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034A -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034A
KR20160056034A KR1020140155899A KR20140155899A KR20160056034A KR 20160056034 A KR20160056034 A KR 20160056034A KR 1020140155899 A KR1020140155899 A KR 1020140155899A KR 20140155899 A KR20140155899 A KR 20140155899A KR 20160056034 A KR20160056034 A KR 20160056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vehicle
motion
unit
speed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5842B1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5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842B1/ko
Priority to DE102015118781.7A priority patent/DE102015118781B4/de
Priority to US14/935,772 priority patent/US10288172B2/en
Publication of KR2016005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8Dashboar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8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ste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8Timing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F16H2063/423Range indicator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e.g. showing selected range or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변속단을 변경할 수 있는 변속단 선택부가 설치되며, 차량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모션 시연부, 상기 변속단 선택부의 작동을 인식하여 모션 시연부를 이동시키고, 변속단 선택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차량의 TCU로 전달하여 변속단을 변경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모션 시연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속단 선택부 중 주행단(R단/D단)의 작동시, 이동부에 의해 모션 시연부가 먼저 이동된 다음 미리 정해진 시간 후 변속단 선택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TCU로 전달되어 차량의 변속단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변속 오조작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MOTION DEMONSTRATION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단(R단/D단) 변경시 모션 시연부가 먼저 이동되고 시연 완료 후 변속이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운전자가 차량이 어느 방향으로 진행될지 미리 예측할 수 있으므로 변속 오조작이 방지되는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란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로 구분된다.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운전석 주위의 콘솔면 또는 핸들에 장착된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수동 변속기 또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단을 자신이 원하는 변속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수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맞는 기어를 선택하면 케이블이나 로드 등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되고, 자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움직이면 케이블을 통해 인히비터 스위치를 구동시켜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특히, 최근에는 기계식 변속레버 대신 변속기와 변속레버 사이의 기계적 연결구조를 액츄에이터와 ECU를 통해 전기적 연결구조로 대체한 전자식 변속레버의 사용이 늘고 있다.
전자식 변속레버는 기계식 변속레버와 달리 기계적인 케이블 연결구조가 없고 운전자의 변속 의지를 전자적인 신호로 변환해 주는 위치 센서부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레버 조작력이나 조작감이 우수하며 그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전자식 변속레버의 종류로는 차량의 콘솔면 위에 돌출되어 있는 전자식 변속레버를 앞뒤로 조작하는 방식의 레버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차량의 콘솔면 상에 장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전자식 변속레버를 좌우로 돌려서 조작하는 다이얼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차량의 핸들 측면에 장착된 전자식 변속레버를 상하로 조작하는 컬럼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및 차량의 변속단이 표시된 버튼을 눌러서 조작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 전자식 변속레버는 그 종류에 관계없이 변속단 변경시 R단에서 단순히 비프음(beep)을 발생시킬 뿐, 운전자의 변속 오조작을 알려줄 만한 수단이 거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들은 경미한 접촉사고나 주차시 쉽게 당황하여 차량의 변속단을 정지단(P단/N단)이 아닌 주행단(R단/D단)에 놓고 내리거나 D단에 두어야할 변속단을 R단에 두는 등 실수에 의해 2차적인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들이 확실한 변속신호를 인지할 수 있고 차량의 움직임을 미리 예측해볼 수 있는 전자식 변속레버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구나 개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변속레버의 조작 후 선택된 변속단을 바로 알 수 있어 변속 오조작으로 인한 사고 위험이 현저히 줄어드는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가 잘 보이지 않거나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고령자 또는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에게 변속레버의 조작 직후 상황을 촉감으로 시연해주어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구성은, 차량의 변속단을 변경할 수 있는 변속단 선택부가 설치되며, 차량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모션 시연부; 상기 변속단 선택부의 작동을 인식하여 모션 시연부를 이동시키고, 변속단 선택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차량의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 전달하여 변속단을 변경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모션 시연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변속단 선택부 중 주행단(R단/D단)의 작동시, 이동부에 의해 모션 시연부가 먼저 이동된 다음 미리 정해진 시간 후 변속단 선택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TCU로 전달되어 차량의 변속단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에서 상기 모션 시연부는, 차량의 