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559A - 크레인용 권상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권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559A
KR20160050559A KR1020140148988A KR20140148988A KR20160050559A KR 20160050559 A KR20160050559 A KR 20160050559A KR 1020140148988 A KR1020140148988 A KR 1020140148988A KR 20140148988 A KR20140148988 A KR 20140148988A KR 20160050559 A KR20160050559 A KR 20160050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wire rope
frame
seating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륭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륭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륭산업
Priority to KR102014014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0559A/ko
Publication of KR2016005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0Undercarriages or bogies, e.g. end carriages, end b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롤리의 상면 중 와이어로프가 통과하는 개구 부위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면서 상면으로 복수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두 안착부를 갖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 제공되는 두 안착부의 각 안착공간 상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된 두 저부벽 및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형성된 두 수직플레이트를 갖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두 수직플레이트에 양단이 설치되는 쉬브핀 및 이 쉬브핀의 외주면에 설치되면서 와이어로프의 경유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쉬브; 상기 하부프레임의 각 안착공간에 각각 구비되며, 와이어로프를 통해 상부프레임으로 전달된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권상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권상장치의 구동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승강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와이어드럼 혹은, 권상모터 등의 구동부품으로 전달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레인용 권상장치{hoisting device for a crane}
본 발명은 권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권상장치의 구동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승강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및 충격이 구동부품으로 전달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크레인용 권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상장치는 권상된 상태의 와이어로프를 풀거나 감는 동작을 통해 이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후크로써 중량물을 들어올리도록 한 장치로써, 엘리베이터 혹은, 다양한 종류의 크레인 등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권상장치 중 크레인에 사용되는 권상장치의 경우는 통상 권상모터와, 이 권상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면서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와이어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드럼에 감긴 와이어로프의 감김 혹은, 풀림 동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후크의 상승 혹은, 하강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중량물이 들어올려지거나 혹은, 내리게 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은 크레인용 권상장치에는 쉬브 어셈블리(sheave assembly)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과 더불어 와이어로프는 상기한 쉬브 어셈블리의 각 쉬브를 경유하여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상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쉬브 어셈블리가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상되는 와이어로프의 권상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로프가 엉키지 않고 균일하게 펼쳐진 상태로써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상될 수 있게 된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0542호, 등록특허공보 제10-0567466호, 등록특허 제10-068839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크레인용 권상장치는 크레인을 이루는 트롤리(trolley)의 상면에 고정 설치됨을 고려할 때 크레인 동작에 의한 중량물의 승강시 발생되는 상하 방향으로의 충격이 와이어로프를 통해 와이어드럼 및 권상모터로 전달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충격을 지속적으로 제공받게 될 경우 상기 와이어드럼 및 권상모터에 대한 고장 발생이나 손상 발생이 야기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종래에는 상기 와이어드럼 혹은, 권상모터의 설치 부위에 개별적인 충격 완화기능을 갖는 구조물을 추가로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도 있었지만, 실질적으로 와이어드럼 및 권상모터로 전달되는 충격의 방향은 쉬브를 경유한 와이어로프가 향하게 되는 수평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드럼 혹은, 권상모터의 설치 부위에 개별적인 충격 완화기능을 갖는 구조물을 추가로 제공하더라도 그로 인한 충격 완화 효과는 미미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권상장치의 구동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승강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와이어드럼 혹은, 권상모터 등의 구동부품으로 전달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크레인용 권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용 권상장치에 따르면 트롤리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와이어드럼에의 와이어로프 감김을 안내하는 쉬브 어셈블리(sheave assembly)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권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쉬브 어셈블리는 상기 트롤리의 상면 중 와이어로프가 통과하는 개구 부위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면서 상면으로 복수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두 안착부를 갖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 제공되는 두 안착부의 각 안착공간 상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된 두 저부벽 및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형성된 두 수직플레이트를 갖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두 수직플레이트에 양단이 설치되는 쉬브핀 및 이 쉬브핀의 외주면에 설치되면서 와이어로프의 경유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쉬브; 상기 하부프레임의 각 안착공간에 각각 구비되며, 와이어로프를 통해 상부프레임으로 전달된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각 안착공간이 서로 구획된 상태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구획격벽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각 안착공간 내의 완충부재가 해당 안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안착공간 내에는 상단이 상부프레임의 저부벽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됨과 