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300A -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300A
KR20160052300A KR1020140153788A KR20140153788A KR20160052300A KR 20160052300 A KR20160052300 A KR 20160052300A KR 1020140153788 A KR1020140153788 A KR 1020140153788A KR 20140153788 A KR20140153788 A KR 20140153788A KR 20160052300 A KR20160052300 A KR 20160052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wer supply
door
supply line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301B1 (ko
Inventor
윤삼걸
Original Assignee
윤삼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삼걸 filed Critical 윤삼걸
Priority to KR102014015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3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의 도어 측면에 결착되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의 배선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일측에 관통되는 홀(11)이 형성되고,상기 홀(11)에 내부가 관통된 연결구(30)를 삽입 구성하되 상기 도어(10)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안전장치(20)의 전원선(21)이 상기 연결구(30)에 삽입되되 차량의 내부로 전원선(21)의 끝부분이 위치되며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된 전력공급선(40)과 연결 구성되고, 상기 도어(10)의 외측에 전원선(21)을 덮어 보호하는 전원선커버(50)를 구성하고, 상기 전력공급선(40)의 외주에 구성되는 전력공급선커버(41)를 상기 연결구(30)의 외주에 선택적으로 끼움 또는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량의 뒤를 따르는 다른 차량들의 서행을 유도 또는 정차시키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차량 도어(10)의 열고 닫음에 전혀 상관없이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무엇보다 연결구(30)의 외측에서 전원선(21)을 넣은 후 전력공급선(40)과 결합함에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부여함은 물론, 전력공급선(40)을 보호하는 전력공급선커버(41)를 선택적으로 끼움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선(21)을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 및 기타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Vehicle drop-off safety device and wiring structure of a vehicle door}
본 발명은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용 안전장치의 전원선과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는 전력공급선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작업의 편리성과 고정력 및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이 통학하는 차량에는 버스(bus)나 미니밴(mini van) 등의 승합차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승합차량은 차량의 우측방향으로 승/하차 할 수 있도록 도어가 마련되는데, 후방에서 접근하던 또 다른 차량이나 오토바이 및 자전거를 식별하기가 쉽지 않아, 상기 통학차량에서 하차 중인 승객이 꼭 확인을 해야만 안전하게 하차가 가능했다. 또한 상기 통학차량에 동승한 승/하차 보조 인력이 없고, 어린이들만 탑승된 차량에서는 운전자가 후방 시야를 확보하고, 진입하는 차량이 없을 때 문을 열어주어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상기 통학차량은 작게는 7인승부터 크게는 45인승까지 그 부피가 커서, 후방에서 인접하여 뒤따르는 또 다른 차량의 시야확보가 어렵고, 사각지대에서 진입하는 차량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통학차량과 인도 사이에 진입하는 오토바이와 자전거 등의 이륜차는 인도와 차로 사이로 운행하기 때문에 이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됐다.
그러나 통상의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의 경우 대부분이 안전장치의 일측에 전력공급수단(배터리)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차량의 배터리와 배선으로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차량의 배터리와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보면 차량의 도어와 상기 도어가 접촉되는 부분 사이에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보니 잦은 도어의 열고 닫음으로 인해 배선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연결되는 배선이 노출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20-0186699(실) 통상의 각종 버스에 설치되어 개폐 작동실린더의 작동으로 개폐작동되는 하차문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스 하차문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스 하차문용 안전장치는 버스의 하차문 외측 공간 일측으로 고정되는 슬로트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는 하차문 개폐용 작동실린더와 연동할 수 있는 작동실린더를 설치하여 피스톤로드 단부를 케이싱내에 축핀에 의해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차단부재의 일단과 축핀으로 연결된 작동레버와 축핀으로 연결하며; 상기 작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차단부재가 케이싱의 슬로트를 통하여 각운동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개번호 10-2011-0016695 (특) 차량의 배면 양측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하차 승객에 대한 주의표시를 하는 경고판; 상기 경고판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에 대응하여 상기 경고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한 쌍의 모터와, 상기 모터와 경고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모터의 축 회전력을 상기 경고판에 단속적으로 전달하는 한 쌍의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유닛을 