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054A -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054A
KR20160056054A KR1020140155945A KR20140155945A KR20160056054A KR 20160056054 A KR20160056054 A KR 20160056054A KR 1020140155945 A KR1020140155945 A KR 1020140155945A KR 20140155945 A KR20140155945 A KR 20140155945A KR 20160056054 A KR20160056054 A KR 20160056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rget
vehicle
inpu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820B1 (ko
Inventor
김재섭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8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09Sonic sensors; Signal treat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5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 시스템, AAVM, ATB, 경보 시스템, V2X 기술 등을 이용하여 인공지능적으로 차량 및 탑승자에 발생한 긴급 상황을 인지하고 타겟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해당 상황을 주위에 알리는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는 자차량의 외부로부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운드 입력 판단부;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을 산출하는 사운드 입력 방향 산출부;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으로 조명 빔을 출력하는 빔 출력 제어부; 조명 빔이 출력되면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에서 타겟을 검출하며, 타겟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타겟 정보 획득부; 및 타겟에 대한 정보를 관제 센터 또는 타차량에 알리는 타겟 정보 통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및 방법 {Intelligent vehicle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량 방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의 탈취 뿐만 아니라 차량 내에 탑승한 운전자와 탑승자를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서 위협적인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외부로부터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차량용 방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차량용 방범 장치는 특정한 패턴의 소리를 분별하여 감응하는 CCTV 등의 화상 입력 장치를 특정 장소에 설치하고 학습된 음성 정보의 통계치에 따라 정보를 관리자 및 유관 기관에 정보를 보내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방범 장치는 화상 입력 장치 설치시 주변 사각 지대에 대한 철저한 계획이 요구되며, 주변 변화로 인한 사각 지대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방범 장치는 위치 인식과 영상 식별이 어렵고, 긴급 상황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7530호는 차량용 방범 장치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차량의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비상 스위치를 구비할 뿐이어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성 인식 시스템, AAVM(Advanced Around View Moniter), ATB(Adaptive Tracking Beam), 경보 시스템, V2X 기술 등을 이용하여 인공지능적으로 차량 및 탑승자에 발생한 긴급 상황을 인지하고 타겟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해당 상황을 주위에 알리는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차량의 외부로부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운드 입력 판단부;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을 산출하는 사운드 입력 방향 산출부;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으로 조명 빔을 출력하는 빔 출력 제어부; 상기 조명 빔이 출력되면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에서 타겟을 검출하며,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타겟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관제 센터 또는 타차량에 알리는 타겟 정보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는 상기 타겟이 검출되면 상기 타겟을 추적하는 타겟 추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빔 출력 제어부는 상기 타겟의 추적된 방향으로 상기 조명 빔을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겟 정보 획득부는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로 상기 타겟의 위치 정보와 상기 타겟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겟 정보 통지부는 V2V 통신 시스템 또는 경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타차량에 알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는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차량의 위치 정보와 인프라스트럭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자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타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인프라스트럭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로케이션 맵을 생성하는 로케이션 맵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겟 정보 통지부는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상기 로케이션 맵에 포함된 타차량에 알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케이션 맵 생성부는 상기 자차량의 기어 정보와 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차량이 주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로케이션 맵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는 현재 날짜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저장된 시간 정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날짜 정보를 기초로 야간에 해당하는 시간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시간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야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야간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입력 판단부는 상기 현재 시간이 야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차량의 외부로부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으로 조명 빔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조명 빔이 출력되면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에서 타겟을 검출하며,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관제 센터 또는 타차량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획득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타겟이 검출되면 상기 타겟을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의 추적된 방향으로 상기 조명 빔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로 상기 타겟의 위치 정보와 상기 타겟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리는 단계는 V2V 통신 시스템 또는 경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타차량에 알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단계로서,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차량의 위치 정보와 인프라스트럭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자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타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인프라스트럭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로케이션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알리는 단계는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상기 로케이션 맵에 포함된 타차량에 알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자차량의 기어 정보와 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차량이 주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로케이션 맵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단계로서, 현재 날짜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저장된 시간 정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날짜 정보를 기초로 야간에 해당하는 시간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시간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야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시간이 야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은 음성 인식 시스템, AAVM(Advanced Around View Moniter), ATB(Adaptive Tracking Beam), 경보 시스템, V2X 기술 등을 이용하여 인공지능적으로 차량 및 탑승자에 발생한 긴급 상황을 인지하고 타겟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해당 상황을 주위에 알림으로써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음성 인식으로 긴급 상황을 인지하고 빔(Beam)과 경보 시스템을 통해 간접적으로 긴급 상황에 대처함으로써 범죄 예방 효과를 가져온다.