더불어 하단은 하부프레임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저부벽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는 연결부재의 상단에는 너트가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너트의 조작을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의 각 안착공간 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는 코일형의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의 높이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이 서로 맞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안착공간 내에는 복수의 완충부재가 제공됨과 더불어 어느 한 완충부재 내에 다른 한 완충부재가 위치되는 중첩 구조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크레인용 권상장치는 쉬브 어셈블리에 완충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완충 구조를 통해 권상모터나 와이어드럼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권상모터 및 와이어드럼에 별도의 충격 완충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지 않아도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한 완충 구조는 서로 별개로 이루어지면서 상하로 배치된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이 두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로 구성함과 더불어 상부프레임에 각 쉬브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각 쉬브를 경유하는 와이어로프를 통해 충격력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충격력에 대한 원활한 완충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크레인 완충장치는 완충부재를 코일형 압축스프링으로 구성하면서도 그 전체적인 배치 구조나 중첩 설치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쉬브 어셈블리의 전체 크기에 대한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쉬브 어셈블리의 전 부위에 대한 충격력 완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 역시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권상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크레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권상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크레인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권상장치를 이루는 쉬브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권상장치를 이루는 쉬브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권상장치를 이루는 쉬브 어셈블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크레인용 권상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크레인용 권상장치는 크레인을 이루는 트롤리(trolley)(10)의 상면에 설치됨을 그 예로 하며, 이때, 상기 트롤리(10)의 상면에는 와이어로프(21)가 통과될 수 있도록 개구된 개구 부위(이하, “통과공”이라 함)(11)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와이어로프(21)의 하단에는 후크(22)가 연결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권상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크레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권상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크레인의 평면도이다.
하기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통해 언급되는 방향은 이러한 각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전술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권상장치는 권상모터(100)와, 와이어드럼(200)과, 쉬브 어셈블리(sheave assembly)(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쉬브 어셈블리(300)가 완충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여 이 완충 구조를 통해 상기 권상모터(100)나 와이어드럼(2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권상모터(100)는 와이어로프(21)의 권상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기기로써, 트롤리(10)의 상면 일측(도면상 좌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드럼(200)은 상기 권상모터(1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면서 와이어로프(21)가 감기는 구조물로써, 상기 트롤리(10)의 상면 중 상기 권상모터(100)에 인접된 부위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와이어드럼(200)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으로 형성되며, 상기 권상모터(100)로부터는 감속기(11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도면에서는 상기 와이어드럼(200)이 두 개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권상모터(100) 역시 두 개로 이루어짐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크레인의 사용 용도(혹은, 용량)에 따라 하나의 와이어드럼(200)과 하나의 권상모터(100)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쉬브 어셈블리(300)는 상기 와이어드럼(200)에의 와이어로프(21) 감김을 안내하는 부위이다. 즉, 상기 쉬브 어셈블리(300)에 의해 상기 와이어드럼(200)에 감기는 와이어로프(21)가 상기 와이어드럼(200)의 전 부위에 고르게 정렬된 상태로 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쉬브 어셈블리(300)가 단순히 와이어로프(21)의 감김 안내를 위한 역할만 수행하는 구조가 아닌 상기 와이어로프(21)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구조도 함께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브 어셈블리(300)는 하부프레임(310)과, 상부프레임(320)과, 쉬브핀(330) 및 복수의 쉬브(sheave)(340)와, 완충부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의 구조에 의해 와이어로프(21)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의 완충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쉬브 어셈블리(300)에 대하여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부프레임(310)은 쉬브 어셈블리(300)의 하부몸체를 형성하는 부위로써, 두 안착부(3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두 안착부(311)는 그 각각이 트롤리(10)의 상면 중 와이어로프(21)가 통과되는 통과공(11)의 양측(와이어로프의 이동 방향과는 수직한 두 방향측)에 각각 위치되어 고정되며, 이와 같은 두 안착부(311)의 상면은 후술될 완충부재(350)의 안착을 위한 안착공간(312)을 각각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두 안착부(311)의 상면에 상기 각 안착공간(312)이 서로 구획된 상태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구획격벽(313)이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한 각 구획격벽(313)에 의해 각 안착부(311)는 상부로 개방된 박스형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이 구획격벽(313)들에 의한 서로 구획된 격실 구조의 복수의 안착공간(312)이 상기 두 안착부(311)의 상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두 안착부(311)의 각 안착공간(312)은 와이어로프(21)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쉬브 어셈블리(300)의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쉬브 어셈블리(300)의 전 부위에 대한 충격 완화가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프레임(320)은 상기 하부프레임(310)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후술될 각 쉬브(340)의 설치를 위한 부위이다.