차량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며, 차량의 도어가 열리면 상기 모터에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경고판이 각각 차량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차량의 도어가 닫히면 상기 경고판은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등록번호 20-0234021 (실) 일면에 경고문구가 배시되는 안전표시판이 일단에 결합된 차단바아의 타단을 터닝모터의 모터축에 축설하여 이를 승합차량의 후방저부에 설치하는 한편, 상기 터닝모터를 측면도어의 콘트롤러와 연결하여 측면도어의 개폐와 동시에 상기 차단바아가 일측으로 회동되어 승합차량과 보도블럭 사이의 통로를 차단하여 오토바이 등의 진입을 저지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등록번호 10-0840754 (특)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 및 차량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팽창하여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풍선형태의 하차경고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대체적으로 차량의 뒤를 따르는 다른 차량들의 서행을 유도 또는 정차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에 관한 기술들로써, 안전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의 연결 구조를 통해 도어의 열고 닫음에 전혀 무관하게 작동 할 수 있도록 하는 설명에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외측에 별도의 전력공급수단(배터리)이 구성되어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가 작동되고 있어 잦은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함으로써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외부에 별도의 전력공급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보니 언제 어떻게 배터리가 소모되어 작동되지 않을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가 모두 소모될 경우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고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될 수 하되,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연결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도어 일측에 관통되는 홀을 구성하고 상기 홀에 내부 양측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연결구를 끼워 고정 구성하되, 차량의 도어 외측에 결착되는 승하차 안전장치의 전원선을 외부에서 삽입시켜 차량의 내부에 끝부분이 위치되게 하고, 도어의 외측에 상기 전원선을 덮을 수 있게 전원선커버를 구성하여 전원선의 훼손을 방지 하며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된 전력공급선을 상기 전원선과 연결 구성하고 상기 전력공급선을 보호하는 전력공급선커버를 상기 연결구의 외주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연결구로 전원선을 손쉽게 삽입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공급선커버를 연결구의 외주에 선택적으로 끼움 또는 분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차량의 도어 측면에 결착되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의 배선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일측에 관통되는 홀(11)이 형성되고, 상기 홀(11)에 내부가 관통된 연결구(30)를 삽입 구성하되 상기 도어(10)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안전장치(20)의 전원선(21)이 상기 연결구(30)에 삽입되되 차량의 내부로 전원선(21)의 끝부분이 위치되며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된 전력공급선(40)과 연결 구성되고, 상기 도어(10)의 외측에 전원선(21)을 덮어 보호하는 전원선커버(50)를 구성하고, 상기 전력공급선(40)의 외주에 구성되는 전력공급선커버(41)를 상기 연결구(30)의 외주에 선택적으로 끼움 또는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는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뒤를 따르는 다른 차량들의 서행을 유도 또는 정차시키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차량 도어의 열고 닫음에 전혀 상관없이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무엇보다 연결구의 외측에서 전원선을 넣은 후 전력공급선과 결합함에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부여함은 물론, 전력공급선을 보호하는 전력공급선커버를 선택적으로 끼움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선을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 및 기타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구와 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구에 전원선을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전원선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전원선과 전력공급선을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전력공급커버를 연결구에 끼운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장치의 전원선과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는 전력공급선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작업의 편리성과 고정력 및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차량의 도어 측면에 결착되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의 배선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일측에 관통되는 홀(11)이 형성되고, 상기 홀(11)에 내부가 관통된 연결구(30)를 삽입 구성하되 상기 도어(10)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안전장치(20)의 전원선(21)이 상기 연결구(30)에 삽입되되 차량의 내부로 전원선(21)의 끝부분이 위치되며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된 전력공급선(40)과 연결 구성되고, 상기 도어(10)의 외측에 전원선(21)을 덮어 보호하는 전원선커버(50)를 구성하고, 상기 전력공급선(40)의 외주에 구성되는 전력공급선커버(41)를 상기 연결구(30)의 외주에 선택적으로 끼움 또는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차량의 