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696A -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 Google Patents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696A
KR20160053696A KR1020140153146A KR20140153146A KR20160053696A KR 20160053696 A KR20160053696 A KR 20160053696A KR 1020140153146 A KR1020140153146 A KR 1020140153146A KR 20140153146 A KR20140153146 A KR 20140153146A KR 20160053696 A KR20160053696 A KR 20160053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ifold
nozzle
spray water
compressed air
clean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798B1 (ko
Inventor
최영기
최영진
전수범
김희재
신용한
왕영훈
이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방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방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방테크
Priority to KR102014015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7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클린룸 내부를 수가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분무수 헤더와 압축공기 헤더가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매니폴드; 상기 분무수 헤더 및 상기 압축공기 헤더와 연결되도록 상기 매니폴드 상에 다수 배치되어 분무수와 압축공기를 분사시키는 노즐;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매니폴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로 분무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분무수 헤더와 연결되는 분무수 탱크; 및 상기 클린룸 내부의 기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기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류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클린룸 내부의 기류 방향을 조절하여 기화 가습 과정에서 기류에 의해 클린룸 중 상부 플래넘에 설치된 빔(beam) 등과 같은 장애물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PLENUM MOISTUR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밀 온습도 제어를 요구하는 클린룸 운영조건에서 이류체 노즐에 의한 클린룸내 직접 분무 방식을 통해 클린룸 내부를 가습하는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린룸이란 공기중의 부유 미립자가 한정된 청정도 이하로 관리되고, 그 공간에서 온도, 습도, 압력 등에 대해서도 관리가 행하여지는 공간을 말한다.
특히, 클린룸내의 습도와 양압 유지에 필수 설비인 외기조화기는 클린룸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며, 클린룸에서 배출되는 배기풍량과 클린룸의 양압유지에 필요한 공기량이 합하여진 만큼의 외기량을 도입하며, 도입된 외기는 클린룸에서 요구되는 온습도가 되도록 외기조화기내에 구비된 가열코일, 냉각코일, 제습기, 가습기 등 각종 구성품에 의하여 가열, 가습, 냉각, 제습 등의 과정에 의하여 상태가 변화되어 클린룸 내로 공급된다.
클린룸내의 직접 분무식 기화 가습기는 노즐에 의해 미립화된 분무수 입자가 공기와 집적 접촉함으로써 공기의 냉각과 가습효과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직접 분무식 기화 가습기와 관련된 기술이 특허등록 제0924960호 및 특허등록 제0848933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특허등록 제0924960호 및 특허등록 제0848933호에 개시된 직접 분무식 기화 가습기 및 클린룸내 직접분무식 기화가습장치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특허등록 제0924960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기화 가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기화 가습 시스템은 클린룸(30) 내에 위치되며 초순수 분무를 위한 노즐(41)이 구비된 매니폴더(40), 클린룸(30) 내의 온도와 습도에 대한 확인을 하는 컨트롤 밸브 제어부(50), 상기 매니폴더(40)에 까지 연결되어 초순수를 공급하는 초순수공급부(60),상기 매니폴더(40)까지 연장된 압축공기 발생부(70)를 포함한다. 각 매니폴더(40)에는 초순수가 저장되는 초순수저장조(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초순수저장조(42)에는 중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중공볼(42a)이 설치되어 상기 중공볼(42a)의 상하운동에 따라 초순수공급배관(61a)의 초순수공급을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클린룸내 직접분무식 기화가습장치는 클린룸의 설치 구조상 상부 플래넘에 설치된 빔(beam) 저면에 기화 가습 과정에서 기류에 의해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클린룸 내부의 수가습 정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특허등록 제0848933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클린룸내 직접분무식 기화가습장치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클린룸내 직접분무식 기화가습장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1)이 노즐고정연장관(2)상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노즐고정연장관(2)의 단부에는 초순수 저장조(3)가 설치된 클린룸 내의 직접 분무식 기화가습장치(A)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이 복수개가 설치되는 노즐고정연장관(2)은 압출성형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노즐고정연장관(2)의 단면은, 초순수 공급공(21)과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공(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단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노즐브라켓(11)과 상기 노즐고정연장관(2)을 고정시키는 거치대(4)를 설치하기 위한 노즐브라켓고정홈(23)과 거치대고정홈(24)이 형성된다. 