콘솔면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며, 변속단 선택부 및 제어부를 지지하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며, 이동부와 연결되어 하우징이 이동되도록 하는 제 2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는,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회전가이드; 및 상기 회전가이드의 하단에 연결되어 회전가이드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가이드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이 전체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변속단 중 주행단(R단/D단)의 작동을 제어부가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모션 시연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차량의 변속신호가 TCU로 전달되어 차량의 변속단이 변경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변속단이 변경되는 단계는, 모션 시연부가 이동되는 단계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변속단 중 정지단(P단/N단)의 작동을 제어부가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차량의 변속신호가 TCU로 전달되어 차량의 변속단이 변경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모션 시연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변속단이 변경되는 단계는, 정지단의 작동을 제어부가 인식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스티어링휠의 작동을 제어부가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조타신호에 의해 모션 시연부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모터가 회전되는 단계; 및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모션 시연부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모션 시연부는 차량의 클러스터(cluster), HUD(Head Up Display)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중 하나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단(R단/D단) 작동시, 변속단 변경 전, 모션 시연부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알려줌으로써 운전자의 변속 오조작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현저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레버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하우징, 변속버튼 및 이동부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생산원가가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가이드 및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스티어링휠의 조타 모션을 시연해줄 수 있으므로 차량의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가 크게 향상되어 차량의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근거리가 잘 보이지 않거나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고령자 또는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에게 변속레버의 조작 직후 상황을 촉감으로 시연해주어 차량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의 위험 인지 센서와 연계하여 위험 상황시 모션 시연부가 짧게 전후로 진동하거나 회전모터가 짧게 방향을 바꾸며 회전하여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줌으로써, 차량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가 장착된 차량 내부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측면도.
도 4는 운전자가 R단을 작동한 후 정지단(P단/N단)을 작동하였을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운전자가 R단을 작동한 후 D단을 작동하였을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가 장착된 차량 내부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시연부(20)는 차량의 콘솔면(10)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기계식으로 구동되거나, 차량의 클러스터(cluster, 16), HUD(Head Up Display, 미도시)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18) 중 하나에 디지털 영상으로 표시되어 전자식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모션 시연부(20)를 기계식으로 구동하는 경우, 전자식으로 구동되는 것에 비해 운전자가 모션 시연부의 움직임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교체 및 수리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하에서는 모션 시연부(20)가 기계식으로 구동되는 경우를 전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션 시연부(20)는, 차량의 콘솔면(10)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22), 상기 하우징(22)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며, 변속단 선택부(30) 및 제어부(40)를 지지하는 제 1 브라켓(24) 및 상기 하우징(22)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며, 이동부(50)와 연결되어 하우징(22)이 이동되도록 하는 제 2 브라켓(2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2)은 도시된 실시예에서처럼 사용자가 구입한 차량의 축소 모델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차량의 축소 모델 등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으며, 하우징(22)의 상부에는 차량의 변속단을 변경할 수 있도록 변속단 선택부(30)가 설치된다.
상기 변속단 선택부(30)는 버튼형 또는 가로 슬라이딩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변속단 선택부가 버튼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속형 선택부는, 하우징(22)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의 타공(22a)에 삽입되는 변속버튼(32) 및 상기 변속버튼(32)의 하부에 부착되어 변속버튼(3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3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34)의 하부에는, 변속버튼(32)의 작동을 인식하여 모션 시연부(20)를 이동시키고 변속단 선택부(30)에서 발생된 신호를 차량의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미도시)로 전달하여 변속단을 변경시키는 제어부(40)가 부착된다.
즉, 운전자가 변속버튼(32)을 누르면 변속버튼(32)이 탄성부(34)와 함께 하부로 눌리면서 제어부(40)에 변속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후 운전자가 변속버튼(32)의 누름을 해제하면 변속버튼(32)은 탄성부(34)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의 하부에는 제 1 브라켓(24)이 배치되어 변속단 선택부(30)와 제어부(40)를 지지하고 있으며, 제 1 브라켓(24)의 하부에는 제 2 브라켓(26)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이동부의 로드(52)와 연결된다.