도어(10) 일측에 관통되는 홀(11)을 형성하여 상기 홀(11)에 양측이 관통된 형태의 연결구(30)를 삽입 구성하여 차량의 외측에서 승하차 안잔장치(2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전원선(21)을 삽입하여 삽입된 반대 방향(차량의 내측)에 상기 전원선(21)의 끝부분이 위치되도록 하고, 차량의 내부에서 차량의 배터리 또는 기타 전력공급수단과 연결된 전력공급선(40)을 상기 전원선(21)과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에 의해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0)의 열고 닫음에 있어서 전원선(21) 또는 전력공급선(40)이 도어(10)와 문틀 사이에 집혀서 훼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선(21)을 보호할 수 있게 차량의 측면에 상기 전원선(21)을 덮는 전원선커버(21)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력공급선(4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전력공급선(40)을 감싸는 전력공급선커버(41)를 상기 연결구(30)의 외주에 끼워 고정하되 선택적으로 끼움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되어 혹시 모를 전원선(21)과 전력공급선(40)의 이상유무에 따라 상기 전력공급선커버(41)를 선택적으로 분리시켜 발생하는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 전원선과 전력공급선의 연결되는 구조를 보면 대체적으로 차량의 도어와 문틀 사이틈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공급선을 별도로 보호하는 선이 있거나 정리되지 않아 운전자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운전자가 움직임에 있어 자칫 전력공급선과 걸려 전원선과 전력공급선이 단락되거나, 잦은 도어의 열고 닫음으로 문틈과 도어에 의해 단락되는 문제점 들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연결구(30)와 전력공급선커버(41)를 통해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차량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원선(21)과 차량의 내부의 배터리와 연결된 전력공급선(40)을 상호 연결 구성함에 있어서 작업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력공급선(40)을 보호하는 전력공급선커버(41)를 선택적으로 연결구(30)의 외주에 끼움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기타 문제가 발생할 경우 손쉽게 전력공급선커버(41)를 분리시켜 작업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되, 외주 일측에 홀(11)에 삽입되어 삽입된 반대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턱(32)이 구성되고, 외주 타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다수의 걸림턱(31)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31)이 형성된 부분이 홀(11)에 끼워져 차량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하기될 전력공급선커버(41)를 상기 걸림턱(31)의 외측으로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전력공급선(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게 되면서도, 상기 전원선(21)과 전력공급선(40)을 상호 연결 구성함에 있어 상기 전원선(21)을 차량의 내부로 안전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면서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상기 걸림턱(31)이 다수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결구(30)에 끼워지되 걸림턱(31)에 걸림되는 전력공급선커버(41)가 혹시 모를 외력에 의해 당겨진다 하더라도 쉽게 빠지지 않게 되어 전력공급선(40)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구(3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31)이 구성되는 타측의 끝단부에 도어(10)의 홀(11)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고정턱(32)이 구성되어 상기 홀(11)에 삽입될 시 삽입되는 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차량의 외측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걸림턱(31)의 외주에 끼워진 전력공급선커버(41)를 끼움 또는 분리함에 있어서 차량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당겨지거나 밀리지 않고 도어(10)의 홀(11)에 끼워진 원래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원선커버(5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선(21)이 위치되는 도어(10)의 측면에 부착 또는 결착 구성하되 상기 전원선(21)과 맞닿지 않게 중앙부가 일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커버(50)는 전원선(21)을 보호하면서도 상기 전원선(21)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게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선커버(50)가 전원선(21)을 보호하면서도 도어(10)에 형성된 홀(11)까지 덮어 보호하기 때문에 악천후 시 빗물이 홀(11)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동시에 방지 하여 합선 등의 문제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전원선(21)은 승하차 안전장치(20)가 차량의 외측에 결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안전장치(20)와 연결되는 전원선(21)은 외측에서 상기 연결구(20)의 내부를 통해 차량의 내부로 인입되게 되는데, 안전장치(20)에서 연결구(20)로 인입되기 전까지의 전원선(21)들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데, 기타 외부요인으로부터 상기 전원선(21)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차량의 외측에 전원선(21)을 그대로 덮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선커버(50)는 차량의 측면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탈부착 가능토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통상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배선 연결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면, 연결구(30)의 구성을 통해 도어(10)의 내측으로 안전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원선(21)을 