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075A -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열 영상 카메라 - Google Patents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열 영상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075A
KR20160054075A KR1020140152548A KR20140152548A KR20160054075A KR 20160054075 A KR20160054075 A KR 20160054075A KR 1020140152548 A KR1020140152548 A KR 1020140152548A KR 20140152548 A KR20140152548 A KR 20140152548A KR 20160054075 A KR20160054075 A KR 20160054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value
shutter
inspection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241B1 (ko
Inventor
소황영
하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모홀딩스엔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모홀딩스엔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모홀딩스엔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4015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24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G03B43/02Testing shu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 셔터를 개방하고 적외선 센서가 열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셔터를 폐쇄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가 오프셋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열 영상에서 상기 오프셋 영상을 감산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열 영상 상에 제1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오프셋 영상 상에 제2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사 영역의 영상 신호값을 수집하고 이를 제1 데이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검사 영역의 영상 신호값을 수집하고 이를 제2 데이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값과 상기 제2 데이터값을 비교하고 그 차이값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값과 상기 제2 데이터값이 동일하면 셔터 이상으로 판단하고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고장을 자가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 영상 카메라가 출력하는 영상과 오프셋 영상의 비교에 의해 셔터 고장 여부를 자가 진단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Description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열 영상 카메라{Self diagnosis method for thermal camera shutter and thermal camera same the using}
본 발명은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열 영상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의 동작을 스스로 진단하고 동작 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열 영상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열 영상 카메라는 사물을 촬영하여 사물이 갖고 있는 소정 온도를 화상으로 출력하는 카메라이다.
열 영상 카메라는 촬영 대상인 사물에서 발산되는 적외선을 적외선 렌즈를 통해 수광한 후, 적외선 센서에 의해 소정의 영상을 출력한다.
여기서, 적외선 센서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적외선 센서가 포함하는 픽셀(pixel)들의 불균일성에 의해 발생되는 패턴 노이즈(pattern noise)를 포함하고 있다. 노이즈를 포함하는 영상은 인식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센서의 패턴 노이즈만을 갖는 영상 즉, 오프셋(offset) 영상을 별도로 출력한 후,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서 오프셋(offset) 영상을 감산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패턴 노이즈가 제거된 영상을 최종 출력물로서 출력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열 영상 카메라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열 영상 카메라(1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셔터(2)가 개방되면, 열 영상 카메라(10)의 적외선 센서(3)는 렌즈(1)와 셔터(2)를 통과한 적외선을 수광하여, 소정의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이는 영상 처리부(5)에 입력된다.
여기서, 적외선 센서(3)의 적외선의 수광은 셔터 구동부(2a)에 의한 셔터(2)의 개폐에 의해 단속된다. 셔터 구동부(2a)는 제어부(6)에 설정되어 있는 동작 상태에 따라 제어된다.
제어부(6)는 후술하는 영상의 출력을 감지하여, 영상의 출력이 이루어지면, 셔터 구동부(2a)를 동작시킨다.
셔터(2)가 폐쇄되면, 소정의 영상이 적외선 센서(3)에서 출력되고, 이후 적외선 센서(3)에서는 오프셋 영상이 출력되고, 이는 오프셋 영상 저장부(4)에 저장된다.
이후, 영상 처리부(5)는 오프셋 영상 저장부(4)에 저장되어 있는 오프셋 영상을 이용하여 적외선 센서(3)의 출력 영상을 감산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이를 메모리부(7)에 저장함과 동시에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열 영상 카메라(10)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영상 처리부(5)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메모리부(7)에 저장된 후, 필요시에 출력됨을 나타낸다.
도 3은 일반적인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의 이상 유무에 따른 열 영상과 오프셋 영상의 출력을 연속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열 영상 카메라(10)의 셔터(2)는 제품의 성능 구현을 위한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지만, 모터와 기타 기계적인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자 부품으로 이루어진 구성 요소에 비하여 제품 수명이 작고, 고장 빈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셔터의 개폐에 따라 다음과 같은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도 3의 A는 셔터(2)가 정상적으로 개폐하여, 정상적인 열 영상과 오프셋 영상이 교번하여 출력됨을 나타낸다.
