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378A -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1378A KR20160051378A KR1020140151282A KR20140151282A KR20160051378A KR 20160051378 A KR20160051378 A KR 20160051378A KR 1020140151282 A KR1020140151282 A KR 1020140151282A KR 20140151282 A KR20140151282 A KR 20140151282A KR 20160051378 A KR20160051378 A KR 201600513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onic liquid
- layer
- organic material
- battery
- electrode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08 ionic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6
- 238000000859 subli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0000008022 subli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29910052613 tourmal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11032 tourmal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29940070527 tourmali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3197 cataly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SZVJSHCCFOBDDC-UHFFFAOYSA-N iron(II,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Fe]=O SZVJSHCCFOBDD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852 carbon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082 metal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3377 silico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6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2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2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1 CIG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WRTMQOHKMFDUKX-UHFFFAOYSA-N triiodide Chemical compound I[I-]I WRTMQOHKMFDU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1953 re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0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compound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3014 purifi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ZXMGHDIOOHOAAE-UHFFFAOYSA-N 1,1,1-trifluoro-n-(trifluoromethylsulfonyl)methanesulfonamide Chemical compound FC(F)(F)S(=O)(=O)NS(=O)(=O)C(F)(F)F ZXMGHDIOOHOA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IQQRAVYLUAZUGX-UHFFFAOYSA-N 1-butyl-3-methylimidazolium Chemical compound CCCCN1C=C[N+](C)=C1 IQQRAVYLUAZU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33 polyvinylidene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UPHOULIZUERAE-UHFFFAOYSA-N 3-(oxolan-2-yl)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1CCCO1 WUPHOULIZUER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1 Diallyl-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44 PEDOT:PS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09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28 Polyvinylidene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KJTLSVCANCCWHF-UHFFFAOYSA-N Ruthenium Chemical compound [Ru] KJTLSVCANCCWH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6404 Sn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LRESCJAINPKJTO-UHFFFAOYSA-N bis(trifluoromethylsulfonyl)azanide;1-ethyl-3-methylimidazol-3-ium Chemical compound CCN1C=C[N+](C)=C1.FC(F)(F)S(=O)(=O)[N-]S(=O)(=O)C(F)(F)F LRESCJAINPKJT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80 cadmium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81 excite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67 poly(styrenesulfonate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67 polyanil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30 polya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80 polyphen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970 polystyrene sulf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796 polystyrene sulfon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7 ruth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061 vacuum subli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LOIBXBUXWRVJCF-UHFFFAOYSA-N 4-(4-aminophenyl)-3-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CC(N)=CC=C1C1=CC=C(N)C=C1C1=CC=CC=C1 LOIBXBUXWRVJC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2266 Poly(ether sulfone) P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07 Ure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62 absorption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56 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91 aromat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UDWYFHPNIMBFC-UHFFFAOYSA-N bis(prop-2-enyl) benzene-1,2-di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C=C1C(=O)OCC=C QUDWYFHPNIMBF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9 carrier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93 charged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678 ethenylene group Chemical group [H]C([*:1])=C([H])[*:2]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38 eth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79 heat-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4 in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92 inorgan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NDPGZBMCMUPRI-UHFFFAOYSA-N iodine Chemical compound II PNDPGZBMCMUP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0 luminiscence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4 ne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KAOGPIIYCISHV-UHFFFAOYSA-N neon atom Chemical compound [Ne] GKAOGPIIYCIS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0 oxygen atom Chemical group O*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LIUAWYAILUBJU-UHFFFAOYSA-N pentac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3=CC4=CC5=CC=CC=C5C=C4C=C3C=C21 SLIUAWYAILUBJ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EQIEDJGQAUEQZ-UHFFFAOYSA-N phthalocyanine Chemical class N1C(N=C2C3=CC=CC=C3C(N=C3C4=CC=CC=C4C(=N4)N3)=N2)=C(C=CC=C2)C2=C1N=C1C2=CC=CC=C2C4=N1 IEQIEDJGQAUE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3 phys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58 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KEYFWRCBNTPAC-UHFFFAOYSA-L terephthalate(2-)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77 thioph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05 unsaturated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71 vacuum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07 work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전지는,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층; 상기 하부 전극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s)층; 상기 이온성 액체층의 상측에 형성됨과 더불어 염료가 흡착되는 다공질층; 상기 다공질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층; 및, 상기 상부 전극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물질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을 이용하여, 이들의 변화로 방출되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화학반응을 이용한 전지를 화학전지, 물리반응을 이용한 전지를 물리전지라 하며, 일반적으로 화학전지가 더 보편적이다.
화학전지는 1차 전지와 2차 전지로 나눌 수 있다. 1차 전지는 작용물질을 전극 가까이에 미리 넣어 두고, 이 물질의 화학변화에 의해 생기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한다.
작용물질의 화학변화가 끝나면 수명이 다하여 재생할 수 없고, 건전지로 널리 사용된다.
2차 전지는 전기에너지를 방출하여 작용물질이 변화한 후에도 다시 전지에 전기에너지를 공급, 즉 충전하면 작용물질이 재생되어 이를 되풀이할 수 있어, 축전지로 많이 사용된다.