상기 이동부(50)는 제어부(40)로부터 신호를 받아 모션 시연부(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솔레노이드, 직선형 모터, 기어 또는 링크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솔면(10) 상에는 중공(12)이 형성되고, 이러한 중공(12)을 통해 이동부(50)는 그 하부에 배치된 회전가이드(62)와 일체로 결합되며, 회전가이드(62)의 하단은 회전모터(60)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모터(60)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휠(14)의 조타신호에 따라 회전되어 회전가이드(62)를 회전시키며, 회전가이드(62)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22)을 포함한 모션 시연부(20)는 전체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운전자가 R단을 작동한 후 정지단(P단/N단)을 작동하였을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운전자가 R단을 작동한 후 D단을 작동하였을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변속단 중 R단이 작동되면 우선 제어부에서 이를 인식하여 이동부로 전달하게 된다(S100).
이에 따라, 이동부의 로드는 빠르게 후방으로 이동되고(S110), 이동부와 연결된 모션 시연부는 후방으로 빠르게 후진한다(S120). 이때, 상기 모션 시연부의 후방 이동은 1초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션 시연부가 이동(S120)된 후, 제어부에 의해 차량의 R단 변속신호는 TCU로 전달되고, 차량의 변속단은 R단으로 변경되어 차량은 후진하게 된다(S130).
이때, 차량의 변속단이 R단으로 변경되는 단계(S130)는, 모션 시연부가 후진되는 단계(S120)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시연은 운전자가 모션 시연부의 움직임을 완벽히 인지하여 변속 오조작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운전자가 주행을 끝낸 후, 차량의 정지단(P단/N단)을 작동하면 우선 제어부에서 이를 인식하여 이동부로 전달하게 된다(S200).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인식된 P단/N단 변속신호는 TCU로 전달되고, 차량의 변속단은 P단/N단으로 변경되어 차량은 정지하게 된다(S210).
이때, 상기 차량의 변속단이 P단/N단으로 변경되는 단계(S210)는, 정지단(P단/N단)의 작동을 제어부에서 인식하는 단계(S200)와 거의 동시에 수행되거나 즉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정지단(P단/N단)의 변속은 변속 오조작 사고위험이 상대적으로 거의 없고, 정지단의 경우 운전자가 원하는 시간에 작동했을 때, 바로 반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차량의 변속단이 P단/N단으로 변경(S210)된 후,이동부의 로드는 천천히 전방으로 이동되고(S220), 이동부와 연결된 모션 시연부는 전방으로 천천히 전진하여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S230).
만약, 운전자가 차량의 변속단 중 D단을 작동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는 전술한 R단 제어방법과 정확히 반대 과정을 따라 제어된다.
즉, D단 작동시, 모션 시연부가 빠르게 전진한 후, D단 변속신호가 TCU로 전달되어 차량이 전진하고, 그 다음 정지단(P단/N단)을 작동하면 P단/N단 변속신호가 TCU로 전달되어 차량이 정지한 후, 모션 시연부가 천천히 후진하여 초기 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의 변속단 중 R단을 작동한 후 D단을 작동하면, 전술한 것처럼 모션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는 R단 제어방법에 따라 제어된 다음 D단 제어방법에 따라 제어된다.
즉, 우선 차량의 변속단 중 R단의 작동을 제어부에서 이를 인식하여 이동부로 전달하고(S300), 이동부의 로드는 빠르게 후방으로 이동되며(S310), 이에 따라 이동부와 연결된 모션 시연부가 후방으로 빠르게 후진한다(S320).
그 다음, 미리 정해진 시간 후 제어부에 의해 차량의 R단 변속신호는 TCU로 전달되어 차량이 후진하게 된다(S330).
운전자가 후진을 끝낸 후, 차량의 변속단 중 D단을 작동하면 제어부에서 이를 인식하여 이동부로 전달하고(S400), 이동부의 로드는 빠르게 전방으로 이동되며(S410), 이에 따라 이동부와 연결된 모션 시연부는 전방으로 빠르게 전진한다(S420).
R단 작동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다음 미리 정해진 시간 후 제어부에 의해 인식된 D단 변속신호는 TCU로 전달되고, 차량의 변속단은 D단으로 변경되어 차량은 전진하게 된다(S430).
따라서, 운전자는 혹시라도 변속을 잘못 했더라도 차량의 진행 방향을 직접 손으로 느낄 수 있어 바로 브레이크를 밟거나 다른 단으로 변속하는 등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는 차량의 스티어링휠(14)의 조타와 연계하여 차량의 주행 모션을 변속레버에서 운전자에게 완전히 보여줄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 설치된 스티어링휠이 조타되면, MDPS(Motor-Driven Power Steering)에 장착된 센서에서 신호가 나와 이를 제어부가 인식하게 된다(S500).