도 3의 B는 셔터(2)가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오프셋 영상의 중앙에 열 영상이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 3의 C는 셔터(2)가 폐쇄되지 않아, 오프셋 영상이 출력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열 영상이 생성되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의 B와 C가 표현하는 셔터의 이상은 영상이 출력된 후, 사용자가 영상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셔터의 폐쇄 시, 출력되는 영상은 셔터 폐쇄 직전의 영상이므로, 셔터의 고장을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 영상 카메라는 사용자와는 원격의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셔터의 고장 여부를 즉시에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열 영상 카메라가 셔터 고장을 스스로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13-0026756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 영상 카메라가 셔터 고장 여부를 자가 진단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열 영상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 셔터를 개방하고 적외선 센서가 열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셔터를 폐쇄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가 오프셋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열 영상에서 상기 오프셋 영상을 감산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열 영상 상에 제1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오프셋 영상 상에 제2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사 영역의 영상 신호값을 수집하고 이를 제1 데이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검사 영역의 영상 신호값을 수집하고 이를 제2 데이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값과 상기 제2 데이터값을 비교하고 그 차이값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값과 상기 제2 데이터값이 동일하면 셔터 이상으로 판단하고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고장을 자가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셔터를 개방하고, 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열 영상 상에 제3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3 검사 영역의 영상 신호값을 수집하여 이를 제3 데이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값, 상기 제2 데이터값 및 상기 제3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그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값, 상기 제2 데이터값 및 상기 제3 데이터값이 서로 동일하면 셔터 이상으로 판단하고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검사 영역과 상기 제2 검사 영역의 개수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검사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2 검사 영역의 면적, 형태, 개수 및 위치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3 검사 영역의 면적, 형태, 개수 및 위치는 상기 제2 검사 영역의 면적, 형태, 개수 및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내지 제3 검사 영역은 상기 열 영상과 상기 오프셋 영상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값은 상기 제1 내지 제3 검사 영역의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촬영 대상에서 발산되는 적외선을 렌즈와 셔터를 통해 수광한 후 적외선 센서에 의해 열 영상을 생성하는 출력하는 열 영상 카메라로서, 상기 셔터가 폐쇄된 후 생성되어 출력되는 오프셋(offset) 영상을 저장하는 오프셋 영상 저장부; 상기 열 영상에서 상기 오프셋 영상을 감산 처리하여 출력하는 제1 영상 처리부; 상기 열 영상과 상기 오프셋 영상에 대하여 각각 검사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검사 영역의 데이터값을 측정하는 제2 영상 처리부; 상기 열 영상과 상기 오프셋 영상의 검사 영역의 데이터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동일하면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상기 고장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 를 포함하는 열 영상 카메라를 제공한다.
상기 열 영상과 상기 오프셋 영상의 검사 영역은 동일한 위치, 형태, 크기 및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처리부는, 상기 검사 영역의 영상 신호를 데이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열 영상 카메라가 출력하는 영상과 오프셋 영상의 비교에 의해 셔터 고장 여부를 자가 진단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열 영상 카메라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열 영상 카메라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의 이상 유무에 따른 열 영상과 오프셋 영상의 출력을 연속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영상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개방 정도에 따른 정상 영상, 오프셋 영상, 이상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개방 정도에 따른 정상 영상, 오프셋 영상, 이상 영상에 검사 영역이 설정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은 열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S110), 오프셋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S120), 감산하여 출력하는 단계(S130), 제1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40), 제2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50), 제1 데이터값을 설정하는 단계(S160), 제2 데이터값을 설정하는 단계(S170), 제1 데이터값과 제2 데이터값을 비교하는 단계(S180) 및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은 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200), 제3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210), 제3 데이터값을 설정하는 단계(S220), 제1 내지 제3 데이터값을 비교하는 단계(S230),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영상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영상 카메라(100)는 렌즈(110), 셔터(120), 셔터 구동부(122), 제어부(160), 오프셋 영상 저장부(140), 제1 영상 처리부(150), 제2 영상 처리부(180), 비교부(190)를 포함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열 영상 카메라(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열 영상 카메라(100)는 소정의 직경과 초점거리를 갖는 적외선 렌즈(110)에 의해 촬영 대상에서 발광되는 적외선을 집광한다.