물리전지에는 태양전지, 열 전지 등이 있으며, 태양전지는 태양빛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반도체 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청정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데 대한 관심도 크게 증가되고 있다.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소자를 통상 솔라셀 또는 태양전지로서 칭하고 있다. 태양전지는 그 동작 방식에 따라 크게 실리콘 태양전지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저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태양전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가 환경친화적이며, 태양전지의 제조시에 CO2의 배출량이 적기 때문에 차세대 태양전지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경우에는 염료 분자가 흡수하는 파장의 광만이 광전변환에 이용되게 되는데, 염료 분자는 일반적인 실리콘의 흡수 스펙트럼에 비하여 적생 파장에서 현저히 낮은 흡수율을 보이기 때문에 실리콘을 사용하는 태양전지에 비하여 광전변환 효율이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전지는,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층; 상기 하부 전극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s)층; 상기 이온성 액체층의 상측에 형성됨과 더불어 염료가 흡착되는 다공질층; 상기 다공질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층; 및, 상기 상부 전극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성 액체층에 금속 나노입자 또는 탄소 나노입자가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성 액체층은, 유기소재 원료를 수용하는 도가니를 유기소재 원료의 승화점까지 가열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발생한 유기소재 원료의 승화기체가 상기 이온성 액체에 증착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승화기체가 상기 이온성 액체에서 재결정화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상기 이온성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이온성 액체의 용해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이온성 액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예와 관련된 전지는, 제 1 전지와 제 2 전지의 적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지는 상기 제 2 전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지는 상기 제 2 전지의 상부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층과 상기 하부 전극층상에 형성되는 촉매금속층, 상기 촉매금속층 상에 형성되는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s)층, 상기 이온성 액체층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염료가 흡착되는 다공질층, 상기 다공질층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층 및 상기 상부 전극층 상에 형성되는 상부 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금속층이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금속층에 철,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지는 염료감응형, 실리콘, 화합물, CIGS, 염료감응형, 유기물 태양전지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지와 제 2 전지는 서로 다른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광을 흡수하여 광전변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은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은 철,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성 액체층은, 유기소재 원료를 수용하는 도가니를 유기소재 원료의 승화점까지 가열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발생한 유기소재 원료의 승화기체가 상기 이온성 액체에 증착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승화기체가 상기 이온성 액체에서 재결정화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상기 이온성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이온성 액체의 용해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이온성 액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와 관련된 전지는, 제 1 전지; 상기 제 1 전지의 제 1 상부 기판상에 형성되는 제 2 전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상부 기판은 실리콘 수지 또는 유기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전지는, 상기 제1 상부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층, 상기 하부 전극층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촉매금속층, 상기 촉매금속층 상에 형성되는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s)층, 상기 이온성 액체층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염료가 흡착되는 다공질층, 상기 다공질층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층 및 상기 상부 전극층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실리콘 또는 유기물로 구성되는 제 2 상부 기판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지는 염료감응형, 실리콘, 화합물, CIGS, 염료감응형, 유기물 태양전지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지와 제 2 전지는 서로 다른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광을 흡수하여 광전변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금속층에 철,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은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성 액체층은, 유기소재 원료를 수용하는 도가니를 유기소재 원료의 승화점까지 가열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발생한 유기소재 원료의 승화기체가 상기 이온성 액체에 증착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승화기체가 상기 이온성 액체에서 재결정화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상기 이온성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이온성 액체의 용해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이온성 액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장치를 이용한 정제방법에 대한 흐름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적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적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적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적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1 태양전지(10)의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제1 태양전지(10)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서 제1 태양전지(10)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제2 태양전지(20)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장치를 이용한 정제방법에 대한 흐름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적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적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적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적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1 태양전지(10)의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제1 태양전지(10)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서 제1 태양전지(10)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제2 태양전지(20)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s)는 유기 및 무기 화합물에 훌륭한 용해도를 나타내는 낮은 융해점, 무증기압, 높은 열 안전성을 지닌 유기성 염이다.
상기 특성으로 인해 이온성 액체(ILs)는 바이오텍 산업, 의약 및 화학 산업, 신소재 나노융합 분야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온성 액체는 필터로 활용되어 유기소재를 정제하는 방법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이를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표시장치를 통해 설명한다.
최근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표시장치가 차세대 표시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그 이유는 무기 LED가 요구하는 높은 구동전압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자기발광, 박막, 빠른 응답속도, 넓은 시야각 등의 장점과 다양한 유기화합물로 인해 다색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OLED는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들뜬 상태로 있는 여기자(exciton)를 생성하고, 생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을 갖는 빛을 발광하는 소자를 일컫는다.
OLED는 유리 등의 투명기판(Glass)상에 양극(Anode),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유기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및 음극(Cathode) 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적층구조로 구성된다.
OLED을 제작함에 있어서는 발광 및 전하수송을 위한 유기물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유기물은 전자와 정공의 주입뿐만 아니라 주입된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직접 관여하기 때문에, 유기물의 순도는 OLED의 칼라, 발광효율 및 수명을 좌우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즉, 유기물 내의 소량의 불순물은 주입된 전하의 소멸 확률을 증대시켜,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 확률을 낮추어 발광효율의 저하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불순물 첨가로 인한 새로운 에너지 레벨이 형성되어 발광색의 순도 저하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고휘도, 고효율, 장수명의 전계발광소자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계발광소자 구조의 최적화와, 정공(혹은 전자) 주입 및 수송특성이 우수한 신재료의 개발, 및 유기 발광층용 새로운 재료개발과 더불어 OLED용 유기물의 순도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OLED용 유기물을 정제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용매를 사용한 재결정 또는 승화에 의한 재결정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승화에 의한 재결정 방법은 진공하에서 유기재료가 승화되어 재결정되므로, 불순물이 들어가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통상적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유기재료의 정제 방법으로는 승화 정제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승화(sublimate)는 상평형도에서 3중점 이하의 온도와 압력에서 발생하는 기체-고체상의 전이현상을 지칭한다. 상압에서 가열하면 열분해되는 물질이라 할지라도 1중점 이하의 낮은 압력에서는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도 분해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온도 기울기의 제어가 가능한 승화 장치 내에서, 혼합된 물질을 가열하여 물질이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승화점이 다른 불순물과 분리하는 조작을 진공 승화법(vacuum sublimation method)이라 한다. 이러한 진공 승화법은 순수한 물리적인 방법으로 보조 시약의 사용이나 그 이외의 화학적 방법에 의하지 않기 때문에, 시료의 오염이 없고 분리율이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OLED용 유기소재의 정제에 유용한 방법이다.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OLED용 유기소재의 정제 방법은 연속 승화 (train sublimation)정제법이다. 이 방법은 중공형인 긴 관의 끝부분에 정제 대상 소재를 위치시키고, 진공펌프를 이용해 관 내부를 진공시킨 상태에서 히터로 관을 가열해 관 전체에 걸쳐 온도 기울기를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분리하고자 하는 소재와 불순물의 승화점 차이에 기인한 재결정 위치의 차이를 이용해 소재를 분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온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진공도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제장치를 구성하는 소재와 반응하지 않는 질소 또는 불활성기체를 유동시켜 유기소재의 기체를 운반하는 운송기체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운송기체는 유기소재의 기체를 원활하게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기소재 원료는 도가니 내에 담기고, 도가니는 제2 석영 유리관 내의 일측에 배치된다. 한편, 제2 석영 유리관의 외측은 제1 석영 유리관이 감싸고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도가니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양 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 석영관의 양 단부에 끼워 맞추어지며, 스테인리스 스틸 재료로 구성되며 구멍을 갖는 한 쌍의 뚜껑을 갖도록 구성된다.
히터는 제1 석영 유리관의 일측을 둘러싸듯이 설치된다. 이때, 히터는 도가니가 위치하는 대응 위치에 설치된다. 진공펌프는 제2 석영 유리관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2 석영 유리관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승화 정제장치는, 우선 진공펌프를 이용해 제2 석영 유리관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소량의 운송기체를 진공펌프가 설치된 제2 석영 유리관의 전체에 흘려주어 미세한 압력 기울기를 형성한다. 그리고, 히터(250)를 이용해 온도를 서서히 올리면 제2 석영 유리관의 전체에 걸쳐서 온도 기울기가 형성되는데, 이때 형성되는 온도 분포는 정규 분포 곡선의 모양을 나타낸다.
한편, 도가니의 온도가 그 안에 담긴 정제 대상인 유기소재 원료의 승화점보다 높아지면 소재는 승화되기 시작하며, 이때 형성된 기체 분자는 도가니의 외부로 나온 뒤에 압력 기울기에 의해 진공펌프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유기소재 원료보다 승화점이 높은 불순물은 도가니의 내부에 잔류한다.
