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704A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704A
KR20160055704A KR1020150155905A KR20150155905A KR20160055704A KR 20160055704 A KR20160055704 A KR 20160055704A KR 1020150155905 A KR1020150155905 A KR 1020150155905A KR 20150155905 A KR20150155905 A KR 20150155905A KR 20160055704 A KR20160055704 A KR 20160055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edium
image display
display device
light source
hov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현
안대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55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5Selection of menu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1Activation of instrument input devices by approaching fingers 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60K2360/1442Emulation of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91Highlight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99Information management for avoiding mal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60K2360/56Remote control arrangements using mobile devices
    • B60K2360/573Mobile devices controlling vehicle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중 조작계를 조작하는 입력 매체의 호버링(Hovering) 상태에서 입력 매체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를 돕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 입력 매체의 근접 또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집중 조작계; 그리고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근접이 감지된 입력 매체를 호버링하며,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H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중 조작계를 조작하는 입력 매체의 호버링(Hovering) 상태에서 입력 매체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를 돕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영상 표시 장치(Audio Video Navigation, AVN)를 조작하는 수단으로 로터리 방식의 회전식 조작 수단, 버튼식 조작 수단, 터치 패드 방식의 조작 수단 등의 집중 조작계가 사용되고 있다.
이 중 터치 패드 방식의 조작계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이 때의 터치 입력 방식에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 방식과, 호버링(Hovering)과 같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 방식이 가능하다.
그런데 터치 패드 방식의 조작계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동하여 메뉴나 아이콘을 직접 선택할 수 있어 편리하나, 사용자의 손가락 조작이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와 비직관적으로 매칭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입력 매체의 조작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간의 비직관적인 매칭은 메뉴 조작에 있어 혼란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메뉴 조작에 불편함을 느낀다. 또한, 운전자가 운전 중에 메뉴 조작을 하는 경우,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켜 안전 운전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입력 매체의 호버링(Hovering) 상태에서 입력 매체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를 돕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 입력 매체의 근접 또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집중 조작계; 그리고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근접이 감지된 입력 매체를 호버링하며,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반투명한 원형 형태의 광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위치가 이동되면, 영상 표시 장치의 이동하는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따라 광원 효과의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비례하도록 상기 광원 효과의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를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가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중이면,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객체의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의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위치가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중에 이동되면,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다른 객체와 인터랙션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와 외부 단말기에 대한 입력 매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입력 매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에 따른 경계 좌표와 상기 입력 매체의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입력 매체의 위치 좌표가 변화되면, 상기 변화되는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이동하는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반투명한 원형 형태의 광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영상 표치 장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차량용 집중 조작계의 터치 패드에 대한 근접이 감지된 입력 매체를 호버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효과는 반투명한 원형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원 효과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위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원 효과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따라 면적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광원 효과의 면적은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비례하여 변화될 수 있다.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중이면,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따라 광원 효과의 면적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의 면적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효과의 면적은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비례하여 변화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의 면적은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미러링이 요청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전송 받아 차량 내 영상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에 대한 입력 매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된 입력 매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에 따른 경계 좌표와 상기 입력 매체의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매체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매체의 위치 좌표가 변화되면, 상기 변화되는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이동하는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원 효과는 반투명한 원형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드를 구비한 차량용 집중 조작계를 조작하는 경우, 호버링 상태에서도 입력 매체를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빠른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대상이 되는 객체의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를 활용한 미러링 조작 시에도 복잡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도를 향상시켜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에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광원 효과가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버링된 입력 매체가 이동하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 효과의 면적이 변화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체의 면적이 변화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버링된 입력 매체가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중에 이동하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단말기와 미러링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입력 매체(10), 차량용 집중 조작계(20), 제어기(30), 영상 표시 장치(40), 통신부(50), 외부 단말기(6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 매체(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서,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일 수 있으며, 전자펜 등의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일 수도 있다.