이때, 초순수 저장조(3)는 상부에서 초순수가 공급되는 초순수 공급관(31)이 연결되고, 상기 초순수 공급관(31)에서 공급된 초순수가 흘러내리는 초순수 연장공(32)이 하방으로 천공되고, 상기 초순수 연장공(32)의 하단에는 초순수유출공(33a)이 천공된 니들밸브받침대(33)가 설치된 저장조덮개(30)와, 하부에는 초순수 배출관(35)이 연결되고 초순수가 저장되는 저장조본체(34)와, 상기 저장조덮개(30)와 저장조본체(34)내부에 설치되며 공기가 들어 있는 부레본체(36a)와 상기 부레본체(36a)의 상부에 돌출성형되며 상단부는 니들밸브받침대(33)의 초순수유출공(33a)에 접촉하며 상기 초순수유출공(33a)을 개폐시키는 니들밸브(36b)가 구비된 플로우트(36)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클린룸내 직접분무식 기화가습장치 역시 클린룸의 설치 구조상 상부 플래넘에 설치된 빔(beam) 저면에 기화 가습 과정에서 기류에 의해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클린룸 내부의 수가습 정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0924960 B1 KR 0848933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류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클린룸 내부의 기류 방향을 조절하여 기화 가습 과정에서 기류에 의해 클린룸 중 상부 플래넘에 설치된 빔(beam) 등과 같은 장애물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클린룸 내부를 수가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분무수 헤더와 압축공기 헤더가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매니폴드; 상기 분무수 헤더 및 상기 압축공기 헤더와 연결되도록 상기 매니폴드 상에 다수 배치되어 분무수와 압축공기를 분사시키는 노즐;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매니폴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로 분무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분무수 헤더와 연결되는 분무수 탱크; 및 상기 클린룸 내부의 기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기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는 상기 노즐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연결부재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는 상기 매니폴드에 상단 또는 하단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는 상기 매니폴드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각도가 조절되게 배치되거나, 상기 매니폴드에 상단 또는 하단에 각도가 조절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노즐은 회전 가능하여 각도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류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클린룸 내부의 기류 방향을 조절하여 기화 가습 과정에서 기류에 의해 클린룸 중 상부 플래넘에 설치된 빔(beam) 등과 같은 장애물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따른 기화 가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따른 클린룸내 직접분무식 기화가습장치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일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일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노즐의 회전 각도를 복수의 너트로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 대한 실시 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일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를 적용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일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를 적용한 상태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100)는 분무수를 압축공기에 의해 미세분무하는 기능을 하며, 매니폴드(110), 분무수 연결관(120a), 압축공기 연결관(120b), 노즐(130), 분무수 탱크(140), 솔레노이드 밸브(150), 연결부재(160), 기류 가이드 부재(170)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분무수는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100)가 클린룸에 적용되는 경우 초순수일 수 있다.
매니폴드(Manifold: 110)는 알루미늄 재질 등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압출 또는 사출 형성되며, 양단을 엔드 커버(End cover: 114)로 씌운다.
이때, 상기 매니폴드(110)는 내부에 형성된 분무수 헤더(111)와 압축공기 헤더(112)의 양단 또는 일단을 플러그로 마감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니폴드(110)는 내부 상단 좌우측에 분무수와 압축공기가 분리 공급하도록 분무수 헤더(111)와 압축공기 헤더(112)가 각각 길이 방향으로 분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분무수 헤더(111)와 상기 압축공기 헤더(112)에서 헤더(header)라 함은 다수의 분기관을 나누거나 모으기 위하여 확대한 부분, 다수의 분기관을 접촉하는 구조체를 말한다.