열 영상 생성 단계(S110)는 렌즈(110)를 통해 집광된 적외선을 개방되어 있는 셔터(120)를 통하여 적외선 센서(130)로 수광하고, 적외선 센서(130)가 수광된 적외선에 의해 소정의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출력되는 영상은 소정의 픽셀수를 갖는 그래픽 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셔터(120)의 개폐 동작은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는 셔터 구동부(122)에 의해 이루어진다. 셔터(120)의 개방은 제어부(160)에 의해 소정 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설정되어 있는 셔터 개방 시간이 종료되면, 셔터(120)는 폐쇄되고, 이와 동시에 소정의 영상이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개방 정도에 따른 정상 영상, 오프셋 영상, 이상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셔터(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적외선 센서(130)에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열 영상의 일예이다.
생성된 영상이 카메라 외부로 출력되거나 후술하는 영상 저장부(170)에 저장되면, 제어부(160)는 다음의 새로운 영상의 생성을 위해 셔터 구동부(122)를 제어한다.
오프셋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S120)는 셔터(120)가 폐쇄된 후, 적외선 센서(130)에서는 셔터 개방 시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 오프셋(offset)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이는 오프셋 영상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여기서, 오프셋 영상은 열 영상 생성 시 생성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 출력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출력되는 오프셋 영상은 소정의 픽셀수를 갖는 그래픽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오프셋 영상은 열 영상과 동일한 픽셀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5의 B는 셔터(1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적외선 센서(130)에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오프셋 영상의 일예이다.
감산하여 출력하는 단계(S130)는 제1 영상 처리부(150)가 적외선 센서(130)에서 출력된 열 영상에서 오프셋 영상을 감산하는 처리를 수행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출력되는 영상은 카메라(100) 외부로 출력되는 동시에 영상 저장부(170)에 저장된다.
여기서, 도 5의 C는 셔터(120)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하여 셔터(120)가 부분 폐쇄된 상태에서 적외선 센서(130)가 생성하여 출력하는 열 영상의 일예로서, 셔터(120)의 부분 폐쇄에 의해 오프셋 영상이 촬영 대상 사물이 촬영되어 있다. 상기한 오프셋 영상을 열 영상에 감산 처리하면, 최종적인 영상에서는 중앙 부위가 검게 되므로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의 과정이 수행된다.
제1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40)는 적외선 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열 영상에 대하여 제1 검사 영역(D1)을 설정한다.
제1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40)의 수행은 제2 영상 처리부(180)에 의해 수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개방 정도에 따른 정상 영상, 오프셋 영상, 이상 영상에 검사 영역이 설정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는 열 영상에 제1 검사 영역(D1)이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2 영상 처리부(180)는 열 영상에 대하여 소정의 면적과 개수를 갖는 제1 검사 영역(D1)을 설정한다.
도면에서, 제1 검사 영역(D1)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서, 도면 상부에서 하부로 3개가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검사 영역(D1)의 형태와 면적 그리고 개수는 셔터의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즉, 셔터(120)는 상하로 개폐되는 형태이거나 좌우로 개폐되는 형태일 수 있으므로, 셔터의 개폐 형태에 대응하여 검사 영역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검사 영역의 형태, 면적 및 위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검사 영역(D1)은 단일개로 설정될 수 있지만, 정확성 확보를 위해 복수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 검사 영역(D1)의 형태, 면적, 위치 및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제1 검사 영역(D1)은 열 영상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검사 영역 설정 단계(S150)는 제2 영상 처리부(180)는 셔터 폐쇄 시, 출력되는 오프셋 영상에 대해서 제2 검사 영역(D2)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도 6의 B는 오프셋 영상에 제2 검사 영역(D2)이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오프셋 영상에 대해 설정되는 제2 검사 영역(D2)의 형태, 면적, 위치는 제1 검사 영역(D1)의 형태, 면적, 위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검사 영역(D1)과 제2 검사 영역(D2)의 개수도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데이터값 설정 단계(S160)과 제2 데이터값 설정 단계(S170)는 제2 영상 처리부(180)가 열 영상과 오프셋 영상에 설정된 제1 검사 영역(D1) 및 제2 검사 영역(D2) 각각의 영상 신호를 각각 제1 데이터값과 제2 데이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도 6의 C는 셔터 이상 시 생성된 오프셋 영상에 제2 검사 영역이 설정된 예를 나타낸다.