진공펌프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체 분자는, 승화점 이하의 온도를 가진 제2 석영 유리관의 구간에서 다시 고체상으로 전이되어, 제2 석영 유리관의 내측 표면에 결정 상태로 맺힌다.
한편, 일정시간이 경과하고 나면 가열을 멈추고 서서히 냉각시켜서 상온과 같아지면 제2 석영 유리관을 해체해 결정 상태의 정제소재를 긁어내서 회수한다.
그런데, OLED에 사용되는 유기소재(정제소재)는 불순물 함유량이 극히 적은 고순도 상태여야 하므로 단 한번의 정제로는 필요한 순도의 소재를 얻기 어렵다.
다시 말해서, 승화 정제법의 경우 유기소재의 승화점 차이를 이용해 원료물질을 순도가 높은 유기물질로 정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정제과정이 승화-응축을 반복하는 과정 중에 유기물질의 상당량이 불활성기체와 함께 배기로 소실되므로, 출발물질 대비 최종 정제물질의 수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정제공정에서 소비되는 에너지가 많고, 이는 최종적으로 유기물질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진공 중에서도 안정된 이온성 액체를 필터로 활용하여 OLED용 유기소재를 간편하게 대량으로 정제 생산할 수 있는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정제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이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정제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유기소재 정제장치(300)는 불순물이 함유된 OLED용 유기소재 원료를 가열하여 승화시키는 진공분위기의 승화수단과, 승화된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이온성 액체 안으로 혼입시켜 이온성 액체 안에서 재결정화시키는 진공분위기의 재결정화수단, 및 승화수단과 재결정화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승화수단은 유기소재 원료(311)를 수용하는 도가니(310)와, 도가니(310)가 설치되며 일정 내부 용적을 갖는 가열챔버(320)와, 가열챔버(32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펌프(350)와, 도가니(310)를 가열하는 제1 히터(312), 및 가열챔버(320)의 일측에 연결되어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는 불활성 기체공급원(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재결정화수단은 이온성 액체(341)를 수용한 저장조(340)와, 일측이 가열챔버(320)의 내부와 연통하고 타측이 저장조(340) 내의 이온성 액체(341)에 침지되는 연결도관(330)과, 저장조(34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상기 진공펌프(350), 및 저장조(340)의 이온성 액체(341) 위에 수집된 기체를 저장조(340)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펌프(3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가열챔버(320)와 저장조(340)는 상측에서 서로 연결되며, 그 연결부위에 진공펌프(3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진공펌프(350)의 연결라인에는 가열챔버(320) 및 저장조(340)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밸브(351, 352)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저장조(340)의 상부 쪽에는 유기소재의 정제에 사용된 이온성 액체(341)를 정제 공정을 거쳐 재활용할 수 있도록 수집하는 이온성 액체 수집부(370)를 더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341)로는 화학식 1의 1-부틸-3-메틸리미다조리움 비스(트리플루오르메틸 술포닐)이미드(1-Butyl-3-methylimidazorium bis(trifluoromethyl sulfonyl)imide)(BMIM TFSI)를 이용하거나, 화학식 2의 1-옥틸-3-메틸리미다조리움 비스(트리플루오르메틸 술포닐)이미드(1-Octyl-3-methylimidazorium bis(trifluoromethyl sulfonyl)imide)(OMIM TFSI)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1-에틸-3-메틸리미다조리움 비스(트리플루오르메틸 술포닐)이미드(1-Etyl-3-methylimidazorium bis(trifluoromethyl sulfonyl)imide)(EMIMTFSI)를 이용할 수도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와 같은 이온성 액체(BMIM TFSI, OMIM TFSI, EMIM TFSI)는 비휘발성 유기용매로서 이온성 액체 내에서 유기(organic)물질과 불순물이 용해-재결정화를 수 없이 반복하는 과정에서 과포화도에 더 빨리 도달하는 유기소재가 우선 재결정화되는 메커니즘으로 인해 다양한 유기소재를 정제 및 재결정화 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BMIM TFSI, OMIM TFSI, EMIM TFSI는 저융점(low melting point), 저증기압(low vapor pressure), 불연성(nonflammable), 유기분자이온의 구성(consist of organic molecular ions), 음-양이온간 조합비율의 조절성질(controllable properties by combinations of anions and cations)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는 유기소재를 정제 및 재결정화를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100~120℃, 107 Torr에서도 액체상으로 안정하여 진공 공정에서도 용매로 이용이 가능하다.
한편, 이 실시예에 따른 유기소재 원료(311)로는 정공 수송층(HTL) 재료로 쓰이는 NPB(N,N'-bis(naphthalen-1-yl)-N,N'-bis(phenyl)-benzidine)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NPB는 승화점이 180℃ 이상이다. 따라서, 가열챔버(320) 내의 도가니(310)를 200℃ 이상으로 가열시키면 승화된다.
한편, OLED 소자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증착물질(유기소재 원료)은 상기와 같은 물질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발명은 이러한 여러 종류의 유기소재를 원료로 이용할 수가 있다.
도가니(310)는 가열챔버(320)의 바닥 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 쪽에 제1 히터(312)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가니(310)는 그 내부에 정제대상의 유기소재 원료(311)를 담을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연결도관(330)은 그 일측이 가열챔버(32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저장조(340)의 상부를 통해 연장하여 이온성 액체(341)의 내부에 침지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연결도관(330)의 주위에는 연결도관(330)을 가열하는 제2 히터(33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히터(331)는 후술할 혼합기체가 연결도관(330)을 통해 이온성 액체(341) 안으로 혼입되는 과정에서, 혼합 승화기체(313)가 승화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도관(330) 주위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저장조(340)의 하부에는 제3 히터(342)가 추가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히터(342)는 이온성 액체(341)를 가열하여 혼합 승화기체(313)가 이온성 액체(341)에 용해되는 용해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저장조(340)의 상부 쪽에는 배출펌프(35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배출펌프(353)의 설치라인에는 밸브(354)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조(340)의 상부 쪽에는 이온성 액체 수집부(3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온성 액체 수집부(370)는 유기소재의 정제에 사용된 이온성 액체(341)를 증발시켜 불순물과 용해된 유기소재와 분리정제 공정을 거쳐 재활용할 수 있도록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저장조(340)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곡면 형태를 갖는 수집판(371)과, 저장조(34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수집판(371)에 의해 수집되는 이온성 액체를 모으는 수집통(372)을 갖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유기소재 정제장치를 이용해 유기소재를 정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장치를 이용한 정제방법에 대한 흐름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가열챔버(320)의 내부에 유기소재 원료(311)가 담긴 도가니(310)를 설치하고, 저장조(340)에 이온성 액체(341)를 적당량 주입한 후, 진공펌프(350)를 이용해 가열챔버(320)와 저장조(340)를 진공화시킨다. 그런 다음, 제1 히터(312)를 이용해 도가니(310)를 유기소재의 승화점까지 가열시킨다.
그러면, 유기소재와 일부 불순물이 혼합된 유기소재의 혼합 승화기체(313)가 된다(S410).
