, 사용자가 소리 기호를 들을 때 다수의 기능들 중 특정한 기능을 가장 유사한 것으로 연상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소정 영역에 도달하면 제1 스위치면과 연동하는 기능에 관한 음향 안내가 야기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입력, 호버링 제스처 등에 의해) 스위치면을 작동시키면, 스위치면에 지정된 기능이 수행되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이미 오디오 출력으로 인하여 인식된다. 이에 상응하여 소정의 제1 영역을 벗어나면 오디오 출력의 범위 내에서 동일하거나 대안적인 소리 기호가 동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유닛을 특히 주행 상황 인지 중에 조작할 때 사용자를 지원하며, 주행 상황 인지 중에 운전자는 조작 유닛의 조작을 위해 한정된 주의력을 가질 수 있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발전 형태들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조작 유닛과 관련한 소정의 제2 영역 내에서 입력 수단의 존재의 인식을 더 포함한다. 제2 영역에 대하여 제1 영역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부합하며, 이때 제2 영역은 반드시 제1 영역과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소정의 제2 영역 내에서 입력 수단의 존재가 인식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이러한 과정이 사용자에게 소정의 제2 오디오 출력에 의해 확인응답된다. 제2 오디오 출력은 제2 소리 기호를 포함하여, 조작 유닛 위에 표시된 제2스위치면에 맥락-특정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제2 스위치면은 제1 스위치면과 상이한 기능을 가지며, 이때 제2 소리 기호에 대하여 제2 스위치면과 연관하여 전술한 바가 부합된다. 제2 소리 기호 및 제1 소리 기호가 서로 분명하게 구분되면서, 사용자는 소리 기호를 인지할 때 제2 스위치면에 연동된 기능을 추론할 수 있고, 제1 스위치면에 연동된 기능의 실행에 대해 실질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는 주행 상황 인지 중인 사용자를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시 지원하는 것을 개선한다.
소정의 제1 영역 및 소정의 제2 영역은 조작 유닛의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한 경계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계면은 조작 유닛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서 이격되어 있다. 제1 평행 경계면은 조작 유닛의 표면 자체에 의해 정의될 수 있거나 호버링 영역은 조작 유닛의 표면과 제1 경계면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영역의 수직 경계면들은 예컨대 각각의 표시된 스위치면의 경계선들과 일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된 스위치면은 조작 유닛의 표면 위에 제1 또는 제2 영역의 수직 영사물의 테두리 부분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영역은 조작 유닛의 표면으로부터 -1 mm 내지 +3 mm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음수 거리 영역은 터치 조작을 위한 것인 반면, 양수 거리 영역은 호버링 영역을 위한 것이다. 거리 영역은 통상적으로 조작 유닛의 표면으로부터 10 mm 내지 15 cm의 거리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조작 유닛과 관련한 제1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제3 영역으로 입력 수단의 이행을 더 인식할 수 있다. 제3 영역에 대하여 제1 및 제2 영역과 연관하여 전술한 바와 부합한다. 이후, 이행은 소정의 제3 오디오 출력에 의해 확인 응답되고, 제3 오디오 출력은 제3 소리 기호를 포함하고, 제3 소리 기호는 조작 유닛 위에 표시된 제3 스위치면에 맥락-특정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3 스위치면은 제3 소리 기호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징되는 제3 기능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주행 상황 인지 중에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때 음향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어서, 사용자의 주의가 실질적으로 교통 상황에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수용도를 증대시키고 사용자 또는 그 외 주변의 사람이 불필요하게 방해받는 일이 없게 하기 위해,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 또는 소리 기호에 통합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반복 재생되는 음성 신호 비율보다 반복 재생되는 소리음을 더 분명하게 인지한다. 이에 상응하여 오디오 출력은 하나의 표본(sample) 또는 서로 연관된 복수의 표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표본들은 예컨대 특히 반복 출력 시 변경될 수 있다. 통상적인 예시는 클릭음으로서, 이는 수행된 조작 단계에 따라 그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호버링 영역에 도달했을 때 더 높은 제1 주파수를 갖는 클릭음이 재생될 수 있는 반면, 제1 호버링 영역으로부터 제2 호버링 영역으로 전환될 때 더 낮은 제2 주파수의 클릭음이 재생된다. 클릭음들은 스위치면과 소리 기호 사이의 지정에서 맥락과의 관련성이 부족할 때를 위한 예시이다. 개별적으로, 예컨대 날씨와 관련한 스위치면은, 소리 기호로서 천둥소리음, 빗소리음 또는 바람소리음이 사용됨으로써 확인응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재 날씨 상태는 클릭음들 중 해당되는 하나로 상징되면서 나타내질 수 있다. 다른 예는, 소리 기호로서 DTMF -톤시퀀스(tone sequence) 또는 호출음(ringing tone)의 재생에 의해 전화 기능을 고지하는 것이다. 이는 에코사운더(echo sounder) 소리음에 의해 내비게이션 기능이 고지되는 것에 상응할 수 있다. 전술한 지정 작업은 사용자의 오리엔테이션을 위해 매우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연관관계를 나타낸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조작 유닛 위에 표시된 스위치면의 소정의 교번적인 광학적 표시에 의해 인식된 존재의 확인 응답을 포함한다. 