차량용 집중 조작계(20)는 차량 내부의 암 레스트(armrest) 또는 콘솔와 기어 노브(gear knob) 주위에 설치되어 영상 표시 장치(40)를 조작하는 장치로서, 터치 패드(22) 및 센서부(24)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패드(22)는 입력 매체(10)의 터치를 인식하는 패드로서, 금속 전극 다수가 XY 축으로 배열되어 입력 매체(10)에 의한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한다. 특히, 상기 터치 패드(22)는 입력 매체(10)의 근접, 멀어짐, 이동 및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매체(10)의 감지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기(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터치 패드(22)는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및 초음파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이 결합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 패드(22)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근접 터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4)는 정전용량 방식 또는 임피던스 방식의 터치 센서, 압력 센서, 입력 매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근접 센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그리고 적외선 근접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24)는 입력 매체(10)의 터치를 감지하고, 입력 매체(10)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50)로 전달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40)는 차량 내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행을 위한 정보를 안내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40)는 차량에 구비되는 TV,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 등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모든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장치(4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각종 기능과 관련된 메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사각형 버튼 모양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메트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0)는 각종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60)와 통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외부 단말기(60)의 디스플레이 미러링이 요청되면, 상기 통신부(50)는 미러링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외부 단말기(6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상기 통신부(50)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단말기(60)는 상기 통신부(5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50)와 외부 단말기(60)를 연결하는 방법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와이 파이(Wireless 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장치(40)는 통신부(50)를 통해 외부 단말기(60)와 데이터 통신을 함으로써 화면을 공유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장치(40)와 외부 단말기(60)는 상대 장치의 화면 정보를 전송 받아 출력함으로써, 상대 장치의 화면을 동일하게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두 장치에서 동일한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두 장치들 간에 화면을 공유하는 것을 미러링(Mirroring)이라 한다. 상기 미러링은 화면 정보를 제공하는 소스(Source) 기기와 제공 받은 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싱크(Sink)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미러링이란 소소 기기의 화면을 싱크 기기에서 보여주는 것이다.
제어기(30)는 터치 패드(22)에 대한 근접이 감지된 입력 매체(10)를 호버링하며,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10)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40)에 광원 효과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에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광원 효과가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3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패드(22)에 근접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을 호버링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40)의 특정 영역에 반투명한 원형 형태의 광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버링된 입력 매체가 이동하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30)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10)의 위치가 이동되면, 상기 영상 표시 장치(40)의 이동하는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어기(30)는 이동 전 출발점과 이동 후 종료점의 명도, 채도, 투명도 등이 다른 광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30)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10)와 터치 패드(22)의 거리에 따라 광원 효과의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30)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10)를 영상 표시 장치(40)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하도록 제어하고, 호버링된 입력 매체(10)와 터치 패드(22)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객체의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메트로 UI에서는 여러 개의 객체 중에서 호버링된 입력 매체(10)와 인터랙션 중인 객체의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 효과의 면적이 변화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체의 면적이 변화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어기(30)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10)와 상기 터치 패드(22)의 거리에 따라 광원 효과의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 효과의 면적은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10)와 상기 터치 패드(22)의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즉,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10)가 터치 패드(22)에 가까워지면 광원 효과의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제어기(30)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10)가 영상 표시 장치(40)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중이면,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10)와 상기 터치 패드(22)의 거리에 따라 객체의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객체의 면적은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10)와 상기 터치 패드(22)의 거리에 반비례할 수 있다. 즉,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10)가 터치 패드(22)에 가까워지면 객체의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버링된 입력 매체가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중에 이동하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30)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10)의 위치가 영상 표시 장치(40)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중에 이동되면, 상기 영상 표시 장치(40)에 표시된 다른 객체와 인터랙션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30)는 상기 통신부(50)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60)의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표시 장치(40)에 출력하는 미러링을 수행하고, 외부 단말기(60)에 대한 입력 매체(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40)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한다.
도 7은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단말기와 미러링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30)는 상기 외부 단말기(60)의 화면 정보에 따른 경계 좌표와 상기 입력 매체(10)의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40)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30)는 입력 매체(10)의 위치 좌표가 변화되면, 상기 변화되는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40)의 이동하는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제어기(3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것일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영상 표시 장치(4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시작된다(S100).
상기 S100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영상 표시 장치(40)에 표시되면, 차량용 집중 조작계(20)의 센서부(24)는 터치 패드(22)에 입력 매체(10)의 근접이 있는지를 감지한다(S110). 상기 입력 매체(10)가 근접되었는지 여부는 터치 패드(22)와 입력 매체(10) 간의 거리가 설정 값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감지할 수 있다.
상기 S110 단계에서 입력 매체(10)의 근접이 감지되면, 제어기(30)는 근접이 감지된 입력 매체(10)의 호버링을 인식한다(S120). 상기 호버링을 인식하는 거리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간에는 주간보다 좀 더 먼 거리의 근접 정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호버링 인식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S120 단계에서 입력 매체(10)의 호버링이 인식되면, 제어기(30)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10)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40)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한다(S13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외부 단말기(60)의 디스플레이 미러링이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시작된다(S200).
상기 S200 단계에서 외부 단말기(60)의 디스플레이 미러링이 요청되면, 제어기(30)는 통신부(50)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60)의 화면 정보를 전송 받아 차량 내 영상 표시 장치(40)에 출력한다(S210).
