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261A - 광조형 방식 3d 프린터용 광경화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조형 방식 3d 프린터용 광경화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261A
KR20160057261A KR1020140158337A KR20140158337A KR20160057261A KR 20160057261 A KR20160057261 A KR 20160057261A KR 1020140158337 A KR1020140158337 A KR 1020140158337A KR 20140158337 A KR20140158337 A KR 20140158337A KR 20160057261 A KR20160057261 A KR 20160057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wax
photo
printing
curabl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4251B1 (ko
Inventor
이병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리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리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리마
Priority to KR1020140158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2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L101/0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atoms
    • C08L101/08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Abstract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광조형 방식의 광경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광조형수지 60 ~ 95 중량%, 융점이 30 ~ 90℃인 왁스 2 ~ 20 중량% 및 잔량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광조형시 조형 중 또는 조형완료 후의 변형을 개선한 광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조형 방식 3D 프린터용 광경화 수지 조성물 {Light curable Resin Composition using 3D printing}
본 발명은 광조형 방식의 3D 프린터 인쇄에 사용되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지층을 적층하여 조형물을 성형하는 광조형 방식 3D 프린터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이 담긴 바닥판이 투명한 수지조에 빛을 조사하고 조형판이 상승이동하면서 1층분씩 경과되는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원하는 입체적인 조형물이 성형된다.
그런데 이러한 광조형 방식 3D 프린팅에서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이 단량체로 된 액상이기 때문에 빛을 받아 고분자로 경화되는 과정에서 부피 수축을 필연적으로 수반한다. 이러한 부피 수축 시에 발생되는 수축응력은 성형층이 누적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크게 축적되어 조형물을 변형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미소한 고체 입자를 포함시키는 방법이 시도되기도 하였으나, 누적 수축응력에 따른 변형 조형물의 변형 발생을 만족스럽게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조형 방식의 3D 프린팅에 있어서 조형물의 수축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광경화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발명에 따라, 광조형 방식의 광경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광조형수지 60 ~ 95 중량%, 융점이 30 ~ 90℃인 왁스 2 ~ 20 중량% 및 잔량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왁스의 입자 크기는 0.01mm 내지 0.5mm의 범위이거나 1단위층 광조형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경화수지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광조형 방식의 3D 프린팅에 있어서 조형물의 수축변형을 최소화하여 높은 조형 정밀도를 갖는 조형물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광조형 방식 3D 프린팅 인쇄방법 중 하나인 DLP방식의 작업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DLP 방식의 3D 프린팅 인쇄는 광조형수지조성물(1)을 수지조(10)에 담고, 이미지소스(20)를 통해 이미지광(21)을 수지조(10)에 조사하면 광조형수지조성물(1)은 단위성형층(2)을 형성한다. 그리고, 1층분의 단위성형층(2)을 형성한 후 조형판구동부(31)는 상승 이동한다. 이러한 이미지광(210) 조사와 조형판(22) 상승 이동이 반복됨으로써 원하는 입체적인 조형물이 성형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조형 방식의 3D프린팅용 광경화 수지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경화 수지 조성물은 DLP방식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광조형방식의 3D 프린팅 인쇄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광조형 방식의 3D프린터에 적용되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은 광조형수지 60 ~ 95 중량%, 융점이 30 ~ 90℃인 왁스 2 ~ 20 중량% 및 잔량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경화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이다.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분자 중에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C=C)를 갖는 화합물이다.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1분자 중에 1개의 에리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관능성 단량체와 1분자 중에 2개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가 광조형용으로 이용된다.
단관능성 단량체로는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질소 함유 비닐화합물, 디메틸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아쿠모르 폴린,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테트라 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 레이트, 사이클릭트리메틸올포멀아크릴레이트 등 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아크릴레이트도 사용가능하지만, 아크릴레이트가 중합 속도가 빠르고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단량체로는 ,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지메찌롤트리시클로 데느낌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메타크릴 레이트도 사용할 수 있지만 아크릴레이트가 중합 속도가 빠르고 바람직하다.
광경화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왁스는 융점이 30 ~ 90℃인 왁스이다. 왁스는 통상적으로 "융점을 갖는 유기물"로 정의하며, 예를 들면, 동물성 왁스인 밀랍, 식물성 왁스인 카르나우바 왁스, 석유에서 유래한 광물성 왁스인 파라핀 왁스, 합성 왁스 등이 있다. 보통의 왁스는 30 ~ 100℃의 고온에서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융점이 40 ~ 80℃인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광경화 수지의 광중합반응시 온도가 보통 40 ~ 80℃의 범위 내에 있다. 그래서, 40℃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왁스의 경우에는 너무 빨리 녹아버려, 수축 응력 감소에 충분히 기여하지 않으며, 80℃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왁스의 경우에는 녹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수축 응력 감소에 기여하지 못한다. 따라서 더욱 바람직한 융점은 45 ~ 70℃이다.
왁스의 사용량은 2~20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2중량%이하에서는 수축응력 감소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20중량%이상이면, 조형물을 고온에 방치할 때 왁스가 녹아 새어나오거나 조형물의 표면이 끈적거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실험결과 확인하였다. 의미있는 유효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5 ~ 15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왁스의 입자크기는 0.01mm ~ 0.5mm이다. 이는 본원발명에 의한 광조형의 1층분의 적층높이가 0.025mm ~ 0.2mm인 것을 고려한다면, 0.02mm ~ 0.2mm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1층분의 적층높이보다 왁스의 입자크기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잔량의 첨가제 중 광중합 개시제는 라디칼성 광중합 개시제로 빛에너지를 받음으로써 발생하는 라디칼에 의해 라디칼 중합반응을 개시시키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2-디메톡시-1, 2-디페닐에탄-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토인프로판-1-온,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1 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광증감제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광증감제의 예로는 9,10-지브톡시안트라센, 9,10-디에톡시안트라센, 9,10-지브로봇록시안트라센, 9,10-비스(2-에틸헥실옥시)안트라센 등의 안트라센 유도체 , 2,4디에틸 티옥산톤, 2-이소프로필티옥산톤, 4-이소프로필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 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광중합 개시제 이외의 잔량의 첨가제로는 기재습윤제, 레링제, 하지키방지제, 소포제, 안료분산제, 광흡수제, 중합금지제, 안료, 염료 등 일반 광조형 수지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의 광경화수지, 왁스, 잔량의 첨가제로 구성된 광경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3D 프린팅을 진행하게 되면, 광경화 수지 조성물 내의 왁스 입자는 광경화수지의 광중합반응전에는 고체 상태로 존재하다가 광경화수지의 광중합반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액체의 상태로 변한 후 광중합반응이 완료되고 광중합반응시 발생한 열이 시간에 따라 소멸됨에 따라 다시 고체 상태로 변하여 조형물 내부에 남게 된다. 따라서, 고체상태의 왁스가 액체가 되었다가 결국 고체상태가 됨에 따라 수축응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되며, 그렇게 수축응력이 줄어들게 되어, 수축응력에 의한 조형물의 변형이 최소화되게 된다.
1 : 광경화 수지 조성물
2 : 단위성형층
10 : 수지조
20 : 이미지소스
21 : 이미지광
22 : 조형판
31 : 조형판구동부

