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251A - 자동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251A
KR20160051251A KR1020140150867A KR20140150867A KR20160051251A KR 20160051251 A KR20160051251 A KR 20160051251A KR 1020140150867 A KR1020140150867 A KR 1020140150867A KR 20140150867 A KR20140150867 A KR 20140150867A KR 20160051251 A KR20160051251 A KR 20160051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ail
frame
angle adjusting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386B1 (ko
Inventor
서상로
Original Assignee
서상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로 filed Critical 서상로
Priority to KR1020140150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3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1/00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in grinding a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1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 B24B5/307Means for support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a rotary work-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나 기체를 저장하는 탱크의 몸체부 양측에 형성되는 접시 형상의 마감 패널의 내측면을 연마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마감 패널을 안착시킨 상태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수단; 상기 제1 구동수단을 축 결합하여 상기 회전수단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각도 조절수단; 및 상기 제1 각도 조절수단을 안착시킨 상태로 일정거리 이동하는 제1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받침부와, 상기 회전수단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연마를 위한 소재를 장착하도록 형성된 연마수단; 상기 연마수단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수단; 상기 연마수단과 제2 구동수단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마수단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각도 조절수단;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을 안착시킨 상태로 일정높이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수단을 지지하는 상태로 일정거리 이동하는 제2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작업부로 구성됨에 따라, 탱크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마감 패널을 자동으로 연마할 수 있는 연마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자동 연마장치{Auto-grinder}
본 발명은 액체나 기체를 저장하는 탱크의 좌우측 마감 패널을 연마하기 위한 자동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나 기체를 저장하는 탱크는 가운데 부분에 원통 형상의 몸체가 형성되고, 그 좌우에 접시 형상의 마감 패널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를 제작할 때에는 몸체의 내면과 마감 패널의 내측면을 연마한 후에 각각의 단부를 맞대어 용접한 다음 용접 부분과 외면을 연마한다.
이에, 상기 몸체의 내면과 마감 패널의 내면을 연마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몸체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연마장치를 이용한 내면의 자동 연마가 가능하지만, 마감 패널은 볼록하고 둥글게 절곡된 부분이 있고 그 크기뿐만 아니라 형태도 매우 다양해서 연마장치를 이용한 자동 연마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탱크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마감 패널을 자동으로 연마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연마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나 기체를 저장하는 탱크의 몸체부 양측에 형성되는 접시 형상의 마감 패널의 내측면을 연마하도록 하되, 상기 마감 패널을 안착시킨 상태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수단; 상기 제1 구동수단을 축 결합하여 상기 회전수단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각도 조절수단; 및 상기 제1 각도 조절수단을 안착시킨 상태로 일정거리 이동하는 제1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받침부와, 상기 회전수단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연마를 위한 소재를 장착하도록 형성된 연마수단; 상기 연마수단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수단; 상기 연마수단과 제2 구동수단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마수단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각도 조절수단;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을 안착시킨 상태로 일정높이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수단을 지지하는 상태로 일정거리 이동하는 제2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작업부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마감 패널이 안착되는 원반; 상기 원반의 중심에 돌출된 기준 볼트; 및 상기 기준 볼트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제1 이송수단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수단과 축 결합되는 샤프트; 및 상기 제1 이송수단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축으로 연결하되, 상기 샤프트의 중심에서 편심되도록 연결되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마수단은 펄프 또는 섬유를 압착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외면에 상기 밴드 형태의 연마 소재를 감도록 형성된 헤드; 상기 제1 헤드와 나란하게 축 설치되면서 상기 제1 헤드와 함께 밴드 형태의 연마 소재를 감도록 형성된 풀리; 상기 풀리를 축 결합하는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1 브래킷이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이송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연마수단과 제2 구동수단을 설치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이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형성하면서 양측에 축이 형성된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이 축 설치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제1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을 전후진시키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프레임의 축이 결합되는 제3 브래킷; 상기 제3 브래킷이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3 브래킷을 제3 프레임 위에 탄력 지지하는 쇽 업소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자동 연마장치에 의하면 탱크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마감 패널을 자동으로 연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의 향상은 물론이고 작업의 신뢰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 용접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 용접장치의 받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4 내지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 용접장치의 작업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자동 용접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 패널을 안착시킨 상태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수단(110), 상기 회전수단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수단(120), 상기 제1 구동수단을 축 결합하여 상기 회전수단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각도 조절수단(130) 및 상기 제1 각도 조절수단을 안착시킨 상태로 일정거리 이동하는 제1 이송수단(140)을 포함하는 받침부(100)와, 상기 회전수단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연마를 위한 소재를 장착하도록 형성된 연마수단(210), 상기 연마수단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수단(220), 상기 연마수단과 제2 구동수단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마수단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각도 조절수단(230),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을 안착시킨 상태로 일정높이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240) 및 상기 승강수단을 지지하는 상태로 일정거리 이동하는 제2 이송수단(250)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받침부(100)는 마감 패널을 간편하게 올려놓기 위해서 높이를 낮춰야 하므로 바닥에 설치하는 것이고, 상기 작업부(200)는 상기 받침부 위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높이를 높이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이 설치된다.