제어부에서 인식된 스티어링 조타신호는 모션 시연부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모터로 전달되어 회전모터가 작동되고(S510), 이에 따라 모션 시연부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S520).
따라서, 운전자가 주행 중 우회전하면 모션 시연부도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좌회전하면 모션 시연부도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현재 차량의 회전 방향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다.
이때, 회전모터는 제어부에서 스티어링 조타신호를 인식하는 즉시 회전하여 모션 시연부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조타신호가 지연되면 운전자가 스티어링휠 조작시 혼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콘솔면 12 : 콘솔면의 중공
14 : 스티어링휠 16 : 클러스터
18 : AVN 20 : 모션 시연부
22 : 하우징 22a : 하우징의 타공
24 : 제 1 브라켓 26 : 제 2 브라켓
30 : 변속단 선택부 32 : 변속버튼
34 : 탄성부 40 : 제어부
50 : 이동부 52 : 이동부의 로드
60 : 회전모터 62 : 회전가이드

Claims (7)

  1. 차량의 변속단을 변경할 수 있는 변속단 선택부가 설치되며, 차량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모션 시연부;
    상기 변속단 선택부의 작동을 인식하여 모션 시연부를 이동시키고, 변속단 선택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차량의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 전달하여 변속단을 변경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모션 시연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변속단 선택부 중 주행단(R단/D단)의 작동시, 이동부에 의해 모션 시연부가 먼저 이동된 다음 미리 정해진 시간 후 변속단 선택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TCU로 전달되어 차량의 변속단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시연부는,
    차량의 콘솔면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며, 변속단 선택부 및 제어부를 지지하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며, 이동부와 연결되어 하우징이 이동되도록 하는 제 2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회전가이드; 및
    상기 회전가이드의 하단에 연결되어 회전가이드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가이드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이 전체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4. 차량의 변속단 중 주행단(R단/D단)의 작동을 제어부가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모션 시연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차량의 변속신호가 TCU로 전달되어 차량의 변속단이 변경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변속단이 변경되는 단계는, 모션 시연부가 이동되는 단계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차량의 변속단 중 정지단(P단/N단)의 작동을 제어부가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차량의 변속신호가 TCU로 전달되어 차량의 변속단이 변경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모션 시연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변속단이 변경되는 단계는, 정지단의 작동을 제어부가 인식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에 설치된 스티어링휠의 작동을 제어부가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조타신호에 의해 모션 시연부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모터가 회전되는 단계; 및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모션 시연부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시연부는 차량의 클러스터(cluster), HUD(Head Up Display)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중 하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방법.
KR1020140155899A 2014-11-11 2014-11-11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KR10210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99A KR102105842B1 (ko) 2014-11-11 2014-11-11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DE102015118781.7A DE102015118781B4 (de) 2014-11-11 2015-11-03 Elektronischer Gangwählhebel vom Bewegungsdemonstrationstyp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selben
US14/935,772 US10288172B2 (en) 2014-11-11 2015-11-09 Motion demonstration electronic gear shif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99A KR102105842B1 (ko) 2014-11-11 2014-11-11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34A true KR20160056034A (ko) 2016-05-19
KR102105842B1 KR102105842B1 (ko) 2020-04-29

Family

ID=5580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899A KR102105842B1 (ko) 2014-11-11 2014-11-11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88172B2 (ko)
KR (1) KR102105842B1 (ko)
DE (1) DE10201511878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25114A1 (de) * 2013-12-09 2015-06-11 Kostal Of America Drehschalter mit programmierbaren Endanschlägen und variabler taktiler Rückmeldung
KR101740590B1 (ko) * 2015-06-15 2017-05-2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936896B1 (ko) * 2017-06-26 2019-01-11 경창산업주식회사 버튼식 변속제어장치
JP7077863B2 (ja) * 2018-08-21 2022-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フトブラケット
JP7476455B2 (ja) * 2018-11-09 2024-05-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7168284B2 (ja) * 2018-11-09 2022-11-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KR20220142636A (ko) * 2021-04-15 2022-10-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조작장치
KR20220149985A (ko) * 2021-05-03 2022-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조작장치
WO2023086497A1 (en) * 2021-11-11 2023-05-19 Tesla, Inc. Intrusion protected user interface and functionality for vehicle using embedded controller