그리고, 상기 제어기(30)는 외부 단말기(60)에 대한 입력 매체(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220).
상기 S220 단계에서 외부 단말기(60)에 대한 입력 매체(10)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기(30)는 외부 단말기(60)의 화면 정보에 따른 경계 좌표와 상기 입력 매체(10)의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 좌표를 생성한다(S230).
이후, 제어기(30)는 상기 입력 매체(10)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40)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한다(S2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패드를 구비한 차량용 집중 조작계를 조작하는 경우, 호버링 상태에서도 입력 매체를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빠른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대상이 되는 객체의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를 활용한 미러링 조작 시에도 복잡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도를 향상시켜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2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
    입력 매체의 근접 또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집중 조작계; 그리고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근접이 감지된 입력 매체를 호버링하며,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반투명한 원형 형태의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위치가 이동되면, 영상 표시 장치의 이동하는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따라 광원 효과의 면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비례하도록 상기 광원 효과의 면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를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가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중이면,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객체의 면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의 면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위치가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중에 이동되면,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다른 객체와 인터랙션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와 외부 단말기에 대한 입력 매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입력 매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에 따른 경계 좌표와 상기 입력 매체의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입력 매체의 위치 좌표가 변화되면, 상기 변화되는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이동하는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반투명한 원형 형태의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14. 영상 표치 장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차량용 집중 조작계의 터치 패드에 대한 근접이 감지된 입력 매체를 호버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효과는 반투명한 원형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효과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위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효과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따라 면적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효과의 면적은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비례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와 인터랙션 중이면,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따라 광원 효과의 면적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의 면적을 변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효과의 면적은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비례하여 변화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객체의 면적은 상기 호버링된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 패드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1.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미러링이 요청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전송 받아 차량 내 영상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에 대한 입력 매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된 입력 매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에 따른 경계 좌표와 상기 입력 매체의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매체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매체의 위치 좌표가 변화되면, 상기 변화되는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이동하는 영역에 광원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효과는 반투명한 원형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0150155905A 2014-11-10 2015-11-06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557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5659 2014-11-10
KR1020140155659 2014-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704A true KR20160055704A (ko) 2016-05-18

Family

ID=5591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905A KR20160055704A (ko) 2014-11-10 2015-11-06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132211A1 (ko)
KR (1) KR20160055704A (ko)
CN (1) CN1055895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350A1 (ko) * 2018-11-30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장치 및 차량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6405B2 (en) * 2015-10-24 2019-0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ing control interface based on multi-input command
CN106603810A (zh) * 2016-10-31 2017-04-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悬浮组合操作装置及其方法
CN108521700A (zh) * 2018-03-23 2018-09-11 深圳市声光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灯光控制方法、系统及介质
CN113091254A (zh) * 2021-04-02 2021-07-0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控制方法、空调器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7666B2 (en) * 2008-10-10 2012-08-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gmented I/O for limited form factor user-interfaces
KR101446031B1 (ko) * 2012-12-26 2014-10-02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용 터치식모니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미러링 터치조작장치 및 그의 미러링 터치조작 제어방법
KR20140105985A (ko) * 2013-02-25 2014-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350A1 (ko) * 2018-11-30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장치 및 차량 제어방법
US11314346B2 (en) 2018-11-30 2022-04-26 Lg Electronics Inc.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32211A1 (en) 2016-05-12
CN105589596A (zh)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9779B2 (en) Depth-based user interface gesture control
KR20160055704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59428A1 (en) Portable device and guid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thereof
WO2015102069A1 (ja) 操作装置
KR20110062062A (ko)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US95820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JP6144501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5542224B1 (ja) 電子機器および座標検出方法
JP6429886B2 (ja) 触感制御システムおよび触感制御方法
JP2012194843A (ja)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US10191630B2 (en) Graphical interface and method for managing said graphical interface during the touch-selection of a displayed element
US20140210795A1 (en) Contro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ontro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2012003404A (ja) 情報表示装置
EP39335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bending state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80267620A1 (en) Motor vehicle with at least one radar unit
WO2017138545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115734A1 (en) Tactile sensation control system and tactile sensation control method
GB2517284A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input operation processing method
WO2014171096A1 (ja) 車載機器の制御装置、車載機器
KR101961786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80292924A1 (en) Input processing apparatus
JP201600939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5093005A1 (ja) 表示システム
JP2017187922A (ja) 車載用情報処理システム
JP5653558B2 (ja) 電子機器及び座標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