더욱이, 상기 매니폴드(110)는 내부 하단에 분무수 헤더(111) 및 압축공기 헤더(112)와 별도로 배선 통로(113)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선 통로(113)는 각각의 노즐(130)에 대한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50)의 개별적인 제어를 위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50)마다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원선을 배선하도록 매니폴드(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엔드 커버(114)에는 분무수 헤더(111)와 연통되도록 분무수 탱크(140)와 연결되는 분무수 공급관(141)과, 압축공기 헤더(112)와 연통되도록 압축공기 발생부(도면에 미도시)와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관(142)이 각각 관통 설치된다.
한편, 상기 분무수 공급관(141)과,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142)은 매니폴드(11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매니폴드(110)의 중간에 설치될 수 있다.
분무수 연결관(120a)은 설정 간격마다 천공한 매니폴드(110)의 상면에 직립된 상태로 각각 체결되어 분무수 탱크(140)에서 분무수가 상기 노즐(130)로 공급되도록 분무수 헤더(111)와 연결된다.
압축공기 연결관(120b)은 설정 간격마다 천공한 매니폴드(110)의 상면에 직립된 상태로 각각 체결되어 노즐(130)과 솔레노이드 밸브(150)를 지지하면서 압축공기 공급관(142)을 통해 압축공기가 상기 노즐(130)로 공급되도록 압축공기 헤더(112)와 연결된다.
이렇게, 상기 분무수 연결관(120a)과 상기 압축공기 연결관(120b)은 매니폴드(110)의 상면에 나선홀을 천공한 후 각각의 나선홀에 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되므로, 상기 매니폴드(110)의 상면이나 측면에 종래기술과 같이 노즐브라켓고정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는 상기 매니폴드(110)의 상면이나 측면이 편평하게 구비되므로 기류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130)은 압축공기 연결관(120b)의 상단에 설치되어 분무수와 압축공기를 동시 분사시킨다. 이때, 상기 노즐(130)은 이류체를 공급하는 사이폰 방식의 노즐로, 분무수와 압축공기를 각각 외부에서 혼합한 후 압축공기의 힘으로 액체를 분무하여 미세 분무를 구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130)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설치 위치별 분무 각도 및 분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분무수와 압축공기를 외부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에 한정하지 않고 내부 혼합 등도 가능하다.
분무수 탱크(140)는 대기압 상태를 유지하면서 노즐(130)로 분무수를 공급하도록 매니폴드(11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130)에 분무수 헤더(111)와 연결되는 분무수 공급관(141)이 구비된다. 이때, 분무수 탱크(14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탱크 몸체, 연결커버, 부레 및 밀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분무수 탱크(140)는 매니폴드(11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노즐(130)의 사이 등과 같이 상기 분무수 탱크(140)가 설치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이면 어느 공간이던 설치가 가능하다.
탱크 몸체는 상단이 개구된 내부에 분무수가 저장되고, 바닥면에 매니폴드(110)의 분무수 헤더(111)와 연결되어 분무수를 배수하도록 연결구멍이 형성된다.
연결커버는 탱크 몸체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며, 상면에 분무수를 주입하는 주입관(도면에 미도시)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탱크 몸체와 상기 연결커버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된 분무수의 저장량을 인지할 수 있다.
부레는 밀봉부재의 하단에서 상단에 연결된 레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탱크 몸체 내부의 분무수 수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밀봉부재를 승강시켜 연결커버에 연결된 분무수 주입관의 출구와 연결된 구멍을 개폐한다.
즉, 상기 부레의 상면에 연결된 레버는 상단이 연결커버의 저면에서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 과정에서 밀봉부재를 승강시켜 분무수 주입관의 출구와 연결된 구멍을 개폐하게 한다.