이때 증대된 잡음 레벨은 일부 보상될 수 있는데, 교번적인 광학적 표시가 사용자의 주의를 조작 유닛으로 유도하고, 잡음 레벨에 비해 약하게만 인지되는 오디오 출력을 더욱 양호하게 인식시키면서 그러하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오디오 출력과 각각의 스위치면의 지정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사용자가 구성 메뉴에서 전체 스위치면 목록에 각각의 소리 기호를 지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사용자가 (예컨대 자체적으로 구현하거나 획득된) 부가적인 소리 기호를 소리 기호 풀(pool)에 부가할 수 있고, 이를 스위치면들 중 하나와 연동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하고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소리 기호를 인지할 때 기능 범위의 재인식율을 높여준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특히 자동차 내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안된다. 그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로도 공지되었다. 자동차는 예컨대 전기 방식으로, 내연기관에 의해 또는 하이브리드로 구동되는 지상용 차량(승용차, 화물차)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접촉 감지 조작 유닛, 사용자 입력 인식을 위한 인식 장치 및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접촉 감지 조작 유닛은 예컨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는 접촉 감지 요소와 함께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한다. 인식 장치는 접촉 감지 요소 및 호버링 제스처 인식을 위한 카메라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HMI 내에 배치되고 내비게이션 명령의 처리를 위해 설계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처음에 언급한 발명 양태와 연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특징들, 특징 조합들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이점들은 처음에 언급한 발명의 양태와 연계하여 설명된 바에 명백하게 상응하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앞의 실시예를 참조한다.
조작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대시보드 내의 중앙에 통합될 수 있거나 차량의 스티어링 휠 후방에서 인스트루먼트 클러스터로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 또는 부가적으로, 인식 장치는 카메라 시스템 및/또는 용량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서, 호버링 제스처 및 터치 제스처를 인식 및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저장 수단에는 소정의 제스처를 나타내는 참조 신호들이 저장된다. 이러한 참조 정보는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인식 장치에 의해 인식된 입력과 비교될 수 있다. 이는 이용 가능한 조작 단계들의 다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순차적인 조작 단계들이 평균적으로 적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두 번째로 언급된 발명의 양태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안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차량 내에서 콤팩트 유닛으로서 또는 분배된 시스템으로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의 하드웨어가 사용될 수 있음으로써,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징들, 특징 조합들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이점들은 첫 번째 및 두 번째로 언급한 발명의 양태와 연계하여 설명된 바에 명백하게 상응하며, 이와 연관하여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앞의 실시예를 참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의 참조 번호와 함께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개략적 개요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의 가능한 조작 단계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의 대안적 조작 단계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의 단계들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이동 수단(8)을 도시하고, 이러한 이동 수단에서 HMI의 스크린은 조작 유닛(1)으로서 대시 보드에 삽입되어 있다. 카메라(6)는 (미도시된) 근접 센서 장치에 대해 부가적으로 방풍창의 영역 내에서 인식 장치로서 용량성(capacitive) 장치 및 광 배리어(light barrier) 위에 구비된다. 카메라(6)는 처리 장치로서의 전자 제어 기기(7)와 데이터 기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자 제어 기기(7)는 오디오 출력 생성을 위한 스피커(9) 및 조작 유닛(1)과 연결되고, 조작 유닛의 스크린 위에 제1 스위치면(10) 및 제2 스위치면(20)이 표시되어 있다. 스위치면들(10, 20)에서 각각의 직육면체 영역들(11, 21)이 파선으로 표시되고, 이러한 영역들에서 (조작 유닛(1)의 표면에 대한 각각의 거리(a)에 따라) 터치 입력으로서 또는 호버링으로서 입력 수단의 존재가 인식된다. 영역들(11, 12)은 조작 유닛(1)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 제1 면(12 또는 22), 조작 유닛(1)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며 이러한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면(13 또는 23), 및 조작 유닛(1)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4개의 면(14 또는 24, 15 또는 25, 16 또는 26, 17 또는 27)에 의해 정의되되, 이러한 스위치면들(10, 20)이 조작 유닛(1) 위에서 영역들(11, 21)의 수직 영사물을 나타내거나 이러한 영사물들에 의해 한정되는 방식으로 정의된다.