둘째, 조절 가능한 빔을 통해 야간 영상의 식별 효과를 높여준다.
세째, 타겟(Target)의 위치를 인식하고 추적함으로써 타겟의 위치 파악에 용이하다.
네째, 영상 정보, GPS 정보, 상황 정보 등을 공공 기관와 관제 센터에 전송함으로써 직접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다섯째, 최근 범죄들이 증가하는 시기에 기존의 CCTV 등으로는 해당 상황의 식별이 어려우며, 즉각적인 대처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 3은 V2X 통신을 이용한 차량 네트워크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범 시스템의 로케이션 맵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범 시스템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범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타겟에 따른 V2X 통신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범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음성 인식 시스템, AAVM(Advanced Around View Moniter), ATB(Adaptive Tracking Beam), 경보 시스템, V2X 기술 등을 이용하여 인공지능적으로 차량 및 탑승자에 발생한 긴급 상황을 인지하고 타겟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해당 상황을 주위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를 통해 즉각적이고 간접적인 대처와 예방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 상황 정보, 영상 정보 등을 공공 기관과 관제 센터에 전달함으로써 직접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예상하지 못한 사각 지대를 커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범 시스템(100)은 차량 장치(110) 및 리모트 장치(130)를 포함한다.
차량 장치(110)는 ATB(Adaptive Tracking Beam), 음성 인식부, AAVM(Advanced Around View Monitor), 경보 시스템, 위치 인식부 및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B는 야간의 시야를 확보하고 움직임에 따라 빔(Beam)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ATB는 빔(Beam) 출력부(111)와 빔 조절부(112)를 포함한다.
빔 출력부(111)는 야간에 영상의 시야를 확보해준다.
빔 조절부(112)는 제어부(121)로부터 이벤트 메시지 수신시 MIC(113) 또는 타겟(Target)의 방향으로 빔을 조절한다. 또한 빔 조절부(112)는 타겟의 위치 변화에 따라 빔 방사 방향을 조절한다.
음성 인식부는 긴급 상황을 인공지능적으로 인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 인식부는 MIC(113)와 음성인식 엔진(114)을 포함한다.
MIC(113)는 차량 외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신한다. 또한 MIC(113)는 수신된 음성 중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음성을 음성인식 엔진(114)에 전달한다.
음성인식 엔진(114)은 MIC(113)에서 전달받은 음성이 음성인식 DB(미도시)에 존재 여부를 검색한다. 존재할 경우 음성인식 엔진(114)은 MIC(113)의 ID를 포함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제어부(121)에 전달한다.
AAVM은 차량 주변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AAVM은 카메라(115)와 영상 처리부(116)를 포함한다.
카메라(115)는 차량 외부의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 처리부(116)에 전달한다.
영상 처리부(116)는 카메라(115)에서 전달받은 영상을 저장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16)는 제어부(121)로부터 이벤트 메시지 수신시 영상으로부터 타겟의 움직임을 포착한다. 타겟이 이동하면, 영상 처리부(116)는 타겟의 위치를 추적하여 해당 위치 ID를 포함한 제어 메시지를 제어부(121)로 전달하고 예상 경로를 예측한다. 타겟이 시야에서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면 영상 처리부(116)는 위치 ID를 포함한 타겟 제어 메시지를 제어부(121)에 전달한다. 이후 영상 처리부(116)는 영상을 제어부(121)로 전달한다.
경보 시스템(122)은 위험 상황을 주위에 알리기 위한 구성이다. 경보 시스템(122)은 제어부(121)로부터 이벤트 메시지 수신시 경보를 발생한다.