이 상태에서 불활성 기체공급원(360)에서 가열챔버(320)의 내부로 불활성 기체를 공급한다. 이때, 불활성 기체로는 진공도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기소재 정제장치(300)를 구성하는 소재와 반응하지 않는 질소 또는 아르곤 가스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불활성 기체는 혼합 승화기체(313)를 저장조(340) 내의 이온성 액체(341) 안으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혼합 승화기체(313)와 혼합되어 혼합기체가 된다(S420).
이렇게 형성된 혼합기체는 가열챔버(320) 내부에서의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연결도관(330)을 통해 이온성 액체(341) 안으로 혼입되어 기포를 형성한다(S430). 한편, 혼합기체가 연결도관(330)을 통해 이온성 액체(341) 안으로 혼입되는 과정에서, 연결도관(330)의 주위에 설치된 제2 히터(331)가 연결도관(330)의 주위를 가열함에 따라 혼합 승화기체(313)가 승화점을 유지한 상태로 이온성 액체(341) 안으로 혼입될 수 있다.
한편, 이온성 액체(341)에 혼입된 혼합기체는 기포를 형성하면서 기포 안의 혼합 승화기체(313)가 이온성 액체(341)에 용해되고, 불활성 기체는 이온성 액체(341)에 용해되지 않은 채 이온성 액체(341)의 밖으로 떠올라 저장조(340)의 상부에 수집된다. 이렇게 저장조(340)의 상부에 수집된 불활성 기체는 배출펌프(353)에 의해 저장조(340) 밖으로 배출되어 회수된다(S440). 한편, 저장조(340) 밖으로 배출되어 회수된 불활성 기체는 불활성 기체 리턴수단을 통해 불활성 기체공급원(360)으로 리턴되어 재활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불활성 기체 리턴수단은 일반적인 펌프 등을 이용해 구성하면 된다.
이온성 액체(341)에 혼합 승화기체(313)가 용해될 때 불순물 대비 정제대상의 유기소재의 함량이 절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유기소재가 우선 과포화상태에 이르러 재결정화가 먼저 시작되어 고순도의 정제소재(343)로 석출된다(S450). 이때, 저장조(34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3 히터(342)를 이용해 혼합 승화기체(313)가 이온성 액체(341)에 용해되는 용해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그로 인해, 혼합 승화기체(313)에 대한 이온성 액체(341)의 용해도를 조절하여 이온성 액체(341) 내에서 유기소재의 과포화도 및 유기소재의 재결정화 속도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재결정화되는 과정에서 불순물의 혼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렇게 이온성 액체(341) 내에 석출되는 고순도의 정제소재(343)는 가열챔버(320)로부터 적절히 회수하면 된다. 예를 들어, 저장조(340)의 일측에 개폐구를 형성해 그 곳을 통해 정제소재(343)를 회수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이온성 액체(341) 내에 석출되는 고순도의 정제소재(343)가 회수되고 나면, 이온성 액체(341) 내에서는 혼합기체 내에 포함되어 있던 과포화도에 이르기까지 용해된 유기소재와 소량의 불순물이 일부 잔류하게 된다. 또한, 정제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이온성 액체(341) 내의 불순물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일정 시점에서는 불순물 성분 또한 과포화도에 다다르게 되어 재결정화된 유기소재 내에 불순물의 혼입이 발생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 정제공정을 위한 이온성 액체를 고순도의 이온성 액체로 교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해된 유기소재 및 불순물은 이온성 액체와 비교하여 그 증발온도가 서로 다르다. 즉, 이온성 액체의 증발온도가 유기소재 및 불순물에 비해 낮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이온성 액체 성분을 따로 분리 정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3 히터(342)를 이온성 액체의 증발온도로 설정해 가열시키면, 이온성 액체는 증발해 이온성 액체 수집부(370)의 수집판(371)을 거쳐 수집통(372)에 회수되고 고농축된 유기소재 및 불순물만 잔류하게 된다. 이렇게 잔류하는 고농축된 유기소재 및 불순물은 별도로 수거 후 일반적인 용매를 이용한 재처리를 통해 유기소재와 불순물의 분리공정을 거친 후, 일정수준의 순도를 갖는 유기소재는 다시 재결정화를 위한 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집통(372)에 회수된 이온성 액체는 이온성 액체 리턴수단을 통해 저장조(340) 내부로 리턴되어 재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온성 액체 리턴수단은 일반적인 펌프 등을 이용해 구성하면 된다.
한편, 이 실시예의 유기소재 정제장치(300)는 혼합기체가 저장조(340)의 이온성 액체(341) 내에 혼입되고 나서, 기포 내의 혼합 승화기체(313)가 이온성 액체(341)와 접촉하여 용해되기 쉽도록 기포의 용적을 더 작게 만드는 기포 미세화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유기소재 정제장치(300)는 혼합 승화기체(313)가 이온성 액체(341)에 접촉하기 쉽도록 접촉 확대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혼합 승화기체(313)가 불활성 기체와 혼합된 상태에서 이온성 액체(341) 안을 일정 시간 통과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승화기체의 용해를 촉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유기소재 정제장치(300A)는 정제소재(343A)의 원활한 회수가 가능하도록 저장조(340A)의 형태와 제3 히터(342A)의 배치를 일부 변형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유기소재 정제장치(3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의 저장조(340A)는 그 하부 쪽이 깔때기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 쪽에 정제소재(343A)의 회수통(344)을 별도로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수통(344)는 저장조(340A)의 하단에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회수통(34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거쳐 석출된 정제소재(343A)가 점점 쌓이게 된다.
한편, 저장조(340A)의 하부에는 회수통(344)으로 이온성 액체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밸브(345)가 더 설치된다.
따라서, 회수통(344) 내에 정제소재(343A)가 일정량 쌓이면 밸브(345)를 폐쇄하고, 회수통(344)을 저장조(340A)에서 분리해 정제소재(343A)를 회수하면 된다.
한편, 이 실시예의 제3 히터(342A)는 저장조(340A)의 하부에 회수통(344)을 갖도록 구성함에 따라, 저장조(340A)의 측면에 설치해 간접 가열방식으로 정제소재(343A)가 원활하게 석출될 수 있도록 가열하면 된다.
전술한 이온성 액체는 전지에도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이온성 액체는 태양 전지에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전해질층(14)을 사이에 두고 하부 구조체 및 상부 구조체가 형성된다.
하부 구조체는 하부 기판(11)과, 이 하부 기판(11)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층(12)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 기판(11)으로서 예컨대 강화 유리 등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하부 전극층(12)으로서는 도전성 무기물, 예컨대 금, 은, 알루미늄, 플라티늄 등이나 금속 산화물이 사용된다.
또한 하부 전극층(12)의 상측에는 예컨대 백금(Pt)으로 구성되는 촉매전극층(13)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구조체는 예컨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상부 기판(17)과, 이 상부 기판(17)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층(16) 및 다공질층(15)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전극층(16)은 예컨대 SnO2, ITO, TCO, FTO, ZnO, CNT등의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지고, 다공질층(15)은 예컨대 TiO2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다공질층(15)에는 예컨대 루테늄(Ru)계 염료가 흡착된다.