이와 같은 상부프레임(320)은 상기 하부프레임(310)을 이루는 두 안착부(311)에 제공되는 각 안착공간(312)의 상측 부위를 가로막도록 형성된 두 저부벽(321)과, 상기 두 저부벽(321) 사이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위치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형성되는 두 수직플레이트(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두 저부벽(321)의 외측면에는 둘레벽(323)이 각각 추가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각 둘레벽(323)은 해당 상부프레임(320)의 상하 유동시 상기 하부프레임(310)의 각 구획격벽(313) 상면에 맞닿도록 하여 상부프레임(320))의 과도한 하향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320)의 두 저부벽(321) 사이는 후술될 각 쉬브(34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트롤리(10)의 통과공(11)을 통과하는 와이어로프(21)가 상기 각 쉬브(340)를 경유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쉬브핀(330)은 각 쉬브(340)의 장착을 위한 샤프트로써, 그의 양단이 상기 상부프레임(320)의 각 수직플레이트(32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쉬브(340)는 상기 쉬브핀(330)의 둘레에 고정 설치되면서 와이어로프(21)의 경유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 풀리(pulley)이다.
이와 같은 각 쉬브(340)들은 하부프레임(310)을 이루는 두 안착부(311) 사이에 위치되며, 와이어드럼(200)의 직경 및 축 방향 길이에 따라 서로 간의 이격 간격이나 직경 및 각 쉬브(340)를 경유하는 와이어로프(21)의 권선 순서가 달리 이루어지도록 배치된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쉬브핀(330)이 각 수직플레이트(3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각 쉬브(340)는 상기 쉬브핀(33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됨을 제안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쉬브핀(330)을 각 수직플레이트(322)에 고정 설치함과 더불어 각 쉬브(340)는 상기 쉬브핀(3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완충부재(350)는 각 쉬브(340)를 경유하는 와이어로프(2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부위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혹은, 내려놓는 과정에서 발생된 충격력이 와이어로프(21)로 제공되고, 이렇게 와이어로프로 제공된 충력력이 상기 와이어로프(21)를 따라 전달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21)가 각 쉬브(340)를 경유하는 도중 상기 완충부재(350)에 의해 충격력의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충격력이 와이어드럼(200)이나 권상모터(100)로 전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완충부재(350)는 상기 하부프레임(310)을 이루는 두 안착부(311)의 각 안착공간(312) 내에 각각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부재(350)가 코일형의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350)의 높이는 상기 하부프레임(310)의 구획격벽(313)과 상부프레임(320)의 둘레벽(323)이 서로 맞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쉬브 어셈블리(300)의 전체적인 크기(폭 및 높이)에 대한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각 쉬브(340)들에 제공되는 와이어로프(21)의 충격력이 원활히 완충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각의 안착공간(312) 내에 복수의 완충부재(350)가 제공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어느 한 완충부재(350) 내에 다른 한 완충부재(350)가 위치되는 중첩 구조로 설치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최대한의 완충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 완충력에 대한 세밀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프레임(320))과 하부프레임(31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면서도 상기 상부프레임(320)과 하부프레임(310) 서로 간의 상대 위치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단이 상부프레임(320)의 저부벽(321)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됨과 더불어 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310)을 이루는 안착부(311)의 저면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연결부재(36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320)의 저부벽(321)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는 연결부재(360)의 상단에는 너트(361)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너트(361)의 조작을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320)의 저부벽(321)과 하부프레임(310)의 안착부(311)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부프레임(320)과 하부프레임(310) 서로 간의 상대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권상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크레인의 운전이 이루어지면 권상모터(100)의 구동에 의한 와이어드럼(200)의 정역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와이어드럼(200)의 정역 회전으로 인해 와이어로프(21)는 상기 와이어드럼(200)에 감기거나 혹은, 풀리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와이어로프(21)의 끝단에 연결된 후크(22)는 상승 이동 혹은, 하강 이동하면서 중량물(도시는 생략됨)을 들어올리거나 혹은, 내려놓게 된다.