위치 인식부(119)는 차량의 위치 파악을 위한 구성이다. 위치 인식부(119)는 GPS 정보를 제어부(121)로 전달한다.
통신 시스템은 V2X 모듈(117)과 통신부(118)를 포함한다.
V2X 모듈(117)은 주차시 주변 차량들과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에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V2X 모듈(117)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수신시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과 로케이션 맵(Lacation Map)을 갱신하여 대상 차량(Source Vehicle)(ex. 주변 차량들)에 전송하고 수신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근거하여 포워딩(Forwarding)한다. 또한 V2X 모듈(117)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 수신시 ACK 메시지의 라우팅 테이블과 로케이션 맵을 근거로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과 로케이션 맵을 형성한다.
V2X 모듈(117)은 전원 제어(Power Management) 기능도 수행한다. V2X 모듈(117)은 타겟이 시야에서 사라질 것으로 예측될 경우 타겟의 정보를 포함한 웨이크 업(Wake Up) 메시지를 전송한다. V2X 모듈(117)은 웨이크 업 메시지 수신시 제어부(121)에 웨이크 업 메시지를 전달하고 대상 차량에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V2X 모듈(117)은 주차된 주변 차량과 통신하기 위한 V2V(Vehicle to Vehicle)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118)는 정보센터 서버(132)를 통해 공공기관 서버(131)와 관제센터 서버(133)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18)는 전달받은 영상과 GPS 정보를 정보센터 서버(132)로 전송한다.
제어부(121)는 수집된 차량 정보를 V2X 모듈(117)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21)는 음성인식 엔진(114)으로부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시 AVM의 카메라(115) 방향을 조절하고 영상 처리부(116), 빔 조절부(112)와 경보 시스템(122)에 이벤트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21)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시 빔 조절부(112)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21)는 타겟 제어 메시지 수신시 V2X 모듈(117)로 타겟 제어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21)는 웨이크 업 메시지 수신시 AVM의 카메라(115) 방향을 조절하고 영상 처리부(116), 빔 조절부(112)와 경보 시스템(122)에 이벤트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21)는 영상과 GPS 정보를 통신부(118)로 전달한다.
리모트 장치(130)는 정보센터 서버(132), 공공기관 서버(131) 및 관제센터 서버(133)를 포함한다.
정보센터 서버(132)는 여러 차량에서 수신된 영상과 GPS 정보를 동일한 이벤트 단위로 분류한다. 또한 정보센터 서버(132)는 동일한 이벤트로 수신된 영상들을 동일 시간 기준으로 합성한다. 또한 정보센터 서버(132)는 동일한 이벤트에 대한 GPS 정보들을 가지고 이벤트 발생 위치를 보정한다. 또한 정보센터 서버(132)는 해당 영상과 GPS 정보를 관제센터 서버(133)에 전송한다. 또한 정보센터 서버(132)는 해당 이벤트에 대한 설명과 GPS 정보를 공공기간 서버(131)에 전송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장착 예시도이다.
빔 출력부(111)는 차량(200)의 각 측에 장착된다. 예컨대 빔 출력부(1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양측에 F. Beam(221, 222)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측방의 각측에 S. Beam(225, 226)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빔 출력부(111)는 후방의 양측에 R. Beam(223, 224)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빔 출력부(111)는 빔 조절부(112)와 일체화되어 ATB로 구현될 수 있으며, ATB가 차량의 전방 양측, 측방 각측, 후방 양측 등에 장착될 수 있다.
MIC(113)도 차량(200)의 각 측에 장착된다. MIC(1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출력부(111)와 연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MIC(113)는 전방의 양측에 MIC 1(231), MIC 2(232) 등의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측방의 각측에 MIC 3(233), MIC 4(234), MIC 7(237), MIC 8(238) 등의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MIC(113)는 후방의 양측에 MIC 5(235), MIC 6(236) 등의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15)도 차량(200)의 각 측에 장착된다. 카메라(1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211), 좌측방(213), 우측방(212), 후방(214)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각 측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 범위는 다음과 같다.