Claims (4)

  1. 광조형 방식의 광경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광경화수지 60 ~ 95 중량%, 융점이 30 ~ 90℃인 왁스 2 ~ 20 중량% 및 잔량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의 입자 크기는 0.01mm 내지 0.5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형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의 입자 크기는 1단위층 광조형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수지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

KR1020140158337A 2014-11-13 2014-11-13 광조형 방식 3d 프린터용 광경화 수지 조성물 KR10175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337A KR101754251B1 (ko) 2014-11-13 2014-11-13 광조형 방식 3d 프린터용 광경화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337A KR101754251B1 (ko) 2014-11-13 2014-11-13 광조형 방식 3d 프린터용 광경화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261A true KR20160057261A (ko) 2016-05-23
KR101754251B1 KR101754251B1 (ko) 2017-07-06

Family

ID=5610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337A KR101754251B1 (ko) 2014-11-13 2014-11-13 광조형 방식 3d 프린터용 광경화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2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685A (ko)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덴티스 투명도를 향상시킨 광경화방식 3d 프린팅용 재료
KR20220065143A (ko) * 2020-11-12 2022-05-20 한국재료연구원 운모를 포함하는 광중합용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모를 포함하는 조형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216B1 (ko) 2017-03-28 2019-05-30 주식회사 엠오피 광경화 방식 3d프린터용 기능성 원료 조성물
KR102146616B1 (ko) 2018-12-14 2020-08-20 문승호 형광 염료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1589B2 (en) 2001-10-03 2005-01-11 3D Systems, Inc. Ultra-violet light curable hot melt composi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685A (ko)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덴티스 투명도를 향상시킨 광경화방식 3d 프린팅용 재료
KR20220065143A (ko) * 2020-11-12 2022-05-20 한국재료연구원 운모를 포함하는 광중합용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모를 포함하는 조형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251B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251B1 (ko) 광조형 방식 3d 프린터용 광경화 수지 조성물
JP2019517933A (ja) 3dプリント用のチオール−エンインク
JP7335922B2 (ja) 環化重合性モノマーを含有する3dプリント用インク
JP6775760B2 (ja) 立体造形用液体セット、立体造形物の製造方法、立体造形物の製造装置、及びハイドロゲル造形体
CN105924571B (zh) 连续光固化三维打印材料
JP7384992B2 (ja) 低重合収縮性を有する3dプリント用インク
EP3341793A1 (en) Liquid, hybrid uv/vis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s for additive fabrication
JP6819671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立体造形物の製造方法、及び立体造形物の製造装置
JP2022183352A (ja) 低プリントスルー深さの3dプリント用インク
TWI717379B (zh) 圖案化材料、圖案化方法、及圖案化裝置
KR101808128B1 (ko) 잉크젯 토출 방법, 패턴 형성 방법, 및 패턴
US20240076421A1 (en) Polymerization photoinhibitor
JP2017050562A (ja) インプリント用光硬化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構造体
US12030968B2 (en) Shelf-stable build materials for 3D printing
WO2014058540A2 (en) Opaque inks and applications thereof
TWI691529B (zh) 3d積層製造用之混合式配方組合物與其製程方法
JP2018002768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液体組成物、立体造形物の製造方法、立体造形物の製造装置
JP6938860B2 (ja) 形状支持用液体、及び立体造形物の製造方法
US8916334B2 (en) Micro-composite material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US20210095094A1 (en) Optically active build materials for 3d printing
CN103941543A (zh) 一种基于聚丙交酯多元醇的光敏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光敏树脂
CN109293851B (zh) 一种光固化型树脂组合物及其制备的光学器件
CN109312177A (zh) 活性能量射线固化性液体组合物、三维物体形成材料套组、三维物体制备方法和三维物体制备设备
CN117295797A (zh) 用于构建材料和相关印刷3d制品的添加剂
CN118165154A (zh) 烯丙基二甘醇碳酸酯片材及其高效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