상기 전해질층(14)에는 전해질이 주입된다. 이때 전해질로서는 통상적인 전해질 용액, 예컨대 요오드 용액과 제올라이트의 혼합물이 이용된다.
특히, 전해질층(14)에 전술한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s)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제올라이트로서는 제올라이트 분말이나 제올라이트 용액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전해질에 제올라이트와 더불어 금, 은, 구리 등의 금속 나노입자나 탄소 나노입자가 추가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실리콘(Si)과 알루미늄(Al)이 각각 4개의 가교산소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삼차원적인 무기고분자(inorganic polymer)로서, 알루미늄이 4개의 산소와 결합을 하게 됨에 따라 음전하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올라이트는 양이온에 대한 탁월한 치환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올라이트와 통상적인 전해질을 혼합하여 태양전지의 전해질로서 사용하게 되면 염료에 전자를 제공한 양이온 상태의 전해질에 대한 치환작용을 통해 전해질에 대하여 전자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을 높이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태양광이 입사되면 일부 태양광 또는 태양광의 특정한 광파장대역의 광은 다공질층(15)에 흡착되어 있는 염료에 흡수되면서 염료 분자들을 여기시키게 된다. 이러한 여기 상태에서 염료들로부터 다공질층(15)으로 전자들이 주입되고, 이와 같이 주입된 전자들은 다공질층(15)으로부터 상부 전극층(16)으로 확산된다.
한편 전자를 잃어버린 염료 분자에 대해서는 전해질층(14)으로부터 전자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질층은 전해질, 예컨대 요오드와 제올라이트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우선 요오드는 통상의 것과 마찬가지로 염료에 전자를 제공하면서 트리요오드화물(triiodide)로 산화된다. 트리요오드화물은 전자를 잃어버린 후 양이온 상태로 전이되고, 양이온은 음전하 특성을 갖는 제올라이트와 신속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트리요오드화물이 염료로부터 다시 전자를 흡수하여 요오드로 환원되는 현상이 대폭적으로 약화된다.
그리고 제올라이트와 결합된 트리요오드화물은 비중 차이 등으로 인하여 하부 전극(12)측으로 이동하여 하부 전극(12)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자를 받아서 다시 요오드와 제올라이트로 분리되게 된다.
물론, 제올라이트와 결합되지 못한 트리요오드화물은 통상적인 과정을 통해 하부 전극(12)으로부터 전자를 제공받아 요오드로 환원된 후 다시 상부 전극(16)측으로 확산이동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절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는 하부 전극층(12)의 상측에 제올라이트층(20)이 형성된다. 제올라이트층(20)의 형성은 제올라이트 분말과 도전성 접착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이를 하부 전극층(12)상에 도포하는 방법 등을 통해 형성할 수 있고, 제올라이트층을 하부 전극층(20)의 상측에 성장시키는 방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층(12)의 형성은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상기 제올라이트층(12)에는 금속 나노입자나 탄소 나노입자가 혼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올라이트층(20)에는 염료가 흡착된다. 염료의 흡착은 염료 용액에 제올라이트층(20)이 형성된 하부 구조체를 일정 시간 이상 담그는 방법을 통해 실행된다.
상기 제올라이트층(20)의 상측에는 상부 기판(17)과 상부 전극층(16)이 구비된 상부 구조체가 결합된다.
하부 구조체와 상부 구조체를 결합한 후에는 상기 제올라이트층(20)에 전해질이 흡착 또는 주입된다.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는 제올라이트층(20)에 염료가 흡착되므로 염료를 흡착하기 위한 별도의 다공질층(15)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공질층(20)이 제거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촉매전극층(13)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들은 해당 층의 형성시에 고온의 반도체 공정이 필요하므로 고가의 제조장비가 요구됨은 물론 제조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올라이트 분말층(20)은 저온에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화되고 제조비용이 대폭 저하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온의 제조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기판으로서 종이나 유기물 등의 기판을 채용할 수 있다.
도 6에서 하부 기판(31)으로서 종이가 채용된다. 이때 종이로서는 펄프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 일체의 종이와 이러한 종이에 세라믹이나 실리콘 등의 내열성 재료를 침투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기판(31)으로서는 유기물이 채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가능한 유기물로서는 예컨대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 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4-메틸-1-펜텐)(TPX),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아세탈(POM),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설폰(PSF),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초산비닐(PVAC), 폴리비닐알콜(PVAL),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스티렌(PS), AS수지, ABS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불소수지, 페놀수지(PF), 멜라민수지(MF), 우레아수지(UF), 불포화폴리에스테르(UP), 에폭시수지(EP), 디알릴프탈레이트수지(DAP), 폴리우레탄(PUR), 폴리아미드(PA), 실리콘수지(SI)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및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기판(31)상에는 하부 전극층(32)이 형성된다. 하부 전극층(32)으로서는 도전성 무기물, 예컨대 금,은, 알루미늄, 플라티늄 등이나 금속 산화물, 전도성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예컨대 폴리아닐린,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등의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s)가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기판(31)으로서 종이나 유기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부 전극층(32)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유기물이나 전도성 무기물(금속)과 전도성 유기물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층은 예컨대 잉크젯법이나 스크린 인쇄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전도성 금속과 전도성 유기물의 혼합용액은 예컨대 전도성 유기물 용액에 전도성 금속 또는 전도성 금속 산화물의 분말을 혼합하는 방법을 통해 생성하게 된다.
또한, 종이로 구성되는 하부 기판(31)상에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하부 전극층(3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진공증착법이 이용된다. 그리고, 이때 필요에 따라 하부 전극층(32)을 형성하기 전에 하부 기판(31)을 진공상태 또는 예컨대 아르곤(Ar), 네온(Ne) 등의 비활성 가스 분위기내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종이에 흡착되어 있는 수분이나 공기를 제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부 기판(17)으로서 종이 또는 유기물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종이로서는 광투과도를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투명도가 우수한 예컨대 투명종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기판(17)으로서 종이 또는 유기물 기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부 전극층(16)으로서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 기판(31)이나 상부 기판(17)이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하부 기판(31) 및 상부 기판(17)에 예컨대 잉크젯이나 스크린 인쇄법 등을 이용하여 하부 전극층(32) 및 상부 전극층(16)을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태양전지의 제조가 용이해지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태양전지를 대면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태양전지가 종이 또는 유기물을 기반으로 하여 제조되므로 유연성 있는 태양전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기판(31)으로서 종이를 사용하고, 이 하부 기판(31)의 하측에 하부 전극층(32)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기판(31)에는 염료가 흡착된 제올라이트 분말이 흡착된다. 또한 하부 기판(31)에는 철,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추가적으로 흡착된다.