241 : 차량의 전방(211)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 범위
242 : 차량의 우측방(212)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 범위
243 : 차량의 좌측방(213)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 범위
244 : 차량의 후방(214)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 범위
도 3은 V2X 통신을 이용한 차량 네트워크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범 시스템의 로케이션 맵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기어가 P단이고 시동이 Off된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차량 1(310)의 차량 장치(110)는 차량 1(310)을 주차 상태로 인지한다(S410).
주차 상태가 되면 차량 1(310)의 차량 장치(110)는 주변에 위치한 차량 2(320), 차량 3(330), 인프라스트럭처 등에게 SRC(Source address; 351), DST(destination address; 352), VIN(차대 번호; 354), GPS Value(353), Hop(355)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350)를 브로드캐스트한다(S420). 인프라스트럭처에는 V2X 게이트웨이(341, 343), V2X AP(342, 344) 등이 있다.
이후 차량 1(310)의 차량 장치(110)는 V2X 모듈(117)의 Power Management 기능을 On하여 일정 시간동안 Sleep과 Wake up을 통해 저전력으로 동작 가능하게 한다(S430).
이후 차량 1(310)의 차량 장치(110)는 차량 2(320), 차량 3(330), 인프라스트럭처(341, 342, 343, 344) 등으로부터 Ack(361), Routing Table(362), Location Map(363)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360)를 받으면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Routing Table과 Location Map을 형성한다(S44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범 시스템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한다.
주차된 상태에서 차량 2(320), 차량 3(330) 등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 메시를 받으면(S510) 차량 1(310)의 차량 장치(110)는 자신의 Routing Table과 Location Map을 갱신한다(S520).
이후 차량 1(310)의 차량 장치(110)는 자신의 Routing Table과 Location Map을 대상 차량(ex. 차량 2(320), 차량 3(330) 등)으로 전송한다(S530).
이후 대상 차량은 자신의 Routing Table에 근거하여 수신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포워딩한다(S540).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범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은 타겟에 따른 V2X 통신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한다.
차량 1(710)의 차량 장치(110)는 MIC(113)로부터 음성이 수신되면(S605),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MIC를 선택하고(S610), 해당 Keyword가 존재하는지 DB를 검색한다(S615).
Keyword가 존재할 경우, 차량 1(710)의 차량 장치(110)는 AVM의 카메라의 방향을 정면을 보도록 조절(Advanced Around View Moniter)하고 Power On한다(S620).
이후 차량 1(710)의 차량 장치(110)는 선택된 MIC 방향으로 Beam을 방사하고(S625) 해당 방향에서 Target(730)의 움직임을 포착한다(S630).
이후 차량 1(710)의 차량 장치(110)는 경보 시스템(122)을 On하여 위기 상황에 대해 간접적인 대처를 수행한다(S635).
Target(730)이 이동할 경우(S640), 차량 1(710)의 차량 장치(110)는 시간 경과에 따른 Target(730)의 위치로 Target(730)의 이동을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상 경로를 추측한다(S645).
이후 차량 1(710)의 차량 장치(110)는 Target(730)의 이동 방향(①→②→③)에 따라 Beam을 조절(Adaptive Tracking Beam)한다(⑤→⑥→⑦)(S650).
Target(730)이 차량 1(710)의 시야에서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면(④)(S655), 차량 1(710)의 차량 장치(110)는 Target(730)의 이동 방향의 Vehicle(차량 2(720)), Infrastructure의 AP, CCTV 등에 Wake up 메시지(740)를 전송한다(⑧)(S660). Wake up 메시지(740)는 작동 시작을 요청하는 메시지(741)와 타겟에 대한 정보(742)를 포함한다.
이후 차량 1(710)의 차량 장치(110)는 영상과 GPS 정보를 정보센터 서버(132)에 전송한다(S665).