CN115303072A (zh) * 2022-08-09 2022-11-08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通用化副仪表板及汽车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2782A (en) * 1987-10-26 1988-11-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position indicator mechanism
KR20030006388A (ko) * 2001-07-12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변속단 감지장치
US6774780B1 (en) * 1999-09-29 2004-08-10 Zf Friedrichshafen Ag Device for the advance indication of an automatically executed shift
KR20080034682A (ko) * 2006-10-17 2008-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의 후방시야 사각지대 제거장치
KR20130130109A (ko) * 2011-12-30 2013-12-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변속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4094695A (ja) * 2012-11-12 2014-05-22 Mazda Motor Corp 車両のシフ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18749D0 (en) * 1984-07-23 1984-08-30 Eaton Ltd Semi-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DE3912359A1 (de) 1989-04-14 1990-10-25 Man Nutzfahrzeuge Ag Schalthilfe-informationseinrichtung in kraftfahrzeugen
US5161422A (en) * 1991-07-12 1992-11-10 Prince Corporation Universal control for electrically controlled vehicle transmission
KR100380869B1 (ko) 1998-05-15 2003-07-18 박승일 수동변속기장착용자동차의자동변속작동장치
US6487484B1 (en) * 1999-03-05 2002-11-26 Shobers, Inc. Shift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that is adapted to provide installation flexibility where space is limited within a motor vehicle
US7219001B2 (en) * 2004-08-31 2007-05-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 indicator apparatus and method
JP2006177401A (ja) 2004-12-21 2006-07-06 Honda Motor Co Ltd セレクト装置
WO2007030046A1 (en) 2005-09-08 2007-03-15 Volvo Lastvagnar Ab A method for instructing a collective gear shift request in a gear box and a method for communicating a gear shift instruction to a gear box
WO2007034567A1 (ja) 2005-09-20 2007-03-29 Yoshiaki Takida 自動車車両ドライブバイワイヤー操舵システム
KR101349404B1 (ko) 2011-11-28 2014-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시프트/틸트 록킹 장치 및 방법
DE102013220404A1 (de) * 2013-10-10 2015-04-16 Zf Friedrichshafen Ag Shift-by-wire Betätig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wahl von Fahrstufe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2782A (en) * 1987-10-26 1988-11-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position indicator mechanism
US6774780B1 (en) * 1999-09-29 2004-08-10 Zf Friedrichshafen Ag Device for the advance indication of an automatically executed shift
KR20030006388A (ko) * 2001-07-12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변속단 감지장치
KR20080034682A (ko) * 2006-10-17 2008-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의 후방시야 사각지대 제거장치
KR20130130109A (ko) * 2011-12-30 2013-12-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변속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4094695A (ja) * 2012-11-12 2014-05-22 Mazda Motor Corp 車両のシフ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88172B2 (en) 2019-05-14
KR102105842B1 (ko) 2020-04-29
DE102015118781A1 (de) 2016-05-12
DE102015118781B4 (de) 2023-02-23
US20160131247A1 (en)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6034A (ko)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US10830337B2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gear shift lever for simultaneous manipul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603924B2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2016510281A (ja) 車両用変速レンジスイッチ装置
KR101755854B1 (ko) 전자식 변속시스템
JP2006160247A (ja) 自転車用可動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EP3184345A1 (en) Vehicle shift system
EP3184346A1 (en) Vehicle shift system
KR101982859B1 (ko) 회전 타입 전자식 변속 레버
JP5905247B2 (ja) 統合制御変速レバー装置
CN107795685B (zh) 用于车辆的线控换挡模块照明策略
KR101499222B1 (ko) 버튼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US9616877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39160B1 (ko) 전자식 변속 레버
KR101338686B1 (ko)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CN111664244B (zh) 旋钮式换挡杆设备
KR100939792B1 (ko) 전자식 변속 장치
JP2014210515A (ja) 車両のシフト装置
KR101612377B1 (ko) 주사위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5706A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KR101677723B1 (ko)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전자식 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US90806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KR101673623B1 (ko)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
KR102478130B1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JP3163444U (ja) 手動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