도 2는 조작 유닛(1) 위에 표시될 수 있는 가능한 조작 표면을 도시한다. 제1 스위치면(10) 위에 지도 일부가 도시되어 있고, 이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통해 산출된 경로 일부에 대응한다. 우측 스크린에는 상부 영역에 제2 스위치면(20)이 표시되고, 이를 통해 현재 재생되는 음악 트랙, 이에 대한 설명 및 이 음악 트랙이 포함된 앨범이 나타내진다. 제2 스위치면(20) 아래에 제3 스위치면(30)이 표시되어 있고, 이러한 제3 스위치면 내에서 브라운슈바익 지역의 날씨가 섭씨 정보 및 현재 강설량과 연계하여 아이콘의 형태로 나타내진다. 사용자(2)의 손은 제1 스위치면(10)의 앞에 위치한다. 에코서라운더 신호를 이어콘으로서 포함하는 제1 소정 오디오 출력(3)에 의해 손의 존재가 확인응답되고, 상기 확인응답 중에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기능과 연동된 스위치면(10)을 조작한다는 오리엔테이션이 제공된다.
도 3은 도 2와 연계한 도면으로, 단 이 도면에서는 사용자(2)의 손을 이용하여 대안적인 제스처가 수행된다. 제1 스위치면(10) 앞의 제1 영역(11)으로부터 제3 스위치면(30) 앞의 제3 영역으로 화살표(P)를 따라 손을 옮긴다. 인식된 이행은 고주파의 덜컹거리는 묵직한 소리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 오디오 출력(4)에 의해 확인응답된다. 이로써 제2 오디오 출력(4)은 제3 스위치면의 콘텐츠에 대응하는데, 텍스트 형태로 고지된 강설 정보를 상징하는 소리 데이터가 재생되면서 그러하다. 예컨대 고주파의 낮은 종소리도 사용자(2)에게 이에 상응하는 연상 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사용자는, 조작 유닛을 보지 않고도, 스위치면(30)이 날씨 관련 기능에 지정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의 단계들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은 단계 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 유닛 위에 표시될 수 있는 제1 스위치면에 제1 소리 기호를 지정하는 것을 시작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메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동 시스템의 개별 스위치면 또는 전체 스위치면은 소정의 (확장 가능한) 소리 기호풀로부터 선택된 소리 기호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지정 작업이 수행된 후, 단계 200에서 조작 유닛과 관련한 소정의 제1 영역 내에서 입력 수단의 존재(예컨대 터치 제스처 또는 호버링 제스처)가 인식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단계 300에서 사용자에게 소정의 제1 오디오 출력에 의한 존재가 확인 응답되며, 이때 제1 오디오 출력은 제1 소리 기호를 포함하며, 제1 소리 기호는 조작 유닛 위에 표시된 제1 스위치면에 맥락 특정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때 제1 스위치면과 연동된 기능은, 사용자에게 제1 소리 기호에서 가급적 단순하게 연상되는 과정에 상응한다. 또한, 단계 400에서 조작 유닛과 관련한 소정의 (다른) 제2 영역 내에서 (예컨대 제2 스위치면 상에 또는 그 위에) 입력 수단의 존재가 인식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단계 500에서 사용자에게 소정의 (다른) 제2 오디오 출력에 의해 인식된 존재가 확인응답된다. 제2 오디오 출력은 제2 소리 기호를 포함하고, 제2 소리 기호는 제2 스위치면과 연동된 기능을 위한 음향 표상을 나타낸다. 이후 단계 600에서 입력 수단은 조작 유닛과 관련한 제1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제3 (또 다른) 영역으로 진입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단계 700에서 사용자에게 소정의 제3 오디오 출력에 의해 상기 이행이 확인 응답되며, 이때 제3 오디오 출력은 제3 소리 기호를 포함하며, 제3 소리 기호는 조작 유닛 위에 표시된 제3 스위치면에 맥락 특정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3 스위치면은 제3 (또 다른) 기능을 위한 것으로, 제3 기능은 제3 소리 기호에 의해 사용자에게 음향적으로 상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태들 및 유리한 실시 형태들은 첨부 도면과 연관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당업자에게는, 첨부 청구항에 의해 그 보호 범위가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예들의 특징들의 수정 및 조합이 가능하다.