비교하는 단계(S180)는 열 영상과 오프셋 영상에 설정된 제1 검사 영역(D1)과 제2 검사 영역(D2)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이다.
제1 검사 영역(D1)과 제2 검사 영역(D2)은 각각 제1 데이터값과 제2 데이터값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비교부(190)는 이를 서로 비교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셔터(1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열 영상과 오프셋 영상의 제1 검사 영역(D1)과 제2 검사 영역(D2)은 서로 상이한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셔터(120)가 부분적으로 폐쇄 동작하면, 도 6의 C와 같이 오프셋 영상의 제2 검사 영역 중 어느 하나는 동일 위치의 제1 검사 영역(D1)과 동일한 영상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검사 영역과 제2 검사 영역의 비교 결과, 복수의 검사 영역 중 어느 하나의 검사 영역이 서로 동일하면 셔터(120)의 동작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여, 별도의 경고부(미도시)를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190).
셔터의 개폐 불안정이 일시적일 수 있으므로,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셔터의 고장에 따라서는 폐쇄는 정상적일 수 있으나 개방이 비정상적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열 영상 재출력 단계(S200)는 제어부(160)가 셔터 구동부(122)를 통해 셔터(120)가 개방 동작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적외선 센서(130)에서 열 영상이 생성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제3 검사 영역 설정 단계(S210)는 제2 영상 처리부(180)가 상기 단계에서 출력되는 열 영상에 제3 검사 영역(D3)을 설정한다. 여기서, 제3 검사 영역(D3)의 면적, 형태 및 위치는 제2 검사 영역(D2)의 면적, 형태 및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또한, 제3 검사 영역(D3)의 개수는 제2 검사 영역(D2)의 개수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제3 데이터값 설정 단계(S220)는 제2 영상 처리부(180)가 제3 검사 영역(D3)의 영상 신호를 제3 데이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제3 데이터값의 특성은 제2 검사 영역(D2)의 특성과 동일하다.
제1 내지 제3 데이터값을 비교하는 단계(S230)는 제1 내지 제3 검사 영역(D1, D2, D3)의 제1 내지 제3 데이터값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이다. 비교 결과, 제1 내지 제3 검사 영역(D1, D2, D3) 중 동일 위치의 검사 영역에 대하여 동일한 비교결과가 나타나면, 셔터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240).
본 발명은, 열 영상 카메라가 출력하는 영상과 오프셋 영상의 비교에 의해 셔터 고장 여부를 자가 진단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열 영상 카메라 110: 렌즈
120: 셔터 122: 셔터 구동부
130: 적외선 센서 140: 오프셋 영상 저장부
150: 제1 영상 처리부 160: 제어부
180: 제2 영상 처리부 190: 비교부

Claims (10)

  1. 상기 카메라 셔터를 개방하고 적외선 센서가 열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셔터를 폐쇄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가 오프셋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열 영상에서 상기 오프셋 영상을 감산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열 영상 상에 제1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오프셋 영상 상에 제2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사 영역의 영상 신호값을 수집하고 이를 제1 데이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검사 영역의 영상 신호값을 수집하고 이를 제2 데이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값과 상기 제2 데이터값을 비교하고 그 차이값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값과 상기 제2 데이터값이 동일하면 셔터 이상으로 판단하고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고장을 자가 진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셔터를 개방하고, 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열 영상 상에 제3 검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3 검사 영역의 영상 신호값을 수집하여 이를 제3 데이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값, 상기 제2 데이터값 및 상기 제3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그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값, 상기 제2 데이터값 및 상기 제3 데이터값이 서로 동일하면 셔터 이상으로 판단하고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고장을 자가 진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 영역과 상기 제2 검사 영역의 개수는 복수개인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고장을 자가 진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검사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2 검사 영역의 면적, 형태, 개수 및 위치는 동일한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고장을 자가 진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검사 영역의 면적, 형태, 개수 및 위치는 상기 제2 검사 영역의 면적, 형태, 개수 및 위치와 동일한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고장을 자가 진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내지 제3 검사 영역은 상기 열 영상과 상기 오프셋 영상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설정되는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고장을 자가 진단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값은 상기 제1 내지 제3 검사 영역의 영상 신호인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고장을 자가 진단하는 방법.