정보센터 서버(132)는 같은 이벤트로 수신된 영상과 GPS 정보를 통합하여 관제센터 서버(133)로 전송하고(S670), 인근 경찰서, 구급대 등에 구비된 공공기관 서버(131)에 해당 위치와 상황을 전달한다(S675).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범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주변 Vehicle 즉 차량 2(720)의 차량 장치(110)가 Wake up 메시지(740)를 수신하면(S805), AVM의 카메라의 방향을 정면을 보도록 조절(Advanced Around View Moniter)하고 Power On한다(S810).
이후 차량 2(720)의 차량 장치(110)가 Target(730)의 이동 방향으로 Beam을 방사하고(S815) 해당 방향에서 Target(730)의 위치를 포착한다(S820).
이후 차량 2(720)의 차량 장치(110)는 경보 시스템(122)을 On하여 위기 상황에 대해 간접적인 대처를 수행한다(S825).
이후 차량 2(720)의 차량 장치(110)는 Source Address의 vehicle 즉 차량 1(710)에게 ACK 메시지(750)를 전송한다(⑨)(S830).
Target(730)이 이동할 경우(S835), 차량 2(720)의 차량 장치(110)는 시간 경과에 따른 Target(730)의 위치로 Target(730)의 이동을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상 경로를 추측한다(S840).
이후 차량 2(720)의 차량 장치(110)는 Target(730)의 이동 방향에 따라 Beam을 조절(Adaptive Tracking Beam)한다(S845).
Target(730)이 차량 2(720)의 시야에서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면(S850), 차량 2(720)의 차량 장치(110)는 Target(730)의 이동 방향의 Vehicle(차량 1(710)), Infrastructure의 AP, CCTV 등에 Wake up 메시지(740)를 전송한다(S855).
이후 차량 2(720)의 차량 장치(110)는 영상과 GPS 정보를 정보센터 서버(132)에 전송한다(S860).
정보센터 서버(132)는 같은 이벤트로 수신된 영상과 GPS 정보를 통합하여 관제센터 서버(133)로 전송하고(S865), 인근 경찰서, 구급대 등에 구비된 공공기관 서버(131)에 해당 위치와 상황을 전달한다(S870).
이상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는 사운드 입력 판단부, 사운드 입력 방향 산출부, 빔 출력 제어부, 타겟 정보 획득부, 타겟 정보 통지부, 전원부 및 주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원부는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는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전원부와 주제어부는 차량용 배터리와 MCU(또는 ECU)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전원부와 주제어부는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사운드 입력 판단부는 자차량의 외부로부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운드 정보는 음성 정보와 음향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사운드 입력 판단부는 음성 인식부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사운드 입력 방향 산출부는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빔 출력 제어부는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으로 조명 빔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빔 출력 제어부는 ATB(Adaptive Tracking Beam)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타겟 정보 획득부는 조명 빔이 출력되면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에서 타겟을 검출하며, 이 타겟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타겟 정보 획득부는 AAVM(Advanced Around View Monitor)과 위치 인식부의 결합 구성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타겟 정보 획득부는 타겟에 대한 정보로 타겟의 위치 정보와 타겟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타겟 정보 통지부는 타겟에 대한 정보를 관제 센터 또는 타차량에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타겟 정보 통지부는 V2X 모듈, 통신부 및 경보 시스템의 결합 구성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타겟 정보 통지부는 V2V 통신 시스템 또는 경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타겟에 대한 정보를 타차량에 알릴 수 있다.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는 타겟 추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추적부는 타겟이 검출되면 타겟을 추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타겟 추적부는 ATB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가 타겟 추적부를 더 포함할 경우, 빔 출력 제어부는 타겟의 추적된 방향으로 조명 빔을 출력할 수 있다.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는 로케이션 맵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맵 생성부는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차량의 위치 정보와 인프라스트럭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자차량의 위치 정보, 타차량의 위치 정보 및 인프라스트럭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로케이션 맵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로케이션 맵 생성부는 자차량의 기어 정보와 시동 정보를 기초로 자차량이 주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로케이션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가 로케이션 맵 생성부를 더 포함할 경우, 타겟 정보 통지부는 타겟에 대한 정보를 로케이션 맵에 포함된 타차량에 알릴 수 있다.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는 야간 판단부를 더 포함할수 있다.