상기 받침부(100)는 상기 마감 패널(10)을 받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회전수단(110), 제1 구동수단(120), 제1 각도 조절수단(130) 및 제1 이송수단(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수단(110)은 상기 마감 패널(1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수단(110)의 실시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 패널이 안착되는 원반(111), 상기 원반의 중심에 돌출된 기준 볼트(112) 및 상기 기준 볼트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감 패널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상기 기준 볼트(112)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고정 너트(113)를 조이면 마감 패널이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수단(120)은 상기 회전수단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구동수단(120)은 실시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감속기(121) 및 상기 감속기(121)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연동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모터(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121)에 의해 저속으로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각도 조절수단(130)은 상기 제1 구동수단(120)을 축 결합하여 상기 회전수단(110)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각도 조절수단(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이 전후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각도 조절수단(130)은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이송수단(14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수단(120)과 축 결합되는 샤프트(131) 및 상기 제1 이송수단(140)과 상기 샤프트(131) 사이에 축으로 연결하되, 상기 샤프트(131)의 중심에서 편심되도록 연결되는 제1 실린더(13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실린더(132)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1 샤프트(131)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 이송수단(140)은 상기 제1 각도 조절수단(130)을 안착시킨 상태로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이송수단(140)은 실시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제1 레일(141), 상기 레일과 나란하게 축 설치되는 제1 스크루 바(142), 상기 제1 스크루 바(142)를 정역 회전시키는 제1 서브 모터(143) 및 상기 제1 레일(141) 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크루 바(142)와 연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1 각도 조절수단(130)이 고정 설치되는 제1 베이스 패널(14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서브 모터(143)가 정역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베이스 패널(144)이 제1 레일(141)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부(200)는 상기 마감 패널(10) 위에서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연마수단(210), 제2 구동수단(220), 제2 각도 조절수단(230), 승강수단(240) 및 제2 구동수단(2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마수단(210)은 상기 회전수단(110)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연마를 위한 소재를 장착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마수단(210)은 마감 패널의 내면을 연마하기 위한 그라인더를 장착하고, 상기 페이퍼가 회전하면서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마수단(210)은 실시 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프 또는 섬유를 압착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외면에 상기 밴드 형태의 연마 소재를 감도록 형성된 헤드(211), 상기 제1 헤드(211)와 나란하게 축 설치되면서 상기 제1 헤드(211)와 함께 밴드 형태의 연마 소재를 감도록 형성된 풀리(212), 상기 풀리(212)를 축 결합하는 제1 브래킷(213) 및 상기 제1 브래킷(213)이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이송블럭(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211)에 장착된 밴드 형태의 연마 소재가 늘어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리(212)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력을 맞춘다. 이때, 상기 이송블록(214)에는 상기 브래킷(213)을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레버와 스토퍼 등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 구동수단(220)은 상기 연마수단(210)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구동수단(220)은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수단(210)과 동축 연결되는 제2 샤프트(221) 및 상기 제2 샤프트(221)와 나란하게 설치된 상태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되는 제2 모터(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230)은 상기 연마수단(210)과 제2 구동수단(220)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마수단(210)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제1 각도 조절수단(130)과 제2 각도 조절수단(230)에 의해 구배율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마감 패널(10)을 연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230)은 실시 예로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수단(210)과 제2 구동수단(220)을 설치하는 제1 프레임(231), 상기 제1 프레임(231)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231)이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형성하면서 양측에 축이 형성된 제2 