상기 하부 기판(31)에는 전해질이 흡착된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도 6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우선 종이로 구성되는 하부 기판(31)을 준비하고, 여기에 도전성 금속,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하부 전극층(32)을 그리고 염료 용액에 제올라이트 분말 또는 제올라이트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형성한 후 해당 혼합 용액에 하부 구조체, 즉 하부 전극층(32)이 형성된 하부 기판(31)을 침적시킨 후 용매를 건조킴으로써 하부 기판(31)에 제올라이트와 염료를 흡착시킨다.
그리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상부 구조체를 하부 구조체의 상측에 결합함과 더불어 하부 기판(31)에 전해질을 주입하는 방법을 통해 태양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기판(32)으로서 종이를 사용하면서 여기에 제올라이트 와 전해질을 흡착시킴으로써 하부기판(32)을 전해질층으로서 함께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실시예에서 제올라이트층(20)을 형성할 때, 제올라이트를 흡수 또는 흡착하기 위한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직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서 참조번호 10은 제1 태양전지이고, 20은 제2 태양전지이다. 여기서 제1 태양전지(10)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로 구성된다. 또한 제2 태양전지(20)는 예컨대 실리콘, 화합물, CIGS, 염료감응형 또는 유기물 태양전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태양전지(20)로서는 제1 태양전지(10)와는 다른 에너지 밴드갭의 태양광을 광전 변환하는 태양전지로 구성된다.
도 9는 제1 태양전지(10)를 구성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1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서 제1 태양전지(10)는 전해질층(13)을 사이에 두고 하부 구조 및 상부 구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전해질층(13)은 전술한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s)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는 하부 기판(11)과, 이 하부 기판(11)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층(12) 및 촉매전극층(13)을 구비한다. 하부 기판(11)은 예컨대 유리가 이용된다. 바람직하게 하부 기판(11)은 제2 태양전지(10)의 상부 기판이 이용된다. 또한 하부 전극층(12)은 투명한 재질의 도전성 물질이 이용된다. 하부 전극층(12)으로서는 예컨대 ITO, TCO, FTO, ZnO, CNT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부 구조는 예컨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상부 기판(17)과, 이 상부 기판(17)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층(16) 및 다공질층(15)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전극층(16)은 예컨대 SnO2 등의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지고, 다공질층(15)은 예컨대 TiO2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다공질층(15)에는 예컨대 루테늄(Ru)계 염료가 흡착된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층(15)으로서는 예컨대 ITO, TCO, FTO, ZnO, CNT 등의 투명한 전도성 물질이 사용된다.
한편, 통상적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있어서는 상기 촉매금속층(13)으로 예컨대 백금(Pt)층이 사용된다. 그런데 백금층은 광을 투과하지 않기 때문에 촉매전극층(13)으로서 백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8의 구조에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상측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즉, 제1 태양전지(10)로서 종래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촉매금속층(13)을 구성하는 백금층에 의해 광이 하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제2 태양전지(20)로 태양광이 제공되지 않게 된다.
도 9의 구조에서는 촉매금속층(13)으로서 전기석 또는 전기석 분말이 사용된다.
전기석은 토루말린(tourmaline)이라 칭하는 붕규산염계 다공질성 광물로서, 적색, 황색, 녹색, 검정색 등 각종 색깔을 이루는 것에서부터 투명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색상의 것이 존재한다.
전기석은 미세한 분말, 예컨대 0,3㎛ 크기의 입자로 분쇄하여도 양극과 음극을 구비하고, 여기에 열이나 압력을 가하면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외부적인 열이나 압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도 음극을 통하여 0.06㎃의 미세전류를 영구적으로 방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석 또는 전기석 분말에 물 등의 액 체가 접촉되면 음극을 통하여 방출되는 미세전류에 의하여 물이 순간적으로 전기분해되면서 주변을 음이온 상태로 만드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전기석 분말을 이용하여 촉매금속층(13)을 형성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전기석은 다공성 광물이기 때문에 촉매금속층(13)에 다량의 전해질이 흡착된다. 전기석은 전기 전도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는 결국 하부 전극층(12)과 전해질 간의 접촉면적을 대폭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다량의 트리요오드화물에 대하여 전자가 공급되어 트리요오드화물의 환원반응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태양광이 입사될 때, 태양광의 에너지에 의해 전기석으로부터 다량의 전자가 방출되고, 이와 같이 방출된 전자가 트리요오드화물에 제공됨으로써 트리요오드화물의 환원반응이 보다 촉진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로서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전기석으로서 투명한 전기석을 이용하게 되면 제1 태양전지(10)에서 흡수되지 않은 태양광에 대한 투과성이 높아짐으로써 제2 태양전지(20)로 제공되는 태양광이 증가되게 된다.
상기 구조의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우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2 태양전지(20)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2 태양전지(20)의 상부 기판을 하부 기판(11)으로 하여 이 위에 하부 전극층(1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전극층(12)상에 촉매금속층(13)을 형성한다. 촉매금속층(13)의 형성은 전기석 분말을 예컨대 유기 용매 등에 혼합하고, 이 혼합 용액을 잉크젯 또는 스크린 인쇄법 등을 통해 하부 전극층(12)상에 도포한 후, 일정 온도 이하로 열을 가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변형 예에서는 촉매전극층(13)의 형성에 도전성 풀이나 도전성 유기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예에서는 전기석 분말을 도전성 풀이나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혼합한 후, 이를 하부 전극층(12)상에 도포하여 촉매전극층(13)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부 기판(17)을 준비하고, 상부 기판(17)의 상측에 상부 전극층(17) 및 다공질층(15)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구조체를 예컨대 염료 용액에 침적시키는 방법을 통해 다공질층(15)에 염료를 흡착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부 구조체와 상부 구조체를 결합함과 더불어 그 사이 공극에 전해질을 주입하여 전해질층(14)을 형성함으로써 태양전지를 완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에 있어서는 제1 태양전지(10)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은 제1 태양전지(10)를 통해서 제2 태양전지(20)측으로 용이하게 전달된다.