1 조작 유닛 2 사용자의 입력 수단
3,4,5 오디오 출력 6 카메라
7 전자 제어 기기 8 차량
9 스피커 10 스위치면
11 제1 영역 12, 13, 14, 15, 16, 17 영역 경계선
20 스위치면 21 제2 영역
22, 23, 24, 25, 26, 27 영역 경계선
100, 200, 300, 400, 500, 600 방법 단계들
P 제스처 a 거리

Claims (10)

  1. 접촉 감지 조작 유닛(1)의 조작 시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 상기 조작 유닛(1)과 관련한 소정의 제1 영역(11) 내에서 특히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입력 수단(2)의 존재를 인식하는 단계(200), 및 이에 대한 응답으로,
    소정의 제1 오디오 출력(3)에 의해 상기 인식된 존재를 확인응답하는 단계(acknowledging)(300)로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은 제1 소리 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리 기호는 상기 조작 유닛(1) 위에 표시된 제1 스위치면(10, 20, 30)에 맥락 특정적으로 지정되는 것인, 확인응답 단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닛(1)과 관련한 소정의 제2 영역(11) 내에서 특히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입력 수단(2)의 존재를 인식하는 단계(400), 및 이에 대한 응답으로,
    소정의 제2 오디오 출력(3)에 의해 상기 인식된 존재를 확인응답하는 단계(500)로서, 상기 제2 오디오 출력은 제2 소리 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소리 기호는 상기 조작 유닛(1) 위에 표시된 제2 스위치면(10, 20, 30)에 맥락 특정적으로 지정되는 것인, 확인응답 단계(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1 영역(11) 및/또는 소정의 제2 영역(21)은 상기 조작 유닛(1)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면서 상기 조작 유닛(1) 위에 표시된 스위치면(10, 20, 30)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게 한정되고/한정되거나 상기 조작 유닛(1)의 표면으로부터 -1 mm 내지 +100 mm의 거리(a) 내에서, 특히 -1 mm 내지 30 mm의 거리(a) 내에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조작 유닛(1)과 관련한 상기 제1 영역(11)으로부터 소정의 제3 영역으로 상기 입력 수단(2)의 이행(P1)의 인식 단계(600), 및
    - 소정의 제3 오디오 출력(4)에 의해 상기 이행을 확인응답하는 단계(700)로서, 제3 오디오 출력은 제3 소리 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소리 기호는 상기 조작 유닛(1) 위에 표시된 제3 스위치면(10, 20, 30)에 맥락 특정적으로 지정되는 것인, 확인응답 단계(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3, 4)은 다음의 신호 분류등급들:
    - 제1 주파수의 클릭음,
    - 제1 주파수보다 더 낮은 제2 주파수의 클릭음,
    - 천둥소리음,
    - 빗소리음,
    - 바람소리음,
    - DTMF 톤시퀀스,
    - 호출음,
    - 에코서라운더 소리음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조작 유닛 위에 표시된 스위치면(10, 20, 30)의 소정의 교번적 광학 표시에 의해 상기 인식된 존재를 확인응답하는 단계(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조작 유닛(1) 위에 표시될 수 있는 제1 스위치면(10, 20, 30)에 제1 소리 기호를 사용자에 의해 지정하는 단계(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사용자 인터페이스, 특히 자동차 내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 접촉 감지 조작 유닛(1),
    - 사용자 입력의 인식을 위한 인식 장치(6), 및
    - 처리 장치(7)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 상기 조작 유닛(1)은 자동차(8)의 대시보드 내의 중앙에 통합되고/통합되거나
    - 상기 인식 장치(6)는 카메라 시스템 및/또는 용량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67010261A 2013-09-27 2013-09-27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조작 유닛의 조작 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방법 KR101805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3/070214 WO2015043652A1 (de) 2013-09-27 2013-09-27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anwenders bei bedienung einer bedien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474A true KR20160057474A (ko) 2016-05-23
KR101805328B1 KR101805328B1 (ko) 2017-12-07

Family

ID=4926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261A KR101805328B1 (ko) 2013-09-27 2013-09-27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조작 유닛의 조작 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48382B2 (ko)
EP (1) EP3049909A1 (ko)
KR (1) KR101805328B1 (ko)
CN (1) CN105683903A (ko)
WO (1) WO2015043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3329B1 (en) 2015-09-15 2017-02-07 Thunder Power Hong Kong Ltd. Interchangeable display of information panels on a dashboard
GB2572614B (en) * 2018-04-05 2021-12-08 Steris Solutions Ltd Handset for controlling a support device or a movable surface
CN114397996A (zh) * 2021-12-29 2022-04-26 杭州灵伴科技有限公司 交互提示方法、头戴式显示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0187B2 (en) * 2004-07-30 2010-07-20 Apple Inc. Visual expander
US7257536B1 (en) * 1999-11-23 2007-08-14 Radiant Systems, Inc. Audio request interaction system
US20080129520A1 (en) * 2006-12-01 2008-06-05 Apple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with enhanced audio feedback
DE102007039450A1 (de) * 2007-08-21 2009-02-26 Siemens Ag Berührungsempfindlicher Bildschir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erührungsempfindlichen Bildschirms