밀봉부재는 탱크 몸체 내부의 분무수 수위가 낮으면 하강하여 분무수 주입관의 출구와 연결된 구멍을 개방하고 있다가, 상기 분무수 수위가 설정 높이에 도달하면 상승하면서 상기 분무수 주입관의 출구와 연결된 구멍을 차단시켜 분무수 공급을 중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봉부재는 고무 패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탱크 몸체 또는 연결커버의 결합면 중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 분무수 탱크(140)내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하게 하는 공기통로가 구비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150)는 압축공기 연결관(120b)의 상단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공기 연결관(120b)을 개폐 즉, 노즐(130)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50)는 상기 노즐(130)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노즐(130)을 개별적으로 개폐하게 하거나, 상기 노즐(130) 군에서 다수개씩 연결한 후 다수개씩 동시 또는 순차 개폐하게 하거나, 상기 노즐(130) 전체를 연결한 후 전체를 동시 개폐하게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50)가 상기 노즐(130)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노즐(130)을 개별적으로 개폐하게 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5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코일, 고정철심, 스프링, 플런저(Plunger) 및 연결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50)에는 각각마다 전원을 인가하도록 분기선이 분기된 전원선이 배선 통로(113) 내에 위치된다.
코일은 전원선이 연결되어 인가 전원에 의해 전자석화되고, 고정철심은 금속재로 형성되어 코일의 내부에 고정된다.
스프링은 단부가 막혀있는 고정철심의 홀 내부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단부가 막혀있는 플런저의 홀 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은 후술할 플런저를 항시 연결구 방향으로 복원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복원력을 통해 상기 연결구의 유동 통로를 항시 밀폐하도록 한다.
플런저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구의 유동 통로를 밀폐한 상태에서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 원리에 의해 상기 연결구의 유동 통로를 개방시킨다.
연결구는 고정철심과 나선 체결되며 내부에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상태에서 플런저의 이동 방향에 따라 입구 및 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연결부재(160)는 바(Bar) 형태로 구비되며, 노즐(130)의 하단에 형성된 횡방향 관통 홀마다 연결되어 운반시 잡업자가 잡고 이동하므로 기존 방식에서와 같이 운반 시 노즐을 잡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파손 문제와, 상기 노즐(130)의 하단에 형성된 횡방향 관통 홀마다 연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노즐(130)의 배치 방향을 잡아주게 되므로 나선 체결된 노즐(130)의 회전을 방지하여 누수발생도 방지 가능하다.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클린룸 내부의 기류 방향을 조절하여 기화 가습 과정에서 기류에 의해 클린룸 중 상부 플래넘(plenum)에 설치된 빔(Beam) 등과 같은 장애물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연결부재(160)에 삽입되도록 상단은 종방향의 관 형태로 구비되며, 하단은 경사진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노즐(130)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부재(160)를 따라 이동시켜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가 노즐(130)의 사이마다 1개씩 대향되면서 각각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일예로,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노즐(130)의 사이마다 1개 이상씩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대향되면서 각각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기류의 굴절면이 면 형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곡면 형태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압축공기 발생부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노즐(13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압축공기 공급관(142)의 끝단이 상기 노즐(130)에 연결된다.
제어기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클린룸(도면에 미도시) 내에 설치된 온도 센서(도면에 미도시)의 온도 감지 및 가습량 감지 센서(도면에 미도시)의 가습량 감지를 통해 솔레노이드 밸브(150)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100)의 노즐(130) 개폐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정밀 제어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100)는 클린룸 내 가습 등이 요구되는 경우 작동하게 된다.
즉, 제어기의 제어를 통해 솔레노이드 밸브(150)에 전원을 인가하면 코일이 전자석이 되면서 연결구의 유동 통로를 폐쇄시키고 있던 플런저가 고정철심 측으로 이동되게 하면서 상기 연결구의 유동 통로를 개방시킨다.