외부 광이 제1 태양전지(10)로 입사되면, 제1 태양전지(10)에서는 외부 광 중 특정한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광을 흡수하여 광전변환을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1 태양전지(10)에서 흡수되지 않은 나머지 광은 제2 태양전지(20)로 전달되어 제2 태양전지(20)에서 흡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넓은 범위의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광에 대하여 광전변환이 실행되게 되므로 광전변환 효율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태양전지(10)의 하부 기판(11) 및 상부 기판(16)이 유리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질은 유연성이 부족하고 대면적 형성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만일 제2 태양전지로서 유연성이 있고 대면적 형성이 가능한 태양전지를 채용하는 경우 적절하게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도 10은 제1 태양전지(10)로서 대면적 형성이 가능하고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서 하부 기판(31)으로서는 실리콘 또는 유기물,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유기물이 이용된다. 또한 하부 전극층(32)으로서는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금속 등의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이용된다. 이때 이용 가능한 도전성 유기물로서는 전도성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예컨대 폴리아닐린,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등의 혼합물이나 화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전극층(32)으로서는 바람직하게 도전성 유기물과 예컨대 ITO, TCO, FTO, ZnO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CNT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도전성 유기물이나 도전성 유기물의 혼합물은 잉크젯법이나 스크린 인쇄법 등의 방법으로 저온에서 형성할 수 있고, 하부 전극층(32)을 대면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전극층(32)의 상측에는 도 9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0118] 촉매금속층(13)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기판(37)도 하부 기판(31)과 마찬가지로 실리콘 또는 유기물로 구성되고, 상부 전극층(36)도 도전성 유기물이나 도전성 유기물과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도 상부 전극층(36)은 잉크젯법이나 스크린 인쇄법 등을 통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전극층(36)의 상측에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공질층(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35)으로서는 전기석 분말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기석을 이용하여 다공질층(35)을 형성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전기석은 다공성 광물이기 때문에 염료가 용이하게 흡착됨은 물론 그 흡착량이 매우 많게 되고, 특히 다공질층을 전기석으로 형성하게 되면 외부에서 태양광이 입사될 때, 태양광의 에너지에 의해 전기석으로부터 다량의 전자가 방출되어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전기석은 전해질도 용이하게 흡착되므로 염료와 전해질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됨으로써 염료에 대한 전자 공급이 원활해지게 된다.
또한, 전기석층은 저온에서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태양전지의 기판에 대한 제약이 제거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태양전지(10)가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태양전지(10)를 대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태양전지(10)를 형성함에 있어서 잉크젯이나 스크린 인쇄법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제1 태양전지(10)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는 하부 기판(41) 및 상부 기판(47)으로서 종이가 사용된다. 여기서 종이라 함은 펄프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 일체의 종이를 포함한다. 다만, 종이로서는 바람직하게는 광투과도가 좋은 종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종이가 사용된다. 그리고 하부 기판(41) 및 상부 기판(47)에는 도전성 물질이 흡착된다. 도전성 물질로서는 도전성 유기물,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 즉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즉, 하부 기판(41) 및 상부 기판(47)에는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이 각각 흡착된다.
종이에 투명한 재질의 유기물 또는 유기물의 혼합물을 흡착시키게 되면 이러한 흡착 물질이 광 통로로서 작용함으로써 종이의 광투과도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태양전지의 기판으로서 종이를 사용하게 되므로 태양전지의 무게가 매우 가벼워지고, 대면적화에 매우 유리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에 있어서는 도 8에서 제1 태양전지(10)의 하부 구조체를 제2 태양전지(20)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제2 태양전지로서는 예컨대 염료감응형, 실리콘, 화합물, CIGS, 염료감응형 또는 유기물 태양전지 등 임의의 태양전지가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태양전지(20)로서는 제1 태양전지(10)와는 다른 에너지 밴드갭의 태양광을 광전변환하는 태양전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태양전지(20)의 상측, 바람직하게는 제2 태양전지(20)의 상부 전극층상에는 촉매금속층(13)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촉매금속층(13)은 전기석 분말 또는 전기석 분말과 철,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의 혼합물이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태양전지는의 상부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기판(17)과 상부 전극층(16) 및 염료가 흡착되는 다공질층(15)으로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상부 구조는 도 9 내지 도 11의 구조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서 제2 태양전지(2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에서 제2 태양전지(20)는 하부 기판(61)과, 이 하부 기판(61)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층(61), 하부 전극층(61)에 순차 적층 형성되는 제1 및 제2 반도체층(63, 6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층(63, 64)은 각각 예컨대 N형 및 P형 반도체 물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반도체층(63)의 상측에는 필요에 따라 도전 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유기물이나 예컨대 ITO, TCO, FTO, ZnO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전도성 유기물과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도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반도체층(63)을 구성하는 N형 반도체 물질로서는 일반적인 [0136] N형 반도체 이외에 반도체 유기물이나 황화카드뮴, 또는 반도체 유기물과 황화카드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N형 반도체 유기물로서는 예컨대 테트라카복실 무수물(Tetracarboxyllic Anhydride) 및 그 유도체와, 퀴노디메탄(Quinodimethane) 화합물, 불소가 치환된 단분자 방향족 화합물,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유도체, 티오펜 유도체 등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층(64)을 구성하는 P형 반도체 물질로서는 일반적인 P형 반도체 이외에 P형 반도체 유기물이나 CIGS, 또는 CIGS와 P형 반도체 유기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P형 반도체 유기물로서는 예컨대 펜타센(Pentacene), 올리고티오펜(Oligothiophen), 올리고페닐렌(Oligophenylene), 티오페닐렌 비닐렌(Thiophenlylene Vinylene)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층(63, 64)으로서 반도체 유기물이나 그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부 기판(61)으로서 유기물이나 종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하부 전극층(62)으로서 도전성 유기물이나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과 전극층 및 반도체층을 종이나 유기물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는 태양전지를 잉크젯법이나 스크린 인쇄법 등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태양전지를 용이하게 대면적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태양전지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해당 광은 태양전지의 상부 구조와 전해질을 통해 하부구조로 전달된다. 이때 입사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전해질층(13)을 중심으로 상부 구조와 하부 구조는 각각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흡수하여 광전변환을 실행하게 된다.
상부 구조에 있어서는 상부 기판(16)을 통해 외부 광이 입사되면, 입사되는 광은 상부 기판(16)과 상부 전극층(15)을 통해 다공질층(14)으로 전달된다. 입사광은 다공질층(14)에 흡착되어 있는 염료 분자들을 여기시키게 된다. 이러한 여기 상태에서 염료들로부터 다공질층(14)으로 전자들이 주입되고, 이와 같이 주입된 전자들은 다공질층(14)으로부터 상부 전극층(15)으로 확산된다.
한편 전자를 잃어버린 염료 분자에 대해서는 전해질층(13)에 충진되어 있는 전해질로부터 전자가 제공된다. 전해질은 예컨대 요오드로 구성되는데, 요오드는 염료에 전자를 제공하면서 트리요오드화물(triiodide)로 산화된다. 전자를 잃어버린 트리요오드화물은 하부 구조체를 구성하는 제2 태양전지(20)의 표면으로 확산 이동된다.
제2 태양전지(20)는 예컨대 PN 접합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 태양전지(20)에 전해질을 통해 외부 광이 전달되면 제2 태양전지(20)는 전달되는 광을 흡수하여 광전변환을 실행하게 되고, 그 결과로서 제2 태양전지(20)의 제1반도체층(63)으로부터 제2 반도체층(64)으로 전자가 전달된다. 이와 같이 전달되는 전자는 촉매전극층(13)을 통해 제2 태양전지(20)의 표면으로 확산 이동된 트리요오드화물에 제공되어 이를 요오드로 환원시키게 되고, 환원된 요오드는 다시 상부 전극(5)측으로 확산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제1 태양전지(10)와 제2 태양전지(20)가 각각 서로 다른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광을 이용하여 광전변환을 실행하게 되므로 광 이용효율이 보다 높아지게 된다.