DE102008051757A1 (de) 2007-11-12 2009-05-14 Volkswagen Ag Multimodale Benutzerschnittstelle eines Fahrerassistenzsystems zur Eingabe und Präsentation von Informationen
US9170649B2 (en) 2007-12-28 2015-10-27 Nokia Technologies Oy Audio and tactile feedback based on visual environment
US20090225043A1 (en) * 2008-03-05 2009-09-10 Plantronics, Inc. Touch Feedback With Hover
US20100250071A1 (en) * 2008-03-28 2010-09-3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ual function touch switch with haptic feedback
CN102422712A (zh) * 2009-05-13 2012-04-1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音频反馈和对光功能和设置的依赖性
DE102009032069A1 (de) * 2009-07-07 2011-01-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in einem Fahrzeug
DE102009036369A1 (de) 2009-08-06 2011-02-10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vorrichtung und Bedien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TWI423112B (zh) * 2009-12-09 2014-01-11 Ind Tech Res Inst 可攜式虛擬輸入操作裝置與其操作方法
US10705794B2 (en) * 2010-01-18 2020-07-07 Apple Inc. Automatically adapting user interfaces for hands-free interaction
US8863256B1 (en) * 2011-01-14 2014-10-1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cure transactions using flexible identity management in a vehicular environment
US9285944B1 (en) * 2011-04-22 2016-03-15 Angel A. Penilla Methods and systems for defining custom vehicle user interface configurations and cloud services for managing applications for the user interface and learned setting functions
EP2751646A4 (en) * 2011-08-31 2015-06-17 Qoros Automotive Co Ltd INTERACTIVE VEHICLE SYSTEM
KR101852821B1 (ko) * 2011-09-08 2018-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6311602B2 (ja) * 2012-06-15 2018-04-18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
KR101943320B1 (ko) * 2012-09-21 2019-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90037B1 (ko) * 2012-11-13 2019-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8818716B1 (en) * 2013-03-15 2014-08-26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based point of interest search
US9300779B2 (en) * 2013-03-15 2016-03-29 Blackberry Limited Stateful integration of a vehicle information system user interface with mobile device ope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328B1 (ko) 2017-12-07
US20160239261A1 (en) 2016-08-18
CN105683903A (zh) 2016-06-15
US10248382B2 (en) 2019-04-02
WO2015043652A1 (de) 2015-04-02
EP3049909A1 (de)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4822B2 (ja) 触覚効果によるフィードフォワード及びフィードバック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103691B2 (en) Multimode user interface of a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inputting an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CN110294009B (zh) 用于基于触摸控制操作方向盘的装置和方法
EP2829440B1 (en) On-board apparatus
JP5188900B2 (ja) 情報入力装置
US8527900B2 (en) Motor vehicle
CN103085734A (zh) 具有错误触摸反馈的接近开关
EP2827223A1 (en) Gesture input operation processing device
CN104691450A (zh) 用户接口
CN105283356A (zh) 应用程序控制用的程序、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US201402819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guidance of gesture input on a touch pad
JP6622264B2 (ja) 車載機器操作支援システム
KR10180532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조작 유닛의 조작 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방법
JP6943250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4362429A (ja) タッチパネルディスプレイを用いたコマンド入力装置
JP2008033763A (ja) 車載電子機器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WO2019021418A1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77707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조작 유닛의 조작 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방법
JP5845073B2 (ja) 情報処理装置
JP6393604B2 (ja) 操作装置
JP2006221390A (ja) 画面スクロール制御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63854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77072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조작 유닛의 조작 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방법
JP2015132906A (ja) 入力装置、マルチタッチ操作の入力検出方法及び入力検出プログラム
JP2012162127A (ja) 車載機器用操作装置及び刺激出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