다음으로, 연결구의 유동 통로가 개방되면, 분무수 탱크(140)와 연결되는 분무수 공급관(141)과, 압축공기 발생부와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관(142)을 통해 분무수와 압축공기가 노즐(130)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분무수는 분무수 탱크(140)에 저장된 수위가 낮으면 부레가 상승하면상기 부레에 연결된 밀봉부재를 하강시켜 분무수 주입관의 출구와 연결된 구멍이 개방되므로 공급되고, 수위가 적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부레가 하강하면서 이에 연결된 밀봉부재를 승강시켜 분무수 주입관의 출구와 연결된 구멍을 폐쇄하므로 공급이 중지된다.
여기서, 클린룸 내 기화 가습시 상부 플래넘에 빔 등과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경사진 기류 굴절면을 따라 기류 방향이 상기 장애물을 비켜가도록 기류 가이드 부재(170)를 설치하여 기화 과정에서 장애물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를 적용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를 적용한 상태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매니폴드(110)에 상면에 홈(110a)을 형성하고 상기 홈(110a)에 고정되는 방식이다.
이때,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길이가 매니폴드(110)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가 노즐(130)의 사이에서 매니폴드(110)에 상면마다 1개씩 대향되면서 각각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일예로,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노즐(130)의 사이마다 1개 이상씩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대향되면서 각각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매니폴드(110)에 상면에 홈(110a)을 형성하고 상기 홈(110a)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매니폴드(110)에 저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기류의 굴절면이 면 형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곡면 형태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매니폴드(110)에 결합하는 결합형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매니폴드(11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매니폴드(110)의 상면에 홈(110a)을 다수 형성 가능하는 경우, 해당 홈(110a)에 기류 가이드 부재(170)를 설치하여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의 미세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를 적용한 상태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연결부재(160)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단은 종방향의 관 형태로 구비되고, 하단은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어 노즐(130)의 사이에서 위치 조절과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즉,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연결부재(160)에 삽입되는 관 저면에 기류 방향을 조절 가능하도록 힌지에 의해 회전되는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노즐(130)의 사이에서 위치 조절을 하지 않더라도 각도 조절을 통해 상부 플래넘에 설치된 빔 등과 같은 장애물을 비켜가도록 기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면 형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곡면 형태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를 적용한 상태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매니폴드(110)에 상면에 홈(110a)을 형성하고 상기 홈(110a)에 하단이 고정되면서 상단은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어 노즐(130)의 사이에서 위치 조절과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길이가 매니폴드(110)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가 노즐(130)의 사이에서 매니폴드(110)에 상면마다 1개씩 대향되면서 각각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일예로,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노즐(130)의 사이마다 1개 이상씩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대향되면서 각각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매니폴드(110)에 상면에 홈(110a)을 형성하고 상기 홈(110a)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매니폴드(110)에 저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기류의 굴절면이 면 형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곡면 형태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매니폴드(110)에 결합하는 결합형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매니폴드(110)에 일체형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노즐(130)의 사이에서 위치 조절을 하지 않더라도 상부 플래넘에 설치된 빔 등과 같은 장애물을 비켜가도록 기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는 기류의 굴절면이 면 형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곡면 형태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매니폴드(110)의 상면에 홈(110a)을 다수 형성 가능하는 경우, 해당 홈(110a)에 기류 가이드 부재(170)를 설치하여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170)의 미세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에서 노즐의 회전 각도를 복수의 너트로 고정하는 상태가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는 매니폴드(110), 분무수 연결관(120a), 압축공기 연결관(120b), 노즐(130), 분무수 탱크, 솔레노이드 밸브, 노즐 각도 고정부 및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110), 분무수 연결관(120a), 압축공기 연결관(120b), 노즐(130), 분무수 탱크, 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어기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앞선 실시예에서 기류 가이드 부재를 통해 기류 방향을 조절하였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1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노즐(130)에서 연결부재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130)의 회전 방향을 조절한 후 노즐 각도 고정부에 의해 상기 노즐(130)의 회전 방향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노즐 각도 고정부는 복수의 너트(N1, N2)로 구성되며, 노즐(130)이 나선 체결되는 압축공기 연결관(120b)의 상단 나선에 복수의 너트(N1, N2)를 가체결시킨 후 상기 노즐(130)의 회전 각도가 결정되면 먼저 전방 너트(N1)를 상기 노즐(130)의 외벽에 밀착되게 체결시킨 상태에서 후방 너트(N2)를 상기 전방 너트(N1)의 대향면에 밀착되게 체결시킨다.