또한 태양전지를 전체적으로 유기물이나 종이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저온에서 형성이 가능하며, 대면적의 태양전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에 있어서는 전해질층(13)의 하측, 즉 상부 구조체를 구성하는 제1 태양전지(10)와 하부 구조체를 구성하는 제2 태양전지(20)의 사이에 공통 전극층(75)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제1 태양전지(20)의 상부 전극층(15)과 제2 태양전지(20)의 하부 전극층(62)은 외부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될 것이다.
상기 공통 전극층(75)은 제1 태양전지(10)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 광이 제2 태양전지(20)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다. 공통 전극층(75)으로서는 예컨대 전도성 유기물, 또는 ITO, TCO, FTO, ZnO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전도성 유기물과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층(75)의 상측에는 전해질에 대한 전자의 공급을 원활하기 위하여 촉매전극층(13)이 구비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촉매전극층(13)은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공통 전극층(75)의 하측으로 순차 제1 반도체층(63) 및 제2 반도체층(64) 이 형성되어 공통 전극층(75)으로부터 하부 전극층(62) 측으로 전자가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는 외부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제1 태양전지(10)와 제2 태양전지(20)는 각각 서로 다른 에너지 밴드갭의 태양광을 흡수하여 광전변환을 실행하게 된다. 이때 제1 태양전지(10)는 공통 전극층(75)으로부터 상부 전극층(14)으로 전자가 이동되어 상부 전극층(15)을 통해 외부로 전자가 전달되고, 제2 태양전지(20)는 공통 전극층(75)으로부터 하부 전극층(62)으로 전자가 이동되어 하부 전극층(62)을 통해 외부로 전자가 전달된다. 그리고 공통 전극층(75)에는 외부 회로로부터 전자가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태양전지는 종래의 태양전지에 비하여 광전변환 효율이 대폭 증가된다. 또한 제1 태양전지(10)와 제2 태양전지(20)를 모두 유기물이나 종이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제조 공정으로서도 저온에서 실행될 수 있는 잉크젯법이나 스크린 인쇄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태양전지(10)와 제2 태양전지(20)를 결합하면서 그 사이 공극에 전해질을 주입하여 전해질층(13)을 형성함으로써 태양전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태양전지의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조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태양전지는 제1 및 제2 태양전지를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유연성 있는 태양전지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대면적으로 태양전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태양전지(10)는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구조를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3)
-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층;
상기 하부 전극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s)층;
상기 이온성 액체층의 상측에 형성됨과 더불어 염료가 흡착되는 다공질층;
상기 다공질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층; 및,
상기 상부 전극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기판;을 포함하는 전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층에 금속 나노입자 또는 탄소 나노입자가 추가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층은,
유기소재 원료를 수용하는 도가니를 유기소재 원료의 승화점까지 가열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발생한 유기소재 원료의 승화기체가 상기 이온성 액체에 증착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승화기체가 상기 이온성 액체에서 재결정화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상기 이온성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이온성 액체의 용해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이온성 액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1 전지와 제 2 전지의 적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지는 상기 제 2 전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지는 상기 제 2 전지의 상부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층과 상기 하부 전극층상에 형성되는 촉매금속층, 상기 촉매금속층 상에 형성되는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s)층, 상기 이온성 액체층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염료가 흡착되는 다공질층, 상기 다공질층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층 및 상기 상부 전극층 상에 형성되는 상부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금속층이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금속층에 철,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지는 염료감응형, 실리콘, 화합물, CIGS, 염료감응형, 유기물 태양전지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6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지와 제 2 전지는 서로 다른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광을 흡수하여 광전변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철,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층은,
유기소재 원료를 수용하는 도가니를 유기소재 원료의 승화점까지 가열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발생한 유기소재 원료의 승화기체가 상기 이온성 액체에 증착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승화기체가 상기 이온성 액체에서 재결정화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상기 이온성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이온성 액체의 용해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이온성 액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1 전지;
상기 제 1 전지의 제 1 상부 기판상에 형성되는 제 2 전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상부 기판은 실리콘 수지 또는 유기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전지는, 상기 제1 상부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층, 상기 하부 전극층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촉매금속층, 상기 촉매금속층 상에 형성되는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s)층, 상기 이온성 액체층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염료가 흡착되는 다공질층, 상기 다공질층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층 및 상기 상부 전극층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실리콘 또는 유기물로 구성되는 제 2 상부 기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지는 염료감응형, 실리콘, 화합물, CIGS, 염료감응형, 유기물 태양전지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지와 제 2 전지는 서로 다른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광을 흡수하여 광전변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금속층에 철,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층은,
유기소재 원료를 수용하는 도가니를 유기소재 원료의 승화점까지 가열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발생한 유기소재 원료의 승화기체가 상기 이온성 액체에 증착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승화기체가 상기 이온성 액체에서 재결정화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상기 이온성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이온성 액체의 용해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이온성 액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1282A KR20160051378A (ko) | 2014-11-03 | 2014-11-03 |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1282A KR20160051378A (ko) | 2014-11-03 | 2014-11-03 |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1378A true KR20160051378A (ko) | 2016-05-11 |
Family
ID=5602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1282A KR20160051378A (ko) | 2014-11-03 | 2014-11-03 |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51378A (ko) |
-
2014
- 2014-11-03 KR KR1020140151282A patent/KR2016005137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2957B1 (ko)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물질의 제조 방법 | |
JP5403179B1 (ja) | 電荷移動性薄膜 | |
JP6461599B2 (ja) | 電子装置 | |
KR101814891B1 (ko) | 전자 디바이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유기 박막 태양 전지 및 색소 증감형 태양 전지 | |
Nazeeruddin et al. | Methylammonium lead triiodide perovskite solar cells: A new paradigm in photovoltaics | |
JP2008109097A (ja) | 光起電力素子用材料および光起電力素子 | |
JP2006073583A (ja) | 光電変換素子用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電変換素子 | |
JP2014060392A (ja) | 有機薄膜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 |
JP2007324259A (ja) | 有機薄膜太陽電池デバイスの製造方法 | |
JP5396987B2 (ja) | 光電変換素子及び太陽電池 | |
KR101626674B1 (ko) |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JP2008147544A (ja) | 光起電力素子用材料および光起電力素子 | |
JP6966036B2 (ja) | 有機太陽電池の製造方法 | |
KR20160051379A (ko) |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00200B1 (ko) |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51378A (ko) |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JP2013187419A (ja) | 光電変換素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 |
KR20160051555A (ko) |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48926B1 (ko) | 플러렌 유도체 및 플러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 | |
KR20170132567A (ko) |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광흡수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
JP2013254949A (ja) | 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 |
Baharfar et al. | Charge‐Transfer Complexes: Fundamentals and Advances in Catalysis, Sensing, and Optoelectronic Applications | |
JP2010009830A (ja) | 光電変換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太陽電池 | |
JP2016210750A (ja) | フラーレン化合物、半導体デバイス、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 |
KR101904586B1 (ko) | 무인 비행 모듈 및 무인 비행 모듈 수납 가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