보호하고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선(21)을 전원선커버(50)로 덮어 외부 요인으로부터 전원선(21)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안전성 경제적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뒤를 따르는 다른 차량들의 서행을 유도 또는 정차시키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차량 도어(10)의 열고 닫음에 전혀 상관없이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무엇보다 연결구(30)의 외측에서 전원선(21)을 넣은 후 전력공급선(40)과 결합함에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부여함은 물론, 전력공급선(40)을 보호하는 전력공급선커버(41)를 선택적으로 끼움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선(21)을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 및 기타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도어 11 : 홀
20 : 안전장치 21 : 전원선
30 : 연결구 31 : 걸림턱 32 : 고정턱
40 : 전력공급선 41 : 전력공급선커버 50 : 전원선커버

Claims (2)

  1. 차량의 도어 측면에 결착되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의 배선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일측에 관통되는 홀(11)이 형성되고,
    상기 홀(11)에 내부가 관통된 연결구(30)를 삽입 구성하되 상기 도어(10)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안전장치(20)의 전원선(21)이 상기 연결구(30)에 삽입되되 차량의 내부로 전원선(21)의 끝부분이 위치되며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된 전력공급선(40)과 연결 구성되고,
    상기 도어(10)의 외측에 전원선(21)을 덮어 보호하는 전원선커버(50)가 구성되며 상기 전력공급선(40)의 외주에 구성되는 전력공급선커버(41)를 상기 연결구(30)의 외주에 선택적으로 끼움 또는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는 외주 일측에 홀(11)에 삽입되어 삽입된 반대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턱(32)이 구성되고, 외주 타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다수의 걸림턱(31)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31)이 형성된 부분이 홀(11)에 끼워져 차량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전력공급선커버(41)가 상기 걸림턱(31)을 감싸며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
KR1020140153788A 2014-11-04 2014-11-04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 KR101625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788A KR101625301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788A KR101625301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300A true KR20160052300A (ko) 2016-05-12
KR101625301B1 KR101625301B1 (ko) 2016-06-07

Family

ID=5602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788A KR101625301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10U (ko) 2019-03-28 2020-10-0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 문을 열 때의 안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5437U (ko) * 1979-08-27 1981-04-06
JPS61171652U (ko) * 1985-04-15 1986-10-24
JPH0423548U (ko) * 1990-04-25 1992-02-26
JP2002137639A (ja) * 2000-10-30 2002-05-14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ドアの防水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5437U (ko) * 1979-08-27 1981-04-06
JPS61171652U (ko) * 1985-04-15 1986-10-24
JPH0423548U (ko) * 1990-04-25 1992-02-26
JP2002137639A (ja) * 2000-10-30 2002-05-14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ドアの防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301B1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3336B2 (ja) 充電ポート構造
CN104960470A (zh) 一种用于消除开启车门引发事故的自动防护系统
CN104085348B (zh) 车门保护装置
KR101625301B1 (ko)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
WO2015105281A1 (ko) 중장비 타이어 돌제거장치
JP2008024199A (ja) スペアタイヤ取付構造
RU2655987C2 (ru) Автомобиль, снабженный подключаемым заряд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ITTO20110172A1 (it) Dispositivo di sollevamento e abbassamento della ruota di scorta di un veicolo.
KR20150015051A (ko) 비상 전원 공급이 가능한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KR20120133893A (ko) 차량용 자동 개폐형 후방카메라 보호커버 모듈
KR102009792B1 (ko) 차량 안전 삼각대
JP2014058845A (ja) 充電ポート構造
KR20150146268A (ko)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BRMU9102936U2 (pt) dispositivo elÉtrico para movimentaÇço de estepe veicular
CN205530368U (zh) 一种电缆防盗井盖
KR101666274B1 (ko) 차량에 결착되는 승하차 안전장치용 구동장치 및 그 구동장치가 구성된 안전장치
JP2017537030A (ja) ワンタッチ安全三角表示板
CN206031197U (zh) 自动式机动车驻车三角警示灯装置
CN102700477A (zh) 一种汽车牌照防盗装置
KR20160044076A (ko) 버스용 보조 노선 안내장치
CN206437162U (zh) 一种电动车防误操作安全控制系统
CN201882004U (zh) 公交车驾驶室安全防护板
CN201363009Y (zh) 一种摩托车防盗锁
CN210191692U (zh) 全封闭安全防盗锁车总成
KR20150085452A (ko)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