이렇게, 복수의 너트(N1, N2)에 의해 노즐(130)의 회전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앞선 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와 같이 또는 상기 앞선 실시예의 기류 가이드 부재 없이 단독으로 분무수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110: 매니폴드
120a: 분무수 연결관
120b: 압축공기 연결관
130: 노즐
140: 분무수 탱크
150: 솔레노이드 밸브
160: 연결부재
170: 기류 가이드 부재

Claims (6)

  1. 클린룸 내부를 수가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분무수 헤더와 압축공기 헤더가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매니폴드;
    상기 분무수 헤더 및 상기 압축공기 헤더와 연결되도록 상기 매니폴드 상에 다수 배치되어 분무수와 압축공기를 분사시키는 노즐;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매니폴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로 분무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분무수 헤더와 연결되는 분무수 탱크; 및
    상기 클린룸 내부의 기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기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는 상기 노즐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연결부재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는 상기 매니폴드에 상단 또는 하단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는 상기 매니폴드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구비되는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가이드 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각도가 조절되게 배치되거나, 상기 매니폴드에 상단 또는 하단에 각도가 조절되게 배치되는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회전 가능하여 각도 변경이 가능한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KR1020140153146A 2014-11-05 2014-11-05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KR10162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46A KR101623798B1 (ko) 2014-11-05 2014-11-05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46A KR101623798B1 (ko) 2014-11-05 2014-11-05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96A true KR20160053696A (ko) 2016-05-13
KR101623798B1 KR101623798B1 (ko) 2016-05-24

Family

ID=5602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146A KR101623798B1 (ko) 2014-11-05 2014-11-05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5221A (zh) * 2017-07-31 2017-12-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自清洁的控制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476B1 (ko) 2021-01-11 2023-03-22 (주)엘지에스코퍼레이션 공압식 가습기용 필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압식 가습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8132B2 (ja) 1999-03-29 2006-12-13 日立造船株式会社 排ガス脱硝システムのアンモニア注入装置
KR100989855B1 (ko) 2008-09-06 2010-10-29 (주)문명에이스 미세 수분사 노즐 가습기
JP2011185475A (ja) 2010-03-05 2011-09-22 Wonbang Tech Co Ltd クリーンルームの水噴霧加湿制御方法及び加湿制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5221A (zh) * 2017-07-31 2017-12-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自清洁的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798B1 (ko)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933B1 (ko) 크린룸내 직접분무식 기화가습장치
US20180317474A1 (en) Device for controlling pests in plant cultivation room
US20170246336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ffusing a dry mist
KR101623798B1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KR20160059145A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시스템
KR101509009B1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JP2013195015A (ja) ミスト装置
KR200482305Y1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KR101548636B1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KR20160053680A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시스템
KR20160114433A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CN212092928U (zh) 具有过滤结构的雾化设备
KR101594810B1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시스템
KR200477830Y1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KR101539583B1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KR101539578B1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KR100989855B1 (ko) 미세 수분사 노즐 가습기
CN105910213A (zh) 一种微雾加湿器
KR101632563B1 (ko) 덕트 수가습 장치
JP2018009449A (ja) トンネル内降温用噴霧システム
KR20160113921A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시스템
JP2005270856A (ja) 噴霧器、噴霧装置及び噴霧音低減方法
CN214703252U (zh) 试验装置
KR102067343B1 (ko) 자연 증발식 가습기의 물 공급장치
KR20160114435A (ko) 덕트 수가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