이때, 쉬브 어셈블리(300)는 그를 경유하는 와이어로프(21)의 수평측 방향을 안내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21)가 와이어드럼(200)의 전 부위에 균일하게 감기거나 혹은, 상기 와이어드럼(200)으로부터 균일하게 풀릴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전술된 크레인의 운전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중량물의 들어올림이 시작될 때나 중량물의 이동시 여타 구조물에의 부딪힘 발생 등과 같이 와이어로프(21)에 걸리는 부하의 갑작스러운 변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로프(21)에 큰 충격력이 가해지며, 이렇게 가해진 충격력은 상기 와이어로프(21)를 타고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와이어로프(21)를 타고 전달되는 충격력은 쉬브 어셈블리(300)의 각 쉬브(340)를 경유하여 와이어드럼(200)으로 전달되는데, 이의 과정에서 상기 쉬브 어셈블리(300)의 각 쉬브(340)가 설치된 쉬브핀(330)은 상부프레임(320)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상부프레임(320)은 복수의 완충부재(350)에 의해 하부프레임(310)에 탄력적으로 얹힌 상태로 유지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와이어로프(31)를 타고 전달되는 충격력은 상기 각 쉬브(340)를 경유하는 도중 상기 쉬브핀과 상부프레임(320) 및 각 완충부재(350)에 순차적으로 제공된 후 상기 각 완충부재(350)의 탄력적인 상하 압축 및 팽창 동작으로 인해 해당 충격력이 해소된다.
특히, 상기 각 완충부재(350)는 복수의 열 및 행으로 이루어지는 배치 구조로 인해 상기 각 쉬브(340)를 경유하는 와이어로프(21)에 대한 충격력 완화는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상기 각 완충부재(350)는 구획격벽(3113)들에 의해 격실로 이루어진 안착공간(312) 내에 서로 구획된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정확한 상하 방향으로의 압축 및 팽창 동작만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완충 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쉬브 어셈블리(300)를 경유한 와이어로프(21)에는 미미한 수준의 충격력만 내포하게 되며, 이로써 와이어드럼(200) 및 권상모터(300)는 상기한 충격력에 의해 손상됨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크레인용 권상장치를 이루는 쉬브 어셈블리(300)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320)을 이루는 각 저부벽(321)의 저면에 가이드플레이트(324)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플레이트(324)는 하부프레임(310)을 이루는 안착부(311)의 각 구획격벽(313) 내로 수용되면서 상기 각 구획격벽(313)에 의한 승강 이동의 지지를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크레인용 권상장치는 쉬브 어셈블리(300)에 완충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완충 구조를 통해 권상모터(100)나 와이어드럼(2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권상모터(100) 및 와이어드럼(200)에 별도의 충격 완충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상기한 완충 구조는 서로 별개로 이루어지면서 상하로 배치된 상부프레임(320) 및 하부프레임(310)과 이 두 프레임(310,320)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350)로 구성함과 더불어 상부프레임(320)에 각 쉬브(340)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각 쉬브(340)를 경유하는 와이어로프(21)를 통해 충격력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충격력에 대한 원활한 완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크레인 완충장치는 완충부재(350)를 코일형 압축스프링으로 구성하면서도 그 전체적인 배치 구조나 중첩 설치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쉬브 어셈블리(300)의 전체 크기에 대한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쉬브 어셈블리(300)의 전 부위에 대한 충격력 완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0. 트롤리 11. 통과공
21. 와이어로프 22. 후크
100. 권상모터 110. 감속기
200. 와이어드럼 300. 쉬브 어셈블리
310. 하부프레임 311. 안착부
312. 안착공간 313. 구획격벽
320. 상부프레임 321. 저부벽
322. 수직플레이트 323. 둘레벽
324. 가이드플레이트 330. 쉬브핀
340. 쉬브 350. 완충부재
360. 연결부재 361. 너트

Claims (5)

  1. 트롤리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와이어드럼에의 와이어로프 감김을 안내하는 쉬브 어셈블리(sheave assembly)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권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쉬브 어셈블리는
    상기 트롤리의 상면 중 와이어로프가 통과하는 개구 부위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면서 상면으로 복수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두 안착부를 갖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 제공되는 두 안착부의 각 안착공간 상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된 두 저부벽 및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형성된 두 수직플레이트를 갖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두 수직플레이트에 양단이 설치되는 쉬브핀 및 이 쉬브핀의 외주면에 설치되면서 와이어로프의 경유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쉬브;