프레임(232), 상기 제2 프레임(232)이 축 설치되는 제3 프레임(233) 및 상기 제2 프레임(232)과 제1 프레임(23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231)을 전후진시키는 제2 실린더(2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실린더(234)가 전후진함에 따라 제1 프레임이 제2 프레임으로부터 전후진하는데, 이때,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연마수단(210)과 제2 구동수단(22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축을 중심으로 무게 중심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무게 중심에 의한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연마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230)에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연마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230)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232)의 축이 결합되는 제3 브래킷(235), 상기 제3 브래킷(235)이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36) 및 상기 제3 브래킷(235)을 제3 프레임(233) 위에 탄력 지지하는 쇽 업소버(2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240)은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230)을 안착시킨 상태로 일정높이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240)은 실시 예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2 레일(241), 상기 제2 레일(241) 사이에 나란하게 축 설치되는 제2 스크루 바(242), 상기 제2 스크루 바(242)를 정역 회전시키는 제2 서브 모터(243) 및 상기 제2 레일(241)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크루 바(242)와 연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230)이 고정 설치되는 리프트(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 수단(2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230)의 양측에 설치하여 안정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수 단(240) 중 리프트(24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230)이 전방에 결합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후방에는 도 1 및 도 2와 도 9에 되소딘 바와 같이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230)과 같은 무게의 추(244a)를 달아서 전방으로 기울지 않고 균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이송수단(250)은 상기 승강수단(240)을 지지하는 상태로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이송수단(250)은 상기 승강수단(240)과 함께 상기 연마수단(210)의 전후상하 이동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2 이송수단(250)은 실시 예로서 상기 승강수단(24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레일(251), 상기 제3 레일(251)과 나란하게 축 설치되는 제3 스크루 바(252), 상기 제3 스크루 바(252)를 정역 회전시키는 제3 서브 모터(253) 및 상기 제3 레일(251)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스크루 바(252)와 연결되고, 일면에는 상기 승강수단(240)이 설치되는 제3 베이스 패널(2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3 레일(25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베이스 패널(254)의 상하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마감 패널을 자동으로 연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의 향상은 물론이고 작업의 신뢰성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100: 받침부
110: 회전수단 120: 제1 구동수단
130: 제1 각도 조절수단 140: 제1 이송수단
200: 작업부
210: 연마수단 220: 제2 구동수단
230: 제2 각도 조절수단 240: 승강수단
250: 제2 이송수단

Claims (11)

  1. 액체나 기체를 저장하는 탱크의 몸체부 양측에 형성되는 접시 형상의 마감 패널의 내측면을 연마하도록 하되,
    상기 마감 패널을 안착시킨 상태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수단;
    상기 제1 구동수단을 축 결합하여 상기 회전수단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각도 조절수단; 및
    상기 제1 각도 조절수단을 안착시킨 상태로 일정거리 이동하는 제1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받침부와,
    상기 회전수단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연마를 위한 소재를 장착하도록 형성된 연마수단;
    상기 연마수단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수단;
    상기 연마수단과 제2 구동수단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마수단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각도 조절수단;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을 안착시킨 상태로 일정높이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수단을 지지하는 상태로 일정거리 이동하는 제2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작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마감 패널이 안착되는 원반
    상기 원반의 중심에 돌출된 기준 볼트; 및
    상기 기준 볼트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연동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제1 이송수단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수단과 축 결합되는 샤프트; 및
    상기 제1 이송수단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축으로 연결하되, 상기 샤프트의 중심에서 편심되도록 연결되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수단은,
    양측에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제1 레일;
    상기 레일과 나란하게 축 설치되는 제1 스크루 바;
    상기 제1 스크루 바를 정역 회전시키는 제1 서브 모터; 및