야간 판단부는 현재 날짜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저장된 시간 정보들 중에서 현재 날짜 정보를 기초로 야간에 해당하는 시간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시간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야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가 야간 판단부를 더 포함할 경우, 사운드 입력 판단부는 현재 시간이 야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운드 입력 판단부가 자차량의 외부로부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A).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운드 입력 방향 산출부가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을 산출한다(B).
이후 빔 출력 제어부가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으로 조명 빔을 출력한다(C).
이후 타겟 정보 획득부가 조명 빔이 출력되면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에서 타겟을 검출하며, 이 타겟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D).
이후 타겟 정보 통지부가 타겟에 대한 정보를 관제 센터 또는 타차량에 알린다(E).
한편 D 단계가 수행될 때, 타겟 추적부가 타겟이 검출되면 이 타겟을 추적할 수 있다(F). 이후 빔 출력 제어부가 타겟의 추적된 방향으로 조명 빔을 출력할 수 있다(G).
F 단계와 G 단계는 D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D 단계와 E 단계 사이에 수행되거나, E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A 단계 이전에, 로케이션 맵 생성부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차량의 위치 정보와 인프라스트럭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자차량의 위치 정보, 타차량의 위치 정보 및 인프라스트럭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로케이션 맵을 생성할 수 있다(H). 이후 타겟 정보 통지부가 타겟에 대한 정보를 로케이션 맵에 포함된 타차량에 알릴 수 있다.
한편 A 단계 이전에, 야간 판단부가 현재 날짜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저장된 시간 정보들 중에서 현재 날짜 정보를 기초로 야간에 해당하는 시간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시간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야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 현재 시간이 야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운드 입력 판단부가 사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I 단계는 자세하게는 H 단계 이전에 수행되거나 H 단계와 A 단계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자차량의 외부로부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운드 입력 판단부;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을 산출하는 사운드 입력 방향 산출부;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으로 조명 빔을 출력하는 빔 출력 제어부;
    상기 조명 빔이 출력되면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에서 타겟을 검출하며,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타겟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관제 센터 또는 타차량에 알리는 타겟 정보 통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이 검출되면 상기 타겟을 추적하는 타겟 추적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빔 출력 제어부는 상기 타겟의 추적된 방향으로 상기 조명 빔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 획득부는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로 상기 타겟의 위치 정보와 상기 타겟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 통지부는 V2V 통신 시스템 또는 경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타차량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차량의 위치 정보와 인프라스트럭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자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타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인프라스트럭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로케이션 맵을 생성하는 로케이션 맵 생성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겟 정보 통지부는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상기 로케이션 맵에 포함된 타차량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맵 생성부는 상기 자차량의 기어 정보와 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차량이 주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로케이션 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현재 날짜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저장된 시간 정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날짜 정보를 기초로 야간에 해당하는 시간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시간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야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야간 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입력 판단부는 상기 현재 시간이 야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8. 자차량의 외부로부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으로 조명 빔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조명 빔이 출력되면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된 방향에서 타겟을 검출하며,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관제 센터 또는 타차량에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이 검출되면 상기 타겟을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의 추적된 방향으로 상기 조명 빔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로 상기 타겟의 위치 정보와 상기 타겟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차량의 위치 정보와 인프라스트럭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자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타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인프라스트럭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로케이션 맵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알리는 단계는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상기 로케이션 맵에 포함된 타차량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자차량의 기어 정보와 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차량이 주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로케이션 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현재 날짜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저장된 시간 정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날짜 정보를 기초로 야간에 해당하는 시간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시간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야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시간이 야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운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방범 방법.