    상기 하부프레임의 각 안착공간에 각각 구비되며, 와이어로프를 통해 상부프레임으로 전달된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권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각 안착공간이 서로 구획된 상태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구획격벽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각 안착공간 내의 완충부재가 해당 안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권상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착공간 내에는 상단이 상부프레임의 저부벽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됨과 더불어 하단은 하부프레임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저부벽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는 연결부재의 상단에는 너트가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너트의 조작을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권상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각 안착공간 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는 코일형의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의 높이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이 서로 맞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권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안착공간 내에는 복수의 완충부재가 제공됨과 더불어 어느 한 완충부재 내에 다른 한 완충부재가 위치되는 중첩 구조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권상장치.
KR1020140148988A 2014-10-30 2014-10-30 크레인용 권상장치 KR20160050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88A KR20160050559A (ko) 2014-10-30 2014-10-30 크레인용 권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88A KR20160050559A (ko) 2014-10-30 2014-10-30 크레인용 권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59A true KR20160050559A (ko) 2016-05-11

Family

ID=5602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988A KR20160050559A (ko) 2014-10-30 2014-10-30 크레인용 권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05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9968A (zh) * 2021-09-29 2022-01-04 合肥市春华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机构的欧式起重机用移动小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9968A (zh) * 2021-09-29 2022-01-04 合肥市春华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机构的欧式起重机用移动小车
CN113879968B (zh) * 2021-09-29 2024-01-30 合肥市春华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机构的欧式起重机用移动小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44743B (zh) 跃层电梯和跃层方法
CN206985546U (zh) 一种起重小车起升机构
EP3194319B1 (en) Elevator car with removable battery
JP2007099515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の支持手段を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に取り付ける方法
JPH07237861A (ja) 昇降装置
WO2018134620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based on the potential energy of a vertically moving massive weight
CN210735912U (zh) 一种多绳缠绕式提升机的钢丝绳同步补偿轮装置
JP2020026320A (ja) エレベーターの主ロープ交換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主ロープ交換方法
KR10186297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5111127A (zh) 储能装置
JP2008222382A (ja) 据付用昇降装置移動方法
KR20160050559A (ko) 크레인용 권상장치
CN102838012A (zh) 电梯系统
JP2007210703A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の巻上機据付装置および据付工法
JP2014196161A (ja) 免震吊上装置
CN1847133B (zh) 电梯装置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278359B2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リニューアルされたロープ式エレベータ
JP6603626B2 (ja) かご位置調整ロープの交換方法
JP201119004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181982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998869B1 (ko) 기계실이 없는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장치
EP1803676A1 (en) Elevator apparatus
KR102210690B1 (ko) 밸런스 권취장치
JP2005231770A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