    상기 제1 레일 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크루 바와 연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1 각도 조절수단이 고정 설치되는 제1 베이스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마수단은,
    펄프 또는 섬유를 압착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외면에 상기 밴드 형태의 연마 소재를 감도록 형성된 헤드;
    상기 제1 헤드와 나란하게 축 설치되면서 상기 제1 헤드와 함께 밴드 형태의 연마 소재를 감도록 형성된 풀리;
    상기 풀리를 축 결합하는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1 브래킷이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이송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마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수단은,
    상기 연마수단과 동축 연결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와 나란하게 설치된 상태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되는 제2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마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연마수단과 제2 구동수단을 설치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이 일정거리 이동하도록 형성하면서 양측에 축이 형성된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이 축 설치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제1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을 전후진시키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마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의 축이 결합되는 제3 브래킷;
    상기 제3 브래킷이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3 브래킷을 제3 프레임 위에 탄력 지지하는 쇽 업소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마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한 쌍이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2 레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나란하게 축 설치되는 제2 스크루 바;
    상기 제2 스크루 바를 정역 회전시키는 제2 서브 모터; 및
    상기 제2 레일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크루 바와 연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2 각도 조절수단이 고정 설치되는 리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마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수단은,
    상기 승강수단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레일;
    상기 제3 레일과 나란하게 축 설치되는 제3 스크루 바;
    상기 제3 스크루 바를 정역 회전시키는 제3 서브 모터; 및
    상기 제3 레일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스크루 바와 연결되고, 일면에는 상기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제3 베이스 패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마장치.
KR1020140150867A 2014-11-03 2014-11-03 자동 연마장치 KR101673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867A KR101673386B1 (ko) 2014-11-03 2014-11-03 자동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867A KR101673386B1 (ko) 2014-11-03 2014-11-03 자동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251A true KR20160051251A (ko) 2016-05-11
KR101673386B1 KR101673386B1 (ko) 2016-11-16

Family

ID=5602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867A KR101673386B1 (ko) 2014-11-03 2014-11-03 자동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3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2578B (zh) * 2020-08-24 2020-11-10 招远东威金属工艺家具有限公司 一种便于定位的桌面打磨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252A (ja) * 1996-06-06 1997-12-16 Fuji Xerox Co Ltd 曲面研磨方法、及び曲面研磨装置
JP3973751B2 (ja) * 1998-03-20 2007-09-12 株式会社ナガセインテグレックス 研削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252A (ja) * 1996-06-06 1997-12-16 Fuji Xerox Co Ltd 曲面研磨方法、及び曲面研磨装置
JP3973751B2 (ja) * 1998-03-20 2007-09-12 株式会社ナガセインテグレックス 研削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386B1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962B1 (ko) 금속 용기 연마장치
KR101417608B1 (ko)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KR101263145B1 (ko) 압축선스프링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CN211053363U (zh) 一种自走式吸附钢管打磨机器人
CN108747670B (zh) 一种用于管道内壁打磨的打磨装置及打磨方法
CN115476243A (zh) 一种大型罐体焊缝打磨机
KR20110108804A (ko) 용접부 결함부위 제거를 위한 수평 자세형 연삭 장치
CN101468444A (zh) 一种木材砂光机
KR101194791B1 (ko) 분기기 레일연마기
KR101249288B1 (ko) 로테이터용 가압부재
KR101673386B1 (ko) 자동 연마장치
CN215788887U (zh) 一种磨床的可调工作台
CN108326694B (zh) 一种钢板修磨机
KR101715173B1 (ko) 휠 연마를 위한 휠 이송 및 고정장치
CN103213048B (zh) 一种石材仿形磨
JP3091739B1 (ja) 自動研磨装置
JPH07299512A (ja) テーブルロール現地補修用ロール研磨装置
CN214186498U (zh) 一种自动焊缝清根机
CN214923183U (zh) 一种可自动调节砂辊的砂带机
JP2007083328A (ja) 平面研磨装置
CN111774982B (zh) 一种圆形玻璃圆角边打磨装置及其打磨方法
CN209364310U (zh) 一种锅炉锅筒环缝砂带打磨机
CN110434744B (zh) 一种高效的焊缝抛光机
KR20150097265A (ko) 환봉 외경 연마장치
CN208451337U (zh) 抛盖机的斜推抛头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