KR1020140155945A 2014-11-11 2014-11-11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및 방법 KR10229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945A KR102299820B1 (ko) 2014-11-11 2014-11-11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945A KR102299820B1 (ko) 2014-11-11 2014-11-11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54A true KR20160056054A (ko) 2016-05-19
KR102299820B1 KR102299820B1 (ko) 2021-09-08

Family

ID=5610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945A KR102299820B1 (ko) 2014-11-11 2014-11-11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8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3930A (zh) * 2016-08-05 2016-12-21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内设备调节方法及终端
GB2553030A (en) * 2016-06-27 2018-02-21 Ford Global Tech Llc Vehicle with event recording
KR20200009760A (ko) * 2018-07-20 2020-01-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위험 검출 및 대응 장치와 방법
WO2020221023A1 (zh) * 2019-04-29 2020-11-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感知基站中的消息发送控制方法及装置
US11214236B2 (en) 2019-02-05 2022-01-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vehicle protection
CN113990104A (zh) * 2021-10-19 2022-01-28 马瑞利汽车零部件(芜湖)有限公司 车辆对外界的识别系统及方法
US11751035B2 (en) 2020-11-25 2023-09-05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Exterior speech recognition calling for emergency servic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694A (ja) * 1989-09-29 1991-05-21 Omron Corp 異常騒音車両の検出装置
KR100775867B1 (ko) * 2007-06-07 2007-11-13 (주)동화이엔지 이동 물체 자동 추적 시스템
JP2011002933A (ja) * 2009-06-17 2011-01-06 Denso Corp 盗難警戒システム、車載装置
KR20120103286A (ko) * 2011-03-10 2012-09-19 최길준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관심 대상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35428B1 (ko) * 2012-12-12 2013-11-29 우승한 음향감지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시스템, 감시장치,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694A (ja) * 1989-09-29 1991-05-21 Omron Corp 異常騒音車両の検出装置
KR100775867B1 (ko) * 2007-06-07 2007-11-13 (주)동화이엔지 이동 물체 자동 추적 시스템
JP2011002933A (ja) * 2009-06-17 2011-01-06 Denso Corp 盗難警戒システム、車載装置
KR20120103286A (ko) * 2011-03-10 2012-09-19 최길준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관심 대상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35428B1 (ko) * 2012-12-12 2013-11-29 우승한 음향감지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시스템, 감시장치, 및 그 제공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3030A (en) * 2016-06-27 2018-02-21 Ford Global Tech Llc Vehicle with event recording
CN106253930A (zh) * 2016-08-05 2016-12-21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内设备调节方法及终端
KR20200009760A (ko) * 2018-07-20 2020-01-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위험 검출 및 대응 장치와 방법
US11214236B2 (en) 2019-02-05 2022-01-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vehicle protection
US11541844B2 (en) 2019-02-05 2023-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property
WO2020221023A1 (zh) * 2019-04-29 2020-11-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感知基站中的消息发送控制方法及装置
US11751035B2 (en) 2020-11-25 2023-09-05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Exterior speech recognition calling for emergency services
CN113990104A (zh) * 2021-10-19 2022-01-28 马瑞利汽车零部件(芜湖)有限公司 车辆对外界的识别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820B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820B1 (ko) 지능형 차량 방범 장치 및 방법
US20240157873A1 (en) Advanced pedestrian and/or driver alert and/or collision avoidance system
US20120001771A1 (en) Computer bas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river assist information
JPWO201702984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25903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60087277A (ko)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JP2009157472A (ja) 車両の衝突被害軽減装置
WO2018109925A1 (ja) 車両ドア衝突防止装置および車両ドア衝突防止方法
JP2015022453A (ja) 緊急車両報知システム
JP6275351B1 (ja) 事故防止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76550A (ja) 道路交通情報のドライバレコーダ付受信装置
CN110155065B (zh) 一种基于车路协同的能耗控制方法、系统及汽车
KR101687296B1 (ko) 음향 및 행동 패턴 인식 기반의 하이브리드 패턴 분석이 가능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객체 추적 방법
JP2014236492A (ja) 車両用監視システム
JP6576511B1 (ja) 物体認識装置および物体認識方法
EP2819110B1 (en) Condition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JP2010141822A (ja) 監視カメラ装置
JP2012242993A (ja) 移動体監視装置及び移動体の監視方法
KR20160034004A (ko) 차량용 카메라 해상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10188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on-vehicle sensors for security monitoring
US11518345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71262B1 (ko) 통행 예측을 기반으로 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9028482A (ja) 車載器および運転支援装置
US106472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arked motor vehicle
JP2021086209A (ja) 運転支援制御装置、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