  8. 촬영 대상에서 발산되는 적외선을 렌즈와 셔터를 통해 수광한 후 적외선 센서에 의해 열 영상을 생성하는 출력하는 열 영상 카메라로서,
    상기 셔터가 폐쇄된 후 생성되어 출력되는 오프셋(offset) 영상을 저장하는 오프셋 영상 저장부;
    상기 열 영상에서 상기 오프셋 영상을 감산 처리하여 출력하는 제1 영상 처리부;
    상기 열 영상과 상기 오프셋 영상에 대하여 각각 검사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검사 영역의 데이터값을 측정하는 제2 영상 처리부;
    상기 열 영상과 상기 오프셋 영상의 검사 영역의 데이터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동일하면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상기 고장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 를 포함하는 열 영상 카메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 영상과 상기 오프셋 영상의 검사 영역은 동일한 위치, 형태, 크기 및 개수로 설정되는 열 영상 카메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처리부는,
    상기 검사 영역의 영상 신호를 데이터값으로 설정하는 열 영상 카메라.
KR1020140152548A 2014-11-05 2014-11-05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열 영상 카메라 KR101631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548A KR101631241B1 (ko) 2014-11-05 2014-11-05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열 영상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548A KR101631241B1 (ko) 2014-11-05 2014-11-05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열 영상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075A true KR20160054075A (ko) 2016-05-16
KR101631241B1 KR101631241B1 (ko) 2016-06-17

Family

ID=5610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548A KR101631241B1 (ko) 2014-11-05 2014-11-05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열 영상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2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559A (ja) * 1999-03-26 2000-10-06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KR20090008603A (ko) * 2007-07-18 2009-01-22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Cctv를 이용한 주차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038506B1 (ko) * 2010-11-30 2011-06-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적외선 열상장비 및 불균일 보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559A (ja) * 1999-03-26 2000-10-06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KR20090008603A (ko) * 2007-07-18 2009-01-22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Cctv를 이용한 주차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038506B1 (ko) * 2010-11-30 2011-06-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적외선 열상장비 및 불균일 보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241B1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8537B2 (en) Photographing device and photographing method
US20130120536A1 (en) Optical Self-Diagnosis of a Stereoscopic Camera System
US8159343B2 (en) Abnormality detecting device
US11849912B2 (en) Endoscopic camera system and image signal transmission method thereof
JP2018029237A5 (ko)
KR102575147B1 (ko) 자세 교정 알림 장치 및 방법
JP2001211466A (ja) 自己診断機能を有する画像処理システム
CN108989638B (zh) 成像装置及其控制方法、电子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980089B2 (ja) ステレオ画像処理装置
JP2007050862A (ja) 踏切監視システム及び踏切監視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631241B1 (ko) 열 영상 카메라의 셔터 자가 진단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열 영상 카메라
JP7047638B2 (ja) ガス可視化用画像処理装置、ガス可視化用画像処理方法、ガス可視化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ガス検知システム
WO2018207691A1 (ja) 監視装置、監視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230060132A (ko) 열화상 카메라 및 열화상 카메라에서의 셔터 동작 상태 모니터링 방법
JP2010262422A (ja) 赤外線異常検知装置
JP2012096872A (ja) エレベータかご内防犯カメラの録画忘れ防止装置
US202100629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a Safety Function
KR102384940B1 (ko) 카메라 오동작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JP7048301B2 (ja) 撮影システム、撮影ユニット、情報処理ユニット、撮影ユニットの異常検出方法
KR102277954B1 (ko) 사업용 자동차의 운행 상황 감시 시스템
KR102509581B1 (ko) 영상 판단 장치 및 그 판단 방법
JP2006304105A (ja) 自己診断方法、自己診断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10409592A1 (en) Object detection device,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406841B1 (ko) 차량용 영상 수집 장치 및 운용 방법
JP4790555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